럭비 챔피언십 | ||||
{{{#!wiki style="padding: 7.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368, #213a4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
Argentina national rugby union team Selección de rugby de Argentina | |
별칭 | 로스 푸마스 (Los Pumas) |
소속단체 |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UAR) |
감독 | |
주장 | 훌리안 몬토샤 (Julián Montoya) |
최다 출전 | 파블로 마테라 (Pablo Matera)112회 |
최다 득점 | 니콜라스 산체스 (Nicolás Sánchez)902점 |
최다 트라이 | 호세 누녜스 피오세크 (José Núñez Piossek)30회 |
홈 경기장 | - |
첫 국제경기 | vs 브리티시 아일스 (3:28)1910년 6월 12일 |
최대 승리 | vs 파라과이 (152:0)2002년 5월 1일 |
최대 패배 | vs 뉴질랜드 (8:93)1997년 6월 21일 |
럭비 월드컵 | 11회 진출 최고 3위(2007) |
세계 랭킹 | 최고 3위(2008) / 최저 12위(2014) |
역대 전적 | 506전 253승 14무 239패(50.0%) |
1. 개요
아르헨티나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실력은 티어1의 꼬리 정도로 평가받고 있으며, 다전제인 럭비 챔피언십에서는 종종 승리하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북반구의 식스 네이션스 참가국을 상대로는 버거운 모습을 보인다.2. 인기
아르헨티나에서 최고 인기 스포츠는 당연히 축구다. 축구를 제외하고, 농구와 함께 럭비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스포츠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대표팀의 인지도도 높고, 유럽만큼은 아니지만 경기가 열리면 수만의 관중이 경기장에 운집한다. 디에고 마라도나처럼 축구계에서도 럭비 팬이 많이 있다. 승리한 대표팀과 함께 라커룸에서 춤을 추는 마라도나.2015 럭비 월드컵에서 대표팀을 응원하는 마라도나 |
대표팀의 구성은 100%에 가깝게 아르헨티나 국적의 백인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원래 백인이 대부분인 나라고 국내 리그가 아직 아마추어라서 굳이 외국 선수들이 들어올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그가 매우 탄탄하게 구성되어 있고 많은 훌륭한 선수들이 유럽 프로 리그에서 뛰고 있기 때문에 실력이 상당히 높아서 럭비 강대국들이 불의의 일격을 당하기도 한다. 입장이 식스 네이션스의 이탈리아와 비슷해서 늘 강팀에게 얻어맞고 다니고, 강팀들 입장에서 아르헨티나한테 지면 대차게 욕을 얻어먹는 처지지만 럭비 월드컵만 되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8강에 진출해서 강팀들을 때려잡고 4강에 진출한다. 그 희생양이 2023년의 웨일스, 2015년의 아일랜드, 2011년의 스코틀랜드, 2007년의 프랑스다.
3.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함. 출처3.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6cace4><rowbgcolor=#6cace4><rowcolor=#000> 이름 || 기간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감독이 다른 팀에 비해 임기가 굉장히 긴 편이다. 전적만으로는 역대 감독에 대한 비교가 어렵다. 아마추어 시대 아르헨티나는 전형적인 지역 강국이었다. 2014년까지 자국을 제외하면 모두 약팀이었던 수다메리카노 데 럭비에 참가하고 있었고, 2012년부터는 자국보다 훨씬 강팀밖에 없는 럭비 챔피언십에 합류했기 때문이다. 1티어 국가 한정으로만 보면 2005~2007년엔 북반구 팀을 무자비하게 두들겨 패고 다녔고 월드컵에서도 실력을 증명했다. 2015년과 2022년도 꽤 괜찮은 해였다. 이젠 완전한 1티어로 자리잡은 현재 마이클 체이카는 꽤나 성공적으로 팀을 이끌어가고 있다. 지역 대회에서 이탈해 럭비 챔피언십에 참가한 이후 3할 이하로 곤두박질 친 승률을 50%에 가깝게 유지하고 있다는 것만 봐도.3.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 |||
<rowcolor=#6cace4>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1987 | 조별리그 | 조 4위 | |
1991 | 조별리그 | 조 4위 | |
1995 | 조별리그 | 조 4위 | |
1999 | 8강 | 8강전 vs 프랑스(26:47) | |
2003 | 조별리그 | 조 3위 | |
2007 | 3위 | 조별리그 4전 전승 4강전 vs 남아공(13:37) | |
2011 | 8강 | 8강전 vs 뉴질랜드(10:33) | |
2015 | 4위 | 4강전 vs 호주(15:29) 3/4위전 vs 남아공(13:24) | |
2019 | 조별리그 | 조 3위 | |
2023 | 4위 | 3/4위전 vs 잉글랜드(23:26) | |
2027 |
대표팀 역사상 최고 기록이었던 2007 럭비 월드컵에서의 모습.
럭비 챔피언십 (2012 ~ ) | ||||||
<rowcolor=#6cace4> 참가국 | 우승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10회 | 67전 | 53승 | 2무 | 12패 | 79.1% | |
2회 | 63전 | 33승 | 4무 | 26패 | 52.4% | |
1회 | 67전 | 27승 | 5무 | 35패 | 40.3% | |
- | 67전 | 12승 | 3무 | 52패 | 17.9% |
3.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000>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39전 | 3승 | 1무 | 35패 | 7.7% | |
38전 | 4승 | 1무 | 33패 | 10.5% | |
8전 | 1승 | 1무 | 6패 | 12.5% | |
29전 | 5승 | 1무 | 22패 | 17.2% | |
41전 | 9승 | 3무 | 29패 | 22.0% | |
56전 | 15승 | 1무 | 40패 | 26.8% | |
20전 | 6승 | 14패 | 30% | ||
22전 | 7승 | 1무 | 14패 | 31.8% | |
5전 | 2승 | 3패 | 40% | ||
22전 | 11승 | 11패 | 50% | ||
8전 | 6승 | 2패 | 75% | ||
4전 | 3승 | 1패 | 75% | ||
24전 | 18승 | 1무 | 5패 | 75% | |
7전 | 6승 | 1패 | 85.7% | ||
1전 | 1승 | 100% | |||
1전 | 1승 | 100% | |||
2전 | 2승 | 100% | |||
3전 | 3승 | 100% | |||
5전 | 5승 | 100% | |||
5전 | 5승 | 100% | |||
9전 | 9승 | 100% | |||
9전 | 9승 | 100% | |||
13전 | 13승 | 100% | |||
17전 | 17승 | 100% | |||
40전 | 40승 | 100% | |||
41전 | 41승 | 100% |
4. 개인 기록
현역은 볼드체로 표시<rowcolor=#000>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최다 출전 | 파블로 마테라 | 플랭커 | 112회 | 2013~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아구스틴 크레비 | 후커 | 51회 | 2014~2018 | |
최다 트라이 | 호세 누녜스 피오세크 | 윙 | 29회 | 2001~2008 | 경기당 1.03개 |
최다 트라이 (경기당) | 구스타보 호르헤 | 윙 | 경기당 1.04개 | 1989~1994 | 총 24회 |
최다 득점 | 니콜라스 산체스 | 플라이하프 | 902점 | 2010~2023 | 경기당 8.67점 |
한 경기 최다 득점 | 에두아르도 모르간 | 윙 | 50점 | 1973.10.14 | vs 파라과이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호세 누녜스 피오세크 | 윙 | 9개 | 2003.4.27 | vs 파라과이 |
5. 유니폼
아르헨티나답게 흰 바탕에 파란 줄무늬가 그려진 상의와 양말, 흰 바지를 입는다(대신 축구 대표팀이 세로 줄이고 럭비 대표팀은 가로 줄이다). 교체 유니폼은 흰색일 때도 있었고 짙은 남색일 때도 있다.<rowcolor=#000> 연도 | 장비 제작 | 유니폼 스폰서 |
1978~1998 | - | |
1999~2000 | ||
2000~2003 | 토퍼[1] | |
2004~2011 | ||
2012~ |
6.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 | 아르헨티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cace4> 포지션 | 소속팀 | 이름 | 연령 | 출전 | 비고 | |
후커 (3) | | | 바우티스타 베르나스코니 Bautista Bernasconi | 23세 | 3회 | ||
| | 훌리안 몬토샤 Julián Montoya | 31세 | 108회 | 주장 | ||
| | 이그나시오 루이스 Ignacio Ruiz | 24세 | 17회 | |||
프롭 (6) | | | 나우엘 테타스 차파로 Nahuel Tetaz Chaparro | 36세 | 78회 | ||
| | 프란시스코 코리아 마르체티 Francisco Coria Marchetti | 24세 | 3회 | |||
| | 페드로 델가도 Pedro Delgado | 27세 | 4회 | |||
| | 호엘 스클라비 Joel Sclavi | 31세 | 27회 | |||
| | 마이코 비바스 Mayco Vivas | 27세 | 30회 | |||
| | 보리스 벵거 Boris Wenger | 23세 | - | |||
록 (4) | | | 프랑코 몰리나 Franco Molina | 27세 | 12회 | ||
| | 페드로 루비올로 Pedro Rubiolo | 22세 | 23회 | |||
| | 루카스 파울로스 Lucas Paulos | 27세 | 17회 | |||
| | 기도 페티 Guido Petti | 30세 | 89회 | |||
백 로우 (6) | | | 니콜라스 다모림 Boris Wenger | 24세 | 1회 | ||
| | 후안 마르틴 곤살레스 Juan Martín González | 24세 | 42회 | |||
| | 산티아고 그론도나 Santiago Grondona | 27세 | 21회 | |||
| | 마르코스 크레메르 Marcos Kremer | 28세 | 73회 | |||
| | 파블로 마테라 Pablo Matera | 32세 | 112회 | |||
| | 호아킨 오비에도 Joaquín Oviedo | 24세 | 12회 | |||
스크럼 하프 (3) | | | 시몬 베니테스 크루스 Simon Benitez Cruz | 25세 | 3회 | ||
| | 곤살로 가르시아 Gonzalo García | 26세 | 11회 | |||
| | 아구스틴 모샤노 Agustín Moyano | 24세 | 2회 | |||
플라이 하프 (2) | | | 토마스 알보르노스 Tomás Albornoz | 27세 | 17회 | ||
| | 헤로니모 프리스시안텔리 Gerónimo Prisciantelli | 25세 | - | |||
센터 (3) | | | 산티아고 초코바레스 Santiago Chocobares | 26세 | 27세 | ||
| | 루시오 신티 Lucio Cinti | 25세 | 33회 | |||
| | 후스토 피카르도 Justo Piccardo | 23세 | 3회 | |||
윙 (4) | | | 마테오 카레라스 Mateo Carreras | 25세 | 27회 | ||
| | 바우티스타 델구이 Bautista Delguy | 28세 | 33회 | |||
| | 로드리고 이스그로 Rodrigo Isgró | 26세 | 9회 | |||
| | 이그나시오 멘디 Ignacio Mendy | 25세 | 3회 | |||
풀백 (3) | | | 산티아고 카레라스 Santiago Carreras | 27세 | 55회 | ||
| | 벤하민 엘리살데 Benjamín Elizalde | 21세 | 3회 | |||
| | 후안 크루스 말리아 Juan Cruz Mallía | 28세 | 42회 | |||
2025 챔피언십 선수단 (8월 4일 기준) | |||||||
감독: 펠리페 콘테포미 (Felipe Contepomi) 홈 경기장: - | }}}}}}}}}}}} |
[1] 2018년 브라질에 매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