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6:55:28

판도라(컴퓨터)


7세대 콘솔 게임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가정용
Xbox 360 PS3 Wii
Game Wave V.Flash· Motion Hyperscan
iON ClickStart Zeebo
휴대용
닌텐도 DS PSP
닌텐도 DSi
Gizmondo GP2X · Wiz · CAANOO Pandora
각 세대별 콘솔 게임기 둘러보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


파일:PandoraFrontNew.jpg

1. 개요2. 사양3. 설명4. 게임 목록5. 외부 링크

1. 개요

판도라(Pandora)는 PDA휴대용 게임기로, GP32GP2X 휴대용 기기의 전 배급사와 커뮤니티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OpenPandora에 의해 개발·생산되었다.

2010년 5월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기존의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홈브루(개인 개발) 개발의 목표가 되도록 설계되었다.

2. 사양

  • CPU: ARM Cortex-A8 600MHz 이상
  • DSP 코어: TMS320C64x+ 430MHz
  • 그래픽 칩셋: PowerVR SGX - OpenGL ES 2.0 호환
  • 디스플레이: 800x480, 4.3인치, 1670만 색상 터치스크린 LCD
  • WiFi 802.11b/g
  • 블루투스
  • USB 2.0 호스트
  • SDHC 카드 슬롯 2개
  • S-Video TV 출력 가능
  • 게임용 아날로그, 디지탈 조종간
  • 43버튼 QWERTY 및 숫자 키패드
  • 운영체제: 리눅스
  • 배터리 수명: 대략 10시간

3. 설명

GP2X의 독일 및 기타 유럽국가 배급 담당업체 대표인 Michael Mrozek(닉네임 EvilDragon)의 주도하에 Craig Rothwell, Fatih Kilic, 그리고 뒤이어 합류한 Michael Weston이 함께 팀을 꾸려, GP32GP2X에서 부족하다고 여겼던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휴대용 시스템을 기획하면서 시작되었다. GP32X 포럼 회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와 의견을 바탕으로 설계되었으며, 목표는 “궁극의 오픈 소스 휴대용 기기”를 만드는 것이었다.

2008년 2월에 이미 Pandora 위키가 만들어졌고, 2014년 기준으로 약 1,000여 개의 문서를 포함하며 MediaWiki의 번역 확장 기능을 통해 다국어로 번역되기도 했다.

GP32와 GP2X 시리즈의 정신적 계보를 잇는 기기라고 볼 수 있다. GP32나 GP2X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GP2X를 커스터마이징하여 홈브루 게임을 올려서 갖고 놀던 팬베이스가 주축이 되어 개발된 것으로, 어떤 회사의 제품이 아니라 유저들이 모여서 개발하였기 때문에 제작비는 크라우드펀딩으로 충당하였으며 개발 기간이 길어서 개발 시작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정식으로 출시될 수 있었다.

초기 지지자들이 생산비용을 댔고, 기기가 실제로 생산되면 그들이 선주문한 기기를 받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비용 초과로 인해, 초기 지지자들은 후속 판매를 통해 투자금이 회수된 이후에야 기기를 받을 수 있었다. OpenPandora는 2008년 9월 30일부터 결제를 받기 시작했고, 2010년 5월 21일부터 고객들에게 배송을 시작했다. 2011년 말 생산 문제로 OpenPandora는 생산지를 미국 텍사스에서 독일로 이전하면서 일정이 지연되었고, 그 과정에서 메모리가 256MB에서 512MB로 업그레이드되었다.

2012년 여름부터는 새로운 1GHz 모델이 소량 출시되었고, 이전 600MHz 칩 부족으로 인해 이 신형 모델이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판도라의 설계자들은 시스템을 발표하면서 지금까지 존재했던 어떤 휴대용 게임기 보다 더 강력할 것이라고 말했으나, 딱 보면 알겠지만, 스마트폰 때문에 완벽히 사장되었다. 이 프로젝트가 처음 기획된 2008년 당시에는 나쁘지 않은 비전과 사양이였으나 소규모 프로젝트의 특성상 펀딩부터 양산까지 시간이 너무 지체되었고, 이 제품이 실제로 본격적으로 배송을 시작한 2012년에는 훨씬 고사양의 스마트폰이 이미 시장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다.

2014년부터 재설계 및 업그레이드된 후속 후속기로 DragonBox Pyra라는 기기의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이 역시 시대착오적인 스펙[1]에 기반하고 있었으며, 현재는 흐지부지된 상태.

4. 게임 목록

Mobygames 판도라 게임 목록
  • Sqrxz
  • Sqrxz 2
  • Sqrxz III
  • Erebus
  • Sqrxz IV
  • Gigalomania
  • Hermes
  • Zombiepox

판도라로 출시된 게임 외에도, 판도라의 주요 활용 목적 중 하나는 구형 컴퓨터·게임기 에뮬레이션이였다. 개발진은 드림캐스트, 플레이스테이션, 닌텐도 64 아미가, 슈퍼 패미컴, 아타리 재규어, 메가 드라이브 등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에뮬레이터를 시연했었고, 판도라는 드림캐스트 이전 세대의 거의 모든 기기를 에뮬레이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됐다.

소스 코드가 공개된 일부 상용 게임(예: Jagged Alliance 2, Homeworld)의 경우, 단순 에뮬레이션 대신 Pandora 전용 소스 포트가 제작되었다.

5. 외부 링크

판도라 위키
[1] 듀얼 Cortex-A15 1.5GHz가 장착된 TI OMAP5를 사용할 예정이었는데, 이미 발표 시점에서 TI는 SoC 사업부에서 철수를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