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파트(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파트(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파트(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아파트(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파트(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파트(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아파트는 공동주택의 건축 양식 중 하나다아아파트 아파트.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5층 이상의 건물을 층마다 여러 집으로 일정하게 구획하여 각각의 독립된 주거 가구가 거주할 수 있도록 만든 주거 형태를 뜻한다.2. 각국에서의 명칭
||<tablewidth=95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000><colbgcolor=#ebebeb><rowbgcolor=#ebebeb> 국가 || 고층 || 분양용 || 임대용 || 저층 공동주택 || 원룸형 || 숙박시설 || 저택 || 별장 ||
대한민국 | 고층 아파트 | 아파트 | 임대 아파트 | 빌라, 맨션 | 원룸 | 콘도 | 저택 | 별장 |
미국 | High rise | Condo, Condominium | Apartment | Apartment house | Studio (Apartment) | Accommodation | Mansion | Villa |
영국 | Tower Block | Flat | Studio (Flat) | |||||
호주 | Tower Block | Unit 혹은 Flat | Studio (Apartment 혹은 Unit) | |||||
일본 | タワーマンション 타워맨션 | (分譲)マンション 분양맨션 | (賃貸)マンション 임대맨션 | アパート 아파트 | ワンルーム | 邸宅 저택 | 別荘 별장 | |
중국 | 公寓大楼 공우대루 | 公寓 공우 | 公寓楼 공우루 | 小公寓 소공우 | 公寓式酒店 공우식 주점 | 宅第 저제 | 别墅 별서 | |
독일 | Hochhaus | Wohnung | 1 Zimmer 혹은 Singlewohnung | |||||
노르웨이 | Høyhus | Leilighet | ||||||
스웨덴 | Höghus | Lägenhet | ||||||
튀르키예 | Çok katlı bina | Satılık daire | Kiralık daire | Apartman dairesi | Stüdyo | Konaklama | Yalı | Yazlık köşk |
법률 및 부동산 용어라는 게 워낙 각국의 사정에 따라 천차만별이지만 아파트나 공동주택에 관련된 용어는 같은 언어를 쓰는 나라들 간에도 천차만별이라 투자자나 이민자들은 여러모로 혼동이 적지 않다. 각종 해외주식 투자에 비해 해외부동산 투자는 입문부터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꼽힐 정도. 우선 한국에서 흔히 말하는 아파트를 영국에서는 'Flat'이라고 하는데, 영국식 영어로 'a block of flats'는 '아파트 한 동'을 의미한다. 미국에서는 콘도미니엄[1] 계약 방식을 가지고 있는 아파트만을 콘도, 콘도미니엄이라고 부른다. 쉽게 말하자면 대한민국에서의 일반적인 아파트 분양 방식을 가지고 있는 부동산이 바로 콘도미니엄이다. 'apartment' 단어 자체는 건축 양식을 의미하기 때문에 한국의 분양 아파트도 apartment 정의에는 부합하지만, 미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한국의 분양 아파트는 condo, condominium이라고 부르며, 월세를 내는 임대아파트만을 apartment라고 부른다. 이렇듯 미국 사람들도 엄밀하게 정의를 알고 구분해서 부르지 않는다. 다만 미국 사람들은 이렇게 부르기 때문에 미국인과 대화할 때 한국의 아파트를 apartment라고 하면 대화가 안 통할 수도 있다.
사실 실제로 살아보면 아파트와 콘도미니엄을 구분해서 지칭하기보다는 그냥 섞어서 아파트라고 했다가 콘도라고 했다가도 한다.[2] 다만 apartment가 더 익숙하기 때문인지 콘도보다는 아파트라고 더 부르는 경향은 있다. 그리고 apart라고 줄여부르진 않는다. 그 뜻의 흔히 쓰는 단어가 있기 때문. 줄여부를땐 집주인 이름을 따 ~'s place라고 흔히 한다. 여기선 편의상 아파트라 표기.
땅이 넓은 LA 근교에는 고층 아파트가 많이 없기 때문에 1 ,2층 정도의 주거공간 여러 개가 붙어 있고 차고까지 딸려 있는 (한국으로 치면 펜션 같은 형태의) 것도 아파트라고 부른다. 정확한 정의를 떠나 전체적으로 그냥 공동주택을 두루뭉실하게 아파트라고 지칭하지, 일상생활에서 어떤 건 콘도, 어떤건 아파트라고 구분해서 부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3]
다만 “project”라 불리는 공공 다세대주택만은 칼같이 구분한다. 미국에서 “프로젝트”라 하면 저소득층을 의한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의미하며(정식 명칭은 public housing이지만 다들 project라 부른다), “프로젝트에 산다”는 것은 저소득층이라는 의미와 동의어로 받아들여진다. 기사
영어권에서는 구 공산권의 칙칙하고 천편일률적인 디자인의 아파트를 속어로 commieblock(빨갱이벽돌, 빨갱이구역)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0층이 넘는 초고층 아파트 단지 및 주상복합들은 주로 A high-rise building이라고 부르며, 영국에서는 높은 모양의 탑모양의 주거용이던 사무용이던 Tower block이라고 부른다. 영국의 런던 그렌펠 타워 화재사고의 그렌펠 타워도 Tower block으로 분류되며, 주상복합[4]이나 호화 주택과는 거리가 멀다. 링크. 애초에 유럽에서는 고도제한, 지형,[5] 문화적 이유로 저층 공동주택을 선호하는 편이고, 고층의 공동주택은 임대아파트이거나 사회 취약층을 위한 경우가 많다.
원룸은 대표적인 재플리시·콩글리시이며, 원룸형 주택을 보통은 스튜디오라고 한다. 이는 명사형으로도 쓰이고, 그 뒤에 아파트에 해당되는 단어들을 쓰는 경우가 있다.
호주에서는 일반적으로 flat과 unit을 혼용하지만, 주마다 법적인 차이가 있다고 해석하는 측면(공동주에 따른)도 있다. 일반적으로 오래된 아파트는 flat,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에 지은 아파트들은 unit이라 하지만, 흔히들 혼용한다.#
독일에서도 흔히 Hochhaus는 높은 건물이라는 그냥 사전적 의미를 가르킨다. 다만 동독지역과 혼용된 서독에서도 냉전당시의 경쟁으로 높은 빌딩을 지어올리기도 했고, 흔히 말하는 스탈린식 아파트들을 동베를린 지역에 리모델링하여 많이 살고 있는데, 이런 아파트들을 Plattenbau라고 부르지만, 일반적으로 언중은 Wohnung(보눙)이라 한다. 여담으로 베를린에서는 동독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런 지역들이 점점 인기를 얻고, Plattenbau라고 해서 못사는 이미지를 생각하지는 않는다. 특히 Mitte 지역과 가까운 friedrichshain 구와 같은 지역에서는 꽤나 높은 가격으로 인기가 많다.
Apartment를 줄여서 아파트라고 부르는 관행은 일본에서 시작한 후 한국이 받아들였다. 다만 일본의 아파트(アパート)는 비교적 저층인 공동주택을 가리킨다. 한국의 아파트보단 빌라에 더 가깝다. 반면 한국의 아파트는 일본의 맨션(マンション)[6], 단지(団地)에 대응한다. 현재는 덜하지만 한국에서도 과거에는 대형 아파트를 맨션 아파트라고 불렀다. 사실 영어 맨션(mansion)은 대저택을 뜻하는 단어이다. 또한 한국에서 소형 공동주택을 뜻하는 빌라(villa) 역시 영어에서의 본래 의미는 시골의 별장이다.
프랑스와 캐나다에서는 아파트를 일컫는 appartement를 appart, 그러니까 아파트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오늘날 한국의 '아파트' 주거문화가 프랑스의 세계적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의 구상을 실현한 것으로 평가받는 것을 생각하면 기묘한 공통점이다. 다만 서양 여느 국가처럼 이들 지역에서도 appart는 저소득층이 싸게 세들어사는 열악한 환경의 임대주택을 가리키는 말이기는 하다.
3. 역사
3.1. 고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술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술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고대 로마보다 앞서서 인더스 문명의 모헨조다로 유적에서 진흙 벽돌 계단이 발굴되었으나, 이것은 2층 연립주택인지, 혹은 단순히 옥상의 평평한 공간을 사용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후대에 끼친 영향을 볼 때 본격적인 다층주택의 기원은 인술라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원래 아파트는 평민용 주거공간이었다. 좁은 넓이에 사람을 최대한 많이 거주하게 하기 위해서 층 수를 높여 지은 건축물로 시작했다.
|
이 시기 인술라는 나무와 벽돌, 진흙, 원시적인 시멘트로 만들어졌다.[8] 10층이 넘는 인술라들도 있었는데, 엘리베이터가 없던 시대였기 때문에 당연히 고층으로 갈수록 방세는 저렴했다. 그리고 불법적인 증축이 밥 먹듯이 이루어졌다.
화재 문제 때문에 공동 화덕을 두거나, 공용 식당에서 빵과 음식을 사먹어야 했다. 배설물은 항아리에 갖고 나와서 하수도에 버리면 매너 있는 거였고, 매너 없는 놈들은 창문 밖으로 쏟았기 때문에[9] 애꿎은 행인들이 피를 보기도 했다. 실제로 이 시대 어떤 시인은 인술라 근처를 지나면 누군가 던진 물건에 맞아 다칠 수 있으니 조심하라는 시를 짓기도 했다.
1층은 현대의 주상복합단지처럼 상가로 쓰였는데, 냄새가 많이 나는 피혁점이나 시끄러운 대장간은 주민들이 축출했다고 한다. 역사상 처음으로 나타나는 님비현상이다.
네로 황제 시절 로마 대화재를 겪으며 인술라는 법적 관리를 받게 되었다. 7층 이상 올려짓지 못하게 했고, 나무들보 사용을 금지하면서 자연히 아치를 이용한 건축기술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 시기 인술라 업자들은 악명이 높았는데, 삼두정치로 유명한 크라수스는 자신이 임대하던 인술라가 노후화되어 붕괴되자, '더 높은 인술라를 지어 돈을 더 벌 수 있게 되었군!'이라고 하면서 기뻐했다고 한다.
이러한 로마의 인술라는 로마가 멸망하면서 쇠퇴하게 되었다. 로마 콘크리트는 천 년 뒤에 포틀랜드 시멘트가 발명될 때까지 아예 기술력이 잊혀졌고[10] 이전보다 도시 인구도 줄고, 건축기술도 성곽과 성당을 만드는 데 올인되었기 때문.[11]
3.2. 중세
10세기 이슬람국가 시대에 이집트 카이로에는 7층 높이의 아파트가 많이 있었으며 그곳에서 수백명이 살았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기록에 따르면 미나레트 (주로 이슬람사원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탑) 와 비슷하게 생긴 건물들이 도시에 늘어서 있었고, 도시 주민의 다수가 그런 건물에 살았으며, 한 동에 약 200명 정도의 주민들이 살았다고 한다. 11세기 기록에는 몇몇 아파트들의 높이가 14층에 달했다고 한다. 게다가 옥상에는 정원이 있었고, 정원에 물을 대기 위해 황소가 끄는 물레방아가 있었다고 한다.중동에서 특히 유명한 곳은 예멘의 시밤이다. 16세기에 지어진 이 도시는 "사막의 맨해튼"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흙벽돌로 지어졌으며 5층에서 11층에 이르기까지 그 높이도 다양하다. 그 중에는 30m가 넘는 건물들도 있는데, 오늘날까지 흙으로 만든 가장 높은 건물로 기록되어 있다. 당연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
3.3. 근대
근대적 아파트의 시작은 루이 14세의 치하의 17세기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전만 하더라도 한 세대가 가옥 전체를 점유하는 전형적인 평면이 좁은 수직형 공간의 중세식 세장형(細長型) 주택이 주류였지만 점차 평면이나 층을 나누어 플래츠 형식으로 여러 세대가 임대하기 시작한 것으로 당시 기록에 따르면 1층 상가 위에 3개의 층을 다세대 주거로 사용하는 건물이 많이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유형은 18세기로 넘어오면서 발전하기 시작해, 루이 15세 때인 1715~30년 사이에 건축가 빅토르 다일리가 생제르맹데프레 지역에 아파트와 비슷한 설계로 주택가들을 지어 성공적으로 분양한 기록이 남아 있다. 다만 이러한 수평 공간의 주택은 프랑스보다 이탈리아가 더 앞선 편으로 이탈리아에선 이러한 주택을 리네아형 주택으로 불렸다. , 기사본격적으로 아파트가 모습을 드러낸 때가 18세기 초로 19세기 초인 1820년경부터 그 수가 늘기 시작해 1840년경부터 아파트 건설이 부르주아의 주요 투자대상이 되면서 대규모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1850~60년대의 오스망 재개발을 거친 뒤 새로 닦은 넓은 대로를 따라 세워지기 시작해 지금의 파리의 풍광을 만들어냈다. 그 밖에 리옹이나 마르세유같은 지방의 대도시와 유럽 각국의 몇몇 대도시에서도 아파트가 세워졌다. 대표적인 예가 독일의 수도인 베를린이다. 후에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도시가 파괴되고 동서로 갈라지면서 각각 모더니즘 양식과 소련식 아파트로 재건되었다. 물론 그 이전부터 인구 과밀로 인한 교통난에 몸살을 앓고 있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의 아파트의 층수는 보통 5~8층으로 파리에서도 고도제한이 가장 긴 시간 동안 20미터를 유지했기 때문에 초창기에는 5층이 많다가 나중에 6층이 가장 많이 지어졌고, 고도 제한이 풀리면서 인구 증가와 함께 부동산 투자에 따른 이윤 창출의 압박이 커지는 것과 엘리베이터의 발명과 도입으로 6~8층으로 높아졌다. 동시에 모더니즘이 태동하기 전까지는 석재로 된 건축 장식을 활용해 외관을 마감했다. 파리의 아파트는 임대료를 기준으로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나뉘어 있으며, 3등급은 중산층을 위한 것이며, 1~2등급은 신흥부르주아를 위한 고급형이었고, 오스망 재개발 이후 대로를 따라 들어선 아파트들은 석재 장식으로 마감한 고급형이 주를 이루었고, 이후 벨 에포크를 거치면서 네오 바로크와 아르누보 양식으로 지어진 화려하고 웅장한 아파트가 대세를 유지했다.
|
3.4. 현대
뉴욕은 1839년 밀려드는 이민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테너먼트(Tenement)라 불리는 특유의 빈민 아파트가 최초로 건설되었다. 1884년에는 더 다코타[13]라는 이름의 럭셔리 아파트가 처음 지어졌지만, 여전히 대부분은 빈민 아파트인 테너먼트였다. |
19세기 뉴욕의 빈민 주거용 아파트 테너먼트의 모습. |
|
이제는 뉴욕의 상징이 된 오늘날의 테너먼트의 모습. |
지금과 같은 현대적인 아파트를 구체적으로 구상한 건축가는 프랑스의 르 코르뷔지에다. 그는 1922년 프랑스 빈민구제안으로 "현대도시(Ville Contempraine)"안과 브와종 계획안을 내놓았다. 당시 일부 건축가 및 프랑스 정부와 문화가들은 호의를 표했지만, 1940년대에 들어 "문화성이 없는 공동주택, 미래도시에 관한 터무니없는 문화성제고가 일체없는 건축"이란 빈축이 쏟아졌으며, 대대수 서유럽인들은 획일적이고 전체주의적으로 보이는 아파트 개발안을 싫어했다.
늘 인간을 중심에 둔 건축 철학으로 유명했던 르 코르뷔지에는 수직도시를 꿈꿨다. 마을 공동체를 이 거대한 구조물 내에서 다시 되살려 보겠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온통 주택으로만 들어찬 오늘날의 아파트와 달리, 2층 어느 구역은 세탁소, 5층 어느 구역은 슈퍼, 7층 어느 구역은 탁아소, 옥상은 정원 및 수영장 등 건물 곳곳에 생활시설과 커뮤니티 시설을 배치해두었고, 그렇게 하면 사람들이 각 장소로 찾아가 활용할 것으로 기대했다. 하지만 서유럽에서는 절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다.
|
마르세유에 위치한 유(위)니테 다비타시옹 Unité d'habitation. 르 코르뷔지에의 계획안에 따라 나중에 지어졌다. |
|
프랑스의 시테 |
대신 이런 종류의 아파트 건설은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래 사진들을 보면 한국인에게도 전혀 낯설지 않은 풍경들을 보게 된다. 실제로 에스토니아를 비롯해 과거에 소련 혹은 위성국이었다가 민주화되면서 반러 감정을 갖게된 나라들은 이러한 아파트 문화 자체를 질색하는 경우가 많다. 1989년 노래 혁명 당시의 시위 구호 중에 하나가 바로 라스나매에[14]는 이제 그만!(peatage lasnamäe!)이었다.
|
|
소련의 아파트. |
|
|
동베를린의 아파트 단지. |
한편 1960~80년대의 한국을 비롯, 개발도상국들은 급격한 발전 과정에서 오는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감하게 이러한 '실험적'인 방식을 거쳤고, 몇 번의 실패를 통해 결국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작은 유럽이었지만, 한국 아파트의 구조나 공간의 특징은 한옥에 가까운 점이 있다. 한국 아파트는 한국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것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건물 외부에 건물명과 동(棟)을 대문짝만하게, 그것도 101이나 1002처럼 서너자리 숫자(등장 당시에는 1부터 시작했다)로 표기하는 것은 한국이 아니면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다.[15] 시간이 흐르면서 아파트 벽면이 건설사 광고수단으로 변질되었다는 지적도 있지만, 그만큼 시인성도 뛰어나다. 반면 한국에선 인간 내비게이터라 자부하는 사람도 유럽 쪽 주거단지에 익숙해지려면 꽤나 애를 먹는다.
경제가 발전하면서 일본식 회사복지의 일환으로 사원아파트를 만들어서 회사원들에게 공급하는 것도 유행했다. 요즘은 그렇게까지 사원복지에 신경 쓰는 회사는 많이 없어젔지만.
|
다만 2019년 기준으로는 서구식/일본식 중복도형 구조와 한국식 한옥형 구조가 많이 혼재된 편이다. 한옥의 확장형이자 재해석이라 볼 수 있는 판상형 아파트와 달리 오피스 빌딩에 기본골조의 기반을 둔 주상복합이나 타워형 아파트[18]는 한국식이라도 서양식 중복도형 평면으로 많이 건설된다. 2020년대 이후로는 일반적인 판상형 아파트도 중소형 평수에도 4베이 구조가 대세가 되면서 신축 아파트는 대부분 중복도형 구조로 지어지고 있으며, 종전의 한국식 한옥형 구조는 신축아파트 에서는 드물게 3베이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일부 소형 평수 아파트나 찾아볼 수 있는 수준이다.
그런 타워형 주상복합 아파트는 사실상 오피스 빌딩의 상층부를 사무실이 아닌 거주공간으로 바꾸어 놓은 것과 유사하다. 물론 주거용으로 용도가 바뀌며 대두된 통유리로 인한 사생활/냉난방효율 문제로 철근콘크리트 외벽을 채택한다던지 등과 같은 소소한 개량은 가해지긴 했지만, 그 기본골조는 전통적인 판상형 아파트보다는, 오피스 빌딩에 더 가깝다.
예시 1 (주상복합 아파트) (117B, 209A,210B,210C,214형은 서양식 구조다.)
예시 2 (주거전용 타워형 아파트) [19] (역시, 157, 166C, 167B,199B형은 서양식 구조.)
예시 3 (주거용 오피스텔(속칭 아파텔)) (여기도 168B,168C형은 서양식 구조.)
4. 평가
4.1. 장점
- 적은 공간으로 많은 인구를 수용할 수 있다. 좁은 면적에 많은 인구를 수용함으로써 국토 손실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0] 100가구가 각자 단독주택에서 살려면 주택 100채를 지을 면적이 필요하고, 2층집으로 지어도 50채가 있어야 하는데, 아파트에서 산다면 100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 한 채만 있으면 되는 것이다. 층수가 높아질수록 이러한 효율성은 더욱 높아지며, 아파트 주변의 빈 땅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그만큼 녹지가 많이 보존된다. 그만큼 무분별한 수평확장이 억제되는 효과도 있다.
- 주차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 주차 문제로부터 매우 자유로우며 차량을 소유하기에 편리하다.
- 요즘 지어지는 아파트들은 지하주차장이 기본 옵션으로 딸려있어 입·출차에서 날씨의 영향으로부터 매우 자유롭다.
- 편의시설에 접근하기 편리하며 통근, 통학에 소모되는 에너지가 절약된다. 특히 주상복합은 이러한 편리성이 극대화된 사례이다.
- 다른 주거 방식보다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다.
- 1층을 제외하고는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이에서 시작한다.[21] 그래서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좋으며 좀도둑이 들어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 보안에 좋다. 단지 외곽에 담장이나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고 단지 곳곳에 CCTV가 설치되어 있다. 관리사무소가 있어 단지 전체를 관리 가능하고 경비원(수위)이 건물마다 상주하고 있다. 건물마다 거리가 있어 골목이 없고 거주 인구가 많아 보는 눈이 많기 때문에 범죄에는 안전한 편이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2000년대 이후에 건설된 아파트는 방범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 범죄 사각지대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22] 실제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범죄율이 단독주택&빌라 밀집구역 보다 훨씬 낮다.[23][24] 한편 이러한 보안 정책 때문에 사실상 대단지 아파트가 북미의 게이티드 커뮤니티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비판도 있다.
- 매물이 많다.
- 쓰레기(음식물 쓰레기) 처리가 용이하다.
- 남향인 경우 햇볕을 받기 좋다.
- 도시가스, 인터넷 같은 인프라 보급이 유리하다.[25]
- 도시정비사업, 다시 말해 재건축에 따른 후속 조치가 탄탄하다. 재건축 아파트가 인기있는 이유.
- 한국에서는 상당히 보편화된 주거 방식으로, 선택의 폭이 넓다.
- 계약면적 대비 전용면적의 비율이 높아 합리적이다.
- 관리비를 상당히 현실적으로 책정한다.
- 집단에너지 사용이 유리하다.
4.2. 단점
- 많은 사람들이 공동으로 생활하는 공간이다 보니 간접흡연, 층간소음, 그 외 각종 인간 말종들이 일으키는 무개념 행위 등으로 인해 사생활이 침해되고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질이 낮은 아파트일 수록 이러한 단점이 더욱 두드러진다.
- 특히 층간소음 문제는 심각하다. 보통 아파트들은 공기 단축과 시공 비용 감소를 목적으로 벽식 구조로 지어져서 소음이 그대로 사방팔방으로 퍼져 나간다. 그래서 층간소음에 민감한 사람은 아파트를 기피하기도 한다. 특히 피아노같은 악기를 연주한다면 반드시 방에 방음설비를 구비해야 층간소음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진다.
- 또한 주차장을 구비하고 있는 장점으로 차량 주차에 대해서는 확실히 크게 문제가 없지만, 그건 비정상으로 주차하는 빌런이 없을 때의 이야기이다. 정해진 주차 구역 외에 자동차 앞을 막거나 통로에 세워두고 심지어는 아예 주차장 입구를 막아놓기도 한다. 하지만 아파트 단지 안 도로는 사유지이기 때문에 도로교통법에 의거하여 견인을 할 수 없어 정작 올바르게 주차하는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경우도 많다.
- 다만 아파트는 공동주택 중에서는 25평 이상의 대평수가 많고, 평당 가격 자체가 높은 편이라 기본적인 설비가 갖추어진 경우가 많다. 그래서 방음설비가 거의 없는 다른 공동주택보다는 상당히 나은 편이다. 사실 한국의 아파트 자체가 고급주택으로 인식되기도 했고, 건설사에서도 아파트를 지을 때는 많은 신경을 쓰는 편이다.
- 홍콩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과도히 밀집될 시 미관적으로 답답한 경관이 형성된다. 한국에서는 도심지 일부를 제외한 전국의 도시 대부분이 아파트 단지로 채워져있기 때문에 미관이 매우 좋지 못하며[26] 도시만의 특색이 희박한 획일화 문제가 발생한다.
- 마당이 없고, 옥상은 공용이기 때문에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실외 공간과 활동이 제한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지어지거나 리모델링되는 대한민국의 아파트들은 발코니도 없어 이러한 단점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 아파트 전체 층수가 30층이 넘어가게 되면, 기초공사가 까다로워지고, 아파트 철근 구조의 프레임과 콘크리트 층이 두꺼워지는 관계로 건축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 한 집에서 불이 나거나, 자살 사건, 기타 범죄 행위가 발생하면 아파트 전체 부동산 값이 폭락할 수 있다.
- 고층형 아파트는 엘리베이터 없이는 통행이 어려워 정전 또는 점검 시 애로사항이 있다.
- 화재나 지진 등 재난에 취약하다. 특히 초고층 아파트는 불나면 이 영화의 실사판을 찍게 된다. 원래 아파트는 화재에 강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이기 때문에 잘만 지으면 어느 정도는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나, 건축법과 소방법의 문제로 인해 가연소재 사용이 크게 규제받지 않는데다가, 기본적인 소방시설 규정도 제대로 안 지켜지는지라 신축 아파트에서조차 이런 사고에 취약하다.
- 또한 이러한 재난 발생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다. 울산 남구 아파트 화재 사고로 인해 하마터면 해당 동 주민들이 모두 참변을 당할 뻔했다. 특별한 사례이긴 하지만 어느 아파트는 입주민의 실수로 불산이 누출되는 사고도 있었다.불산 누출 사고[27]
- 부실공사로 인한 사고 발생 시, 단독주택보다 훨씬 많은 피해자가 발생한다. 와우 시민아파트 붕괴사고가 이런 예시이다.
- 25층 이상(대락 80m 이상의 높이)이면 기압이 낮고, 이로 인해 산소 분압이 낮다. 너무 고층 아파트면 창문 개방을 통한 환기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기질의 여건상 건강상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과는 달리 개개인의 의사로 인한 재개발, 재건축이 어렵다.
- 건설비가 비싸다. 아파트는 고층건물이기에 기본적으로 평당 단가가 절대로 낮은 편은 아니다.
- 전쟁 중 미사일, 드론에게 공격당하기 취약하다는 점이다. 예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미사일, 드론으로 인한 공격이 많은데, 아파트의 피해가 크고 전쟁이 길어지자 우크라이나에서는 아파트를 기피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5. 국가별 특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파트/국가별 특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파트/국가별 특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목록
6.1. 한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대한민국의 공동주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분류:대한민국의 공동주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2. 미국
- 432 파크 애비뉴: 세계 최고층 아파트. 뉴욕의 최고층 마천루는 제1세계무역센터(1WTC)이다. 그러나 1WTC는 첨탑 효과가 너무 크고 첨탑을 제외하면 이게 가장 높다.
- 비기치 빌딩: 미국의 알래스카주에 있는데, 평범하게 생겼지만, 한 마을의 전체 인구를 수용하고 있어서, 아파트가 마을 자체인 수준이다.
- 프루이트 아이고: 흑역사이다.
- 챔플레인 콘도미니엄스: 붕괴 사고가 일어났다.
6.3. 영국
- 로넌 포인트: 붕괴 사고로 사라졌다.
- 그렌펠 타워: 런던 그렌펠 타워 화재사고가 일어났다.
6.4. 호주
6.5. 남아프리카 공화국
7. 기타
8. 관련 문서
- 국민임대주택
- 뉴타운
- 모델하우스
- 보금자리주택
- 부동산
- 아파트투유
- 소셜믹스
- 신도시
- 신비아파트 시리즈
- 장기전세주택
- 장기주택마련저축
- 재개발
- 재건축
- 주공아파트
- 주상복합
- 주택청약종합저축
- 주택청약통장
- 차 없는 아파트
- 타워형
- 판상형
- 필로티
- 혁신도시
- APT.
[1] 콘도미니엄은 건축 양식이 아닌 건물 소유권을 기준으로 내리는 정의이다. 그래서 콘도미니엄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단지도 콘도미니엄이 될 수 있다.[2] 미국인들은 줄여 얘기하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웬만해선 콘도미니엄이라곤 하지 않는다.[3] 시트콤 How I Met Your Mother에서 보면 10층 이하의 테드/마셜의 집, 초고층인 바니의 집, 임대하지 않고 분양받아서 산 마셜/릴리의 집 모두 구분없이 전부 아파트라고 부른다. 아예 Law&Order 시리즈처럼 극중 여러 사람들의 다양한 형태의 주거지가 등장할 때에는 극중의 주거지를 엄밀하게 구분하는 일 없이 시청자가 캐릭터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사정을 유추할 수 있게끔 Residence라고 총칭하기도 한다.[4] 런던은 집값이 비싼 등 때문에 그렌펠 타워같은 곳이 아닌 4~5층 높이에 1층에 가게 딸린 저층 공동주택(flat)은 그래도 빈민층이 사는 곳이 아니며 부촌에 있는 곳은 부자들이 주로 산다.[5] 지반이 약하고 평야가 대다수인 국가에서는 아파트로 높게 쌓는 것은 어렵다. 땅덩이 크기만 보면 한국과 엇비슷하거나 절반 수준인 영국이나 네덜란드의 교외 지역에는 롱하우스나 타운하우스가 많다.[6] 크레용 신짱(=짱구는 못말려)에 신노스케의 친구들이 노하라 일가가 이사한 "와르르 맨션"을 일본어 원본에서 "맨션"이라 하지 않고 "아파트"라고 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어찌 보면 '대학교-대학'처럼 한일 두 나라의 용법이 정반대인 셈이다.[7] 원래는 '섬'(island)이라는 뜻.[8] 하중을 견디기 위해 아래층은 주로 벽돌, 윗층으로 갈수록 목재로 만들어졌다.[9] 흔히 과거 유럽에서 배설물을 길거리(정확히는 도랑)에다 버리는 걸 중세 이후로 문명이 퇴보하고 나서 생긴 관습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은 이 시대부터 있었던 행위였다. 그래서 저걸 금지하는 법을 제정해야 했을 정도. 링크[10] 동로마 제국에서조차도 로마 전성기의 콘크리트 기술력은 끊겼다.[11] 로마 멸망 후 로마 시절 건물들을 제대로 보수하지 못해서 붕괴되는 사고도 빈번히 일어났다. 왕이 신하들과 2층에서 밥 먹다가 바닥이 내려앉기도 하고, 홀이 무너지면서 신하들이 바로 아래 하수구에 빠져죽는 참사가 벌어진 적도 있었다.[12] 옥탑방에 살아본 사람들은 알지만, 이 다락방도 겨울엔 춥고, 여름에는 태양의 직사광선으로 달궈져서 찜통이 된다. 실제로 오래전인 유럽 폭염 사태 당시 이 다락방에 거주하던 노약자들 상당수가 열사병으로 사망한 일이 있었다.[13] 비틀즈의 전 멤버인 존 레논이 말년을 보냈던 곳으로 유명하다.[14] 탈린 외곽에 러시아인들을 위해 대규모로 지어진 아파트 단지.[15] 사실 이 관례는 일본의 공영아파트에서 시작된 것이지만, 현대 대한민국처럼 측면 외벽 한가운데가 아니라 왼쪽에다 조그맣게 표기하는 식이었다.[16] 출처 - 집우집주[17] 물론 일본에도 한국의 아파트와 비슷한 평면 구조(거실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는)로 된 아파트가 과도기인 1970년대에 일부 건설된 사례가 존재한다.# 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된 점을 빼면 1980~90년대 한국 아파트 평면 구조와 큰 차이는 없어 보이나, 1980년대 이후로는 사장되었다.[18] 가장 고전적으로는 타워팰리스 같은 것을 떠올리면 된다. 진짜 초창기 1차는 한옥형 평면을 억지로 구겨 넣었고, 2~3차로 갈수록 타워형 구조상 공간효율 확보를 위해 일부 Type에서 절충한 게 보인다. 현관 뒤에 방 하나 지나가는 정도로 복도를 짧게 빼고 그 뒤에 전통적인 한옥 평면을 붙인다든지.[19] 그런데 이 아파트엔 완전한 한옥 평면(249m², 289m²형 - 거실이 중심에 오고 방들이 방사형으로 붙어 있으며, 중복도나 속복도가 전혀 없음.)도 있다. 실제 가보면 알겠지만 한옥 평면은 한 라인만 둬서 홀쭉하게 만들긴 했지만, 판상형 구조이다.[20] 자세한 건 건폐율과 용적률 문서로.[21] 그나마도 요즘 지어지는 아파트는 1층을 공실 내지는 상가로만 사용한다. 이러한 건물을 필로티라고 한다.[22] 일부 1990년대 후반에 지어진 아파트도 후에 방범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지도 있다.[23] 이를테면 신도시.[24] 물론 지방자체단체에서 방범용 CCTV를 골목길 곳곳에 설치하여 범죄예방에 힘쓰고 있다. 특히 빌라나 원룸이 밀집한 지역에는 곳곳에 방범용 CCTV가 설치되어 있을 확률이 100%다.[25] 대한민국의 인터넷 보급률과 속도가 높은 것은, 아파트의 비율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기도 하다.[26] 이 때문에 실패한 도시계획, 난개발, 미관이 심하게 저해된 도시 등 마구잡이 개발의 폐혜를 보여주는 레딧의 서브레딧인 r/UrbanHell에 대한민국의 아파트가 가끔 나오며, 한국의 주공아파트 이미지를 본 유저들이 간혹 이 서브레딧을 추천하기도 한다. 후술하듯이 역시 획일적이라 미학에 좋지 않은 소련식 아파트(commieblock)같다는 의견도 있다.[27] 불산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불산 문서나 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 문서를 참고해도 좋다.[28] 해당 블로그에서는 아파트를 단지(團地)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