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6 01:28:16

티마이오스의 눈


어둠의 유우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서브 에이스 에이스
원작 · DM
데몬 소환
암흑 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버스터 블레이더
블랙 매지션 걸
크리보
DM
티마이오스의 눈
R
아르카나 나이트 조커
OCG · GX
카오스 솔저 -개벽-
블랙 매지션
DSOD
수호신관 마하드 ||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원작 · DM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DM
검은 옷의 대현자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
애뮤릿 드래곤
빛의 피라미드
어둠의 마법신관
OCG
혼돈의 흑마술사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
용기사 블랙 매지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초마법 기사 블랙 카발리
원작 · DM 초반
봉인된 엑조디아(유실)
토에이
메테오 블랙 드래곤
DM / GX
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
}}}}}}}}} ||

1. 개요2. 원작3.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소환에 필요한 소재)
3.1. OCG3.2. 러시 듀얼
4. 관련 카드 (OCG)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2. 원작

파일:TheEyeofTimaeus-OW.png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 등장한 이름없는 용 카드 중 하나.

사용자는 어둠의 유우기.[1] 정령계에 봉인되어있던 청렴한 초록색의 용으로서 실제로 오른쪽 눈에 검이 꽂혀있었다.[2] 도마의 출현으로 위협을 느낀 듀얼 몬스터즈계 정령의 대표로 블랙 매지션 걸이 정령 세계의 위기와 유우기들의 세계가 위험에 빠졌다는 것을 알려주며, 검이 꽂힌 채로 봉인되어 있는 3마리의 이름없는 용에게로 안내하고 그들의 전설을 알려주었다. 이에 검을 뽑고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티마이오스의 이름을 외쳐 힘을 받는 것으로 티마이오스의 마스터가 되었다.

특수 능력은 자신 필드에 존재하는 몬스터 카드 1장과 융합하는 것으로 새로운 특수 능력을 지닌 몬스터로 탄생하는 것. 능력의 발동 방식만으로 치면 가장 상식적인 편에 속한다. 융합되어 나오는 몬스터는 융합 몬스터로 취급되는지는 밝혀진 바가 없으며 특수 소환된 몬스터도 대상 몬스터와는 전혀 다른 특수 능력을 지녔다.

작중에서 등장한 몬스터는 블랙 매지션과 융합한 애뮤릿 드래곤, 블랙 매지션 걸과 융합한 용기사 블랙 매지션 걸이 있다. 융합한 몬스터의 형태가 약간의 변환점은 있어도 전체적으로 대상 몬스터가 티마이오스에 탑승하는 형태인데 어느 쪽도 메인이 되지 않고 균등하게 비중을 분배받은 모습이 마치 언제나 동료들과의 유대를 믿고 함께 싸우는 유우기의 성향을 그대로 나타낸 듯하다.[3]
오리컬코스에 대항할 강력한 카드 취급을 받긴 하나 크리티우스의 이빨, 헤르모스의 발톱과는 다르게 이 카드가 승리의 키 카드가 되는 일은 적었다. 피니시를 낸 활약은 오리컬코스 솔저와의 듀얼이나 다츠와의 결전 정도.[4] 게다가 중반에 유우기가 라펠의 계략에 넘어가 오리컬코스의 결계를 쓰는 바람에 패배하는 등, 하필 어둠의 유우기가 가장 처절하게 구르는 에피소드였기에 이래저래 수난을 겪었다. 카드와의 유대를 저버린 유우기에게 실망하여 하가 전에서 하가가 카드 효과로 컨트롤을 넘긴 포이즌 버터플라이와 융합하려 할 때 융합을 거부한 적도 있었다.

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전설의 용
#!if 문서명2 != null
, [[블랙 매지션/서포트 카드]]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ティマイオスの眼(QCCU).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티마이오스의 눈,
일어판명칭=ティマイオスの<ruby>眼<rp>(</rp><rt>まなこ</rt><rp>)</rp></ruby>,
영어판명칭=The Eye of Timaeus,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전설의 용 티마이오스"로도 취급한다.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블랙 매지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1장만을 융합 소재로 하고\, 그 몬스터의 카드명이 융합 소재로서 쓰여진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난 티마이오스의 눈동자를 발동시키겠어!
어둠의 유희,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블랙 매지션 전체의 융합 소환을 지원하는 카드로 OCG화되었다. 블랙 매지션 계열 카드만으로 블랙 매지션 계열의 융합 몬스터를 꺼낼 수 있는 것.

"블랙 매지션" 카드군을 대상으로 발동하며 그 카드명이 융합 소재로 정확히 쓰여 있어야 하기 때문에 '마법사족 몬스터', '어둠 속성 몬스터' 등 소재가 널널한 카드를 지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블랙 매지션"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는 총 10장이 존재하나 그 중에서 실제로 융합 소재로 지정되어있는 것은 블랙 매지션블랙 매지션 걸 둘 뿐이다.

서술했듯 이 카드가 지정하는 것은 "블랙 매지션"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들이기 때문에 블랙 매지션이라는 특정 카드의 카드명이 쓰여있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쓰여 있는 카드를 지정하는 흑의 마도진, 매지션즈 로드, 흑마술의 계승 등의 서포트를 받지 못한다. 먼저 나와서 손해 본 경우로 나중에 나온 매직 익스팬드 같은 카드는 의미 없는 툰 계열은 배제하고 착실하게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을 따로 써 넣어 효과 범위에 들어가게 나왔다.

마법 퍼미션을 가진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영원의 혼을 보호하는 용기사 블랙 매지션, 고타점 담당 및 상대 묘지 마법을 견제하는 애뮤릿 드래곤, 광범위 퍼미션 및 파괴 대상지정 내성이 있으며 파괴+번 효과까지 덤으로 있는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등 소환되는 융합 몬스터들의 성능 자체는 정말 강력하지만, 서치가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블랙 매지션 덱 유저들 사이에서는 극도로 호불호가 갈리는 카드다.[5]그나마 다행인 점은 매지션즈 소울즈의 발매로 선턴에 거의 쓸모없었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었으나, 마침 서치 가능하고 의식 소환까지 가능한 흑마술의 비의가 나왔기 때문에 이 카드의 장점은 융합 소재를 블랙 매지션 1장만으로 충당할 수 있다는 점 밖에는 남지 않았다.

원석 발매 후로는 3장을 넣고 드라군을 뽑는 데에만 집중하는 드라군 비트형 덱도 생겨났으나, 아래의 리메이크 카드인 안광이 출시되면서 결국 채용 가치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2.1.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4-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LG-EN005 | DRAGONS OF LEGEND
2016-08-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L3-EN045 | DRAGONS OF LEGEND -UNLEASHED-
2017-10-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DD-ENA21 | LEGENDARY DRAGON DECKS
2020-09-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LCS-EN007 | 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183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2025-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4-EN192 | QUARTER CENTURY STAMPEDE
2015-05-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D1-JP005 | コレクターズパック 運命の決闘者編
2018-02-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C02-JP035 | RARITY COLLE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02 | LEGENDARY GOLD BOX
2022-12-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B1-JP029 | 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2024-0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JP008 | QUARTER CENTURY CHRONICLE side:UNITY
2015-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D1-KR005 | 컬렉터즈 팩 운명의 듀얼리스트 편
2018-05-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C02-KR035 | 레어리티 컬렉션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02 | 레전더리 골드 세트
2024-03-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U-KR008 | 쿼터 센추리 크로니클 side: 유니티

2.2. 유희왕 러시 듀얼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블랙 매지션(유희왕 러시 듀얼 테마)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TheEyeofTimaeus-RDKP21-JP-OP.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레전드=,
한글판명칭=티마이오스의 눈 <sub>(미발매)<sub>,
일어판명칭=ティマイオスの<ruby>眼<rp>(</rp><rt>まなこ</rt><rp>)</rp></ruby>,
영어판명칭=The Eye of Timaeus <sub>(미발매)<sub>,
조건=자신이 "티마이오스의 눈"을 발동하고 있지 않은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블랙 매지션" 또는 "블랙 매지션 걸"의 카드명을 1개 선언하고\, 선언한 카드명의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만을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고\, 그 카드명이 소재로서 쓰여진 몬스터를 퓨전 소환한다.)]

전설의 용 카드 중 처음으로 러시 듀얼에 등장했다. 전설이라는 이름답게 레전드 카드가 되었으며, 전설의 용 티마이오스 취급 효과는 사라졌다.

소재가 블랙 매지션, 블랙 매지션 걸로 한정되어 있지만 카드 1장만으로 퓨전 소환이 가능하다는 메리트는 크다. 특히 소재가 무거운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이나 초마법 기사 블랙 카발리 등의 퓨전 소환 난이도를 한층 더 낮춰준다. 블랙 파라딘은 레전드 몬스터만 2장을 소재로 지정하고 있는 만큼 사실상 이 카드가 유일한 퓨전 수단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블랙 매지션은 레전드 카드이긴 하지만 카드명을 변경할 수 있는 몬스터를 활용하면 수가 늘어나니 잉여가 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여담으로 아이러니하게도 카드군 시스템이 없는 러시 듀얼 특성상 블랙 매지션과 블랙 매지션 걸을 따로 지정하는 식으로 나온 덕에 OCG 블매 유저들이 그토록 바랬던 블랙 매지션의 카드명이 쓰여 있는 카드를 지정하는 카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카드가 되어 버렸다.
수록 시리즈
2025-05-3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KP21-JP065 | 進撃のアクセルロード

3.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소환에 필요한 소재)

3.1. OCG

3.2. 러시 듀얼

4. 관련 카드 (OCG)

4.1. 전설의 기사 티마이오스

4.2. 합체룡 티마이오스

몬스터로 나온 티마이오스의 리메이크 카드.

4.3. 티마이오스의 안광

파일:2214_20250421055741_img_1_LlLfXqKNa3RpqzRCE0DMkaGTSjYxqNDWzISkyQfTqwQeC4GWu0kZC1lUTOb7qJgM.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티마이오스의 안광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ティマイオスの<ruby>眼光<rp>(</rp><rt>がんこう</rt><rp>)</rp></ruby>,
영어판 명칭=The Gaze of Timaeu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블랙 매지션"이나 "블랙 매지션 걸"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1장만을 융합 소재로서 덱으로 되돌리고\, 그 카드명이 융합 소재로 쓰여 있는 융합 몬스터 1장을 "티마이오스의 눈"의 효과로 취급하여 융합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에 제외된다.)]

원본과 달리 블매의 카드명이 기록되어 서치가 가능해졌으며, 속공 마법이 되었다. 그리고 묘지의 몬스터도 융합 몬스터로 바꿀 수 있게 되었다. 대신 소재는 덱으로 되돌아가며, 이 효과로 소환한 몬스터는 다음 턴 엔드 페이즈에 제외된다는 디메리트 역시 붙었다.

동 팩에 수록된 멸망의 흑마술사, 흑의 마도진, 영혼의 심복 등으로 서치가 가능하며, 특히 멸망의 흑마술사가 원본 블랙 매지션으로 취급되는 효과가 있고 원석, 죄보, 호루스 등의 용병으로 멸망의 흑마술사가 너무 쉽게 나온다는 점을 감안해 제외 디메리트가 붙은 걸로 보인다.

다만 카드 자체가 가진 파워와 가능성은 별개로 블매덱 유저들은 블매 덱에게 왜이리 가혹하냐는 반응을 보여줬는데 하필 블랙 매지션 덱의 기믹과 지향성과 완전히 반대되는 효과와 디메리트를 들고 왔기 때문.
우선 순수축을 기준으로 블매 덱은 기본적으로 묘지에 묻혀있는 블랙 매지션을 특수 소환하여 마도진의 제외 효과를 활용하는 장기전 지향 덱인데, 안광의 효과로 융합 몬스터를 소환하려면 블랙 매지션을 되돌려야하는 점이 큰 문제가 된다.[6]
거기에 더해서 장기전 지향인 블랙 매지션은 결국 상급 몬스터가 필드를 버티면서 지켜주거나 계속 같이 견제를 해서 상대의 아드를 깎아먹어야 하는데, 이런 상급 몬스터를 겨우 꺼내놨더니 다음 턴 엔드 페이즈 시에 제외해서 필드 위에서 알아서 치워주는, 덱의 지향성과 반대되는 디메리트를 가지고 있다보니 강력한 효과보다는 디메리트가 눈에 들어올 수 밖에 없다.

거기에 더해서 하필 마스크드 히어로 지원들이 디메리트가 상당히 적은 융합 서치 & 특수 소환을 들고 왔기에 블매덱 유저들 입장에서는 블매를 의도적으로 홀대하는게 아니냐라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는 중이다.

더 비참한 것은 장기전을 유도하고 융합체를 주력으로 써야 할 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이 디메리트가 뼈아픈 주제에, 막상 다른 덱에서 어떤 방식으로든 레벨 6 / 어둠 속성 마법사족을 필드에 내려놓은 뒤 멸망의 흑마술사를 거쳐 기간제라도 퍼미션으로 필드를 굳히는 용병 채용 축이 훨씬 좋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가 나오는 중이라는 것이다.[7]
수록 시리즈
202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P1-JP003 | TACTICAL-TRY PACK -黒魔導・HERO・御巫-

[1] 무토우 유우기의 경우에는 애매한데 티마이오스의 첫 실체화는 유우기가 했지만 도마가 유우기의 영혼을 손에 넣었음에도 굳이 어둠의 유우기의 영혼을 다시 노리는 것을 보면 티마이오스에게 선택받은 건 어둠의 유우기 뿐이라고 볼 수도 있다.[2] 이 상처는 오래 전 아이언하트와 크리스가 사는 곳에서 대전쟁이 벌어졌을 당시 적의 수장이었던 다츠가 검으로 티마이오스의 눈을 찔러 생긴 것이다. 다츠와의 듀얼에서 레전드 오브 하트의 효과로 나온 전설의 기사 티마이오스"당신이 남긴 이 상처, 그대로 돌려주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3] 비슷한 케이스로 유우기의 카오스 솔저와 카이바의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이 융합한 궁극룡 기사가 있다. 마침 이쪽도 합체 방식이 탑승형이다.[4] 다츠와의 결전의 경우 본인의 본모습인 기사로써의 모습에서 크리티우스, 헤르모스와 합체한 합신룡 티마이오스로 진화하여 피니시를 냈다.[5] 발매 직후에는 서치가 가능했다고 하는데 그 후 코나미가 매지션즈 로드/흑의 마도진/흑마술의 계승으로 서치할 수 없다는 재정을 내려 불가능해졌다.[6] 유사한 플레잉을 보이는 백룡의 경우, 유사하게 덱으로 되돌리고 융합하는 궁극융합을 가지고 있으나, 자체적으로 푸른 눈을 묻을 수 있는 필드 마법인 빛의 영당과 이를 서치가 가능한 파란 눈의 정령, 청안룡 굉림 등으로 이를 상쇄할 수 있다. 하지만 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블랙 매지션을 자체적으로 묻을 수 있는 수단이 매지션즈 소울즈 단 한 장 외에 없다.[7] 이전 서술에서는 매지션즈 로드의 묘지에서 릴리스 효과로 해당 디메리트를 상쇄할 수 있다고 작성되어 있었으나, 문제는 이렇게 하면 해당 융합몹을 자체적으로 부활할 수 있는 방법이 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마스터 오브 카오스 이외에는 전무하다. 그나마 용기사 블랙 매지션이 묘지에서 블랙 매지션 취급이라서 혼 효과로 부활이 가능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