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都, ruby=と)][ruby(道, ruby=どう)][ruby(府, ruby=ふ)][ruby(県, ruby=けん)][ruby(道, ruby=どう)]
1. 개요
일본의 도도부현도(都道府県道)는 일본의 최상위 행정구역이자 자치체인 도도부현에서 지정하는 도로다. 도도부현이 그렇듯, 각 도도부현의 명칭에 따라 약칭이 바뀌는데, 홋카이도의 경우 도도(道道), 도쿄도의 경우 도도(都道), 오사카부 및 교토부의 경우 부도(府道)이며, 나머지는 현도(県道)다.일반국도처럼 번호는 호선이 아닌 호만 붙여 (도도부현 명칭)도 ○호로 표기하지만, 일반국도와는 달리 노선명이 별도로 부여되어 있으며, 이 노선명을 포함한 것이 정식 명칭이다. 가령 5번 도쿄도도의 경우 정식 명칭은 도쿄도도 5호 신주쿠-오메선(東京都道5号新宿青梅線)이다. 명칭에 대해서는 주요지방도 명칭이 도도부현도 명칭과는 또 별도로 부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로 관련 표기에서 기호 대신 로마자 및 숫자로만 표기해야 하는 경우에는, 비공식적으로 소문자 r을 접두어로 사용한다. 가령, 어느 도도부현도로든 1호이면 r1로 표기한다.
2. 지정
일본 도로법 제7조에 의하여 '지방적인 간선도로망을 구성하며 다음의 각호에 해당하는 도로'로 지정된다.- 시 또는 인구 5천명 이상의 정(町)(이하 주요지)와 이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요지, 항만법 제2조 제2항에 규정하는 중요항만 또는 지방항만, 어항어장정비법 제5조에 규정하는 제2종 어항 또는 제3종 어항, 혹은 비행장(이하 주요항), 철도 또는 궤도의 주요 정차장 또는 정류장(이하 주요정차장) 또는 주요한 관광지를 연락하는 도로
- 주요항과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요정차장 또는 주요한 관광지를 연락하는 도로
- 주요정차장과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요한 관광지를 연락하는 도로
- 둘 이상의 시정촌을 경유하는 간선으로, 이들 시정촌과 그 연선지방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주요지, 주요항 또는 주요정차장간을 연락하는 도로
- 주요지, 주요항, 주요정차장 및 주요한 관광지와 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속자동차국도, 일반국도 또는 앞 각호에 규정된 도도부현도와 연락하는 도로
- 앞 각호에 게재된 것 이외에 지방개발을 위해 특별히 필요한 도로
지정절차는 이 법률에 근거하여 각 도도부현지사가 지정하게 되는데, 도도부현의회 의결을 거치고 노선을 인정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2.1. 주요지방도
주요지방도(主要地方道)는 일본 도로법 56조에 의해 추가로 정의되는 지위로, 도도부현도 또는 정령지정도시의 시도에 대해 이들 노선 중에서도 중요성이 인정되는 노선에 지정되어 건설/정비는 물론 유지관리에도 비용의 최대 50%까지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 이 노선들은 국도 지정이 차수에 맞춰 지정된 것처럼, 6차에 걸쳐 지정된 바 있다.도도부현별로 주요지방도 노선의 설정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다.
2.2. 도도부현별 공통점 및 차이점
일반국도와 달리 지정의 변화가 잦은 편은 물론, 도도부현별로도 지정의 상세가 꽤나 다른 편이다. 대부분의 도도부현에서 주요지방도로 지정된 구간은 1부터 100까지의 범위에 할당되지만, 이조차도 지역별로 다른 경우가 있다. 다음은 개별적인 특징이 있는 도도부현이다.- 홋카이도도(北海道道): 범위가 넓은 탓에, 주요지방도 노선이 100개를 넘으므로 1부터 200까지의 번호를 주요지방도의 번호로 사용한다. 또한 네 자리수의 도도도 지정되어 있다.
- 도쿄도도(東京都道): 주요지방도와 일반도도의 경우 다른 도도부현과 유사한 방식이지만, 300번대와 400번대를 특례도도(特例都道)[1]라 하며, 이 중 300번대를 특례주요지방도(特例主要地方道), 400번대를 특례도도(特例都道)라 한다. 또한 특례도도 중에서 도청(부도심) 및 중앙관거 정비 과정에서 지정한 노선들이 있어 이들은 관리용 번호만 있고 따로 번호가 없는 경우도 있다.
- 카나가와현도(神奈川県道): 정령지정도시인 요코하마시와 가와사키시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 두 도시에 있는 시도로 지정된 주요지방도를 현도에서 번호 지정만 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반현도 대역에서 번호를 채워쓰지 않고 지역별로 대역을 나눠쓴다. 이 같은 방식은 이외에도 야마나시현도(山梨県道), 후쿠오카현도(福岡県道), 오이타현도(大分県道)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교토부도(京都府道): 카나가와현도와 유사하게 주요지방도 중 교토시도인 노선들을 번호상 할당해두는데, 다른 주요지방도와 같은 대역(1 - 100)으로 지정한 카나가와현과는 다르게 180번대로 따로 지정되어 있다.
- 오키나와현도(沖縄県道): 1 - 100번 대역에 일반 도도부현도와 주요지방도가 뒤죽박죽 섞여있다.
3. 특징
대한민국의 지방도에 상당하지만, 전국 단위로 대역은 구분되지만 공유되는 번호를 채택한 대한민국의 지방도와는 다르게 각 도도부현별로 번호를 달리한다[2]. 또한 대한민국의 지방도보다 지정범위가 훨씬 넓은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가령, 대한민국의 경우 고속도로 나들목은 요금소를 포함하여 바깥의 공도와 만나는 지점까지를 도로공사가 관할하지만, 일본의 경우 엄밀하게 따져서 요금소 바깥은 짧은 접속도로더라도 도도부현도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위 지정 단락에서도 기술되어 있듯, 철도역(정거장)과의 접속도로를 도도부현이 관리하면 도도부현도가 되므로 연장 수 m 정도의 도도부현도가 지정될 수 있다.도로의 상태가 나쁜 도도부현도는 현도(県道) 대신 험도(険道, 발음은 '켄도'로 같음)라고도 부른다.
4. 기록
4.1. 100km 이상의 도도부현도
- 45번 니가타현도(169.6km)
- 142번 홋카이도도(163.1km)
- 79번 가고시마현도(100.7km)
- 5번 시마네현도·히로시마현도(100.3km)
4.2. 10m 이하의 도도부현도
- 162번 나가노현도(7m)
- 204번 히로시마현도(10m)
4.3. 다른 현에서 인정하지 않는 도도부현도
일본의 경우 도도부현별로도 경계/영역에 대한 분쟁이 있을 정도로 자치권이 있다보니 다른 도도부현도의 도로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21번 아오모리현도 - 아키타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29번 구마모토현도 - 후쿠오카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84번 나가노현도 - 기후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303번 돗토리현도 - 오카야마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369번 고치현도 - 도쿠시마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 787번 후쿠오카현도 - 구마모토현에서 인정하지 않고 있다.
4.4. 단독구간이 없는 도도부현도
국도와 중첩되는 구간은 반드시 국도 지정이 우선되고 도도부현도의 연장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노선이 된다.- 10번 시가현도 - 2번 시가현도와 중첩
- 23번 나가노현도 - 143번 국도와 중첩
- 33번 에히메현도 - 320번 국도와 중첩
- 104번 미야기현도·후쿠시마현도 - 342번 국도와 중첩
- 104번 시즈오카현도 - 11번 시즈오카현도와 중첩
- 116번 도치기현도 - 38번 도치기현도와 중첩
- 162번 군마현도 - 26번 군마현도와 중첩
- 163번 군마현도 - 26번 군마현도와 중첩
- 209번 오카야마현도 - 179번 국도와 중첩
- 325번 이바라키현도 - 461번 국도와 중첩
- 559번 후쿠오카현도 - 202번 국도와 중첩
4.5. 도시고속도로를 구성하는 도도부현도
도시고속도로는 경우에 따라 지정을 달리하는데, 정령지정도시의 경우 시정촌도로 지정되기도 하나, 많은 경우 도도부현도로 지정된다. 다만 도도부현도로 지정되더라도 번호가 없는 경우도 많고, 번호가 있더라도 실질적으로 관리용으로만 사용되므로 도도부현도로 인식하는 경우는 없다.4.6. 도도부현도로 지정된 자전거도로
아래 목록 이외에도 도도부현별로 최근 들어 별도의 대역으로 지정을 추가한 곳들이 있다.- 300번 나가사키현도 - 노모 고개를 관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325번 에히메현도 - 시마나미 해도 사이클링로드(しまなみ海道サイクリングロード)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 335번 에히메현도
- 466번 히로시마현도 - 시마나미 해도 사이클링로드(しまなみ海道サイクリングロード)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 501번 야마구치현도
- 502번 야마구치현도
- 503번 야마구치현도
4.7. 서류상으로만 존재하는 도도부현도
- 227번 도쿠시마현도
- 263번 도쿠시마현도
- 307번 돗토리현도
- 1086번 홋카이도도
4.8. 기타 특이한 도도부현도
- 9번 도치기현도·군마현도·사이타마현도·이바라키현도 - 가장 많은 도도부현을 지나간다.
- 42·179번 오사카부도 - 동일한 오사카부내에 있는 도로이지만, 번호 체계가 서로 다르게 지정되어 있다.
- 701번 야마나시현도 - 일본에서 가장 높은 도도부현도. 후지산 정상 근처를 지나가며, 가장 높은 구간은 해발 3,715m이다.
- 730번 야마나시현도·가나가와현도·147번 시즈오카현도 - 3개의 현을 모두 통과하지만 번호가 서로 다르다. 730번 현도 구간은 야마나시, 가나가와 2현이며, 147번은 시즈오카현 한정.
5. 같이 보기
[1] 일본 도로법 제89조 근거, 주로 특별구를 중심으로 지정된다.[2] 경계를 넘는 지방도는 별도의 대역을 설정하거나 주요지방도라면 번호를 맞추거나 하지만, 번호가 달라지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