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0 카와세 히카루 · 4 지터 다운스 · 5 야마카와 호타카 · 6 이마미야 겐타 · 8 마키하라 타이세이 · 23 슈토 우쿄 · 24 쿠리하라 료야 · 25 쇼지 유다이 · 33 히로세 류타 · 36 이히네 이츠아 · 43 이노우에 토모야 · 46 우노 신지로 · 52 리처드 스나가와 · 67 이시미 소마 · 99 노무라 이사미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쿠리하라 료야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쿠리하라 료야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 시리즈 우승반지 | ||
2019 | 2020 |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
2021 |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 |
2024 |
2024년 퍼시픽리그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2021~2025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2021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타카하시 유키 요미우리 / 투수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내야수 | 로베르트 수아레스 한신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외야수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외야수 | 티아고 비에이라 요미우리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2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요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애런 윌커슨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니시 유키 한신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이마나가 쇼타 DeNA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주니치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3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내야수 | 오타케 코타로 한신 / 투수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 외야수 |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야마사키 이오리 요미우리 / 투수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 외야수 |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4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라이델 마르티네스 주니치 / 투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내야수 |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내야수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내야수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투수 사노 케이타 DeNA / 외야수 |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치카모토 코지 한신 / 외야수 | 요시무라 코지로 야쿠르트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5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2021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투수 레오니스 마틴 롯데 / 외야수 | 닉 마르티네스 소프트뱅크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후지와라 쿄타 롯데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22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사사키 로키 롯데 / 투수 니시카와 하루키 라쿠텐 / 외야수 | 우와사와 나오유키 닛폰햄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23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사사키 로키 롯데 / 투수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내야수 | 카토 타카유키 닛폰햄 / 투수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 외야수 | 야마사키 사치야 오릭스 / 투수 톤구 유마 오릭스 / 포수 | 이마이 타츠야 세이부 / 투수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내야수 |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24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타케우치 나츠키 세이부 / 투수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내야수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투수 타카베 아키토 롯데 / 외야수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투수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내야수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투수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5 시즌 | ||||||
<rowcolor=#ffffff>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
2024 퍼시픽리그 3루수 부문 베스트 나인 |
쿠리하라 료야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1번 | ||||||||||||||||||||||||||||||||||||
후쿠다 슈헤이 (2014) | → | 쿠리하라 료야 (2015~2021) | → | 마사키 토모야 (2022~)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24번 | |||||||||||||||||||||||||||||||||||||
하세가와 유야 (2012~2021) | → | 쿠리하라 료야 (2022~) | → | 현역 |
}}} ||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24[1] C ''' | |
쿠리하라 료야 [ruby(栗原, ruby=くりはら)] [ruby(陵矢, ruby=りょうや)] | Ryoya Kurihara | |
출생 | 1996년 7월 4일 ([age(1996-07-04)]세) |
후쿠이현 후쿠이시 | |
국적 |
|
학력 | 후쿠이 현립 하루에공업고등학교 |
신체 | 179cm | 83kg | A형 |
포지션[2] | 3루수, 외야수, 1루수, 포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14년 드래프트 2라운드 (소프트뱅크) |
소속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5~) |
국가대표 |
|
등장곡 | ジャパニーズマゲニーズ - 〈最後の一本(feat.J-REXXX)〉 |
응원가 | 응원단 자작곡[3] |
연봉 | 2025 / ¥150,000,000 |
|
1. 개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의 내야수이자,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주장이기도 하다. 2020년 일본시리즈 MVP를 수상했다.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
초등학교 1학년부터 야구를 시작했으며 중학교 시절엔 일본 대표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고등학교 진학 이후 1학년 봄부터 주전 포수로 기용되었고 그해 가을에는 4번타자 자리까지 꿰찼다. 고등학교 2학년때는 선발 고교야구 대회에 출전하기도 했다. 고교 통산 26개의 홈런을 때려냈으며 고등학교 3학년이던 가을에 U18 대표팀에 선출되어 주전 포수 겸 주장을 맡았다.
2014년에 열린 드래프트 회의에서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2순위 지명을 받고 계약금 6000만 엔, 연봉 700만 엔의 계약조건으로 입단에 합의했다.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입단 후 첫 2시즌 동안 2군에서만 담금질을 거듭하다 2017년에 처음으로 1군으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단 3경기만 나온 채 그대로 시즌을 마감했으며 2018년에도 데뷔 첫 안타를 치긴 했지만 11경기 출전에 그쳤다.
2019년엔 포수뿐만 아니라 외야수에도 도전하며 출전기회를 조금씩 늘렸고, 최종적으로는 32경기에 출전해 타율 .231 1홈런 7타점을 기록했다.
2020년부터는 1루수와 외야수 위주로 출전하게 되었다. 지난 해까지 주전 1루수를 보던 노장 우치카와 세이이치가 팀의 기용 방침으로 인해 2군에서 올라오지 못하고 2019년부터 컨택에 심각한 결함이 생긴 우에바야시 세이지가 극심한 타격 부진을 보이면서 주전 자리를 확보했고, 118경기에 출전해 첫 규정타석과 함께 타율 .243/OPS .727 17홈런 73타점을 기록하며 타율은 낮았지만 나쁘지 않은 장타력을 보여주면서 팀의 3년 만의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직후 개최된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선 5타수 무안타에 머물렀지만 일본시리즈에서 타율 .500, 1홈런 4타점의 맹타를 휘두르며 팀의 4년 연속 시리즈 제패와 함께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4전 전승 및 스코어 26:4로 압살하는 데 큰 역할을 했고 그 공로로 일본시리즈 MVP를 수상했다.
다음 해인 2021년에는 커리어 첫 전 경기 출장(143경기)에 타율 .275/OPS .804 21홈런 77타점을 기록하면서 팀에서 야나기타 유키 다음 가는 타격 성적으로 작년보다 더 성장한 모습을 보여줬고, 2020 도쿄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되며 일본의 금메달 획득에 공헌했다. 그러나 쿠리하라의 활약에도 소프트뱅크는 시즌 내내 페이스가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이다 결국 10월에 추락해 4위에 그치면서 5년 연속 우승이 무산되었다.
2022년에도 작년과 비슷한 모습으로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으나, 3월 30일 치바 롯데 마린즈 전에서 좌익수 수비를 보던 중 좌중간 쪽 타구를 잡으려다 중견수를 보던 우에바야시 세이지와 충돌해 왼쪽 무릎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고 외측반월판까지 손상되는 큰 부상을 당하며 시즌아웃을 당하고 말았다.
부상에서 돌아온 2023년엔 메인 포지션을 3루수로 바꾸게 되었다. 시즌 초반엔 타점 1위에 오를 만큼 승부처에서 좋은 타격감을 뽐냈지만 이후 점차 타격 성적이 하락하다 7월 30일에 왼쪽 무릎 지방체 염증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고, 8월 16일에 다시 복귀했으나 일주일 후인 8월 23일에 타격 도중 손등뼈 골절을 당하는 바람에 또 다시 수술을 받게 되면서 2년 연속으로 부상으로 시즌아웃되는 아쉬운 한 해가 되었다. 최종 성적은 96시합 타율 .239/OPS .690 13홈런 49타점.
2024년엔 2021년에 버금가는 성적을 기록하며 부활에 성공했다. 시즌 초반엔 타격 페이스가 지지부진했으나 5월부터 점차 성적을 끌어 올리면서 3번 타자로 준수한 타격감을 뽐내며 타율 .273/OPS .807 20홈런 87타점이라는 훌륭한 성적으로 팀의 4년 만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고 개인 첫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까지 수상했다.
2.3. 국가대표 경력
2.3.1. 2020 도쿄 올림픽
|
| ||||||||||||||
<rowcolor=#d9bb46>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00 | .000 | .000 |
대표팀에서 백업 선수로 활약하면서 1경기 밖에 출전하지 못했다. 다만 일본 대표팀이 결승전에서 미국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면서 금메달 획득에 성공했다.
2.3.2. 2024 WBSC 프리미어 12
| ||||||||||||||
<rowcolor=#d9bb46> 경기 | 타수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볼넷 | 삼진 | 도루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7 | 23 | 6 | 2 | 0 | 0 | 4 | 5 | 6 | 5 | 1 | .261 | .438 | .348 | .786 |
3. 연도별 성적
- 볼드체는 1위 입상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출장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RC+ |
2015 | 소프트뱅크 | 1군 기록 없음 | ||||||||||||||||
2016 | ||||||||||||||||||
2017 | 3 | 3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000 | .000 | .000 | -132 | |
2018 | 11 | 9 | 1 | 0 | 0 | 0 | 0 | 0 | 0 | 0 | 0 | 4 | .111 | .111 | .111 | .222 | -60 | |
2019 | 32 | 45 | 9 | 0 | 1 | 1 | 4 | 7 | 0 | 3 | 2 | 10 | .231 | .311 | .359 | .670 | 82 | |
2020 | 118 | 500 | 107 | 21 | 3 | 17 | 52 | 73 | 5 | 38 | 5 | 90 | .243 | .307 | .420 | .727 | 104 | |
2021 | 143 | 596 | 146 | 32 | 3 | 21 | 71 | 77 | 7 | 53 | 2 | 90 | .275 | .339 | .465 | .804 | 133 | |
2022 | 5 | 20 | 6 | 1 | 0 | 2 | 3 | 5 | 0 | 3 | 0 | 1 | .353 | .450 | .765 | 1.215 | 269 | |
2023 | 96 | 387 | 84 | 14 | 0 | 13 | 24 | 49 | 0 | 28 | 4 | 81 | .239 | .301 | .389 | .690 | 105 | |
2024 | 140 | 598 | 144 | 40 | 2 | 20 | 74 | 87 | 2 | 49 | 5 | 99 | .273 | .337 | .471 | .807 | 151 | |
NPB 통산 (8시즌) | 548 | 2158 | 497 | 108 | 9 | 74 | 228 | 298 | 14 | 174 | 18 | 376 | .259 | .323 | .441 | .764 | 125 |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 2023년 11월 26일에 5살 연상의 모델 아이코 치에미와의 결혼을 발표했다. #
6. 관련 문서
[1] 2021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하세가와 유야의 등번호를 물려받았다.[2] 데뷔 초엔 포수였으나 출장 기회를 늘리기 위해 2019년부터 외야수를 겸업했고, 주전으로 도약한 2020년엔 외야수를 메인 포지션으로 맡아 1루수와 병행하다 2021년부터 3루수로도 출장해 2023년에 메인 포지션을 3루수로 바꿨다. 본래 포지션이었던 포수는 2021년을 끝으로 맡지 않고 있다.[3] 輝く時だ 後世に語り継がれる 伝説を今から 作れよ栗原(빛날 때다 후세에 전해지는 전설을 지금부터 만들어라 쿠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