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6:20:59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D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297d9, #0d6cb7, #18378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297d9> 대회 이전 예선 · 참가팀 정보
조별 리그 A조 B조 C조 D조
결선 토너먼트 8강 준결승 결승
}}}}}}}}}}}} ||

1. 개요2. 1경기: 타지키스탄 2 : 1 오만3. 2경기: 이란 1 : 1 북한4. 3경기: 북한 3 : 0 타지키스탄5. 4경기: 오만 3 : 2 이란6. 5-1경기: 이란 1 : 3 타지키스탄7. 5-2경기: 오만 2 : 2 북한

1. 개요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3 2 0 1 5 5 0 6
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 1 2 0 6 3 +3 5
3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3 1 1 1 6 6 0 4
4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3 0 1 2 4 7 -3 1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조별리그 D조에 대해 서술한 문서.

이란을 제외한 나머지 3팀의 전력이 사실상 비등비등하기에 8강 진출과 월드컵 티켓이 동시에 걸린 조 2위 한자리를 두고 타지키스탄, 북한, 오만이 치열한 경쟁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2. 1경기: 타지키스탄 2 : 1 오만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1경기
2025.04.05.(토) 18:00 (UTC+3)[A]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Torphong Somsing (태국)
관중: -명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2 : 1 파일:ofa logo.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3' 자리프조다
49' 아슈랄리조다
파일:득점 아이콘.svg 11' 모하메드 알 마샤이키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3. 2경기: 이란 1 : 1 북한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2경기
2025.04.05.(토) 20:15 (UTC+3)[B]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다니엘 엘더 (호주)
관중: -명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1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4' 사네 파일:득점 아이콘.svg 8' 최충혁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국내 중계
파일:SBS Sports 로고.svg
캐스터

이재형
해설자

박현규[3]

이란과 북한은 예선전에 이어서 대회 조별리그에서도 첫경기에서부터 만나게 되었다. 예선전에는 북한이 이란을 상대로 4대1로 완승을 거두는 이변을 만들어내어 이번 경기로 이란의 리벤지매치로 설욕승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란과 북한과의 리벤치 결과는 무승부로 끝나 각자 승점 1점을 챙겼다. 북한은 이번 대회의 1차 예선때도 A조 1위로 1차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에 진출하면서 그러한 분위기가 이번 이란과의 본선 1차전까지 이어지는 좋은 결과를 가져오며 2017 FIFA U-17 월드컵 인도 대회 이후 8년만의 월드컵 진출을 노릴수 있을지 주목되었다.

4. 3경기: 북한 3 : 0 타지키스탄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3경기
2025.04.08.(화) 18:00 (UTC+3)[C]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홀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파이살 알 Balawi (사우디아라비아)
관중: -명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 : 0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50', 58' 박광성
82' 리강림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5. 4경기: 오만 3 : 2 이란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4경기
2025.04.08.(화) 20:15 (UTC+3)[D]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모하메드 알 사마리 (카타르)
관중: -명
파일:ofa logo.png 3 : 2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53' 알 왈리드 알 라슈디
74',89' 아흐메드 알 암라니
파일:득점 아이콘.svg 40' 베헤슈티
54' 케라드피셰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6. 5-1경기: 이란 1 : 3 타지키스탄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5-1경기
2025.04.11.(금) 20:15 (UTC+3)[E]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나가미네 코키 (일본)
관중: -명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3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52' 오미드 가라초마글루 파일:득점 아이콘.svg 12' 오딜조다
67' 쇼예프
89' 이브라힘조다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이란과 타지키스탄은 서로를 무조건 이겨야하며 비긴다면 경우에 따라 둘 다 탈락하고 사이좋게 짐을 싸게 된다.

이란은 최종전에서 무조건 이기고 북한이 오만을 이기기를 빌어야하며, 오만이 이긴다면 타지키스탄을 최소한 4점차로 이겨야 한다. 만약 이란이 이겨도 오만이 비긴다면 승자승에서 밀리므로 탈락이 확정된다.

타지키스탄은 이란을 이긴다면 무조건 진출이 확정되며 오만 vs 북한 경기 결과에 따라 1위 or 2위로 대한민국 또는 인도네시아를 상대하게 된다.
이란이 타지기스탄에 완패를 거두며 우승 후보라는 평가가 무색하게 1무 2패 조 꼴찌로 짐을 싸게 되었다. 타지기스탄은 2승 1패 조 1위로 한국을 만나게 되엇다.

7. 5-2경기: 오만 2 : 2 북한

파일:AFC U17 asian cup 2025_logo.png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D조 5-2경기
2025.04.11.(금) 20:15 (UTC+3)[E]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주심: 진징위안 (중국)
관중: -명
파일:ofa logo.png 2 : 2
파일:북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0' 오사마 알 마마리
94'알왈리드 살람
파일:득점 아이콘.svg 10' 김유진
74'리강림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북한은 무승부만 거둬도 8강진출과 2017년도 월드컵 대회 이후로 8년만에 월드컵 진출을 노릴 수 있다. 하지만 북한이 패배할 경우 이란과 타지키스탄 경기결과에 따라 조 3위로 탈락 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만약 북한이 조 1위로 진출하면 8강에서 남북대결이 펼쳐지게 된다.

그러나 경기 결과 오만이 후반 추가시간 8분 극장골을 터트려 2:2 무승부로 종료, 8강에서 남북 대결은 성사되지 않으면서 한국과 북한 서로간의 최악의 대진은 면하게 되었다.

한편 경기 종료 이후 인도네시아 측에서 북한이 8강에서 한국, 4강에서 일본을 피하기 위해 승부조작을 시도했다는 의심을 강하게 드러냈다. 북한은 후반 추가시간 8분 극장골을 내주며 조 1위에서 2위로 내려갔는데, 이 과정에서 북한의 어이없는 패스 미스가 발단이 되었기 때문, 더군다나 북한은 마침 9년전 해당 대회에서 이미 승부조작으로 징계를 받은 사례가 있다. 당시 북한은 우즈벡과의 조별리그 3차전에서 골키퍼가 롱 킥을 막지 않고 어이없이 쓰러지는 등 이상한 행동을 남발하며 1:3으로 패했고, 우즈벡이 1위, 북한이 2위가 된 바 있었는데 조사 결과 북한이 8강에서 껄끄러운 이라크를 피하고 편한 오만을 만나기 위해 벌인 승부조작이였음이 적발되며 징계를 받은 바 있었다.

북한은 2017년 U-17 월드컵 이후 8년만의 FIFA U-17 월드컵 복귀에 성공함과 동시에 해당 2017년 U-17 월드컵 이후 8년만에 북한 남자 축구가 FIFA 주관 대회에 복귀하게 되었다.


[A] 한국시각 4월 6일 00:00[B] 4월 6일 한국시각 02:15[3] 현직 장훈고 코치로 본 대회 특별해설을 맡게됐다.[C] 한국시각 4월 9일 00:00[D] 한국시각 4웧 9일 02:15[E] 한국시각 4월 12일 02:15[E] 4월 12일 한국시각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