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계열사 | |
<colbgcolor=#f47725> 지주회사 | SK주식회사 · SK주식회사 AX | |
에너지 · 화학 |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E&S (코원에너지서비스 · 부산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강원도시가스 · 부산정관에너지 · 나래에너지서비스 · 파주에너지서비스 · 여주에너지서비스 · 보령LNG터미널주식회사) · SK에너지 · SK지오센트릭 · SK온 (SK온 트레이딩인터내셔널) · SK엔무브 · SK인천석유화학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어스온) · SKC (SK넥실리스 · SK엔펄스 · ISC · SK피아이씨글로벌 · 앱솔릭스) · 대한송유관공사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 SK레조낙 · SK트리켐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 SK머티리얼즈그룹14) · SK바이오팜 ·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 · SK가스 · SK디앤디 · SK플라즈마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이터닉스) · SK시그넷 | |
정보통신·반도체·전자 |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 미디어에스 · SK텔링크 · SK스토아 · 원스토어 · 컨텐츠웨이브) · SK스퀘어 (SK플래닛 · 드림어스컴퍼니 (FLO) · 11번가 · 티맵모빌리티) · SK하이닉스 (SK키파운드리 · 솔리다임) · SK실트론 · SK TNS · 에센코어 | |
마케팅 · 서비스 | SK네트웍스 (그랜드 워커힐 서울 · 비스타 워커힐 서울 · 더글라스 하우스 · 다락휴 · SK네트웍스 서비스 · SK인텔릭스 (SK매직) · SK스피드메이트 · SK일렉링크 · 민팃 · 엔코아 · 하이코캐피탈 · SK트레이딩 (예정)) · SK에코플랜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 SK에코엔지니어링 · SK오션플랜트 · SK리츠 | |
재단 | 행복나눔재단 · 한국고등교육재단 · SK미소금융재단 | |
스포츠단 | ||
제주 SK FC · 서울 SK 나이츠 · T1 · SK 호크스 · SK 슈가글라이더즈 · SK렌터카 다이렉트 |
SK인텔릭스 SK intellix | |||||
| |||||
<colbgcolor=#ee7609><colcolor=#fff> 브랜드명 | 정식: 에스케이인텔릭스 | ||||
영문: SK intellix Co., Ltd | |||||
국가 | <colbgcolor=white,#191919>
(다국적 기업) | ||||
설립일 | 1985년 (동양가전 & 매직쉐프) 1993년 (동양매직) 2013년 5월 2일 (SK매직)[1] 2025년 7월 10일 (SK인텔릭스 주식회사)[2] | ||||
업종명 | AI Wellness Company | ||||
기업 규모 | 대기업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85, 18층 | ||||
캠퍼스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효행로 250 | ||||
웹사이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기업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7609><colcolor=#fff> 자본금 | <colbgcolor=white,#191919>3,540억 8,069만 647원 (2023년 기준)[연결] | |||
매출액 | 1조 245억 7,470만 6,116원 (2020년 기준)[연결] | ||||
영업이익 | 816억 1,667만 8,026원 (2020년 기준)[연결] | ||||
순이익 | 519억 4,464만 4,286원 (2020년 기준)[연결] | ||||
법인세 | 185억 8,554만 8,047원 (2020년 기준)[연결] | ||||
자산총액 | 1조 1,160억 9,665만 3,684원 (2021년 상반기 기준)[연결] | ||||
부채총액 | 8,144억 4,381만 7,016원 (2021년 상반기 기준)[연결] | ||||
직원 수 | 1,227명 (2021 상반기 기준)[10] | }}}}}}}}} |
1. 개요
SK인텔릭스는 SK그룹 계열의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이다. 이전 사명은 SK매직이었고, 2025년 7월 기존 환경가전에 국한된 SK매직의 브랜드 이미지를 넘어 웰니스 로보틱스 나무엑스의 혁신성과 미래지향적인 브랜드 가치를 포괄하기 위해 새로운 통합 브랜드 체계를 마련하였다.SK인텔릭스는 AI의 핵심가치인 Smartness를 상징하는 'Intelligent(인텔리전트)'와 고객 웰니스 경험의 지속 혁신을 의미하는 알파벳 'X(엑스)'를 결합해 탄생한 이름으로, AI기술 기반의 오픈 생태계 구축을 통해 고객의 웰니스 파트너로서 지속적인 혁신을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2. 역사
2.1. SK네트웍스 인수 이전
1985년 동양그룹 산하의 동양시멘트 가전사업부가 미국 매직쉐프[11]와 별도로 기술제휴를 맺어 가스레인지를 생산한 게 시초이다. 1990년대까진 가스레인지, 식기세척기 등 주방기전으로 유명했으며 미국 월풀 코퍼레이션의 백색 가전 브랜드인 키친에이드의 한국 총판을 담당하기도 하였다.1990년 '동양매직' 호칭으로 분리 준비작업을 개시해 1992년 가전연구소를 세우고 1993년 독립법인으로 출범 후 1999년 동양산업기계에 역합병되어 '동양매직' 사명도 넘겼다. 같은 해 동양매직서비스를 세운 후 2001년 토탈유통, 2003년 매직산업을 각각 합병하고 201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2011년 동양메이저에 합병됐다가 2013년 재분사됐고, 2016년 11월, (주)SK네트웍스가 인수하며 법인명을 지금의 (주)SK매직으로 변경했다. 이로써 SK매직은 SK네트웍스의 자회사로, 지주회사 SK(주)의 손자회사가 되었다.
동양메이저에 흡수합병되기 전의 동양매직은 상장사였다. 2000년 7월 20일 상장하여, 2011년 동양메이저에 흡수합병 되어 동양이 되었고 동양매직은 2013년 분사한 뒤 SK에 매각되어 연관은 없어졌다.
2.2. 2010년대
국내 렌탈시장은 2014년까지 기존 선발업체였던 코웨이와 청호나이스가 주도해왔으나, 2015년부터는 SK매직과 LG전자의 시장 참여로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후 구독 경제 중심의 소비 트렌드를 바탕으로 환경가전 및 생활가전의 렌탈 수요는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이어 국내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렌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해외 현지에 진출하고 있는데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 중 한 곳으로 한국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장이다. 말레이시아 인구가 약 3천만 명인데 SK매직 누적 계정이 3만 개에 달한다고 하니 매출은 크지 않아도 어느정도 자리를 잡은 셈.
아예 2019년 1월 31일 글로벌 사업 진출을 위해 SK네트웍스(주)로부터 글로벌성장사업부 및 예하 해외 법인 투자지분을 양수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시장 중심의 렌탈 사업 뿐만 아니라 동남아 시장을 교두보로 해외시장에 본격 진출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2.3. 2020년대
2020년 10월 5일 에이아이플러스와 합병 계약을 체결했는데, AI 식물재배기 개발을 통해 신규제품 영역을 확장하고 친환경 사업모델 확대, 그린 포트폴리오 강화 등 사업 경쟁력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라고. 에이아이플러스는 삼성전자 사내벤처 "C랩"에서 시작해 분사된 곳으로 가정용 식물재배기 ‘플랜트박스’를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스마트 씨앗 캡슐을 플랜트박스에 넣으면 캡슐에 담긴 재배 정보가 플랜트박스와 연동돼 자동으로 작물에 맞는 물, 빛, 온도, 영양분 등을 맞춰준다. 한편 합병으로 인한 회사의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라고 공시에 밝혔다.비즈니스포스트2021년 3월 항 코로나 바이러스 필터를 출시하였는데,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등 공기 중 떠다니는 각종 유해 바이러스와 세균을 99.9% 감소시킨다. 또, 공기청정기 필터 교체 시기가 지나 필터 수명이 완전히 소진되더라도 부유 공기 중 유해 바이러스와 세균을 약 80%까지 살균∙청정한다. 이러한 공기 살균 성능을 인정받아 ‘한국오존자외선협회’로부터 살균 인증 마크인 ‘PA(Pure Air)’인증을 획득한 것은 물론 미국 식품의약국인 ’FDA’ 등록 제품으로 누구나 믿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라고. 한겨레 그 밖에도 식기세척기 체결용 에어필터 및 UV A LED + 광촉매 모듈 적용 공기살균 기술을 개발하였다.
대만 Cybron 음성엔진 기반의 Embedded 음성인식 솔루션을 개발해 All Clean 공기청정기에 적용하였는데, 그 All Clean 공기청정기가 3분에 1대씩 팔린다는 코로나 필터 기능이 있는 공기청정기 라인이다. 전기오븐은 스팀오븐이라는 차별화 방식을 도입하였고, 전자레인지 기능을 접목시켜 '복합오븐' 카테고리를 창출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를 바탕으로 13년 연속으로 한국 산업의 브랜드파워 복합오븐 부문 1위를 수상했고, 식기세척기는 국내 최초로 시장에 진출하여 18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의 영예를 수상하고 있다. 2020년 출시한 트리플케어 식기세척기는 식기 세척을 넘어 식기 관리까지 가능하도록 획기적인 기술이 접목 되었으며, 이러한 기술력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CES 혁신상을 수상을 하기도 하였다.
2023년에는 SK의 호텔 브랜드인 워커힐을 이용한 프리미엄급 매트리스 제품을 론칭했다.
2024년 1월 1일부로 전기레인지, 가스레인지, 오븐 등의 주방가전 사업을 경동나비엔에 넘기고 철수했으며, 뒤이어 3월 1일부로 식기세척기도 전부 단종되었다.
2025년 7월 SK매직에서 SK인텔릭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AI 웰니스 플랫폼 기업(AI Wellness Platform Co.)으로의 도약을 자리매김 한다. 이는 모회사의 글로벌 투자 네트워크를 통해 세계 AI 선도 기술 보유 기업과의 협력을 적극 추진하기 위함이다.
SK인텔릭스에는 'SK매직'과 '나무엑스' 브랜드가 소속되어 있으며, 사명 변경을 계기로 각 브랜드의 정체성과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하고, 고객 웰니스 경험 / AI기반 맞춤형 기술 / 오픈 생태계 구축 등의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비스니스를 고도화 해 나갈 계획이다.
헬스 플랫폼 브랜드 SK매직은 Health Water 등 신규 혁신 제품 카테고리를 창출해 신뢰 받는 헬스 사업 브랜드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며, 웰니스 로보틱스 브랜드 나무엑스는 오픈 생태계 구축과 지속적인 기능 확장 등을 통해 웰니스 혁신을 이끄는 로보틱스 전문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3. 지배구조
주주명 | 지분율 |
SK네트웍스(주) | 100.00% |
2021년 6월 30일 기준. |
4. 역대 임원
4.1. SK네트웍스 인수 이전
동양매직(1차)* 부회장
- 이영서 (1997~1998)
* 대표이사 사장
- 이영서 (1990~1997)
- 윤홍구 (1997~1999)
동양매직(2차)
* 윤홍구 (1999~2003)
* 염용운 (2003~2012)
동양→매직
* 염용운, 김영훈 (2012~2013)
4.2. 대표이사(인수 이후)
* 김영훈 (2013~2014)* 강경수 (2014~2017)
* 류권주 (2017~2020)
* 윤요섭 (2021~ 2022)
* 김완성 (2023~)
5. 제품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매트리스를 중심으로 생활가전에 주력하고 있다. 요즘은 렌탈형태의 구매를 홍보하고있다.5.1. 정수기
5.2. 공기청정기
5.3. 기타
* 비데* 매트리스
6. 공장
현재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에 공장이 있는데[12], 수원시에 50,000평(165,000㎡) 규모로 이전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연합뉴스 2017년 1월 8일 기사 "화성 SK매직 공장 수원 이전하나..수원시 부지 물색" "공장이 흩어져 있고 노후화돼 효율이 떨어져 3년 이내에 공장을 한데 모아 신축, 생산비를 절감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7. 역대 광고 모델
* 김남주 (2001)* 윤해영 (2002~2005)
* 이보영 (2005~2006)
* 현빈 (2015~2017)
* 송혜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