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0 14:20:37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navy> 파일:럭비유럽.png럭비 유럽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colbgcolor=#fff>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colbgcolor=#fff>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colbgcolor=#fff>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colbgcolor=#fff>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제명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제명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6개국)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 ||

<colcolor=#191919,#fff> 파일:식스 네이션스 럭비 로고.svg파일:식스 네이션스 럭비 로고(화이트).svg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스코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웨일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프랑스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png
파일: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nopad> 파일:2025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로고(가로).webp
}}}}}}}}} ||
파일: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로고.svg
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Italy national rugby union team
Nazionale di rugby a 15 dell'Italia
별칭 리 아주리 (Gli Azzurri)[1]
소속단체 이탈리아 럭비 연맹 (FIR)
감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곤살로 케사다 (Gonzalo Quesada)
주장 미켈레 라마로 (Michele Lamaro)
최다 출전 세르조 파리세 (Sergio Parisse)142회
최다 득점 디에고 도밍게스 (Diego Domínguez)983점
최다 트라이 마르첼로 쿠티타 (Marcello Cuttitta)26회
홈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Stadio Olimpico)
첫 국제경기 vs 스페인 (0:9)1929년 5월 20일
최대 승리 vs 체코 (104:8)1994년 5월 18일
최대 패배 vs 남아공 (0:101)1999년 6월 19일
럭비 월드컵 11회 진출
최고 조별리그
세계 랭킹 최고 8위(2024) / 최저 15위(2021)
역대 전적 565전 205승 15무 345패(36.3%)

1. 개요2. 역대 전적
2.1. 감독별 전적2.2. 주요 대회 성적2.3. 국가별 상대전적
3. 개인 기록4. 유니폼5. 선수단

1. 개요

이탈리아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이탈리아는 월드 럭비에 의해 1티어 국가로 분류되어 있으며, 여름/가을 테스트 매치 상대팀 선정도 1티어로 분류되어 배정받긴 하는데... 오랜 세월을 1티어의 끝자락 어딘가에 있는 어중간한 실력으로 상위 팀들에게 된통 깨지기만 한다. 한마디로 이탈리아 감독은 희망고문과 스트레스에 항시 노출된 극한직업. 이렇게 깨지고 다니느라 월드 럭비 랭킹조차 이탈리아보다 높은 위치에 2티어 국가들이 종종 올라갈 때가 있다. 1티어인데 영문 위키 문서 중 "1티어 국가에 승리한 경기 목록"이 있을 정도로 위치가 애매하다. 못할 때는 식스 네이션스 퇴출론까지 나오는데, 잘할 때는 미래가 기대된다고 박수 받는다.

욕 먹기와 박수 받기 태세 전환이 오졌던 해가 바로 2022년이다. 이탈리아는 2015년 식스 네이션스 이후 2022년까지 대회 36연패를 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마지막 경기 웨일스전을 프린시팔리티 스타디움에서 치렀는데, 15:21로 뒤지던 상황을 후반 38분 앙주 카푸오조의 환상적인 돌파와 공을 이어받은 에도아르도 파도바니가 트라이를 성공했고, 파올로 가르비시가 컨버전 킥까지 성공하며 22:21로 극적인 역전승을 거둠과 동시에 대회 36연패를 끊어냈다. 이 장면은 2022년 럭비 유니언에서 가장 극적인 순간 중 하나로 거론된다. 당시 이탈리아 해설 1분부터 보면 된다. 한술 더 떠서 같은 해 U-20 식스 네이션스에서 잉글랜드를 6: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하여 엄청난 기대를 받았...는데 7월 투어에서 티어2 국가로 불리는 조지아에게 패하며 온갖 욕을 대차게 먹었고 조지아를 식스 네이션스로!! 라는 댓글이 소셜미디어에 폭풍같이 달렸다.[2] 그러던 와중 동년 11월 가을 투어에서 전통적인 강호 호주를 처음으로 꺾으며 엄청나게 성장했다, 그 다음 경기 남아공전은 졌지만 잘 싸웠다 소리를 들었다.(FC 코리아 전세계 버전)

여기까지가 2024년 이전의 여론이었다. 키어런 크롤리가 쌓아둔 유산을 이어받은 신임 감독 곤살로 케사다는 데뷔전인 2024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에서 2승 1무 2패를 거두며 4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특히 프랑스와의 무승부는 사실상 이긴 것이나 다름없는 경기였다. 5라운드에서 웨일스를 시종일관 압도했으며 세계 랭킹도 2007년 이후 17년만에 8위에 올랐다. 빈말이 아니라 앞으로가 정말 정말 기대되는 팀. 이탈리아의 프로 구단 베네통 럭비도 우수한 자원을 바탕으로 성적이 점점 오르고 있기 때문에 좋은 지도자만 만난다면 전통의 강호들과도 해볼만 한 전력이 되었다.

2. 역대 전적

2025 여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출처

2.1. 감독별 전적

다른 팀들과 다르게 이탈리아는 1929년 첫 국제경기를 치를 시절부터 감독이 있었다.
||<tablebordercolor=#04b><rowbgcolor=#04b><rowcolor=#fff>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과거 승률이 높은 이유는 식스 네이션스 참가하기 전에 자기보다 약한 유럽 2티어 팀들을 상대해서 그렇다. 우등반에 배정됐는데 반에서 꼴등인 상황이라 감독직을 맡아 수치상의 성과를 내기 극도로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크롤리 감독 취임 후 2021년 호주를 잡아냈고, 바통을 이어받은 곤살로 케사다가 2024 식스 네이션스에서 스코틀랜드를 잡는 큰 성과를 올리고 있어서 더이상 약체는 아니게 되었다.

2.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04b>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3위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 3위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조별리그 조 3위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조별리그 조별리그 3전 전패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조별리그 조 3위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조별리그 조 3위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조별리그 조 3위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조별리그 조 3위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현재는 럭비 월드컵 조추첨 구조상 조 3위를 할 수밖에 없는 상태다. 조 2위를 하기엔 상위 2팀과의 격차가 너무 크고, 그렇다고 하위 2팀과의 격차도 적지 않다. 2015년에 일본이 그랬듯이 밴드 1,2 팀에게 극적으로 1승을 거둔다고 해도 8강 진출은 어려운 상황이지만 스포츠라는게 0%는 없어서, 8강 진출을 낙관하며 방심한 팀에게 지뢰가 될 수도 있는 법이다.

위치가 말 그대로 용의 꼬리인지라, 조별리그가 5팀 4개조로 정립된 2003 럭비 월드컵부터 2023 럭비 월드컵까지 모두 조3위, 2승 2패를 했다. 밴드 1과 2에게 된통 깨지고 4와 5에게 화풀이하는 식.[3]
식스 네이션스 (2000 ~ )
<rowcolor=#04b> 참가국 우승 그랜드 슬램 트리플 크라운 우든 스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7회 4회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7회 2회 5회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6회 4회 5회 3회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6회 3회 8회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4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8회
2000년부터 파이브 네이션스에 참가하며 대회명이 식스 네이션스가 되었다. 최약체이자 만년 꼴찌 후보로 25번의 대회에서 18번의 우든 스푼(꼴찌에게 주는 타이틀)을 받았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는 8년 연속 꼴찌를 했다. 간간이 1승을 따내는데, 2승을 따낸 해는 2007년에 스코틀랜드와 웨일스에 이겼을 때와 2013년 프랑스와 아일랜드에 이겼을 때, 그리고 2024년 스코틀랜드에 웨일스에 이겼을 때다. 참고로 2024년은 2승뿐만 아니라 1무까지 역대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대회 참가 이래 최초의 2연승에 성공한 것도 고무적.
개별 전적으로는 여태까지 스코틀랜드에 8승, 웨일스에 4승 1무, 프랑스에 2승 1무, 아일랜드에 1승을 한 것이 패배하지 않은 전부다. 잉글랜드는 아직 이겨본 적이 없다. 2024년에 전반전까지 앞서다가 24:27로 역전패한 것이 가장 승리에 근접한 결과.
일단 실력은 충분히 갖췄고, 운이 따라준다면 정말로 우승이 가능한 수준까지 올라왔다고 볼 수 있다. 항간에 떠돌던 이탈리아 퇴출론은 이제 완전히 종적을 감췄으며, 오히려 웨일스가 퇴출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4]

2.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fff>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32전 32패 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7전 17패 0%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1전 1패 0%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9전 1승 18패 5.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18전 1승 17패 5.6%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0전 3승 1무 46패 6%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38전 4승 34패 10.5%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34전 5승 1무 28패 14.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24전 5승 1무 18패 20.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38전 9승 29패 23.7%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4전 4승 1무 9패 28.6%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9전 3승 6패 33.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2전 6승 6패 5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44전 25승 3무 16패 56.8%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6전 4승 2패 66.7%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6전 4승 2패 66.7%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4전 3승 1패 75%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8전 6승 2패 7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0전 15승 1무 4패 75%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0전 8승 2패 8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0전 8승 2패 80%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13전 11승 1무 1패 84.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3전 11승 1무 1패 84.6%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7전 23승 1무 3패 85.2%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7전 6승 1패 85.7%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전 1승 10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전 1승 100%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전 2승 100%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2전 2승 100%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3전 3승 100%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3전 3승 100%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3전 3승 1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4전 4승 10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5전 5승 1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5전 5승 10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5전 5승 100%

3. 개인 기록

<rowcolor=#fff>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세르조 파리세 No.8 142회[5] 2002~2019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세르조 파리세 No.8 93회 2008~2019
최다 트라이 마르첼로 쿠티타 26회 1987~1999 경기당 0.47개[6]
최다 트라이 (경기당) 만리코 마르체토 경기당 0.53개 1972~1981 총 21회
최다 득점 디에고 도밍게스 플라이하프 983점[7] 1991~2003 경기당 13.28점
한 경기 최다 득점 디에고 도밍게스 플라이하프 29점 2001.11.10 vs 피지
한 경기 최다 트라이 피에르파올로 로틸리오 5개 1997.11.1 vs 덴마크

4. 유니폼

아주리라는 별명답게 파란 셔츠와 양말, 흰바지를 거의 고정으로 채용하고, 어웨이는 그 반대다. 종종 올 블루/올 화이트 디자인도 나오고, 이탈리아 삼색기를 상징하는 문양이나 줄을 그려넣기도 한다. 2023년엔 어웨이로 검은색과 흰색 조합을 채택했다. 링크
<rowcolor=#fff> 연도 장비 제작 유니폼 스폰서
1981~1989 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
1990~199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또
1993~1995 파일:영국 국기.svg 길버트
1996~1997 파일:미국 국기.svg 리복
1998 -
1999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튼 옥스포드
200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얼라이언스 유니켐
2000~200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파
2002~2006 파일:영국 국기.svg 재규어
2007~20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리파르마
2012~2017 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2017~20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크론
2018~202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톨리카 아시쿠라치오니
2021 파일:일본 국기.svg 스즈키
202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트판다
202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비토리아 아시쿠라치오니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Italian_Rugby_Federation_logo.svg.png이탈리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4b> 포지션 소속팀 이름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톰마소 디바르톨로메오
Tommaso Di Bartolomeo
-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RC 툴로네 로고.png 잔마르코 루케시
Gianmarco Lucchesi
29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프랑세 파리 로고.png 자코모 니코테라
Giacomo Nicotera
29회
프롭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시모네 페라리
Simone Ferrari
60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다닐로 피스케티
Danilo Fischetti
48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사라센스 FC 로고.svg 마르코 리초니
Marco Riccioni
31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루카 리촐리
Luca Rizzoli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조수에 칠로키
Giosuè Zilocchi
22회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마테오 카날리
Matteo Canali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니콜로 칸노네
Niccolò Cannone
48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리카르도 파브레토
Riccardo Favretto
4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할리퀸 FC 로고.png 디노 램
Dino Lamb
10회 잉글랜드 출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페데리코 루차
Federico Ruzza
60회
백 로우
(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로렌초 칸노네
Lorenzo Cannone
24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알레산드로 이제코르
Alessandro Izekor
6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미켈레 라마로
Michele Lamaro
44회 주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세바스티안 네그리
Sebastian Negri
59회 짐바브웨 출신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엑서터 치프스 로고.png 로스 빈센트
Ross Vintcent
10회 남아공인[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마누엘 출리아니
Manuel Zuliani
28회
스크럼
하프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알레산드로 가르비시
Alessandro Garbisi
14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리옹 OU 로고.png 마르탱 파주렐로
Martin Page-Relo
14회 프랑스인[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RC 반 로고.png 스티븐 바니
Stephen Varney
30회 웨일스 출신
플라이
하프

(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USA 페르피냥 로고.png 톰마소 알란
Tommaso Allan
82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RC 툴로네 로고.png 파올로 가르비시
Paolo Garbisi
42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레오나르도 마린
Leonardo Marin
13회
센터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줄리오 베르타치니
Giulio Bertaccini
1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이그나시오 브렉스
Ignacio Brex
42회 아르헨티나 출신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톰마소 메논첼로
Tommaso Menoncello
24회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마르코 차논
Marco Zanon
17회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시모네 제시
Simone Gesi
2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리옹 OU 로고.png 몬티 이오아니
Monty Ioane
36회 호주인[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제브레 파르마 2023.png 야코포 트룰라
Jacopo Trulla
12회
풀백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툴루쟁 로고.png 앙주 카푸오초
Ange Capuozzo
24회 프랑스인[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베네톤 럭비 로고.png 맷 갤러거
Matt Gallagher
2회 잉글랜드 출신
2025 식스 네이션스 선수단 (1월 15일 기준)
감독: 곤살로 케사다 (Gonzalo Quesada)
홈 경기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Stadio Olimpico)


[1]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2]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3] 출전 자격 : 이탈리아 거주[4]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
}}}}}}}}}}}}

[1] The Blues[2] 이때 웨일스가 스프링복스를 한 번 이겼는데, 몇몇 팬들이 월드컵 우승국 스프링복스를 이긴 웨일스를 이긴 이탈리아를 이긴 조지아는 세계 최강의 팀이다 라는 개드립을 날렸다. 그런데 웨일스도 11월에 조지아에게 졌다. 그것도 같은 장소에서...[3] 2019 럭비 월드컵은 뉴질랜드와의 경기가 태풍으로 취소되면서 무승부 처리, 2승 1무 1패로 대회를 마무리했지만 사실상 상대가 뉴질랜드였기에 패배라고 봐도 된다.[4] 이쪽은 농담이 아닌 것이, 정말로 조지아에게 추월당할 수 있는 상황이다.[5] 테스트 매치 역대 3위[6] 현역 중에선 10위 기록인 16개조차 넘은 사람이 없다.[7] 아르헨티나 대표팀에서 27점으로 개인 기록 총 1010점. 국제 경기에서 1000점 이상을 기록한 8명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