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3:34:54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nopad>
[[틀: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 [[틀: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스페인령 아메리카
america española
누에바에스파냐 부왕령 누에바그라나다 부왕령 페루 부왕령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스페인령 동인도
Indias orientales españolas
스페인령 필리핀 스페인령 미크로네시아 스페인령 괌 스페인령 포르모사
스페인령 마리아나 제도 스페인령 팔라우 스페인령 몰루카
스페인령 아프리카
áfrica española
플라사스 데 소베라니아 스페인령 모로코 스페인령 사하라 스페인령 기니
}}}}}}}}}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Virreinato del Río de la Plata
Viceroyalty of Rio de la Plata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식민지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국기
PLVS VLTRA
보다 더 멀리
<nopad> 파일:Virreinato_del_riodelaplata.png
1776 ~ 1814
성립 이전 멸망 이후
스페인령 페루 리오데라플라타 합중국
파라과이
볼리비아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치 아르헨티나, 볼리비아파라과이 일부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1776~1810)
몬테비데오 (1810~1814)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스페인 국왕
민족 스페인인, 잉카인 등의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스페인어
종교 로마 가톨릭
통화 스페인 레알
국가 국왕 행진곡
1. 개요2. 역사3. 경제

1. 개요

누에바에스파냐에서 떨어져 나가 새로 만들어진 부왕령으로 역대 부왕령 중 가장 늦게 만들어졌고(1776년) 그만큼 있던 시기도 짧았다.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의 영역은 오늘날의 아르헨티나, 북부 칠레,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의 영토를 포함하고 있다. 수도는 부에노스아이레스였다가 1810년 몬테비데오로 옮겼다. 1814년 해체되었다.

2. 역사

페루 부왕령이 관할하는 광대한 지역은 정부의 업무를 어렵게 만들었고 이는 그 영토를 분할한 강력한 이유였다. 이런 분할을 부채질 하는 것이 리우데자네이루의 포르투갈 총독인 마누엘 로보가 오늘 날 우루과이에 위치한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에 요새를 세우는 것이었다. 브라질이 우루과이 일대에 요새를 세우자 부에노스아이레스와 몬테비데오가 위협을 받을 것을 두려워했다. 거기에 영국의 사략선들이 베라크루스와 포르토벨로를 끊임없이 공격하자 대체 무역로를 만들 필요도 느꼈다. 그래서 비공식적인 밀수 경로인 부에노스아이레스로의 무역이 대안으로 떠올랐고, 1662년부터 코르도바에서 50% 세금을 부과하는 ‘건조관세’가 시행되었다. 1778년 카를로스 3세가 ‘자유무역규정’을 발표해 스페인과 식민지 간 13개, 25개 항구를 개방했고, 1795년에는 식민지 선박도 스페인 항구와 교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러한 개혁은 스페인과 식민지의 경제 권력과 무역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의 초기는 포르투갈과의 영토 분쟁과 군사적 충돌로 시작되었다. 스페인 국왕은 포르투갈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원정을 보내 리오 데 라 플라타 지역과 쿠요 지방의 영토를 군사적으로 통제하려 했다. 1777년 후안 데 세발로스 장군은 포르투갈군을 몰아내며 산타 카탈리나섬,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 몬테비데오 등 주요 거점을 점령했다. 그러나 같은 해 10월 체결된 산일데폰소 조약으로 스페인은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와 산 가브리엘 섬을 확보했지만, 산타 카탈리나섬과 일부 북쪽 영토를 포르투갈에 넘겨주게 되었다. 이후 1777년 10월 15일 세발로스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해 상업 자유화를 선언하며, 같은 해 10월 27일 스페인 왕은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을 공식적으로 영구 설치하여 이전의 임시적이고 예외적인 지위를 끝냈다. 이로써 부왕령은 군사적 특성을 벗어나 행정과 상업 중심의 체계적인 통치가 시작되었다.

19세기에 부에노스 아이레스는 점점 더 자급자족적이 되어 매년 약 60만 마리의 소를 키웠다. 그러나 영국 과의 전쟁은 해상 통신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지역 경제에 큰 좌절을 의미했다. 그래서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스페인 본국에 도움을 요청했지만 1805년, 스페인은 1795년 동맹 때문에 프랑스를 도와야 했고, 트라팔가 해전에서 영국에 해군을 잃었다. 그래서 스페인은 리오데플라타 부왕령을 도울 수가 없었다. 1806년 영국군 약 1,500명이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점령했으나, 현지 크리올 민병대의 반격으로 같은 해 12월 영국군은 퇴각했다. 1807년 영국군은 몬테비데오를 점령했으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공격에서는 큰 피해를 입고 결국 철수했다.
스페인 본국의 지원 부재와 영국군의 격퇴는 크리올들의 독립 의지를 강화시켰다. 결국 1810년 5월 25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5월 혁명이 일어나 시스네로스 총독을 폐위하고 스페인을 인정하지 않는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 그리고 이는 아르헨티나 독립 전쟁으로 이어졌다.

3. 경제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의 경제 중심은 주로 알토 페루(현재 볼리비아)에서 채굴된 은이었으며, 특히 포토시의 세로 리코 광산이 유명했다. 이 광물 자원은 부에노스아이레스로 이어지는 ‘카미노 레알’ 도로를 통한 육상 교통과 교역을 촉진했고, 이는 투쿠만과 멘도사 등지에서 당나귀, 말, 소를 이용한 수레 제작 산업을 발전시켰다. 은의 유럽 수출이 부왕령 경제의 핵심이었으나, 이 과정에는 종종 밀수와 아프리카에서 데려온 노예 무역이 연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