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2025 AFC U-17 아시안컵 사우디아라비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0297d9, #0d6cb7, #18378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297d9> 대회 이전 | 예선 · 참가팀 정보 | ||||
조별 리그 | A조 | B조 | C조 | D조 | ||
결선 토너먼트 | 8강 | 준결승 | 결승 |
1. 개요
<rowcolor=#fff>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일본 | 3 | 1 | 1 | 1 | 7 | 5 | +2 | 4 |
2 | | 아랍에미리트 | 3 | 1 | 1 | 1 | 4 | 5 | -1 | 4 |
3 | | 호주 | 3 | 1 | 1 | 1 | 4 | 5 | -1 | 4 |
4 | | 베트남 | 3 | 0 | 3 | 0 | 3 | 3 | 0 | 3 |
일본, 호주, UAE의 3파전이 예상되며 베트남은 8강행이 다소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UAE 같은 경우도 연령별 대표팀에서의 성적이 그리 좋지는 않기에 허무하게 탈락할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
일본 대표팀의 한국 출신인 "타니 다이치"가 이번 U-17 아시안컵 일본 대표팀에 뽑히며 과연 이번 대회에 출전하여 국제 무대에 본격적으로 데뷔할지 주목된다. 이미 그는 이번대회의 1차 예선전에서 대활약을 하며 일본의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이끈 장본인중 한명이다.
2. 1경기: 호주 1 : 1 베트남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김유정 (대한민국) | ||
관중: -명 | ||
| 1 : 1 | |
| '''''' | |
41' 맥니컬 | | 49' 호앙 쫑 주이 카앙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국내 중계 | ||
| 캐스터 김기웅 | 해설자 박찬하 |
3. 2경기: 일본 4 : 1 아랍에미리트
킹 파드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사우디아라비아) | ||
관중: -명 | ||
| 4 : 1 | |
| | |
3', 15' 요시다 미나토 34' 카모 유이토 83' 아사다 히로토 | | 71' 파이살 모하메드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일본이 무난하게 첫 경기부터 4:1 대승을 챙겼다.
4. 3경기: 베트남 1 : 1 일본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Morteza Mansourian (이란) | ||
관중: -명 | ||
| 1 : 1 | |
| ||
90+6' 쩐 지아 바오(PK) | | 13' 요시다 미나토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국내 중계 | ||
| 캐스터 조민호 | 해설자 이황재 |
베트남이 탄탄한 수비와 강한 조직력을 바탕으로 일본을 고전시켰고 결국 후반 종료 직전 PK로 1:1 무승부를 만드는 이변을 일으키며 지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경기에 이어 U17 레벨의 축구에서는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음을 다시한번 보여줬다.
5. 4경기: 아랍에미리트 2 : 0 호주
킹 파드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진징위안 (중국) | ||
관중: -명 | ||
| 2 : 0 | |
| | |
9' 마예드 아델 하미스 52' 모하메드 부티 | | -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6. 5-1경기: 일본 2 : 3 호주
오카즈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동팡유 (중국) | ||
관중: -명 | ||
| 2 : 3 | |
| | |
7' 아즈토 후지타 85' 타니 다이치 | | 51' 마일스 밀리너 70' 맥스 아나스타시오 74' 알렉산더 가보스키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전반 일본이 빠르게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초반부터 체력이 빠르게 소진된 틈을 타 호주가 피지컬을 앞세워 일본을 거세게 밀어붙이더니 순식간에 무려 3골을 터트렸다. 일본은 타니 다이치가 1골을 만회했지만 그대로 2:3으로 패배했다. 그러나 반대편에서 UAE가 베트남을 상대로 후반 44분 기적같은 동점골을 터트려 준 덕분에 일본은 조별리그 탈락 위기에서 간신히 조 1위를 되찾아 8강에 진출했다.
일본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죽다 살아난 경기, 만약 만회골을 넣지 못하고 1:3으로 패배했거나, 아랍에미리트가 베트남을 상대로 동점골을 넣지 못했다면 조 1위 자리를 베트남에게 내주고 승자승에서 호주가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탈락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은 UAE의 기적같은 동점골이 없었다면 조별리그 탈락이였기에 한국 축구계가 급격하게 혼란을 겪는 상황 속에서 해당 대회에서는 인도네시아에 1차전을 패배하자 한국은 퇴보하고 있으며 일본도 언제든 방심하면 한국처럼 될 수 있고 그래서는 안 된다며 도발을 시전했다가 되려 뒤늦게나마 정신을 차리고 잔여경기 2경기를 이겨서 자력으로 8강에 진출한 한국에게 역풍을 맞게 되었다.
호주는 난타전 끝에 일본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동시간에 펼쳐진 베트남 vs UAE 경기가 무승부로 끝나 UAE와 서로 승점 4점과 득실점 -1이 되었으나 승자승에서 UAE한테 밀린 탓에(상대전적 UAE 3, 호주 0) 결국 이 경기를 이기고도 8강 및 U17 월드컵 진출이 좌절되는 눈물을 흘렸다.
7. 5-2경기: 베트남 1 : 1 아랍에미리트
킹 파드 스타디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 ||
주심: 모하메드 알 사마리 (카타르) | ||
관중: -명 | ||
| 1 : 1 | |
| ||
23' 호앙 쫑 주이 카앙 | | 87' 파이살 모하메드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 경기 풀영상 |
베트남이 선제골을 넣었으나 UAE가 종료 직전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거뒀다. UAE는 극적으로 조 2위를 차지했고, 덤으로 이 경기가 양 팀 중 한 팀의 승리로 끝났을 경우 호주에 패한 일본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할 뻔했기에 의도치 않게 일본을 구해냈다.
UAE는 호주와 같은 승점과 득실점이 되면서 승자승 원칙으로 조 2위로 일본에 이어 8강에 진출했다.[8]
반면 베트남 입장에선 그야말로 땅을 칠 노릇이 되었다. 호주와 일본에 2무를 거두고 UAE를 상대로 승리하기 직전까지 갔기에 1승 2무 조 1위가 확정적이였으나 후반 89분 내준 극장골로 순식간에 1승 2무 조 1위가 3무 조 꼴찌로 바뀌는 참사가 벌어지면서 3무 무패, 조 최하위 탈락이라는 안타까운 기록을 세웠으며 3차전의 마지막 순간 UAE에게 내준 동점골로 인해 한순간에 모든것을 잃고 말았다.
한편, 베트남이 막판에 허용한 통한의 동점골은 일본과 호주의 운명까지 바꿔버리고 말았는데, 만약 베트남이 동점골을 허용하지 않고 그대로 1:0 승리로 경기를 끝냈다고 가정하면 베트남이 1승 2무로 조 1위 8강 진출이 되고 호주는 1승 1무 1패로 일본과 동률에 승자승에서 앞서 조 2위로 8강에 합류할 수 있었다. 그러나 UAE의 동점골로 베트남을 제외한 3팀이 물고 물리는 형상이 되면서 결과적으로 호주까지 조 3위로 미끄러지게 만들었다.
[A] 한국시각 4월 5일 00:00[B] 한국시각 4월 5일 02:15[C] 한국시간 4월 8일 00:00[D] 한국시각 4월 8일 02:15[E] 한국시각 4월 11일 00:00[6] 2점차 이상으로 이기면 일본-호주-아랍에미리트의 3자 동률시, 동률팀간의 득실차에서 일본은 +1 이하, 호주는 0 이상, 아랍에미리트는 -1(3득점-4실점)이므로 8강이 100% 확정되며, 1점차로 이기고 8강에 가려면 베트남전을 제외하고 호주는 무득점이기 때문에 4:3 이상으로 이기거나 다른 경기에서 승부가 갈려야 한다. 5점차 이상 호주 승리시에는 일본의 탈락이 확정된다.[E] 한국시간 4월 11일 00:00[8] 일본, 호주, UAE 모두 베트남과 1:1 무승부를 거두었으므로 1무를 전적에서 빼고 득점과 실점에서 1씩 뺀다. 그러면 세 팀이 1승 1패로 물고 물리는데 일본은 +6/-4로 앞서 조 1위로 8강 진출, UAE와 호주는 +3/-4로 서로 동률이다. 여기서 다시 승자승을 따지면 UAE가 호주에 2:0으로 승리했으므로 UAE가 조 2위로 8강에 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