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30 14:34:47

헤이키 코발라이넨

헤이키 코발라이넨의 우승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04년 생드니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우승자
파일:Race of Champions logo.jpg
2003년 그란 카나리아
세바스티앙 로브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5년 생드니
세바스티앙 로브

2006년 생드니 레이스 오브 챔피언스 네이션스 컵 우승팀
파일:Race of Champions logo.jpg
2005년 생드니
파일:덴마크 국기.svg파일:스웨덴 국기.svg스칸디나비아
톰 크리스텐센
마티아스 엑스트룀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헤이키 코발라이넨
마르쿠스 그뢴홀름
2007년 런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미하엘 슈마허
제바스티안 페텔[1]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00><tablebgcolor=#f00>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
역대 그랑프리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px;"
{{{#!folding [ 195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주세페 파리나 1950 영국 그랑프리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후안 마누엘 판지오 1950 모나코 그랑프리
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조니 파슨스 1950 인디애나폴리스 500
4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리 왈러드 1951 인디애나폴리스 500
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파졸리 1951 프랑스 그랑프리
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프로일란 곤살레스 1951 영국 그랑프리
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베르토 아스카리 1951 독일 그랑프리
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피에로 타루피 1952 스위스 그랑프리
9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트로이 루트만 1952 인디애나폴리스 500
1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빌 부코비치 1953 인디애나폴리스 500
11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크 호손 1953 프랑스 그랑프리
1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모리스 트랭티냥 1955 모나코 그랑프리
13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밥 스웨이커트 1955 인디애나폴리스 500
14 파일:영국 국기.svg 스털링 모스 1955 영국 그랑프리
15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이지 무소 1956 아르헨티나 그랑프리
16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팻 플래허티 1956 인디애나폴리스 500
17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콜린스 1956 벨기에 그랑프리
18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샘 행크스 1957 인디애나폴리스 500
19 파일:영국 국기.svg 토니 브룩스 1957 영국 그랑프리
20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지미 브라이언 1958 인디애나폴리스 500
21 파일:호주 국기.svg 잭 브라밤 1959 모나코 그랑프리
2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로저 워드 1959 인디애나폴리스 500
23 파일:스웨덴 국기.svg 요 보니에르 1959 네덜란드 그랑프리
24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브루스 맥라렌 195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6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25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짐 라스만 1960 인디애나폴리스 500
26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필 힐 1960 이탈리아 그랑프리
27 파일:독일 국기.svg 볼프강 폰 트립스 1961 네덜란드 그랑프리
2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잔카를로 바게티 1961 프랑스 그랑프리
29 파일:영국 국기.svg 이네스 아일랜드 1961 미국 그랑프리
30 파일:영국 국기.svg 그레이엄 힐 1962 네덜란드 그랑프리
31 파일:영국 국기.svg 짐 클락 1962 벨기에 그랑프리
32 파일:미국 국기.svg 댄 거니 1962 프랑스 그랑프리
33 파일:영국 국기.svg 존 서티스 1963 독일 그랑프리
34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로렌초 반디니 1964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5 파일:영국 국기.svg 재키 스튜어트 1965 이탈리아 그랑프리
36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 긴서 1965 멕시코 그랑프리
3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루도비코 스카피오티 1966 이탈리아 그랑프리
38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페드로 로드리게스 1967 남아공 그랑프리
3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데니 흄 1967 모나코 그랑프리
40 파일:벨기에 국기.svg 재키 익스 1968 프랑스 그랑프리
41 파일:스위스 국기.svg 요 지페르트 1968 영국 그랑프리
4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요헨 린트 1969 미국 그랑프리 }}}}}}{{{#!folding [ 197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43 파일:스위스 국기.svg 클레이 레가조니 1970 이탈리아 그랑프리
4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에머슨 피티팔디 1970 미국 그랑프리
45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안드레티 1971 남아공 그랑프리
46 파일:영국 국기.svg 피터 게딘 1971 이탈리아 그랑프리
47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수아 세베르 1971 미국 그랑프리
48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벨투아즈 1972 모나코 그랑프리
49 파일:스웨덴 국기.svg 로니 피터슨 1973 네덜란드 그랑프리
50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레브슨 1973 프랑스 그랑프리
5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카를로스 레우테만 1974 남아공 그랑프리
5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니키 라우다 1974 스페인 그랑프리
53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조디 셱터 1974 스웨덴 그랑프리
5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카를로스 파시 1975 브라질 그랑프리
55 파일:독일 국기.svg 요헨 마스 1975 스페인 그랑프리
56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헌트 1975 네덜란드 그랑프리
57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비토리오 브람빌라 1975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8 파일:영국 국기.svg 존 왓슨 1976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59 파일:스웨덴 국기.svg 군나르 닐손 1977 벨기에 그랑프리
60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크 라피트 1977 스웨덴 그랑프리
61 파일:호주 국기.svg 앨런 존스 1977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62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드파일러 1978 모나코 그랑프리
63 파일:캐나다 국기.svg 질 빌르너브 1978 캐나다 그랑프리
64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피에르 자부이 1979 프랑스 그랑프리 }}}}}}{{{#!folding [ 198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65 파일:프랑스 국기.svg 르네 아르누 1980 브라질 그랑프리
66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넬슨 피케 1980 미국 서부 그랑프리
67 파일:프랑스 국기.svg 디디에 피로니 1980 벨기에 그랑프리
68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프로스트 1981 프랑스 그랑프리
69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리카르도 파트레제 1982 모나코 그랑프리
7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패트릭 톰베이 1982 독일 그랑프리
7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엘리오 드 안젤리스 1982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72 파일:핀란드 국기.svg 케케 로즈버그 1982 프랑스 그랑프리
73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미켈레 알보레토 1982 시저스 팰리스 그랑프리
74 파일:브라질 국기(1968-1992).svg 아일톤 세나 1985 포르투갈 그랑프리
75 파일:영국 국기.svg 나이젤 만셀 1985 유럽 그랑프리
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게르하르트 베르거 1986 멕시코 그랑프리
77 파일:벨기에 국기.svg 티에리 보우트센 1989 캐나다 그랑프리
78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알레산드로 난니니 1989 일본 그랑프리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79 파일:독일 국기.svg 미하엘 슈마허 1992 벨기에 그랑프리
80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먼 힐 1993 헝가리 그랑프리
81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 알레시 1995 캐나다 그랑프리
82 파일:영국 국기.svg 조니 허버트 1995 영국 그랑프리
83 파일:영국 국기.svg 데이빗 쿨싸드 1995 포르투갈 그랑프리
84 파일:캐나다 국기.svg 자크 빌르너브 1996 유럽 그랑프리
85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리비에 파니스 1996 모나코 그랑프리
86 파일:독일 국기.svg 하인츠하랄트 프렌첸 1997 산마리노 그랑프리
87 파일:핀란드 국기.svg 미카 하키넨 1997 유럽 그랑프리
88 파일:영국 국기.svg 에디 어바인 1999 호주 그랑프리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89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벤스 바리첼로 2000 독일 그랑프리
90 파일:독일 국기.svg 랄프 슈마허 2001 산마리노 그랑프리
91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파블로 몬토야 2001 이탈리아 그랑프리
92 파일:핀란드 국기.svg 키미 라이코넨 2003 말레이시아 그랑프리
93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지안카를로 피지켈라 2003 브라질 그랑프리
94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알론소 2003 헝가리 그랑프리
95 파일:이탈리아 국기(2003-2006).svg.png 야르노 트룰리 2004 모나코 그랑프리
96 파일:영국 국기.svg 젠슨 버튼 2006 헝가리 그랑프리
97 파일:브라질 국기.svg 펠리페 마사 2006 터키 그랑프리
98 파일:영국 국기.svg 루이스 해밀턴 2007 캐나다 그랑프리
99 파일:폴란드 국기.svg 로버트 쿠비차 2008 캐나다 그랑프리
100 파일:핀란드 국기.svg 헤이키 코발라이넨 2008 헝가리 그랑프리
101 파일:독일 국기.svg 세바스티안 베텔 2008 이탈리아 그랑프리
102 파일:호주 국기.svg 마크 웨버 2009 독일 그랑프리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3 파일:독일 국기.svg 니코 로즈버그 2012 중국 그랑프리
104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파스토르 말도나도 2012 스페인 그랑프리
105 파일:호주 국기.svg 다니엘 리카도 2014 캐나다 그랑프리
10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막스 베르스타펜 2016 스페인 그랑프리
107 파일:핀란드 국기.svg 발테리 보타스 2017 러시아 그랑프리
108 파일:모나코 국기.svg 샤를 르클레르 2019 벨기에 그랑프리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No. 드라이버 첫 그랑프리 우승
<colbgcolor=#ff0000><colcolor=#fff> 109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 가슬리 2020 이탈리아 그랑프리
110 파일:멕시코 국기.svg 세르히오 페레스 2020 사키르 그랑프리
111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스테반 오콘 2021 헝가리 그랑프리
112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2022 영국 그랑프리
113 파일:영국 국기.svg 조지 러셀 2022 상파울루 그랑프리
114 파일:영국 국기.svg 랜도 노리스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115 파일:호주 국기.svg 오스카 피아스트리 2024 헝가리 그랑프리 }}}}}}}}}}}}}}}

2016년 전일본 오토박스 슈퍼GT GT500 시즌 챔피언
2015년
마츠다 츠기오
로니 킨타렐리
헤이키 코발라이넨
히라테 코헤이
2017년
히라카와 료
닉 캐시디
}}}
파일:F416B998-24F7-482D-BDCB-23E91B0A3C99.jpg
<colbgcolor=#d40000> 토요타 GAZOO 레이싱 팀 SARD No. 39
헤이키 코발라이넨
(Heikki Kovalainen)
생년월일 1981년 10월 19일 ([age(1981-10-19)]세)
국적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출신지 핀란드 수오무살미
소속팀 드라이버 (F1) 르노 F1 팀 (2004~2006 / 테스트 드라이버)
르노 F1 팀 (2007)
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2008~2009)
팀 로터스 (2010~2011)
케이터햄 F1 팀 (2012)
케이터햄 F1 팀(2013 / 테스트 드라이버)
로터스 F1 팀 (2013)[2]
드라이버 (DTM) BMW 모터스포트 (2014 / 테스트 드라이버)
드라이버 (슈퍼 GT) 렉서스SARD (2015~2019)
토요타 가주 레이싱SARD[3] (2020~21)
드라이버 (IGTC) 페라리 (2019)
정보 더 보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eeeeee,#191919> 출전 횟수 112경기
월드 챔피언 0회
그랑프리 우승 1회
포디움 4회
폴 포지션 1회
첫 경기 2007 호주 그랑프리
패스티스트 랩 2회
폴 투 윈 0회
첫 그랑프리 우승 2008 헝가리 그랑프리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
마지막 경기 2013 브라질 그랑프리 }}}


1. 개요

핀란드 출신의 슈퍼 GT 드라이버이자 前 F1 드라이버.

2. 드라이버 경력

2.1. 포뮬러 1 이전

1991년에 카트에 올라 1999년/2000년 핀란드 포뮬러 A 챔피언, 2000년 세계 포뮬러 슈퍼 A 챔피언십에서 우승하고 2001년에 자우버에 입단한 키미 래이쾨넨을 대신해 영국 포뮬러 르노로 올라왔다. 포뮬러 르노에서 4위를 수상, 신인상을 받았고, F3 마카오 그랑프리에서 8위를 하는 등 괜찮은 성적을 보였다. 이후 F3, 포뮬러 르노 3.5 (당시는 닛산 월드 시리즈), GP2를 차례로 밟으며, 2005년 GP2에서 준우승을 하였다.[4]

2.2. 포뮬러 1

2.2.1. 르노 F1 팀

2004년 입단 테스트를 받았고, 테스트 드라이버로 발탁되었다. 2007년 페르난도 알론소가 맥라렌으로 이적하자 그의 시트를 채우게 되었다.
2.2.1.1. 2007 시즌
데뷔전인 오스트리아 GP에서 10위, 바레인 GP, 스페인 GP, 모나코 GP에서 각각 9위, 7위, 13위를 하였다.

미국 GP에서는 6그리드를 차지, 안정적으로 6위로 크루징하다 앞 순위의 닉 하이트펠트가 고장으로 리타이어, 5위를 하였다. 프랑스 GP에서는 토요타의 야르노 트룰리와 충돌해 리타이어.

이후는 지속적으로 포인트권에 들며 괜찮은 모습을 보였다. 2007 시즌은 30포인트로 7위로 마감하였다.

2.2.2. 맥라렌 F1 팀

맥라렌에 갔던 알론소가 루이스 해밀턴과의 갈등과 팀의 내분, 불화로 인해 르노로 복귀하면서 맥라렌으로 이적하였다.
2.2.2.1. 2008 시즌
첫 2경기에서는 5위를 차지했고, 스페인 GP에서는 폴 포지션을 차지했는데, 본선에서 타이어 펑쳐로 방호벽에 부딪혀 리타이어, 뇌진탕 부상으로 실려나갔다.

터키 GP에서는 2그리드를 받았는데, 키미 래이쾨넨과 배틀 중 펑쳐가 나 12위로 피니시. 모나코에서는 타이어 관리에 어려움을 겪으며 9위로 피니시했다.

프랑스 GP에서는 마크 웨버를 막았다는 이유로 5그리드 페널티를 받고 10그리드로 출발했으나 4위로 체커기를 받았다.

영국 GP에서는 폴 포지션을 얻었으나 후륜 타이어 마모로 2번이나 스핀, 5위로 마감하였다. 독일 GP에서도 5위를 했다. 5발라이넨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n94kcu7Ofx1rb2fzoo2_1280.jpg
처음이자 마지막 그랑프리 우승인 2008년 헝가리에서.
헝가리 GP를 앞두고 맥라렌과 2009년까지 재계약했으며, 헝가리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인 그랑프리 우승을 달성한다. 3랩이 남은 상황에서 2위로 달리는 도중 선두였던 펠리페 마싸가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여 우승을 차지하게 된다. 이 경기에서 우승함으로써 헤이키는 포뮬러 1의 100번째 우승자가 되었다.

발렌시아에서는 5위, 벨기에에서 기어박스 문제로 리타이어했다. 이탈리아 GP에서는 브레이크 냉각 문제가 있었음에도 제바스티안 페텔에 이은 2위를 했다.

싱가포르에서 10위, 일본에서 3위, 중국 GP에서는 리타이어했다.

2008 시즌 맥라렌의 MP4/23은 해밀턴에게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시즌 동안 해밀턴과 드라이빙 스타일이 달라 마모가 심해져 타이어와 계속 씨름했다. 53포인트로 7위로 마감. 팀메이트였던 해밀턴은 월드 챔피언이 되었다.
2.2.2.2. 2009 시즌
이 시즌에서는 대폭 변화된 자동차 규정에 적응하지 못한 것은 페라리나 맥라렌, BMW 모두 같았기 때문에 브런레드불이 치고 나가는 것을 손 빨고 보아야 했다. 해밀턴도 전 시즌들과 같은 인상적인 활약은 못했으나 시즌이 진행되며 개량된 중후반에는 어느 정도 괜찮은 활약을 했다. 최종 성적은 22포인트로 12위.

결국 시트를 잃었다. 그의 자리는 2009년 챔피언인 젠슨 버튼이 대신하게 된다.

2.2.3. 팀 로터스 / 케이터햄 F1 팀

야르노 트룰리와 함께 영입되었는데, 로터스의 저열한 성능으로 인해 2010년 ~ 2012년 동안 0포인트로 20위 (2010), 22위 (2011, 2012)로 마감했다. 지못미

2.2.4. 로터스 F1 팀

2.3. 독일 투어링카 마스터즈

결국 DTM으로 빠져나갔으며 BMW에 테스트 드라이버로 영입되었다.

2.4. 슈퍼 GT

2.4.1. 렉서스사드

렉서스에서 영입하여 슈퍼 GT로 이적하였다. 오피셜(아카이브) 히라테 코헤이를 새 팀메이트로 맞이하였다.

파일:CAF12E6B-5F64-4FFE-B632-4D5D9FC13DA3.jpg
2016년에는 F1에서 하지 못했던 디펜딩 챔피언을 달성했다.

2.4.2. 토요타 가주 레이싱사드

2020년 렉서스가 모회사인 토요타 이름으로 팀명을 변경하였다.

현재 성적은 28포인트로 8위이다.

2021년을 마지막으로 팀을 떠났다.

3. 연도별 성적

시즌 시리즈 경기 우승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포디움 포인트 순위
2001 포뮬러 르노 영국 포르텍 모터스포트 13 2 2 3 5 243 4위
마카오 그랑프리 1 0 0 0 0 - 8위
한국 슈퍼 프릭스 1 0 0 0 0 - 25위
2002 영국 포뮬러 3 챔피언십 26 5 2 3 12 257 3위
마카오 그랑프리 1 0 0 0 1 - 2위
한국 슈퍼 프릭스 1 0 0 0 0 - 14위
마스터스 오브
포뮬러 3
1 0 0 0 0 - 4위
2003 월드 시리즈
by 닛산
가보드 컴페티션 18 1 3 1 4 134 2위
2004 폰스 레이싱 18 6 10 8 11 176 1위
2005 GP2 아르덴 인터내셔널 23 5 2 1 12 105 2위
2007 포뮬러 1 ING 르노 F1 팀 17 0 0 0 1 30 7위
2008 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18 1 1 2 3 53 7위
2009 17 0 0 0 0 22 12위
2010 팀 로터스 19 0 0 0 0 0 20위
2011 19 0 0 0 0 0 22위
2012 케이터햄 F1 팀 20 0 0 0 0 0 22위
2013 로터스 F1 팀 2[5] 0 0 0 0 0 21위
2015 슈퍼 GT 렉서스 팀 SARD 8 0 0 0 0 23 13위
2016 8 1 2 0 4 82 1위
2017 8 1 0 0 2 44 8위
2018 8 1 0 0 2 42 9위
2019 8 1 0 0 1 44 5위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페라리 1 0 0 0 0 0 NC
2020 슈퍼 GT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팀 SARD
6 1 0 0 1 31 11위
2021 3 0 0 0 0 14 8위*
*:현재 진행중

4. 여담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704px-Heikki_wallpaper2_large.jpg
2012년 6월, 앵그리 버드에서 Angry Birds Heikki 게임이 출시되었다.[6] F1 대회를 테마로 열렸던 게임인데 스토리는 F1 경기장에서 돼지들이 알을 훔쳐가자 헤이키가 테렌스에게 헬멧을 주고 새들이 돼지들을 응징한다는 내용.

게임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하면 게임에 참여할 수 있었고 오른쪽 창에 순위와 헤이키의 점수가 표시되어 세계 사람들 및 헤이키와 경쟁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게임에 특별한 코드[7]를 입력하면 헬멧 쓴 테렌스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동거리가 기존에 비하여 늘어난 것이 특징. 이 테렌스를 사용하지 않으면 별 3개를 얻을 수 없는 스테이지도 존재한다.

스테이지는 영국 실버스톤, 독일 호켄하임, 헝가리 부다페스트, 벨기에 프랑코샹, 이탈리아 몬자, 싱가포르, 일본 스즈카, 대한민국 영암군, 인도 뉴델리, 아부다비 야스 섬, 미국 오스틴, 브라질 상파울루 등, F1 대회가 열리는 서킷 들을 모티브로 하였다. 2012년 11월 21일에 모든 스테이지가 열렸으며 2013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헤이키도 한때는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아주 잠깐... 이후 로터스/케이터햄의 처참한 성능으로 인해 플라잉 핀이라는 별명이 무색하게 은퇴 전 마지막 몇시즌은 노포인트로 피니쉬하고 말았다. 그래도 플라잉핀답게 실력 하나는 뛰어나다.

커리어가 꽤나 불행의 연속이였던 드라이버다. 르노는 전성기인 2004년에 합류하긴 했지만 제대로된 데뷔는 전성기가 막 끝났던 2007년이였고, 2008년부터 2009년까진 해밀턴에게 맞춰진 맥라렌을 드라이브하느라 고생했다. 이후 부진으로 방출, 시트를 찾긴 했지만 하필이면 그게 로터스/케이터햄이였고... 결국 남은 커리어는 노포인트로 마감했다.

로터스/케이터햄 시절 프리시즌, 굉장히 병맛 그 자체의 광고를 찍었다.# 해당 광고는 핀란드 민영방송인 MTV3의 광고였다고. 맨손으로 얼음낚시를 하고 말이랑 추격전을 찍다가 갑자기 "Perkele"[8]라고 외치는 괴상한 스토리를 자랑한다. 마지막 문구도 병맛이다. "챔피언 VS 세상에서 가장 빠른 헤이키"...

전설의 마크 웨버 비행짤의 주인공이다. 당시 유럽 그랑프리였고, 정황상 백마커였던 헤이키의 뒤에서 웨버가 덮쳐버리며 비행을 한것으로 추정된다. 본인이 날아다니는 대신 다른사람을 날려버렸다

5. 둘러보기

파일:external/supergt.net/8043_sgtlogo.jpg
GT500 클래스 참가 팀 및 드라이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4 시즌
No. 소속 차량 국적 성명 사용
타이어
3 니스모 NDDP 닛산 Z 니스모 GT500
니테라 모튤 Z
파일:일본 국기.svg 미야케 아츠시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미츠노리 타카보시
8 ARTA 혼다 시빅 타입 R-GT GT500
ARTA 무겐 시빅 타입 R-GT #8
파일:일본 국기.svg 노지리 토모키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시타 노부하루
12 팀 임펄 닛산 Z 니스모 GT500
마렐리 임펄 Z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미네 카즈키 브리지스톤
파일:벨기에 국기.svg 베르트랑 바게트
14 TGR에네오스 루키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에네오스 X 프라임 GR 수프라
파일:일본 국기.svg 오시마 카즈야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후쿠즈미 니레이
16 ARTA 혼다 시빅 타입 R-GT GT500
ARTA 무겐 시빅 타입 R-GT #16
파일:일본 국기.svg 오츠 히로키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렌
17 아스테모 리얼 레이싱 혼다 시빅 타입 R-GT GT500
아스테모 시빅 타입 R-GT
파일:일본 국기.svg 츠카코시 코다이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 카쿠노신[1]
19 TGR 팀 웨드스포츠 반도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웨드스포츠 어드밴 GR 수프라
파일:일본 국기.svg 쿠니모토 유지 요코하마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구치 세나
23 팀 니스모 닛산 Z 니스모 GT500
모튤 오텍 Z
파일:일본 국기.svg 치요 카츠마사 브리지스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로니 퀸타렐리[2]
24 콘도 레이싱 닛산 Z 니스모 GT500
리얼라이즈 코퍼레이션 어드밴 Z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다 츠기오 요코하마
파일:일본 국기.svg 나토리 텟페이
36 TGR 팀 au 톰즈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au 톰즈 GR 수프라
파일:일본 국기.svg 츠보이 쇼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시타 켄타
37 TGR 팀 딜로이트 톰즈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딜로이트 톰즈 GR 수프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줄리아노 알레시
파일:일본 국기.svg 사사하라 우쿄
38 TGR 팀 키퍼 세루모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키퍼 세루모 GR 수프라
파일:일본 국기.svg 오유 토시키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우라 히로아키
39 TGR 팀 SARD 토요타 GR 수프라 GT500
덴소 코벨코 사드 GR 수프라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구치 유히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야마 유이치
64 모듈러 나카지마 레이싱 혼다 시빅 타입 R-GT GT500
모듈러 시빅 타입 R-GT
파일:일본 국기.svg 이자와 타쿠야 던롭
파일:일본 국기.svg 오쿠사 리키
100 팀 쿠니미츠 혼다 시빅 타입 R-GT GT500
스탠리 시빅 타입 R-GT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모토 나오키 브리지스톤
파일:일본 국기.svg 마키노 타다스케

[1] 2025년부터 IMSA 참가로 인해 잠정 은퇴[2]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

}}}}}}}}} ||



[1] 역대급 멘토와 멘티관계인데 이때 둘이서 팀을 했으니 말 안해도 다 알 만큼 경기를 싹쓸이하고 우승 다 해먹었다(...).[2] 중간에 케이터햄이 재정난으로 시즌 후반부 경기 몇 개를 불참했는데, 로터스에서 당시 키미 래이쾨넨이 허리 부상으로 미국 그랑프리를 치를 수 없게 되자 잠깐 데려왔다. 2경기를 치렀으며 0포인트 21위로 마감.[3] 2020년에 팀명이 렉서스 팀 SARD에서 토요타 가주 레이싱 팀 SARD로 변경되었다.[4] 당시 챔피언은 팀메이트였던 니코 로즈버그.[5] 부상으로 결장한 키미 래이쾨넨을 대신하여 출전[6] 당시 로비오가 공식 스폰서로 참여하였다.[7]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8] 핀란드어로 악마라는 뜻이며, 흔히 욕설로 자주 사용된다고. 뉘앙스를 봤을땐 ㅈ까라고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