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야딘 보슈코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클럽 | ||||
31대 | 29대 | 47대 | 53대, 54대 |
세르비아의 前 축구선수 | ||
| ||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이름 | 부야딘 보슈코브 Вујадин Бошков | Vujadin Boškov | |
출생 | 1931년 5월 16일 | |
유고슬라비아 왕국 베게치 | ||
사망 | 2014년 4월 27일 (향년 82세) | |
세르비아 노비사드 | ||
국적 |
| |
포지션 | 측면 미드필더 | |
신체조건 | 170cm | |
소속 |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선수 | FK 보이보디나 (1948~1960) UC 삼프도리아 (1961~1962) SC YF 유벤투스 (1962~1964) |
감독 | SC YF 유벤투스 (1962~1964 / 선수 겸 감독)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66 / 공동 감독) SC YF 유벤투스 (1967~1968)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1~1973) ADO 덴하흐 (1974~1976)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76~1978) 레알 사라고사 (1978~1979) 레알 마드리드 CF (1979~1982) 스포르팅 히혼 (1982~1984) 아스콜리 칼초 (1984~1986) UC 삼프도리아 (1986~1992) AS 로마 (1992~1993) SSC 나폴리 (1994~1996) 세르베트 FC (1996) UC 삼프도리아 (1997~1998) AC 페루자 칼초 (1999)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99~2000)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2001 / 공동 감독) | |
행정가 | FK 보이보디나 (1964~1971 / 기술 이사) | |
국가대표 | 57경기 (유고슬라비아 / 1951~1958) |
1. 개요
세르비아의 축구 선수 출신 축구 감독. 선수 시절에는 FK 보이보디나에서 주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는 레알 마드리드 CF, UC 삼프도리아 등 유럽 명문 구단을 이끌었다. 1990년에는 삼프도리아를 이끌고 유러피언 컵위너스컵을 우승했으며, 레알 마드리드와 삼프도리아를 각각 1981년과 1992년에 유러피언컵 결승에 진출시켰다.[1] 또한 감독으로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라리가, 코파 델 레이, 세리에 A, 코파 이탈리아 등 다양한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 생애
2.1. 선수 경력
2.1.1. 클럽
1931년 5월 16일 당시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세르비아 지역의 베게치에서 태어난 보슈코브는 1948년 지역에서 인기있던 클럽인 FK 보이보디나에 입단하였다. 이후 1960년 이탈리아로 이주하기 전까지 팀에서 활약하며 185경기에 출전해 15골을 기록했다. 1961년 이탈리아로 이주한 이후 1시즌간 UC 삼프도리아에서 활동하였고, 1962년부터는 스위스의 SC YF 유벤투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하다 1964년 선수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2.1.2. 국가대표
FK 보이보디나에서의 활약으로 1951년 대표팀에 승선하여 스위스와의 친선경기에서 데뷔하였다. 국가대표로는 57경기에 출전했으며, 이 시기 출전한 대부분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 및 풀타임 출전하였다. 메이저 대회인 1952 헬싱키 올림픽, 스위스 월드컵과 스웨덴 월드컵에 참가했다. 특히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는 팀이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1958년 월드컵 서독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국가대표 생활을 마쳤다.2.2. 감독 경력
1962년 스위스의 SC YF 유벤투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감독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1964년 FK 보이보디나의 기술 이사로 선임되어 1964년부터 1971년까지 7시즌 동안 활동하며 몇몇 경기를 직접 지휘하기도 하였고, 1965-66 시즌에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에 공헌하기도 하였다.2.2.1.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1년 라이코 미티치 감독의 후임으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데뷔전이었던 루마니아를 상대로는 패배했지만 UEFA 유로 1972 예선에서는 남은 예선 3경기에서 1승 2무로 1위를 유지하고 8강 예선에 진출했으나 소련을 상대로 1무 1패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는 실패하였다.서독 월드컵 예선에서는 스페인을 상대로 플레이오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스페인을 1-0으로 제압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하지만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 협회가 집단지도체제를 선택하면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2]
2.2.2. 네덜란드 무대
대표팀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 반년간의 휴식을 가진 뒤 ADO 덴하흐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첫 시즌 덴하흐를 이끌고 리그에서는 중위권인 10위의 성적을 거두지만 KNVB 베이커 우승을 차지하였다. 다음 시즌이었던 1975-76 시즌의 경우 KNVB 베이커에서는 16강에서 탈락했지만 UEFA 컵위너스컵 8강 진출과 리그 6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성과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의 감독으로 선임되지만 첫 시즌 KNVB 베이커 16강 탈락, UEFA컵 8강 탈락, 리그 4위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였고 이어진 1977-78 시즌에는 리그 10위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면서 사임하였다.2.2.3. 레알 사라고사
페예노르트에서 사임하고 스페인의 레알 사라고사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1978-79 시즌 리그에서 9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하였다. 시즌 중 레알 마드리드 CF의 루이스 몰로니 감독이 해임되면서 레알 마드리드 CF와 접촉이 시작되었고, 결국 1979-80 시즌을 앞두고 레알 마드리드 CF의 차기 감독으로 선임되었다.2.2.4. 레알 마드리드 CF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알 마드리드 CF/보슈코브 체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알 마드리드 CF/보슈코브 체제#|]][[레알 마드리드 CF/보슈코브 체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979년 8월 3일 레알 마드리드 CF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2.5. 스포르팅 히혼
레알 마드리드에서 사직하고 스포르팅 히혼의 감독으로 부임해 2시즌간 지도하며 잔류에 성공하였다.2.2.6. 아스콜리 칼초
스포르팅 히혼에서 물러나고 당시 10라운드까지 무승을 기록하며 세리에 A 강등권에 위치한 아스콜리 칼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리그에서 4승 9무 7패를 기록하며 잔류에는 실패하였다. 하지만 강등된 세리에 B에서는 17승 16무 5패를 기록하며 1시즌만에 승격에 성공하였다.2.2.7. UC 삼프도리아
1986년 당시 로베르토 만치니의 활약으로 중위권으로 도약한 UC 삼프도리아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리그에서는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며 유럽 대항전 진출권을 확보하였고 1987-88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8-89 시즌에는 UEFA 컵위너스컵 결승에 올랐으나 FC 바르셀로나에게 2:0으로 패배하면서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지만 다음 시즌이었던 1989-90 시즌에는 RSC 안데를레흐트를 상대로는 반대로 2:0으로 승리하면서 구단 역사상 최초의 유럽 대항전 타이틀을 획득하였다.1990-91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세리에 A 우승을 기록하였다. 이어진 1991-92 시즌에는 유럽 대항전을 병행하면서 리그 6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유로피언컵 결승전 진출에 성공하였다. 결승 상대는 2년전 UEFA 컵위너스컵 결승전에서 패배를 안긴 FC 바르셀로나였다. 경기는 연장까지 가는 접전이었지만 연장 후반 로날드 쿠만이 골을 기록하면서 이번에도 바르셀로나에게 패배하면서 트로피를 획득하는데 실패하였다.
2.2.8. AS 로마
삼프도리아에서 물러나고 AS 로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첫 시즌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지만 리그에서는 10위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1시즌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2.2.9. SSC 나폴리
로마에서 물러난 뒤 보슈코브의 다음 행선지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이탈 이후 중위권으로 추락한 SSC 나폴리였다. 1994-95 시즌 나폴리는 6라운드까지 1승만을 거두며 강등권으로 추락하자 빈첸초 게리니 감독을 경질하였다. 세리에 A 7라운드를 앞서고 선임되었다. UEFA컵과 코파 이탈리아에서는 빠르게 탈락했지만 팀을 빠르게 수습해 리그에서는 7위라는 호성적을 거두는데 성공하였다. 다음 시즌이었던 1995-96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2라운드 탈락, 리그에서 부진하면서 12위를 기록하면서 감독에서 물러났다.2.2.10. 이후 커리어
나폴리에서 물러나고 부임한 세르베트 FC와 UC 삼프도리아에서는 중위권의 성적을 거두었고 중도부임한 AC 페루자 칼초에서는 강등권 탈출에 성공하였다. 1999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감독으로 26년 만에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UEFA 유로 2000 예선 남은 경기였던 5경기에서 2승 2무 1패를 기록하면서 16년 만에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본선에서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3-0으로 벌어진 상황에서 퇴장까지 겹치며 수적 열세에 빠진 상황에서 10분 사이에 3골을 넣으며 극적인 무승부를 기록하였고 이어진 노르웨이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UEFA 유로 1968 이후 최초로 승리를 기록하였다. 마지막 경기였던 스페인을 상대로 후반 90+3분까지 리드를 유지했으나 2분 사이에 2골을 먹히며 패배하였고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그렇게 UEFA 유로 1976 이후 최초로 진출한 토너먼트였지만 8강 상대였던 네덜란드에게 6:1 대패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감하였다. 대회가 끝나고 2001년까지 공동 감독직책을 유지하다 사임하였고 이후 감독직에서 은퇴하였다.
2.3. 행정가 경력
1964년 FK 보이보디나의 기술 이사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1966-67 시즌 팀의 첫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을 안겼다.3. 사망
2014년 4월 27일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여담
- 사망 이후 2022년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 선수 시절 활약했고 기술 이사로 팀의 첫 우승을 안긴 FK 보이보디나의 훈련장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딴 FC 부야딘 보슈코브이다.
- 유머스러운 성격의 소유자로 인기가 많았다.
5. 둘러보기
UEFA 유로 2000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E42127> A조 | 에리히 리베크 | 에메릭 제네이 | 움베르투 코엘류 | 케빈 키건 |
B조 | 로베르 와세주 |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 디노 조프 ☆ | 무스타파 데니즐리 | |
C조 | 호세 A. 카마초 | 닐스 J. 셈브 | 부야딘 보슈코브 | 스레츠코 카타네츠 | |
D조 | 프랑크 레이카르트 | 요제프 호바네츠 | 로저 르메르 ★ | 보 요한손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분류
- 1931년 출생
- 2014년 사망
- 남바치카구 출신 인물
- 1948년 데뷔
- 1964년 은퇴
- 세르비아의 남자 축구 선수
- 공격수
- FK 보이보디나/은퇴, 이적
- UC 삼프도리아/은퇴, 이적
- 유고슬라비아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
-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참가 선수
-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참가 선수
- 선수 겸 감독/축구
- 유고슬라비아의 축구 감독
- 세르비아의 남자 축구 감독
- FK 보이보디나/역대 감독
- ADO 덴하흐/역대 감독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역대 감독
- 레알 사라고사/역대 감독
- 레알 마드리드 CF/역대 감독
- 스포르팅 히혼/역대 감독
- 아스콜리 칼초 1898 FC/역대 감독
- AS 로마/역대 감독
- SSC 나폴리/역대 감독
- 세르베트 FC/역대 감독
- UC 삼프도리아/역대 감독
- AC 페루자 칼초/역대 감독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축구 행정가
- UEFA 챔피언스 리그 다회 준우승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