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3:07:14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5-26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5-26 시즌/리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역대 시즌
2013-14 2014-15 2015-16 / 리그 2016-17 / 리그
2017-18 / 리그 2018-19 / 리그 2019-20 / 리그 2020-21 / 리그
2021-22 / 리그 2022-23 / 리그 2023-24 / 리그 2024-25 / 리그
/ CWC
2025-26 / 리그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회장 <colbgcolor=#fff,#1c1d1f> 엔리케 세레소
(Enrique Cerezo)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Diego Simeone)
수석코치 넬슨 비바스
(Nelson Vivas)
주장 코케
(Koke)
부주장 얀 오블락
(Jan Oblak)
경과
(라리가 7R 종료 기준)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5위
(7전 3승 3무 1패, 14득점 9실점)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
리그 페이즈 진출
(1전 0승 0무 1패, 2득점 3실점)
파일:코파 델 레이 로고.svg파일:코파 델 레이 화이트 로고.svg 32강 진출
(0전 0승 0무 0패, 0득점 0실점)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4강 진출
(0전 0승 0무 0패, 0득점 0실점)
시즌 성적 승률 37.5%
8경기 3승 3무 2패
16득점 12실점 득실차 +4
최다 득점 훌리안 알바레스 (6득점)
최다 도움 마르코스 요렌테, 줄리아노 시메오네 (2도움)
최다 출전 얀 오블락, 마르코스 요렌테 (8G, 782분)

1. 개요2. 2025-26 시즌 스쿼드
2.1. 임대 선수 명단2.2. 등번호 신입/변경
3. 유니폼 및 스폰서4. 여름 이적시장
4.1. 예상
4.1.1. 영입4.1.2. 방출
4.2. IN4.3. OUT4.4. 오피셜4.5. 재계약4.6. 이적설
4.6.1. 영입설4.6.2. 방출설
4.7. 총평
5. 겨울 이적시장
5.1. 예상
5.1.1. 영입5.1.2. 방출
5.2. IN5.3. OUT5.4. 오피셜5.5. 재계약5.6. 이적설5.7. 총평
6. 예상 라인업
6.1. 전반기 예상 라인업6.2. 후반기 예상 라인업
7. 프리 시즌
7.1. 친선 경기
7.1.1. VS 포르투 (원정, 1:0 패)7.1.2. VS 라요 (홈, 1:1 무)
7.2. 셀라컵
7.2.1. VS 뉴캐슬 (원정, 0:2 승)
8. 정규 시즌
8.1.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가로형).svg 라리가8.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8.2.1. 리그 페이즈
8.2.1.1. MD1 vs 리버풀 (원정, 3:2 패)8.2.1.2. MD2 vs 프랑크푸르트 (홈, -:-)8.2.1.3. MD3 vs 아스날 (원정, -:-)8.2.1.4. MD4 vs 위니옹 SG (홈, -:-)8.2.1.5. MD5 vs 인테르 (홈, -:-)8.2.1.6. MD6 vs PSV (원정, -:-)8.2.1.7. MD7 vs 갈라타사라이 (원정, -:-)8.2.1.8. MD8 vs 보되/글림트 (홈, -:-)
8.3. 파일:코파 델 레이 로고.svg파일:코파 델 레이 화이트 로고.svg 코파 델 레이
8.3.1. 32강 VS 미정
8.4.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8.4.1. 4강 VS 레알 마드리드 (중립, -:-)
9. 시즌 기록10. 시즌 총평
10.1. 전반기10.2. 후반기

1. 개요

라리가 클럽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2025-26 시즌에 관한 정보를 다루는 문서이다.

2.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Juan Musso(25-26).png
파일:José Giménez(25-26).png
파일:Matteo Ruggeri(25-26).png
파일:Conor Gallagher(25-26).png
파일:Johnny Cardoso(25-26).png
1 2 (3C) 3 4 5
후안 무소
Juan Muss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GK
1994.05.06 ([age(1994-05-06)])
2025~2028
호세 히메네스
José María Giménez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DF
1995.01.20 ([age(1995-01-20)])
2013~2028
마테오 루제리
Matteo Rugger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DF
2002.07.11 ([age(2002-07-11)])
2025~2030
코너 갤러거
Conor Gallagh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0.02.06 ([age(2000-02-06)])
2024~2029
조니 카르도주
Johnny Cardoso

파일:미국 국기.svg | MF
2001.09.20 ([age(2001-09-20)])
2025~2030
파일:Koke(25-26).png
파일:Antoine Griezmann(25-26).png
파일:Pablo Barrios(25-26).png
파일:Alexander Sørloth(25-26).png
파일:Álex Baena(25-26).png
6 (C) 7 8 9 10
코케
Koke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2.01.08 ([age(1992-01-08)])
2009~2026
앙투안 그리즈만
Antoine Griezmann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1.03.21 ([age(1991-03-21)])
2022~2027
파블로 바리오스
Pablo Barrios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3.06.15 ([age(2003-06-15)])
2022~2030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Alexander Sørloth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FW
1995.12.05 ([age(1995-12-05)])
2024~2028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1.07.20 ([age(2001-07-20)])
2025~2030
파일:Thiago Almada(25-26).png
파일:Carlos Martín(25-26).png
파일:Jan Oblak(25-26).png
파일:Marcos Llorente(25-26).png
파일:Clément Lenglet(25-26).png
11 12 13 (VC) 14 15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1.04.26 ([age(2001-04-26)])
2025~2030
카를로스 마르틴
Carlos Martín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2.04.22 ([age(2002-04-22)])
2023~2029
얀 오블락
Jan Oblak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 GK
1993.01.07 ([age(1993-01-07)])
2014~2028
마르코스 요렌테
Marcos Llorente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5.01.30 ([age(1995-01-30)])
2019~2027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5.06.17 ([age(1995-06-17)])
2025~2028
파일:Nahuel Molina(25-26).png
파일:Dávid Hancko(25-26).png
파일:Marc Pubill(25-26).png
파일:Julián Álvarez(25-26).png
파일:Giuliano Simeone(25-26).png
16 17 18 19 20
나우엘 몰리나
Nahuel Molin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DF
1998.04.06 ([age(1998-04-06)])
2022~2027
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DF
1997.12.13 ([age(1997-12-13)])
2025~2030
마르크 푸빌
Marc Pubill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3.06.20 ([age(2003-06-20)])
2025~2030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0.01.31 ([age(2000-01-31)])
2024~2030
줄리아노 시메오네
Giuliano Simeone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FW
2002.12.18 ([age(2002-12-18)])
2022~2028
파일:Javi Galán(25-26).png
파일:Giacomo Raspadori(25-26).png
파일:Nicolás González(25-26).pn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21 22 23 24
하비 갈란
Javi Galán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4.11.19 ([age(1994-11-19)])
2023~2026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FW
2000.02.18 ([age(2000-02-18)])
2025~2030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1998.04.06 ([age(1998-04-06)])
2025~2026[1]
로뱅 르노르망
Robin Le Normand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1996.11.11 ([age(1996-11-11)])
2024~2029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리저브팀 콜업 명단
파일:Ilias_Kostis (25/26).png
파일:Jano_monserrate_24/25.png
파일:Taufik_Seidu (25/26).png
파일:Rayane_Belaid (25/26).png
파일:Salvi_Esquivel (25/26).png
26 27 28 29 31
일리아스 코스티스
Ilias Kostis

파일:그리스 국기.svg | DF
2003.02.27 ([age(2003-02-27)])
2022~2027
하노 몬세라테
Jano Monserrate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6.01.28 ([age(2006-01-28)])
2024~2027
타우픽 세이두
Taufik Seidu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8.01.20 ([age(2008-01-20)])
2025~2029
라야네 벨라이드
Rayane Belaid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5.02.11 ([age(2005-02-11)])
2024~2027
살비 에스키벨
Salvi Esquivel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2005.09.30 ([age(2005-09-30)])
2024~2027
파일:Javi_Serrano (25/26).pn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42
하비 세라노
Javi Serrano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2003.01.16 ([age(2003-01-16)])
2021~2026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muldovan.png
파일:Rodrigo De Paul(2025).png
파일:Thomas Lemar.pn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1 7 11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GK
1998.01.20 ([age(1998-01-20)])
2025~2026
레알 오비에도 임대
2026.06.30 복귀[옵션]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 MF
1994.05.24 ([age(1994-05-24)])
2025
인터 마이애미 CF 임대
2025.12.31 복귀[옵션]
토마 르마
Thomas Lemar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5.11.12 ([age(1995-11-19)])
2025~2026
지로나 FC 임대
2026.06.30 복귀
구단 정보
<rowcolor=#fff>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 홈구장: 리야드 에어 메트로폴리타노
<rowcolor=#000,#fff> 출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공식 웹사이트, 라리가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27일
^^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


[1] 유벤투스 FC에서 임대.[옵션] 완전 이적 옵션 포함[옵션] 완전 이적 옵션 포함
}}}}}}}}} ||

2.1. 임대 선수 명단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임대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To. 포지션 국적 비고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레알 오비에도 GK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옵션]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인터 마이애미 CF M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옵션]
토마 르마 Thomas Lemar 지로나 FC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2.2. 등번호 신입/변경


변경
* 카를로스 마르틴: 15번 → 18번 → 23번 → 12번
* 줄리아노 시메오네: 22번 → 20번

3. 유니폼 및 스폰서

2025-26 시즌 유니폼 킷
파일:Atleti_2526_home.png 파일:Atleti_2526_away.png 파일:Atleti_25/26_third_kit.png 파일:Atleti_25/26_goalie_kit.png
HOME AWAY THIRD GK
유니폼 메이커 메인 스폰서 후면 스폰서 소매 스폰서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리야드 에어 로고.svg 파일:visit-rwanda.png 파일:Kraken Logo.png

4. 여름 이적시장

4.1. 예상

4.1.1. 영입

  • 골키퍼
세컨 키퍼인 후안 무소의 완전 영입과 얀 오블락의 장기적인 대체자를 이번 여름에 영입하려고 한다.
  • 수비
지난 시즌 보강에 실패한 레프트백을 새로 영입할 예정이고 클레망 랑글레의 완전 영입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악셀 비첼이 떠날 것이 유력해 새로운 4순위 센터백을 영입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 미드필더
알렉스 바에나를 가장 먼저 영입할 예정이다. 앙투안 그리즈만의 대체자 역할 뿐만 아니라 사무엘 리누, 로드리고 리켈메 등 기존의 윙어 자원들이 지난 시즌 2년차 징크스를 맞으면서 매우 부진한 활약을 펼쳤기 때문에 그리즈만의 거취 여부와 상관없이 반드시 필요한 영입이 되었기 때문이다.

6번 자원도 영입할 예정이다. 이번 여름에 좀 더 확실한 선수를 영입하기 위해 지난 겨울 6번 영입을 포기하였고 그 결과 코파 델 레이, 라리가,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 모두 중원 보강의 필요성을 드러냈기 때문에 이번 여름에는 반드시 영입을 성사시켜야 한다.
  • 공격
앙투안 그리즈만이 팀을 떠날 것이라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 훌리안 알바레스, 알렉산데르 쇠를로트가 매우 잘해주고 있지만 이들을 보좌해 줄 또다른 스트라이커가 필요하기도 하다. 그리고 앙헬 코레아 역시 이번 여름 팀을 떠날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만약 그리즈만, 코레아 중 하나만 나간다면 저렴한 값으로 한 명을 영입할 것이고 코레아, 그리즈만 모두 떠난다면 빅네임 자원도 하나 새롭게 영입할 가능성이 높다.

4.1.2. 방출

  • 골키퍼
임대 복귀한 호라치우 몰도반의 방출이 유력하며 상황에 따라 얀 오블락까지 방출 가능성이 있다.
  • 수비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악셀 비첼, 헤이닐두 만다바의 계약이 2025년 여름 종료된다. 현 시점에 전부 재계약 관련해서 소식이 없다. 따라서 이들이 FA로 팀을 떠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 미드필더
팀의 잉여자원인 토마 르마의 방출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세비야로 임대를 갔던 사울 니게스가 돌아오지만 다시 팀을 떠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지난 시즌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사무엘 리누, 로드리고 리켈메도 팀을 떠날 가능성이 높다.
  • 공격
상술한대로 그리즈만, 코레아의 이적설이 나오고 있다. 코레아는 이미 리그 홈경기에서 선수 개인적으로 팬들에게 작별인사를 건네며 이적이 유력해졌지만, 그리즈만의 경우는 이적할 가능성, 잔류할 가능성 모두 남아있다. 그리고 한국시각으로 6월 2일, 2027년까지 재계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잔류하게 되었다.

4.2. IN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From. 포지션 국적 이적료
사울 니게스 Saúl Ñíguez 세비야 FC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임대 복귀
아르투르 베르미렌 Arthur Vermeeren RB 라이프치히 MF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카를로스 마르틴 Carlos Martín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US 사수올로 칼초 GK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FC 바르셀로나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자유 계약
후안 무소 Juan Musso 아탈란타 BC GK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M[3]
마테오 루제리 Matteo Ruggeri 아탈란타 BC DF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7M[4]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비야레알 CF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45M[5]
조니 카르도주 Johnny Cardoso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MF 파일:미국 국기.svg €27M[6]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보타포구 FR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1M
마르크 푸빌 Marc Pubill UD 알메리아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16M[7]
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D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26M[8]
산티아고 무리뇨 Santiago Mouriño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5M[9]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SSC 나폴리 FW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2M[10]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유벤투스 FC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임대[11]

4.3. OUT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To. 포지션 국적 이적료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FC 바르셀로나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임대 복귀
후안 무소 Juan Musso 아탈란타 BC GK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헤이닐두 만다바 Reinildo Mandava 선덜랜드 AFC DF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자유 계약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César Azpilicueta -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악셀 비첼 Axel Witsel 지로나 FC DF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사울 니게스 Saúl Ñíguez CR 플라멩구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레알 오비에도 GK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임대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인터 마이애미 CF MF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토마 르마 Thomas Lemar 지로나 FC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베르미렌 Arthur Vermeeren RB 라이프치히 MF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22M
로드리고 리켈메 Rodrigo Riquelme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15.5M
앙헬 코레아 Ángel Correa 티그레스 UANL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8M[12]
사무엘 리누 Samuel Lino CR 플라멩구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22M[13]
산티아고 무리뇨 Santiago Mouriño 비야레알 CF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1M

4.4. 오피셜

4.5. 재계약

  • [재계약 완료] 앙투안 그리즈만: 2025년 6월 2일, 구단과 2027년까지 재계약하였다.
  • [재계약 완료] 코케: 2025년 6월 2일, 구단과 2026년까지 재계약하였다. 매 시즌 종료마다 재계약 여부를 결정하는 사실상 종신 계약이다.
  • [종료] 로드리고 데 파울: 지난 시즌 막판부터 재계약 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재계약 진행이 정체되었다. 계약이 단 1년 남은 가운데 MLS의 인터 마이애미 CF로의 이적이 더 가까워졌다. 1년 임대 후 완전 이적의 형태로 팀을 떠날 것이 유력한데 이 과정에서 계약을 2027년까지 1년 더 연장하는 형식으로의 재계약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후 공식적으로 재계약을 진행하지 않고 임대 이적하게 되었다.

4.6. 이적설

4.6.1. 영입설

FW
* [영입 완료] 티아고 알마다 from 보타포구 FR: SL 벤피카로의 이적이 유력해졌으나 파브리지오 로마노에 의하면 아틀레티코가 선수 가격 문의 등 접촉을 한 상황이며, 선수 본인이 아틀레티코가 본인의 드림 클럽이라 밝힌 바가 있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옵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7월 15일 헤코르드에서 알마다의 아틀레티코 이적이 급진전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선수 본인은 아틀레티코가 드림 클럽인 만큼 아틀레티코행에 무척 긍정적인데, 이적료 €40m를 두고 아틀레티코는 선수 권리 50%를 구매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고 한다. 전반적으로는 협상이 매우 순조로운 상태라고 한다. 다음날인 7월 16일 바로 로마노의 Here we go!가 떴으며 몇 시간 지나지 않아 보타포구와 아틀레티코가 이적 합의를 마무리지으면서 메디컬 테스트 및 정식 계약서 서명만 남은 상태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SNS를 통해 서명을 완료했다는 소식을 전했고, 이틀 후인 7월 18일에는 영입 공식 발표를 했다.
  • [영입 완료] 니콜라스 곤살레스 from 유벤투스 FC: 우측 윙 자원 영입이 잘 안되면서 유벤투스에서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은 니코 곤살레스까지 링크가 나기 시작했다. 나우엘 몰리나와의 스왑딜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몰리나는 잔류를 선호 중이고 아틀레티코가 샐캡 문제 때문에 방출 없이 추가 영입이 어렵다하여 영입이 지연되고 있다. 이후 이적시장 막판 아틀레티코는 임대 후 이적으로 니코의 영입 방향을 선회하면서 샐캡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향을 찾아냈고 결국 이적시장 종료 직전 1년 임대 후 특정 조건 충족 시 의무 영입 조항으로 영입에 성공했다.
  • [영입설] 하파엘 레앙 from AC 밀란: 유럽 대항전 진출에 실패한 밀란을 떠날 것이 유력한 레앙에 관심을 둔다는 기사가 떴다. 하지만 지금 상황에선 아틀레티코보단 플로리안 비르츠 영입에 실패해 2선 보강이 시급한 FC 바이에른 뮌헨으로의 링크가 더 강하며, 알레그리 부임 이후 밀란에서 레앙을 NFS 자원으로 분류했다고 한다.
  • [종료] 파비우 실바 from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코레아의 이적 시 현재 울버햄튼 소속으로 UD 라스팔마스에 1시즌 간 임대를 떠난 파비우 실바 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6월 초 기준으로는 아틀레티코보단 도르트문트와의 링크가 조금 더 강한 상태다. 그리고 이적시장 막판 실제로 도르트문트로 완전 이적하였다.
  • [종료] 닉 볼테마데 from VfB 슈투트가르트: 코레아의 대체자로 지난 시즌 분데스리가에서 포텐이 터진 볼테마데 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다만 링크가 그렇게까지 발전되진 않아 추가적인 소식은 나오지 않았고, 이후 뮌헨 이적이 유력해진 상황이다. 허나 이후 뮌헨도 아닌 뉴캐슬로 이적하였다.
  • [종료] 아데몰라 루크먼 from 아탈란타 BC: 코레아의 티그레스 이적을 앞두고 대체자로 링크가 떴다. 이미 무소와 루제리의 딜로 두 팀간의 관계는 매우 긍정적이며, 팀을 떠날 것이 유력한 루크먼에게 이미 접촉을 했다고 전해진다. 루크먼 본인 또한 올 여름 팀을 떠난다면 아틀레티코에서 새로운 도전을 원한다고 보도되었다. 현재 바르셀로나와의 링크도 나고 있다. 이후 인테르도 접촉했는데, 아탈란타는 이탈리아 외 국가의 팀에 매각을 원하고 있으나 루크먼이 인테르와 개인 협상을 완료했다는 소식 등을 미루어보아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는 듯하다.
  • [종료] 빅토르 요케레스 from 스포르팅 CP: 그리즈만의 대체자로 2025년 겨울부터 본격적으로 이름이 오르내렸다. 훌리안이 9번으로 매우 잘해주지만, 그리즈만이나 코레아가 이적하면 톱 자리가 하나 비게 되고 쇠를로트를 통해 피지컬 좋은 톱의 장점도 매우 중요한 것을 깨달았고 무엇보다 훌리안의 부담을 덜어줄 해결사가 하나 더 필요하다. 다만 본격 이적시장에 들어선 이후 아스날 FC과의 진한 링크를 보여 이적 가능성 자체는 정말 희박하고, 추후 요케레스와 아틀레티코 간에는 그 어떠한 접촉도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보도됐다.
  • [종료] 다르윈 누녜스 from 리버풀 FC: 3년 전에도 아틀레티코가 노렸지만 리버풀로 이적하면서 영입이 무산되었다. 그리고 3년 뒤인 2025년 여름 아틀레티코는 다시 한 번 누녜스 영입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다만 리버풀이 원하는 금액을 맞춰주기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아틀레티코 측 공신력 높은 언론들이 누녜스 영입설을 강력하게 부정하였고 누녜스는 사우디 이적이 유력해졌다.

MF
* [영입 완료] 알렉스 바에나 from 비야레알 CF: 그리즈만의 MLS 이적을 대비할 대체자로 2024년 여름부터 꾸준히 이름이 오르내렸다. 특히 2024-25 시즌에는 리누, 리켈메 등 기존 왼쪽 윙어 자원들이 워낙 부진해 그리즈만 대체 이외에도 왼쪽 윙 보강을 위해 사실상 모든 포지션 중 영입 1순위로 평가되고 있다. 아틀레티코는 7월에 클럽 월드컵을 위해 6월 특별 이적시장 기간에 바에나를 일찍 영입을 목표로 삼았다고 한다. 비야레알의 리그 마지막 경기 전 비야레알 회장이 이번 여름 바에나의 이적 가능성을 사실상 인정했고 바에나도 38R 경기 후 눈물을 흘린 것으로 보아 이적은 사실상 확정인 상태이다. 이후 다음날 아틀레티코 측 최고 공신력의 루벤 우리아가 바에나와 아틀레티코의 5년 계약이 임박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렇지만 세부 사항들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생각보다 시간을 소모하며, 결국 클럽 월드컵 조별 예선에 참가 기한은 넘기고 말았다. 이후 비야레알도 바에나의 대체자로 알베르토 몰레이로를 영입한 상황이라 바에나의 영입 자체는 확정된 걸로 보이지만, 장부 문제로 7월까지는 오피셜이 나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아틀레티코가 클럽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탈락 이후인 6월 27일, 드디어 Here we go!가 떴다. 7월 2일 오피셜이 나왔다.

* [영입 완료] 조니 카르도주 from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아틀레티코가 오랫동안 관찰했던 베티스의 6번 유망주 카르도주 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한편 카르도주의 경우 토트넘 홋스퍼 FC가 그의 영입에 대한 우선 협상권이 있다는 점이 변수로 꼽히지만, 선수는 토트넘보단 아틀레티코 이적을 더 긍정적으로 보는 상태이다. 이후 베티스와의 협상이 차차 진행되며 영입이 가까워졌다는 보도들이 나왔다. 그리고 6월 25일, Here we go!가 떴다. 다만 앞서 언급한 토트넘의 우선 협상권 만료 기간 이전까지는 오피셜을 띄우지 못해 미뤄졌다.[14] 이후 7월 16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로의 이적 오피셜이 발표되며 'Here We GO'가 뜬 지 약 한달 만에 영입이 완료됐다.
  • [영입설]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from 바이어 04 레버쿠젠: 마르코스 듀란의 보도로 팀내에서 지난 몇년 간 높이 평가 받는 자원이라고 알려졌으며 본인도 아틀레티코행을 꽤 선호한다고 한다. 특히나 선수의 에이전트는 일부 아틀레티코 선수들의 에이전트로서 팀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 [종료] 엔소 페르난데스 from 첼시 FC: 지난 시즌 겨울부터 꾸준하게 아틀레티코 쪽 언론에서 엔소 영입설을 밀어줬다. 실제로 아틀레티코 선수들도 엔소에게 아틀레티코 이적을 추천했지만, 엔소가 거절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엔소가 벤피카에서 첼시로 넘어올 때 상당한 이적료를 지불해 만약 엔소가 첼시를 떠나길 원한다 해도 첼시에서 요구하는 이적료를 모두 지불하기 어려워 보인다.
  • [종료] 하비 게라 from 발렌시아 CF: 지난 여름 영입 직전까지 갔다가 코너 갤러거 영입이 확정되어 영입이 아쉽게 무산된 게라의 영입을 다시 고려 중이다. 게라 역시 여전히 아틀레티코 이적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루벤 우리아에 따르면 하비 게라가 올 여름 발렌시아와의 재계약을 거부한다면 타팀에 매각은 확실하다고 보여진다. 특히 7월 이후에는 로드리고 데 파울이 인터 마이애미로 이적할 가능성이 높아져 데 파울의 대체자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다. 8월 9일, 발렌시아 CF와 2029년까지 재계약하면서 이적설 또한 종료되었다.
  • [종료] 엔조 미요 from VfB 슈투트가르트: 왼발 2선 자원 및 드리블러 보강을 위해 미요의 영입을 추진 중이다. 미요에게는 €20m의 바이아웃이 있지만 아틀레티코는 지불 방식에 대해 이점을 가져가기 위해 슈투트가르트 측에 €23m을 제시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미요가 8월 4일 사우디의 알 아흘리 SFC 이적이 유력해졌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사실상 영입전에서 밀리고 말았다. 8월 9일, 알 아흘리로 공식적으로 이적하였다.
  • [종료] 토마스 파티 from 아스날 FC: 2020-21 시즌 희대의 통수와 함께 아스날로 이적한 파티가 2025년 여름 FA로 풀려 아틀레티코 측에서 5년 만에 파티의 복귀를 추진 중이다. 다만 아스날 잔류를 두고 협상 중이라는 소식도 있어 6월 초 기준에선 조니 카르도주 영입에 집중함에 따라 복귀설이 잠잠해졌다. 이후 토마스 파티는 비야레알 CF로 합류하였다.
  • [종료] 로드리고 벤탄쿠르 from 토트넘 홋스퍼 FC: 아틀레티코의 6번 및 8번 보강 자원으로 벤탄쿠르가 언급된다. 다만 로메로와는 달리 잠잠해진 지 오래되었고, 카르도주 영입이 사실상 확정된 시점에서 보강할 다른 포지션들도 남아 영입할 이유도 없다.
  • [종료] 에데르송 from 아탈란타 BC: 지난 시즌에도 관심을 표시했던 선수였고, 이번 시즌에도 지켜본다고 한다. 다만 높은 이적료가 걸림돌이며 이적료를 낮추려고 노력한다고 한다. 이후 조니 카르도주가 영입됨에 따라 복귀설이 잠잠해졌다.

DF
* [영입 완료] 클레망 랑글레 from FC 바르셀로나: 2024-25 시즌 1년 임대 영입 후 기량이 크게 성장해 좋은 모습을 보여준 랑글레의 완전 영입을 추진 중이다. 1월에 이미 10+2m 유로로 합의를 마무리한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여름 이적시장에 가까워져 랑글레보다 한츠코, 로메로 등 다른 센터백 자원 영입을 우선해 랑글레 영입이 이뤄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아틀레티코가 7월에 클럽 월드컵을 치르고, 랑글레 역시 클럽 월드컵에 데리고 가려는 게 목표인데 현 라리가 규정상 임대 선수의 단기 연장이 불가능해 1년 재임대 혹은 랑글레의 바르샤 측과의 계약 해지 후 FA 이적설이 언급된다. 결국 랑글레가 잔여 연봉을 포기해 바르샤와의 2년 남은 계약 기간을 상호 해지하는 방식으로 합류가 유력해 바르샤 측 최고 공신력 중 하나인 제라르 모레노와 아틀레티코 측 최고 공신력 중 하나인 마테오 모레토 모두 랑글레가 2028년까지 아틀레티코와 계약을 맺는다고 전했다.
  • [영입 완료] 마테오 루제리 from 아탈란타 BC: 6월 26일, 뜬금없이 다비드 메디나, 파브리지오 로마노, 마테오 모레토 등 많은 기자들이 루제리 영입이 가까워졌다는 소식을 전했다. 로버트슨과 디뉴의 이적설이 잠잠해질 때 즈음 급물살을 타며, 양 팀이 매우 은밀한 협상을 진행한 것이 밝혀져 매우 빠르게 이적이 진행되었다. 20m 유로의 이적료로 이적이 성사될 것으로 보이며 메디컬 테스트가 예정되었다고 한다. 7월 2일 오피셜이 나왔다. 계약 기간은 2030년까지이며 이적료는 €17m+2m.
  • [영입 완료] 마르크 푸빌 from UD 알메리아: 아레소 영입이 허탕으로 끝나자 아틀레티코 측에서는 즉시 다른 타겟을 찾았고, 울버햄튼과 합의가 되었던 푸빌을 하이재킹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이러한 하이재킹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바로 아틀레티코 측에서 영입 합의 오피셜을 발표했다. 알마다 영입 방식과 유사하게 구단 간의 합의 완료 공개를 먼저 진행 한 후 메디컬 테스트 및 정식 계약서 서명의 절차를 거쳐 공식 발표를 할 예정이다. 7월 23일, 영입 공식 발표를 했다.
  • [영입 완료] 다비드 한츠코 from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지난 여름 영입에 실패했던 한츠코의 영입을 다시 고려하고 있으며, 특히나 로메로에 대한 관심 철회로 더욱 떠오른다. 그러나 페예노르트 측에서 여전히 €35m의 금액을 요구하며 사우디로 보내는 것을 선호해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었고 결국 한츠코가 알 나스르 이적에 동의하였기 때문에 한츠코 영입에 실패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마지막 순간 한츠코가 이적을 앞두고 이적 결정을 취소했다고 알려지며 오리무중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아틀레티코의 이적설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으며 이미 개인합의는 끝났다는 이야기도 있다. 7월 24일 새벽, 아틀레티코가 페예노르트와 한츠코 이적을 합의했다는 발표를 냈다. 곧 메디컬 테스트와 계약서 서명을 진행할 예정이다. 7월 24일,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 [영입 완료] 산티아고 무리뇨 from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알라베스로의 이적 후 크게 성장한 무리뇨의 재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현재 아틀레티코에게는 €3m의 바이백 조항이 있다. 7월말 들어서는 바이백 조항을 발동시켜 비야레알로 리셀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8월 1일, 바이백 조항을 발동했으며 본격적인 비야레알로의 재이적이 이뤄질 듯 하다.
  • [종료] 올렉산드르 진첸코 from 아스날 FC: 이적시장 막판 하비 갈란의 이적설이 나오는 것과 동시에 갈란을 대체할 레프트백과 코케의 노쇠화로 인해 추가 보강이 필요한 중앙 미드필더 자리 보강을 위해 두 포지션 모두 소화가 가능한 진첸코의 영입을 추진 중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갈란의 노팅엄 이적이 중단되었고 그 원인이 바로 진첸코의 노팅엄 임대 이적이었기 때문에 이 딜은 금방 종료되었다.
  • [종료] 헤나투 베이가 from 첼시 FC: 로메로 철수 이후 언급되는 또다른 센터백 후보군 중 하나로 지난 시즌 첼시와 유벤투스에서 뛰었던 베이가가 언급되었다. 로마노의 보도에 의하면 선수 측에선 이적을 원하고 있으며 첼시에선 €40m 가량의 이적료를 원하고 있다고 한다. 구단 간 협상이 긍정적으로 흘러가면서 AT 합류가 유력해지는 듯 했으나 갑자기 한츠코의 알 나스르 이적이 무산되면서 구단이 한츠코 영입 재도전에 나서면서 베이가의 이적 작업이 중단되었다.
  • [종료] 피에로 잉카피에 from 바이어 04 레버쿠젠: 로메로의 이적이 예상보다 늦어져 언급되는 영입 후보, 라리가 내에선 경쟁 구단이 없다고 해 만일 이적을 한다면 아틀레티코로 올 가능성이 높은 선수다. 다만 레버쿠젠 쪽에서는 바이아웃 금액인 €60m 가량의 이적료를 요구해 다수의 포지션에서 리빌딩이 필요한 아틀레티코는 부담스러운 이적료로 보인다. 이후 관심이 식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로메로 관심을 철회하며 재점화되고 있다. 하지만 AT는 한츠코 영입에 성공했기 때문에 잉카피에 영입전에서 철수했다.
  • [종료] 크리스티안 로메로 from 토트넘 홋스퍼 FC: 토트넘과의 계약이 2년 남은 로메로를 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토트넘에서는 58m 유로의 이적료를 요구하며 로메로 역시도 아틀레티코 이적을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훌리안을 비롯한 아틀레티코 소속의 아르헨티나 대표팀 동료, 그리고 시메오네 본인도 매일 전화하며 로메로의 이적을 설득한다고 한다. 한때 €55+10m의 가격으로 이적이 유력해졌다는 말도 있었지만 이후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되었다. 이후 레비 회장의 판매 불가 입장 고수로 아틀레티코는 관심을 철회했다고 보도되었다. 이후 로메로가 손흥민의 이적 이후 주장으로 임명되면서 이적설 또한 종료되었다.
  • [종료] 테오 에르난데스 from AC 밀란: 2025년 여름 팀을 떠날 것이 유력한 테오의 행선지는 당초에는 사우디가 유력했으나, 선수 본인이 사우디행을 극도로 꺼리며, 최악의 방식으로 떠났던 친정 아틀레티코에게 역오퍼했다는 이야기가 이탈리아 언론을 중심으로 나왔다. 6월 13일 새벽 테오의 아틀레티코 복귀 가능성이 정말 높아졌다는 기사들이 나왔지만 불과 몇 시간 뒤에는 구단 내부에서 반대 여론으로 이적이 성사되지 않는다는 보도들이 나왔다. 이후 테오도 결국 사우디 이적을 수용해 알 힐랄 SFC로의 이적 오피셜이 떴다.
  • [종료] 앤디 로버트슨 from 리버풀 FC: 밀로시 케르케즈가 리버풀로 이적한다면 자신의 입지가 좁아질 것을 예측한 로버트슨이 아틀레티코에 역오퍼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루벤 우리아 기자는 아틀레티코가 카라레스, 그리말도의 영입이 실패하면 로버트슨의 오퍼를 진지하게 들어본다고 예측한다. 당초 리버풀은 케르케즈를 영입해도 로버트슨을 로테이션 자원으로 쓰려 했으나, 로버트슨이 더 많은 출전 시간을 원해 아틀레티코 합류에 긍정적이라고 한다. 다만 이후 로마노의 보도로는 로버트슨과 구체적인 대화를 나누었지만, 아틀레티코가 소액의 이적료를 원해 이 점에서 어려웠다고 하며, 루제리 영입으로 선회해 로버트슨 영입은 끝이 났다고 한다.
  • [종료] 뤼카 디뉴 from 아스톤 빌라 FC: 로버트슨 영입 실패 시 차순위로 디뉴 영입을 추진한다고 한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루제리 영입으로 방향을 정한 듯한 모습을 보여 이적설은 끝날 것으로 보인다.
  • [종료] 알바로 카레라스 from SL 벤피카: 갈란의 백업이자 장기적 대체자 겸 헤이닐두를 대신할 레프트백 뎁스 보강용으로 벤피카의 풀백 유망주 카레라스 영입을 추진한다. 하지만 벤피카 측이 원하는 이적료가 적지 않고 이적 시 카레라스의 레알 마드리드 CF 복귀 가능성이 더 높다.
  • [종료] 미겔 구티에레스 from 지로나 FC: 원래 아틀레티코의 레프트백 영입 1순위는 카레라스였으나 카레라스의 경우 벤피카 측에서 요구하는 이적료도 너무 높고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바이백 조항 발동 가능성으로 사실상 포기한 상태라 지난 시즌부터 지로나에서 크게 주목을 받는 미겔로 선회한 모습이다. 하지만 미겔 역시 레알 마드리드 CF가 바이백 옵션을 가지고 레알 역시 레프트백 보강이 필요해 레알의 바이백 발동 여부가 가장 큰 변수가 될 듯하다.
  • [종료] 알레한드로 그리말도 from 바이어 04 레버쿠젠: 레버쿠젠의 핵심 레프트백 그리말도 영입을 고려한다고 한다. 그리말도의 경우 벤피카 시절부터 아틀레티코 이적설이 끊임없이 나왔던 선수이다. 그리말도 역시 샤비 알론소 감독의 이적으로 인해 시즌이 끝나고 자국 리그인 라리가에서 뛰고 싶다고 밝혀 이적을 암시했다. 다만 바르셀로나와의 링크도 존재하는 상황에 경쟁이 불가피하다.
  • [종료] 헤수스 아레소 from CA 오사수나: 당초에는 빌바오로의 이적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7월 중순부터 이적설이 다시금 많아지기 시작했다. 논EU 이슈로 나우엘 몰리나의 매각이 유력해져가고 있으며, 아레소는 그에 대한 대체자로서 갈수록 언론들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오사수나 측에서 빌바오의 상향 비드를 받아들였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빌바오행으로 기우는 것으로 보이는데, 루벤 우리아에 따르면 오사수나가 이미 아틀레티코와 합의를 마친 가운데 빌바오가 바이아웃을 내는 것이 아니라면 협상하지 않는다고 이야기가 되었으나 오사수나에서 이를 어긴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GK
* [영입 완료] 후안 무소 from 아탈란타 BC: 2024-25 시즌 팀의 세컨 키퍼로서 기대 이상의 활약을 펼쳤지만 완전 이적 시 이적료 지불 문제로 인해 다른 젊은 차기 주전급 키퍼 혹은 FA로 풀리는 키퍼를 영입하고 무소는 돌려보내는 듯 했으나 뜬금없이 클럽 월드컵을 앞두고 완전 이적이 성사되었다.
  • [종료] 왈테르 베니테스 from PSV 에인트호번: 지난 시즌 여름에도 오블락의 서브 자원으로 영입을 추진했으나 에인트호번과의 계약기간이 아직 1년 남아 이적료를 지불해야 했기에 무산되었다. 그러다가 2025년 여름 아틀레티코가 무소의 완전 이적을 포기하고 베니테스를 FA로 다시 노린다는 소식이 있다. 하지만 무소 완전 이적이 성사됨에 따라 베니테스는 아틀레티코가 아닌 EPL의 팰리스로 이적했다.
  • [종료] 레오 로만 from RCD 마요르카: 주안 가르시아의 영입이 사실상 무산된 5월 말부터 마요르카의 주전 키퍼 로만을 오블락의 백업으로 노린다는 소식이 늘어났다. 하지만 무소 완전 이적이 확정되어 오블락이 이적하지 않는 이상 로만의 아틀레티코 이적은 없을 것 같다.
  • [종료] 주안 가르시아 from RCD 에스파뇰: 오블락의 백업 겸 장기적인 대체자로 언급된다. 일단 후안 무소가 임대로 와서 매우 잘해주며, 완전 이적 가능성이 꽤 높지만 무소 역시 오블락과 나이대가 비슷한 선수가 후계자 역할이 될 수는 없어 장기적인 대체자로 가르시아를 노린다. 만약 무소도 함께 완전 이적을 한다면 아틀레티코는 가르시아를 영입함과 동시에 재임대를 고려한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이적설이 잠잠해졌고 이후 바르셀로나로의 오피셜이 뜨며 사가가 종료되었다.

4.6.2. 방출설

FW
* [방출 완료] 앙헬 코레아 to 티그레스 UANL: 계약이 2024-25 시즌 종료 후 1년 남은 가운데 재계약 작업이 잘 진행되지 않아 이번 여름 팀을 떠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멕시코의 티그레스가 지난 여름에 이어 이번 여름에도 코레아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며 리버 플레이트 소속의 프랑코 마스탄투오노 영입과 관련해서 이적료와 함께 스왑딜 형식으로 코레아가 언급된다. 리그 마지막 홈경기인 37R 베티스전에서 개인적으로 팬들에게 작별인사를 건네 이적이 유력해졌다. 단 보도들에 의하면 이적과 별개로 작별 인사는 구단과의 교감 없이 이뤄져 이에 대해 아틀레티코 측에서는 아직 공식적인 오퍼들이 오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이후 티그레스 쪽에서 정식 오퍼로 아틀레티코와 협상한다는 뉴스들이 나왔고 로마노 기자가 티그레스로 Here We go!를 띄우면서 이적이 유력해졌다. 7월 10일, 구단 공식 SNS를 통해 10년 만에 팀을 떠나 티그레스로 이적을 공식 발표했다.
  • [종료] 앙투안 그리즈만 to 로스앤젤레스 FC : 2024-25 시즌 노쇠화가 더욱 심해지면서 후반기 들어서는 공격의 영향력도 많이 줄었고 2025년 여름 MLS로 떠난다는 소식이 계속해서 나온다. 하지만 3월 27일을 기점으로 그리즈만이 2025-26 시즌에 잔류한다는 소식들이 나온다. 그리고 최근에는 연봉을 삭감하고 2년 재계약 이야기까지 나왔다. 이후 팀과 2027년까지 재계약하며 잔류가 확정되었다.

MF
* [방출 완료] 아르투르 베르미렌 to RB 라이프치히: 완전이적 옵션을 달고 임대를 떠났는데, 유명 기자들의 보도에 의하면 옵션 발동 조건을 갖추었다고 한다. 결국 지난 겨울 일찌감치 옵션이 발동되었고 7월 1일 공식적으로도 라이프치히 완전 이적이 성사되었다.
  • [방출 완료] 로드리고 리켈메 to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2024-25 시즌 매우 부진한 활약을 펼쳐 유스 출신의 로컬보이임에도 팀내 입지가 낮아졌고 결국 이번 여름 임대든 완전 이적이든 아틀레티코를 떠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한편 아틀레티코는 현재 비야레알 소속의 알렉스 바에나 영입을 추진 중인데 이 과정에서 리켈메를 보내 이적료를 깎는다고 한다. 하지만 2025년 6월 25일 기준으로는 비야레알보다는 베티스 이적이 더 가능성이 높아졌다. 6월 28일, 로마노 기자가 베티스행 Here We go! 기사로 이적이 유력해졌다. 7월 4일, 레알 베티스 발롬피에로 이적했다.
  • [방출 완료] 사울 니게스 to CR 플라멩구: 세비야 FC에서의 임대 계약이 종료됐고, 2026년 6월까지 계약 기간이 남았으나 알려진 바와 같이 아틀레티코와의 동행은 끝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트라브존스포르가 사울에 공식 제안을 하였고, 개인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선수와 아틀레티코는 상호 합의 하에 계약 해지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트라브존스포르로의 이적 성사 직전, 사울이 이적 취소를 결정하며 튀르키예행이 무산됐다. 계약 해지도 완료되지 않은 상황이며,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것이다. 대신 아틀레티코 동료였던 필리페 루이스가 감독으로 있는 브라질의 플라멩구 이적으로 선회했으며 바로 Here we go!까지 나왔다. 7월 24일 계약 해지 오피셜이 먼저 발표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플라멩구로의 이적 오피셜이 떴다.
  • [방출 완료] 사무엘 리누 to CR 플라멩구: 여러 프리미어리그 클럽들과 몇몇 포르투갈 클럽들이 그를 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노팅엄이나 울버햄튼이 구체적으로 언급된 팀이며, 팀은 €25m 정도의 금액이면 판매를 고려할 것이라고 한다. 프리미어리그로의 이적설이 잠잠해지자 브라질의 플라멩구로의 이적설이 떴으며, 플라멩구는 아틀레티코가 책정한 25m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로마노 기자의 HERE WE GO! 가 뜨면서 이적이 유력해졌다. 7월 30일, 공식적으로 CR 플라멩구로 이적했다.
  • [방출 완료] 로드리고 데 파울 to 인터 마이애미 CF: 이번 여름 이적시장 기준으로 계약이 1년 남아 재계약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구단과 데 파울 에이전트 사이가 좋지 않아 재계약 작업이 더딘 상황이며 재계약 조건에 급여 인상 요구를 포함해 팀에서는 재계약을 꺼린다. 이후 보도로는 아틀레티코는 이번 여름 매각, 계약 만료 때까지 기용, 재계약의 모든 가능성을 열었다고 한다. 이후 7월에는 MLS의 인터 마이애미 CF 이적설이 여러 유력지들에서 발생했는데, 결국 관건은 리오넬 메시의 재계약 여부라고 한다. 7월 26일 인터 마이애미로의 임대 이적이 발표되었다. 2025년 MLS 시즌 종료 후 완전 이적하는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 [방출 완료] 토마 르마 to 지로나 FC: 몇몇 프랑스 클럽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했으며 그 중 리옹이 가장 적극적이라고 한다. 현재 이적 가능성이 급상승하고 있는 티아고 알마다의 원소속팀인 보타포구 FR과 리옹이 같은 이글 풋볼 그룹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알마다 딜과 연관되어 있을 것이란 유추도 있다. 7월 25일에는 지로나 FC를 비롯한 몇몇 라리가 클럽이 르마 임대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7월 31일, 지로나 FC로의 1시즌 임대 이적이 공식적으로 발표됐다.
  • [방출설] 코너 갤러거 to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뉴캐슬 측에서 갤러거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보도가 이루어졌다. 아틀레티코 내에서는 갤러거의 첫 시즌에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으나, 확고한 주전 자원이 아니라는 점과 높은 급여 등을 고려했을 때 영입 금액에 육박하는 오퍼가 있다면 판매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DF
* [방출 완료] 헤이닐두 만다바 to 선덜랜드 AFC: 아스필리쿠에타, 비첼과 마찬가지로 헤이닐두 역시 2025년 여름 FA가 된다. 하지만 헤이닐두의 경우 여전히 재계약 가능성이 남아 아직 방출일지 잔류일지 결정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일단 프리미어리그의 노팅엄, 선덜랜드, 리즈가 영입에 관심을 보이며 터키와 사우디행 옵션도 있는 상태라고 한다. 최근에는 선덜랜드로의 이적 가능성이 높아졌고, 6월 30일,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나 선덜랜드 AFC로 합류하였다.
  • [방출 완료]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 to FA: 30대 중반의 고령의 나이지만 3백의 스토퍼와 4백의 레프트백, 라이트백을 가리지 않고 좋은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뛰어난 리더십으로 당초 2024년 후반만 해도 플레잉 코치 형식으로의 재계약이 유력했지만, 2025년에 상황이 바뀌어 이번 여름 재계약 없이 FA로 팀을 떠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6월 30일, 자유계약으로 팀을 떠났다.
  • [방출 완료] 악셀 비첼 to 지로나 FC: 지난 시즌 재계약 후 3년차 시즌을 맞이했지만 30대 중반의 나이로 인해 2024-25 시즌 노쇠화가 심하게 진행되며, 후반기 좀처럼 출전 기회를 받지 못하고 이번 여름 재계약 없이 FA로 내보낸다고 한다. 7월 1일, 자유 계약으로 팀을 떠났다. 이후 자유 계약으로 지로나 FC에 합류했다.
  • [방출 완료] 산티아고 무리뇨 to 비야레알 CF: 바이백 조항을 발동시켜 현재 센터백 영입이 매우 절실한 비야레알로 임대 혹은 리셀시킬 예정이라고 한다. 8월 1일, 바이백 조항을 발동했으며 본격적인 비야레알로의 재이적이 이뤄질 듯 하다. 8월 1일, 비야레알 CF로 이적하였다. 이적료는 €11M.
  • [방출설] 호세 히메네스 to 사우디 프로페셔널 리그 구단들: 사우디 구단들이 히메네스에 대해 경제적으로 상당히 좋은 오퍼들을 보냈다는 보도가 있어 히메네스 또한 떠난다는 데에 긍정도 하지 않았지만 부정도 딱히 하지 않아 상황을 좀 더 지켜보는 것으로 보였지만 6월 중순 시점에서 기자들의 말에 따르면 일단은 잔류에 가깝다고 한다.

GK
* [방출 완료] 호라치우 몰도반 to 레알 오비에도: 사수올로 임대를 끝낸 후, 여러 라리가 팀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으며 그 중 하나는 이번에 승격한 레알 오비에도이다. 이후 7월 18일, 레알 오비에도로의 임대 이적이 성사되었다.

4.7. 총평

여러모로 용두사미와 같은 이적시장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별 이적시장 당시 무영입의 여파로 인한 클럽 월드컵 조별리그 탈락이라는 참사 이후 아틀레티코는 공식 이적시장 개장 초반 마테오 루제리, 알렉스 바에나, 조니 카르도주, 다비드 한츠코, 마르크 푸빌, 티아고 알마다 등 빠르게 많은 영입을 성사시키며 팬들을 설레게 했으며 특히 한츠코, 푸빌, 알마다의 경우 타팀으로의 이적이 유력했지만 엠바고 속에서 물밑 작업을 진행하면서 뜬금없는 영입을 발표해 1일 1오피셜이라 평가할 정도로 이적시장 초반 분위기는 매우 좋았다.

영입생 중에서도 알마다는 유명한 아틀레티코 팬이라서 좋은 실력과 함께 충성심이 매우 좋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고 조니는 팀이 오랫동안 찾던 전문 6번 자원, 바에나는 약 1년 넘게 포스트 앙투안 그리즈만으로 노리던 자원, 한츠코 역시 1년 넘게 노렸으며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센터백-레프트백 멀티 자원이라는 점, 푸빌은 차기 주전 라이트백 자원이라는 점에서 극찬을 받았다.

다만, 루제리의 경우 전 시즌 아탈란타에서 워낙 부진해 주전 경쟁에서 밀려 실력적으로 의문을 품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지만 아직 젊고 싼 값에 영입했으며 감독이 수비수 육성에 강점을 둔 디에고 시메오네라서 향후 성장을 기대하는 영입이라 평가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럼에도 실력은 아직 빅클럽 주전감은 아니라는게 중론.

방출에 있어서도 초반에 사무엘 리누, 로드리고 데 파울, 로드리고 리켈메와 같이 실력적으로 애매한 자원들을 대거 이적시키면서 호평을 받았었다.

하지만 이적시장 막판 추가적인 센터백과 중원 보강 실패 및 나우엘 몰리나의 방출 실패, 중복 자원에 가까운 자코모 라스파도리 영입, 측면 전문 드리블러 영입 실패와 같은 삽질을 거듭하면서 평가가 급격하게 떨어졌다.

또한, 루제리가 우려와 같이 시즌 초반 팀 부진의 원흉이 되면서 영입 역시 잘 이뤄진게 맞나 의문을 품는 팬들도 생기기 시작했다.

이적시장 종료 직전 간신히 니콜라스 곤살레스 영입에 성공했지만 팀 전술에 필요한 크랙형 드리블러가 아니며 유벤투스 이적 후 너무 부진해 왜 영입했는지 모르겠다는 평가가 다수이다.

시즌 초반 2무 1패로 매우 좋지 않은 시즌 시작을 보내는 가운데 이적생들이 빠르게 적응해 팀의 부진을 끊어내는게 매우 중요해졌다.

5. 겨울 이적시장

5.1. 예상

5.1.1. 영입

5.1.2. 방출

5.2. IN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From. 포지션 국적 이적료

5.3. OUT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겨울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To. 포지션 국적 이적료

5.4. 오피셜

5.5. 재계약

5.6. 이적설

====# 영입설 #====
FW

MF

DF

GK

====# 방출설 #====
FW

MF

DF

GK

5.7. 총평

6. 예상 라인업

6.1. 전반기 예상 라인업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전반기 예상 라인업
(4-2-3-1)
ST
훌리안 알바레스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자코모 라스파도리
LM
티아고 알마다
카를로스 마르틴
CAM
알렉스 바에나
앙투안 그리즈만
RM
줄리아노 시메오네
니콜라스 곤살레스
LDM
조니 카르도주
코케 파일:주장 아이콘.svg
RDM
파블로 바리오스
코너 갤러거
LB
마테오 루제리
하비 갈란
LCB
다비드 한츠코
클레망 랑글레
RCB
로뱅 르노르망
호세 히메네스
RB
마르코스 요렌테
나우엘 몰리나
마르크 푸빌
GK
얀 오블락
후안 무소
살비 에스키벨

6.2. 후반기 예상 라인업

7. 프리 시즌

7.1. 친선 경기

7.1.1. VS 포르투 (원정, 1:0 패)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2025-26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프리 시즌 1경기
2025년 8월 4일 월요일 03:00(UTC+9)
이스타디우 두 드라강 (포르투갈, 포르투)
주심: 다비드 바키니 다 실바
관중: 49,227명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1 : 0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FC 포르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5+1' 빅토르 프로홀트 (A. 페페)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하이라이트
프리 시즌 1경기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호세 히메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바리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FC 포르투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 <colbgcolor=#fff,#000> 스코어 0
49% 점유율 51%
11 슈팅 4
4 유효슈팅 1
498 패스 횟수 520
90% 패스 성공률 87%
3 코너킥 1
0 오프사이드 1
18 파울 12
0/0 경고/퇴장 2/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프리 시즌 1경기 라인업
(4-4-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S
훌리안 알바레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S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라야네 벨라이드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4'
하노 몬세라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4'
LM
알렉스 바에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티아고 알마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LCM
코너 갤러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조니 카르도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CM
코케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타우픽 세이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M
줄리아노 시메오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카를로스 마르틴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LB
마테오 루제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하비 갈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LCB
클레망 랑글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다비드 한츠코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CB
로뱅 르노르망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마르크 푸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B
마르코스 요렌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나우엘 몰리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GK
얀 오블락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후안 무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SUB
후안 무소, 살비 에스키벨
나우엘 몰리나, 다비드 한츠코, 마르크 푸빌, 하비 갈란, 일리아스 코스티스
조니 카르도주, 하노 몬세라테, 타우픽 세이두, 라야네 벨라이드, 아이토르 히스메라
앙투안 그리즈만, 티아고 알마다, 카를로스 마르틴
}}} ||
  • 경기 전 예상
아틀레티코의 첫 프리 시즌 일정. 첫 프리 시즌 상대는 챔스 단골 상대인 포르투가 되었다.

한편, 포르투에는 사무 아게호와, 네우엔 페레스 등 아틀레티코 출신 선수들이 있는데 이들의 이적 후 처음 맞대결을 펼치게 되었다.

그리고 지난 7월 3일 디오구 조타의 안타까운 사고사와 관련해서 포르투와 아틀레티코 모두 조타의 친정팀인 만큼 경기 중 조타를 기리기 위한 추모식을 진행할 예정이고 양팀의 레전드인 파울루 푸트르라다멜 팔카오도 함께 참석할 예정이라고 한다.
  • 경기 결과
클럽 월드컵 조기 탈락 이후 실전 감각 부족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포르투에게 주도권을 내주었고 전반 막판 빅토르 프로홀트에게 실점을 허용하며 1:0 패배를 기록했다.

그나마 이번 이적 시장에서 영입한 티아고 알마다, 조니 카르도주, 알렉스 바에나는 데뷔전임에도 폼은 매우 좋았으며 센터백 듀오인 로뱅 르노르망클레망 랑글레는 폼이 많이 올라온 것은 다행이라고 볼 수 있다.

7.1.2. VS 라요 (홈, 1:1 무)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2025-26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프리 시즌 2경기
2025년 8월 7일 목요일 04:00(UTC+9)
에스타디오 세로 델 에스피노 (스페인, 마드리드)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1 : 1
파일:라요 바예카노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요 바예카노
14' 앙투안 그리즈만 (A. 코케) 파일:득점 아이콘.svg 8' 호르헤 데프루토스
프리 시즌 2경기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호세 히메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바리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프리 시즌 2경기 라인업
(4-4-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S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득점 아이콘.svg 14'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티아고 알마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RS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훌리안 알바레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LM
하노 몬세라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알렉스 바에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LCM
코케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도움 아이콘.svg 14'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조니 카르도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RCM
타우픽 세이두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코너 갤러거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RM
카를로스 마르틴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줄리아노 시메오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LB
하비 갈란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마테오 루제리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LCB
클레망 랑글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다비드 한츠코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RCB
마르크 푸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로뱅 르노르망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RB
나우엘 몰리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마르코스 요렌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GK
후안 무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얀 오블락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SUB
얀 오블락
마테오 루제리, 다비드 한츠코, 마르크 푸빌, 하비 갈란, 일리아스 코스티스
코너 갤러거, 조니 카르도주, 알렉스 바에나, 마르코스 요렌테
훌리안 알바레스, 티아고 알마다, 카를로스 마르틴
}}} ||
  • 경기 전 예상
아틀레티코의 2번째 프리 시즌 일정. 이번 프리 시즌 상대는 라리가 경쟁팀인 라요 바예카노가 되었다. 한편, 이 경기는 기존의 프리 시즌 매치와 다르게 비공개로 치러질 예정이다.
  • 경기 결과
상술한바와 같이 비공개 친선경기로 펼쳐졌으며 데프루토스에게 선제골을 먹혔지만 그리즈만의 동점골로 무승부를 거뒀다.

전술적인 실험도 진행했는데 전반은 기존의 4-4-2로 진행한 반면에 후반 60분 선수들 교체 후에는 4-1-4-1로 전술을 변경해 남은 시간을 소화했다.

7.2. 셀라컵

7.2.1. VS 뉴캐슬 (원정, 0:2 승)

파일:sela 로고.svg
2025 셀라컵
2025년 8월 10일 일요일 00:00(UTC+9)
세인트 제임스 파크 (잉글랜드, 타인 위어)
주심: 재러드 질레트
관중: 50,000명
파일: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0 : 2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 50' 훌리안 알바레스 (A. 알렉스 바에나)
63' 앙투안 그리즈만 (A.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매치 리포트 | 하이라이트
프리시즌 3경기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호세 히메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8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바리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파일:sela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 <colbgcolor=#fff,#000> 스코어 2
54% 점유율 46%
7 슈팅 10
2 유효슈팅 5
470 패스 횟수 407
88% 패스 성공률 85%
3 코너킥 7
1 오프사이드 4
11 파울 20
0/0 경고/퇴장 2/0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셀라컵 라인업
(4-2-3-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ST
훌리안 알바레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50'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파일:도움 아이콘.svg 63'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LM
알렉스 바에나 파일:도움 아이콘.svg 50'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득점 아이콘.svg 63'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CAM
티아고 알마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하노 몬세라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RM
줄리아노 시메오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카를로스 마르틴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LDM
코너 갤러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코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RDM
조니 카르도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타우픽 세이두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LB
마테오 루제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하비 갈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LCB
다비드 한츠코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클레망 랑글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RCB
로뱅 르노르망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마르크 푸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RB
마르코스 요렌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나우엘 몰리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GK
얀 오블락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후안 무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SUB
후안 무소, 마리오 데 루이스
클레망 랑글레, 나우엘 몰리나, 마르크 푸빌, 하비 갈란
코케, 하노 몬세라테, 타우픽 세이두, 아이토르 히스메라
앙투안 그리즈만,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카를로스 마르틴, 마리아노 비야파필라
}}} ||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캐스터 해설
윤장현 김오성

  • 경기 전 예상
아틀레티코의 3번째이자 마지막 프리 시즌 일정으로 이번 프리 시즌 성적 및 분위기가 좋지 않은 뉴캐슬을 상대로 프리 시즌 첫 승에 나선다.

이 경기는 셀라컵이라는 이름의 프리 시즌 컵대회로 아틀레티코는 이 경기에서 승리할 경우 우승 트로피를 획득하게 된다.

한편, 뉴캐슬은 이미 오전에 에스파뇰과 경기를 치른 후 약 16시간 30분만에 다시 한 번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댄 번, 제이콥 머피,
  • 경기 결과
라인업 자체는 4-4-2로 소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알렉스 바에나는 왼쪽 윙, 티아고 알마다는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 훌리안 알바레스가 원톱을 보는 4-2-3-1로 경기를 운영했다.

전반에는 마르코스 요렌테를 활용한 우측 위주의 공격을 전개했지만 잘 풀리지 않았으며 오히려 뉴캐슬이 우측 윙어 안토니 엘랑가를 활용해 아틀레티코의 좌측면을 자주 괴롭혔으며 조엘린통에게만 전반에 헤더 3개를 허용하는 등 제공권에서 열세인 모습을 자주 노출하는 등 쉽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

후반에는 시작 5분만에 알마다에게서 시작된 역습 상황에서 훌리안의 좋지 못한 패스가 있었음에도 바에나가 이를 살려내 훌리안의 득점까지 어시스트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선제골을 기록했다.

후반 16분에는 선발 출전했던 선수들을 전부 제외하고 벤치 명단 13명 중 11명을 전부 교체 투입했다.

2분 뒤에는 앙투안 그리즈만알렉산데르 쇠를로트의 패스를 받아 반박자 빠른 타이밍을 활용해 추가골을 기록했다.

이후 양팀 모두 추가적인 득점없이 남은 시간이 지나면서 2:0 아틀레티코의 승리로 끝났다. 이 경기를 통해 아틀레티코는 프리시즌 첫 승을 거뒀다.

이 경기에서 가장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는 다름아닌 다비드 한츠코였다. 61분 동안 7번의 걷어내기를 기록했으며 공격 쪽에서도 PK를 직접 얻어낼 뻔하는 등 엄청난 오버래핑도 보여줬으며 5번 중 3번의 롱패스 성공을 포함해 총 39회 패스 시도 중 36회의 패스 성공을 기록하며 공수 모두 뛰어난 활약을 기록했다.

중원의 코너 갤러거, 조니 카르도주 듀오도 괜찮은 모습을 보여줬다.

반면, 아쉬웠던 선수는 마테오 루제리였다. 지난 포르투전과 달리 이날은 전반 내내 엘랑가에게 뻥뻥 뚫리는 불안한 수비를 계속해서 보여줬다.

교체 출전했던 선수들 중에서는 B팀 소속의 타우픽 세이두가 인상 깊은 모습을 보여주며 팬들의 주목을 받았다.

8. 정규 시즌

8.1.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가로형).svg 라리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5-26 시즌/리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5-26 시즌/리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2025-26 시즌/리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rowcolor=#fff,#fff> 포트 1 상대 포트 2 상대
원정 원정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인테르
(INTER)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리버풀
(Liverpool)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Frankfurt)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Arsenal)
<rowcolor=#fff,#fff> 포트 3 상대 포트 4 상대
원정 원정
파일:FK 보되/글림트 로고.svg 보되 글림트
(Bodø/Glimt)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에인트호번
(PSV)
파일: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로고.svg 로얄 위니옹 SG
(USG)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Galatasaray)
지난 시즌부터 개편된 새로운 포멧에 따라 UEFA 챔피언스 리그가 열리는 두 번째 시즌.

지난 시즌과 같이 리그 페이즈 상대 클럽에 대한 추첨과 확정은 두 개의 제약 조건 하에 이루어졌으며 뮌헨은 같은 독일 클럽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과 중계 페어링으로 묶였기에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는 중부 유럽 표준시 기준 같은 날에 경기할 수 없다. 다른 독일 클럽인 바이어 04 레버쿠젠아인트라흐트 프랑쿠푸르트와 중계 페어링. 제약 조건은 다음과 같다.
제약 조건 1. 같은 협회(국가) 소속 클럽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없다.
ex) ATM은 같은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RFEF)에 속하는 FC 바르셀로나, 레알 마드리드 C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틀레틱 클루브, 비야레알 CF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없다.


제약 조건 2. 매치 상대로 만나는 특정 협회(국가) 소속 클럽은 최대 2클럽까지 가능하다.
ex) ATM은 같은 축구협회(FA)에 속하는 리버풀 FC, 맨체스터 시티 FC, 아스날 FC, 토트넘 홋스퍼 FC,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중 최대 2팀까지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 만날 수 있다.
위의 제약조건 하에 리그 페이즈 8경기를 소화하고 1~8위는 16강전에 직행하며 9위~24위까지는 플레이오프 방식을 통해 나머지 8팀을 가리게 된다.
리그 페이즈 9위 또는 10위 팀이 23위 또는 24위 팀과 경기를 갖으며 11~12위 팀은 21~22위 팀과 홈 & 어웨이 방식으로 16강 진출을 위한 플레이오프를 거치는 방식.

또한 이러한 방식에 의해 16강 플레이오프에서 만나는 두 팀의 리그 페이즈 합산 순위 조합은 32위, 33위 또는 34위만이 가능하며 이 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지난 시즌부터 변경된 UEFA 클럽 계수 산정 방식은 기존의 챔피언스 리그 체제에서보다 더욱 많은 포인트를 얻도록 설계된 바 있는데 이는 이전 조별 리그를 대체하는 리그 페이즈에서의 경기 수가 이전보다 증가하였으며 기본 획득 포인트의 증가 및 리그 페이즈 순위에 따른 추가 부여 포인트의 생성으로 풀이된다.

8.2.1. 리그 페이즈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 리그 페이즈
포트 1 포트 1 상대 포트 2 상대 포트 3 상대 포트 4 상대
<colbgcolor=#0232ff><rowcolor=#fff> <colbgcolor=#00008B> 원정 <colbgcolor=#0232ff> <colbgcolor=#00008B> 원정 <colbgcolor=#0232ff> <colbgcolor=#00008B> 원정 <colbgcolor=#0232ff> <colbgcolor=#00008B> 원정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인테르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리버풀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프랑크푸르트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파일:FK 보되/글림트 로고.svg
보되 글림트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PSV
파일: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 로고.svg
로얄 위니옹 SG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2025년 8월 29일(한국 시간대 기준) 모나코의 그리말디 포럼에서 이번 시즌 UCL 리그 페이즈 단계에서의 추첨식이 진행되었으며 ATM은 1포트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리버풀 FC, 2포트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아스날 FC를 상대하게 되었다.

인테르와의 경기는 홈 경기이며 리버풀 상대로는 원정을 떠나야 하는 일정이며 2포트에서는 아스날 FC를 상대로 원정에 나선다.

또한 3포트에서는 FK 보되/글림트PSV 에인트호번을 상대하게 되었으며 4포트에서는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갈라타사라이 SK를 상대하게 되었다. 3포트의 스포르팅 CP와의 경기는 홈 경기이며 4포트에서는 이번 시즌 창단 후 처음 챔피언스 리그 무대에 나서는 팀인 벨기에의 로얄 위니옹 생질루아즈와 튀르키예의 전통의 강호 갈라타사라이 SK를 상대하는데 과는 홈 경기를 치르고 갈라타사라이를 상대로는 원정에 나서는 일정.

이번 시즌 ATM은 잉글랜드 클럽과 각각 2경기를 갖게 되었는데 공교롭게도 그 2경기 모두 원정 경기가 되었다.
UEFA 측에 이번 시즌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할 명단을 제출하였으며 팀그로운 4인 문제 때문인지 해당 명단에는 사실상 전력 외로 포함된 카를로스 마르틴도 포함됨에 따라 현재 1군에 등록된 24명이 모두 포함되었고 남은 한 자리는 2군 소속의 마리오 데 루이스를 등록함에 따라 25명의 엔트리를 모두 채웠다.

클럽 훈련 선수협회 훈련 선수의 개념은 다음과 같으며 ATM은 다음과 같은 충족 요건을 갖추며 엔트리 25명을 UEFA에 등록하였다.
《UEFA 챔피언스 리그 규정》中 UEFA 챔피언스 리그 규정 참고

31조 04항
어떤 클럽도 시즌 동안 A 목록[16]25명을 초과하여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최소 8자리는 "지역 훈련 선수" 전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어떤 클럽도 A 목록에 있는 이 8자리에 4명을 초과하여 "협회 훈련 선수"를 등록할 수 없습니다. A 목록에는 "지역 훈련" 자격을 갖춘 선수와 "클럽 훈련" 또는 "협회 훈련" 여부를 명시해야 합니다.

31조 05항
"지역에서 훈련받은 선수"(lokal ausgebildeter Spieler, 영어식 표현으로는 locally trained player이며 이른바 홈 그로운 충족 선수를 말한다.)는 "클럽에서 훈련받은 선수"[17]이거나 "협회에서 훈련을 받은 선수"[18]입니다.
ATM의 클럽 훈련 선수 충족 명단
= 호세 히메네스, 코케, 파블로 바리오스, 카를로스 마르틴, 줄리아노 시메오네 (이상 5명)


ATM의 협회 훈련 선수 충족 명단
= 앙투안 그리즈만, 알렉스 바에나, 마르코스 요렌테, 마르코 푸빌, 하비 갈란, 마리오 데 루이스 (이상 6명)
<colbgcolor=#D00032><colcolor=#ff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명단(A)
GK (3명) 1 후안 무소13 얀 오블락33 마리오 데 루이스
DF (8명) 2 호세 히메네스3 마테오 루제리15 클레망 랑글레16 나우엘 몰리나
17 다비드 한츠코18 마르크 푸빌21 하비 갈란24 로뱅 르노르망
MF (8명) 4 코너 갤러거5 조니 카르도주6 코케8 파블로 바리오스10 알렉스 바에나
11 티아고 알마다12 카를로스 마르틴14 마르코스 요렌테
FW (6명) 7 앙투안 그리즈만9 알렉산데르 쇠를로트19 훌리안 알바레스20 줄리아노 시메오네
22 자코모 라스파도리23 니콜라스 곤살레스
8.2.1.1. MD1 vs 리버풀 (원정, 3:2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1
2025년 9월 18일 목요일 04:00(UTC+9)
안필드 (잉글랜드, 리버풀)
주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우리치오 마리아니
관중: 59,057명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화이트).svg
3 : 2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리버풀 FC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4' 앤디 로버트슨 (A. 모하메드 살라)
6' 모하메드 살라 (A.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90+2' 버질 반 다이크 (A.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파일:득점 아이콘.svg 45+3' 마르코스 요렌테 (A. 자코모 라스파도리)
81' 마르코스 요렌테
<rowcolor=#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90+3' 디에고 시메오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버질 반 다이크
UCL 리그 페이즈 MD1 결장 선수
<rowcolor=#fff,#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 DF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호세 히메네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5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조니 카르도주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0 MF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렉스 바에나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1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티아고 알마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9 FW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훌리안 알바레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리버풀 FC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colbgcolor=#00008B> 스코어 2
56% 점유율 44%
20 슈팅 10
6 유효슈팅 4
605 패스 횟수 473
90% 패스 성공률 86%
7 코너킥 6
1 오프사이드 2
7 파울 9
1/0 경고/퇴장 3/1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UCL 리그 페이즈 MD1 라인업
(4-4-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LS
자코모 라스파도리 파일:도움 아이콘.svg 45+3'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52'
코케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52'
RS
앙투안 그리즈만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LM
니콜라스 곤살레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7'
마르크 푸빌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7'
LCM
코너 갤러거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나우엘 몰리나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RCM
파블로 바리오스
RM
줄리아노 시메오네
LB
하비 갈란
LCB
클레망 랑글레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RCB
로뱅 르노르망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RB
마르코스 요렌테 파일:득점 아이콘.svg 45+3', 81'
GK
얀 오블락 파일:주장 아이콘.svg
SUB
후안 무소, 살비 에스키벨
마테오 루제리, 나우엘 몰리나, 다비드 한츠코, 마르크 푸빌
코케, 타우픽 세이두, 라야네 벨라이드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카를로스 마르틴
}}} ||
파일:SPOTV 로고.svg
캐스터 해설
이연직 최원근

* 경기 프리뷰
1차전부터 강력한 우승 후보라고 할 수 있는 리버풀을 만나고 말았다.

가뜩이나 어려운 상대인데 아틀레티코는 리버풀전을 앞두고 부상 병동 상황에 빠지고 말았다. A매치 주간과 리그 4R 비야레알전 사이에만 주전 선수 5명이 추가로 부상을 당하면서 리버풀전 출전이 불투명해진 것이다.

그나마 수비의 핵심인 다비드 한츠코, 로뱅 르노르망은 큰 부상이 아니었는지 리버풀 원정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주포이자 에이스인 훌리안 알바레스, 그리고 훈련 중 부상을 당한 조니 카르도주는 결국 명단 제외되며 최전방과 중원에 큰 비상이 걸리고 말았다.
* 경기 결과
2021-22 시즌에 홈에서 만났던 경기처럼 경기 시작 10분도 지나지 않아서 무려 두 골이나 먹혔고, 2019-20 시즌에 원정에서 만났던 경기처럼 마르코스 요렌테가 45분과 81분에 멀티골을 넣으며 동점을 만드는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90+2분에 나온 버질 반 다이크의 결승골로 패배하고 말았다.
8.2.1.2. MD2 vs 프랑크푸르트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2
2025년 10월 1일 수요일 04:00(UTC+9)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스페인, 마드리드)
주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라브코 빈치치
관중: N/A명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 : -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흑색).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 경기 프리뷰
리그 페이즈 2번째 상대는 독일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이다.

프랑크푸르트는 아틀레티코가 체급으로 밀리는 상대는 아니기 때문에 리그 2연승의 좋은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

상대는 직전 경기에서 강등권이긴 하지만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상대로 전반전에만 6골을 퍼붓는 강력한 공격력을 보였기 때문에 수비 조직력이 아직 좋지 못한 아틀레티코는 이번 경기 대비를 착실히 할 필요가 있다.

다만 6골을 넣은 것과는 별개로 후반전에 내리 4골을 실점했기 때문에 현재 좋은 폼을 보이고 있는 아틀레티코 공격진의 활약을 기대해 봐도 좋을 것이다.
  • 경기 결과
8.2.1.3. MD3 vs 아스날 (원정,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3
2025년 10월 X일 X요일 XX:XX (UTC+9)
아스날 스타디움 (잉글랜드, 런던)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2.1.4. MD4 vs 위니옹 SG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4
2025년 11월 X일 X요일 XX:XX (UTC+9)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스페인, 마드리드)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2.1.5. MD5 vs 인테르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5
2025년 11월 X일 X요일 XX:XX (UTC+9)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스페인, 마드리드)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2.1.6. MD6 vs PSV (원정,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6
2025년 12월 X일 X요일 XX:XX (UTC+9)
PSV 스타디온 (네덜란드, 에인트호번)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2.1.7. MD7 vs 갈라타사라이 (원정,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7
2026년 X월 X일 X요일 XX:XX (UTC+9)
알리 사미 옌 스포르 콤플렉시 (튀르키예, 이스탄불)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2.1.8. MD8 vs 보되/글림트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5-26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8
2026년 X월 X일 X요일 XX:XX (UTC+9)
에스타디오 메트로폴리타노 (스페인, 마드리드)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N/A명
파일:미정.svg - : - 파일:미정.svg
미정 미정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8.3. 파일:코파 델 레이 로고.svg파일:코파 델 레이 화이트 로고.svg 코파 델 레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26 코파 델 레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26 코파 델 레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26 코파 델 레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3.1. 32강 VS 미정

8.4.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8.4.1. 4강 VS 레알 마드리드 (중립, -:-)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202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Real Madrid CF)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Atlético Madrid)

파일:Supercopa-de-España-RFEF.svg파일: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화이트 로고.svg
2025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4강전
2026. XX. XX.(x) 00:00(UTC+9)
(-)
주심:
관중: 명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 : -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HOME).svg
레알 마드리드 C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 -
매치 리포트 | 경기 하이라이트
King of the Match:

9. 시즌 기록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이달의 선수
날짜 이름 포지션 국적
2025년 8월 다비드 한츠코 D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2025년 9월
2025년 10월
2025년 11월
2025년 12월
2026년 1월
2026년 2월
2026년 3월
2026년 4월
올해의 선수

10. 시즌 총평

10.1. 전반기

10.2. 후반기


[옵션] 완전 이적 옵션 포함[옵션] 완전 이적 옵션 포함[3] 옵션 발동 시 €4M[4] 옵션 발동 시 €20M[5] 옵션 발동 시 €50M[6] 옵션 발동 시 €32M[7] 옵션 발동 시 €20M[8] 옵션 발동 시 €30M[9] 바이백 조항 발동[10] 옵션 발동 시 €26M[11] 임대료 €1+1M, 특정 조건 충족 시 의무 이적 €32M[12] 옵션 발동 시 €10M[13] 옵션 발동 시 €27M[14] 반대로 비슷한 시기에 보도가 발생한 로드리고 리켈메의 베티스 이적은 이미 공식 발표가 났다.[15] 보도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 아틀레티코의 논EU 쿼터를 차지하는 선수들은 티아고 알마다, 사무엘 리누, 나우엘 몰리나, 코너 갤러거 등이며 논EU는 세 자리까지 허용된다.[16] 최초 등록하는 UEFA 챔피언스 리그, UEFA 유로파 리그 또는 UEFA 컨퍼런스 리그의 출전 명단을 말한다. 이후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하면 명단을 바꾸어 등록이 가능하다.(B 목록)[17] ATM에서 유스팀을 포함, 15세~21세 중 3시즌 이상을 충족하는 선수를 말한다. 단, 15세~21세를 도과하는 중 시즌이 시작하거나 종료되는 경우 해당 시즌은 요건 충족 기간에 산입.[18]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외의 다른 스페인의 축구 클럽을 말한다. 연령 및 시즌 기준은 ATM의 경우와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