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16:10:35

포뮬러 1/2024시즌/6R~10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4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24시즌/1R~5R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24시즌/11R~14R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파일:미국 국기.svg 6R: 포뮬러 1 크립토닷컴 마이애미 그랑프리 2024 (마이애미 GP)
2.1. 프랙티스2.2. 스프린트 퀄리파잉2.3. 스프린트2.4. 퀄리파잉2.5. 레이스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R: 포뮬러 1 MSC 크루즈 그란 프레미오 델 메이드 인 이탈리아 에 델'에밀리아-로마냐 2024 (에밀리아-로마냐 GP)
3.1. 프랙티스3.2. 퀄리파잉3.3. 레이스
4. 파일:모나코 국기.svg 8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24 (모나코 GP)
4.1. 프랙티스4.2. 퀄리파잉4.3. 레이스
5. 파일:캐나다 국기.svg 9R: 포뮬러 1 AWS 그랑프리 두 캐나다 2024 (캐나다 GP)
5.1. 프랙티스5.2. 퀄리파잉5.3.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10R: 포뮬러 1 아람코 그란 프레미오 데 에스파냐 2024 (스페인 GP)
6.1. 프랙티스6.2. 퀄리파잉6.3. 레이스

1. 개요

포뮬러 1의 2024 시즌 중 6R부터 10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미국 국기.svg 6R: 포뮬러 1 크립토닷컴 마이애미 그랑프리 2024 (마이애미 GP)

마이애미 그랑프리 일정 (한국 시간 기준)
프랙티스 1 5/4 (토)
01:30 ~ 02:30
스프린트 퀄리파잉 5/4 (토)
05:30 ~ 06:14
스프린트 5/5 (일)
01:00 ~ 02:00
퀄리파잉 5/5 (일)
05:00 ~ 06:00
레이스 5/6 (월)
05:00
<bgcolor=#6ae667> 파일:헐크자우버.jpg
니코 휠켄베르크, 2024시즌 종료 이후 킥 자우버 이적
4월 26일, 니코 휠켄베르크가 이번 시즌 종료 이후 하스를 떠남과 동시에 킥 자우버로 이적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2026시즌부터 자우버를 인수하여 참가하는 아우디의 의중이 반영된 딜이라고 한다.[1] 이번 시즌에 있을 것으로 이미 예상되었던 드라이버 대규모 연쇄 이동의 시작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3년간 자우버에서 함께 활약한 발테리 보타스저우관위 중 최소 한 명은 올해가 자우버에서의 마지막 시즌이 되었다. 공석이 된 하스의 시트에는 유망주 올리버 베어먼이 자리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bgcolor=#00047f> 파일:뉴이 결별.jpg
애드리언 뉴이, 레드불과 결별
그리고 5월 1일에는 큰 이변을 일으킬 소식이 나왔는데, 레드불 RB7, 레드불 레이싱 RB19 등의 역사적인 위닝카를 만들던 레드불의 치프 엔지니어 애드리언 뉴이와 레드불의 결별이 확정되었다. 뉴이와 레드불의 결별은 즉시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이번 달부터 뉴이는 레드불 F1과 관련된 업무에서 완전히 물러나고[2] 이적 제한이 풀리는 내년 5월 FA로 방출된다. 현재 뉴이는 애스턴 마틴의 제안을 거절하고 페라리메르세데스[3] 중 페라리에 합류하는 것이 유력해 보이는데, 만약 페라리로 이적이 확정된다면 페라리가 다음 시즌부터 정말로 챔피언십 우승 경쟁에 뛰어들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4] 무엇보다도 현재 뉴이가 팀에서 물러난 이상 이번 시즌 레드불의 레이스 카 업데이트에는 당연히 큰 차질이 생길 것이므로 올해 레드불의 경쟁력이 떨어질지, 아니면 뉴이가 남긴 것을 잘 이어나가서 변함없이 완벽한 시즌을 보낼 것인지가 이번 시즌의 관건이다.[5]

뉴이가 이탈한 원인에는 크리스티안 호너 측과 헬무트 마르코 측의 권력 다툼이 주요 원인이었으나, 부수적으로는 팀 내 고위 인사들과의 사이가 악화된 것이 원인이기도 했다는 디 애슬레틱의 보도가 나왔다. # 일부 고위 인사들이 2022시즌부터의 규정 하에 레드불의 레이스 카가 줄곧 최상위권을 차지한 것에는 뉴이의 비중이 많지 않았을 것이라고 하며 뉴이와의 긴장감이 높아졌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결국 지난 3년간 조금씩 쌓여온 뉴이의 불만은 레드불 내의 권력 다툼 속의 불안함까지 더해지며 팀에서의 이탈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파일: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피렐리 프리뷰.jpg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타이어 할당
이번 마이애미 그랑프리에선 C2, C3, C4 컴파운드 타이어가 할당되었다.
세션별 날씨 예보[시작]
<colbgcolor=#21c6ff> 날씨 파일:구글 맑음.png 파일:구글 맑음.png 파일:구글 구름 많음.png 파일:구글 맑음.png 파일:구글 맑음.png
맑음 맑음 구름 조금 맑음 맑음
세션 FP1 스프린트 퀄리파잉 스프린트 퀄리파잉 레이스
기온 29°C 29°C 28°C 29°C 28°C
바람 (동) 5.3m/s (동) 6.4m/s (동) 5.3m/s (동) 5.8m/s (동) 6.7m/s
강수 확률 0% 0% 5% 0% 0%
마이애미열대 몬순 기후에 위치하여 대부분 따뜻하거나 더운 날씨가 이어지는 기후의 특성을 보인다. 이 기후의 특성이 레이스 주말에도 이어져 고온 속에서 레이스가 치러질 가능성이 높다. 강수 확률 역시 0에 가까워 맑은 날씨 속에서 레이스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1. 프랙티스

파일: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FP1 결과.jpg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프랙티스 1 결과

2.2. 스프린트 퀄리파잉

스프린트 퀄리파잉 (S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27.641 1번째
P2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108s 2번째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0.235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0.403s 4번째
P5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0.462s 5번째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520s 6번째
P7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734s 7번째
P8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778s 8번째
P9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831s 9번째
P1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0.835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S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SQ3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1:28.330 S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0.013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041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0.049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284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No time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S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SQ2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1:29.040 S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0.145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0.227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0.320s 19번째[-3][Impeding_PIA_SQ1]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511s 18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818s PL[Parc_ferme] }}}}}}}}}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프린트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SQ1
SQ1에선 맥라렌 듀오끼리 1번 코너에서 소통 부족으로 잠깐의 컨택이 있던 것을 제외하면 큰 이변은 일어나지 않았다. 알렉산더 알본은 간발의 격차로 16위를 기록했으나 이후 트랙을 벗어나 이득을 본 것이 확인되어 최하위로 격하되었고, 피에르 가슬리자우버 듀오, 로건 사전트가 최하위 5순위를 확정지었다. 그렇게 SQ1 탈락자는 16위부터 가슬리, 저우관위, 발테리 보타스, 사전트, 알본으로 정해졌다. 더불어 보타스의 경우 세션 도중 오스카 피아스트리의 플라잉 랩을 방해한 것이 확인되어 3그리드 페널티를 받아 19그리드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SQ2
SQ2에선 주말 이전에 플로어 업데이트를 상당수 단행한 메르세데스의 두 드라이버가 나란히 탈락하게 되었다. 다소 불안정한 레이스 카 움직임을 보이며 좋지 못한 랩타임을 기록했는데, 특히 루이스 해밀턴은 16번 코너의 탈출 구간에 위치한 벽에 충돌하기도 했다. 그렇게 SQ2 탈락자는 11위부터 조지 러셀, 해밀턴, 에스테반 오콘, 케빈 마그누센, 츠노다 유키로 정해졌다.

SQ3
이번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프린트 퀄리파잉에서의 맨 앞 그리드를 차지한 드라이버는 여지없이 막스 베르스타펜이었다. 15번 코너에서 삐끗하며 크게 흔들린 막스였지만, 경쟁자들보다 이미 격차를 크게 확보한 상태였기에 1위를 기록할 수 있었다. 샤를 르클레르는 FP1에서 스핀 후 클러치 온도 문제로 세션에 복귀하지 못해 제대로 된 연습을 가지지 못했으나, 2위를 기록해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그 뒤를 막스의 팀메이트인 세르히오 페레스가 이었다.

가장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받은 드라이버는 다니엘 리카도였다. 현재까지 그랑프리 주말에서 리카도는 깔끔한 드라이빙을 보여주며 매우 빠른 랩타임을 기록했는데, 결국 4위까지 오르며 시즌 첫 포인트 사냥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맥라렌은 랜도 노리스가 매우 아쉬운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는데, SQ3 플라잉 랩에서 약간의 실수를 보이며 9위에 그쳤다. SQ1, SQ2에서 매우 좋은 랩타임으로 1위를 계속 기록했으나 이 실수로 9위에 그치게 되었다. 피아스트리는 6위를 기록했다.

애스턴 마틴랜스 스트롤이 모처럼 팀메이트인 페르난도 알론소를 상대로 승리하며 앞 그리드를 확보했고, 두 드라이버는 나란히 7-8위를 기록했다. 주말 직전에 자우버로의 이적을 발표한 니코 휠켄베르크는 10위를 기록해 또 한 번 좋은 숏런을 보여주었다.
스프린트 스타팅 그리드
파일: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프린트 스타팅 그리드.jpg

2.3. 스프린트

스프린트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colbgcolor=#000> P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31:31.383 (19랩) 8
P2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3.371s 7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5.095s 6
<colcolor=#fff> P4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14.971s 5
P5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15.222s 4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5.750s 3
P7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22.054s 2
P8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29.816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P9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31.880s
P1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4.355s
P11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35.078s
12위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35.755s
P13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6.086s
P14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36.892s
P15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37.740s
P16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49.347s[+20s][Speeding][12]
P17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59.409s
P18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06.303[+35s][Track_advantage_X3][Track_limit]
DNF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1랩)[Collision_damage_ALO]
DNF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0랩)[Collision_STR] }}}}}}}}}
패스티스트 랩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30.415 (Lap 4)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프린트 하이라이트

스프린트 스타트에선 1, 2위에서 출발한 막스 베르스타펜샤를 르클레르가 자리를 잘 지키며 앞서나갔고, 3위에서 출발한 세르히오 페레스는 1번 코너에서 바깥쪽으로 밀려 그 틈으로 파고든 다니엘 리카도에게 순위를 빼앗기고 말았다. 중위권에선 루이스 해밀턴이 무리하게 1번 코너 안쪽을 파고들다 이를 피하려던 페르난도 알론소가 바깥쪽으로 돌던 랜스 스트롤을 들이받았고, 들이받혀 스핀하던 스트롤은 랜도 노리스를 들이받아 노리스와 스트롤이 리타이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세이프티 카가 발동되었고 스프린트는 4랩째에 재개되었다. 해밀턴과 알론소는 둘 다 페널티를 받지 않았다.

스프린트가 재개되었고, 5랩째 만에 4위에 있던 페레스는 리카도를 추월해 3위로 올라섰다. 이후 리카도는 후미에 있던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오스카 피아스트리의 거센 압박을 받기 시작했다. 포인트권 근처에선 8위인 케빈 마그누센과 9위인 해밀턴 사이에 피튀기는 접전이 펼쳐지기 시작했다. 스프린트의 절반을 지난 11랩 째에 마그누센은 추월 포인트인 11번 코너의 바깥쪽 트랙 라인을 넘어서며 무리하게 해밀턴을 막아섰고, 이로 인해 10초 페널티를 받았다. 3랩 뒤에 해밀턴이 바깥쪽을 파고들어 추월에 성공했으나, 이번엔 마그누센이 다이빙을 하며 해밀턴을 바깥으로 밀어보내는 행위를 하여 10초 페널티를 추가로 받게 되었고 동시에 트랙 리미트를 위반하여 추가로 5초 페널티를 받아 도합 35초 페널티를 받았다. 해밀턴은 이로 인해 츠노다 유키에게도 추월당하며 10위까지 내려가고 말았다.

상위권에선 리카도가 사인츠의 거센 압박을 받고 있었으나, 페라리의 직선 성능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리카도의 꽁무니만 따라가는 꼴이 되었다. 그 사이 막스가 스프린트를 가장 먼저 완주해 1위를, 르클레르와 페레스가 나란히 뒤로 들어오며 2, 3위를 기록했다. 리카도는 사인츠와 피아스트리의 거센 압박을 잘 이겨내며 4위를 기록해 5점을 획득할 수 있었다.

해밀턴은 츠노다를 다시 추월해 8위로 올라서며 포인트를 획득하는 듯 했으나, 오프닝 랩 사고 처리를 위해 피트레인을 통해 지나가는 과정에서 16km/h의 속도를 초과하여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받았다. 그러나 스프린트가 이미 종료되었기에 20초 페널티로 환산되어 결국 노 포인트로 마감하고 말았다. 덕분에 츠노다는 1점을 수확하며 RB의 더블 포인트 피니쉬에 일조하였다.

2.4.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27.241 1번째
P2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141s 2번째
P3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0.214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0.219s 4번째
P5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353s 5번째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434s 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0.826s 7번째
P8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866s 8번째
P9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0.905s 9번째
P10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0.951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1:28.200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022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0.124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0.171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213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227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1.28.453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0.010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034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0.164s 20번째[-3][19]
P19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166s 18번째
P20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0.371s 19번째 }}}}}}}}}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Q1
Q1에서는 체커기가 나오기 직전에 많은 트래픽이 발생했는데, 케빈 마그누센다니엘 리카도 등이 이 트래픽에 걸려 섹터 3에서 막대한 시간 손해를 보게 되었다.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로건 사전트는 모처럼 15위 이상의 기록으로 Q2에 진출하는 듯 했으나 트랙 에볼루션이 빠르게 진행되어 결국 Q1 탈락을 맞이하고 말았다. 리카도 역시 Q1에서 저조한 기록으로 탈락했다. Q1 탈락자는 16위부터 발테리 보타스, 사전트, 리카도, 마그누센, 저우관위로 결정되었다.

Q2
Q2에서는 애스턴 마틴 듀오가 매우 저조한 기록을 내며 동반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특히 페르난도 알론소가 15위로 탈락하는 광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알렉산더 알본은 세션 도중에 17번 코너에서 락업이 걸려 기록을 찍지 못할 뻔했으나 마지막 트라이에서 14위를 기록했다. Q2 탈락자는 11위부터 랜스 스트롤, 피에르 가슬리, 에스테반 오콘, 알본, 알론소로 결정되었다.

Q3
막스 베르스타펜이 또 한 번 폴 포지션을 거머쥐는 데 성공하며 시즌 6라운드 내내 폴 포지션을 모두 달성하는 기록을 세웠다. 뜨겁게 달궈진 트랙 특성으로 인해 소프트 타이어를 장착한 10명의 드라이버들의 기록은 첫 번째 트라이에서의 순위 결정으로 이어졌고, 그렇게 막스가 2위인 샤를 르클레르로부터 0.14초 차로 폴 포지션을 잡게 되었다.
레이스 스타팅 그리드
파일: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스타팅 그리드.jpg

2.5.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1:30:49.876 (57랩) 25
2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7.612s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9.920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14.650s 12
5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16.407s[+5s][Collision_PIA] 10
6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16.585s 8
7위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26.185s 6
8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34.789s 4
9위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37.107s 2
10위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39.746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40.789s
12위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44.958s
13위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49.756s
14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49.979s
15위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50.956s
16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52.356s
17위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55.173s[+10s][Track_advantage]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16.091
19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24.683[+30s][Causing_a_Collision_SAR][26]
DNF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27랩][Collision_MAG] }}}}}}}}}
패스티스트 랩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1:30.643 (Lap 43)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41.1%
2024 마이애미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모두가 카메라를 켜고 랜도 노리스의 첫 우승을 환영해주고 있습니다. 랜도 노리스 14, 15, 시케인을 지나서 16번 코너를 지나서 이제는 마지막 가속구간, 마지막 직선주로를 달리기 시작합니다. 랜도 노리스, 신나게 달릴 수 있습니다.

꿈꿔왔던 순간이 지금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마이애미 그랑프리 2024, 랜도 노리스가 그 어렸을 적부터 꿈꿔왔던 그 순간, 첫 번째 우승을 향해서 돌고 있습니다.

17번 코너, 이제 2개 코너 남았어요. 18번 코너, 그리고 19번 코너, 맥라렌의 랜도 노리스, 꿈꿔왔던 16번째 포디움, 바로 우승입니다! 리사의 체커드 플래그[29]와 함께 노리스 첫 승, 정말 축하합니다!
마지막 랩 13번 코너를 지나는 노리스의 첫 우승콜을 외치는 한장희 캐스터
<bgcolor=#FD8000> 파일:LANDOWINS!.jpg
마침내 찾아온 첫 우승
랜도 노리스가 마침내 커리어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6위에서 출발한 노리스는 미디엄 타이어로 버티며 나머지 드라이버들이 피트인할 동안 피트인하지 않고 선두까지 올라가며 세이프티 카 상황을 노렸고, 이는 정확히 적중했다.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로건 사전트가 바로 뒤의 케빈 마그누센을 보지 못하고 컨택하여 배리어를 들이받아 세이프티 카가 나온 것이다. 이 때문에 4랩 전에 피트인한 막스 베르스타펜과 사고가 일어난 28랩에 피트인해버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오스카 피아스트리가 손해를 본 반면, 노리스는 그 틈을 타 새 타이어로 교체했고[30][31] 덕분에 리스타트에서 2위였던 막스를 누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노리스는 무려 막스와 7초가 넘는 차이를 벌리며 우승, 3년 전 러시아에서 허무하게 놓친 첫 우승을 드디어 달성하며 설욕의 기쁨[32]을 맞이할 수 있었다. 노리스의 우승으로 소속팀 맥라렌 역시 2021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다니엘 리카도의 우승 이후 약 3년 만에 그랑프리 우승을 달성할 수 있었다.

노리스의 팀메이트 피아스트리는 세르히오 페레스의 휠락으로 드라이버들이 왼편에 쏠린 틈을 타 재치있게 3위로 뛰어올랐고, 샤를 르클레르를 쉽게 제치고 2위를 유지하는 어마어마한 페이스를 보였다. 막스의 피트인으로 선두에서 레이스를 이끌기도 했으나, 세이프티 카로 인해 피트 전략이 삐끗해버려[33] 4위로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5위 사인츠와의 배틀에서 과감하게 라인을 지켜 수비했는데, 사인츠는 팀 라디오로 피아스트리에게 여러 번 자리를 양보하라고 씩씩댔다. 정당한 수비였던 만큼 추가 조치가 없자 화가 난 사인츠는 다시 한 번 벌어진 배틀에서 과격하게 추월 라인을 잡아 피아스트리의 프론트 윙을 대놓고 접어버렸다. 심각한 손상을 입은 피아스트리는 직후 페레스와 루이스 해밀턴에게 추월당했고, 프론트 윙을 고치러 피트인하면서 사실상 레이스가 끝장났다. 최하위로 트랙에 복귀해 앞 레이스 카들을 추월하려 노력했지만 팀에게 노리스가 우승을 앞두고 있으니 세이프티 카가 나오게 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받는 안쓰러운 모습과 함께 13위로 레이스를 마무리했다. 이렇게 피아스트리는 지난 중국 그랑프리와 마찬가지로 세이프티 카의 불운과 타 드라이버[34]의 부적절한 주행으로 인한 레이스 카의 손상 때문에 레이스를 망치게 되었다.

막스는 의외로 첫 10랩 동안 고작 피아스트리보다 3초밖에 앞서나가지 못했고, 시케인 공략을 하지 못하고 가로질러 나가다가 콘을 들이받는 실수를 저질렀으며 이 과정에서 콘을 고정하는 구멍에 플로어가 갈리며 손상을 입었고 피트인하여 피아스트리에게 선두를 빼앗긴 것은 물론 몇 랩 후에는 세이프티 카까지 나오며 큰 손해를 보았다. 결국 노리스에게 우승을 내주었으나 2위라도 차지하며 치욕을 덜었다. 팀메이트 페레스는 첫 랩 첫 코너부터 락업에 걸리며 막스와 페라리 듀오를 담굴 뻔하는[35]가 하면, 레이스 내내 형편없는 페이스를 보이며 일찌감치 포디움에서 멀어졌고 그 느린 메르세데스의 레이스 카를 탄 해밀턴과 경쟁하기까지 하는 부진을 보였다.

페라리 듀오는 상위권에서 출발해 포디움을 노렸다. 그렇게 샤를 르클레르가 3위로 포디움에 올랐지만, 사인츠는 피아스트리와 경합하다가 과격한 충돌을 일으키며 5초 페널티를 받았고 때문에 4위로 완주했으나 5위로 떨어졌다. 해밀턴이 사인츠보다 5.1초 늦게 들어와서 사인츠는 피아스트리를 담구고도 순위가 한 계단만 밀리는 행운을 누렸다.

8위에서 출발한 해밀턴은 세이프티 카 덕분에 적절하게 피트인하여 7위까지 올라가 페레스와 치열한 경쟁을 펼쳤지만 아쉽게도 앞지르지는 못했고, 피아스트리가 문제를 겪은 덕분에 6위로 완주할 수 있었다. 조지 러셀은 해밀턴과 달리 세이프티 카 때문에 전략을 망쳤고 시작 순위보다 하나 아래인 8위로 완주했다. 그 외에 츠노다 유키페르난도 알론소도 세이프티 카 덕분에 적절하게 피트인해 각각 무려 10위에서 7위로, 15위에서 9위로 완주하는 저력을 보여주었으며, 무엇보다도 이번 시즌에 역대급 똥차를 만든 것으로 꼽히는 알핀에스테반 오콘10위로 완주하며 이번 시즌 알핀의 첫 득점을 기록했다. 이 덕분에 알핀은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가 윌리엄스자우버를 앞지른 8위로 올라가는 쾌거를 달성했다.

여담으로 레이스 종료 후 인터뷰에서 한 기자가 막스와 노리스에게 세이프티 카 상황과 관련하여 질문을 던졌는데, 이에 대한 막스의 대답이 아주 골 때린다.
기자: 막스, 노리스가 하드 타이어를 끼고 페이스가 매우 좋았는데, 세이프티 카 상황에서의 피트 스탑 없이도 우승할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하나요?

막스: 세이프티 카 상황 이전에 저희가 얼마나 떨어져 있었는지 잘 모르겠네요. 너 내 뒤에 얼마나 떨어져 있었어?

노리스: 힘들었을 거예요. 페라리 둘에, 레드불, 피아스트리도 제쳐야 했으니까...

막스: 그치만 이런 건 전부 가정일 뿐입니다. 제 어머니께 불알(balls)이 있었다면 그녀는 제 어머니가 아니고 아버지였겠죠.

(기자들이 폭소한다)

막스: 아니 맞잖아요. 이게 레이싱의 묘미죠. 잘 풀리는 날이 있으면, 안 풀리는 날도 있는 거예요.#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36
2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103
3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98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83
5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83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239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페라리
187
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맥라렌 - 메르세데스
124
4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메르세데스
64
5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영국|]][[틀:국기|]][[틀:국기|]]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4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7R: 포뮬러 1 MSC 크루즈 그란 프레미오 델 메이드 인 이탈리아 에 델'에밀리아-로마냐 2024 (에밀리아-로마냐 GP)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일정 (한국 시간 기준)
프랙티스 1 5/17 (금)
20:30 ~ 21:30
프랙티스 2 5/18 (토)
00:00 ~ 01:00
프랙티스 3 5/18 (토)
19:30 ~ 20:30
퀄리파잉 5/18 (토)
23:00 ~ 24:00
레이스 5/19 (일)
22:00
파일:알본재계약.jpg
윌리엄스, 알렉산더 알본과 재계약
5월 15일, 알렉산더 알본윌리엄스와 다년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다수의 언론 보도에 의하면 2026시즌까지 이어지는 계약이라고 한다.

이번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는 롤란트 라첸베르거아일톤 세나의 사망 사고 30주기를 추모하는 행사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제바스티안 페텔이 함께 참여했다.[36]

3.1. 프랙티스

다수의 팀들이 업그레이드를 도입한 가운데, 페라리샤를 르클레르가 FP1과 FP2에서 1위를 기록하며 가장 괄목할 만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몰라 서킷이 페라리의 홈 서킷인 만큼 페라리가 폴 포지션을 차지할 수도 있겠다는 티포시들의 기대가 커졌다. 반면 레드불은 프랙티스 세션 내내 차량 밸런스를 찾지 못했고, 막스 베르스타펜이 3번의 세션에서 각각 5, 7, 6위를 기록하고 트랙을 여러 번 이탈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노출하였다.

애스턴 마틴도 업그레이드를 도입했지만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했고, FP3에서 페르난도 알론소가 리어 그립을 잃고 스핀하며 방호벽에 충돌하는 사고를 내기도 했다.

3.2.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14.746 1번째
P2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074s 5번째[-3][Impeding][39]
P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091s 2번째
<colcolor=#fff> P4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224s 3번째
P5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0.487s 4번째
P6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0.488s 6번째
P7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0.719s 7번째
P8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758s 8번째
P9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0.928s 9번째
P1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1.234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1:15.691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0.015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0.215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301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509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0.690s 15번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6.604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0.022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0.230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250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313s PL[Parc_ferme]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No time[107%] 19번째[Q] }}}}}}}}}
2024 에밀리아로마냐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Q1
페르난도 알론소가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레이스 카에 적응이 덜 된 모습을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트랙을 이탈해 그래블 위를 달리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며 결국 19위을 기록, Q1에서 탈락하고 말았다. 또한 니코 휠켄베르크가 3위, 츠노다 유키가 4위를 기록하였다.

페라리는 미디엄 타이어를 끼고도 소프트 타이어를 장착한 레드불맥라렌에 밀리지 않는 페이스를 보여주며 프랙티스 세션에서의 좋은 모습을 이어갔다.

Q2
세르히오 페레스가 탈락하는 이변이 일어났다. 페레스 입장에서는 작년의 안 좋은 기억이 다시 떠오르고 있는데, 작년의 부진이 시작된 것도 5월 후반기의 모나코 그랑프리였는데 공교롭게도 1주 뒤 모나코 그랑프리가 열린다. 더욱이 츠노다가 Q2 3위를, 다니엘 리카도가 10위를 기록하는 등 레드불의 2군 팀으로 인식되는 RB의 드라이버들이 페레스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는 바람에 페레스의 입장이 난처해졌다.[43]

샤를 르클레르는 소프트 타이어로 교체한 후 최종 기록 1:15.328로 Q2 2위를 기록하는 모습을 보였고, 이는 프랙티스와 Q1에서의 좋은 모습에 고무되어 있던 티포시들에게 폴 포지션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게 하기에 충분하였다.

Q3
그러나 페라리는 Q3에서 거짓말처럼 막스와 맥라렌 듀오에게 밀리고 말았다. 막스 베르스타펜은 Q3 첫 주행부터 1분 14초대를 뚫는 기염을 토하더니, 오스카 피아스트리랜도 노리스의 매서운 추격을 뿌리치고 최종 기록 1:14.746으로 또 다시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44] 막스는 이번 퀄리파잉을 통해 30년 전 바로 이곳에서 세상을 떠난 전설 아일톤 세나의 기록인 8연속 폴 포지션과 타이를 이루었다.

맥라렌은 아쉽게 폴 포지션을 차지하는 데 실패했지만, 피아스트리와 노리스가 각각 막스와 0.074초, 0.091초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던 만큼 자신들이 현재 레드불의 아성을 위협할 만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페라리 듀오인 르클레르와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는 각각 4위와 5위를, 중위권 드라이버 중 가장 큰 주목을 받았던 츠노다는 7위를 달성했다.

세션이 모두 종료된 후, 피아스트리가 Q1에서 케빈 마그누센의 주행을 방해한 혐의로 3그리드 페널티를 받으며 5번 그리드에서 레이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 막스는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때와 마찬가지로 레이스 전날에 iRacing 심레이싱 팀 멤버로서 뉘르부르크링 24시에 참여해 우승하는 비범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레이스 스타팅 그리드
파일:2024 에밀리아로마냐 GP 스타팅 그리드.jpg
페르난도 알론소가 파크 페르메 상태에서의 차량 셋업 변경으로 인해 피트레인에서 레이스를 시작하게 되면서 로건 사전트가 19번 그리드에서 출발한다.

3.3.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25:25.252 (63랩) 25
2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725s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7.916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14.132s 12
5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22.325s 10
6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35.104s 8
7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47.154s 6+1[F]
8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54.776s 4
9위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1:19.556 2
10위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1 Lap
17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8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1 Lap
19위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1 Lap
DNF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51랩][기권]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1:18.589 (Lap 54)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31.4%
2024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61
2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13
3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107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101
5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93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268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페라리
212
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맥라렌 - 메르세데스
154
4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메르세데스
79
5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영국|]][[틀:국기|]][[틀:국기|]]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44

4. 파일:모나코 국기.svg 8R: 포뮬러 1 그랑프리 드 모나코 2024 (모나코 GP)

모나코 그랑프리 일정 (한국 시간 기준)
프랙티스 1 5/24 (금)
20:30 ~ 21:30
프랙티스 2 5/25 (토)
00:00 ~ 01:00
프랙티스 3 5/25 (토)
19:30 ~ 20:30
퀄리파잉 5/25 (토)
23:00 ~ 24:00
레이스 5/26 (일)
22:00
<bgcolor=#FD8000> 파일:맥라렌세나30주기_.jpg
맥라렌, 아일톤 세나 사후 30주기 기념 리버리 공개.
F1의 전설 아일톤 세나의 사망 30주기를 추모하기 위해, 맥라렌은 맥라렌 MCL38에 세나의 출신지인 브라질 국기 색상을 입힌 리버리를 달고 출전한다.

4.1. 프랙티스

4.2.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10.270 1번째
P2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154s 2번째
P3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0.248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0.272s 4번째
P5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0.273s 5번째
P6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0.297s 6번째
P7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351s 7번째
P8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0.588s 8번째
P9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678s 9번째
P1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1.041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1:11.216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 0.069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0.266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347s 13번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1.11.887 Q2 진출
P14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0.132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133s 15번째
P16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0.173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0.625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1.141s 18번째 }}}}}}}}}
EX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1:11.440 (Q2) 19번째[DRS][Q]
EX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1:11.725 (Q2) 20번째[DRS][Q]
2024 모나코 GP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Q1
페르난도 알론소세르히오 페레스가 지난 그랑프리에서의 부진을 떨쳐내지 못하고 Q1에서 동반 탈락했다. 특히 페레스의 경우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에서의 11위보다 못한 18위를 기록하면서 작년에 이어 또다시 Q1 탈락을 하고 말았으며, 심지어 로건 사전트보다 뒤쳐진 기록을 내는 등 팬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결국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항목에 작성되어있던 작년의 부진이 반복되는 모양새라는 서술이 확실시되는 분위기. 자우버는 말 그대로 처참한 차량 성능을 보이며 Q1 최하위 탈락을 면하지 못했다.

Q2
알렉산더 알본피에르 가슬리가 시즌 첫 Q3 진출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가슬리는 Q2 5위로 여유롭게 Q3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고 세션 종료 직후 포효하며 매우 기뻐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담으로 다니엘 리카도가 탈락이 확정되는 순간 하필이면 카메라가 곧바로 리암 로슨을 비추는 바람에 시청자들의 웃음을 유발했다.

Q3
샤를 르클레르가 모나코 그랑프리에서의 통산 세 번째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저속 코너에서 강세를 보이는 페라리의 차량 성능을 십분 발휘하여 살짝 느렸던 섹터 1의 기록을 섹터 2와 3에서 압도적인 페이스로 커버하며 오스카 피아스트리를 0.154초 차이로 따돌리며 폴 포지션을 획득하는 데 성공하였다. 르클레르는 이번 폴 포지션 달성을 통해 페라리의 통산 250번째 폴 포지션의 주인공이 되었다. 이번에는 드디어 르클레르가 그동안의 불운을 이겨내고 마침내 자신의 홈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거둘 수 있을지에 모든 팬들의 관심이 쏠렸다.

레드불에게는 그야말로 끔찍한 하루였다. 언제나 에어로다이내믹에 무지막지한 강점을 보이며 모나코와 싱가포르와 같은 시가지 원톱 차량이었던 이전 시즌들과는 달리 올해는 저속 코너가 많은 모나코 서킷에서 고전하며 자신들의 약점을 기정 사실로 만들어버렸으며, 페레스가 Q1에서 탈락한 것도 모자라 막스 베르스타펜마저 주행 도중 벽을 긁으면서 기록 경신에 실패해 포지션이 곧 레이스 순위라는 모나코에서 6위라는 암담한 결과를 맞이했다.[52] 이로써 막스의 이번 시즌 전 경기 폴 포지션 달성 기록은 여기서 막을 내렸으며, 지난 시즌 아부다비부터 이어온 연속 폴포지션 기록도 끝나면서 아일톤 세나의 연속 폴 포지션 기록을 경신하는 데에도 실패하였다.

레이스 스타팅 그리드
파일:2024 모나코 GP 스타팅 그리드.jpg
한편 퀄리파잉 이후 하스에게는 악재가 벌어졌다. 검차 도중 리어윙의 DRS가 규정 위반이라는 FIA의 검사 결과가 공개되면서 팀의 퀄리파잉 기록은 전부 삭제, 실격되면서 최후미에서 스타트한다.

4.3.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23:15.554 (78랩) 25
2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81.
[[호주|]][[틀:국기|]][[틀:국기|]] 오스카 피아스트리 (맥라렌 - 메르세데스)
+ 7.152s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 7.585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메르세데스)
+ 8.650s 12
5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메르세데스)
+ 13.309s 10
6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 13.853s 8
7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4.908s 6+1[F]
8위
파일:RB 간단 로고.png
22.
[[일본|]][[틀:국기|]][[틀:국기|]] 츠노다 유키 (RB - 혼다 RBPT)
+ 1 Lap 4
9위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2
10위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알핀 - 르노)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4.
[[스페인|]][[틀:국기|]][[틀:국기|]] 페르난도 알론소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2 Laps
12위 <rowcolor=#000>
파일:RB 간단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RB - 혼다 RBPT)
+ 2 Laps
13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킥 자우버 - 페라리)
+ 2 Laps
14위 <rowcolor=#000>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 2 Laps
15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심볼.svg
2.
[[미국|]][[틀:국기|]][[틀:국기|]] 로건 사전트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6위 <rowcolor=#000>
파일:IMG_kick-sauber.png
24.
[[중국|]][[틀:국기|]][[틀:국기|]] 저우관위 (킥 자우버 - 페라리)
+ 2 Laps
DNF <rowcolor=#000>
파일:알핀 반전 로고.png
31.
[[프랑스|]][[틀:국기|]][[틀:국기|]] 에스테반 오콘 (알핀 - 르노)
[1랩][Collision_damage_GAS]
DNF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1랩][Collision_MAG]
DNF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하스 - 페라리)
[1랩][Collision_PER]
DNF <rowcolor=#000>
파일:하스 심볼.sv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1랩][Collision_PER]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4.165 (Lap 54)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32.4%
2024 모나코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르클레르가 굉장히 모든 힘을 쏟아내면서 그 마지막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르클레르 입장에서는 바라고 바랬던 그 순간. 눈앞에 보이고 있습니다.

악몽같은 순간들이 있었기에 마지막까지 방심할 수가 없습니다. 모든 티포시가 이 순간만을 기다려 왔습니다.

2021시즌 DNS, 2022시즌 4위, 그리고 2024 지금 이 순간

페라리의 250번째 폴 시터가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서 체커기를 받기 위해서 달려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곳은, 그 장소는 본인의 홈 타운 모나코에서 본인의 첫 번째 포디움을 원하고 있습니다.

샤를 르클레르가 이제 타박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그 누구도 이 드라이버를 막을 수가 없습니다.

스위밍 풀을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눈 앞에 가슴 떨리는 이 순간 라스카스를 나오고 있습니다.

라스카스를 나왔고 안토니 노게즈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샤를 르클레르, 프린스 오브 모나코,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가 모나코에서 우승합니다!

본인의 통산 6승! 페라리의 250번째 폴시터가 45년 만에 모나코에서 폴 투 윈에 성공합니다!
르클레르의 홈 그랑프리 첫 우승콜을 외치는 안형진 캐스터
In 2017 Charles Leclerc lost his father and in his final days he told his father a white lie.
2017년 르클레르는 아버지를 잃었고 그의 임종 전 하얀 거짓말을 했습니다.

That he'd made it to Formula 1. That he'd signed the contract.
F1에 진출했다고. 페라리와 계약했다고요.

It wasn't true then but his driving has made it true now, and look what he's done with the opportunity!
당시에는 진실이 아니었지만 그의 드라이빙은 현재 그것을 진실로 만들었습니다.[62] 그리고 그 기회를 어떻게 잡았는지 보십시오!

The grandstands he saw built as a kid growing up, now rise for him and for the first time in 93 years this fabled race is won by one of their own!
르클레르가 어린 시절 지어지는 걸 본 관중석은 이제 그를 위해 일어서고 있으며, 93년만에 처음으로 이 전설적인 레이스에서 자국민이 우승을 차지합니다!

Charles Leclerc wins The Monaco Grand Prix, to achieve his dream!
샤를 르클레르가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우승하며 꿈을 이룹니다!
F1 공식 영어 중계 버전[63]
<nopad> 파일:CHARLES WINS IN MONACO!.jpg
저주를 이겨내고 홈에서 폴 투 윈으로 7년 만에 거머쥔 우승
첫 랩이 시작하자마자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샤를 르클레르를 놓치지 않고 따라붙어 오스카 피아스트리를 안쪽으로 추월할 뻔했으나, 이 과정에서 충돌로 인해 왼쪽 앞 타이어가 펑쳐가 나면서 리어윙이 내려앉았고 당연히 붕 떠버린 앞 타이어 때문에 조향이 올바르게 되지 않아 사인츠는 카지노를 앞두고 이탈했다. 그 직후 옐로우 플래그가 발동하면서 사인츠 때문에 옐로우 플래그가 발동한 줄 알았으나, 하위권에서 케빈 마그누센세르히오 페레스의 우측 공간을 침투하는 과정에서 페레스의 레이스 카와 충돌하면서 페레스의 레이스 카가 좁은 모나코 시가지의 가드레일을 박살내며 옐로우 플래그가 발동되었고 충돌 여파로 튕겨져 나간 페레스의 레이스 카에 니코 휠켄베르크의 레이스 카마저 휘말리며 첫 랩부터 레드 플래그가 발동하게 되었다.[64] 페레스의 레이스 카와 하스 듀오의 레이스 카 모두 심하게 파손되어 세 드라이버 모두 리타이어했고[65], 그 와중에 에스테반 오콘이 포르티에에서 팀메이트 피에르 가슬리를 무리하게 안으로 추월하려다가 충돌한 뒤[66] 레이스 카가 공중에 들렸다 떨어지는 사고가 나는 바람에 그 여파로 리타이어함에 따라 첫 랩에서 무려 4명이 리타이어하게 되었다.

스튜어드들이 한참 동안 레이스 상황을 분석한 결과 레드 플래그가 발동한 시점이 모든 차량이 섹터 1을 지나기 전에 발생했기 때문에 스타팅 그리드는 레이스 시작 때로 다시 돌리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사고 수습으로 인해 2랩을 줄여[67] 76랩이 남은 상태로 레이스를 재개했다. 시작 순위가 레이스 시작으로 돌아간 덕택에 사인츠는 타이어를 갈고 프론트 윙을 고치면서도 3위로 다시 출발할 수 있는 천운을 얻었으며, 르클레르부터 랜도 노리스까지 네 명은 이렇게 된 거 아예 노스탑 레이스를 노리고 미디엄에서 하드 타이어로 바꾸고 재출발하게 된다.[68] 반대로 그 아랫 그리드의 조지 러셀부터 루이스 해밀턴까지는 변수를 노리고 하드로 시작했지만 그 변수가 너무 빨리 터지는 바람에 울며 겨자 먹기로 미디엄으로 바꿀 수밖에 없었다.

늘 그래왔듯 좁은 모나코 서킷에서 추월은 거의 나오지 않았고, 레이스는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나름대로의 기차놀이로 심심하게 흘러갔다. 그나마 나온 몇개의 추월조차 새 타이어로 갈아끼우고 나온 발테리 보타스로건 사전트를 페어몬트 헤어핀 직전에 추월하거나 타이어를 갈아낀 랜스 스트롤이 잠시동안 하위권에서 분노의 질주를 찍는 그들만의 리그였다. 상위권에서도 페라리와 맥라렌이 서로 얽혀 꾸역꾸역 기차놀이를 하는 레이스를 보냈다.

레이스 반쯤이 지나가고 피트인한 것은 다름아닌 막스 베르스타펜루이스 해밀턴. 이들은 레이스 내내 미디엄을 끼고 타이어 보존을 위해 천천히 달리던 러셀 뒤에 묶여있었는데, 막스는 러셀을 추월하기 위해, 해밀턴은 러셀이 시간을 벌어주는 팀플레이를 통한 더 많은 포인트 획득을 위해 둘 다 하드 타이어를 끼고 나오며 분위기 반전을 노렸다. 그를 증명하듯 두 드라이버 모두 서로 패스티스트 랩을 뺏고 뺏기며 치열하게 러셀을 추격해갔고, 그렇게 12초가 넘던 갭을 단숨에 5초 미만으로 확 줄여버린 막스가 러셀을 추격하기 시작했다. 메르세데스는 추월 난이도가 극악인 모나코이기 때문에 거의 걸레나 다름없는 미디엄을 끼운 러셀을 피트인시키지 않았고, 그렇게 막스가 러셀의 뒤에 바짝 붙었지만 어떻게든 타이어의 이점을 살려 추월하려는 막스를 러셀이 좁은 트랙의 이점을 이용하여 끈질기게 막아두었다. 그렇게 러셀이 우주방어를 계속하는 동안 해밀턴은 달릴수록 연료가 줄어들어 가벼워지는 차량을 이용해 막스 사이와의 갭을 손쉽게 줄여 나갔고 패스티스트 랩을 완전히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아무리 모나코가 타이어에 가해지는 부담이 적다지만 C3 컴파운드의 하드 타이어를 70랩이나 쓴다는 정신나간 듯한 전력이지만, 상위권이던 르클레르, 피아스트리, 사인츠와 노리스 간신히 버티는 정도가 아닌 오히려 맘만 먹으면 더욱 빨리 달릴 수도 있는 타이어 관리를 해나갔다[69][70][71]. 이후 잠잠하다가 선두를 계속 질주하던 르클레르가 "그대로 완주하자.(Let's bring it home.)"라는 폭풍간지 멘트를 치고 그대로 1위로 골인하면서 탑 5 드라이버들 전원이 제로 스탑으로 레이스를 완주하는데 성공하였다. 특히 르클레르가 저 멘트를 치면서 아껴놓은 타이어로 페이스를 확 끌어올려 삽시간에 피아스트리한테서 멀리 도망쳐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맥라렌의 마지막 희망을 빼앗아가는 부분은 티포시들로 하여금 상당한 감동을 주는 부분이었다.

이렇게 르클레르는 폴 투 윈을 달성하며[72] 오랜 숙원이었던 홈 레이스 포디움을 승리로 장식하며 이뤄냈다. 홈 레이스의 저주[73]를 마침내 끝낸 것은 덤. 더불어 F1 최초의 모나코 출신 모나코 그랑프리 우승자라는 대기록도 세웠다. 포디움에 올라가서는 알베르 2세를 비롯한 모나코 공실[74], 존 엘칸 페라리 회장, 프레데릭 바수르 스쿠데리아 페라리 감독, 모하메드 빈 술라이엠 FIA 회장, 킬리안 음바페[75]와 모나코 국민들 등 온갖 인물들에게 성대한 축하 세리머니를 받고 모나코 국기까지 두르며 최상의 포디움을 누렸다.

페라리의 경기 운영이 돋보였는데, 선두를 달리는 르클레르가 속도를 조절하며 선두 차량들과 5위 러셀과의 간격이 너무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맥라렌 드라이버들과 5위인 러셀과의 차이가 20초 이내로 유지되었기에 맥라렌 드라이버들이 피트인할 경우 러셀 뒤로 나오게 되므로 맥라렌이 언더컷을 통해 추월을 노리는 전략을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또한 레이스 대부분 르클레르의 의도적인 감속으로 르클레르와 피아스트리의 간격은 2초 이내로 유지되며 피아스트리의 타이어 소모가 꾸준하게 발생했다. 결국 레이스 후반부에 타이어 관리를 잘한 르클레르가 페이스를 끌어올릴 때, 피아스트리가 따라가지 못하고 차이는 크게 벌어져 르클레르는 무난한 폴투윈에 성공했다.

피아스트리는 아쉽게 우승을 놓쳤지만 이번 시즌 첫 포디움을 기록하며 좋은 성과를 이뤄냈다. 사인츠는 레이스 초반부터 펑쳐가 나며 위기를 겪었지만 레드 플래그 덕에 운 좋게 레이스에 3위로 복귀할 수 있었고, 뒤에서 맹렬히 쫓아오던 노리스를 막으면서도 오히려 페이스를 끌어올려 틈틈히 피아스트리를 압박하는 좋은 모습을 보이며 페라리에게 더블 포디움을 안겨주었다.

노리스는 사인츠를 쫓았지만 역시 좁은 모나코 서킷에서 추월하기엔 역부족이었고, 4위로 완주하며 드라이버 챔피언십 3위로 올라갔다. 러셀은 타이어 깎는 노인이란 별명에 걸맞게 미디엄 타이어를 끼고도 한 번도 피트인하지 않고 78랩 전부를 소화함과 더불어 새 타이어를 끼고 쫓아오던 막스를 기어이 막아내는 어마어마한 저력을 보여주며 5위로 완주에 성공하였다. 팀메이트 해밀턴도 패스티스트 랩을 막스로부터 뺏어가며 나름 무난하게 레이스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레드불은 그야말로 최악의 레이스를 보냈다. 페레스의 1랩 리타이어는 말할 것도 없었고, 막스에게 새 타이어를 끼우며 러셀을 쫓게 만들었음에도 그에 실패, 그나마의 성과였던 패스티스트 랩조차 해밀턴에게 빼앗기며 씁쓸하게 모나코를 떠나게 되었다. 게다가 최근 연승 실패와 페레스의 부진으로 인해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2위인 페라리와의 격차는 단숨에 줄어들어 이제 겨우 24점 차이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 이르렀다.

8~10위는 언더독들의 반란으로, 지난 몇 레이스 동안 꾸준히 좋은 성적을 보여주던 츠노다 유키는 또 다시 포인트 피니시를 하며 좋은 성과를 보였다. 그 뒤는 알렉산더 알본이 따라왔으며, 이번 시즌 첫 포인트로 2점을 따며 자우버와 함께 나란히 꼴찌이던 윌리엄스를 꼴찌에서 탈출시키는데 성공했다. 10위는 다름아닌 가슬리의 차지였다. 이번 시즌 내내 형편없는 레이스 카를 몰며 최하위권을 전전하다가 이번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첫 Q3 진출을 이뤄냈지만, 팀메이트 오콘과의 충돌로 인해 또 다시 고배를 마시는 듯 했으나 안정적인 레이스를 펼치며 이번 시즌 첫 득점을 이뤄내는데 성공하였다.

애스턴 마틴은 이번에도 애매한 레이스를 보냈다. Q1에서 탈락한 페르난도 알론소는 11위까지 올라갔으나 르클레르에게 2번이나 랩당하는 수모를 겪었고, 랜스 스트롤은 알론소가 후미를 막아준 덕에 프리 스탑을 하며 알론소 앞에서 무난하게 레이스를 보내며 포인트 획득을 노렸지만 레이스 중반 피트 스탑 직후 누벨 시케인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뒷타이어를 배리어에 부딪혀 파손시키는 사고를 저지르고 피트인해 막대한 시간 손해와 프리 스탑 이점을 모두 날려버려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다.

자우버는 대부분의 드라이버들이 피트인하지 않는 전략을 가져갔음에도 두 드라이버들 모두를 피트인시키는 요상한 전략으로 어김없이 최후미를 담당했고, 그 외로 포인트권 이하로 완주한 드라이버들은 다니엘 리카도로건 사전트가 장식하였다.

여담으로 레이스가 끝난 후 공개된 팀 라디오 모음집에서 막스가 경기를 하는 것보다 20랩부터 화장실 참느라 죽을 뻔했다는 라디오를 남겼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많은 팬들의 웃음을 유발했다.

한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이 인천 내 F1 대회 개최를 위해 일본에 모나코에도 방문하여 스테파노 도메니칼리 CEO에게 협력 의향서를 제출했다고 한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1.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69
2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38
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113
4
파일:페라리 로고.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페라리 108
5
파일:레드불 심볼.sv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드불 10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레드불 레이싱 - 혼다 RBPT
276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페라리
252
3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맥라렌 - 메르세데스
184
4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메르세데스
96
5
파일:애스턴 마틴 로고 엠블럼 화이트.svg

[[영국|]][[틀:국기|]][[틀:국기|]]애스턴 마틴 아람코 - 메르세데스
44

5. 파일:캐나다 국기.svg 9R: 포뮬러 1 AWS 그랑프리 두 캐나다 2024 (캐나다 GP)

캐나다 그랑프리 일정 (한국 시간 기준)
프랙티스 1 6/8 (토)
02:30 ~ 03:30
프랙티스 2 6/8 (토)
06:00 ~ 07:00
프랙티스 3 6/9 (일)
01:30 ~ 02:30
퀄리파잉 6/9 (일)
05:00 ~ 06:00
레이스 6/10 (월)
03:00

5.1. 프랙티스

5.2. 퀄리파잉

5.3. 레이스

6. 파일:스페인 국기.svg 10R: 포뮬러 1 아람코 그란 프레미오 데 에스파냐 2024 (스페인 GP)

스페인 그랑프리 일정 (한국 시간 기준)
프랙티스 1 6/21 (금)
20:30 ~ 21:30
프랙티스 2 6/22 (토)
00:00 ~ 01:00
프랙티스 3 6/22 (토)
19:30 ~ 20:30
퀄리파잉 6/22 (토)
23:00 ~ 24:00
레이스 6/23 (일)
22:00

6.1. 프랙티스

6.2. 퀄리파잉

6.3. 레이스



[1] 아우디는 자국 독일인 드라이버를 원했다고 하며, 현재 F1 드라이버 중 독일인은 휠켄베르크뿐이다. 메르세데스가 2010년에 F1에 새로 참가할 때 두 명의 독일인 드라이버(미하엘 슈마허, 니코 로즈버그)로 시트를 채운 것과 비슷한 상황이다.[2] 다만 F1 업무와 별개로 진행 중이던 양산차 프로젝트 레드불 RB17의 개발에는 계속해서 관여한다.[3] 이쪽으로 간다면 페라리 F2004메르세데스 W11이라는, 역대 F1 레이스 카 GOAT로 평가되는 두 레이스 카의 개발에 참여(F2004는 공기역학 개발 주도, W11은 레이스 카 자체의 개발 주도)한 제임스 앨리슨, 윌리엄스 FW14B, RB7처럼 기발한 기술(FW14B는 액티브 서스펜션, RB7은 블로운 디퓨저)을 첨가한 챔피언 레이스 카들과 RB19이라는 역대 최다 승률의 레이스 카의 개발을 주도한 애드리언 뉴이가 협업한다는 어마어마한 상황이 발생한다.[4] 더불어 페라리로 이적한다면 뉴이는 윌리엄스, 맥라렌, 페라리라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F1을 사이좋게 지배하던 팀들에서 전부 핵심 엔지니어로 활동하는 역대 주요 F1 엔지니어들 중에서도 전무후무한 기록을 남기게 된다.[5] 일단 크리스티안 호너 감독은 現 테크니컬 디렉터인 피에르 와셰(Pierre Wache)가 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며 이전부터 칭찬을 이어온 바가 있다. 뉴이의 결별 루머가 이어져온 시즌 시작 직후부터 피에르 와셰와의 재계약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도 했는데, 뉴이가 빠진 현 상황에서 호너의 믿음이 통하기 위해선 와셰를 비롯한 기술진들이 올바른 업데이트를 이어나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시작] 세션 시작 시간 기준[-3] 3 그리드 페널티[Impeding_PIA_SQ1] SQ1에서 피아스트리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Parc_ferme] 파크 페르메 상태에서 레이스카 셋업을 변경하여 피트레인 스타트 페널티 부여.[+20s] 20초 페널티[Speeding] 피트레인에서 과속하여 페널티 부여.[12] 본래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를 받았으나, 이미 스프린트를 완주하여 20초 페널티로 환산되었다.[+35s] 35초 페널티[Track_advantage_X3] 트랙을 벗어나 시간 이득을 세 번 보게 되어 페널티 세 번 부여. 이와 관련하여 30초나 페널티를 받게 되었다.[Track_limit] 트랙 리미트를 여러 번 위반하여 페널티 부여.[Collision_damage_ALO] 알론소와의 충돌 후 레이스카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Collision_STR] 스트롤과의 충돌 사고로 리타이어.[-3] [19] 직전 중국 그랑프리 SC 상황에서 휠켄베르크를 추월한 것이 이번 그랑프리 그리드 페널티로 이어졌다.[+5s] 5초 페널티[Collision_PIA] 피아스트리와의 충돌 사고를 일으켜 페널티 부여.[+10s] 10초 페널티[Track_advantage] 트랙을 벗어난 채 시간 이득을 보았기에 페널티 부여.[+30s] 30초 페널티[Causing_a_Collision_SAR] 사전트와의 충돌 사고를 일으켜 페널티 부여.[26] SC 상황에서 피트인 후 타이어 교체를 하지 않아 페널티 부여. 드라이브 스루 페널티가 레이스 종료 후 부과되었으나, 이미 레이스가 종료되었기에 20초 페널티로 환산되었다.[27랩] 27랩 째에 리타이어[Collision_MAG] 마그누센과의 충돌로 리타이어.[29] 본 그랑프리에 VIP로 레드불 패독에 참석함과 동시에 마지막 랩 체커기까지 흔들게 되었다.[30] 이 부분에서 약간의 운도 작용하였다. 노리스가 피트 입구를 지나간 직후 세이프티 카가 선언되며 피트스톱 타이밍을 놓쳤으나, 세이프티 카가 피트레인을 빠져나올 때 노리스보다 뒤로 나오게 되어 2위인 막스부터 세이프티 카를 따라 달리게 되었다. (사고 현장이 정리된 후 19명을 언랩하여 노리스 뒤로 정렬하게 되었다.) 만약 이때 세이프티 카가 노리스 앞으로 나왔다면 세이프티 카의 통제로 인해 레이스 카들이 밀집하는 상황이 되어 노리스는 최소 10계단, 최악의 경우 최하위로 떨어질 수도 있었다.[31] 다만 세이프티 카가 정상적으로 발동 직후 나왔음에도 노리스의 뒤로 나온 것이었고, 좀 더 일찍 발동되었다면 노리스는 바로 피트 스탑을 했을 상황이었으며 막스와의 11초 격차가 피트 스탑으로 손해를 보는 9초보다 컸던 점을 감안하면 세이프티 카의 운영 미숙으로 세이프티 카가 막스의 앞으로 나와 막스가 느리게 달린 탓에 노리스가 순위 이득을 얻은 것은 아니다.[32] 노리스는 포디움은 많지만 우승은 하나도 없는 경력 때문에 해외 팬들에게는 'Lando Nowins'라는, 한글로 번역하면 '랜도 ^무^리스' 비스무리한 굴욕적인 멸칭이 있었지만, 이번 우승을 통해 이제부터 Nowins가 아닌 Nowwins로 불릴 수 있게 되었다.[33] 세이프티 카는 올 시즌 내내 피아스트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34] 작년 벨기에 그랑프리 때도 승승장구하던 피아스트리를 레이스에서 사인츠가 담궈버리며 그의 주말을 망쳐버렸고, 사인츠는 이번에 또 피아스트리의 레이스를 망친 장본인이 됐다.[35] 사인츠는 인터뷰에서 이를 두고 페레스가 어뢰같이 훅 들어왔다는 드립을 쳤다(...).[36] 그랑프리 일정 첫 날에는 페텔과 드라이버들이 함께 트랙 위를 달렸으며, 레이스 당일에는 페텔이 개인 소장하고 있는 맥라렌 MP4/8 차량을 타고 서킷을 주행하는 행사를 가졌다.[-3] 3 그리드 페널티[Impeding] 타 드라이버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39] 케빈 마그누센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였다.[Parc_ferme] 파크 페르메 상태에서 차량 셋업 변경으로 인해 피트레인 스타트[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43] 특히 츠노다의 경우 FP2에서 3위, Q1에서 4위, Q2에서 3위를 기록하며 프랙티스 세션부터 계속 심상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44] 섹터 1에서 다른 드라이버들에 비해 압도적인 격차를 만들어 낸 것이 주효했다. 사실 여기에는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데, Q2에서 막스의 토우를 받아 Q3에 진출한 니코 휠켄베르크가 보답으로 막스를 토우해 주었던 것이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51랩] 51랩 째에 리타이어[기권] [DRS] DRS 규정 위반으로 인하여 실격[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DRS] DRS 규정 위반으로 인하여 실격[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52] 막스는 프랙티스부터 레이스 카의 밸런스가 불안정해 무리해서 속도를 내면 무조건 벽에 부딪힐 것 같다고 우려를 표했는데, 결국 그것이 실제로 일어나고 말았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1랩] 1랩 째에 리타이어[Collision_damage_GAS] 가슬리와의 충돌 사고 후 레이스 카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1랩] 1랩 째에 리타이어[Collision_MAG] 마그누센과의 충돌 사고로 리타이어[1랩] 1랩 째에 리타이어[Collision_PER] 페레스와의 충돌 사고로 리타이어[1랩] 1랩 째에 리타이어[Collision_PER] 페레스와의 충돌 사고로 리타이어[62] 르클레르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을 때 그는 포뮬러 2 프레마 레이싱 소속으로 뛰고 있었고, 2017 시즌 F2를 우승하며 2018 시즌 자우버 소속으로 F1에 진출한다. 인터뷰에 따르면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한 달 후에 자우버와 계약했다고. 그리고 바로 다음 해인 2019년 페라리의 드라이버가 되면서 르클레르의 거짓말은 2년만에 진실이 되었다.[63] 르클레르의 스토리가 참 감동적이라는 반응이 많다.[64] 심지어 저우관위도 이 셋의 뒤를 따라오고 있었기 때문에 자칫하면 저우관위까지 사고에 휘말릴 뻔했다. 이때 저우관위는 스타트를 대차게 말아먹으면서 꼴등으로 추락했는데, 이 때문에 거리가 있는 상태에서 쫓아오고 있었고 운 좋게도 사고를 본 뒤 속도를 늦췄던 덕에 사고를 피했다. 여담으로 메디컬 카가 굉장히 뒤에서 빠르게 선수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달려오고 있었는데 사고 현장을 지나가려다 하마터면 메디컬 카와 부딪힐 뻔했다.[65] 그나마 하스 듀오는 부품이 부서지는 수준에 그쳤지만, 페레스는 멀리서 카메라가 사고 현장을 비출 때 저게 레이스 카인지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박살이 났다. 안 다친 것이 용한 수준.[66] 가슬리도 무리하게 치고 들어오는 오콘의 모습에 라디오로 매우 황당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모나코 서킷처럼 매우 추월이 어렵고 노폭이 좁은 서킷에서는 팀킬 방지를 위해 팀 차원에서 레이스 운영을 어떻게 할지 드라이버들과 어느 정도 상의를 하고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분명 팀에서의 지시가 있었을 텐데도 불구하고 팀메이트 고로시로 정평이 나있는 오콘다운 행동이었다. 그리고 결국 오콘은 이로 인해 원래 받았어야 할 10초 페널티를 리타이어로 인해 다음 그랑프리인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5그리드 페널티로 받게 되었다.[67] 첫 랩과 이후 피트레인에서 나와서 그리드에 정렬하기 위한 한 랩을 2랩이 빠지게 된다.[68] 시청자들이 흔히 하는 오해가 의무 피트 스톱이라고 하면서 경기당 무조건 1회의 피트 스톱을 해야 한다는 것인데, 정확한 규정은 한 경기 내에서 무조건 1번은 시작할 때와 다른 컴파운드의 타이어를 써야 한다는 것이다. 정상적인 레이스 상황일 때는 타이어를 바꿀 방법이 피트 스톱밖에 없으므로 그런 인식이 생긴 것. 그러므로 레드 플래그 때 타이어를 교체한다면 시작 타이어와 다른 타이어를 끼운 것이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 게다가 모나코 서킷은 너무나도 느린 서킷 속도 때문에 시가지 임에도 타이어에 가해지는 부하가 가장 적고, 추월이 거의 불가능한지라 레이스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어도 타이어 마모보다 피트 스톱으로 인해 트래픽에 갇히는 등의 변수가 훨씬 크게 작용하는 독보적인 특성을 가졌기에 레드 플래그로 인한 재정비 타이밍에 하드 타이어로 바꾸는 걸로 규정을 만족시켜 노스탑 레이스로 진행하는 것이 상위권 그리드 선수들에게 유리한 상황이 된 것이다.[69] 오죽하면 르클레르가 오히려 팀 라디오로 내가 피아스트리와의 마진(그러니까 갭)을 더욱 늘릴 수 있는 것에 관심이 있냐고 물었다.[70] 이게 나름 대로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엄청난 개그가 되었는데 르클레르의 엔지니어가 딱 잘라 "우린 그런 것 관심없다(We're not interested about it.)."라고 하자 르클레르가 "거 너무하시네(That's rude)."라고 맞받아쳤다. 거기다 엔지니어가 또다시 무미건조한 말투로 "미안(Sorry)."라고 하는 바람에 모든 팬들이 빵 터졌다.[71] 당연히 페라리의 입장에서는 르클레르의 우승이기 이전에 팀 차원에서 1위로 통과해 많은 포인트를 확보할 수 있는 아주 좋은 상황이므로 무리하지 말라고 한 것.[72] 폴 포지션과 승리, 모든 랩 선두를 해냈음에도 패스티스트 랩을 찍지 못해 아쉽게도 그랜드 슬램은 이루지 못했다.[73] 홈인 모나코에서 레이스를 하면 항상 운이 없던 르클레르의 저주로, F1 데뷔 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DNF-DNF-DNS-개떡같은 페라리 전략으로 1위에서 4위-6위라는 처참한 성적을 기록했다. 심지어 2017년에 포뮬러 2에서 레이스를 할 때조차 완주하지 못했고 번외로 참가했던 모나코 히스토릭 그랑프리까지 니키 라우다의 레이스 카를 몰다가 스핀하며 DNF로 끝내버렸다(...).[74] 자국 선수가 우승한 것이 얼마나 기뻤는지 울먹이기까지 하며 평소 샴페인 세레머니 때는 멀찍히 떨어져서 지켜봤지만, 이번에는 본인이 직접 샴페인을 하나 더 구해와서 옷이 젖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친히 샴페인 세리머니에 동참, 샴페인에 잔뜩 젖은 르클레르를 한 번 더 포옹해 주면서 기쁨을 만끽했다.[75] 체커기를 흔드는 특별 게스트로 초청받았다. 공교롭게도 프로 커리어를 AS 모나코 FC에서 시작했기에 모나코와 어느 정도 인연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