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2:07:35

엄브렐러(스컬걸즈 모바일)


파일:Skullgirls Logo.png
스컬걸즈 모바일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스퀴글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빅밴드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일라이자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미스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피콕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페인휠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필리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세레벨라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마리.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밸런타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파라소울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더블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푸쿠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베오울프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로보포춘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엄브렐러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애니2.png
파일:SG_캐릭터셀렉트_블랙달리아.png

}}}}}}||
파일:SG_Lineup_Umbrella.png
1. 개요2. 스펙
2.1. 능력치2.2. 캐릭터 능력2.3. 궁극 능력2.4. 일류 능력2.5. 기술
2.5.1. 특수기2.5.2. 블록버스터
3. 출시 전 정보4. 플레이 스타일5. 평가
5.1. 장점5.2. 단점
6. 총평
6.1. 플레이 팁
7. 캐릭터
7.1. 다이아몬드7.2. 골드7.3. 실버7.4. 브론즈

1. 개요

2022년 5월에 출시된 스컬걸즈 모바일의 신규 캐릭터. 기존 스컬걸즈의 개발사인 랩 제로가 모종의 사건으로 인해 공중분해 된 뒤 스컬걸즈 모바일의 개발사 히든 베리어블이 기존 스컬걸즈의 개발 전권을 가져가고 나서 출시되는 두 번째 캐릭터이다.

2. 스펙

2.1. 능력치

체력 공격력
★★☆☆☆ ★★★★☆

피콕과 능력치가 동일하다.

2.2. 캐릭터 능력

  • 헝게른의 허기 : 잡기 적중 시 게이지가 채워지며 거품 기반 기술을 사용하면 허기 게이지가 소모됩니다. 과식 상태일 경우 기본 공격이 더 큰 피해를 주며, 걸신 상태일 때는 공격이 더 빨라집니다. 몇몇 기술은 헝게른의 상태에 따라 강화됩니다.

원작의 허기 게이지 능력을 어느정도 반영한 캐릭터 능력으로, 원작에서는 기아(Starved) - 걸신(Ravenous) - 포식(Satiated) - 과식(Overstuffed) 총 4단계로 이루어진 헝게른의 허기 상태가 모바일에서는 걸신(Ravenous) - 포식(Satiated) - 과식(Overstuffed) 3단계로 축소되었다.

허기 상태에 따라 각종 기술들의 판정과 데미지가 조금씩 변화한다. 다만 아얘 모든 기술들의 위력과 효과까지 달라져서 허기 상태에 따라 콤보 연결 자체를 변화시켜야 하는 원작과는 달리 몇몇 기술을 제외하면 판정 자체에는 큰 변화가 없는 만큼 플레이 하는 데 큰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파일:cutie ptooie.png
캐릭터 능력 슬롯을 찍게 되면 애니, 베오울프 처럼 헝게른이 그려진 버튼이 화면 좌측 하단에 등장한다.

파일:Screenshot_20220807-212329_Skullgirls.jpg
또한 인게임 에는 적혀있지 않은 점이지만 버튼을 눌러 허기 게이지를 12.5% 감소시켜 엄브렐러 공격력의 35%만큼의 피해를 입히는 '귀엽게 퉷(cutie ptooie)' 라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귀엽게 퉷은 헝게른의 위치에서 곡사로 나가며, 투사체가 적에게 적중하거나[1] 사라지기 전 까지는 재사용 할 수 없다. 견제용으로 사용 시 선후딜레이가 크며, 높은 위치에서 곡사로 나가 더블과 빅 밴드를 제외하면 가드 할 필요도 없이 앞대쉬로 피해가기 때문에 견제용으로는 부적합한 편. 다만 허기 게이지 관리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블록버스터를 제외한 모든 투사체를 흡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귀엽게 퉷은 기본기 판정이기에 과식 상태에서 데미지가 증가하지만, 동시에 투사체 판정과 거품 판정도 동시에 받기 때문에 상대방의 투사체와 관련된 각종 고유능력들에 영향을 받으며, 과학 신동으로 플레이 시 적에게 전력과부하를 거는 것이 가능하다.

헝게른의 상태에 따른 기술들의 강화는 다음과 같다.
헝게른 상태 기술 효과 데미지 상승치
걸신 기본 공격 타수가 약간 증가하며, 공격 속도가 대폭 증가한다. 지상 기본 공격 기준 95% -> 96%
대쉬 공격 미끄러져서 공격하는 모션으로 변경되어 공격 판정이 굉장히 빨라지고 피격 판정이 매우 감소한다. -
소금 그라인더 발동이 빨라진다. -
후르륵 적중 시 에어본 높이가 크게 증가한다. -
비 피하기 상대방에게 쇠퇴 효과를 적용시킨다. -
투영 렌즈 타격수가 5~6타에서 8~9타로 증가한다. 190/??/??/??% -> 252/??/??/??%
과식 기본 공격 타수가 감소하지만 데미지가 크게 증가한다. 데미지 50% 증가
대쉬 2타 데미지가 증가하며 벽 바운드 판정이 추가된다. 데미지 50% 증가
귀엽게 퉷 방울 안에 해골이 들어있는 이펙트가 추가되며, 피격 시 다운 판정이 추가된다. 데미지 50% 증가
후르륵 상대방을 멀리 밀쳐내며 벽 바운드 판정이 추가된다. -
헝게른 돌진 스킬 강화 레벨에 따라 데미지가 15/30/50% 증가한다.[2]
소원 빌기 방울의 크기가 증가하며, 방울을 더 멀리 뱉는다. -
비 피하기 방울의 크기가 증가하며 피해량이 50% 증가한다. 피격 시 다운 판정이 추가된다.

기술 중 소금 그라인더, 헝게른 돌진, 와신상담, 먹이 시간은 허기 게이지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버블 보블, 소원 빌기, 산성 역류, 비 피하기는 허기 게이지를 감소시킨다.

원작에서는 엄청난 디메리트를 자랑하던 기아 상태가 사라진 만큼 걸신 상태에서의 게이지 관리를 걱정할 필요가 전혀 없지만 반대로 원작에서는 무난한 범용성을 자랑하던 포식상태가 사실상 아무런 메리트가 없는 상태로 나와버렸기에 고유능력으로 과식 혹은 걸신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해당 상태를 쭉 유지하는 것이 더 좋은 편이다.

2.3. 궁극 능력

  • 달콤한 승리 : 상대를 쓰러뜨린 후 5-15초 동안 2중첩의 분노를 얻습니다.
  • 씁쓸한 결말 : 대전마다 한 번, 체력이 25%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5 - 15초 동안 유지되는 배수진과 대량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공격과 방어 양쪽 다 어지간해서는 씁쓸한 결말을 채용한다. 사실 씁쓸한 결말도 꼬마 초능력자가 아니라면 잘 사용하지는 않는 버프이지만, 적어도 달콤한 승리보다는 낫다는 반응이 많다.
꼬마 초능력자를 제외한 공격 캐릭터들은 노크리를 올려도 된다.문제는 꼬마 초능력자를 제외하면 사용되는 공격 캐릭터가 데스위시 하나뿐이지.

2.4. 일류 능력

  • 본능적 반응 : 엄브렐러가 허기를 얻거나 소모 할 때 마다 일류능력이 충전됩니다.
    충전량 : 허기를 1% 얻거나 소모할 때 마다 1%
    사용 효과 : 엄브렐러가 공격중인 상대를 타격할 때 마다 체력을 5% 얻고 상대방에게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부여합니다.

인터셉트 시 체력을 회복하고 점액 효과를 부여한다. 효과만 놓고 보면 좋은 편이며 활성화 자체도 어렵지는 않지만 발동이 까다롭다. 전반적으로 엄브렐러의 이동이 굼뜨고 좋지 않은 판정이 여럿 있다는 것이 치명적이다.

2.5. 기술

2.5.1. 특수기

소금 그라인더(Salt Grinder)
파일:Salt_Grinder.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상대방을 집어삼킨 뒤 마구 씹은 뒤 내뱉는다.
부가효과 없음
잡기 판정, 허기 게이지 획득
상대방을 행동불능[스태거] 상태에 빠뜨린다.
다단히트[4], 최대 11타
아무런 부가효과가 없지만, 피해량이 상당히 높으며 이미 바닥에 쓰러진 적 까지 바운드 횟수를 모두 회복시키고 스태거까지 걸기 때문에 콤보 연계면에서 굉장히 유용하다. 또한 리프트에서 기본기와 이 기술만으로 40타 이상을 칠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콤보 점수 획득용으로 많이 애용받는다.
1회만 터치할 경우, 대부분의 피해량을 포기하는 대신 허기게이지를 유지하며, 상대방을 스태거에 빠뜨리는 기능 또한 그대로이기에, 걸신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스킨들도 나름대로 유용하게 콤보 리셋에 써 먹을 수 있다.
방어자로는 선딜레이가 상당히 짧기에 AI가 은근히 가드 위를 두들기다가 기습적인 낚시용 기술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선술한 모든 바운드 횟수를 회복시키고 스태거 상태에 빠뜨린다는 점 때문에 낚이면 무조건 사망하니 조심해야한다.
버블 보블(Bobblin' Bubble)
파일:Bobblin%27_Bubble.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거품을 뱉어서 적을 공격한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10초 동안 상대방에게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9레벨 적중 시 12초 동안 상대방에게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15초 동안 상대방에게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투사체 판정, 거품 판정, 허기 게이지 소모
웅덩이 생성
일반적인 투사체 스킬과는 다르게 속도도 느리고, 전방으로 맵 절반도 채 나아가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공격자로 사용 시에는 근접 콤보 연계용으로 사용된다. 자체적인 에어본 수치도 꽤 크며, 웅덩이까지 깔기에 콤보용으로는 굉장히 좋은 기술. 부가효과 또한 점액을 건다는 매우 우수한 기술이기에 엄브렐러 플레이의 핵심 기술들 중 하나로 손꼽힌다.
방어자로 사용 시, 느린 전진속도가 오히려 플레이어를 압박하는 훌륭한 설치기로써의 역할을 해낸다.
소원빌기(Wishmaker)
파일:Wish_Maker.webp 계수 피해량 없음
엄브렐러가 헝게른의 침을 비눗방울로 불어 전방으로 날린다. 비눗방울에 맞은 적은 비눗방울에 갇힌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적중 시 10초 동안 상대방의 태그 난입, 특수기, 블록버스터 중 하나를 제한합니다.
9레벨 적중 시 12초 동안 상대방의 태그 난입, 특수기, 블록버스터 중 하나를 제한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15초 동안 상대방의 태그 난입, 특수기, 블록버스터 중 하나를 제한합니다.
투사체 판정, 거품 판정, 허기 게이지 소모
상대방을 행동불능[방울] 상태에 빠뜨린다.
웅덩이 생성
버블보블처럼 전진거리가 굉장히 짧고, 느린 속도를 가진 투사체. 다만 상대방을 행동 불능 상태에 빠뜨려 콤보를 리셋할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일반적인 투사체 스킬 보다는 소금 그라인더와 비슷한 성능을 가진다. 걸신상태를 유지하고 싶다면 소금 그라인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다만 지상 5타 이후에도, 어퍼 이후에도 빗나가는 판정을 가진 캐릭터들이 꽤 있어서 캐릭터 상성을 좀 타는 기술인데다가, 소금그라인더 또한 추가로 키 입력을 하지 않으면 허기 게이지 증가가 거의 없기에 소금그라인더만 사용하는 유저들이 더 많다.
방어자로는 소금 그라인더와 버블 보블의 장점을 약간 열화시킨 뒤 섞어놓은 듯한 기술. 모션이 꽤 크기에 가드가 어렵지는 않지만 적중당하는 순간 한 콤보 재대로 얻어맞고 사망 확정이니 조심해야한다.
후르륵(Slurp 'N' Slide)
파일:Slurp_27_Slide.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엄브렐러가 헝게른에 올라 타 전방으로 돌진한다.]]
1레벨 적중 시 4초 동안 상대방에게 방어막 파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6레벨 적중 시 8초 동안 상대방에게 방어막 파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12초 동안 상대방에게 방어막 파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웅덩이 위에서 사용 시 웅덩이를 지우고 웅덩이 피해량 만큼 추가피해를 입힌다.
상대방을 높게 띄운다[걸신]
상대방에게 벽 바운드를 유발한다[과식]
방어막 파괴라는 준수한 부가효과와 꽤 높은 피해량을 자랑한다. 특히 방어막을 지워버리기 때문에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 꽤나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허기 게이지 상태에 따라서 판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익숙하지 못하다면 콤보 연계가 꽤 어려울 수 있다.
방어자가 사용 시 소금 그라인더, 소원빌기처럼 기본기에 약간의 딜레이를 주고 사용하거나 중거리에서 기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꽤 많다. 피해량이 높기 때문에 얻어맞으면 빈사지경까지 가거나 아얘 한 방에 죽어버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회전목마 킥(Carousel Kick))
파일:Carousel_Kick.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엄브렐러가 뛰어올라 빙글빙글 돌며 다리로 상대방을 타격한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치명타 확률이 25% 증가합니다.
9레벨 치명타 확률이 50% 증가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치명타 확률이 100% 증가합니다.
사용 후 상대방을 멀리 넉백시킨다.
원작에서는 공중 강발 기본기지만, 모바일에서는 비슷한 로보 포춘의 회전팽이, 블랙 달리아의 죽음의 시계추와는 달리 오직 지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특수기로 변경되었다. 피해량 자체는 치명타 보정까지 받는 만큼, 엄브렐러의 모든 특수기들 중 독보적으로 높은데 상대방을 멀리 넉백시킨다는 기술 특성 상, 구석이 아니면 콤보 연계가 잘 되지 않으며, 상대방을 넉다운 시키는 주제에 후딜레이가 굉장히 큰지라 쓰러진 상대를 건져오지도 못하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콤보가 끊어지는 일이 많은 만큼 사용하는 상황이 극히 한정된다.[8]
방어자로는 사용 시 공중으로 뛰어오르기 때문에 근접한 상태에서 기습적으로 사용할 경우 낚이는 유저들이 굉장히 많다. 피해량이 위의 후르륵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미친듯이 높기에[9] 주의해야 하는 복병 기술들 중 하나.
안아주기(Hug it Out!)
파일:Hug_It_Out.webp 유형 버스트
엄브렐러가 헝게른을 꽉 안아준다.
1레벨 15초 동안 유지되는 1개의 축복을 획득합니다.
6레벨 15초 동안 유지되는 2개의 축복을 획득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15초 동안 유지되는 3개의 축복을 획득합니다.
허기 게이지 소모
축복이라는 효과 자체는 유령 실가닥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 사망섬유를 상대하기 좋은 버프이지만, 엄브렐러는 이미 궁극능력의 존재로 인하여 굳이 축복을 활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
감기 조심하세요(Gesundheit)[10]
파일:Gesundheit.webp 유형 강제태그
엄브렐러가 헝게른을 상대방에게 가져다 대면, 헝게른이 재체기를 해서 상대방을 멀리 날려버린다.
강제 태그 판정은 2타에 존재
베오울프의 강제태그처럼 2타에 강제 태그 판정이 붙어있어서 공중에 뜬 상대방을 강제태그 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만 베오울프와는 다르게 상대방을 스태거 혹은 방울에 가두는 판정의 기술이 많기 때문에 작정하고 강제태그 시키는 것 자체는 어렵진 않은 편. 다만 엄브렐러 자체가 워낙에 쓸 기술이 많고, 메이저한 캐릭터 중 강제태그를 활용해야하는 캐릭터는 많지 않아서 잘 사용되지는 않는 편이다.
버스트
파일:Umbrella_Burst.webp 유형 버스트
엄브렐러가 헝게른에 누워 짜증을 부리면, 헝게른이 자신을 강하게 펼쳐, 상대방을 떨쳐낸다.
1레벨 적중 시 상대에게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6레벨 적중 시 상대에게 12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적중 시 상대에게 15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
여타 버스트가 다 그렇듯, 방어 캐릭터에게는 최고의 기술. 공격자는 채용하지 않는다. 다만 점액 효과가 공격자 입장에서는 파라소울이 아니고서야 딱히 위협적인 부가효과는 아니라는 점이 아쉽다.

2.5.2. 블록버스터

헝게른 돌진(Hungern Rush)
파일:Hungern_Rush.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상대방을 쳐올려 한 입에 삼킨 뒤 공중으로 뛰어올라 자유낙하한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과식 상태에서는 데미지가 15% 상승합니다.
9레벨 과식 상태에서는 데미지가 35% 상승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과식 상태에서는 데미지가 50% 상승합니다.
잡기 판정, 허기 게이지 획득
다단히트, 3타
지상 콤보만 이은 뒤 들어가는 거라면 반드시 적중하기는 하지만, 상단 판정이 굉장히 협소하기에 상대방이 조금이라도 공중에 떠 있으면 적중하지 않는다. 후속 콤보가 들어가는 기술이 많지 않기에 공격과 방어 양쪽에서 이 기술을 채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산성 역류(Acid Reflux)
파일:Acid_Reflux (1).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상대방을 쳐올려 한 입에 삼킨 뒤 토해낸다. 상대방은 방울에 갇힌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상대방에게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9레벨 상대방에게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상대방에게 50%의 확률로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잡기 판정, 허기 게이지 소모
다단히트, 3타
피해량이 있는 소원빌기라고 이해하면 된다. 콤보 연계에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어 리프트에서 자주 채용되는 편이다. 다만 방어자로는 성능이 그닥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잘 채용되진 않는 편.
비 피하기(Under the Weather)
파일:Under_The_Weather.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엄브렐러가 헝게른을 펼치면 헝게른이 방울을 대량으로 내뱉어서 공격한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5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9레벨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7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투사체 판정, 허기 게이지 대량 소모
다단히트, 과식 상태에서 피해량 증가
웅덩이 2개 생성
과식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었는지 과식상태에서 피해가 크게 증가하는데 마침 과식상태에서 대쉬 2타를 사용한 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세레벨라를 제외하고는 풀히트가 들어간다.[11] 과식상태 한정으로 풀히트 피해량이 장난아니라서 과식상태를 유지해야하거나, 허기 게이지 관리가 필요 없는 공격자가 자주 채용된다. 리프트에서도 콤보 점수를 위해 채용하는 일이 많다.
방어자 기준으로는 AI가 절대 풀히트를 못시키기에, 피해량 자체는 별로 위협적이진 않다. 허나 투사체를 엄청나게 많이 깔아두기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해진다. 특히 이 기술 이후 적당한 중거리에서 와신상담이 들어온다면...
투영렌즈(Projection Lens)
파일:Projection_Lens.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엄브렐러가 헝게른에서 콘택트 렌즈 모양의 에너지 탄을 발사한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5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9레벨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7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걸신 상태에서 적중 하는 적에게 25%의 확률로 10초 동안 쇠퇴 효과를 적용시킵니다.
투사체 판정, 상대방의 모든 투사체를 방어
다단히트, 6타[12], 걸신 상태에서 타수 3타 증가
모으기 공격을 통하여 투사체 파괴 가능[13]
부가효과가 별로 좋지 못한 편이지만, 피해량이 상당히 높아 마무리 기술로 사용하기 적합하고 지상 사용 시 콤보를 리셋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여러모로 자주 사용은 되는 기술. 방어자로도 플레이어의 가드를 압박하기 때문에 상당히 위협적이다. 특이사항으로 적어둔 투사체 파괴 및 눈알 장착 효과도 방어자가 사용시에는 플레이어에게는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에 자주 채용되는 편이다.
와신상담(Tongue Twister)
파일:Tongue_Twister.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상대방을 혀로 휘감아 공격한 뒤 내던진다.
1레벨 부가효과 없음
3레벨 상대방에게 35%의 확률로 10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키고, 입힌 피해의 35% 를 회복합니다.
9레벨 상대방에게 35%의 확률로 12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키고, 입힌 피해의 35% 를 회복합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대방에게 입힌 피해량의 50%를 회복합니다. 이 기술로 처치당한 상대는 부활할 수 없습니다.
잡기 판정, 허기 게이지 대량 획득
다단히트, 6타[14]
엄브렐러의 콤보 시동 기술. 피해 회복 수치가 35%로 고정이기 때문에 자힐기로써는 성능이 굉장히 떨어지는 편. 그래도 이 기술 이후 소금그라인더나 소원빌기로 무난한 콤보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적인 측면에서는 사실상 엄브렐러의 모든 기술 중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사실상 이 기술 하나 때문에 엄브렐러는 매우 높은 게이지 충전 옵션을 요구할 정도.
방어자로써는 공격 못지 않게 중요한 기술인데, 이러한 잡기판정 블록버스터가 와신상담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방어자들은 잡기 블록버스터를 프레임 트랩 카운터 용도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엄브렐러의 AI는 이 기술을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사용하듯, 가드 위를 두들기다가 사용하기 때문에[15] 사실상 엄브렐러 방어자를 상대해야 하는 입장에서는 제 2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취급을 받는다.
먹이시간(Feeding Time))
파일:Feeding_Time.webp 계수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wiki style="letter-spacing: -1.4px;"
헝게른이 상대방을 혀로 휘감아 삼킨 뒤, 내뱉는다. 삼키는 공격으로 사망 시, 상대를 내뱉지 않고 완전히 잡아먹는다.[16]
1레벨 상대방에게 입힌 피해량의 25%를 회복합니다. 이 기술로 처치당한 상대는 부활할 수 없습니다.
6레벨 대방에게 입힌 피해량의 35%를 회복합니다. 이 기술로 처치당한 상대는 부활할 수 없습니다.
{{{#!wiki style="letter-spacing: -1.2px;" 상대방에게 35%의 확률로 15초 동안 점액 효과를 적용시키고, 입힌 피해의 35% 를 회복합니다.
가드 불가, 잡기 판정, 허기 게이지 획득
다단히트, 2타[17]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이니 당연한 점 이지만, 엄브렐러의 모든 블록버스터들 중 독보적인 화력을 자랑한다. 특히 15레벨 기준으로는 와신상담과는 달리 50%의 흡혈 수치를 지니기 때문에 사실상 공격 엄브렐러는 이 기술을 사용 시 무조건 풀피로 회복할 수 있다. 보통 순식간에 큰 피해를 주는 적을 상대할 때, 궁극능력 씁쓸한 결말을 통하여 피해를 버티고, 이 기술로 풀피 회복을 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특이사항으로는, 적이 1타로 죽지만 않았다면, 점액 등으로 인하여 2타가 들어가기 전에 상대가 중간에 사망하더라도 푸쿠아의 두번째는 망설임처럼 입힌 피해만큼 흡혈이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체력을 채울 수 있다. 반대로 1타로 사망할 경우 피해량의 대다수가 몰려있는 2타가 시전되지 않기 때문에 회복 용도로 사용했다면 엄청난 손해를 볼 수도 있다.

3. 출시 전 정보

본래 2021년 후반기에 출시 될 예정이었지만 2022년 초반으로 연기되었으며, 이후 2022년 4월 14일로 스컬걸즈 세컨드 앙코르와 플레이 스테이션4에도 엄브렐러가 정식 출시되었지만, 모바일에는 2022년 4월까지 발표 계획일자가 나오지 않고 있었다.

공개된 요소가 전혀 없기에 플레이스타일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만 원작처럼 허기 게이지를 이용하여 플레이스타일이 변화되는 잡기 위주의 화력캐릭터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유저들이 많다.

한국 시간으로 2022년 4월 23일, 태생 브론즈 빛속성 캐릭터인 까칠한(Salty)의 티저 영상이 공개되면서 본격적으로 각 스킨들이 공개되기 시작했다. 같은 영상에서 태생 실버로 물속성과 암속성 캐릭터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국 시간으로 2022년 4월 24일, 태생 골드 암속성 캐릭터인 Space Case의 티저영상이 공개되었다. 해당 영상에서 태생 골드 불속성과 물속성 캐릭터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곧 이어 2022년 4월 25일에는 태생 골드 물속성 캐릭터인 Tidal Traveler가, 2022년 4월 26일에는 태생 골드 불속성 캐릭터인 Wunderkind가 공개되었다. 동시에 태생 다이아 중립속성과 빛속성 캐릭터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2022년 4월 26일, 5.0 패치 날짜가 공개되면서 엄브렐러의 출시일도 PMT 4월 27일, 한국시간으로 4월 28일 목요일로 확정되었다.

2022년 4월 27일, 태생 다이아 중립 속성 캐릭터인 Eager Deceiver 가 공개되었으며, 태생 실버 불속성 캐릭터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미스포춘과 함께 고난이도 운영형 캐릭터를 목표로 잡고 설계된 캐릭터.

개발진들은 유저에게 허기 시스템을 활용하여 기본기와 특수기 판정 변화를 활용할 것을 기대하고 설계한 캐릭터지만, 아무리 허기 게이지에 따라 판정이 좋게 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굼뜬 판정이 변하지는 않으며, 운영 난이도를 조정할 용도로 추가한 웅덩이 시스템이 오히려 조작 난이도를 미친듯이 올려버려 전체적으로는 난이도 조절에 실패한 캐릭터로 취급받는다.

기본기 판정의 경우에는 엄브렐러 다음에 출시 된 블랙 달리아, 피콕과 함께 스컬걸즈 모바일 역대 최악으로 평가 받는다. 정확히 말하자면 블랙 달리아나 피콕과는 다르게 선딜이 길거나 리치가 짧은 것은 전혀 아니고 판정만 놓고 본다면 스컬걸즈 모바일 내에서도 굉장히 손꼽히게 후한 리치를 자랑한다.

문제는 대쉬와 가드의 판정이 역대 최악을 달린다. 대쉬의 경우 다른 캐릭터들의 무조작 시 전진동작과 비슷한 수준으로 느리다. 또, 가드 판정이 안좋다는 것은 또 무슨 소리인가 싶을 텐데, 엄브렐러의 경우 기본 가드 후 가드를 풀고 공격으로 연계하는, 일명 가드 회복 속도 자체가 모든 캐릭터들 중에서 독보적으로 느리기에[18] AI의 지상 5타를 가드한 후 지상 1타로 인터셉트하는 플레이가 불가능하며, 타점이 아래로 쏠리는 공격을 방어할 경우 이 가드 회복 속도가 배 이상으로 늘어나서, 다른 캐릭터들은 공격 선제권을 날로 먹을 수 있는 상황에서 역으로 가드 압박을 당하는 억울한 상황이 발생한다. 즉 거리를 벌려도 거리를 좁혀도 불리한 점이 계속 생기는 기묘한 캐릭터.

이 와중에 상당히 많은 블록버스터와 특수기들의 타점과 타격 이후 상황이 굉장히 절묘하게 안맞으며[19] , 이마저도 허기 게이지의 상승 및 하락으로 인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만큼 원래는 들어가야 할 콤보가 운나쁘게 끊어지는 경우도 자주 생기는 등 플레이어가 다루기에는 상당히 까다로운 캐릭터에 속한다.

그나마 이러한 타점을 맞춰보라는 의도로 추가한 시스템이 바로 웅덩이(Puddle)로, 버블 보블과 소원빌기, 비 피하기, 산성역류 등의 기술을 적중시키거나 사용할 경우 바닥에 웅덩이가 설치되는데, 공중에 뜬 피격 상태의 적이 이 웅덩이에 떨어진 경우 어떤 높이에서 떨어지든 일정한 높이로 다시 떠오른다.

이 웅덩이의 개발 의도는 상대를 즉시 다운시키는 판정이나 낮게 던지는 판정의 공격을 사용한 뒤, 방울 기술을 사용하여 웅덩이로 낙하시킨 뒤 에어본 된 상대방에게 높은 타점을 가진 공격을 적중시키는 방식으로 전략적인 플레이를 펼치게 만드는 등, 유저의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만든 시스템이었다.

문제는 스컬걸즈 모바일의 경우 캐릭터들마다 무게와 공중판정이 다른 만큼 일정한 높이만큼 띄운다고 해도 기술을 적중시키는 것이 여간 쉽지 않다는 것. 특히 타점이 낮게 깔리는 공격의 경우 오히려 공격을 맞추는게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는 만큼 유저 입장에서는 운영과 조작면에서 모두 신경 쓸 요소가 늘어난 셈이다.

캐릭터 기본 유틸 자체는 나쁘진 않지만 그 중에서 가장 돋보이는 점은 엄브렐러의 출시와 함께 등장한 점액 디버프. 이 디버프는 버프를 획득할 때 마다 스택 당 최대 체력의 2%의 피해를 입게 만들며 총 5스택까지 쌓을 수 있기에 5스택 기준 버프 하나당 최대체력의 10%의 피해를 입게 만든다.

자체 체력 회복 능력과 방어막 파괴 등의 유틸도 상당히 유용한 유틸로 손꼽히며 그 외에도 부활 불가등의 유틸도 존재한다. 확정으로 선타를 잡는 기술도 존재.

다만, 타수가 굉장히 많아서 각종 촉매와 대전효과를 자주 발동시키는 편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프제거, 디버프 제거, 면역, 재앙같은 유틸이 전무한 것은 치명적인 단점. 심지어 타수가 굉장히 많아서 일반적인 콤보 한방에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를 발동시키는 경우도 생기는데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능력마저 걸신 상태에 한한 비피하기 뿐이다.

결론적으로 무난하고 독특한 유틸을 지니고 있는 캐릭터지만, 설계 실패로 인한 난해하고 불편한 조작 및 운영 난이도 때문에 유틸을 살리기가 굉장히 어려운 캐릭터로 평가 받는다.

5. 평가

5.1. 장점

  • 블록버스터 와신상담의 매우 높은 성능
    와신상담의 경우 상대방의 가드를 무시하고 강제로 콤보를 시작할 수 있는 우수한 콤보 시동기이자, 높은 확률로 점액을 거는 훌륭한 디버프 스킬이며 동시에 35%의 피해를 흡혈까지 하는 정신나간 유지력 관리 스킬이다. 엄브렐러의 처참한 조작감과 미쳐버린 조작/운영난이도를 극복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스킬이기도 한데, 게이지 충전을 높게 맞춰줄 경우 이 기술을 이용하여 무한콤보를 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전에서의 엄브렐러는 의외로 조작난이도가 가장 낮은 캐릭터이며 운영난이도도 버프/디버프를 제외하면 크게 신경 쓸 편이 없는 만큼 크게 어렵지 않은 캐릭터에 들어간다.
  • 점액의 우수한 성능
    점액은 상대방이 버프를 획득할 때 마다 최대 체력의 2~10%의 피해를 입히는 강력한 안티탱커 디버프로 대다수의 탱커 방어자들이 재생, 방어막, 차단막 등의 버프에 의존하는 만큼, 사실상 엄브렐러의 대 탱커 성능은 애니 다음으로 우수한 편에 들어간다.
  • 매우 우수한 체력관리 능력
    와신상담도 위에서 설명했듯, 체력관리기로 상당히 우수한 스킬이지만, 엄브렐러의 체력 관리 진가는 가불버인 식사시간에서 드러난다. 압도적인 계수와 한 방 딜 덕분에 배수진으로 버티고 서 있는, 빈사지경에 있던 엄브렐러가 가불버 한 방에 풀피가 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사실상 푸쿠아와 함께 순간 폭힐에서는 독보적인 위치에 있는 캐릭터.
  • 굉장히 넓은 잡기 범위
    엄브렐러는 피콕, 빅밴드와 함께 전투 시작 직후 즉시 잡기로 상대를 잡을 수 있는 셋 뿐인 캐릭터이며, 프레임 트랩까지 가능한 캐릭터인 만큼 사실상 전투 시작 직후 두 번의 공격 선제권을 꽁으로 가져가는 캐릭터라고 볼 수 있다. 현상금이든 리프트든 전투 시작 직후 베오울프나 세레벨라, 마리, 밸런타인의 잡기 특수기 및 뉴로멘서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는 천상계에서도 게임을 터트리는 강력한 변수인 주제에 재대로 된 대처가 불가능하기에 순전히 운에 맡겨야하는 부당한 판정을 지니고 있는데, 이를 완전히 무시할 수 있는 점은 큰 장점에 들어간다.
  • 높은 타수로 인한 높은 리프트 전투 한계치
    촉매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 상성이 크게 갈리지만, 기본적으로 발동 조건이 피격이 아닌 촉매를 상대로는 높은 타수가 상당히 큰 장점이 되어준다. 엄브렐러는 단순히 지상콤보 - 공중콤보 - 소금그라인더 - 지상콤보 - 공중콤보만 사용해도 50타가 나오는 캐릭터인 만큼, 한 판당 50점은 꽁으로 얻어간다고 봐도 무방하다.

5.2. 단점

  • 저열한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능력
    타수가 굉장히 높아서 한 콤보만에 상대방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가 차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이는 캐릭터인데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능력은 비 피하기의 쇠퇴 뿐이며 이마저도 조건부인 만큼 와신상담과 잡기가 모두 빠진 상태일 경우 허무하게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를 얻어맞고 죽을 확률이 높다.
  • 저열한 기본기로 인한 높은 와신상담 의존도
    엄브렐러의 플레이는 전적으로 와신상담 하나에 의존한다. 기본기로는 인터셉트를 노리는 것이 상당히 어려우며, 상대방이 원거리에 있을 경우 거리를 좁히는 것 부터 굉장히 어려워진다. 근거리일 경우에도 잡기공격이 통하지 않으면 공격권은 상대방에게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로 인하여 두번째, 세번째 타자가 등장하였을 때 와신상담이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콤보를 시작하기가 굉장히 애매해진다.
  • 취약한 버프 및 디버프 관리 능력
    엄브렐러는 상대방의 버프 제거 및 자신의 디버프 관리/제거가 모두 불가능한 몇 안되는 캐릭터들 중 하나다[20]. 문제는 엄브렐러 자체가 특정 디버프와 버프에 굉장히 취약한 캐릭터라는 점. 주력 디버프인 점액은 상대방의 면역에 막혀버리며, 주력 기술인 와신상담은 블록버스터 제한 디버프에 막힌다. 문제는 면역과 블록버스터 제한 이 두 효과는 리프트 촉매효과로 인하여 지겹게 겪게 될 촉매라는 점이다. 또한 장점인 무한콤보도 불굴, 자동방어에 타 캐릭터들보다 훨씬 취약하기에[21] 버프 및 디버프 관리 능력이 전무한 엄브렐러의 기본 유틸은 끝까지 엄브렐러를 괴롭히는 단점이 된다.
  • 주력 디버프인 점액의 상성문제
    점액 자체는 상대방에 따라서 굉장히 고성능 디버프가 되기도 하지만, 면역을 획득하는 방어자, 자폭이나 반사피해를 주력으로 하는 방어자들에게는 전혀 맥을 못쓰는, 없느니만 못한 디버프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상성 문제로 인하여 엄브렐러의 화력은 상당히 불안정한 편에 들어간다.
  • 전무한 변수 차단 능력
    선술하였듯 엄브렐러라는 캐릭터 자체가 변수에 취약한데 이러한 변수를 피할 방법도, 극복할 방법도 전혀 없다. 결국 이러한 단점을 대신 해결해 줄 서브딜러 혹은 서포터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캐릭터다. 다만 이러한 단점을 극복시켜주는 서포터들의 경우 가뜩이나 수요가 높기에 아무 엄브렐러 공격자와 딸려보내기에는 전략적인 손실이 너무나 크다.
  • 전반적으로 좋지 못한 고유능력
    2024년 시점에서 엄브렐러의 경우 메이저한 공격 캐릭터가 하나[22], 마이너한 공격 캐릭터[23]가 하나 존재하기는 하지만, 그 둘을 제외하고는 현상금과 리프트 양쪽에서 별로 좋지 못한 캐릭터 취급을 받고 있다. 기본 성능 자체는 타 캐릭터들에 비해서 좋다고 보기 힘든 무한콤보 이외에는 존재하질 않는데, 대다수 캐릭터들의 고유능력 또한 영 좋지 못해서 벌어지는 현상.

6. 총평

무난한 저점과 높은 고점을 가지고 있지만 고점을 뽑기 어려운 캐릭터.

초기에는 플레이스타일에 설명되어있던 높은 난이도로 인하여 출시 이후 얼마 되지 않아 고인취급을 받아가며 모든 관심이 끊어진 시절도 있었다. 이로 인하여 출시 6개월 후 블랙 달리아가 출시된 5.2 패치에서는 점액의 효과가 리워크되며[24] 기술들의 부가효과가 조정되는[25][26] 등 영 좋지 못한 취급을 제작사인 히든 배리어블에서 인지하고 즉각 조치를 취하는 이례적인 상황도 펼쳐졌었다. 이후 어느정도 관심을 되찾게 되며, 결정적으로 스컬걸즈 모바일 희대의 사기캐릭터들 중 하나인 데스위시가 출시되며 다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어느정도 평가가 다시 올라가게 되었다.

엄브렐러가 어느정도 연구가 이루어진 2023년 시점에서는 플레이스타일에 설명한 높은 조작 및 운영 난이도는 리프트 전투 3인방에 투입하였을 때나 해당되는 요소로, 어찌 클리어만 하면 되는 현상금 전투 및 평행세계에서는 전혀 해당되지 않는 사항이다. 정확히 이야기해보자면, 전반적으로 넉백 판정이 많은 기본기 덕분에 게임 시작 후 단 한 콤보면 상대방을 구석으로 몰아버릴 수 있으며 이후 구석에서 버블보블과 와신상담을 이용해서 무한콤보를 굴려먹는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태여 화려한 콤보를 넣을 이유가 사라진 것.

기본적으로 엄브렐러의 공격력이 꽤 높은 축에 들어가며 와신상담과 소금 그라인더 콤보면 거의 확정으로 과식상태에 돌입하는 만큼, 기본기의 화력 뻥튀기도 받게 되어 무한콤보의 DPS 자체가 굉장히 높은 편이다. 여기에 점액 효과까지 길게 입히는 버블보블 덕분에 상대방이 면역을 제외한 버프에 의존하는 블랙 달리아 방어자인 경우 말 그대로 순식간에 걸레짝으로 만들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소금 그라인더, 버블보블, 와신상담을 채용하고 선타를 와신상담+소금그라인더에 의존하는 플레이를 하는 경우 가장 높은 축에 들어가던 조작난이도와 운영난이도가 최하위권으로 바뀌는 기현상을 보여준다. 이로 인하여 현상금과 평행세계 컨텐츠에서는 의외로 사용하기 굉장히 편한 캐릭터로 평가받는다. 또한 기본 공격력이 높거나 고유능력이 쓸만한 캐릭터들의 경우에는 화력도 쓸만해서 더더욱 평가가 높은 편이다.

다만 리프트에서 활용하게 되는 경우 이야기가 다르다. 자신의 디버프를 피하거나 상대방의 버프를 제거할 방법이 없는 캐릭터인 만큼 게임 내내 냉기방어막 촉매나 각종 버프/디버프 촉매의 영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무한콤보를 활용하기 어렵다.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요소는 바로 블록버스터 작렬 촉매. 사실상 와신상담을 이용한 선타잡기를 막아버리는 최악의 천적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냉기방어막 촉매의 경우에도 점액을 통해 카운터 칠 수 있을 것 같지만, 엄브렐러의 체력도 너덜너덜하게 깎아버리는 만큼 양날의 검.

무엇보다 체력점수, 콤보점수와 블록버스터 마무리가 중요한 요소가 되는 리프트에서 와신상담 무한콤보를 사용할 경우 블록버스터 마무리가 무지막지하게 어려워지기 때문에 플레이에 각종 애로사항이 꽃피게 된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블록버스터 마무리를 목적으로 블록버스터를 여러가지 채용할 경우 특수기, 사실상 버블보블의 채용 가능 수가 줄어들며, 이로인해 점액 유틸 활용이 힘들어진다. 해당 노드의 촉매가 냉기방어막 촉매인 경우 방어막 제거를 위해 후르륵까지 채용하게 되는 만큼 기술 배치마저 꼬이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대전효과와 촉매만 해도 대처가 까다로워지는데 하필이면 소금그라인더로 스탠딩 상태로 만든 적 혹은 소원빌기나 위산 역류로 방울에 가둔 적들에게 콤보를 넣을 때 버스트에 굉장히 취약해지는 만큼 상대방의 기술에도 억까를 당할 위험성도 존재한다.

이로 인하여 엄브렐러의 경우 와신상담과 소금그라인더, 버블보블은 필수로 채용하고 여러 상황 및 촉매에 대비하여 여러가지 기술을 추가로 육성해두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블록버스터 마무리를 노릴 것인가 추가 유틸을 노릴 것인가 언제나 고려해야하며, 각종 촉매에 대항할 방법을 미리 생각해 둬야한다. 이러고도 상대방의 버스트에 맞고 날아가지 않기를 빌어야한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일라이자나 낙서같은 캐릭터들과 조합하여 단점을 최소화시키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는 것. 다만 낙서, 돈의 맛+이너피스, 프리즘 깃털(꼬마 초능력자 한정) 등의 캐릭터들은 이미 수요가 너무나도 많다는 점이 문제긴 한데...

캐릭터 자체가 선두에서 게임 시작하자마자 잡기를 적중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 트랩을 통해 이후 한번의 선타를 더 잡을 수 있어서 뉴로멘서나 베오울프같이 전투가 시작하자마자 억까를 시전하는 캐릭터들을 상대하기 편한 편 인 것도 장점.

물론 기본적으로 고난이도 캐릭터인 덕분에 고평가를 받는 스킨 자체는 적은 편이며, 각 스킨의 고유능력의 영향을 꽤 크게 받는 편이기도 하다. 일단 캐릭터 자체의 저점도 중간은 가는 편이며 고점 자체는 리프트에 한해서 상당히 높은 편이기에 고유능력만 쓸만하면 일반적으로 평가가 좋다.

다만 결정적인 단점은 엄브렐러 출시와 함께 나온 스킨들은 장밋빛을 제외하고는 고유능력의 성능이 영 좋지 못한 편이다. 아무래도 점액의 효과가 상당히 파격적이었던 탓에 자체적으로 밸런스를 조정해서 나온 듯 하지만, 개발진들의 예상보다 엄브렐러의 성능 평가가 좋지 못했기 때문에 점액 효과에 대한 주목도 금방 식어버렸고, 사실상 엄브렐러 캐릭터 자체가 장밋빛을 제외하고는 고인취급을 받던 때도 존재했다. 이후 추가 업데이트로 출시된 데스위시와 꼬마 초능력자의 경우 상당히 사기적인 고유능력을 들고 나와주었기에 꽤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데스위시는 무려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인데다가, 꼬마 초능력자의 경우 2023년 9월 이벤트 유물 한정 캐릭터였던 만큼 6.1 패치 이전 시점에서는 구할 방법이 없는 등, 전반적으로 쓸만한 캐릭터들의 접근성이 최악을 달린다.

결론적으로 현상금 전투나 평행세계에서는 사용이 어렵지 않지만 리프트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채로운 기술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여러가지 서포터들의 육성, 좋은 고유능력을 가진 엄브렐러 캐릭터와 약간의 운이 모두 따라주어야 한다.많이도 필요하다 고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조건이 많은 만큼, 기본 성능이 좋다고 보기는 확실히 힘든 편이지만 사기적인 고유능력을 지닌 스킨들이 존재하며 만큼 해당 스킨들에 한해서는 평가가 굉장히 좋은 편이다.

6.1. 플레이 팁

6.1 패치 이전까지는 앉은 상태에서 가드하는 모션에서의 가드 히트 스턴이 타 캐릭터들에 비해 굉장히 긴 편이었다. 이 점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해주자면, 모든 하단 공격과 일부 공격을 가드할 경우 캐릭터가 원작의 하단 가드 모션을 취하는데, 다른 캐릭터들은 이 상태에서 즉시 가드를 풀고 상대에게 반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유독 엄브렐러만 이 상태에서는 가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이 굉장히 길게 걸리기 때문에 반격이 불가능했던 것이다.

이 가드 회복 딜레이는 엄브렐러를 직접 플레이하는 것을 불편하게 만드는 요소이며 적시가드를 활용해야하는 환상술사 같은 캐릭터들은 특히나 더 고유능력 활용하는 것을 힘들게 만들었기에 엄브렐러의 인식을 나쁘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했다.

엄브렐러가 출시되었던 5.0 패치 시절부터 이러한 판정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왔지만, 제작진들은 이 성능이 의도한 바인지 알 수 없도록 애매하게 답변하였고, 이에 많은 유저들이 이 단점에 대한 개선을 포기하는 분위기였다. 허나 6.1 패치 마리 완전 해금 패치에서 해당 가드 회복 딜레이를 개발진들이 버그로 규정, 출시 1년 6개월만에 가드 딜레이 성능이 다른 캐릭터와 동일하게 수정되었다.

이 외에도 5.0 패치 당시에는 걸신 상태에서는 일라이자에게 어퍼를 띄운 뒤에 공중 콤보가 들어가지 않았다. 5.0.1 마이너패치때 수정되어 이제 정상적으로 콤보가 들어간다. 하지만 5.4 패치까지 역으로 AI 일라이자가 엄브렐러를 상대로 공중콤보를 재대로 못때리는 현상이 생겼었다. 이후 귀신같이 수정되었다.버그 하나를 고쳤더니 하나가 늘어난다

소원 빌기와 산성역류는 방울에 가두는 새로운 판정의 스태거 상태이상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지상 콤보를 리셋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인지 두 기술 중 하나를 먼저 사용했을 경우 해당 콤보에서는 더이상 방울 스태거를 걸 수 없다.[27] 다만 진짜 스태거 판정인 소금 그라인더의 경우 이 두 스킬 중 하나가 선행해서 들어갔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스태거를 걸 수 있다.

다른 캐릭터들과 다르게 모으기 공격의 모으기 동작에 공중에 뜬 상태의 적에게 공격판정이 존재한다. 다만 어퍼로는 불가능하고 웅덩이나 버블특수기, 거품에 갇힌 상태의 적에게만 가능하며 전방 범위가 굉장히 좁다. 마지막 타격까지 입힐 경우 상당한 데미지와 함께 상대방을 바운드 시킨다. 한 콤보에 여러번 사용이 가능하지만 바닥에 웅덩이가 없다면 2회때부턴 그대로 다운되기에 웅덩이를 깔 수 있는 기술과 활용해야한다. 모으기 준비동작 + 1단계 강화 기준으로 풀 히트 데미지는 130%로 기본기보다 강한것은 물론이요 어지간한 특수기 급의 화력을 자랑한다. 물론 모으기 공격은 기본기 판정이기에, 과식상태라면 이 데미지가 강화되기까지 한다.

또한 모으기는 준비동작 시간에 따라 최대 2회 강화되면서 데미지가 증가한다. 다만 최대단계의 경우 콤보활용은 불가능.

7. 캐릭터

7.1. 다이아몬드

환상술사 파일:스걸모 중립속성.png
파일:Eager_Deceiver.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29.png
인게임
"..."
고유 능력
과대 망상
적의 공격을 때맞춰 가드하면 100% 확률로 정확성, 차단막, 축복 1중첩 얻습니다.
걸신 상태에서 블록버스터 사용 시 50% 확률로 3개의 이로운 효과를 영구적인 분노로 전환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85 13152 3242 62247
모티브는 RWBY네오폴리탄. 동시에 삼색 아이스크림(...)[28].

차단막과 축복, 정확성이라는 유용한 유틸리티를 지속시간 없이 반영구로 얻으며, 필요에 따라서 분노로 전환까지 가능하다는 점만 보면 화력과 유틸리티를 모두 챙긴 만능형 캐릭터로 보일 수 있다. 허나 실상은 밑의 물속성 챔피언과 함께 태생 다이아몬드 꽝 캐릭터.

컬러링 자체는 꽤나 이쁘다는 평가가 많지만, 고유능력의 활용도가 너무나도 심하게 떨어진다. 기본적으로 블록버스터 게이지 관리 능력이 딸리는 엄브렐러는 프레임 트랩과 잡기, 와신상담을 통하여 가드도 하지 않고 상대방의 공격권을 빼앗는 플레이가 중요한데, 그 플레이에 정면으로 반하는 고유능력인 만큼, 사실상 고유능력 1의 경우 게임 내내 발동시킬 일이 거의 없다.

사실 발동 시켜도 큰 의미가 없는 것이, 차단막, 축복, 정확성 모두 엄브렐러 입장에서는 굳이 필요한 버프가 아니다. 차단막과 축복의 경우 동시에 획득하는 것에 의미가 크게 없다. 차단막은 피해를 경감시켜주고, 축복은 사망 시 다시 한 번 기회를 주는 버프로, 이 두 버프는 애초에 시너지가 일절 없는 버프들이다.[29]

심지어 이 두 버프 모두 엄브렐러의 단점인 버프/디버프 관리능력 및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 능력, 혹은 저열한 기본기를 덮어주지 못하며, 엄브렐러의 강점인 체력 관리 능력을 극대화 시켜주지도 못 한다.

정확성의 경우 엄브렐러에게 정확성을 적용받는 단일히트 공격이 후르륵과 버블보블 하나뿐인데, 결국 모든 정확성 캐릭터들 중 가장 열악한 계수를 지니고 있는 기술이다.

애시당초에 이 모든 버프들은 하나하나를 따로 얻을 때가 아니라 한 번에 여러개를 획득해야 의미가 있는 버프들이다. 최소한 스택을 얻는 간격이라도 짧아야 의미가 있는데, 이렇게 긴 텀을 가지고 1스택씩 얻는 경우에는 아무의미가 없어진다.짬통

고유능력 2의 경우 걸신 상태에서 블록버스터 사용 시 보유한 버프를 모두 영구분노로 전환하는, 필리아의 헤어요정과 굉장히 비슷한 능력. 물론 드럽게 안터지는 것도 헤어요정과 비슷하다.

사실상 자신이 지닌 버프를 분노로 전환하여 화력으로만 상대하는 스킨이라고 볼 수 있다. 아니 그 이상의 용도로는 활용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굳이사용한다면 현상금에서 버프를 제공해주는 의무감 같은 서포터와 배치하여 분노 딜러로 활용한다. 물론 이들이 주는 버프가 과연 영구분노보다 가치가 적을지 저울질은 플레이어가 해야 하지만.

물론 현상금에서만 사용되는 딜러라는 점에서부터 일단 성능에 대한 평가는 아웃인 셈.
물속성 챔피언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Raining_Ch1amp.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25.png
인게임
"아니! 아직이야! 우린 싸울 수 있어!"
고유 능력
유대감
엄브렐러가 대전을 시작할 때 10 초 동안 불굴 상태이며 영구적인 방어막 효과 2 중첩을 얻습니다. 방어막은 엄브렐러에게 생존한 팀원이 없으면 제거됩니다.
엄브렐러가 살아있는 동안, 팀원들은 20 초마다 10 초 동안 신속 및 배수진 효과를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24 11981 3566 68468
컬러 모티브는 포켓몬스터 BW아이리스.
분명 이름은 물속성이지만 실제로는 빛속성이다. 심지어 원본 캐릭터조차 드래곤 타입인지라 번역에 대한 악평이 엄청나다.[30]

개발진들은 방어자로 활용하라는 의도로 출시한 캐릭터. 시작 시 불굴과 영구 방어막 2개를 들고 시작하기 때문에 게임 시작 시 주도권 자체를 빼앗아가며 마지막에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면 딜 자체가 거의 들어가질 않는 만큼 대처법을 재대로 모른다면 상당히 성가신 캐릭터라고 평가받는다.

물론 어느정도 이 게임에 익숙해진 유저들의 입장에서는 그냥 호구 그 자체. 고유능력 1번 덕분에 사실상 선두에 배치하는 것이 확정적인데, 이 경우 그냥 강제태그로 밀쳐버리면 그만이다. 20초마다 아군에게 주는 신속과 배수진이 상당히 거슬리긴 하지만, 버프제거에 용이한 캐릭터들은 그냥 씹어버리는 게 가능하다.

캐릭터 구조적으로 재앙, 버프제거, 출혈 디버프를 거는 캐릭터들에게 극도로 취약한데, 하필이면 이 게임에서 가장 메이저한 캐릭터인 필리아와 일라이자가 이에 해당된다. 물론 이외의 캐릭터들도 강제태그와 버프제거 하나로 물속성 챔피언을 호구로 만들어버리는 만큼, 별로 위협적인 방어자 취급을 받지는 못하는 편.

그나마 고유능력 2 덕분에 공격에서 서포터로 활용은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그냥 블랙 달리아의 아발란체 하위호환. 물론 아발란체를 제외하고 놓고 봐도 게이지 충전 서포터들[31]에게 철저하게 밀린다.

결론적으로 환상술사와 함께 태생 다이아몬드 함정 캐릭터를 담당하고 있다.
데스 위시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Death_Wish.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30.png
인게임
모자라, 간에 기별도 안가! 우린 아직도 배고파...
고유 능력
허기의 순환
엄브렐러는 엄브렐러 혹은 상대방이 매 7콤보를 달성할 때 마다 상대방의 이로운 효과 3개가 엄브렐러에게 전이되며, 상대방은 10초 동안 저주 효과를 적용받습니다.
대전마다 한 번, 사망 시 50%의 체력을 가지고 부활하며 쓰러진 모든 아군을 25%의 체력으로 부활시킵니다. 또한 사망 시 보유하고 있던 이로운 효과 하나 당 10초동안 유지되는 독기를 1개 획득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85 13152 3242 62247
5.1.1 패치에서 정식으로 출시 된 엄브렐러의 세번째 태생 다이아몬드 캐릭터. 모티브는 스컬 걸이 된 엄브렐러. 다만 전체적인 컬러링 자체는 마리의 컬러링을 많이 참고하였다는 듯. 추가 이펙트를 지니고 있다는 점, 이전까지의 신캐릭터와는 달리 일반 유물에 출시되기까지 2번의 패치를 더 기다려야 했다는 점에서 현재 백스테이지 캐릭터들의 시초가 되었다고 보는 유저들도 존재한다.

고유능력 1을 통하여 매 7번째 타격마다 상대방의 버프 3개를 빼았고 저주를 거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에, 사실상 공격에서 엄브렐러가 지니고 있는 대다수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하여, 사실상 완전체급의 성능을 자랑한다.

특히 7타마다 모든 버프를 가져간다는 점이 더욱 악랄한 것이, 엄브렐러의 엄청난 타수 덕분에 사실상 한 콤보마다 3번 이상 터져나가기에 엄브렐러는 어지간한 전투에서 상대방의 버프를 완전히 씹으면서 딜을 박을 수 있다.

저주의 경우에는 모든 저주 딜러들 중에서 가장 쉽게 저주를 걸 수 있으며, 가장 빠르게 저주를 걸 수 있으며, 저주를 거는 캐릭터들 중 가장 딜량이 높은 캐릭터라는 점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이 저주라는 디버프 자체는, 워낙 사기적인 성능을 지니고 있는 만큼 개발진들이 이 버프를 고유능력으로 걸 수 있는 스킨은 조건을 굉장히 까다롭게 걸거나 언제나 최하위권의 스탯을 배정해주었던 걸 고려해보면, 준수한 스탯을 가지고 있는 데스위시는 아얘 개발진들부터 작정하고 만든 사기캐릭터라는 걸 짐작할 수 있다.

개발진들도 사기캐릭터라는 점을 인지하였는지 5.1.1 패치의 할로윈 이벤트 현상금 이후로는 단 한번도 월간 이벤트 현상금 보상에 끼지 않고 있다. 덕분에 숱한 스컬걸즈 모바일의 사기 캐릭터들 단연코 가장 희소하며, 최악의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는다.

가장 큰 약점은 자신의 디버프 관리가 불가능하기에 6.1 패치 이후로는 전격 무력화 효과에 상당히 취약하다는 점 정도. 이 점은 면역, 디버프 제거 서포터들을 대려가는 것으로 어느정도 해결을 할 수 있다. 특히 6.0 패치로 궁녀, 별빛 장미같은 디버프 제거 서포터가 늘어나면서 상당히 완화된 단점.

그 외에도 리프트 전투에서 엄브렐러의 자체 성능을 발휘하기가 꽤 어렵다는 점도 단점으로 작용할 수는 있다.

사기 공격 캐릭터임에도 이례적으로 방어자로써의 성능도 출중한 희귀 케이스인데, 고유능력 1이 엄브렐러가 피격당할때도 적용되기 때문에 면역을 무시하고 저주를 건다는 골때리는 특성을 가진다. 그 뿐만 아니라 대놓고 방어 캐릭터가 사용하라고 권장하는 듯, 모든 아군을 되살리는 고유능력 2 덕분에 정확성/저주 캐릭터가 아니라면 존재만으로도 경계해야하는 흉악한 방어 캐릭터.

다만 고유능력 2의 경우 데스위시가 되살아나면 발동되는 판정이기에, 로보포춘, 엄브렐러의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찌르는 듯한 추위나 또다른 자아같이 부활을 금지시키는 능력으로 사망할 경우, 발동이 되지 않는다는 굉장히 큰 약점이 존재한다.

여담이지만, 5.1.1 패치에 정식 출시되었었지만, 실제 데이터 및 컬렉션에 추가된 것은 5.1 패치로, 당시 공개되었을 때는 희망적인 포식자[32] 라는 이름으로캐릭터 카드도 환상술사의 카드에 색만 다르게 되어있었으며, 고유능력마저 환상술사의 하위호환에 불과했다. 상당한 불만이 쏟아지자, 개발진들은 엄브렐러의 신규 캐릭터를 위한 멋진 고유능력을 구상중이니 기다려달라며 유저들을 안심시켰고, 5.1.1 패치에서 공개된 결과물은 희대의 사기 캐릭터...

7.2. 골드

과학 신동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Wunderkind1.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251.png
인게임
"과학 앞에 적은 없어!"
고유 능력
오메가 플레어
모든 거품 공격은 35%의 확률로 상대에게 10/12/15초 동안 전력 과부하 효과를 부여합니다. 방어시에도 적용됩니다.
전력과부하가 3중첩이 되면 상대가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50% 잃고 엄브렐러의 공격력의 50/75/100%만큼의 피해를 입습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75 12960 2502 48039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375 6075 1390 22518
현상금 보상 캐릭터
컬러 모티브는 크로노 크로스의 루카

높은 기본 공격력과 추가피해를 입히는 고유능력 덕분에 공격자로 사용될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 포지션은 방어자. 특히, 스컬걸즈 모바일에서 모르면 맞아야지를 가장 철저하게 구현해놓은 캐릭터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실력이나 경험이 쌓인 유저들도 무심코 들어갔다가 큰 코 다치기 쉬운 캐릭터로 악명높다. 물론 이 문서를 보고 있는 유저들은 더 이상 걸리지 않겠지만

사실 고유능력만 놓고 본다면 도대체 어떤 이유로 방어자로 활용되는지 의문이 들겠지만, 고유능력 2의 전력 과부하 3스택 추가피해는 과학 신동이 필드에 나와있지 않아도 발동된다는 숨겨진 효과가 존재한다. 덕분에 캐릭터 궁극능력으로 근처의 적에게 전력 과부하를 거는 로보 포춘 방어자, 특히 오버 클럭이나 블루 스크린과 함께 배치되는 경우가 90% 이상이다.

고유능력 2의 전력과부하 추가피해는 기술의 공격력도 적용을 받기 때문에 공격자 세팅으로 방어조합에 투입시킬 경우 말 그대로 고유능력 2가 한 번 발동되는 순간 플레이어의 공격자가 한 방에 누워버리는 대참사도 발생하는 만큼, 이 캐릭터를 상대한다면 강제태그기를 갖춘 캐릭터[33] 혹은 면역을 가진 캐릭터를 반드시 채용해야한다.[34]

현 시점에는 상술하였듯 리프트 2인방에 로보포춘 방어자와 함께 배치된다. 어둠주간 우측 2인방의 경우 방어자가 피격 시 공격자에게 전력과부하를 거는 효과이기에 어둠주간에 한해서 일반적인 방어자와 배치되기도 한다. 주로 골드 1 ~ 다이아몬드 3티어의 중스펙 유저들이 낚시용 방캐로 채용하고 있으며, 그 스펙 유저들의 경우 매우 쉽게 낚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방어율이 높다.
파도를 타고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Tidal_Travele1r.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11.png
인게임
"나는 어디까지고 갈 거야."
고유 능력
바다가 선택한 자
웅덩이에 근접하면 3/2/1초 후 면역 효과를 얻습니다.
면역 효과가 유지되는 동안 거품 공격은 50%의 추가 피해를 주고, 10초 동안 방어막 파괴 효과를 부여합니다. 방어 시에도 적용됩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35 10272 3056 58676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297 4812 1698 27508
컬러 모티브는 모아나

디버프 관리 능력이 전무한 엄브렐러에게 면역을 획득한다는 고유능력은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상은 희대의 낚시 고유능력. 엄브렐러의 딜링 구조 상, 실질적으로 웅덩이 위에 오래 서 있는 것 부터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사실상 구석에서 버블보블 스패밍만 할 것이 아니라면 아얘 고유능력이 없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결국 이 캐릭터의 유일한 존재 가치는 특수기 쿨타임 감소 옵션과 게이지 충전 옵션을 모두 맞추고 구석에서 버블 보블만 스패밍하는 것 이외에는 없다고 보면 되는데, 이 경우 공격력과 관통에 스탯을 집중해주기 어려워지기에 낮은 공격력이 더 낮아지는 딜레마가 찾아온다. 그나마 고유능력 2가 스패밍 시 낮은 화력을 어느정도 보충은 해 주지만, 그걸 감안해도 그 평가 나쁜 환상술사가 기본 능력치 + 궁극능력만으로 사실상 상위호환급 성능을 발휘한다. 덕분에 진화 재료를 취급을 받고 있다.
우주소녀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Space_Cas1e.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161.png
인게임
"알겠지만 난 널 처치할 수 밖에 없어."
고유 능력
외계인 부검
걸신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상대의 체력이 50% 아래로 떨어지면 상대방은 15초 동안 유지되는 파멸 효과를 얻습니다. 파멸은 엄브렐러가 태그 교체하거나 쓰러지면 사라집니다.
상대를 쓰러뜨리면 15초 동안 정확성 3중첩과 적 속성에 따라 이로운 효과 3 중첩을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87 11271 2779 53357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326 5282 1544 25013
적 처치 시 획득하는 이로운 효과
불속성 물속성 바람속성 빛속성 어둠속성 중립속성
분노 방어막 재생 축복 가시 차단막
컬러 모티브는 인베이더 짐개즈.

더블의 에이리언 처럼 일종의 조커카드 캐릭터로 설계된 공격자 캐릭터. 고유능력 2는 사실상 의미가 없다시피하며, 사실상 고유능력 1의 파멸효과가 핵심.

조건 자체는 에이리언보다 훨씬 빡빡하지만, 파멸의 지속시간이 게임 내에서 가장 짧기 때문에 나름대로 차별화는 가능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면역을 제외한 버프를 획득하는 캐릭터 상대로 차별화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차별화가 가능한 케이스가 매우 적다. 사실상 고유능력만 놓고 본다면 에이리언의 하위호환 캐릭터 수준.[35]

물론 에이리언부터 2020년 이전부터 사실상 공격 캐릭터로써의 가치가 완전히 사라졌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이 쪽도 공격자로써의 가치는 없다. 그나마 부식성 원소 촉매를 쥐어주면 리프트에서 방어자로써 나름 까다롭다고는 평가 받는 에이리언과는 다르게 이 쪽은 그냥 방어자로써의 가치도 전혀 없는 만큼 그냥 진화 재료 캐릭터로 취급받고 있다.
꼬마 초능력자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Psykid.png
카드
파일:Psykid (1).webp
인게임
"언니 말은 도움이 안 돼."
고유 능력
멘탈 싸움
공격하는 상대를 타격하면, 10/12/15초 동안 명사수 효과를 얻으며 상극성 효과를 부여합니다.
상대가 벽에 튕기면 50/75/100% 확률로 엄브렐러의 모든 이로운 효과와 상대의 모든 해로운 효과(기절, 파멸 제외)의 지속시간을 초기화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675 12960 2502 48039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375 6075 1390 22518
5.4 패치로 새롭게 추가된 공격형 엄브렐러. 컬러 모티브는 아냐 포저.

그림자인형, 손톱의 규율처럼 자신의 버프와 상대방의 디버프를 연장시키는, 독특한 유틸을 보유한 딜러. 이들과는 다르게 고유 능력으로 상대방에게 상극성과 자신에게 명사수 효과라는 상당히 강력한 효과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점액같은 고성능 디버프도 가지고 있고, 결정적으로 이들에 비해서 능력 발동 조건이 매우 널널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이 둘보다 능력을 활용하기 매우 좋은 편이다.

자체 성능의 경우 현상금에서는 무한콤보가 가능한 엄브렐러 특성 상 상당한 성능을 보여주며, 무엇보다 자체 공격력부터 약 13000으로 엄브렐러 중 2위에 달하는데 고유능력으로 명사수가 발동될 경우 상대 방어력이 50%인 상황일 때 실질 공격력이 사실상 17000대에 달하는 수준으로 폭등하는 만큼, 매우 우수한 편이다.

리프트를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버프/디버프 관리 능력이 최악인 만큼 단독 활약은 어렵다. 특히 꼬마 초능력자가 상성상 우위에 있는 가시 혹은 불굴을 획득하는 캐릭터들 대다수가 배수진같은 버프도 같이 획득하는 만큼 어지간해서는 상성이 뒤집히는 일이 더 많다. 또한 전격 무력화 촉매에도 굉장히 무력한 것이 치명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꼬마 초능력자는 재앙 혹은 면역을 제공하는 서포터들과의 조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전형적인 고스펙 전용 딜러인 셈.

6.1 패치 이전까지는 냉방 위주로 메타가 굴러가면서 재생을 제공해주는 의무감같은 서포터들과 낙서같이 면역을 제공해주는 캐릭터들과 3인방 위주로 활약해왔지만, 6.1패치로 촉매가 대개편되어 냉방이 자취를 감추고 전격 무력화 촉매, 부식성 원소같은 촉매가 메타가 되어버리자 궁극 능력인 씁쓸한 결말을 먼저 발동시킨 뒤, 배수진으로 사망섬유의 자폭 피해와 부식성 원소 도트 피해를 버텨내고, 와신상담과 식사 시간을 통해 체력을 복구하는 방식으로 플레이 방식이 변화하였다.

다만 전격 무력화 촉매 만큼은 여전히 단독으로는 대처가 불가능하기에, 낙서 혹은 프리즘 깃털의 보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문제는 낙서의 경우 이쪽에게 붙여주기에는 약간 아쉬워서 프리즘 깃털과 조합하는 경우가 절대다수. 문제는 불굴 효과를 받는 동안에는 남은 체력보다 높은 피해를 입을 경우 궁극 능력의 배수진이 발동되지 않는 심각한 버그가 존재한다. 물론 한 방에 죽는 피해를 입는 것이 아니라면 큰 문제는 되지 않는 만큼 이 점이 크게 신경 쓰일 일은 많지 않지만, 가끔씩 결정적인 순간에 걸리면 정말 예상치 못하게 전투가 터져버리는 만큼 주의해야한다.

7.3. 실버

장밋빛 파일:스걸모 불 아이콘.png
파일:Rose-Tinted.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17.png
인게임
"세상과 사탕 중에 하나를 고르라면 사탕을 고를 거야!"
고유 능력
우리 마음은 변치 않아
엄브렐러가 살아있는 동안, 모든 팀원들은 체력을 25% 잃을 때 마다 5/7/10초 동안 차단막과 가시를 1중첩 얻습니다.
엄브렐러가 살아있는 동안, 엄브렐러가 30/25/20초마다 모든 팀원들의 해로운 효과를 제거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방어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428 8218 2621 50324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238 3856 1456 23588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132 1743 809 10679
컬러 모티브는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에이미 로즈.

태생 실버 등급 치고는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심지어는 이 게임의 천상계라고 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 1 ~ 2티어까지 메이저하게 배치되는 고성능 방어자.

레저넌트 이블, 불멸의 냥이, 필리아 레이지와 함께 뉴비 학살기로 상당히 악명이 높은 방어자로, 모든 아군에게 체력이 줄어들 때 마다 가시와 차단막을 부여한다는 점으로 인하여, 체력을 재생하는 방어자와 배치한다면 방어자 하나 때려잡지도 못했는데 공격자가 누워버릴 정도로 굉장히 악랄한 성능을 보여준다.

재앙을 걸고 죽이려고 해도, 20초마다 디버프를 지워버리기 때문에 오히려 엿먹는 일이 굉장히 많은 만큼, 실질적으로 이 녀석이 들어간 조합을 처리하고 싶다면 제일 먼저 끄집어내서 처치하는 것이 가장 편한 방법. 물론 스컬걸즈 모바일 특성 상 강제태그기로 이 녀석이 끌려나올 가능성은 50%이기 때문에 재수없다면 게임 하는 내내 이녀석이 안끌려나오는 엿같은 상황을 경험할 수도 있다. 특히나 리프트에서는 이 점을 노리고 일부러 부식성 원소와 조합한 뒤, 태그 앤 개그 촉매와 함께 배치해두는 악랄한 경우도 꽤나 존재한다.[36]

다만 이 점 때문인지, 개발진들도 가시 효과를 무시하는 명사수 버프를 출시한 뒤 신캐릭터들에게 이 명사수 버프를 상당히 많이 달아주고 있는 만큼, 전체적으로 카운터의 수가 매우 크게 늘어났다. 대표적으로 전광석화와 꺾이지 않는 마음. 이로 인하여 천상계 한정, 리프트에서 방어자로써의 평가는 꽤 많이 하락한 상황. 물론 이 캐릭터들은 희소성이 매우 높아서 아직까지 보유하지 않은 유저들이 더 많으며, 이 캐릭터들이 없는 유저들에게 장밋빛은 아직까지도 굉장히 상대하기 어려운 상대다.

공격자로도 전격 무력화 촉매를 비롯한 각종 디버프를 20초마다 지워준다는 점, 아군에게 차단막과 가시를 제공한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꽤 자주 서포터로 활용된다.
사탕 부수기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Candy_Crusher.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6.png
인게임
"작은 고추가 맵다는 것을 보여 줄게."
고유 능력
슈가 러시
과식 상태일 때 5/4/3초 마다 재생 효과를 얻습니다. 재생은 엄브렐러가 쓰러지면 사라집니다.
대전마다 한 번, 재생 효과가 5/4/3 중첩이 되면 영구적인 신속 효과를 얻습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02 9639 2381 45716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279 4520 1323 21433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155 2046 735 9702
컬러 모티브는 수박맛 사탕.

기본적으로 엄브렐러 자체가 체력 회복 능력이 모자라지는 않은 만큼, 체력 관리 능력이 딱히 고평가받지는 않는다. 물론 공짜 반영구 재생이 굉장히 빠르게 쌓이는 점 자체는 굉장히 좋은 성능인 것은 확실하지만.

무엇보다 와신상담 + 소금 그라인더 이후 9초면 영구신속을 얻는다는 점 때문에 핵심 기술인 와신상담과 식사시간을 빠르게 굴릴 수 있다는 점도 상당히 큰 장점으로 손꼽힌다. 아발란체 등의 서포터와 궁합도 상당히 우수한 편.

문제는 엄브렐러의 고질적인 단점인 버프/디버프 관리가 굉장히 취약하다는 점. 이 점 하나 때문에 리프트에서는 다른 신속 딜러들의 하위호환 취급을 면치 못하고 있다. 특히나 에이펙스 컴플렉스, 전광석화의 경우 태생 등급에서의 격차에서 오는 능력치 하나만으로 압도적인 상위호환 취급을 받으며, 거기까지 가지 않더라도 얼티밋 울프나 다크 호스도 훨씬 안정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사실상 상위호환이다. 심지어는 같은 태생 실버에서도 보더라도 물려받은 머리쪽의 평가가 훨씬 좋은 편.
말괄량이 파일:스걸모어둠속성.png
파일:Wild_Child.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9.png
인게임
"우린 지금 굶주린 늑대라고!"
고유 능력
배고픈 늑대
과식 상태가 아닐 때, 엄브렐러의 잡기가 20%의 확률로 상대의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10/12/15% 만큼 흡수합니다.
상대가 쓰러지면, 15초 동안 2중첩 점액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공격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77 11079 2142 41127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320 5184 1190 19278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178 2350 661 8726
컬러 모티브는 베오울프.

특수기 소금 그라인더를 통하여 블록버스터 게이지를 획득하여 블록버스터를 난사하는 유형의 공격 캐릭터. 폭우, 비트박스, 알렉스, 소중한 미이라, 뉴로멘서의 계보를 잇는 가드 불가 블록버스터 난사 캐릭터로 볼 수도 있다.

다만 해당 캐릭터들과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고유능력 발동 확률이 낮은 탓에 생각만큼 그리 게이지가 많이 쌓이지는 않는 다. 그나마 엄브렐러의 블록버스터 두 개가 모두 체력 회복기다 보니, 고유능력 자체는 운영에 꽤나 도움이 되는 편이다.

단점은 엄브렐러의 취약점인 버프/디버프 관리 능력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 이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리프트에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예능캐릭터 취급을 받는다.
고인 물 해적 파일:스걸모 물속성.png
파일:Puddle_Pirate.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8.png
인게임
"해파리가 너보다 더 끈기가 있을걸. 진지하게 덤벼 봐!"
고유 능력
노략질
상대방은 웅덩이 근처에 있는 동안 4/3/2초 마다 이로운 효과 1개를 잃습니다.
걸신 상태가 아닐 때, 상대가 이로운 효과를 하나 잃을 때 마다 엄브렐러는 체력을 3/4/5% 회복합니다.
능력치 유형 : 밸런스형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502 9639 2381 45716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279 4520 1323 21433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40레벨
155 2046 735 9702
컬러 모티브는 길티 기어메이.

출시 초기 기준으로는 상대방의 버프를 제거할 수 있는 유일한 엄브렐러였다. 다만 태생 골드의 파도를 타고의 면역 획득 조건보다 2배나 더 긴 시간을 웅덩이에 있어야 발동이 된다는 점에서 조건이 극단적으로 어렵다.

고유능력 2의 경우에도 수치가 너무나도 짜다는 점이 문제. 어차피 엄브렐러는 와신상담과 식사시간 덕분에 체력 관리는 큰 걱정이 없는 캐릭터인지라 저정도로 찔끔 회복하는 능력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단점을 가려주는 고유능력을 가지고는 있지만, 정신나간 조건 덕분에 실질적으로는 고유능력이 사실상 없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취급받을 정도로 평가가 좋지 못한 캐릭터.

7.4. 브론즈

까칠한 파일:스걸모 빛속성.png
파일:Salty.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1.png
인게임
"비법 재료는...소금입니다."
고유 능력
떼쓰기
대전마다 한 번, 체력이 35% 아래로 떨어지면, 5/7/10초 동안 축복과 3중첩 분노 효과를 얻습니다.
분노 효과가 유지되는 동안, 잡기로 50% 확률로 5/7/10초 동안 출혈 효과를 부여합니다.
능력치 유형 : 약화된 공격형[37]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496 9524 1837 35271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275 4455 1021 16541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153 2020 567 7485
브론즈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85 867 315 3213
태생 브론즈 다운 낮은 스탯을 지니고 있는 캐릭터. 다만 다이아몬드 60레벨 기준 공격력은 10000이 살짝 안되는 수준으로 공격력 자체는 나쁘지 않다.

분노를 획득하는 순간 소금그라인더 한 방에 정확도 50 기준 5출혈의 기댓값을 지니는 상당한 화력의 도트 딜링 캐릭터. 다만 자체적으로 분노를 획득할 방법은 궁극능력과 고유능력 1 하나 뿐인데 양쪽 다 발동 빈도가 굉장히 낮다 보니 어지간해서는 서포터를 요구한다.

문제는 스컬걸즈 모바일에 딱히 분노를 제공해주는 서포터를 찾기 어렵다는 것. 그나마 5.4 패치로 별빛장미가 추가되기는 했지만, 이 마저도 차단막을 유지해야 분노 효과를 제공해주며, 별빛 장미는 적시 가드를 통해서 차단막을 제공해주는데, 까칠한의 뒤에서 세는 것이 더 빠른 체력으로 인하여 기껏 획득해도 어지간해서는 가드할 때 차단막이 모두 소모된다고 보면 될 정도로 차단막 유지가 어렵다.

6.0 패치로 마리의 뱀술사가 출시되면서 현상금에 한해서, 영구분노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분노를 획득한 순간부터 출혈 피해로 인하여 화력이 상당히 크게 증가하지만, 객관적으로 필리아라는 캐릭터를 두고 까칠한을 출혈딜러로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에 즐겜용 캐릭터 이상의 취급을 받지는 못하고 있다.
고결한 바람 파일:스걸모 바람속성.png
파일:Fresh_Heir.webp
카드
파일:SG_umb_color19.png
인게임
"바람과 함께 사라져라!"
고유 능력
항풍[38]
대시 공격이 50/75/100% 확률로 상대방의 블록버스터를 10초 동안 제한합니다.
블록버스터가 비활성화된 상대를 블록버스터로 쓰러뜨리면 블록버스터 게이지가 50% 충전됩니다.
능력치 유형 : 강화된 밸런스형[39]'''
다이아몬드 공격력 체력
1레벨 60레벨 1레벨 60레벨
472 9063 2245 43104
골드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262 124 1247 20996
실버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145 1571 693 9504
브론즈 공격력 체력
1레벨 50레벨 1레벨 50레벨
81 674 385 4080
블록버스터 게이지 조절이 안되는 엄브렐러의 단점을 어느정도는 보강해주지만, 낮은 스탯과 처참한 성능의 고유능력 2로 인하여 사실상 사용할 가치가 전혀 없는 캐릭터라고 평가받는다.

심지어 같은 태생 등급의 까칠한의 경우 그나마 분노만 수급받는다면 도트 피해량은 꽤 높다는 장점이라도 있지만, 이쪽은 본인만의 장점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없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
[1] 가드 된 공격도 포함한다.[2] 판정상으로는 변경점이 없다.[스태거] [4] 터치를 통하여 타수를 조절할 수 있다[방울] [걸신] [과식] [8] 주로 크리티컬 공격을 받으면 재생을 획득하는 부식 전문 요원 혹은 와인 양조업자의 궁극능력을 상극성을 통하여 역이용할 수 있는 꼬마 초능력자 채용한다.[9] 후르륵 설명에서도 나와있지만, 후르륵도 한방에 빈사지경에 가거나 사망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특수기다.[10] Bless you와 같은 표현이다.[11] 혹은 과식상태에서 대쉬 2타 - 버블보블 후 바로 이 기술을 사용하면 모든 캐릭터들한테 깔끔하게 풀히트가 들어간다.[12] 지상에서는 타수가 1타 감소한다.[13] 파괴 시 상대방이 이 공격의 남은 공격 횟수에 따라 최대 6개(걸신 상태에선 8개)의 눈알이 전방으로 발사되는데, 이 눈알은 일정 시간 후 폭발하면서 이 기술의 원래 피해량과 동일한 피해를 입힌다. 다만 피콕의 아르고스 애고니처럼 상대방의 피격 판정이 좁은 경우 눈알을 피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어지간해서는 이 기술을 사용하고 모으기 공격을 사용하는 것은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14] 마지막 타격의 경우 피해를 입히지 않고 벽바운드만 시킨다.[15] 사실 이건 양반이고 그냥 뜬금없이 중거리에서 이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16] 엄브렐러가 패배하여 쓰러지거나, 승리하여 승리모션이 출력되면 잡아먹은 적을 다시 내뱉는다.[17] 1타로 사망 시 2타는 발생되지 않는다.[18] 일반적으로 이 가드 회복 속도는 모든 캐릭터들이 동일하다. 유독 엄브렐러만 시스템적으로 가드 회복 속도가 느린 것.[19] 타점이 높은 기술은 비피하기를 제외하면 스탠딩에서도 적중하긴 하지만 버스트에 굉장히 취약하기에 어지간해서는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콤보를 넣는 것이 안정적인데, 높은 타점의 기술들은 상대를 넉백시키는 판정이 많고 에어본 수치가 극단적으로 작기에 이후에 다른 기술로 연계가 거의 되질 않는다. 타점이 낮은 후르륵, 헝게른돌진의 경우 에어본 수치가 꽤 높긴 하지만 이마저도 후딜레이가 크고 에어본 수치도 애매해서 높은 타점의 기술로 연계가 쉽지 않다.[20] 이론상의 성능까지 고려해도 버프제거와 디버프 관리 능력이 모두 없는 캐릭터는 빅밴드, 세레벨라, 페인휠, 베오울프, 엄브렐러 뿐이다. 물론 현실성을 고려할 경우 애니와 푸쿠아도 포함되기는 하다.[21] 가장 심각한 것은 어퍼가 2타로 이루어져있는데 비슷하게 2타 어퍼를 지닌 일라이자와는 다르게 1타에 상대를 띄우는 판정이 없기에 어퍼가 버스트가 끊긴다는 것이다.[22] 데스위시[23] 꼬마 초능력자[24] 5.2 패치 이전까지는 스택을 쌓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버프를 획득할 때 마다 최대체력의 4%만큼 피해를 입히는 기술이었다.[25] 점액을 확정으로 적용시키던 다타수 블록버스터들의 점액 확률이 조정되었으며, 과식상태였던 비피하기의 쇠퇴 조건과 과식상태였던 헝게른 돌진의 피해증가 조건이 서로 변경되었다.[26] 비피하기는 허기게이지를 줄이며, 헝게른 돌진은 허기게이지를 충전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비피하기는 걸신 상태, 헝게른 돌진은 과식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조합에서 사용하는 경향이 컷기에 변경이 이루어진 것. 다만 어느정도 연구가 이루어진 현 시점에서 비피하기의 쇠퇴 조건 변경은 오히려 너프였다는 평가도 존재한다.[27] 두 기술 중 하나를 이미 사용했을 경우 상대가 방울에 갇히지 않고 즉시 다운된다.[28] 원본 캐릭터의 모티브 자체가 나폴리탄 아이스크림, 즉 3색 아이스크림이라서 그렇다.[29] 축복은 사망 시 일정 체력으로 부활을 시켜주기에 죽어야 의미가 있는 버프이지만, 차단막은 추가체력을 통하여 받는 피해를 경감시키기 때문에 두 버프는 아얘 활용 목적이 정 반대인 상극의 버프라고 할 수 있다.[30] 원문은 Raining champ로 엄브렐러가 우산을 들고 있다는 점과 최강 챔피언이라는 의미의 reigning champ에서 reigning이 raining 과 발음이 같다는 점을 이용한 말장난이다.[31] 락 스타, 알렉스[32] 원문은 Wishful Eater로 갈망하는 포식자가 더 정확한 번역이다.[33] 강제 태그기로 과학 신동을 먼저 끄집어 낸 뒤 먼저 처리하면 더 이상 능력이 발동되지 않는다.[34] 심지어 5.4 패치 이전에는 과학신동을 먼저 죽여도 고유능력 2가 계속 발동되었었기 때문에 이 시절에는 면역을 가진 캐릭터가 필수였다.[35] 물론 기술들의 성능까지 고려할 경우 엄브렐러의 기본 성능이 더블의 기본성능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거기서 거기다.[36] 공격자가 유리한 속성이 아니라면 초당 5%의 도트피해를 입히는 만큼, 강제 태그를 시켜두었더니 장밋빛은 안나오고 더블 방어자가 튀어나오더니 태그 앤 개그 촉매 때문에 태그는 막히고 미쳐버린 도트 피해를 최대 15초나 받아내야 하는 피말리는 상황이 오게 된다.[37] 스탯 자체는 공격형이지만 공격력과 체력이 같은 스탯 점수를 공유하는 캐릭터들의 공격형보다 더 낮다. 다만 밸런스형과 비교해보면 공격력 5점 캐릭터인 페인휠의 밸런스형 스탯 캐릭터인 러스티보다도 공격력이 높다.[38] 무역풍같이 언제나 특정 방향으로만 부는 바람을 의미한다.[39] 스탯 자체는 밸런스형이지만 공격력과 체력이 같은 스탯 점수를 공유하는 캐릭터들의 밸런스형보다 더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