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1.#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1.#76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진도 고니류 도래지
1.#126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강진 백련사 동백나무 숲
1.#176 부산 범어사 등나무군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백조(고니, 큰고니, 혹고니)
1.#226 삼척 초당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창덕궁 다래나무
1.#2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1.#326 검은머리물떼새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속초 설악동 소나무
1.#376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청송 홍원리 개오동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검은목두루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군산 말도 습곡구조
1.#526 제주 사계리 용머리 화산쇄설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호~567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당진 면천 은행나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 群山 下梯 팽나무 | |
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서면 선연리 산 205 |
소유자 | 기*** |
관리자 | 군*** |
분류 |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수량/면적 | 1주 |
지정연도 | 2024-10-31 |
|
1. 개요
팽나무 하제를 품고 서다! |
2. 상세
수고 20m, 흉고둘레 7.5m, 수령은 2020년 기준 537년(±50)으로 추정되는 팽나무다. 생장추로 나이가 측정된 팽나무 중 가장 오래된 나무라고 한다. 나무 주변의 하제마을은 원래는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의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와 연결된 항구마을이었으며 갯벌이 발달해 조개잡이로 큰 성황을 이뤘다. 그러나 새만금 방조제가 지어지며 하제마을 주변의 갯벌이 사라지고 수위가 낮아지며 어업이 쇠퇴했다. 또한 하제마을 바로 근처에 군산 미군기지가 자리잡으며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주민들이 강제이주되며 사라졌다.2004년에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에 군산 미군기지 탄약고의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국방부가 하제마을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켰을 때도 팽나무는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국방부가 팽나무 주변 땅을 미군기지에 공여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베어질 위기에 처했으며, 오랫동안 당산제를 지낸 신성한 나무가 사라지도록 둘 수는 없다는 마을 주민들의 반발이 일어나 서명운동이 벌어졌다. 다만 조사 결과 팽나무과 위치한 땅은 기획재정부 소유라 함부로 베어질 우려는 없었지만, 나무의 가치는 인정받아 2021년에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48호로 지정되었다.#
2024년 10월 31일에 부여 석성동헌 탱자나무와 함께 천연기념물로 승격되었다.[1] 일반적으로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지정명칭은 나무만의 특별한 이름이 있는 경우[2]가 아니거나, 나무의 위치가 절이나 관청[3]인 경우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군/시 + 리/동 + 나무종류의 순서로 명칭이 정해지는데, 이 나무는 군산 선연리 팽나무가 아닌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로 정해졌다. 이는 국가유산청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이 나무와 하제마을 사이의 관계를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3. 천연기념물
「군산 하제마을 팽나무」는 생장추로 수령을 측정한 팽나무 중 가장 나이가 많은 537(±50)살(2020년 기준)이며, 나무높이가 건물 5층 높이인 20m, 가슴높이둘레 7.5m로 규모도 크다. 나무 밑둥 3m 높이에서 남북으로 넓고 균형있게 가지가 퍼져 수형이 아름다우며 생육상태도 우수하다.
* 생장추: 나무의 나이, 즉 나이테를 측정하는 기기로, 목편(나무를 잘게 쪼갠 조각)을 빼낸 뒤 목편에 나타난 나이테 수를 세어 수령을 측정할 수 있음
팽나무가 위치한 군산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되며 급격히 변화한 곳이다. 마을에 항구가 생기고 기차가 들어서며 번성하던 모습부터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며 사라져간 지금까지 지난 500여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마을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지켜보며 하제마을을 굳건히 지켜온 소중한 자연유산이다.
* 생장추: 나무의 나이, 즉 나이테를 측정하는 기기로, 목편(나무를 잘게 쪼갠 조각)을 빼낸 뒤 목편에 나타난 나이테 수를 세어 수령을 측정할 수 있음
팽나무가 위치한 군산 하제마을은 원래 섬이었으나 1900년대 초 간척사업을 통해 육지화되며 급격히 변화한 곳이다. 마을에 항구가 생기고 기차가 들어서며 번성하던 모습부터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떠나며 사라져간 지금까지 지난 500여 년이 넘는 시간 동안 마을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지켜보며 하제마을을 굳건히 지켜온 소중한 자연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