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4 18:26:40

엔리케 오리사올라

엔리케 오리사올라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26대
}}} ||
스페인의 前 축구 감독
파일:EnriqueOrizaola.jpg
<colbgcolor=#eee,#191919> 이름 엔리케 오리사올라
Enrique Orizaola
본명 엔리케 오리사올라 벨라스케스
Enrique Orizaola Velázquez
출생 1922년 3월 26일
스페인 왕국 칸타브리아지방 산탄데르
사망 2013년 6월 11일 (향년 91세)
스페인 칸타브리아지방 산탄데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불명
직업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소속 선수 라싱 산탄데르 (1941~1949)
히므나스티카 데 토렐라베가 (1949~1951)
감독 히므나스티카 데 토렐라베가 (불명)
라싱 산탄데르 (1956~1958)
레알 하엔 (1958~1959)
레알 무르시아 CF (1959~1960)
FC 바르셀로나 (1961)
스페인 U-18 (1962)
CA 오사수나 (1962~1963)
레알 오비에도 (1963~1964)
레반테 UD (1964~1965)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65~1967)
레알 바야돌리드 CF (1967~1969)
UD 살라망카 (1969~1970)
라요 바예카노 (1971~1972)
CE 사바델 FC (1972~1973)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74)
1. 개요2. 경력
2.1. 선수 경력
3. 감독 경력4. 둘러보기

1. 개요

스페인축구 선수 출신 前 축구 감독. 선수 시절에는 고향팀인 라싱 산탄데르에서 공격수로 주로 활약했다. 선수 생활에서 은퇴한 후에는 195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무려 30년 가까이 현역 감독으로 활동했다. 20개 가까운 클럽 팀과 스페인 유스 대표팀을 지휘했다.

특히 1961년 FC 바르셀로나를 이끌고 유러피언컵에서 큰 성과를 거뒀다. 스위스 베른슈타디온 방크도르프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포르투갈의 벤피카와 맞붙었고, 바르사가 경기 내내 벤피카를 압도하고도 골대를 여러 차례 강타하는 등 운이 따르지 않았다. 경기 결과는 2-3 석패로 준우승에 그쳤지만 바르셀로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꼽힌다. 뿐만 아니라 현대 축구사에서도 나름 업적을 세운바가 있는데, 축구 선수들의 안전을 위해 골대 형태를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바꾸는 것이 좋겠다고 UEFA를 설득해 골대 규정을 변경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상법 교수 직업을 가지고있었고, 이 덕분에 레알 사라고사가 스포츠 주식회사로 전환하는 것을 도왔다. 아들 엔리케 오리사올라 파스(1950-2007)는 변호사였고 2003년 12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코르도바 CF의 회장을 지냈다.

2. 경력

2.1. 선수 경력

오리사올라는 1941년 고향팀 라싱 산탄데르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7시즌 동안 공격수로 활약하며 126경기 15골을 기록했다. 특히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다.

1948년 같은 칸타브리아 주 연고지인 히므나스티카로 이적했다. 3시즌 동안 세군다 디비시온과 테르세라 디비시온을 오가며 활약했다. 1950년엔 1부 리그 승격을 눈앞에 두기도 했다.

3. 감독 경력

선수 은퇴 후인 1956년 모교 라싱 산탄데르 감독직을 맡으며 지도자로 변신했다. 이후 레알 하엔, 레알 무르시아를 차례로 거쳤다.

1961년 류비샤 브로치치의 후임으로 스페인 명문 FC 바르셀로나의 지휘봉을 잡으며 커리어 최고의 전성기를 맞았는데, 같은 해 유러피언컵 결승까지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비록 벤피카에 패해 우승컵을 놓쳤지만 스페인 축구사에 한 획을 그은 성과였다. 당시 산도르 코츠시스, 수아레스, 라슬로 쿠발라, 에바리스투로 이어지는 막강 스쿼드를 보유한 바르사였다.

1962년엔 스페인 U-18 대표팀을 이끌고 UEFA U-19 챔피언십에 참가했지만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이후 오사수나, 레알 오비에도, 레반테, 데포르티보 등 프리메라리가의 명문 클럽들을 두루 거쳤다. 1969년 지휘한 살라망카는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강등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주로 세군다 디비시온, 세군다 B, 테르세라 디비시온 등 하부리그 팀들을 맡았다. 1974년, 1982년에는 두 차례나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로 컴백하기도 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1년까지 3시즌 가까이 칼보 소텔로를 지휘하며 안정기를 누리기도 했다. 1982년 바다호스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인 1980-90년대에는 바르셀로나의 기술고문을 맡아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테리 베너블스, 요한 크루이프 감독을 보좌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는 레알 사라고사, 1993년부터 1994년까지는 알바세테에선 단장직을 수행했다.

2013년 6월 11일 고향 산탄데르에서 91세로 타계했다. 스페인 축구계의 큰 별이 졌다는 애도가 쏟아졌다.

4. 둘러보기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준우승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08b 20%, #00008b 80%, #9400d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1955-56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31~1991).svg
1956-57
베르나르디니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1963~1967).svg
1957-58
비아니
파일:AC 밀란 로고(1946~1979).svg
1958-59
바토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1931~1991).svg
1959-60
오스발트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
1960-61
오리사올라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60~1974).svg
1961-62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2-63
리에라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3-64
무뇨스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64-65
슈바르츠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5-66
게기치
파일:FK 파르티잔 로고(1958~1992).svg
1966-67
에레라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67-68
글로리아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68-69
미헬스
파일:AFC 아약스 로고(1928~1991).svg
1969-70
스타인
파일:셀틱 FC 로고(1965~1977).svg
1970-71
푸스카스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1970~1974).svg
1971-72
인베르니치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1963~1979).svg
1972-73
비츠팔레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31~1977).svg
1973-74
로렌소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69~1979).svg
1974-75
암필드
파일:리즈 유나이티드 FC 로고(1973~1976).svg
1975-76
에르뱅
파일:AS 생테티엔 로고(1968~1978).svg
1976-77
라테크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1970~1999).svg
1977-78
하펠
파일:클뤼프 브뤼허 KV 로고(1965~1978).svg
1978-79
호튼
파일:말뫼 FF 로고(1979).svg
1979-80
제베츠
파일:함부르크 SV 로고.svg
1980-81
보슈코브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
1981-82
체르너이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2-83
트라파토니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2~1989, 하얀 배경).svg
1983-84
리드홀름
파일:AS 로마 로고(1980~1991).svg
1984-85
페이건
파일:리버풀 FC 로고(1968~1987).svg
1985-86
베너블스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86-87
라테크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9~1996).svg
1987-88
토니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88-89
요르더네스쿠
파일:CSA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 로고(1972~1991).svg
1989-90
에릭손
파일:SL 벤피카 로고(1930~1999).svg
1990-91
후탈스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1972~1993).svg
1991-92
보슈코브
파일:UC 삼프도리아 로고(1984~1997).svg
1992-93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1986~1994).svg
1993-94
크루이프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1975~2002).svg
1994-95
카펠로
파일:AC 밀란 로고.svg
1995-96
판할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1996-97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7-98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1998-99
히츠펠트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96~2002).svg
1999-00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0-01
쿠페르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2001-02
토프묄러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02-03
리피
파일:유벤투스 FC 로고(1989~2004).svg
2003-04
데샹
파일:AS 모나코 FC 로고(2001~2013).svg
2004-05
안첼로티
파일:AC 밀란 로고.svg
2005-06
벵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2006-07
베니테스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07-08
그랜트
파일:첼시 FC 로고.svg
2008-09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09-10
판할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0-11
퍼거슨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11-12
하인케스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2012-13
클롭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13-14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80~2016).svg
2014-15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5-16
시메오네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1980~2016).svg
2016-17
알레그리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2017-18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18-19
포체티노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2019-20
투헬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2020-21
과르디올라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2021-22
클롭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2022-23
인자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2023-24
테르지치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2024-25
◀ UEFA 챔피언스 리그 역대 우승 감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