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계열사 | |
<colbgcolor=#f47725> 지주회사 | SK주식회사 · SK주식회사 AX | |
에너지 · 화학 |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 E&S (코원에너지서비스 · 부산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강원도시가스 · 부산정관에너지 · 나래에너지서비스 · 파주에너지서비스 · 여주에너지서비스 · 보령LNG터미널주식회사) · SK에너지 · SK지오센트릭 · SK온 (SK온 트레이딩인터내셔널) · SK엔무브 · SK인천석유화학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SK어스온) · SKC (SK넥실리스 · SK엔펄스 · ISC · SK피아이씨글로벌 · 앱솔릭스) · 대한송유관공사 · SK주식회사 머티리얼즈 (SK스페셜티 · SK레조낙 · SK트리켐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 SK머티리얼즈그룹14) · SK바이오팜 ·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 · SK가스 · SK디앤디 · SK플라즈마 · SK바이오사이언스 · SK이터닉스) · SK시그넷 | |
정보통신·반도체·전자 |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홈앤서비스) · 미디어에스 · SK텔링크 · SK스토아 · 원스토어 · 컨텐츠웨이브) · SK스퀘어 (SK플래닛 · 드림어스컴퍼니 (FLO) · 11번가 · 티맵모빌리티) · SK하이닉스 (SK키파운드리 · 솔리다임) · SK실트론 · SK TNS · 에센코어 | |
마케팅 · 서비스 | SK네트웍스 (그랜드 워커힐 서울 · 비스타 워커힐 서울 · 더글라스 하우스 · 다락휴 · SK네트웍스 서비스 · SK인텔릭스 (SK매직) · SK스피드메이트 · SK일렉링크 · 민팃 · 엔코아 · 하이코캐피탈 · SK트레이딩 (예정)) · SK에코플랜트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 SK에코엔지니어링 · SK오션플랜트 · SK리츠 | |
재단 | 행복나눔재단 · 한국고등교육재단 · SK미소금융재단 | |
스포츠단 | ||
제주 SK FC · 서울 SK 나이츠 · T1 · SK 호크스 · SK 슈가글라이더즈 · SK렌터카 다이렉트 |
<colcolor=#fff> SK이노베이션 E&S SK Innovation E&S | |
| |
<colbgcolor=#f47725> 회사명 | SK이노베이션 E&S |
SK Innovation E&S | |
설립일 | 1999년 1월 13일 (SK엔론) |
업종명 | 지주회사업 및 전력사업 |
사장 | 추형욱 |
매출액 | 11조 8,213억원 (2024) |
영업이익 | 1조 1,213억원 (2024) |
본사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6 SK서린빌딩 |
링크 |
1. 개요
SK이노베이션 E&S Brand film |
도시가스 지주회사[1]로 출범한 이후 사업을 확장하여 현재는 SK이노베이션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관련 사업[2]과 신재생에너지관련 사업[3]을 수행하고 있다.
2. 역사
1999년 SK그룹과 미국의 엔론과의 합작으로 설립된 'SK엔론'이 그 모태이며, 2004년 엔론이 파산 보호를 신청하면서 엔론 측 지분은 엔론의 후신인 '프리즈마 에너지'에게 넘어갔다.2005년 '맥쿼리 펀드'가 '프리즈마 에너지'의 지분을 3,500억원에 사들이면서 회사명에서 엔론을 빼고 종합 에너지 및 서비스 기업으로 발전한다는 뜻에서 '에너지(Energy)'와 '서비스(Service)'를 합친 SK E&S로 사명을 변경했다. #
2006년 광양LNG발전소가 상업 가동을 시작하였다. 해당 시설은 인도네시아 탕구 가스전에서 장기계약을 토대로 직접 수입[4]해온 천연가스로 전기를 생산하는 국내 민간기업 최초의 직도입발전소이다.
2014년 해외자원 개발 자금[5] 확보를 위해 1999년 인수했던 익산열병합발전소와 함께 2013년 상업 가동을 시작한 오성LNG발전소와 김천열병합발전소, 총 3곳을 사모펀드[6]에 매각했다.
2015년 하남열병합발전소, 2017년 보령LNG터미널, 파주LNG발전소, 위례열병합발전소, 2023년 여주LNG발전소가 상업 가동을 시작하였다. 2017년 보령LNG터미널 및 파주LNG발전소의 상업가동이 시작되면서 천연가스 생산(미국 우드포드 셰일가스전)-액화(Freeport LNG플랜트)-운송(LNG선박)-발전(파주LNG발전소)에 이르는 LNG Value Chain(V/C) 수직계열화를 이루게 되었다.
2024년 5월 연 3만톤의 액화수소를 생산하는 인천액화수소플랜트가 상업 가동을 시작했다. 이곳에서 인근의 SK인천석유화학 사업장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를 정제해 액화수소를 생산, 전국의 액화수소충전소에 공급한다. 인천액화수소플랜트는 단일 액화수소플랜트로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 #
2024년 11월 SK이노베이션에 흡수 합병되며 SK이노베이션에 종속된 사내독립기업(CIC, Company In Company) 형태인 'SK이노베이션 E&S'가 되었다.
2025년 5월 덴마크 재생에너지 투자개발사인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CIP)와 공동 개발한 국내 최대 민간 주도 '전남해상풍력 1단지'가 상업 가동을 시작했다.
3. 자회사
3.1. 도시가스 자회사
- 강원도시가스
- 부산도시가스[7]
- 코원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구미)[8]
- 영남에너지서비스(포항)[9]
- 전북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충청에너지서비스[10]
3.2. 발전 자회사
3.3. 기타 자회사
3.4. 해외법인
- PRISM Energy International China Ltd. (중국)
- PRISM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싱가포르)
- PT. PRISM Nusantara International (인도네시아)
- PRISM Energy International Australia Pty Ltd (호주)
- PRISM Energy International Americas (미국)
- LNG Americas Inc. (미국, 휴스턴)
- Passkey, Inc. (미국, 뉴욕) - PRISM Energy International London Office (영국)
4. 운영 자산
4.1. LNG
4.1.1. Upstream
- 미국 우드포드 셰일가스전(2014~)
- 호주 바로사 가스전(2025~(예정))
4.1.2. Midstream
- 액화플랜트 (미국 Freeport / 호주 Dawin LNG)
- LNG 수송선 4척
- 보령LNG터미널
4.1.3. Downstream
- 광양LNG발전소 (1,126MW)
- 파주LNG발전소 (1,823MW)
- 여주LNG발전소 (1,095MW)
- 하남열병합발전소 (399MW, 260Gcal/h(열))
- 위례열병합발전소 (450MW, 232Gcal/h(열))
- 부산정관열병합발전소 (100MW, 145Gcal/h(열))
- 중국 조유샨 LNG 터미널 지분 확보, 중국 현지에 연간 약 50만 톤의 LNG 공급 중
- 광양발전소를 제외한 나머지 발전소는 개별 자회사에서 운영 중[13]
4.2. 신재생에너지
4.2.1. 풍력발전소
- 신안 육상풍력 (63MW, 전남 신안)
- 청산 육상풍력 (22MW, 강원 평창)
- 양산 육상풍력 (38MW, 경남 양산)
- 전남 해상풍력 1단지 (96MW, 전남 신안)
- 베트남 해상풍력 (150MW)
4.2.2. 태양광발전소
- 석문호 태양광 (90MW, 충남 당진)
- 안면도 태양광 (307MW, 충남 태안)
- 임자도 태양광 1단지 (100MW, 전남 신안)
- 베트남 태양광 (131MW)
4.2.3. 수소
- 인천액화수소플랜트 (연 3.1만 톤 액화수소 생산 및 공급)
- 전국 17개[14] 액화수소충전소
[1] 국내 도시가스 시장점유율 1위(2023년말 기준)[2] Upstream: 해외 천연가스전 개발 사업 등 / Midstream: LNG해상운송 사업, LNG터미널(보령LNG터미널 등) 운영 등 / Downstream: 민자 천연가스 화력발전 사업, 도시가스 사업 등[3] 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등) 사업, 수소 사업, 에너지솔루션 사업 등[4] 한국가스공사를 거치지 않고 직접 수입[5] 미국 오클라호마 우드포드 셰일가스전 지분(약 100만톤/年 생산 중) 및 미국 Freeport LNG플랜트 사용료 등[6] 하나대투증권[7] 부산 전역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8] 구미, 김천, 문경, 상주, 청도 등 지역에 도시가스 공급[9] 울릉도를 제외한 동해안권에 도시가스 공급[10] 원주에서 공급받는 충주시는 제외[11] 발전소 운전(Operation), 정비(Maintenance), 기술지원 등의 서비스 제공[12] 인천액화수소플랜트 운영[13] 파주LNG발전소는 '파주에너지서비스'에서, 여주LNG발전소는 '여주에너지서비스'에서, 하남&위례열병합발전소는 '나래에너지서비스'에서, 부산정관열병합발전소는 '부산정관에너지'에서 운영 중.[14] 인천(3개소), 부산(2개소), 구미(2개소), 고양, 성남, 원주, 이천, 청주, 영동, 익산, 순천, 전주, 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