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90%, #ce1126 90%), linear-gradient(45deg, #002b7f 70% 87%, #ce1126 87%)"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 국가 · 국기 |
| 역사 | 역사 전반 · 통가 제국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오 레 아오 오 레 마로 | |
| 외교 | 외교 전반 · 태평양 공동체 · 사모아-통가 관계 · 미국-사모아 관계 | |
| 경제 | 경제 전반 · 사모아 탈라 | |
| 국방 | 사모아군 | |
| 교통 | 사모아 항공 · 팔레올로 국제공항 |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 · 사모아어 | |
| 인물 |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 ·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 |
| 지리 | 사모아 제도 | |
| 민족 | 사모아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오세아니아 럭비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 | <colbgcolor=#fff> 나우루 | | <colbgcolor=#fff> 누벨칼레도니프랑스 | | <colbgcolor=#fff> 뉴질랜드 | | <colbgcolor=#fff> 니우에 |
| | 미국령 사모아 | | 바누아투 | | 사모아 | | 솔로몬 제도 | |
| | 왈리스 푸투나프랑스 | | 쿡 제도 | | 키리바시 | | 타히티 | |
| | 통가 | | 투발루 | | 파푸아뉴기니 | | 피지 | |
| | 호주 | |||||||
|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4개국) | ** 프랑스 : 프랑스 럭비 연맹 산하 단체[1] | ||||||||
| | ||||||||
[1] 그러므로 월드 럭비에 가입할 수 없다
}}}}}}}}} ||| 퍼시픽 네이션스 컵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 |
| | | |
| | |
|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
| Samoa national rugby union team | |
| 별칭 | 마누 사모아 (Manu Samoa) |
| 소속단체 | 럭비 사모아 (SRU) |
| 감독 | |
| 주장 | 테오 맥팔랜드 (Theo McFarland) |
| 최다 출전 | 브라이언 리마 (Brian Lima)67회 |
| 최다 득점 | 투시 피시 (Tusi Pisi)245점 |
| 최다 트라이 | 브라이언 리마 (Brian Lima)29회 |
| 홈 경기장 | 아피아 파크 (Apia Park) |
| 첫 국제경기 | vs 피지 (0:6)1924년 8월 18일 |
| 최대 승리 | vs 파푸아뉴기니 (115:7)2009년 7월 11일 |
| 최대 패배 | vs 뉴질랜드 (14:101)2008년 9월 3일 |
| 럭비 월드컵 | 9회 진출 최고 8강(1991, 1995) |
| 세계 랭킹 | 최고 7위(2013) / 최저 17위(2019) |
| 역대 전적 | 277전 123승 10무 144패(44.4%) |
1. 개요
사모아의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다. 경기 시작 전 그들만의 춤 의식인 시바 타우(Siva Tau)를 선보인다.영상 다른 오세아니아 국가의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빠르고 경쾌하다.과거에는 상당한 강호였으나 시간이 지나고 프로화가 점점 자리잡으면서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사모아 자체의 하락이라기보단 타국이 더 빨리 발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설 자리가 줄어들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듯).
마지막 전성기였던 2010년대 초반엔 세계 랭킹 7위까지도 올라갔었고 호주, 웨일스를 잡는 모습을 보여줬으나 이젠 이탈리아도 버겁다. 2014년 이후 티어1 국가들을 상대로 승리한 바가 없다. 그마저도 2013년은 기량이 별로였던 스코틀랜드, 2014년은 이탈리아를 잡은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인구 25만의 가난한 섬에서 이런 성적을 내는 것 자체가 이미 대단한 것.
2017년 당시 사모아 총리 겸 사모아 럭비 유니언 회장은 연맹이 파산했음을 월드 럭비에 알렸다. 대표팀 인건비와 국제경기를 위해 지불할 돈조차 없다고 한다. 하지만 월드 럭비는 이를 반박하며 재정 지원을 거부했다. 그러나 2024 가을 럭비 유니언 국제 경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정말로 예산 부족을 사유로 투어 미실시를 월드 럭비에 통보했다.
이후로도 검증되지 않은 선수 출신 내국인 감독을 선임하는 등 올바르지 않은 행정으로 지속적으로 하락세에 빠지고 있다.
2. 역대 감독
과거 감독별 전적은 확인할 수 없다.| <rowcolor=#fff> 이름 | 기간 |
| <colbgcolor=#fff> | 1988~1995 |
| 1996~1999 | |
| 2000~2003 | |
| 2004~2007 | |
| 2008~2009 | |
| 2009~2011 | |
| 2011 | |
| 2012~2015 | |
| 2016~2017 | |
| 2017~2018 | |
| 2018~2020 | |
| 2020~2023 |
3. 역대 전적
2027 럭비 월드컵 남미/태평양 플레이오프 이후를 기준으로 함. 출처3.1. 주요 대회 성적
| 럭비 월드컵 | |||
| <rowcolor=#14a> 연도 | 개최국 | 최종 순위 | 비고 |
| <rowcolor=#000> 1987 | 미초청 | ||
| 1991 | 8강 | 8강전 vs 스코틀랜드(6:28) | |
| 1995 | 8강 | 8강전 vs 남아공(14:42) | |
| 1999 | 조별리그 | 8강 플레이오프 vs 스코틀랜드(20:35) | |
| 2003 | 조별리그 | 조 3위[1] | |
| 2007 | 조별리그 | 조 4위 | |
| 2011 | 조별리그 | 조 3위 | |
| 2015 | 조별리그 | 조 4위 | |
| 2019 | 조별리그 | 조 4위 | |
| 2023 | 조별리그 | 조 4위 | |
| <rowcolor=#fff> 퍼시픽 트라이 네이션스 (1982 ~ 2005) | ||
| <rowcolor=#14a> 주요 참가국 | 우승 | |
| 11회 | ||
| 9회 | ||
| 3회 | ||
| <rowcolor=#fff>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06 ~ 2022) | ||
| <rowcolor=#14a> 주요 참가국 | 우승 | 준우승 |
| 5회 | 5회 | |
| 4회[2] | 3회 | |
| 3회[3] | ||
| 3회 | ||
| <rowcolor=#fff> 퍼시픽 네이션스 컵 (2024 ~) | ||
| <rowcolor=#14a> 주요 참가국 | 우승 | 준우승 |
| 2회 | ||
| 2회 | ||
3.2. 국가별 상대전적
| <rowcolor=#fff> 상대국 | 총전적 | 승 | 무 | 패 | 승률 |
| 9전 | 9패 | 0% | |||
| 9전 | 9패 | 0% | |||
| 7전 | 7패 | 0% | |||
| 4전 | 4패 | 0% | |||
| 13전 | 1승 | 1무 | 11패 | 7.7% | |
| 8전 | 1승 | 7패 | 12.5% | ||
| 6전 | 1승 | 5패 | 16.7% | ||
| 3전 | 1승 | 2패 | 33.3% | ||
| 6전 | 2승 | 1무 | 3패 | 33.3% | |
| 3전 | 1승 | 1무 | 1패 | 33.3% | |
| 57전 | 21승 | 3무 | 33패 | 36.8% | |
| 10전 | 4승 | 6패 | 40% | ||
| 71전 | 39승 | 4무 | 28패 | 54.9% | |
| 5전 | 3승 | 2패 | 60% | ||
| 9전 | 6승 | 3패 | 66.7% | ||
| 19전 | 12승 | 7패 | 63.2% | ||
| 9전 | 6승 | 3패 | 66.7% | ||
| 6전 | 6승 | 100% | |||
| 3전 | 3승 | 100% | |||
| 3전 | 3승 | 100% | |||
| 2전 | 2승 | 100% | |||
| 2전 | 2승 | 100% | |||
| 2전 | 2승 | 100% | |||
| 1전 | 1승 | 100% | |||
| 1전 | 1승 | 100% | |||
| 1전 | 1승 | 100% | |||
| 1전 | 1승 | 100% | |||
| 1전 | 1승 | 100% | |||
| 1전 | 1승 | 100% |
4. 개인 기록
| <rowcolor=#fff> 타이틀 | 이름 | 포지션 | 기록 | 기간/시점 | 비고 |
| 최다 출전 | 브라이언 리마 | 윙 | 65회 | 1991~2007 | |
|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 세모 시티티 | 플랭커 | 39회 | 2000~2007 | |
| 최다 트라이 | 브라이언 리마 | 윙 | 29회 | 1991~2007 | 경기당 0.44개 |
| 최다 트라이 (경기당) | 아파토 소알로 | 윙 | 경기당 0.89개 | 1996~2001 | 총 16회 |
| 최다 득점 | 투시 피시 | 플라이하프 | 245점 | 2011~2019 | 경기당 5.83점 |
| 한 경기 최다 득점 | 개빈 윌리엄스 | 센터 | 30점 | 2009.7.1 | vs 파푸아뉴기니 |
| 한 경기 최다 트라이 | 로버트 릴로마이아바 | 윙 | 4개 | 2012.11.9 | vs 캐나다 |
5. 유니폼
사모아도 파란색을 애용한다. 파란 셔츠와 양말, 흰 바지를 주로 입으며 어웨이는 반대다. 민무늬일 때도 있었고 요즘은 열대수 잎 무늬를 넣는다. 색상이 시즌에 따라 달라지는데, 짙을 땐 남색이고 옅을 땐 평범한 파란색 정도다.| <rowcolor=#fff> 연도 | 장비 제작 | 유니폼 스폰서 |
| 1986~1988 | - | |
| 1988~1992 | ||
| 1992~1994 | ||
| 1994~1996 | 바일리마 | |
| 1996~1998 | ||
| 1988 | 뉴콜 | |
| 1999 | ||
| 1999~2003 | - | |
| 2004~2005 | ||
| 2005~2009 | 사모아 국제금융 | |
| 2010~2011 | ||
| 2012~2013 | ||
| 2014~2015 | ||
| 2015 | ||
| 2016 | 블루스카이 커뮤니케이션스 | |
| 2016~2017 | ||
| 2017 | 인베스트 사모아 매그넘 하이어(앞), 헨더슨 자동차(뒤) | |
| 2018~2021 | 그레이 인베스트먼트 | |
| 2021 | 다이내스티 스포츠 | - |
| 2021~2022 | 그레이 인베스트먼트 | |
| 2022 | 아라미스 럭비(앞), 사모아 IBFC(뒤) |
6. 선수단
국가의 인문지리적 특성상 거의 모든 선수가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선수가 사모아계 뉴질랜드인이다.|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 | 사모아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14a> 포지션 | 소속팀 | 이름 | 연령 | 출전 | 비고 | |
| 후커 (3) | | | 사마 말롤로 Sama Malolo | 27세 | 13회 | 뉴질랜드 출신 | |
| | | 밀스 사네리비 Mills Sanerivi | 26세 | - | 뉴질랜드 출신 | ||
| | | 루테루 톨라이 Luteru Tolai | 27세 | 10회 | 뉴질랜드 출신 | ||
| 프롭 (5) | | 섭어브스 RC | 자레스 애덤스 Jarred Adams | 29세 | 5회 | 뉴질랜드 출신 | |
| | | 마이클 알라알라토아 Michael Alaalatoa | 34세 | 24회 | 호주 출신 | ||
| | | 티티 라모시텔레 Titi Lamositele | 30세 | 1회 | 미국 출신[1] | ||
| | | 스콧 시오 Scott Sio | 34세 | - | 호주 출신[2] | ||
| | | 티에티에 투이마웅아 Tietie Tuimauga | 32세 | 7회 | |||
| 록 (3) | | | 마이클 커리 Michael Curry | 31세 | 14회 | ||
| | | 테오 맥팔랜드 Theo McFarland | 30세 | 21회 | 주장 | ||
| | | 벤 니니 Ben Nee-Nee | 32세 | 15회 | 뉴질랜드 출신 | ||
| 백 로우 (6) | | | 미라클 파이일랑이 Miracle Faiʻilagi | 26세 | 4회 | ||
| | 와이테마타 RFSC | 니코 존스 Niko Jones | 25세 | 1회 | |||
| | | 이아코포 마푸 Iakopo Mapu | 28세 | 12회 | |||
| | | 알라만다 모퉁아 Alamanda Motuga | 31세 | 11회 | 뉴질랜드 출신 | ||
| | | 에이브러햄 파팔리이 Abraham Papali'i | 32세 | 3회 | 뉴질랜드 출신 | ||
| | | 탈레니 세우 Taleni Seu | 31세 | 13회 | 뉴질랜드 출신 | ||
| 스크럼 하프 (3) | | 번사이드 RC | 조엘 람 Joel Lam | 23세 | 3회 | 호주 출신 | |
| | | 조나단 타우마테이네 Jonathan Taumateine | 29세 | 16회 | 뉴질랜드 출신 | ||
| 무소속 | 코너 투파이 Connor Tupai | 25세 | 5회 | 뉴질랜드 출신 | |||
| 플라이 하프 (2) | | | 로드니 이오나 Rodney Iona | 34세 | 15회 | 호주 출신 | |
| | | 제이콥 우망아 Jacob Umaga | 27세 | 1회 | 잉글랜드 출신[3] | ||
| 센터 (4) | | | 랄로밀로 랄로밀로 Lalomilo Lalomilo | 26세 | 4회 | 뉴질랜드 출신 | |
| | | 투무아 마누 Tumua Manu | 32세 | 11회 | |||
| | 카필라노 RFC | 멜라니 나나이 Melani Nanai | 32세 | 7회 | |||
| | | 팔레토이 페니 Faletoi Peni | 25세 | - | |||
| 윙 (3) | | RC 쉬레네 오드센 | 바아 아펠루 말리코 Va'a Apelu Maliko | 27세 | - | ||
| | 웨스턴시드니 투 블루스 | 래트럴 스마일러아키옹 Latrell Smiler-Ah Kiong | 3회 | ||||
| | | 투나 투이타마 Tuna Tuitama | 25세 | 8회 | 뉴질랜드 출신 | ||
| 풀백 | | | 던컨 파이아아우아 Duncan Paia'aua | 30세 | 13회 | 뉴질랜드 출신 | |
| 2027 럭비 월드컵 최종 예선 선수단 (10월 31일 기준) | |||||||
| 감독: 홈 경기장: 아피아 파크 (Apia Park)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