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12:37:22

후안 마누엘 판지오

후안 마누엘 판지오의 우승 및 수상 경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그랑프리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px;"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주세페 파리나 1950 영국 그랑프리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50 모나코 그랑프리
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니 파슨스 1950 인디애나폴리스 500
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리 왈러드 1951 인디애나폴리스 500
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파졸리 1951 프랑스 그랑프리
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살레스 1951 영국 그랑프리
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1951 독일 그랑프리
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피에로 타루피 1952 스위스 그랑프리
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트로이 루트만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1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빌 부코비치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11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1953 프랑스 그랑프리
1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모리스 트랭티냥 1955 모나코 그랑프리
1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밥 스웨이커트 1955 인디애나폴리스 500
14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1955 영국 그랑프리
1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무소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1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팻 플래허티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17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1956 벨기에 그랑프리
1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샘 행크스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19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1957 영국 그랑프리
2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지미 브라이언 1958 인디애나폴리스 500
21 파일:호주 국기.svg 잭 브라밤 1959 모나코 그랑프리
2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저 워드 1959 인디애나폴리스 500
23 파일:스웨덴 국기.svg 요 보니에르 1959 네덜란드 그랑프리
2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루스 맥라렌 195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25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짐 라스만 1960 인디애나폴리스 500
26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필 힐 1960 이탈리아 그랑프리
27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강 폰 트립스 1961 네덜란드 그랑프리
2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잔카를로 바게티 1961 프랑스 그랑프리
29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스 아일랜드 1961 미국 그랑프리
30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힐 1962 네덜란드 그랑프리
31 파일:영국 국기.svg 짐 클락 1962 벨기에 그랑프리
32 파일:미국 국기.svg 댄 거니 1962 프랑스 그랑프리
33 파일:영국 국기.svg 존 서티스 1963 독일 그랑프리
34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로렌초 반디니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5 파일:영국 국기.svg 재키 스튜어트 1965 이탈리아 그랑프리
36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긴서 1965 멕시코 그랑프리
3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도비코 스카피오티 1966 이탈리아 그랑프리
38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페드로 로드리게스 1967 남아공 그랑프리
3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니 흄 1967 모나코 그랑프리
40 파일:벨기에 국기.svg 재키 익스 1968 프랑스 그랑프리
41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 지페르트 1968 영국 그랑프리
4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헨 린트 196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클레이 레가조니 1970 이탈리아 그랑프리
4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에머슨 피티팔디 1970 미국 그랑프리
45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안드레티 1971 남아공 그랑프리
46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게딘 1971 이탈리아 그랑프리
4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수아 세베르 1971 미국 그랑프리
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벨투아즈 1972 모나코 그랑프리
49 파일:스웨덴 국기.svg 로니 피터슨 1973 네덜란드 그랑프리
50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레브슨 1973 프랑스 그랑프리
5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레우테만 1974 남아공 그랑프리
5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니키 라우다 1974 스페인 그랑프리
53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조디 셱터 1974 스웨덴 그랑프리
5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카를로스 파시 1975 브라질 그랑프리
55 파일:독일 국기.svg 요헨 마스 1975 스페인 그랑프리
56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헌트 1975 네덜란드 그랑프리
5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비토리오 브람빌라 197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8 파일:영국 국기.svg 존 왓슨 1976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9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닐손 1977 벨기에 그랑프리
60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라피트 1977 스웨덴 그랑프리
61 파일:호주 국기.svg 앨런 존스 197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6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드파일러 1978 모나코 그랑프리
63 파일:캐나다 국기.svg 질 빌르너브 1978 캐나다 그랑프리
64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자부이 1979 프랑스 그랑프리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65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네 아르누 1980 브라질 그랑프리
66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넬슨 피케 1980 미국 서부 그랑프리
67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피로니 1980 벨기에 그랑프리
68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프로스트 1981 프랑스 그랑프리
69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리카르도 파트레제 1982 모나코 그랑프리
7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톰베이 1982 독일 그랑프리
7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엘리오 드 안젤리스 1982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72 파일:핀란드 국기.svg 케케 로즈버그 1982 프랑스 그랑프리
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미켈레 알보레토 1982 시저스 팰리스 그랑프리
7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아일톤 세나 1985 포르투갈 그랑프리
75 파일:영국 국기.svg 나이젤 만셀 1985 유럽 그랑프리
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게르하르트 베르거 1986 멕시코 그랑프리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티에리 보우트센 1989 캐나다 그랑프리
7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레산드로 난니니 1989 일본 그랑프리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79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1992 벨기에 그랑프리
80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먼 힐 1993 헝가리 그랑프리
81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알레시 1995 캐나다 그랑프리
82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허버트 1995 영국 그랑프리
83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1995 포르투갈 그랑프리
84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1996 유럽 그랑프리
8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리비에 파니스 1996 모나코 그랑프리
86 파일:독일 국기.svg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997 산마리노 그랑프리
87 파일:핀란드 국기.svg 미카 하키넨 1997 유럽 그랑프리
88 파일:영국 국기.svg 에디 어바인 1999 호주 그랑프리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8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2000 독일 그랑프리
90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2001 산마리노 그랑프리
9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2001 이탈리아 그랑프리
92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2003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93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2003 브라질 그랑프리
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2003 헝가리 그랑프리
95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야르노 트룰리 2004 모나코 그랑프리
96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2006 헝가리 그랑프리
9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사 2006 터키 그랑프리
98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2007 캐나다 그랑프리
99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2008 캐나다 그랑프리
10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8 헝가리 그랑프리
101 파일:독일 국기.svg 세바스티안 베텔 2008 이탈리아 그랑프리
10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2009 독일 그랑프리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3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2012 중국 그랑프리
10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2 스페인 그랑프리
105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2014 캐나다 그랑프리
1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2016 스페인 그랑프리
10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2017 러시아 그랑프리
108 파일:모나코 국기.svg 샤를 르클레르 2019 벨기에 그랑프리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가슬리 2020 이탈리아 그랑프리
110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2020 사키르 그랑프리
1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오콘 2021 헝가리 그랑프리
112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2022 영국 그랑프리
113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러셀 2022 상파울루 그랑프리
114 파일:영국 국기.svg 랜도 노리스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115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카 피아스트리 2024 헝가리 그랑프리 }}}}}}}}}}}}}}}

파일:FIA 로고.svg
[[모나코 그랑프리|{{{#fff '모나코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9 1930 1931 193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르네 드레퓌스
루이 시롱
타치오 누볼라리
<rowcolor=#fff> 1933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아킬레 바르치
기 몰
루이지 파지올리
루돌프 카라치올라
<rowcolor=#fff> 1937 1948 1950 1952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비토리오 마르조토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rowcolor=#fff> 1959 1960 1961 1962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rowcolor=#fff> 1963 1964 1965 1966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7 1968 1969 1970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7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장피에르 벨트와즈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트리크 디파일러
울프
<rowcolor=#fff> 1979 1980 1981 1982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3 1984 1985 1986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1 1992 1993 1994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베네통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베네통
<rowcolor=#fff> 1999 2000 2001 2002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03 2004 2005 200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rowcolor=#fff> 2011 2012 2013 2014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rowcolor=#fff> 2019 2021 2022 202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24 2025 2026 2027
파일:모나코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프랑스 그랑프리|{{{#fff '프랑스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06 1907 1908 1912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시스 페렌츠
펠리체 나차로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조르주 부알로
<rowcolor=#fff> 1913 1914 1921 192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르주 부알로
크리스티안 라우텐슐라거
지미 머피
펠리체 나차로
듀센버그
<rowcolor=#fff> 1923 1924 192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헨리 세그레이브
주세페 캄파리
로베르 브누아
알베르 디보
선빔
들라주
들라주
<rowcolor=#fff> 1926 1927 1928 192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쥘 구
로베르 브누아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윌리엄 그로버 윌리엄스
들라주
<rowcolor=#fff> 1930 1931 193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필리프 에탕슬랭
아킬레 바르치
루이 시롱
타치오 누볼라리
<rowcolor=#fff> 1933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주세페 캄파리
루이 시롱
루돌프 카라치올라
장피에르 위밀
<rowcolor=#fff> 1936 1937 1938 193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루이 시롱
만프레트 폰 브라우히치
헤르만 뮐러
탈보
<rowcolor=#fff> 1947 1948 1949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 시롱
장피에르 위밀
루이 시롱
장피에르 포지
탈보
탈보
들라이예
<rowcolor=#fff> 1950 1951 195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이지 파지올리
<rowcolor=#fff> 1953 1954 1956 195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피터 콜린스
<rowcolor=#fff>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니 브룩스
잔카를로 바게티
<rowcolor=#fff> 1962 1963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rowcolor=#fff> 1974 1975 1976 1977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6 1987 1988 198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4 1995 1996 199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1998 1999 2000 2001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6 2007 2008 2018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9 2021 202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드라이버 챔피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1950 1951 1952 195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54 1955 1956 195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1974 1975 1976 1977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2 1983 1984 1985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6 1987 1988 1989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0 1991 1992 1993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4 1995 1996 199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1998 1999 2000 200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 2007 2008 2009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0 2011 2012 2013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2014 2015 2016 201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2018 2019 2020 202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2 2023 2024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이탈리아 그랑프리|{{{#fff '이탈리아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1 1922 1923 192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쥘 구
피에트로 보르디노
카를로 살라마노
안토니오 아스카리
발로
<rowcolor=#fff> 1925 1926 1927 192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가스토네 브릴리 페리
루이 샤라벨
로베르 브누아
루이 시롱
들라주
<rowcolor=#fff> 1931 1932 193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주세페 캄파리
타치오 누볼라리
타치오 누볼라리
루이지 파지올리
<rowcolor=#fff> 1934 1935 1936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주세페 캄파리
루돌프 카라치올라
한스 슈투크
베른 로제마이어
<rowcolor=#fff> 1937 1938 1947 1948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타치오 누볼라리
카를로 펠리세 트로시
장피에르 위밀
<rowcolor=#fff> 1949 1950 1951 195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53 1954 1955 195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57 1958 1959 196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rowcolor=#fff> 1961 1962 1963 196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루도비코 스카비오티
<rowcolor=#fff> 1969 1970 1971 197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피터 제신
마트라
<rowcolor=#fff> 1973 1974 1975 1976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치
<rowcolor=#fff> 1977 1978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1 1982 1983 198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9 1990 1991 199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3 1994 1995 1996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1 2002 2003 200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9 2010 2011 2012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 2014 2015 201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2021 2022 2023 2024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

파일:FIA 로고.svg
[[독일 그랑프리|{{{#fff '독일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6 1927 1928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오토 메르츠
루돌프 카라치올라
크리스티안 베르너
<rowcolor=#fff> 1929 1931 1932 1934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루이 시롱
루돌프 카라치올라
루돌프 카라치올라
한스 슈투크
<rowcolor=#fff> 1935 1936 1937 1938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타치오 누볼라리
베른드 로제마이어
루돌프 카라치올라
리처드 시어먼
<rowcolor=#fff> 1939 1950 1951 1952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돌프 카라치올라
<rowcolor=#fff> 1953 1954 1956 195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fff> 1958 1959 1960 196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토니 브룩스
<rowcolor=#fff> 1962 1963 1964 196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6 1967 1968 1969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마트라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74 1975 1976 1977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78 1979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86 1987 1988 1989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94 1995 1996 199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rowcolor=#fff> 1998 1999 2000 2001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06 2008 2009 2010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11 2012 2013 201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16 2018 201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
파일:FIA 로고.svg
[[영국 그랑프리|{{{#fff '영국 그랑프리}}}]]''
{{{#fff
역대 우승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26 1927 19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베르 세네샬
루이 바그네르
로베르 브누아
루이지 빌로레시
들라주
들라주
들라주
<rowcolor=#fff> 1949 1950 1951 1952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에마뉘엘 드 그라펜리드
호세 곤살레스
<rowcolor=#fff> 1953 1954 1955 195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곤살레스
란치아
<rowcolor=#fff> 1957 1958 195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토니 브룩스
피터 콜린스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4 1965 1966 196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68 1969 1970 1971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조 시페르
마트라
<rowcolor=#fff> 1972 1973 1974 1975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피터 레브슨
<rowcolor=#fff> 1976 1977 1978 1979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fff> 1984 1985 1986 198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88 1989 1990 1991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1996 1997 1998 1999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rowcolor=#fff> 2004 2005 2006 2007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08 2009 2010 201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fff> 2016 2017 2018 201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rowcolor=#fff> 2024
파일:영국 국기.sv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7년 아르헨티나의 방송국 텔레페가 아르헨티나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아르헨티나인 100명'을 선정했다.
TOP 10
<rowcolor=#fff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호세 데산 마르틴 레네 파발로로 후안 마누엘 판지오 알베르토 올메도 체 게바라
<rowcolor=#fff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디에고 마라도나 에바 페론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마누엘 벨그라노 로베르토 폰타나로사
11위~100위
<rowcolor=#fff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돌포 비오이 카사레 아돌포 페레스 에스키벨 알폰시나 스토르니 알프레도 알콘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rowcolor=#fff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알프레도 팔라시오스 알리시아 모로 드 후스토 앙헬 비센테 페냘로사 안토니오 베르니 아르투로 프론디시
<rowcolor=#fff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아르투로 움베르토 일리아 아스토르 피아졸라 아타우알파 유판키 바르톨로메 미트레 베니토 킨켈라 마르틴
<rowcolor=#fff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베르나르디노 리바다비아 베르나르도 우사이 칼푸쿠라 카를로스 빌라르도 카를로스 가르델
<rowcolor=#fff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카를로스 메넴 카를로스 몬존 카를로스 무기카 카를로스 레우테만 찰리 가르시아
<rowcolor=#fff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세사르 밀스테인 다니엘 파사레야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엔리케 앙젤렐리
<rowcolor=#fff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엔리케 산토스 디세폴로 에르네스토 사바토 에스테반 에체베리아 에스텔라 데 카를로토 파쿤도 키로가
<rowcolor=#fff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플로렌티노 아메히노 프란시스코 모레노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가브리엘라 사바티니 기예르모 빌라스
<rowcolor=#fff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구스타보 산타올랄라 헤베 데 보나피니 이폴리토 이리고옌 우고 포르타 호르헤 뉴베리
<rowcolor=#fff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호세 에르난데스 호세 마리아 가티카 후안 바우티스타 알베르디 후안 호세 카스텔리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
<rowcolor=#fff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후안 페론 후아나 아수르두이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 훌리오 보카 훌리오 코르타사르
<rowcolor=#fff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 레안드로 알렘 레온 히에코 리산드로 데 라 토레 롤라 모라
<rowcolor=#fff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루시아나 아이마르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루이스 산드리니 마누 지노빌리 마누엘 도레고
<rowcolor=#fff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마리아노 모레노 마리아노 모레스 마리오 켐페스 마리기타 산체스 마르틴 미겔 데 구에메스
<rowcolor=#fff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마리아 엘레나 월시 메르세데스 소사 니콜리노 로체 니니 마르샬 노르마 알레안드로
<rowcolor=#fff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네스토르 카를로스 키르치네르 오스카 보나베나 끼노 라몬 카리요 라울 알폰신
<rowcolor=#fff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리카르도 발빈 로베르토 알트 로베르토 비센조 로돌포 월시 로케 사엔스 페냐
<rowcolor=#fff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살바도르 마사 산드로 데 아메리카 타토 보레스 티타 메레요 술 솔라르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아르헨티나의 前 레이싱 드라이버
파일:Fangio.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후안 마누엘 판히오[1]
Juan Manuel Fangio
출생 1911년 6월 24일
아르헨티나 발카르세
사망 1995년 7월 17일 (향년 84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친족 조카 후안 마누엘 판히오 2세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eeeee,#191919> F1
출전 횟수 52회
월드 챔피언 5회(1951, 1954, 1955, 1956, 1957)
그랑프리 우승 24회
포디움 35회
폴 포지션 29회
패스티스트 랩 23회
첫 경기 1950 영국 그랑프리
첫 그랑프리 우승 1950 모나코 그랑프리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 1957 독일 그랑프리
마지막 경기 1958 프랑스 그랑프리
소속 알파 로메오 SpA (1950~1951)
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1953~1954)
다임러 벤츠 AG (1954~1955)
스쿠데리아 페라리 (1956)
오피치네 알피에리 마세라티 (1957)

스쿠데리아 수드 아메리카나 (1958)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58)
르망 24시
출전 횟수 11회
종합 우승 0회
클래스 우승 0회
소속 루이지 치네티 (1950)
오토모빌스 고르디니 (1950)
루이 뤼지에 (1951)
S.P.A. 알파 로메오 (1952, 1953)
스쿠데리아 란치아 (1954)
다임러-벤츠 AG (1955)
스쿠데리아 페라리 (1956)
마세라티 (1957)
}}}
파일:external/speedracing.50webs.com/r_james_hunt_jackie_stewart_dennis_hulme_nelson_piquet_Juan_manuel_fangio_ayrton_senna_jack_brabham_500_gps_f1_1990.jpg
역대 F1 챔피언들과 함께[2]

1. 개요2. 경력
2.1. 데뷔 전2.2. 초창기 커리어 & 첫 챔피언2.3. 슬럼프의 시작2.4. Pax Fangiona2.5. 은퇴 그 후
3. 각종 기록들
3.1. 판지오의 서킷 별 우승 목록


1. 개요

"판지오와 계약하는 것은 가장 쉽게 그랑프리를 우승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스털링 모스[3]

아르헨티나 출신의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는 46% 라는 경이로운 그랑프리 승률을 자랑하고 있고 유일하게 시즌 도중 팀을 바꾸면서 챔피언이 된 드라이버이며 역대 최고령 챔피언[4]이기도 하다. 또한 미하엘 슈마허2003년 챔피언이 되기 전까지 F1 역사상 최다 챔피언(5회)과 최다 연속 챔피언(4연속) 기록[5]을 가지고 있었다.

조국인 아르헨티나에서 사용되는 스페인어식으로는 판지오가 아니라 판히오/'fanχjo/로 발음되지만, Fangio는 이탈리아계 성씨이고 그는 조부가 이탈리아에서 이주해온 이탈리아계 아르헨티나인이기 때문에 이탈리아어식으로 판지오/'fandʒo/라고 불리기도 한다.

2. 경력

2.1. 데뷔 전

1911년 6월 24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주에서 태어난 판지오는 학교를 졸업하고 자동차 정비소를 운영하며 레이스에 꾸준히 참석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유럽에서의 각종 레이스가 중단되고 자국인 아르헨티나 역시 레이스를 금지시켰지만 판지오는 연습을 멈추지 않았고 1945년 종전 후 유럽으로 이동하여 본격적인 레이스 커리어를 시작하게 된다.

2.2. 초창기 커리어 & 첫 챔피언

이후 알파 로메오[6] 소속으로 F1에 데뷔하게된 그는 1950포뮬러 원으로 재편된 그랑프리 시리즈 2라운드인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폴투윈[7]을 차지하면서 그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해 다 잡았던 초대 F1 챔피언을 몬자에서 열린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기어박스 폭발로 리타이어 하며 영광의 초대 챔피언 자리를 주세페 파리나에게 내주고 만다.

다음해인 1951년 판지오는 프랑스, 영국, 독일 그랑프리에서 각각 1위, 2위, 2위를 기록하면서 산뜻한 출발을 하였으나, 이번에도 몬자에서 리타이어 하며 라이벌 알베르토 아스카리와 챔피언십 포인트 동점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시즌 마지막 그랑프리인 스페인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지난해 놓쳤던 챔피언 자리를 가져가게 되었고 이렇게 그의 F1커리어는 술술 잘 풀려나가는 듯 하였으나...

2.3. 슬럼프의 시작

1952년 알파 로메오F1에서 철수하게 되었고, 어쩔 수 없이 판지오는 마세라티이적했다. 당시 마세라티는 초대 챔피언인 주세페 파리나가 있었기에 파리나, 판지오 콤비는 시즌 전 부터 엄청난 기대를 모았고 당시 라이벌인 아스카리가 속해 있던 페라리와 함께 양강 구도를 형성할 거라는 예측이 난무했었다.

그러나 항상 그의 발목을 잡던 몬차 서킷에서 대형사고로 목뼈가 부러지는 중상을 입었다. 결국 판지오는 1952년 시즌을 포기했고 F1페라리와 아스카리의 천하가 되었다. 팀메이트이자 초대 챔피언인 파리나는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여주며 마세라티에서 방출됐다.

1953년 시즌 돌아온 판지오는 마세라티의 차량으로 분전하지만 시즌 초반 3전은 내리 페라리의 아스카리가 우승했고 판지오 자신은 모두 리타이어 하면서 챔피언십 포인트에 멀어지는 듯 했다. 하지만 이후의 그랑프리에서 연거푸 2위를 차지하면서콩라인 페이스를 끌어올렸고 마지막 그랑프리이자 그에게 언제나 상처만 주었던 몬차에서 우승하며 악연을 끊을 수 있었다. 하지만 초반 3전을 내리 리타이어한 것이 컸는지 챔피언은 디펜딩 챔프였던 아스카리에게 돌아갔고 마세라티에게 이물감을 느낀 판지오는 당시 새롭게 참여하는 다임러-벤츠로 이적하게 된다.

2.4. Pax Fangiona

1954년 메르세데스 팀으로 이적을 준비하던 판지오에게 다소 황당한 사건이 일어난다. 벤츠가 차량 제작이 안돼서 지곤조기를 시전한 것이다. 이게 뭐하자는 짓이냐 어쩔 수 없이 울며 겨자먹기로 마세라티에서 2번의 그랑프리를 뛰게 된 판지오는[8] 자국 아르헨티나벨기에에서 그랑프리를 우승하고 드디어 완성된 메르세데스 W196을 타고 프랑스 그랑프리에 나서게 된다. 결과는 대성공. 세 개의 그랑프리를 남겨두고 일찌감치 챔피언을 확정하면서 더블 챔피언에 자리에 올랐고 이는 판지오의 시대 'Pax Fangiona'의 서막을 알리는 시작이었다.

다음해에도 메르세데스 차량으로 시즌 6번의 그랑프리에서 4번을 우승하는 학살극을 벌이면서 최초의 트리플 챔피언의 자리에도 오른다. 당시 메르세데스 팀에는 영국이 낳은 최고의 드라이버 중 한명인 스털링 모스와 함께 팀을 이끌었으나 모스 또한 우수한 성적을 거뒀지만 한창 물이 오른 판지오의 상대가 되지는 못했다.

파일:external/www.turkiyef1.com/juan-manuel-fangio-mega-galeri-11.jpg
판지오와 모스의 메르세데스 차량.

그러나 1955년 메르세데스르망 24시에서의 사고로 차량이 관중석으로 날아가 관중들을 덮쳐 관중 80여명과 드라이버가 사망하는 1955년 르망 24시 참사가 벌어지고 모든 모터 스포츠에서 철수를 결정.[9] 판지오는 결국 페라리로 이적해야 했다. 갑작스러운 이적때문인지 모나코에서 리타이어 하는 등 시즌 초 부진에 빠지지만 중반부터 살아나기 시작했다. 마지막 레이스에서 판지오의 차량에 이상이 생기며 리타이어할 위기에 빠졌으나 팀메이트 피터 콜린스가 자신의 차량을 판지오와 공유해주며[10][11] 경쟁에서 승리 사상 최초의 4회 챔피언에 오르면 그의 시대를 입증한다.

다음해 마세라티로 돌아온 판지오는 또 한번 학살극을 시현하면서[12] 라이벌이었던 스털링 모스를 또 한번 제치고 통산 5회 챔피언이라는 대 기록을 남기게 된다. 당시 판지오의 나이가 46세! 2012년 당시 최고령 F1 드라이버였던 미하엘 슈마허의 나이가 44살이었던 걸 생각하면 엄청난 기록이라 할 수 있다.[13]

2.5. 은퇴 그 후

1957년 5회 챔피언을 달성한 후 다음해 은퇴한 판지오는 벤츠아르헨티나 법인의 사장을 지냈고, 사장직 은퇴후에는 "종신 명예사장"이라는 직함을 가지게 되었다.[14] 또한 은퇴를 선언한 1958년에는 쿠바에서 피델 카스트로가 이끄는 게릴라군에 납치(!)되는 일도 겪기도 했다. 그후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F1 그랑프리에 종종 나타나 후배 드라이버들에게 조언을 해주는 등의 역할을 맡기도 하다가[15] 1995년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84세를 일기로 숨을 거둔다. 그의 장례식은 국가적인 예우를 갖춰 진행되었으며 전 국민의 애도 속에 치러졌다.

판지오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지만 커리어 초창기부터 여러 여자들을 사귀었다고 하며, 그 과정에서 몇몇 여자들을 임신시켰다고 한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 2000년이 되어, 오스카르 에스피노사라는 사람이 나타나 자기가 판지오의 아들이라고 주장한다. 이후 판지오의 시체에서 추출한 DNA 감별을 통해 에스피노사는 판지오의 아들로 인정받았다. 이후 루벤 바스케스라는 사람이 나타나 자기도 판지오의 자식이라고 주장하는데 바스케스 역시 판지오의 아들로 인정받았다.

여담으로 카본파이버 슈퍼카인 파가니 존다로 유명한 파가니아르헨티나 출신 창업자 호라치오 파가니벤츠와 연결시켜 준 장본인이 판지오이며, 이 때의 인연으로 파가니에서는 벤츠에서 고성능 엔진을 공급받고 있다.

파일:external/www.google.co.kr/juan-manuel-fangios-105th-birthday-5648614586056704.2-hp.jpg

2016년 6월 24일에는 구글 로고가 그의 탄생 105주년을 기념하는 디자인으로 장식되었다.

3. 각종 기록들

초창기에 기록했던 그랑프리 최다승 기록이나 최다 챔피언은 미하엘 슈마허가 많이 깨트렸으나 6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있는 기록들이 존재한다.
  • 최다 승률(46%, 52회 그랑프리에서 24회 우승)
  • 최다 폴 포지션 퍼센트(55.8% 52회 그랑프리에서 29회 폴 포지션 기록)[16]
  • 최다 프론트 로우[17] 퍼센트(92.31% 52회 그랑프리중 48회(!))
  • 역대 최고령 챔피언(만 46세 41일)[18]
  • 가장 많은 팀에서 우승한 챔피언(알파 로메오, 마세라티, 메르세데스, 페라리)

3.1. 판지오의 서킷 별 우승 목록

서킷 이름 우승 연도 비고
모나코 서킷 1950, 1957 그랑프리 최초이자 첫 우승
스파프랑코샹 서킷 1950, 1954, 1955 그랑프리 최초 우승
랭스괴 1950
브렘가르텐 서킷 1951, 1954
페드랄베스 서킷 1951 그랑프리 최초 우승
국립 몬차 자동차 경주장 1953 ~ 1955
후안 이 오스카 갈베스 자동차경주장 1954 ~ 1957 최다 우승
뉘르부르크링 1954, 1956, 1957 마지막 우승
파크 잔드보르트 서킷 1955


[1] Fangio가 이탈리아계 성씨이기 때문에 '판지오'라 읽는 이들이 많으나, 아르헨티나 사람이기 때문에 '판히오'가 올바른 발음이다. 기본적으로 스페인어권에서는 유래와 상관없이 항상 스페인어 발음으로 읽는 경향이 강하다.[2] 사진 윗줄 왼쪽부터 1976년 챔피언 제임스 헌트, 1969년, 1971년, 1973년 챔피언 재키 스튜어트, 1967년 챔피언 데니 흄, 아랫줄부터 1981년, 1983년, 1987년 챔피언 넬슨 피케,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88년, 1990년, 1991년 챔피언 아일톤 세나, 1959년, 1960년, 1969년 챔피언 잭 브라밤 이 일곱명이 챔피언을 19번 달성 했다.[3] 레이싱으로 세운 업적으로 왕실 기사작위를 받은 영국인 드라이버. 비록 챔피언은 한 번도 해 보지 못했으나 알베르토 아스카리와 함께 판지오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기 때문에 무관의 제왕이라 불린다.[4] 46세[5] 이 기록은 현재 미하엘 슈마허, 세바스티안 베텔, 루이스 해밀턴, 막스 베르스타펜도 보유하고 있다.[6] 지금이야 알파 로메오를 떠올리면 고성능 세단 및 해치백 브랜드로 인식하는 경우가 잦지만 이 회사의 시작은 2도어 스포츠카였다. 초창기 모터스포츠와 인연이 매우 깊은 브랜드이며 후술하겠지만 F1의 역대 초대 챔피언이 바로 알파로메오 차량을 탄 파리나였다. 페라리의 설립자 엔초 페라리가 바로 여기 소속의 드라이버였다.[7] 폴 포지션을 획득하고 그 경기에서 우승하는 것.[8] 1954년시즌에는 미국에서 열리는 인디 500 레이스가 시즌 2라운드로 진행되었으나 판지오를 포함한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이 개최지까지 가기가 힘들다며 줄줄이 불참 선언을 했다. 애초에 예나 지금이나 인디 500 자체가 F1보다도 오래된 미국만의 레이스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에 인디 500 출전자들은 대부분 미대륙 출신인들이었고 유럽에서만 주로 활동하는 F1 드라이버들은 굳이 인디애나폴리스까지 안 가는 게 보편적인 당시의 시대상이었다. 그렇게 1950년부터 F1 캘린더에 포함되었던 인디 500은 1960년을 끝으로 F1 캘린더에서 완전히 빠지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교통이 발달하며 1960년대 이후에 오히려 인디 500에 참가하는 F1 드라이버들이 생겨나기 시작하게 되기도 한다. 아예 역대 최초의 비(非)미국인으로서의 우승까지 해 버린 짐 클락이 대표적인 예시.[9]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던 메르세데스인지라 여러 곳에서 대회참가를 유혹했지만 사고의 충격이 컸던 메르세데스는 끝끝내 참가를 거부하였다. 메르세데스가 모터스포츠에 정식으로 다시 뛰어든 것은 1988년 르망 24시에서였고, F1에서는 맥라렌 엔진공급사로서 1995년에 복귀하였다. 한동안 엔진공급사로만 활동하던 메르세데스가 직접 레이싱 팀을 운영하기 시작한 것은 2010년부터였다. 사고로 인한 충격과 그에 대한 책임으로 반 세기를 날린 셈.[10] 당시는 차량제작이 지금같지 않아서 드라이버들끼리 차량을 공유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11] 당시 콜린스는 판지오가 리타이어할 경우 자신이 챔피언에 오를 수 있었음에도 이런 신사도를 발휘했다.[12] 아르헨티나, 모나코, 프랑스, 독일에서 우승 두번의 이탈리아 그랑프리(몬자, 페스카라)에서 준우승[13] 다만 50년대에는 40대 드라이버가 그리 드문 편은 아니었다. 초대 챔피언이었던 파리나도 우승 당시 44세였고 심지어 1951시즌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우승한 루이지 파지오리의 나이는 53세였다.[14] 실제로 판지오 본인도 드라이버 커리어에서 최고의 차량을 벤츠 차량이라고 말해왔으니 이런 직함도 줄만하다.[15] 아일톤 세나가 가장 존경했던 드라이버가 바로 판지오였다.[16] 100회의 폴 포지션을 따낸 그 숏런 최강자인 루이스 해밀턴도 아직 깨지 못한 기록이다[17] 그리드의 1, 2번 그리드[18] 차량의 속도가 매우 빨라져 육체적 부담이 초창기의 F1과는 비교도 안 되게 늘어난 현재를 보면 앞으로도 절대 깨지질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드라이버 연령대도 옛날에는 40~50대, 심지어는 58세의 나이로 대회에 참석하는 경우도 있었을 정도로 고령의 드라이버가 많았지만 지금은 10대의 나이로 데뷔하기도 하고, 30대 후반만 되면 은퇴가 가깝다고 할 정도로 매우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