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보은 속리 정이품송 報恩 俗離 正二品松 Songni Jeongipumsong Pine Tree, Boeun | |
소재지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 17-3번지 |
소유자 | 충청북도 외 |
관리자 | 보은군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민속 |
수량/면적 | 1주 |
지정연도 | 1962-12-07 |
|
|
|
가지 절반이 잘려나가기 이전의 모습 |
1. 개요
報恩 俗離 正二品松.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상판리에 있는 수령 600~700년의 소나무. 1962년 천연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세조가 얽힌 전설이 있어 대중들에게는 한국의 천연기념물 중에서 가장 유명한 편이다.2. 상세
높이 15 m, 가슴 높이 둘레 4.5 m, 가지 길이 동쪽 10.3 m, 서쪽 9.6 m, 남쪽 9.1 m, 북쪽 10 m이다. 삿갓이나 우산을 편 버섯 모양으로 가지가 자라 아름답고 웅장한 모습이었지만, 1993년 강풍으로 서쪽 가지가 부러져서 생기를 잃었다.[1]생물학적 가치도 높다. 그도 그럴 것이 동아시아에서 소나무는 건축 자재,[2] 땔감, 송진 등 쓸모가 많아 오래된 나무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수백여 년 동안 왕실과 정부에게 보호를 받아온 이 소나무는 한반도의 고중세 생물유전자원으로서 가치가 아주 높다. 또한, 세조가 얽힌 일화를 간직하여 역사적 스토리텔링 자료 및 관광자료로서 가치도 높이 평가받는다.
정이품송으로부터 7km 정도 거리에 천연기념물 제352호로 지정된 보은 서원리 소나무가 있는데, 수령도 600년 정도로 비슷하고 규모도 비슷해서 오랫동안 주민들로부터 부부나무로 여겨졌다. 또한 정이품송이 곧게 자란 반면에 서원리 소나무는 넓고 낮게 퍼져있는 모습이 여성적이라 정부인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우 유명한 나무라, 태풍이나 대설에 이 나무가 손상된다면 금방 뉴스가 나온다. 다만 이런 유명세 탓에 다른 천연기념물이 크게 훼손되었다는 기사보다 이 나무의 가지가 부러졌다는 소식이 더 크게 보도되는 부작용이 있다. 예를 들어 카눈으로 인해 여러 천연기념물이 훼손되었을 때, 줄기가 크게 찢어져 쓰러진 구미 독동리 반송보다도 정이품송의 가지 두 개 부러졌다는 소식이 더 크게 보도됐다.
2023년 8월 10일 태풍 카눈으로 인해 정이품송의 가지 2개가 부러졌다.조선일보
2.1. 세조와 얽힌 일화
세조가 재위 10년(1464) 속리산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있던 가마가 소나무 아랫가지에 걸릴까 염려하여 연(輦)이 걸린다고 말하자 소나무가 스스로 가지를 번쩍 들어올려 어가(御駕)를 무사히 지나가도록 했다고 한다. 이런 연유로 세조는 이 소나무에 정2품 벼슬을 내렸다고 한다. 이후 조선 왕조 내내 왕실의 보호를 받았다.세조가 부정적으로 재평가받는 현대에는 세조가 자신의 쿠데타를 정당화하기 위해 프로파간다의 일환으로 정이품송 설화같이 자신과 관련된 긍정적인 설화를 퍼뜨렸을 가능성을 이야기하는 이들도 있다.[3] 그리하여 정이품송의 명성도 어느 정도 빛이 바랬고, 역사적 스토리텔링 자료 및 관광자료로서의 가치 또한 교차검증을 위한 가치로 격하된 감이 있다. 그에 따라 정이품송보다는 차라리 단종의 능인 장릉에 있는 충절송과 정령송이 역사적으로 훨씬 가치 있는 소나무라는 인식도 생겼다.[4] 다만 충절송은 단종 당대에 심어진 나무는 아니라는 평이 대세다. 실제 보면 정이품송보다 훨씬 작은, 수령이 별로 안 되는 나무다. 즉 최근에 심어진 나무인데다 인지도도 너무 낮아서 역사적 가치까지 둘 수 있을진 의문.
또한 프로파간다설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세조가 이 나무를 자신의 프로파간다 용으로 이용하였다 라는 것은 역사적 사실이 되기 때문에 이 나무의 역사적 가치가 사라지는 건 아니다.
3. 외부 링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두산백과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한국어 위키백과 : 정이품송
- 시사상식사전 : 정이품송
- 한국민속문학사전 설화 편 : 보은속리정이품송
- 대한민국 구석구석 : 보은 속리 정이품송
- 답사여행의 길잡이 : 속리의 정이품송
4.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103호
속리산 법주사로 가는 길 한가운데 서 있는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이가 약 600살 정도로 추정되는 소나무로, 높이 14.5m, 가슴높이 둘레 4.77m이다.
이 소나무가 정이품송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세조 10년(1464)에 왕이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있던 가마가 이 소나무 아래를 지나게 되었는데, 가지가 아래로 처져 있어 가마가 가지에 걸리게 되었다. 이에 세조가 "가마가 걸린다"고 말하니 소나무가 자신의 가지를 위로 들어 왕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하였다고 한다. 또 세조가 이곳을 지나다가 이 나무 아래에서 비를 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리하여 세조는 이 소나무의 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정이품(현재의 장관급) 벼슬을 내렸고, 그래서 이 소나무를 정이품 소나무라 부르게 되었다.
이 소나무는 살아오는 동안 각종 재해를 입었는데, 특히 1980년대 초 솔잎혹파리의 피해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 대규모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 소나무는 원래 삿갓 또는 우산을 편 모양으로 단정하고 아름다운 모습이었는데, 1993년 강풍으로 서쪽 큰 가지가 부러져 그 모습이 많이 상하였다.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무의 모양이 매우 아름다우며, 크고 오래된 나무이어서 생물학 및 생물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고, 임금에게 섬기는 그 시대상을 잘 전해주는 전설을 가지고 있는 등 문화적인 가치 또한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 소나무가 정이품송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세조 10년(1464)에 왕이 법주사로 행차할 때 타고 있던 가마가 이 소나무 아래를 지나게 되었는데, 가지가 아래로 처져 있어 가마가 가지에 걸리게 되었다. 이에 세조가 "가마가 걸린다"고 말하니 소나무가 자신의 가지를 위로 들어 왕이 무사히 지나가도록 하였다고 한다. 또 세조가 이곳을 지나다가 이 나무 아래에서 비를 피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리하여 세조는 이 소나무의 충정을 기리기 위하여 정이품(현재의 장관급) 벼슬을 내렸고, 그래서 이 소나무를 정이품 소나무라 부르게 되었다.
이 소나무는 살아오는 동안 각종 재해를 입었는데, 특히 1980년대 초 솔잎혹파리의 피해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 대규모 방충망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 소나무는 원래 삿갓 또는 우산을 편 모양으로 단정하고 아름다운 모습이었는데, 1993년 강풍으로 서쪽 큰 가지가 부러져 그 모습이 많이 상하였다.
속리의 정이품송은 나무의 모양이 매우 아름다우며, 크고 오래된 나무이어서 생물학 및 생물유전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고, 임금에게 섬기는 그 시대상을 잘 전해주는 전설을 가지고 있는 등 문화적인 가치 또한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4.1. 안내판 문구
보은 속리 정이품송은 높이 16.5m, 가슴 높이의 줄기 둘레는 5.3m이며, 수령은 약 600년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보기 드물게 모양이 아름답고 큰 소나무이다. 이 소나무에는 얽힌 이야기가 있다. 조선 세조가 속리산 법주사로 행차할 때 임금이 타고 있던 가마(연)가 이 소나무 아랫부분 가지에 걸리게 되어 임금이 "나뭇가지에 연이 걸린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그러자 이 소나무는 스스로 가지를 위로 들어 올려 임금의 가마가 무사히 지나가도록 했다고 한다. 이를 기특하게 여긴 세조가 그 자리에서 지금의 장관급에 해당하는 정 2품의 벼슬을 이 소나무에 내렸다. 이때부터 이 소나무는 <연 걸이 소나무> 또는 <정이품송>으로 불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5. 기타
| | |
보은군의 마스코트 정이, 송이 | 청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대한민국 기본료 160원 시기 보통우표 |
- 손상 이전의 삿갓모양 외형이 상당히 상징적이라 여러 마스코트나 스탬프, 우표 등에 활용되기도 했다.
- 매우 유명하고, 나무 자체도 노쇠해서 언제 죽을지 모르는 만큼 후계목 양성 사업이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나무다. 2000년대 초반에 정부인송과의 사이에서 후계목 양성 사업이 이뤄졌으나 두 나무 모두 노거수인만큼 결과가 그렇게 좋지는 않았던 듯하며, 그후 삼척 준경묘의 금강소나무 중 가장 빼어난 미인송과의 사이에서 이뤄진 후계목 양성 사업은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정실인 정부인송과의 사이에서 아이를 보지 않았다는 마을 주민들의 원성이 있기도 했고,[5] 2001년에 산림청 주도하에 미인송과 정이품송의 혼례식을 거하게 치러 빈축을 사기도 했다. 현재 정이품송의 후계목은 잘 자라고 있지만, 2024년 8월 후계목을 상품화하고 분양시키는 계획이 추진중이라는 상황이 드러나자 상당한 반발에 부딪혔다.# 그러나 2025년 해당 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계약했던 신한카드의 부서가 실적 부진으로 폐지되며 해당 계획도 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