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21:08:16

크리보(유희왕/카드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크리보
<colbgcolor=#A28A7B> 한국어판 명칭 크리보
일어판 명칭 クリボー
영어판 명칭 Kuriboh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악마족 위주
천사족, 기계족, 사이버스족
효과
펜듈럼
링크

1. 개요

유희왕을 상징하는 마스코트. 동글동글한 몸통과 커다란 눈동자의 귀여운 외모가 특징인 카드들로, 유희왕의 주인공 덱에서 한번씩은 꼭 나오는 전통이 있다.

이전까지는 「크리보」 를 카드군으로 지정하는 카드 없이[1] 그냥 이름대로 밤(くり)처럼 생긴 일러스트를 공유할 뿐이었지만, 유우기 스트럭처 덱에서 크리보온이 등장하면서 몬스터 한정으로 카드군이 되었다. 참고로 카드군 지정이 이름 뒤에 장음까지 포함시켜(クリボー) 지정하기 때문에 장음이 들어가지 않는(クリボ) 크리본과 크리볼트는 카드군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일러스트뿐만 아니라 효과도 비슷한 면이 있는데, 대체로 전투 / 효과 데미지를 막아주거나, 몬스터를 전투 파괴에서 지키는 등 플레이어와 다른 몬스터들을 전투 등에서 지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무지개 크리보나 상위 레벨이 존재하는 날개 크리보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레벨 1에 공격력 300/수비력 200 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원작 및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처음 등장하면 상대에게 공격력 낮은 쓸모없는 몬스터라며 무시당하는 전통(?)이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 무시당한 게임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해 듀얼을 승리로 이끈다. 대표적으로 듀얼몬스터즈에선 크리보의 증식과 기뢰화 콤보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뚫었으며 GX에선 날개 크리보 LV10으로 VWXYZ-드래곤 캐터펄트 캐논을 갈아버렸다. 어찌 보면 세상에 쓸모없는 카드는 없으며 모든 카드에게는 의미가 있다는 주인공들의 듀얼 정신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2.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2.1. 레벨 1

2.1.1. 크리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날개 크리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날개 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무지개 크리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지개 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지개 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지개 크리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정크리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크리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5. 새크리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47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새크리보,
일어판명칭=サクリボー,
영어판명칭=Relinkuriboh,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자신의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팔다리에 새크리파이스를 연상시키는 장갑을 장착한 크리보. 뒤통수에 달고있는건 다름 아닌 페가수스의 천년 아이. 이름 또한 새크리파이스+크리보를 합친 말장난. 듀얼리스트 킹덤에서 증식한 크리보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폭살시킨 점에서 나온 모티브인 듯.

릴리스했을 경우 1장 드로우할 수 있고, 전투 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아래의 크리보르와 마찬가지로 크리보 + 가이아 = 카오스 솔저의 의식 소환에 갈아넣어서 어드밴티지 보충에 써먹는 게 좋다. 물론 새크리파이스와의 궁합도 호궁합. 의식 소환의 특성상 부족해지는 패를 조금이나마 보충할 수 있고, 새크리파이스의 주 공략법 중 하나인 더블어택의 대책도 된다.

2.1.6. 크리보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11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보르,
일어판명칭=クリボール,
영어판명칭=Sphere Kuriboh,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한다.,
효과2=②: 의식 소환을 실행할 경우\, 필요한 레벨만큼의 몬스터 중에서 1장으로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라의 익신룡-구체형과 비슷한 구체에 크리보의 눈과 팔다리가 달린 형태의 크리보.

묘지에서 제외해 의식 소환을 보조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지만, 레벨이 1밖에 되지 않아 사용 범위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것만 본다면 같은 레벨/속성/종족에 좋은 부가효과까지 달린 의식마인 디저즈에게 아득히 밀리므로 1번 효과로 방어도 하고 셀프 덤핑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살리는 것이 중요. 무지개 크리보와 비슷한 감각으로 공격을 막고 묘지에 넣어 사용할 수 있다. 사실상 같은 팩인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발매된 레벨 8인 초전사 카오스 솔저와 레벨 7인 기사 가이아 계열의 빈틈을 메꾸는 역할로 발매된 카드.

사족으로 이름이 크리보르라는 기묘한 이름으로 번역이 되었는데, 이 카드의 일본판 이름에 크리보(クリボ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2] 추후 크리보온이 "크리보"를 정식 카드군으로 지정하게 되면서 귀찮게 에라타할 수고를 덜게 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초창기 메타 당시 제거 카드가 별로 없기에 에너미 컨트롤러, 저돌맹진 등과 함께 가장 자주 채용되는 범용 방어 카드가 되었으며 앞의 두 개와는 달리 이 카드는 패에서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라 막을 방법도 거의 없다. 또한 라이프 4000, 몬스터 존은 3칸에 메인 페이즈 2가 없는 스피드 룰의 특성 상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돌려서 공격을 막는 크리보르의 효과는 OCG보다도 훨씬 강력하게 작용했다. 게다가 카드 600장이 들어있는 메인 박스에서 단 1장 나오는 UR 등급의 카드라 얻는 것도 쉽지 않다.

이후 이벤트로 상호호환의 카드 카이트로이드가 2장이 풀렸고 카이트로이드는 카드 트레이더에게서 상시로 얻을 수 있기에, 직공 대비책으로 크리보르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게 되었다. 카이트로이드는 로이드 몬스터라 메가로이드 시티로 서치까지 되는 동시에 1장으로 직접 공격을 두 번까지 막을 수 있어 직접공격 대비용으론 더욱 좋다. 때문에 크리보르를 굳이 쓰겠다면 카이트로이드가 제한2라는 점과 굳이 직접 공격이 아니더라도 발동한다는 것 그리고 상대 몬스터를 아예 수비로 바꾼다는 점을 살려야 한다.

썬더 드래곤 덱이 기승을 부리던 때에는 마침 어둠 속성이라는 점과 맞물려 3장씩 채용되기도 하였다.

참고로 신 마스터 룰이 도입되면서 링크 소환이 추가되자 채용률이 급감한 카드다. 아무래도 링크 몬스터는 공격 표시만 있다 보니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어 링크 몬스터가 공격해오면 그대로 패에서 썩게 되기 때문인 듯 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도 링크 소환이 도입되자 같은 길을 걸었다. 비슷하게 표시 형식을 변경하는 식으로 저격하는 달의 서절망의 함정 속으로의 경우에는 링크 소재가 될 몬스터를 뒤집어 링크 소환을 방해하는 용도로 쓸 수 있기에 달의 서는 여전히 압도적인 채용률을 보여주고 있고, 절함은 여전히 금제 3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크리보르는 상대 공격 선언 시 즉, 상대가 이미 메인 페이즈에 링크 몬스터를 전부 소환한 뒤에 표시 형식 변경 효과를 쓸 수 있기 때문에 도태된 것이다.

다만 DM~GX 시절 수준의 고대 카드만으로 덱을 짜게 하는 레거시 듀얼에서는 활약하고 있다. 가장 악명 높은 패트랩으로 불릴 정도.

유희왕 VRAINS 17화에서 후지키 유사쿠가 사용했는데 듀얼에서는 등장하지 않았고 대신 SOL 테크놀로지의 방화벽 프로그램 분쇄용으로 쓰였다. 대포알처럼 쏘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장전 수는 3발. 이 때문인지 듀얼링크스에서 플레이메이커에게 크리보르의 전용 대사가 배정되었다.

애니메이션의 성우는 5D'sZEXAL에서 칼리 나기사오모테우라 토쿠노스케를 맡은 카나다 아키. 43화 이후로 링크리보도 맡게 된다.

2.1.7. 클리어크리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5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클리어크리보,
일어판명칭=クリアクリボー,
영어판명칭=Clear Kuriboh,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천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데미지를 주는 몬스터의 효과를 상대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1장 드로우한다. 그 드로우한 카드가 몬스터 카드였을 경우\,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그 후\, 공격 대상을 그 몬스터로 옮긴다.)]
최강 점프 2016년 5월호 동봉. 일본을 제외한 타 국가에서는 무비팩에 수록되었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 무토우 유우기아이가미와의 2차전 듀얼 중, 크리스탈 아바타에 의해 크림즌 노바 트리니티의 효과가 발동되자 사용했다. 이후 크림즌 노바 트리니티가 2번째 직접 공격을 선언하자 묘지에서 이 카드를 제외하여 ②의 효과를 발동했다. 이때 유우기 본인은 효과의 발동 선언을 한 직후 연이은 듀얼로 인해 몸에 누적된 피해를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지만, 완전히 정신을 잃기 전에 아템이 강림한 덕분에 ②의 효과를 속행하여 수호신관 마하드를 드로우해 특수 소환하고 역전승을 거두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MOVIE PACK MVP1-KR047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수록
최강 점프 2016년 5월호 동봉 SJMP-JP004 KC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Yu-Gi-Oh!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MVP1-EN047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수록

2.1.8. 크리보온

파일:クリボー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크리보온,
일어판명칭=クリボーン,
영어판명칭=Kuribohrn,
속성=빛,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이 턴에 전투로 파괴되어 자신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묘지의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자신의 묘지의 "크리보" 몬스터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편에서 등장한 새로운 크리보이자, 크리보를 카드군으로 묶어주는 카드. 크리포톤에 이어 두번째로 빛 속성 악마족이다.

①의 효과는 기적의 낙조, ②의 효과는 크리보 한정 소울 차지로 활용이 가능하다. 크리보온을 제외해서 묘지의 크리보들을 끊임없이 부활시켜 우주방어를 시전하거나, 크리보가 필드에 남았을 경우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도 있다. 일단 레벨 1이기 때문에 묘지로 보내는 것은 일도 아니다. 전부 써버렸다 하더라도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재충전시키거나하면 원작에서의 크리보 무한증식을 몸소 체험해 볼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를 이용해 빛의 인도 백룡 태그 덱의 48연격을 버틴 사례가 있다. 자세한 건 직접 보자.[3]

일어판 카드명은 "크리보" + 부활을 뜻하는 "리본(Reborn)"이지만, 하술할 크"리본(Ribbon)"과 발음이 같기도 하고 "크리보" 카드군에 정식으로 포함되느냐의 차이도 있기 때문에 크리보온으로 번역되었다. 다 좋은데 어원 추측이 어렵기 때문에 아쉬운 번역. 스타더스트 더스튼의 사례처럼, 크리보리본 같은 방식도 있었다.

2.1.9. 앙크리보

2.1.10. 아스트랄 크리보

무지개 크리보의 아스트랄 버전.

2.1.11. EM 크리보더

2.1.12. 크리바

2.1.13. 크리비

2.1.14. 크리부

2.1.15. 크리베

2.1.16. 매지크리보

2.1.17. 갤럭크리보

2.1.18. 기뢰화하는 크리보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4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閃術兵器-S.P.E.C.T.R.A..jpg
파일:閉ザサレシ天ノ月.jpg
파일:マジックカード「死者蘇生」.jpg
파일:マジックカード「クロス・ソウル」.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248
섬술병기-S.P.E.C.T.R.A.
VJMP-JP249
사로스=난나
VJMP-JP250
매직 카드 「죽은 자의 소생」
VJMP-JP251
매직 카드 「크로스 소울」
파일:古代の機械竜.jpg
파일:銀河戦竜.jpg 파일:機雷化するクリボー.jpg 파일:精霊コロゾ.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252
앤틱 기어 드래곤
VJMP-JP253
갤럭시 워 드레이크
VJMP-JP254
기뢰화하는 크리보
VJMP-JP255
마기스토스 코로조
파일:EM 스카이 매지션 걸.jpg
파일:リオート・ミグラトリー.jpg 파일:玲瓏竜クンツァイド.jpg 파일:二重融合.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259
EM 스카이 매지션 걸
VJMP-JP260
리오트 미구라토리
VJMP-JP261
영롱룡 쿤자이트
VJMP-JP262
이중융합
정기구독 특전
VJMP-JP245 주염왕 버스트 커스드
VJMP-JP246 인페르니티 퀸
VJMP-JP247 폭격수 파이어 봄버
VJMP-JP256 OToNaRi썬더
VJMP-JP257 자이언트 타콘
VJMP-JP258 분열하는 플라나리아
}}}}}}}}} ||
← 2023년2025년 →


파일:機雷化するクリボ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기뢰화하는 크리보,
일어판 명칭=<ruby>機雷化<rp>(</rp><rt>きらいか</rt><rp>)</rp></ruby>するクリボー,
영어판 명칭=Detonating Kuriboh,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크리보"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가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이하의 효과를 가지는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고 그 상대 몬스터에 장착한다.,
효과3=●장착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크리보」의 숨겨진 힘을 떠오르게 하는 아이콘 프레임.
그 능력으로 다양한 콤보를 만들어 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프레임 설명
원작에서 무수히 불어난 크리보들이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에게 들러붙어 효과를 무효화시킨 장면을 ②의 효과로 재현했다.

V점프 7월호 수록 카드임에도 한국에선 이례적으로 프리미엄 팩으로 바로 정발되었다.

1번 효과는 "크리보" 몬스터 카드가 필드에 존재시 룰 효과에 따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링크리보가 비교적 범용성이 높은 엑스트라 덱 몬스터다보니 쉽게 충족할 수 있다.[4] 물론 이 카드를 소재로 링크리보를 띄우는 일도 가능. 또한 "크리보" 몬스터가 아닌 몬스터 카드로 지칭하므로, 펜듈럼 존의 EM 클래식크리보나, 장착 카드로 취급된 무지개 크리보도 조건 충족이 된다.

2번 효과는 상대 필드에서 몬스터 효과 발동시 이 카드를 그 몬스터의 장착 카드가 되어 효과를 무효화로 만들어놓는다. 효과 데미지 관련으로 퍼미션을 거는 크리보 몬스터는 있었어도, 몬스터 효과 전반적으로 퍼미션을 거는 유형은 처음이다.

앙크리보나, 크리보온으로 반복해서 우려먹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다만 필드의 자신을 코스트로 발동하는 유형의 몬스터 효과는 무효하지 못한다.
수록 시리즈
2024-05-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254 | Vジャンプ7月特大号付録カード
2024-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4PP-KRB35 | 프리미엄 팩 2024 2nd WAVE

2.1.19. 다크리보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5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葬角のカルノヴルス.jpg
파일:聖月の魔導士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うかのみつねのたまゆら.jpg
파일:心を凍らせるスノークリスタル.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263
장각의 카르노불스
VJMP-JP264
크레센트 오브 마기스토스 엔디미온
VJMP-JP265
우카노미츠네노타마유라
VJMP-JP266
마음을 얼리는 스노우크리스탈
파일:ダークリボー.jpg 파일:試号閃刀姫-アマツ.jpg 파일:ドローパン.jpg 파일:黒魔術の護符.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270
다크리보
VJMP-JP271
시호섬도희-아마츠
VJMP-JP272
드로우빵
VJMP-JP273
흑마술의 호부
파일:熒焅聖 アレクゥス.jpg 파일:教導の死徒.jpg 파일:トレジャー・パンサー.jpg 파일:磁石の戦士Ω+.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277
형곡성 알레쿠스
VJMP-JP278
채플린 드래그마
VJMP-JP279
트레져 팬서
VJMP-JP280
마그넷 워리어 Ω+
정기구독 특전
VJMP-JP267 문 매지션
VJMP-JP268 문 가드너
VJMP-JP269 스타쉽 어저스트 프레인
VJMP-JP274 계약을 맺은 드래곤 워리어
VJMP-JP275 아인 로이드
VJMP-JP276 요마 누리카베
}}}}}}}}} ||
← 2024년2026년 →

파일:ダークリボ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다크리보,
일어판 명칭=ダークリボー,
영어판 명칭=Darkuriboh,
레벨=1,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300, 수비력=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나 융합 몬스터가 공격 / 효과의 대상이 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그 중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전투 /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그 몬스터가 필드에서 발동한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효과로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천사 날개를 달고 있던 날개 크리보와 대조적으로 악마 날개를 달고 있는 형태. V 점프에 의하면 날개 크리보가 어둠 속성으로 변화한 형태라고 하기 때문에, 날개 크리보가 흑화한 모습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종족 / 속성도 천사족 / 빛 속성이던 날개 크리보와 달리 악마족 / 어둠 속성으로 회귀했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혹은 융합 몬스터가 공격 또는 효과 대상으로 지정되었을 때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는 것으로 전투 / 효과 파괴 내성과 발동한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는 내성을 부여하는 유발 즉시 효과. 발동을 위한 코스트로 버리는 것이므로 ②의 효과 조건은 만족하지 못한다. 악마족 혹은 융합 중심 덱에서 강력한 내성 부여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초동이 중요한 키메라 덱이나[5]유벨 덱[6]에서 이펙트 뵐러무한포영 케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대상 지정이 되었을 때에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을 지정하지 않고 체인에 개입하는 퍼미션은 방어할 수 없으며, 이 카드의 효과 적용 후 퍼미션을 맞았을 때 효과 무효화라면 방어할 수 있으나 발동 무효화는 막을 수 없으므로 주의.

②의 효과는 효과로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덱 / 묘지에서 융합 1장을 패에 넣는 유발 효과.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에지임프 체인과 비교하면 체인은 굳이 효과로만 묘지로 보내지지 않아도 되고 패 뿐만 아니라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져도 발동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만약 패에 융합이 잡혀버리면 체인은 물론 그 효과로 서치할 패치워크까지 한꺼번에 호감패로 전락하기 때문에 리스크가 있는 반면 이 카드는 어디까지나 효과에만 대응하고 패에서만 보내져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묘지에서도 샐비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먼저 융합을 쓰고 이 카드의 효과로 사용한 융합을 샐비지해 2번째 융합을 하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효과 자체는 괜찮지만 크리보 카드군을 서치하는 카드가 제너레이션 넥스트숙련된 율마도사 외에는 따로 없고 그 제너레이션 넥스트로 서치했을 경우에도 그 턴에 서치한 카드는 효과 발동이 봉인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 카드를 손쉽게 서치할 수단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이 카드는 어디까지나 선공에 잡혔을 때 의의가 큰데 선공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운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①의 효과를 발동하려면 이 카드를 코스트로 버려야 하는데 ②의 효과는 효과로 묘지로 보내질 것을 요구하기 때문에 효과 간의 시너지도 맞지 않는다. 이 때문에 '브점이 브점했다' 수준의 최악의 평가는 아니더라도 실전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크다.

날개 크리보의 흑화라고 볼 수 있는 모습 때문에 슈프림 다크니스에서 지원받은 이블 히어로의 후속 지원이 아니겠냐는 과도한 기대를 받았고, 그 역치가 날개 크리보 LV6였던 탓에 이블 히어로와의 직접적인 연계가 되어있지 않은 이 카드가 실망스럽다는 평을 받았다.

이 카드를 능동적으로 사용하려면 악마족이거나 융합 테마면서, 필요할 때에 이 카드를 효과로 묘지로 보내서 융합을 서치할 수 있어야 한다. 오히려 이로 인해 이블 히어로보단 원래 주인과 적대 관계였던 암흑계와의 시너지가 있는 편. 이후 연구가 더 진행되어봐야 하나, 아직까진 히어로와의 시너지는 적은 편이다.

시기도 때마침 네오스의 흑화 형태인 네오스로드가 나온지 얼마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날개 크리보의 흑화 형태가 나온 걸보면 모티브는 패왕 쥬다이가 사용하는 날개 크리보로 추정된다. 이블 히어로의 공식 설정은 엘리멘틀 히어로들이 패왕화한 쥬다이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모습이라고 하는데, 쥬다이 덱에는 날개 크리보도 있었음으로 그러한 설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면 개연성도 높다. 참고로 날개 크리보는 네오스와 마찬가지로 쥬다이가 패왕화했을 때 카드 전체가 검게 물들어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2.2. 레벨 6

2.2.1. 날개 크리보 LV6

2.3. 레벨 9

2.3.1. 날개 크리보 LV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날개 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날개 크리보 LV9|날개 크리보 LV9]]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레벨 10

2.4.1. 날개 크리보 LV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날개 크리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날개 크리보#날개 크리보 LV10|날개 크리보 LV1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효과 몬스터 (펜듈럼)

3.1. 레벨 1

3.1.1. EM 클래식크리보

3.2. 레벨 8

3.2.1. EM 바록크리보

4. 링크 몬스터

4.1. 링크 1

4.1.1. 링크리보

5. 서포트 몬스터 카드

5.1. 크리밴디트

5.2. 크리바빌론

5.3. 숙련된 율마도사

6. 서포트 마법 카드

6.1. 증식

6.2. 크리보를 부르는 피리

6.3. 기뢰화

6.4. 진화하는 날개

날개 크리보날개 크리보 LV10으로 진화시키기 위한 카드.

6.5. 마력의 광대 크러시

날개 크리보 전용 카드. 자세한 내용은 날개 크리보 항목을, 왜 이런 이상한 이름이 되었는지는 마력의 광대 문서 참조.

6.6. 트윈클 파이브스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리보 오형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보 오형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리보 오형제#트윈클 파이브스타|트윈클 파이브스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7. 제너레이션 넥스트

7. OCG화되지 않은 카드

7.1. 무지개빛 축복

파일:RainbowBlessing-JP-Anime-DM.png
한글판 명칭 무지개빛 축복
일어판 명칭 虹色の祝福
영어판 명칭 Rainbow Blessing
일반 마법
"크리보"의 장착 카드가 된다. "무지개빛 축복"을 장착한 "크리보"를 제물로 바친다. 이 턴, 자신의 몬스터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 공격할 수가 있다.
어둠의 유우기오오시타 코노스케와의 듀얼에서 덱 마스터로 지정한 크리보를 대상으로 발동한 카드. 크리보가 무지개 다리를 놓고 질풍의 암흑 기사 가이아가 이 무지개 다리를 건너면서 몬스터를 넘어 코노스케를 직접 공격해 어둠의 유우기가 이긴다.[7]

현재 크리보 카드군 및 그 관련 카드 중에서 유일하게 미 OCG화 상태이다.

8. 함께 쓰면 좋은 카드

크리보 카드군 자체로 덱을 굴리는건 무리다. 그리하여 크리보 카드군은 증식(유희왕), 트윈클 파이브스타 효과와 연계가능한 카드를 사용한다.
  •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
    사실상 이 카드가 크리보덱의 에이스이다. 보통 아이:피 마스카레나+링크 2 몬스터로 소환되며 크리보덱의 타점을 담당해준다. 자체 효과내성에 자신 필드위 몬스터를 지켜주기에 이것만한 카드가 없다.
  • 액세스코드 토커
    크리보에게 부족한 파괴능력, 타점을 담당해준다. 그러나 이 카드는 보통 피니쉬 용도로 쓰기에 초반에는 아스트람을 많이쓴다.
  • 소명의 신궁-아폴로우사, 언체인드쌍왕신 라이고우, L·G·D
    증식 트윈클로 잘 나오고 크리보의 부족한 면을 잘 채워준다. 아폴로우사는 견제, 라이고우는 파괴, L·G·D는 절대 내성,높은 타점을 담당한다. 그러나 대부분 저 위 2카드에 밀려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
  • 별향새
    위치에 따라 레벨이 달라지는 효과를 지닌 몬스터로 트윈클 파이브스타의 코스트로 사용한다.
  • 팬텀 오브 카오스
    묘지의 크리보를 제외해 증식의 코스트로 사용하거나 묘지의 범용 링크몬스터의 효과를 복사해 사용한다.
  • 원 포 원, 멍멍이!?
    크리보를 서치하는 용도로 쓰이며 크리보의 낮은 서치능력을 도와줄 좋은 카드들이다. 특히 원 포 원은 필수로 들어가야할 카드이다.
  • 레벨 레지스트월
    레벨 5 몬스터는 있으나 트윈클이 없는경우,레벨 1이나 서치효과가 없는 평범한 카드일경우 사용가능한 카드이며 레벨 5가 파괴될경우 덱에서 크리보카드 5장이 나오며 레벨 1이 파괴되면 크리바나 크리비를 소환해 크리보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 무덤의 지명자, 말살의 지명자
    크리보에게 제일 필요한 카드라고 말할 수 있다. 덱 특성상 특수 소환을 많이하며 패트랩에 정말정말 약하기 때문에 꼭 들어가야할 카드이다.
  • 이터널 카오스
    덱에서 빛 속성과 어둠 속성 크리보를 중 1장, 혹은 둘 다 1장씩 덤핑 할 수 있으며 크리보 공격력이 300 밖에 안 돼서 발동 조건이 굉장히 쉽다. 묘지에 버리기 추천하는 크리보로는 빛 속성은 크리보온, 클리어크리보, 무지개 크리보가 있고 어둠 속성은 새크리보가 있다.

[1] '날개 크리보'는 현자의 돌-사바티엘의 OCG화로 카드군화되어 있던 상태였다. 해당 문서 참고.[2] 비슷한 이름의 크리볼트는 끝에 장음표기가 없어서(クリボルト) 상관없다.[3] 첫 번째와 두 번째 공격은 필드의 다우너드 매지션과 새크리보로 막고 3~18번째 공격을 크리보온의 효과로 버틴 후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크리보온 3장을 묘지로 되돌려 19~33번째 공격도 막아낸다. 이후 성급한 귀환으로 크리보온을 소환하면서 34번째 공격을 막은 후 또다시 크리보온의 효과를 발동시켜 35~39번째 공격까지 버티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특수 소환하여 차원유폭의 코스트로 한다. 차원유폭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크리보온 2장으로 40번째와 41번째 공격을 버티고 효과로 48번째 공격까지 버텨내며 필드에 크리보와 새크리보를 남긴다.[4] 상대 필드에 링크리보를 남겨두고 있어도 룰 특소가 가능하다.[5] 대익의 바포메트가 강력한 초동 전개 효과를 가졌다.[6] 스피릿 오브 유벨이 유벨 카드명이 기재된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한다.[7] 이 카드를 세트했을때 크리보가 정령과 소통할수 있는 유우기들에게 일종의 텔레파시 같은걸로(조언하려고 할때 주변 배경이 까매지며 크리보가 유우기에게 온갖 울음소리와 몸짓을 했다.) 어둠의 유우기에게 조언 비슷하게 했는데 어둠의 유우기는 해석하지 못했으나 평소의 유우기가 크리보의 울음소리와 몸짓을 해석하여 어둠의 유우기에게 통역을 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