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스코틀랜드의 메리 1세}}}에 대한 내용은 [[메리 여왕(스코틀랜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리 여왕(스코틀랜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메리 여왕(스코틀랜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스코틀랜드의 메리 1세: }}}[[메리 여왕(스코틀랜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리 여왕(스코틀랜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메리 여왕(스코틀랜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60719 0%, #cf091f 20%, #cf091f 80%, #a607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웨식스 왕조 | |||
애설스탠 | 에드먼드 1세 | 이드리드 | 이드위그 | |
웨식스 왕조 | 크누트 왕조 | |||
에드거 1세 | 순교왕 에드워드 | 애설레드 2세 | 스웨인 | |
웨식스 왕조 | 크누트 왕조 | |||
애설레드 2세 | 에드먼드 2세 | 크누트 | 해럴드 1세 | |
크누트 왕조 | 웨식스 왕조 | |||
하다크누트 | 참회왕 에드워드 | 해럴드 2세 | 에드거 2세 | |
노르만 왕조 | 블루아 왕조 | |||
윌리엄 1세 | 윌리엄 2세 | 헨리 1세 | 스티븐 | |
노르만 왕조 | 블루아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
마틸다 | 스티븐 | 헨리 2세 | 리처드 1세 | |
플랜태저넷 왕조 | ||||
존 | 헨리 3세 | 에드워드 1세 | 에드워드 2세 | |
플랜태저넷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
에드워드 3세 | 리처드 2세 | 헨리 4세 | 헨리 5세 | |
랭커스터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요크 왕조 | |
헨리 6세 | 에드워드 4세 | 헨리 6세 | 에드워드 4세 | |
요크 왕조 | 튜더 왕조 | |||
에드워드 5세 | 리처드 3세 | 헨리 7세 | 헨리 8세 | |
튜더 왕조 | ||||
에드워드 6세 | 제인 | 메리 1세 필립 | 엘리자베스 1세 | |
스튜어트 왕조 | ||||
제임스 1세 | 찰스 1세 | 찰스 2세 | 제임스 2세 | |
스튜어트 왕조 | 영국 국왕 → | |||
윌리엄 3세 메리 2세 | 앤 | |||
}}}}}}}}}}}}}}} |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조 제4대 국왕 메리 1세 Mary I | |||
<nopad> | |||
<colbgcolor=#cf091f><colcolor=black> 왕호 | 메리 1세 (Mary I) | ||
출생 | 1516년 2월 18일 | ||
그리니치 플라센티아 궁전 | |||
사망 | 1558년 11월 17일 (향년 42세) | ||
런던 세인트 제임스 궁전 | |||
재위기간 | 잉글랜드, 아일랜드의 왕 | ||
1553년 7월 ~ 1558년 11월 17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f091f><colcolor=#fff> 이름 | 메리 튜더 (Mary Tudor) | |
배우자 | 펠리페 2세 (1554년 결혼) | ||
아버지 | 헨리 8세 | ||
어머니 | 아라곤의 카탈리나 | ||
장례식 | 1558년 12월 14일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 ||
종교 | 가톨릭 | ||
문장 | Veritas temporis filia 진리는 시간의 딸이다[1] | }}}}}}}}} |
1. 개요
16세기 잉글랜드 왕국 튜더 왕조 제4대 국왕.그녀 이전에 잉글랜드의 왕좌에 아주 짧은 기간이나마 앉았던 여성인 마틸다와 제인 그레이의 경우, 군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논란이 있기 때문에 보통 잉글랜드 왕국 최초의 여왕으로 인식된다. 또한, 당대에는 스튜어트 가문 출신의 메리 여왕 이전 시대이므로 당연히 메리 1세가 아니라 '퀸 메리'로만 불렸다.
헨리 8세의 적장녀로 그의 첫 번째 왕비인 아라곤의 카탈리나의 딸이며, 카스티야와 아라곤을 통치한 트라스타마라 왕가의 가톨릭 부부왕 이사벨 1세와 페란도 2세의 외손녀이다. 또한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카탈리나 사이에서 태어난 3남 3녀 중 유일하게 장성할 때까지 살아남은 자식으로 헨리 8세의 장녀이자 첫째 아이로 에드워드 6세의 이복 누나이자 엘리자베스 1세의 이복 언니이기도 하다.
블러디 메리(Bloody Mary)라는 별칭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잉글랜드의 국왕이다. 개인적인 성품은 선량했지만, 그녀의 가톨릭에 대한 독실한 신앙심과 잉글랜드에 가톨릭을 복원하기 위해 280여 명을 처형하고 800명이 해외로 망명하게 한 것은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다. 하지만 당대의 대다수 유럽 군주들이 자기가 신봉하는 신앙을 관철하기 위해 반대 종파를 탄압했기 때문에, 메리 1세를 특별히 광신적인 군주로 간주할 수는 없다.
2. 생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리 1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리 1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가계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메리 1세 (Mary I) | <colbgcolor=#fff3e4,#331c00> 헨리 8세 (Henry VIII) | <colbgcolor=#ffffe4,#323300> 헨리 7세 (Henry VII) | |
제1대 리치먼드 백작 에드먼드 튜더 (Edmund Tudor, 1st Earl of Richmond) | |||
레이디 마거릿 보퍼트 (Lady Margaret Beaufort) | |||
요크의 엘리자베스 (Elizabeth of York) | |||
에드워드 4세 (Edward IV) | |||
엘리자베스 우드빌 (Elizabeth Woodville) | |||
아라곤의 카탈리나 (Catherine of Aragon) | |||
페란도 2세 (Ferdinand II) | |||
추안 2세 (John II) | |||
후아나 엔리케스 (Joanna EnrÍquez) | |||
이사벨 1세 (Isabella I) | |||
후안 2세 (John II) | |||
포르투갈의 이자벨[2] (Isabella of Portugal) |
- 부: 헨리 8세 (1491 ~ 1547)
- 모: 아라곤의 카탈리나 (1485 ~ 1536)
- 계모: 앤 불린 (1501/1507 ~ 1536)
- 계모: 제인 시모어 (1508 ~ 1537)
- 계모: 클레베의 앤 (1515 ~ 1557)
- 계모: 캐서린 하워드 (1520/1523 ~ 1542)
- 계모: 캐서린 파 (1512 ~ 1548)
- 남편: 펠리페 2세 (1527 ~ 1598)
4. 평가
5. 여담
- 죽으면서 자신의 장지에 대해 피터버러에 있는 어머니 아라곤의 카탈리나의 무덤 곁에 묻히고 싶다는 유언을 남겼다. 어머니에 대한 애정이 정말 남달랐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 아버지에 의해 어머니가 버림받는 경험과 자신까지도 버림받아 혼담이 깨지고 여러 고생하다가 복권된 후, 결국 숱한 위기 끝에 왕위에 오르나, 아버지에 이어 사랑하는 남편에게도 차가운 외면과 박대, 무관심을 당했던 메리에게는 어쩌면 당연한 유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유언은 실현되지 못한 채, 결국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됐는데, 그 옆자리가 다름 아닌 그녀가 그토록 애증의 대상이자 라이벌로 삼아왔던 여동생 엘리자베스 1세였다. 현재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메리 1세와 엘리자베스 1세 묘에 가보면, 두 자매의 애증이 드러나면서도 뭔가 초월한 것 같은 비문을 발견할 수 있다. 엘리자베스 사후에 제임스 1세가 세우도록 한 이 비문의 내용은 ‘왕권과 무덤을 함께 공유한, 엘리자베스와 메리 두 자매가 여기 부활의 희망 속에 잠들었노라’이다. 웨스트민스터 측에서 현대에 부착한 ‘메리와 엘리자베스의 묘 앞에서, 종교개혁 당시 서로 다른 신념에 의해 갈라져서 그리스도와 양심을 위해 목숨을 버린 이들을 기억합시다.’라는 안내문도 찾아볼 수 있다. 종교개혁 당시의 혼란스러운 역사 속에서 굳이 어느 한 쪽이 더 도덕적 우위에 있지 않았음을 인정하고, 모두를 기억하려고 하는 오늘날의 영국 교회와 학계의 분위기를 어느 정도 짐작하게 한다.
- 흔히 "메리 스튜어트"라 불리는 스튜어트 왕조의 여왕 메리도 스코틀랜드 여왕으로 부를 때는 "메리 1세"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묘하게도 두 명의 메리 1세는 재위 기간이 약간 겹치며[5] 친척 관계이다. 본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메리 1세(메리 튜더)의 큰 고모(헨리 8세의 누나)인 마거릿 튜더가 스코틀랜드의 국왕 제임스 4세와 혼인해서 낳은 아들이 제임스 5세이고, 그 제임스 5세의 딸이 바로 메리 스튜어트이다. 즉, 메리 스튜어트는 메리 1세(메리 튜더)-엘리자베스 1세의 5촌 조카였다.
- 본명은 메리 튜더인데, 작은 고모(헨리 8세의 여동생)의 이름도 메리 튜더[6](1496~1533)이다. 헨리 8세가 여동생과 사이가 좋아서 딸에게 '메리'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고 하는데 헷갈릴 수 있다.
- 이복 막내 남동생보다도 1년 짧은 재위 기간에도 불구하고, 남동생보다 훨씬 인지도가 높으며 역사적으로도 중요하게 받아들여진다. 파란만장하고 드라마틱한 인생사뿐만 아니라 반(反)종교개혁의 수장으로서 영국 역사의 방향을 영구히 돌려놓을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로마 제국의 율리아누스 황제가 2년도 안 되는 재위기간에도 불구하고 역사가들에게 비중 있게 다뤄지는 것과 비슷하다.
6. 대중매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리 1세/대중매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리 1세/대중매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5c 0%, #00005c 20%, #00005c 80%, #00005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튜더 왕조 | |||
엔리 8세 | 아이드워르드 6세 | 시반 | 모이라 1세 필리브 |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
아이예리쉬 1세 | 셰이머스 1세 | 카를루스 1세 | 카를루스 2세 | |
스튜어트 왕조 | ||||
셰이머스 2세 | 모이라 2세 | 윌리엄 3세 | 아녀 | |
하노버 왕조 | ||||
쇼르셔 1세 | 쇼르셔 2세 | 쇼르셔 3세 | ||
역사적 아르드리 · 아일랜드 영주 · 아일랜드 자유국 국가원수 · 아일랜드 대통령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20000, #ce0f25 20%, #ce0f25 80%, #92000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카를로스 1세 | 펠리페 2세 | 펠리페 3세 | 펠리페 4세 |
포르투갈의 이자벨 | 1 메리 1세2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3 오스트리아의 안나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여대공 | 1 프랑스의 엘리자베트2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 |
카를로스 2세 | 펠리페 5세 | 루이스 1세 | 페르난도 6세 | |
1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2 팔츠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안나 | 1 사보이아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2 파르마의 엘리사베타 공녀 | 루이즈 엘리자베트 도를레앙 | 포르투갈의 인판타 바르바라 | |
카를로스 3세 | 카를로스 4세 | 호세 1세 | 페르난도 7세 |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 파르마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 | 줄리 클라리 | 1 포르투갈의 마리아 이자벨2 작센의 마리아 요제파 아말리아3 양시칠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 |
아마데오 1세 | 알폰소 12세 | 알폰소 13세 | 후안 카를로스 1세 | |
마리아 비토리아 달 포조 | 1 오를레앙의 메르세데스2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크리스티나 | 바텐베르크의 빅토리아 유지니 공녀 | 그리스와 덴마크의 소피아 | |
펠리페 6세 | ||||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fb503, #fcdd09 20%, #fcdd09 80%, #cfb503); color: #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카를로 1세 | 카를로 2세 | 로베르토 | 카를로 3세 | |
부르고뉴의 마르그리트 | 헝가리의 마리어 | 마요르카의 산치아 | 두라초의 마르게리타 | ||
라디슬라오 | 레나토 | 알폰소 1세 | 페르디난도 1세 | ||
1 쿠스탄차 치아라몬테2 뤼지냥의 마리아3 마리아 드 엥기엔 | 로렌의 이자벨 | 카스티야의 마리아 | 1 클레르몽의 이자벨2 아라곤의 후아나 | ||
페르디난도 2세 | 페데리코 | 루이지 3세 | 페르디난도 3세 | ||
나폴리의 조반나 | 이사벨라 델 발레 | 안 드 브르타뉴 | 1 이사벨 1세2 제르멘 드 푸아 | ||
카를로 4세 | 필리포 1세 | 필리포 2세 | 필리포 3세 | ||
포르투갈의 이자벨 | 1 메리 1세2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3 오스트리아의 안나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여대공 | 1 프랑스의 엘리자베트2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 ||
카를로 5세 | 필리포 4세 | 카를로 6세 | 카를로 7세 | ||
1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2 팔츠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안나 | 사보이아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 |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 ||
페르디난도 4세 | 주세페 1세 | 조아키노 나폴레오네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 줄리 클라리 | 카롤린 보나파르트 | |||
<rowcolor=#000> 나폴리 국왕 · 나폴리 국서 | }}}}}}}}}}}} |
시칠리아 왕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루제루 2세 | 구기에르무 1세 | 구기에르무 2세 | 탕크레디 |
1 카스티야의 엘비라2 부르고뉴의 시빌3 레텔의 베아트리스 | 나바라의 마르가리타 | 잉글랜드의 조앤 | 아체라의 시빌라 | |
루제루 3세 | 피디리쿠 1세 | 쿠라두 1세 | 만프레디 | |
이리니 앙겔리나 | 1 아라곤의 콘스탄사2 이사벨 2세3 잉글랜드의 이사벨라 |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 | 엘리니 앙겔리나 두케나 | |
카를루 1세 | 자쿠무 1세 | 피디리쿠 2세 | 페트루 2세 | |
1 프로방스의 베아트리스2 부르고뉴의 마르그리트 | 1 카스티야의 이사벨라2 앙주의 비앙카 | 앙주의 엘레오노르 | 케른텐의 엘리자베트 | |
피디리쿠 3세 | 마르티누 1세 | 마르티누 2세 | 피르디난두 1세 | |
1 아라곤의 콘스탄사2 보의 안토니아 | 수리아 1세 | 프라데스의 마르가리타 | 알부르케르케의 레오노르 | |
알폰추 | 지우반니 | 피르디난두 2세 | 카를루 2세 | |
카스티야의 마리아 | 후아나 엔리케스 | 1 이사벨 1세2 제르멘 드 푸아 | 포르투갈의 이자벨 | |
필리푸 1세 | 필리푸 2세 | 필리푸 3세 | 카를루 3세 | |
1 메리 1세2 엘리자베트 드 발루아3 오스트리아의 안나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여대공 | 1 프랑스의 엘리자베트2 오스트리아의 마리아나 | 1 마리 루이즈 도를레앙2 팔츠노이부르크의 마리아 안나 | |
필리푸 4세 | 비토리우 아메데우 | 카를루 4세 | 카를루 5세 | |
사보이아의 마리아 루이사 공녀 | 안 마리 도를레앙 | 브라운슈바이크의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 작센의 마리아 아말리아 | |
피르디난두 3세 |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 ||||
<rowcolor=#fff> 시칠리아 국왕 | }}}}}}}}} |
[1] 펠리페 2세와의 결혼으로 오른쪽에 스페인의 상징을 넣었다.[2] 주앙 1세의 손녀이다.[3] 의외로 메리 1세와 나이 차이가 꽤 난다. 대략 17살 차이. 메리는 헨리 8세의 치세 초기에 태어난 장녀이고, 엘리자베스는 헨리 8세가 앤 불린과 정을 통한 후에도 한참 지나서 태어났기 때문이다.[4] 메리 1세와 나이 차이는 대략 21살. 이 시절 기준으로는 부모자식 간 나이차다.[5] 실제로는 엘리자베스 1세와 가장 많이 겹치며 사실 엘리자베스의 라이벌 관계도 언니 메리보다는 스코틀랜드의 메리와 더 가까웠다. 엘리자베스는 메리가 있는 이상은 절대 왕위를 주장할 수 없었지만 스코틀랜드의 메리는 그렇지도 않았으니까.[6] 제인 그레이의 외조모, 즉 제인의 막장 모친 프랜시스 브랜든의 어머니가 바로 이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