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해당 브랜드로 출시된 동명의 차량}}}에 대한 내용은 [[알페온(자동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페온(자동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알페온(자동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해당 브랜드로 출시된 동명의 차량: }}}[[알페온(자동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페온(자동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알페온(자동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알페온 ALPHEON | |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브랜드 명칭 | <colbgcolor=#FFFFFF,#1F2023> 정식 알페온 |
영문 ALPHEON | |
국가 |
|
설립일 | 2010년 |
폐지일 | 2016년 |
모기업 | GM대우 (2010~2011) 한국GM (2011~2016) ※ 체제는 다르나 법인은 동일하다. |
홈페이지 |
1. 개요
미국 제너럴 모터스 산하 뷰익의 고급 준대형 세단인 라크로스(2세대)를 대한민국 시장에 맞춰 현지화하는 과정에서 탄생한 차량이자 브랜드이다. 2016년을 끝으로 차량이 단종됨과 동시에[1] 브랜드도 폐지되었다.본 문서는 브랜드와 관련한 내용을 서술하며, 차량과 관련한 내용은 알페온(자동차) 문서 참고.
2. 브랜딩
2.1. 런칭 배경
| |
현대 그랜저 (4세대) | 르노삼성 SM7 (1세대) |
2000년대 중반, 국내 자동차 시장에선 현대 그랜저, 르노삼성 SM7 등의 준대형 세단이 불티나게 팔리며 각 제조사의 쏠쏠한 수입원이 되어주고 있었고, 이에 미국 제너럴 모터스 산하 GM대우 역시 국내 준대형 세단 시장에 참전하기로 결정한다.
다만 당시 회사 내부에서는 차세대 준중형차, 차세대 MPV, 차세대 경차 및 차세대 소형차의 개발이 동시에 추진되며 연구개발 부서가 포화 상태에 놓여 있었고, GM대우만의 전용 모델을 완전히 새롭게 개발하는건 무리라고 판단, 모회사 산하 다른 브랜드의 준대형 세단을 현지화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수렴됐다.
여러 논의 끝에 2006년 11월#, 당시 개발 단계에 있던 2세대 뷰익 라크로스가 여러 요소를 충족해 새로운 GM대우 준대형 세단의 기반 모델로 선정되었으며, 북미 개발 팀과의 협력을 통해 VS300이라는 프로젝트명 아래 2009년 7월 출시를 목표로 현지화 작업이 시작되었다. 라크로스는 북미 시장에서 렉서스 ES, 아큐라 RL, 볼보 S80 등과 경쟁하는 고급 세단이었으나, VS300은 국내 시장에 맞게 일부 현지화와 다운그레이드를 거쳐 가격을 현실적인 수준으로 인하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았다.
| 파일:09Lacrosse2.jpg |
원형 모델인 뷰익 라크로스(2세대) |
개발 도중 세계 경제 위기의 여파로 본사의 상황이 악화된 탓에 출시 시기가 2010년 이후로 한 차례 연기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으나, 국내 생산 자체는 이미 확정된 상황이었기에 큰 차질은 없었고, 2009년 1월엔 먼저 개발을 마친 원형 모델 2세대 라크로스가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통해 정식으로 공개되어 북미 올해의 차 최종 후보에 오르는 등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자 대외적인 분위기는 점차 긍정적으로 변해갔다.
동년 11월엔 국내 공장에서 VS300의 시험 생산에 돌입했으며, 12월 17일엔 GM대우 디자인센터로 일부 언론을 초청, 차량 디자인을 미리보기 개념으로 공개했다.[2] 본격 생산은 2010년 하반기부터 돌입하기로 확정지었다.
그러나 이 프로젝트에 큰 문제가 하나 있었으니, 바로 브랜딩이었다. 이 무렵 제너럴 모터스가 본사 차원에서 글로벌 제품군을 통합하기 시작한 탓에 GM대우 브랜드의 존폐 여부가 불투명해졌고, VS300을 GM대우 브랜드로 출시하기가 애매해진 것. 더구나 원본 모델인 라크로스 자체가 고급 브랜드인 뷰익의 차량이었기에, 이 차량에 대중 브랜드인 GM대우나 쉐보레 로고를 장착하는 것이 포지션상 이질적이라는 점도 걸렸다.#
물론 그렇다고 라크로스와 똑같이 뷰익 로고를 달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VS300 한 차종을 위해 뷰익 브랜드를 한국에 런칭하는 것은 너무나 비효율적이었기 때문. 결국 GM대우 경영진들은 한동안 머리를 싸매고 해결책을 찾아야 했고, 약 3개월에 걸친 검토 끝에 VS300의 차명 자체를 별도의 독립 브랜드로 취급하는 방안을 도출해 냈다.[3]
최종적으로 차명은 '고객의 명성을 처음부터, 영원히, 더욱 빛나게 드높이는 차'라는 뜻에서 '알파(ALPHa)'[4]와 '이온(EON)'[5]의 합성어인 알페온(ALPHEON)으로, 로고는 알페온의 머릿글자인 'A'를 중앙에 둔 원형 타입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이 결정을 따라 실제 차량엔 GM대우나 뷰익, 쉐보레 로고가 아닌 알페온 독자 로고만 적용되었다.[6]
2.2. 런칭 이후
|
알페온 최초 공개 현장. GM대우, 알페온, 쉐보레 브랜드를 함께 소개하는 모습이다. |
2010년 4월 29일, GM대우는 제 5회 부산국제모터쇼를 통해 알페온을 최초로 선보였으며, 이 자리에서 알페온의 브랜딩을 명확히 했다.
이날 연설에 나선 마이크 아카몬 GM대우 사장은 알페온을 GM대우, 쉐보레와는 별개의 독립된 브랜드로 소개하며 "GM대우의 전략은 브랜드 공존"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페온과 GM대우 브랜드가 공존, 이후 쉐보레 브랜드가 합류해 한동안 3개 브랜드를 한국서 운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릭 라벨 GM대우 부사장 역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알페온을 "제너럴모터스(GM)가 세계에서 처음 시도하는 국가 맞춤형 고급 브랜드"라고 소개했다. 또한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지만 시장 반응이 좋으면 ‘알페온 브랜드’의 다른 모델도 나올 수 있다"며 알페온을 GM의 국내 시장용 고급 브랜드로 키우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물론 알페온만을 위한 전용 판매망까지 따로 구축할 수는 없었기에 알페온 차량의 판매는 기존 GM대우 판매망을 활용했으나, 마케팅을 비롯한 나머지 활동은 GM대우와 연관 없는 독립 브랜드임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수립되었다. 실제로 알페온의 TV광고, 지면광고, 옥외광고에선 모두 알페온 독자 로고만 사용되었다.###[7]
다만 독립 브랜드 적용에도 불구하고 편의상 차량명을 'GM대우 알페온'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았다.[8]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알페온 공식 홈페이지 내 브랜드 설명란[9] |
별개의 독립된 브랜드로 간주되는만큼 알페온 전용 브랜드 사이트도 개설되어 GM대우 홈페이지와 별도로 운영되었다.[10]
2011년 1월엔 GM대우 브랜드가 폐지되고 한국GM이 출범하며 국내 시장에 쉐보레 브랜드가 확대 도입되었으나, 알페온은 런칭 당시부터 GM대우, 쉐보레와 별도 브랜드로 포지셔닝했기 때문에 알페온 차량은 로고 교체 없이 계속 알페온 브랜드로 판매를 이어나갔다.[11]
이러한 독자적 브랜드 사용은 단종 때까지 이어졌다.
2.3. 폐지
2015년 8월, 한국GM은 알페온 차량의 생산을 종료했으며, 2016년 말을 끝으로 완전히 단종되었다. 이에 따라 알페온 브랜드는 폐지되었고 홈페이지도 폐쇄되었다.현재 알페온 차량의 AS를 비롯한 각종 서비스는 판매 주체인 한국GM(現 GM 한국사업장)에서 맡고 있다.
3. 연혁
| |
최초 공개 당시 모습 | 1호차 생산 기념식 |
| |
eAssist 런칭 당시 모습 | 2014 서울모터쇼 전시 |
- 2010년 4월 - 알페온 차량 런칭
- 2010년 7월 - 알페온 차량 사전계약 개시
- 2010년 8월 - 알페온 차량 생산 개시
- 2010년 9월 - 알페온 차량 정식 출시
- 2011년 1월 - GM대우에서 한국GM으로 모기업 체제 전환, 쉐보레 전시장으로 판매 이관[12]
- 2011년 9월 - 2012 알페온 차량 출시
- 2011년 10월 - 알페온 eAssist 차량 런칭
- 2011년 11월 - 알페온 eAssist 차량 정식 출시
- 2012년 4월 - 알페온 케어 런칭
- 2012년 10월 - 2013 알페온 차량 출시
- 2014년 1월 - 2014 알페온 차량 출시, 로고 교체
- 2014년 8월 - 2015 알페온 차량 출시
- 2015년 8월 - 전 라인업 생산 종료
- 2016년 12월 - 단종 및 브랜드 폐지, 홈페이지 폐쇄
4. 로고
| |
초기 로고 (2010년~2014년) | 후기 로고 (2014년~2016년) |
5. 생산차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차급 | 생산 차량 | |
<colbgcolor=#000,#000> 준대형차 | 알페온 · 알페온 eAssist |
| |
| |
| |
CL240 · CL300 EL240 · EL300 | EL240H |
6. 관련 문서
[1] 생산 종료는 2015년이었다.[2] 사진 촬영은 불허된 비공개 행사였다.[3] 여담으로, 해외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있었다. 애스턴 마틴 산하에서 생산되었으나 차명이 곧 브랜드명으로 취급된 라곤다가 대표적이다.[4] 그리스어의 첫 번째 문자로, '가장 중요한', '가장 빛나는'을 의미한다.[5] '무한한', '영원한'을 의미한다.[6] 최종 결정이 내려지기 전, 여러 상황에 대비해 GM대우 로고를 단 시제차도 몇 대 제작되었는데 대략 이런 모습이다.#[7] 국산차 중 현대 에쿠스, 현대 제네시스, 기아 오피러스 등 전용 엠블럼을 사용한 차량이 몇 있는데, 이 차량들은 공식 광고 영상 말미에 현대, 기아 로고가 잠깐이라도 등장해 해당 브랜드의 일원임을 드러냈다.## 그러나 알페온은 그런 것 자체가 아예 없었다. 오로지 알페온 로고만 송출, 독립 브랜드임을 내세운 것.[8] 사실 차량의 브랜드가 아니라, 제작사가 어딘지를 놓고 보면 이 표기도 틀린 표기는 아니다. 같은 맥락에서 '한국GM 알페온'이라는 표기도 옳은 표기이다. 다만 일부 매체나 사이트에서 간혹 사용되는 '쉐보레 알페온'이란 표기는 완전히 잘못된 표기가 맞으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알페온은 쉐보레 차량이 아니다.[9] 사진은 2014년 기준[10] 주소는 'https://www.gmalpheon.co.kr'이었다. 폐지 이후 운영이 종료된 상태다.[11] ![파일:GMKorea_Home_20150623.png]()
2015년 당시 한국GM 홈페이지 모습. 알페온을 쉐보레, 캐딜락과 동등하게 하나의 별도 브랜드로서 소개하고 있는 모습이다.[12] 다만 판매만 이관되었을 뿐, 알페온은 쉐보레 브랜드 소속 차량이 아니었기에 독자 브랜드 사용은 계속 유지됐다.
2015년 당시 한국GM 홈페이지 모습. 알페온을 쉐보레, 캐딜락과 동등하게 하나의 별도 브랜드로서 소개하고 있는 모습이다.[12] 다만 판매만 이관되었을 뿐, 알페온은 쉐보레 브랜드 소속 차량이 아니었기에 독자 브랜드 사용은 계속 유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