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07:24:38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2169,#383b40>
파일:호주 국기.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덴마크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

<colcolor=#FFF><colbgcolor=#012169> 특수작전사령부
Special Operations Command(SOCOMD)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마크.png
활동 <colbgcolor=#fff,#191919>2003년 ~ 현재
국가
[[호주|]][[틀:국기|]][[틀:국기|]]
소속 호주군
유형 특수부대
역할 호주군 특수작전부대 총괄
규모 현역 2,050여 명[1], 예비역 750여명
모토 Acies Acuta
최첨단 (라틴어)

1. 개요2. 설명3. 편제

[clearfix]

1. 개요

호주군의 특수전사령부.

2. 설명

호주군특수전을 담당하는 전문 특수부대들을 총괄하는 호주군 직할 국직 특수전사령부이다. 호주군의 특수전과 각종 전투임무를 담당하며, 해외 파병을 몹시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다. 산하에 특수전 학교나 공수학교 등의 교육기관도 거느리고 있다.

산하의 SASR제2코만도연대USSOCOM, 영국 특수부대, 캐나다 특수전사령부를 비롯한 5개의 눈 국가 소속 특수부대와 공동체 관계이며, 특히 그중에서도 AUKUS파인 갭 등으로 미국, 영국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에 미/영 특수부대와 매우 활발히 교류하며 합동파견을 실시한다. 기본적으로 호주군 자체 정예도가 5개의 눈 국가들 중에서도 탑급이고[2], 영미권 특수작전사령부답게 전세계 보병/특수전 전술의 표준을 제공하는 몹시 선진적이며 실전경험도 현재진행형인, 극도로 관련 체계가 발달한 곳이다.

사령관은 소장이며, 호주 육군 및 해군, 공군과 동등한 급의 국직부대이다.

과거 1차 세계대전2차 세계대전베트남전에서 SASR을 필두로 어마어마한 전공을 세워왔으며, 베트남전에서는 무려 전투교환비 1:500, 사망자 0명이라는 무시무시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 외 제2코만도연대 소속의 요원이 전세계 장거리저격 3위 기록(2,815M)를 세우기도 하는 등, 극소수정예군인 호주군의 특수전부대에 걸맞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재도 다양한 전세계의 전투/분쟁 지역에서 5개의 눈 국가 소속 특수부대들과 활발한 작전을 이어가고 있다.

3. 편제


[1] 지원부대 인원 포함. 오퍼레이터 수는 이보다 훨씬 더 적다.[2] 정규군부대 소속 보병이 선박 CQB나 해상침투, 정밀직접타격을 구사하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