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box="style=\"font-size:0.9em; margin:-3px -8px; display:flex; flex-wrap:wrap; gap:2px; letter-spacing:-1px\"", s1="style=\"width:min(calc((100% - 8px)/5), 97px); flex-grow:1\"", s2="style=\"border:2px solid #804c4f; color:#000\" dark-style=\"color:#fff\"", s2엘="style=\"border:2px solid #804c4f; color:#179b2e\" dark-style=\"color:#bfdc7f\"", s2글="style=\"border:2px solid #804c4f; color:#c000ff\" dark-style=\"color:#c000c0\"", s3순="style=\"margin:0 0 5px; background:#66c17c\"", s3냉="style=\"margin:0 0 5px; background:#83b9eb\"", s3광="style=\"margin:0 0 5px; background:#eb839a\"", s3활="style=\"margin:0 0 5px; background:#ebdb83\"", s3우="style=\"margin:0 0 5px; background:#c683ec\"", s3공="style=\"margin:0 0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rgba(255,255,255,.5)), conic-gradient(at center, #66C17C, #83B9EB, #EB839A, #EBDB83, #C683EC, #66C17C)\"", s4="style=\"display:inline-block; width:100%; margin:0 0 -5px -100%; text-align:left; vertical-align:bottom; font-size: 0\"", 순수="Common_UnitPersonality_Naive.png", 냉정="Common_UnitPersonality_Cool.png", 광기="Common_UnitPersonality_Mad.png", 활발="Common_UnitPersonality_Jolly.png", 우울="Common_UnitPersonality_Gloomy.png", 공명="Common_UnitPersonality_Resonance.png", 딜러="Common_UnitClass_0001.png", 탱커="Common_UnitClass_0002.png", 서포터="Common_UnitClass_0003.png", 전열="Common_PositionFront.png", 중열="Common_PositionMiddle.png", 후열="Common_PositionBack.png", 모든열="Common_PositionFree.png", 성1="트릭컬 1성.png", 성2="트릭컬 2성.png", 성3="트릭컬 3성.png", 성="width=75%&align=center"
## 🔶🔶 축약 - 종료
1. 개요
| 캐릭터 출시 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리바이브 이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에르핀ㆍ네르ㆍ에슈르ㆍ마리ㆍ마요 | 디아나ㆍ루포ㆍ베니ㆍ마고ㆍ코미ㆍ버터 | 엘레나ㆍ아멜리아ㆍ칸나ㆍ로네ㆍ페스타ㆍ마에스트로 2호 | 실라ㆍ나이아ㆍ이프리트ㆍ가비아ㆍ멜루나ㆍ쥬비ㆍ빅우드 | 셰이디ㆍ림ㆍ앨리스ㆍ스피키ㆍ에스피ㆍ리카롱 | 다야ㆍ루드ㆍ실피르ㆍ키디언ㆍ시스트ㆍ제이드 | 벨리타ㆍ프리클ㆍ벨벳ㆍ포셔ㆍ레비ㆍ듀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오픈 사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에르핀ㆍ다야 | ||||
| 마고ㆍ로네ㆍ가비아ㆍ빅우드ㆍ스피키 | ||||
| 큐이ㆍ알레트ㆍ사리 | ||||
| | ||||
| 아야ㆍ엘레나ㆍ아멜리아ㆍ실라ㆍ멜루나ㆍ제이드ㆍ프리클ㆍ벨벳 | ||||
| 에스피 | ||||
| 파트라ㆍ레이지 | ||||
| | ||||
| 클로에ㆍ네르ㆍ디아나ㆍ셰이디ㆍ시스트ㆍ벨리타 | ||||
| 마요ㆍ마에스트로 2호ㆍ이프리트 | ||||
| 유미미ㆍ메죵 | ||||
| | ||||
| 우이ㆍ버터ㆍ루포ㆍ칸나ㆍ루드 | ||||
| 마리ㆍ베니ㆍ쥬비 | ||||
| 카렌ㆍ밍스ㆍ타이다 | ||||
| | ||||
| 시온 더 다크불릿ㆍ에슈르ㆍ코미ㆍ림ㆍ키디언ㆍ포셔 | ||||
| 페스타ㆍ레비 | ||||
| 쵸피ㆍ베루 | ||||
| 글로벌 캐릭터 출시 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오픈 사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비비ㆍ에르핀ㆍ마고ㆍ헤일리ㆍ가비아ㆍ스피키ㆍ실피르 | ||||||
| 알레트ㆍ빅우드ㆍ사리 | ||||||
| 큐이 | ||||||
| | ||||||
| 아야ㆍ아멜리아ㆍ실라ㆍ제이드ㆍ피코라ㆍ프리클ㆍ벨벳 | ||||||
| 레이지ㆍ멜루나ㆍ에스피 | ||||||
| 파트라 | ||||||
| | ||||||
| 클로에ㆍ마요ㆍ디아나ㆍ이프리트ㆍ셰이디ㆍ시스트ㆍ벨리타 | ||||||
| 유미미ㆍ마에스트로 2호 | ||||||
| 메죵 | ||||||
| | ||||||
| 우이ㆍ루포ㆍ베니ㆍ모모ㆍ칸나ㆍ루드 | ||||||
| 마리ㆍ카렌ㆍ타이다ㆍ쥬비 | ||||||
| 밍스 | ||||||
| | ||||||
| 시온 더 다크불릿ㆍ요미ㆍ코미ㆍ림ㆍ키디언ㆍ포셔 | ||||||
| 쵸피ㆍ페스타ㆍ레비 | ||||||
| 베루 | ||||||
모바일 게임 트릭컬 리바이브에 등장하는 1성 캐릭터에 관한 문서.
1성이라는 특성상 사도 모집 뽑기에서 매우 자주 등장한다.[1] 모든 1성 사도는 증명서를 공동으로 사용하기에 2성 이상 사도들처럼 증명서를 모으는 게 전혀 어렵지 않다. 1성 공동 증명서는 1성 사도의 승급 외에도 다른 사도들의 보드칸 2관 개방, 2~3성 럭키 모집권 등에도 사용된다. 다만 탈1성급 준수한 성능의 사도는 없기 때문에 보드칸 3관작을 시작하기 전에는 3성을 초과해서 굳이 승급할 필요는 없다.[2] 사도 풀이 빈약해 성격덱 맞추려고 1성이라도 억지로 끼우던 초창기면 모를까 2주년을 넘어선 현재는 1성은 보드작, 놀이터나 테마극장 보너스용으로나 쓰지 일반적인 PVP, PVE 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 정령,[3] 용족,[4] 마녀[5]는 1성 캐릭터가 아직 없다.
글로벌 서버에서는 카렌, 유미미, 쵸피, 알레트, 타이다, 레이지, 사리는 2성으로 격상과 동시에 연회장 초대 및 개인 스토리가 선행으로 추가되었으며, 한국 서버는 2주년 개발자 노트에서 1성 사도들의 연회장 개방 및 개인 스토리를 순차 추가하겠다는 개발 방향성이 발표되었으며, 2025년 11월 13일에는 사리, 레이지, 알레트, 유미미, 쵸피, 카렌, 11월 27일에는 타이다, 베루, 메죵, 밍스, 파트라, 큐이의 개인 스토리와 연회장이 해금되었다.1차 공식2차 공식
1성 사도의 이름은 베루를 제외하고 손에 들고있는 물건이나 관련 있는 사물의 이름을 대충 붙인 경향이 있다.
- 파트라(Patula): Spatula(주걱)
- 카렌(Curren): Carrot(당근)
- 큐이(Cuee): Cucumber 혹은 キュウリ[6](오이)
- 밍스(Mynx): Mince(다진 고기) 혹은 Minx(말괄량이) 혹은 Lynx(스라소니)
- 쵸피(Chopi): Chop(쪼개기)
- 유미미(Yumimi): 弓[ゆみ][7](활)
- 알레트(Allet): Alert(경보)
- 타이다(Tida): Taser 혹은 怠惰[たいだ][8](나태) 혹은 Tired(지침, 힘듦)
- 레이지(Layze): Laser(레이저) 혹은 Lazy(게으름)
- 사리(Sari): くさりがま[9](사슬낫)
- 베루(Veroo): 누군가를 놀릴 때 쓰는 의성어 베-
- 메죵(Maison): Maison(집)[10]
엘프를 제외한 1성 사도 외형은 성격 색상과 일치하는 색상으로 되어있다.
글로벌 서버에서도 1성 사도가 존재하긴 하지만 성능적으로는 모두 2성 사도나 다를바없다. 나름 격상된 셈.
1.1. 놀이터에서의 쓰임
1성, 2성이 강해지고 엘다인급이 오히려 약해지는 역 피라미드 컨텐츠가 나올 것이라는 예고 이후, 드디어 1성 사도가 더 강력해지는 컨텐츠인 놀이터가 등장하며 1성 사도들의 사용처가 생겼다.놀이터 규칙으로, 태생 1성 사도들은 스테이터스가 250%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는 피해량이 40% 증가하고 받는 피해량이 2% 감소하는 어마어마한 버프를 받는다. 심지어 이 수치는 중첩된다. 이정도 수치면 태생 3성이나 엘다인이라도 1성 사도를 물리적으로 이길수가 없다.
다만 어디까지나 스펙만 뻥튀기되었을 뿐, 다른 사도들의 마이너 카피 성능인 저학년, 고학년 스킬의 성능은 여전하기 때문에 단순히 1성 사도들만 채울 경우 마찬가지로 1성보다는 수치가 낮지만 스테이터스 버프를 받는 2성 사도들에게 유틸리티 싸움에서 밀리게 된다. 또한 시즌 2부터는 3성들도 기용할만한 환경이 되면서 3성의 각종 고성능 유틸을 지원하는 게 상황에 따라 더 나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알레트처럼 전열에서 몸빵을 맞아주거나, 압도적인 사거리로 후열부터 파괴해버리는 유미미, 셰이디처럼 후열 침투 능력을 갖춘 사리, 저학년 스킬로 전열 공격이 가능한 레이지같은 나름의 경쟁력을 가진 캐릭터들의 가치가 매우 큰 편.
2. 요정
몬스터 중 저혈당/고혈당 요정과 동일한 생김새에 눈을 달고 있는 모습이다. 단, 카렌은 원본의 바게트 대신 당근을 들고 있다. 세명 모두 일반적인 요정들이 대체로 기피하는 음식[11]과 관련성이 있다는 게 특이한 점.2.1. 파트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트라(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파트라(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카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렌(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카렌(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큐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큐이(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큐이(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인
몬스터 중 수인 광전사와 동일한 생김새에 눈을 달고 있는 외형이다. 단 유미미는 각목을 들고 있는 광기 수인 광전사와 달리 활을 들고 있다.3.1. 밍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밍스(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밍스(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2. 쵸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쵸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쵸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유미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미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미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엘프
알레트는 순수 엘프 돌격병을 재활용 하였으나, 타이다와 레이지는 1성 사도 중 현재까지 둘뿐인 오리지널 디자인이다. 이후 타이다는 다시 피어오르는 푸른 장미 이벤트맵에서 물리면역 몹으로 재활용되었다.셋 모두 1성 사도 중 최초로 이벤트 스토리에 단역으로 등장하게 된다.[12][13] 뮤트 테마극장에서도 셋이서 지하에 매몰된 엘프들을 구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특이하게도 다른 종족의 1성 사도들은 어디까지나 민병대 수준인 반면, 엘프들은 정규군 내지 진압 요원들인지라 가지고 있는 장비의 질이 상당히 좋다. 그래서 대사들이나 행동에서 짬밥 냄새가 많이 나는 편.
메인 스토리 2장 3챕터의 스토리 감상 모드를 소프트 모드로 설정하거나[14], 믿을 녀석 하나 없는 차가운 도시의 투표 결과 방송에서 아이시아와 페스타가 방송 사고를 내면서[15], 방송 송신 문제가 생겼다면서 화면 조정 컬러바로 가리고 엘프 1성 사도들이 나와서 시간을 끈다. 두 스토리가 모나티엄 방송국[16]이다 보니, 엘프 1성 사도들이 등장하는 것.
글로벌 서버에서는 모두 2성으로 격상되면서 엘프의 1성 캐릭터가 없다.
4.1. 알레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레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알레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타이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이다(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타이다(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3. 레이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지(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지(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유령
몬스터 중 셰이디아 극성팬과 동일한 디자인에 눈을 달고 있는 모습이지만 앞머리가 눈을 가리고 있어서 사실상 몬스터와 구분이 힘들다. 그나마 개편 후는 모션으로 구분이 가능하다.마요(멋짐) 테마극장 '아무튼 정말 멋진 요정'에서 1성 유령 셋이 존재의 유령 사태 당시 벨라와 마요, 교주를 놀려먹는 모습으로 등장했다가 마요한테 된통 당한다.
5.1. 사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리(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리(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2. 베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루(트릭컬 리바이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베루(트릭컬 리바이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3. 메죵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에피드에서 공개한 확률 테이블상 1성 사도 1명의 확률은 6.33%이니 모집 1회당 76% 확률로 1성 사도가 나온다.[2] 보드 3관문의 개방 조건이 4성 달성이라 어느 정도 황크를 보유하여 3관문 단계로 넘어왔다면 증명서의 영향을 제일 덜 받는 1성 캐릭들의 3관문 개방도 나름 효율적인 방안이다.[3] 설정상 1성으로 추가될 만한 하위 정령은 플레이어블 캐릭터처럼 볼따구가 있는 인간형이 아니다. 당장 라이카가 작은 토네이도 형태의 하위 정령이었다가 인간형이 되면서 승격된 케이스다. 물론 빅우드나 쥬비처럼 비인간형 정령도 존재는 하지만, 현재로서는 인간형 1성 정령 사도가 나올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4] 용족 최하위를 자처하는 제이드와 최근에 태어난 오팔이 3성으로 출시되어 이보다도 더 낮은 서열일 1성 용족을 출시하기엔 애매하다. 그래도 제이드나 오팔이 명확하게 최약체로 묘사된 건 아니기에 다른 종족에 비하면 추가될 당위성이 없진 않다.[5] 마녀들 중 막내인 레비가 2성으로 출시되어 마녀 사회의 부조리함을 몸소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보다도 더 낮을 1성 마녀를 출시하는 건 어려워 보인다.[6] 큐우리[7] 유미[8] 타이다[9] 쿠사리가마[10] 프랑스어[11] 파트라 - 민트초코, 카렌- 당근, 큐이 - 오이. 단, 여기서 자신과 관련성이 있는 음식을 좋아하는 것은 파트라와 큐이뿐으로, 카렌의 경우에는 당근 케이크를 좋아하긴 하지만 생 당근은 오히려 싫어한다.[12] 유독성 실버타운 스토리에서 칸나와 함께 모나티엄 편의점 앞에 쓰러져 있는 것으로 출연. 설정상 칸나의 부하들인 것으로 보인다.[13] 이후 24년 12월 개발자노트에 나온 놀이터에서 1성 엘프 사도들이 비비를 머리빼고 땅에 파묻는 장면이 나왔는데 비록 개그성 이미지에 가깝지만 굳이 스토리랑 연관시키면 놀이터에서 우연히 비비를 만나게된 차원의 격류를 맞고 강해진 1성 엘프 사도들이 복수하려고 했던걸로 보인다. 땅에 파묻힌 비비가 콧물을 흘릴 정도로 운 것은 덤.[14] 메인 스토리 2장 3챕터에서는 슈로가 구타당하는 장면에선 타이다와 레이지가 춤을 추다 화면이 복구되려는 잡음이 들리자 놀라곤 복구됨과 동시에 뛰쳐나가며, 디아나가 손에 묻은 피를 보고 절규하는 장면에선 알레트가 가만히 경례하고 있다가 꾸벅꾸벅 졸더니 경례하는 손도 내리곤 이리저리 돌다 그대로 쓰러져 잠드는 장면을 끝으로 화면이 바뀐다.[15] 믿을 녀석 하나 없는 차가운 도시에서는 로네가 시장에 당선이 되면서, 시장 당선 소감을 인터뷰를 하려다가, 아이시아가 냉장고로 방송국을 얼려버린다던가, 페스타가 무정부 노래를 불러서 난동을 피워서 급하게 컬러바로 가리면서 알레트가 스쿼트 동작을, 레이지가 웃는 표정을 짓는다.[16] 메인 스토리 2장 3챕터에서는 컬러바 안내에서 '모나티엄 방송국의 최고 기술자가들이 최대한 빨리 해결하겠습니다.'라고 언급하였고, 믿을 녀석 하나 없는 차가운 도시는 모나티엄의 시장을 당선하는 방송이다 보니 모나티엄 방송국에서 방송을 하는 것으로 보이며, 컬러바도 메인 스토리 2장 3챕터에서 재활용을 하였기에, 모나티엄 방송국에서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