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니크 프랑수아 조제프 맘베르티 Dominique François Joseph Mamberti | |
부제급 추기경 | |
| |
<colbgcolor=#3D9DF3><colcolor=#000000> 출생 | 1952년 3월 7일 ([age(1952-03-07)]세) |
프랑스령 모로코 마라케시 | |
국적 |
|
(복수국적) |
사제 수품 | 1981년 9월 20일 |
재임기간 | 교황청 외무장관 |
2006년 9월 15일 ~ 2014년 11월 8일 | |
교황청 사도좌 서명원 장관 | |
2014년 11월 8일 ~ 현직 | |
추기경 | |
2015년 2월 14일 ~ 현직 | |
학력 |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법학) 파리 대학교 (법학) 그레고리오 대학교 (교회법) |
| |
Eritis mihi testes 너희는 내 증인이 될 것이다 |
1. 개요
프랑스의 가톨릭 추기경. 2014년부터 교황청 사도좌 서명원 장관을 맡고 있으며,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추기경으로 서임되었다. 2024년 10월 28일부터 추기경단 수석 부제 추기경(Protodeacon)을 맡고 있다.2. 생애
도미니크 맘베르티는 1952년 3월 7일 프랑스령 모로코의 마라케시에서 프랑스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81년 9월 20일 프랑스 아작시오 교구의 사제로 서품받았다[1]. 민법과 교회법 학위를 가지고 있다. 교황청 외교관 양성 기관인 교황청립 외교학원을 졸업하고 교황청 외교관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알제리, 칠레, 레바논의 교황청 대사관과 뉴욕의 유엔 주재 교황청 사무처, 그리고 교황청 국무원 외무부(Section for Relations with States)에서 근무했다[2].맘베르티는 라틴 아메리카, 유엔, 아프리카, 중동 및 이슬람 전문가로 간주된다[3].
3. 활동
3.1. 대주교
2002년 5월 18일,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를 사고네(Sagona)의 명의 대주교이자 수단 주재 교황 대사 겸 소말리아 주재 교황청 대표로 임명했다[4]. 그는 2002년 7월 3일 교황청 국무원장 안젤로 소다노 추기경으로부터 주교 서품을 받았다. 2004년 2월 19일에는 에리트레아 주재 교황 대사로도 임명되었고[5] 소말리아 관련 직무는 해제되었다.3.2. 교황청 외무장관
2006년 9월 15일 베네딕토 16세에 의해 교황청 외무장관(Secretary for Relations with States)으로 임명되었다[6]. 이 직위는 일반적으로 교황청의 외교부 장관에 해당한다. 2007년 맘베르티 대주교는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기사장을 수여받았다[7].2007년 9월, 맘베르티는 수단 대통령 오마르 알 바시르와 베네딕토 16세 간의 아랍 국가 원수 최초의 공식 방문을 조율했다[8]. 이 방문은 교황의 여름 별장인 카스텔 간돌포에서 이루어졌다. 이 획기적인 사건 직후 사우디아라비아 국왕도 교황을 만났으며, 이는 가톨릭-이슬람 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2009년 9월 코소보 외무장관 스컨데르 히세니(Skënder Hyseni)와의 회담에서 맘베르티 대주교는 교황청이 코소보 및 주변 지역의 발전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상호 소통을 지속하고 강화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9]. 2009년 11월 세르비아 대통령 보리스 타디치와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회담 후, 타디치 대통령은 바티칸이 세르비아의 유럽 연합 통합 및 회원국 가입, 그리고 주권과 영토 보전을 지지한다고 말했다[10].
2010년 6월, 맘베르티는 쿠바를 방문하여 며칠간 머무르며 바티칸과 쿠바 간의 외교 관계 75주년을 기념하고 교회의 사회 교리에 관한 전국 회의에 참석했다. 그는 라울 카스트로 대통령과 회담한 후 양국 관계가 "우호적이며 지속적이고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쿠바 정부는 "맘베르티 대주교의 방문은 쿠바 국가와 가톨릭 교회 간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2011년 9월 유엔 연설에서 맘베르티는 팔레스타인 지도자들이 팔레스타인 국가의 완전한 유엔 회원국 자격을 요청한 후, 성지를 위한 두 국가 해법을 향한 "용감한 결정"을 촉구했다. 맘베르티 대주교는 바티칸이 팔레스타인의 유엔 계획을 명시적으로 지지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그는 교황청이 팔레스타인의 요청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최종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의 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문제는 1947년 유엔 결의안에서 두 국가 창설을 예견한 바 있다. 그는 "그중 하나는 이미 창설되었지만, 다른 하나는 거의 64년이 지났음에도 아직 설립되지 않았다. 교황청은 우리가 평화를 원한다면 용감한 결정을 채택해야 한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11].
2012년 9월 유엔 총회 개막 연설에서 맘베르티는 국제법이 "인간의 존엄성과 본성, 즉 자연법에 확고히 기반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 헌장과 세계 인권 선언의 문구가 자연법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있음에 유엔 대표들의 주의를 환기시켰다. 국제법은 강력한 자를 편애하지 않고 모든 사람과 국가를 보호하는 것으로 인식될 때 인정과 존경을 받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국제 수준의 입법이 생명권과 종교의 자유의 중심성을 시작으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존중으로 특징지어진다면 그러한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12].
2012년 10월 초 별도의 연설에서 맘베르티는 총회 주제인 "평화적 수단에 의한 국제 분쟁 또는 상황의 조정 또는 해결"에 대해 이야기했다. 프랑스어 연설에서 그는 "대화의 가치에 대한 신뢰 상실과 지역 및 국가 분쟁에서 한쪽을 선험적으로 선호하려는 유혹"을 개탄하며, 이것이 "유엔의 법적 메커니즘에 대한 존중"을 위협한다고 말했다. 맘베르티 대주교는 특히 중동, 특히 시리아의 상황을 언급하며 "국제법과 인도주의 법규를 존중하지 않거나 유엔 헌장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벗어난다면 해결책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모든 관련 당사국은 유엔과 아랍 연맹 특별 사절의 임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고통받는 민족에게 인도적 지원을 보장해야 한다. 국제 사회는 모든 측이 군비 경쟁을 협상으로 대체하도록 노력을 통합해야 하며, 종교의 자유, 인권 및 모든 기본적 자유에 대한 효과적인 존중을 주장해야 한다"고 말했다[13].
2013년 1월 16일, 맘베르티는 바티칸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가톨릭 교회의 자율성과 종교의 자유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는 동성애자에게 서비스를 거부하는 기독교인 고용주를 위한 양심적 병역 거부권(conscience clause)을 옹호했다. 그는 증가하는 세속주의에 반대했다[14][15].
2014년 7월 가자 지구 상황에 대해 논평하면서 맘베르티는 교황청에 주재하는 모든 대사들에게 공식 서한을 보내 이라크와 중동 다른 지역의 기독교인들을 위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호소에 주의를 환기시켰다. 맘베르티는 교황청이 이 지역 기독교인들의 고통에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독교 공동체는 부당하게 고통받고 있으며, 두려워하고 있고, 많은 기독교인들이 이주를 강요당했다"고 그는 말했다[16].
3.3. 교황청 사도좌 서명원 장관
2014년 11월 8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맘베르티를 교황청 사도좌 서명원(Supreme Tribunal of the Apostolic Signatura) 장관으로 임명했다. 사도좌 서명원은 교황 자신 외에 모든 교회 재판에 대한 최종 항소 법원이다. 맘베르티는 몰타 기사단 총재로 임명된 레이먼드 레오 버크 추기경의 뒤를 이었다[17].3.4. 추기경
2015년 1월 4일, 프란치스코 교황은 맘베르티 대주교를 2월 14일 추기경으로 서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 서임식에서 그는 산토 스피리토 인 사시아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Cardinal-Deacon)으로 임명되었다[19].2015년 4월 13일, 맘베르티는 교황청 국무원 외무부 추기경·주교 위원회 위원, 경신성사성(현 경신성사부) 위원, 시성성(현 시성부) 위원으로 임명되었다[20]. 2017년 10월 4일에는 인류복음화성(현 인류복음화부) 위원으로 임명되었다[21].
2024년 7월 1일, 그는 부제급 추기경 중 최선임 선거인 추기경이 되었다[22]. 2024년 10월 28일 레나토 마르티노 추기경의 사망으로 추기경단 수석 부제 추기경(Protodeacon)이 되면서 이 역할을 유지하게 되었다[23].
2025년 콘클라베에서 수석 부제 추기경으로서 맘베르티는 2025년 5월 8일 시스티나 경당에서 흰 연기가 피어오른 직후, 성 베드로 대성전의 발코니에서 새로운 교황 레오 14세의 선출을 전 세계에 알리는 하베무스 파팜을 수행했다[24][25].
4. 주요 약력
- 2002년 5월 18일 ~ 2004년 1월 15일: 소말리아 주재 교황청 대표
- 2002년 5월 18일 ~ 2006년 9월 15일: 수단 주재 교황 대사
- 2002년 5월 18일 ~ 2015년 2월 14일: 사고네 명의 대주교
- 2004년 2월 19일 ~ 2006년 9월 15일: 에리트레아 주재 교황 대사
- 2006년 9월 15일 ~ 2014년 11월 8일: 교황청 외무장관
- 2014년 11월 8일 ~ 현재: 교황청 사도좌 서명원 장관
- 2015년 2월 14일 ~ 현재: 산토 스피리토 인 사시아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
- 2024년 10월 28일 ~ 현재: 추기경단 수석 부제 추기경
5. 여담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 기사장 (2007년)
- 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
6. 분류
[1] https://www.catholic-hierarchy.org/bishop/bmamberti.html[2] http://www.catholicnews.com/data/stories/cns/0605269.htm[3] http://en.mercopress.com/2010/06/22/vatican-confirms-relations-with-cuba-are-cordial-and-on-a-healthy-course[4] http://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it/bollettino/pubblico/2002/05/18/0259/00820.html[5] http://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it/bollettino/pubblico/2004/02/19/0085/00276.html[6] http://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it/bollettino/pubblico/2006/09/15/0451/01267.html[7] http://www.quirinale.it/elementi/DettaglioOnorificenze.aspx?decorato=218556[8] https://www.pillarcatholic.com/p/meet-the-conclave-cardinal-dominique[9] http://www.mfa-ks.net/index.php?page=2,4,273[10] http://www.b92.net/eng/news/politics-article.php?yyyy=2009&mm=11&dd=14&nav_id=63030[11] http://www.catholicnews.com/data/stories/cns/1103832.htm[12] http://www.catholicculture.org/news/headlines/index.cfm?storyid=15738[13] http://www.zenit.org/article-35646?l=english[14] http://press.catholica.va/news_services/bulletin/news/30305.php?index=30305&lang=en[15] http://www.catholicnews.com/services/englishnews/2013/vatican-laments-european-court-denial-of-conscientious-objection-right.cfm[16] http://www.catholicculture.org/news/headlines/index.cfm?storyid=22171[17] http://www.ncregister.com/blog/edward-pentin/cardinal-burke-to-malta-mamberti-to-signatura[18] http://www.news.va/en/news/230499[19] http://en.radiovaticana.va/news/2015/02/14/consistory_list_of_titular_church_assignments/1123425[20] https://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it/bollettino/pubblico/2015/04/13/0266/00579.html[21] https://press.vatican.va/content/salastampa/en/bollettino/pubblico/2017/10/04/171004a.html[22] https://www.catholicculture.org/news/headlines/index.cfm?storyid=62754[23] https://www.vaticannews.va/en/vatican-city/news/2024-10/cardinal-raffaele-martino-has-died-at-the-age-of-91.html[24] https://www.euronews.com/my-europe/2025/05/08/dominique-mamberti-who-is-the-cardinal-deacon-who-will-announce-the-new-pope-to-the-world[25] https://www.ilmessaggero.it/en/the_diplomatic_journey_of_dominique_mamberti-882366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