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5:52:00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1D2C>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JUSCANZ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복지 · 마일 트레인
교육 교육 · 호주의 대학 (대학 틀) · Go8(시드니 대학교 · 멜버른 대학교 · 애들레이드 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호주국립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모내시 대학교)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빅 배시 리그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 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위구르계 호주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오세아니아 럭비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555"
파일:나우루 국기.svg <colbgcolor=#fff> 나우루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colbgcolor=#fff> 누벨칼레도니프랑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colbgcolor=#fff> 뉴질랜드 파일:니우에 기.svg <colbgcolor=#fff> 니우에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왈리스 푸투나 기.svg 왈리스 푸투나프랑스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밑줄 : 월드 럭비 비회원국 (4개국) | ** 프랑스 : 프랑스 럭비 연맹 산하 단체[1]
파일:아시아 럭비 고화질.png 아시아파일:럭비 아프리카.png 아프리카파일:럭비 아메리카스 노스.png 북아메리카파일:수드아메리카 럭비 로고(신).png 남아메리카파일:오세아니아 럭비.png 오세아니아파일:럭비유럽.png 유럽

[1] 그러므로 월드 럭비에 가입할 수 없다
}}}}}}}}} ||

파일:럭비 챔피언십(투명 배경).png
럭비 챔피언십
{{{#!wiki style="padding: 7.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368, #213a4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South Africa national rugby union team(Springboks).png
파일:올 블랙스.png
파일:2023아르헨티나럭비대표팀.png
파일:Wallabies.png
}}}}}}}}}}}} ||
파일:Wallabies.png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Australia national rugby union team
별칭 월러비스 (Wallabies)
소속단체 럭비 오스트레일리아 (RA)
감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조 슈미트 (Joe Schmidt)
주장 해리 윌슨 (Harry Wilson)
최다 출전 제임스 슬리퍼 (James Slipper)147회
최다 득점 마이클 라이나 (Michael Lynagh)911점
최다 트라이 데이비드 캠피시 (David Campese)64회
홈 경기장 -
첫 국제경기 vs 브리티시 아일스 (13:3)1899년 6월 24일
최대 승리 vs 나미비아 (142:0)2003년 10월 25일
최대 패배 vs 남아공 (8:53)2008년 8월 30일
럭비 월드컵 11회 진출
우승 2회(1991, 1999)
준우승 2회(2003, 2015)
세계 랭킹 최고 2위(2004) / 최저 10위(2024)
역대 전적 701전 349승 22무 330패(49.8%)

1. 개요2. 역대 전적
2.1. 감독별 전적2.2. 주요 대회 성적2.3. 국가별 상대전적
3. 개인 기록4. 유니폼5. 선수단

1. 개요

호주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이며, 호주의 대표동물 중 하나인 왈라비를 상징물로 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이웃나라이자 가장 많이 만난 뉴질랜드의 올 블랙스와 라이벌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

2. 역대 전적

2025 라이언스 투어 이후를 기준으로 함. 링크

2.1. 감독별 전적

||<tablebordercolor=#fa0,#fa0><rowbgcolor=#fa0,#fa0><rowcolor=#007a4d,#007a4d> 이름 || 기간 || 총전적 || || || || 승률 ||오래 전 남반구가 세계 럭비를 제패하던 시절부터 2010년 초반까지만 해도 거의 모든 북반구 국가들보다 우위에 있었고, 월드컵도 높은 곳까지 늘 올라가던 강팀이 맞긴 한데, 남반구 삼대장 중 최약체라서 뉴질랜드한테는 항상 얻어맞고 다니고, 남아공한테는 어떻게든 반반 싸움으로 비벼보려고 안간힘을 다 한다. 문제는 2015년 이후 북반구 국가들도 수준이 일제히 올라오면서 지금은 1티어의 평균 수준에 불과한 나라가 되었다.[1]

2015 월드컵에서 준우승까지 했지만, 이후 점점 힘이 빠지면서 2019년 이후로 지금까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2023 럭비 월드컵을 불과 8개월 앞둔 2023년 1월 럭비 오스트레일리아는 대표팀 감독 교체를 발표했는데, 20년 전 자국 대표팀 감독이자 지난 11월 잉글랜드 감독에서 경질된 에디 존스임이 밝혀졌다. 임기는 다음 월드컵을 마친 뒤인 2027년 말까지 5년이다. 20여년 만에 호주 감독으로 돌아온 에디 존스는 "태즈먼 해를 경계로 한쪽은 슈퍼맨(뉴질랜드)들이 태어나고, 한쪽은 패배자(호주)가 태어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2], "나의 목표는 20년 만에 세 번째 웹 웰리스 컵을 드는 것"등등 자신만만한 발언을 이어갔다. 월드컵에서 호주가 잉글랜드를 8강이나 4강에서 만나면 굉장히 흥미로운 볼거리가 되었겠지만, 까고 보니 조별리그에서 3위로 광탈하며 그럴 일은 없게 되었다. 이후 입으로만 승리를 외치는 에디 존스의 사기꾼적인 행보와 함께 월드컵이 시작도 하기 전 비밀리에 화상으로 일본 감독직 면접을 봤다는 사실이 들통나며 호주 팬들의 뒤통수를 제대로 후려쳤고, 결국 1년도 되지 않아 경질됐다.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은 호주 대표팀 앞에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이 지금 감독인 조 슈미트다.

명장 조 슈미트가 감독으로 부임하며 10년 전 암흑기에서 황금기로 극적으로 전환한 아일랜드처럼 호주도 기사회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참고로 1995년 말 럭비 유니언이 프로화된 이후 월러비스의 4년 주기 승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해 왔는데, 이걸 반전시킬 수 있는 조 슈미트에게 모든 희망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다.
  • 1996 ~ 1999 : 49전 36승 (73.5%)
  • 2000 ~ 2003 : 45전 29승 (64.4%)
  • 2004 ~ 2007 : 50전 30승 (60.0%)
  • 2008 ~ 2011 : 56전 33승 (58.9%)
  • 2012 ~ 2015 : 56전 32승 (57.1%)
  • 2016 ~ 2019 : 52전 23승 (44.2%)
  • 2020 ~ 2023 : 43전 15승 (34.9%)
  • 2024 ~ 현재 : 17전 8승 (47.1%)

2.2. 주요 대회 성적

럭비 월드컵
<rowcolor=#007a4d,#007a4d> 연도 개최국 최종 순위 비고
198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위 조별리그 3전 전승
4강전 vs 프랑스(24:30)
3/4위전 vs 웨일스(21:22)
199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우승 조별리그 3전 전승
1995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8강 8강전 vs 잉글랜드(22:25)
199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우승 조별리그 3전 전승
2003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준우승 조별리그 4전 전승
결승전 vs 잉글랜드(17:20)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8강 조별리그 4전 전승
8강전 vs 잉글랜드(10:12)
2011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4강 4강전 vs 뉴질랜드(6:20)
201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준우승 조별리그 4전 전승
결승전 vs 뉴질랜드(17:34)
2019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8강 8강전 vs 잉글랜드(16:40)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조별리그 조 3위
202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이렇게 보니 잉글랜드와도 질긴 악연인것 같다.

2023 럭비 월드컵에선 역사상 처음으로 조별리그 탈락의 수모를 겪었다. 심지어 피지에게 지고, 웨일스에겐 6:40으로 대참패를 당했다.[3]
트라이 네이션스 (1996 ~ 2011)
<rowcolor=#007a4d,#007a4d>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72전 50승 22패 69.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3회 72전 29승 1무 42패 40.3%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3회 72전 28승 1무 43패 38.9%
럭비 챔피언십 (2012 ~ )
<rowcolor=#007a4d,#007a4d> 참가국 우승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0회 67전 53승 2무 12패 79.1%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2회 63전 33승 4무 26패 52.4%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회 67전 27승 5무 35패 40.3%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67전 12승 3무 52패 17.9%

2.3. 국가별 상대전적

<rowcolor=#007a4d,#007a4d> 상대국 총전적 승률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79전 45승 8무 126패 25.1%
파일:브리티시 앤드 아이리시 라이언스 로고.svg B&I 라이언스 26전 7승 19패 26.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95전 40승 3무 52패 42.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56전 27승 1무 28패 48.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2전 29승 2무 21패 <colcolor=green> 55.8%
파일:IRFU 로고.png 아일랜드 38전 22승 1무 15패 57.9%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35전 22승 13패 62.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49전 34승 1무 14패 69.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41전 29승 3무 9패 70.7%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4전 3승 1패 75%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6전 5승 1패 83.3%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24전 20승 1무 3패 83.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19전 18승 1패 94.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전 1승 100%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1전 1승 10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전 1승 100%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전 1승 100%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1전 1승 10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전 2승 100%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3전 3승 100%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3전 3승 100%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6전 6승 100%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6전 6승 10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8전 8승 100%

3. 개인 기록

<rowcolor=#007a4d,#007a4d> 타이틀 이름 포지션 기록 기간/시점 비고
최다 출전 제임스 슬리퍼 프롭 146회 2010~
주장으로서 최다 출전 마이클 후퍼 플랭커 68회 2014~2023
최다 트라이 데이비드 캠피시 64회 1982~1996 경기당 0.63개
최다 트라이 (경기당) 데이비드 캠피시 경기당 0.63개 1982~1996 총 64회
최다 득점 마이클 라이나 플라이하프 911점 1984~1995 경기당 12.65점
한 경기 최다 득점 맷 로저스 42점 2003.10.25 vs 나미비아
한 경기 최다 트라이 크리스 래텀 풀백 5개 2003.10.25 vs 나미비아

4. 유니폼

주 유니폼은 노란 상의, 녹색 바지와 양말, 글씨가 전통이다. 교체 유니폼은 위아래 녹색에 노란 글씨. 큰 국제 무대에서 유일한 노란색 상의라서 가시성이 매우 좋고 독창적이다.[4]
<rowcolor=#007a4d,#007a4d> 연도 장비 제작 연도 유니폼 스폰서
1975~1988 파일:독일 국기.svg 아디다스 -
198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1988~1989 파일:일본 국기.svg RICOH
1990~1996 1990~1994 XXXX
1997~1999 파일:미국 국기.svg 리복 1995~1997 파일:영국 국기.svg 슈웹스
2000~200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캔터베리 1998~2003 파일:영국 국기.svg 보다폰
2010~2013 쿠가 2004~2020 콴타스
2013 BLK
2014~ 파일:일본 국기.svg 아식스 2021~ 파일:영국 국기.svg 캐드버리

5. 선수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 파일:Wallabies.png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7a4d,#007a4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a0,#fa0> 포지션 소속팀 이름 연령 출전 비고
후커
(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조시 나서
Josh Nasser
26세 6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브렌던 파엥가아모사
Brandon Paenga-Amosa
29세 21회 뉴질랜드인 거주지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빌리 폴러드
Billy Pollard
23세 10회
프롭
(6)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앵거스 벨
Angus Bell
24세 39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제인 농고르
Zane Nonggorr
24세 12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톰 로버트슨
Tom Robertson
30세 33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에이던 로스
Aidan Ross
29세 -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제임스 슬리퍼
James Slipper
36세 147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타니엘라 투포우
Taniela Tupou
29세 59회 통가인 거주지

(4)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닉 프로스트
Nick Frost
25세 29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루칸 살라카이아로토
Lukhan Salakaia-Loto
28세 41회 뉴질랜드인 거주지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타드 로셸레 로고.png 윌 스켈튼
Will Skelton
33세 33회 뉴질랜드인 거주지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제러미 윌리엄스
Jeremy Williams
24세 14회
백 로우
(7)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닉 챔피언드크레스피니
Nick Champion de Crespigny
29세 1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랑기 글리슨
Langi Gleeson
24세 17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톰 후퍼
Tom Hooper
24세 13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프레이저 맥라이트
Fraser McReight
26세 29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칼로 티자노
Carlo Tizzano
25세 8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롭 발레티니
Rob Valetini
26세 53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해리 윌슨
Harry Wilson
25세 26회 주장
스크럼
하프

(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라이언 로너건
Ryan Lonergan
27세 -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테이트 맥더머트
Tate McDermott
26세 45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닉 화이트
Nic White
35세 73회
플라이
하프

(3)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웨스턴 포스 2022.png 벤 도널드슨
Ben Donaldson
26세 19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테인 에드메드
Tane Edmed
24세 1회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레스터 타이거즈 로고.png 제임스 오코너
James O'Connor
35세 64회
센터
(4)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조시 플루크
Josh Flook
23세 4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렌 이키타우
Len Ikitau
26세 43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레즈 럭비 로고.png 헌터 파이사미
Hunter Paisami
26세 31회 사모아인 거주지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조셉 수아알리이
Joseph Sua'ali'i
22세 8회

(4)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맥스 조겐슨
Max Jorgensen
20세 11회 잉글랜드 출신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앤드루 켈러웨이
Andrew Kellaway
29세 41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와라타스 럭비 로고.png 딜런 피치
Dylan Pietsch
27세 6회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코리 툴
Corey Toole
25세 -
풀백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브럼비스 로고.png 톰 라이트
Tom Wright
28세 41회
2025 럭비 챔피언십 선수단 (8월 7일 기준)
감독: 조 슈미트 (Joe Schmidt)
홈 경기장: -

}}}}}}}}}}}}

2025년 8월, 럭비 오스트레일리아는 해외 리그에서 뛰는 선수가 국가대표로 선발되기 위한 기준인 "맷 기토 법"을 전격 폐지했다. 맷 기토 법은 철저하게 호주 클럽에 소속된 선수만을 국가대표로 선발하던 기준을 완화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아래와 같이 개정되어 왔다. 이로 인해 호주 대표팀은 TOP 14와 같은 해외 리그에서 현역으로 활동 중인 선수도 소집할 수 있게 되었다.
  • 2015년 4월 ~ 2020년 9월 : 국가대표로서 60경기 이상, 슈퍼 럭비에서 일곱 시즌 이상 보낸 선수는 국가대표로 선발 가능. 2015 럭비 월드컵 이전 마이클 체이카 감독의 요청으로 제정되었다. 그 의도는 당시 RC 툴로네에서 뛰던 맷 기토를 대표팀으로 선발하기 위함이었다.
  • 2020년 9월 ~ 2022년 2월 : 위 기준을 충족하지 아니한 선수라도 2명에 한하여 대표팀으로 선발 가능.
  • 2022년 2월 ~ 2025년 8월 : 국가대표 출전 횟수 기준을 30회로, 슈퍼 럭비 소속으로 보낸 시즌을 5년으로 하향.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선수를 한 대회에 3명까지 선발할 수 있게 상향.
  • 2025년 8월 : 국가대표 선발을 제한하는 기준 전격 폐지.

[1] 이렇게 된 원인으로는 협회의 장대한 삽질로 인한 호주 럭비 유니언 자체의 쇠퇴가 원인이기도 하다.[2] The Tasman Sea doesn’t make the All Blacks ‘supermen’[3] 이전 4경기에서 두 팀의 점수 합은 웨일스 101 : 호주 98일 정도로 호각의 상대였다.[4] 거의 모든 1,2티어 팀이 파란색, 하얀색, 빨간색, 녹색, 검은색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루마니아스페인 대표팀만이 노란색 상의를 입는다. 그마저도 스페인은 주 유니폼이 빨간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