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J. 무소 · 2 J. M. 히메네스 10 알렉스 B. · 11 알마다 18 마르크 푸빌 · 19 J. 알바레스 · 20 줄리아노 · 21 하비 갈란 · 22 라스파도리 · 23 니코 · 24 르노르망 | ||||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No. 15 | |||||||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 |||||||
본명 | 클레망 니콜라 로랑 랑글레[1] Clément Nicolas Laurent Lenglet | ||||||
출생 | 1995년 6월 17일 ([age(1995-06-17)]세) | ||||||
오드프랑스 레지옹 우아즈 보베 | |||||||
국적 |
| ||||||
신체 | 키 186cm / 체중 81kg[2] | ||||||
포지션 | 센터백 | ||||||
주발 | 왼발 | ||||||
소속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 유스 | 몽쉐브레유 (2001~2007) US 샹티이 (2007~2010) AS 낭시 (2010~2013) | |||||
프로 | AS 낭시 B (2013~2014) AS 낭시 (2014~2017) 세비야 FC (2017~2018) FC 바르셀로나 (2018~2025) → 토트넘 홋스퍼 FC (2022~2023 / 임대) → 아스톤 빌라 FC (2023~2024 / 임대)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4~2025 / 임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 ) | ||||||
국가대표 | 16경기 1골 (프랑스 / 2019~ ) | ||||||
링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00032,#d00032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00032,#d00032><colcolor=#fff,#fff> 역대 등번호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5번[3], 19번 AS 낭시 - 2번 세비야 FC - 5번 FC 바르셀로나 - 12번, 15번 토트넘 홋스퍼 FC - 34번 아스톤 빌라 FC - 17번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15번 | |||||
가족 | 배우자 에스텔 랑글레 아버지 세바스티앙 랑글레 남동생 코랑탱 랑글레[4] | ||||||
종교 | 기독교 | ||||||
에이전트 |
1. 개요
프랑스 국적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클레망 랑글레/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클레망 랑글레/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국가대표 경력
2019년에 바르셀로나에서 사뮈엘 움티티를 밀어내고 주전을 차지하자 국가대표팀에서도 주전 자리를 차지해 라파엘 바란의 파트너로 꾸준히 기용되었다. 허나, 2020-21 시즌 안 좋은 폼을 보여주면서 프레스넬 킴펨베에게 주전 자리를 내주었고, 다요 우파메카노도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에 입지에 위기가 찾아왔다.이후 2020-21 시즌에 최악의 시즌을 보냈음에도, 우파메카노 또한 폼이 떨어졌고, 왼발잡이 센터백이라는 희소성 덕분에 UEFA 유로 2020에는 다요 우파메카노를 제치고 명단에 승선하는 데에 성공했다.[6]
유로 2020 조별리그 3경기에서는 벤치를 지켰으나 수비진의 줄부상으로 인해 스위스와의 16강전에서는 3백의 중앙 수비수로 선발 출전했다. 하지만 전반 15분 하리스 세페로비치가 골문 바로 앞에서 서전트 점프 후 헤더 슈팅을 할때 어떠한 제지도 하지 못하면서 손쉽게 선제 실점을 허용하는 데 원흉이 되었고 결국 하프타임에 프랑스 선수 중 첫 번째로 교체 아웃되었다. 그리고 프랑스는...
2021년 9월, 월드컵 예선에서는 명단에 제외되었지만 우파메카노가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대체 발탁되었다.
2021년 11월, 월드컵 예선에서도 제외되었지만 킴펨베가 부상으로 하차하면서 다시 대체 발탁되었다.
2022-23 시즌 토트넘으로 임대 이적 후 나쁘지 않은 폼을 보여주면서 2022 카타르 월드컵 승선에도 기대를 모았지만 결국 쟁쟁한 후보들에게 밀려 최종 명단에 들지 못했다.
2024-25 시즌 아틀레티코로 임대 이적 후 폼을 완벽하게 회복하면서 다시 대표팀에 복귀할 가능성이 생겼다.
결국 2025년 6월 A매치 명단에 포함되면서 2021년 11월 이후 3년 7개월만에 프랑스 대표팀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네이션스 리그 4강 스페인전에서 끔찍한 모습으로 팀의 실점에 여러차례 관여하였고 결국 후반전에 교체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랑글레는 리가에서 수위급 센터백으로 주목받던 세비야 시절부터 후방에서 부드러운 빌드업 전개 능력으로 각광받는 볼 플레잉 센터백이다. 현대 축구에서 귀하게 여겨지는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왼발을 이용해 양질의 전진패스를 뿌려준다. 전진패스에 있어서는 바르셀로나의 어느 자원들과 겨루어도 꿀리지 않는 패싱력을 과시하며, 장단패스를 가리지 않고 전방으로 정확하게 배급해줄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랑글레가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했을 때에는 세르히오 부스케츠, 제라르 피케와 함께 팀내에서 90분당 가장 많은 롱패스를 성공시켰을 정도.[7] 이후 이적한 토트넘이나 빌라에서도 기존의 센터백 자원들과는 결이 다른 빌드업 능력을 선보였으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도 패스를 줘야하는 상황에서의 정확한 구질, 빠른 판단을 바탕으로 알레띠의 게임 템포를 살려주는 장단패스를 찔러준다.그러나, 랑글레는 빌드업 능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치에 있어서는 아쉬움이 남거나 제약이 존재한다는 평가를 받는데, 그 단점들이 상당히 치명적으로 작용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점은 바로 주력. 랑글레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 중 하나로, 그의 느린 발과 둔한 움직임으로 인해 랑글레를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수비 라인을 높게 가져갈 수 없다는 제약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높은 수비라인을 구축한 후 상대를 가둬놓고 하프라인부터 빌드업을 전개하는 바르셀로나 시절에는 랑글레가 자주 공략당하는 모습을 보였다. 랑글레가 준수한 활약을 선보였던 토트넘에서는 안토니오 콘테의 낮은 수비라인과 3백 체제가 더해지면서 랑글레가 커버해야 할 수비 범위가 줄어들자, 뛰어난 활약을 선보인 전적이 있다. 현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도 시메오네의 높지 않는 수비라인 덕분에 랑글레의 수비 커버 범위가 줄어들며 실수도 덩달아 줄어들고 있다.
랑글레는 수비 상황에서 손을 쓰는 수비를 시도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불필요한 파울을 저지르면서 많은 양의 경고와 카드를 수집한다. 단순히 카드를 많이 받는다 수준이 아니라 뜬금없이 불필요한 파울을 저질러 경기를 던져버린다. 경고를 한 장 받은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거칠게 플레이하다 퇴장당하거나 클리어링 과정에서 걷어차듯 발을 높이 들어올려 PK를 헌납하는 등 본인의 도전적인 성향을 전혀 억제하지 못하는 듯한 모습이 너무나 많이 나온다. 이러한 성향이 느린 주력과 더해져 치명적인 실수로 실점의 빌미에는 랑글레가 깊게 관여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잘 하고 있어도 항상 시한폭탄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8]
그리고 제공권 능력도 생각보다 좋은 편이 아니다. 좋은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나 일단 아라우호와 피케에 비해 공중볼 경합 능력이 떨어지는 것은 확실하다.[9] 세트피스에서 위협적인 선수라는 인식이 있지만 바르셀로나에서 주전으로 활약한 두세 시즌 동안 머리로 넣은 골은 4골이 전부며, 심지어 2021-22 시즌엔 출장 수가 많진 않지만 39%에 불과한 승리율을 기록하며 제공권에 큰 의문부호가 달리게 되었다. 작은 공격수들을 상대할 때는 당연히 이런 약점이 잘 드러나지 않지만 장신에 건장한 체격을 가진 타겟맨들을 만나면 바로 몸싸움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10] 그래도 토트넘에선 이 부분이 많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 게, 코너킥 상황 헤더를 자주 따냈고 마르세유와의 챔스 경기에서 헤더로 동점골을 넣기도 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 FC 바르셀로나 (2018~2025)
- 라리가: 2018-19
- 코파 델 레이: 2020-21
- 수페르코파 데 에스파냐: 2018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 UEFA 네이션스 리그: 2020-21
4.2. 개인 수상
5. 여담
- 그의 남동생도 축구 선수 출신이다.
- 2023년 4월, 개발 중인 축구 게임인 'Goals' 투자 기금에 참여했다.
6. 같이 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스쿼드 | ||||
1 | 2 (3C) | 3 | 4 | 5 | |
후안 무소 Juan Musso 1994.05.06 ([age(1994-05-06)]) 2025~2028 | 호세 히메네스 José María Giménez 1995.01.20 ([age(1995-01-20)]) 2013~2028 | 마테오 루제리 Matteo Ruggeri 2002.07.11 ([age(2002-07-11)]) 2025~2030 | 코너 갤러거 Conor Gallagher 2000.02.06 ([age(2000-02-06)]) 2024~2029 | 조니 카르도주 Johnny Cardoso 2001.09.20 ([age(2001-09-20)]) 2025~2030 | |
6 (C) | 7 | 8 | 9 | 10 | |
코케 Koke 1992.01.08 ([age(1992-01-08)]) 2009~2026 | 앙투안 그리즈만 Antoine Griezmann 1991.03.21 ([age(1991-03-21)]) 2022~2027 | 파블로 바리오스 Pablo Barrios 2003.06.15 ([age(2003-06-15)]) 2022~2030 |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Alexander Sørloth 1995.12.05 ([age(1995-12-05)]) 2024~2028 |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2001.07.20 ([age(2001-07-20)]) 2025~2030 | |
11 | 12 | 13 (VC) | 14 | 15 | |
티아고 알마다 Thiago Almada 2001.04.26 ([age(2001-04-26)]) 2025~2030 | 카를로스 마르틴 Carlos Martín 2002.04.22 ([age(2002-04-22)]) 2023~2029 | 얀 오블락 Jan Oblak 1993.01.07 ([age(1993-01-07)]) 2014~2028 | 마르코스 요렌테 Marcos Llorente 1995.01.30 ([age(1995-01-30)]) 2019~2027 | 클레망 랑글레 Clément Lenglet 1995.06.17 ([age(1995-06-17)]) 2025~2028 | |
16 | 17 | 18 | 19 | 20 | |
나우엘 몰리나 Nahuel Molina 1998.04.06 ([age(1998-04-06)]) 2022~2027 | 다비드 한츠코 Dávid Hancko 1997.12.13 ([age(1997-12-13)]) 2025~2030 | 마르크 푸빌 Marc Pubill 2003.06.20 ([age(2003-06-20)]) 2025~2030 | 훌리안 알바레스 Julián Álvarez 2000.01.31 ([age(2000-01-31)]) 2024~2030 | 줄리아노 시메오네 Giuliano Simeone 2002.12.18 ([age(2002-12-18)]) 2022~2028 | |
21 | 22 | 23 | 24 | ||
하비 갈란 Javi Galán 1994.11.19 ([age(1994-11-19)]) 2023~2026 |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02.18 ([age(2000-02-18)]) 2025~2030 | 니콜라스 곤살레스 Nicolás González 1998.04.06 ([age(1998-04-06)]) 2025~2026[1] | 로뱅 르노르망 Robin Le Normand 1996.11.11 ([age(1996-11-11)]) 2024~2029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리저브팀 콜업 명단 | |||||
26 | 27 | 28 | 29 | 31 | |
일리아스 코스티스 Ilias Kostis 2003.02.27 ([age(2003-02-27)]) 2022~2027 | 하노 몬세라테 Jano Monserrate 2006.01.28 ([age(2006-01-28)]) 2024~2027 | 타우픽 세이두 Taufik Seidu 2008.01.20 ([age(2008-01-20)]) 2025~2029 | 라야네 벨라이드 Rayane Belaid 2005.02.11 ([age(2005-02-11)]) 2024~2027 | 살비 에스키벨 Salvi Esquivel 2005.09.30 ([age(2005-09-30)]) 2024~2027 | |
42 | |||||
하비 세라노 Javi Serrano 2003.01.16 ([age(2003-01-16)]) 2021~2026 |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25-26 시즌 임대 선수 | |||||
1 | 7 | 11 | |||
호라치우 몰도반 Horațiu Moldovan 1998.01.20 ([age(1998-01-20)]) 2025~2026 레알 오비에도 임대 2026.06.30 복귀[옵션] | 로드리고 데 파울 Rodrigo De Paul 1994.05.24 ([age(1994-05-24)]) 2025 인터 마이애미 CF 임대 2025.12.31 복귀[옵션] | 토마 르마 Thomas Lemar 1995.11.12 ([age(1995-11-19)]) 2025~2026 지로나 FC 임대 2026.06.30 복귀 | |||
구단 정보 | |||||
<rowcolor=#fff> 감독: 디에고 시메오네 / 홈구장: 리야드 에어 메트로폴리타노 | |||||
<rowcolor=#000,#fff> 출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공식 웹사이트, 라리가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27일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13299> |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color: #1A284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or: #000000"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1 | 브리스 삼바 (Brice Samba) | 1994년 4월 25일 ([age(1994-04-25)]세) | 3 | 0 | | |
16 | 마이크 메냥 (Mike Maignan) | 1995년 7월 3일 ([age(1995-07-03)]세) | 33 | 0 | | ||
23 | 뤼카 슈발리에 (Lucas Chevalier) | 2001년 11월 6일 ([age(2001-11-06)]세) | 0 | 0 | | ||
DF | 2 | 뱅자맹 파바르 (Benjamin Pavard) | 1996년 3월 28일 ([age(1996-03-28)]세) | 55 | 5 | | |
3 | 뤼카 디뉴 (Lucas Digne) | 1993년 7월 20일 ([age(1993-07-20)]세) | 53 | 0 | | ||
4 | 다요 우파메카노 (Dayot Upamecano) | 1998년 10월 27일 ([age(1998-10-27)]세) | 31 | 2 | | ||
5 | 쥘 쿤데 (Jules Koundé) | 1998년 11월 12일 ([age(1998-11-12)]세) | 43 | 0 | | ||
15 | 이브라히마 코나테 (Ibrahima Konaté) | 1999년 5월 25일 ([age(1999-05-25)]세) | 24 | 0 | | ||
17 | 말로 귀스토 (Malo Gusto) | 2003년 5월 19일 ([age(2003-05-19)]세) | 4 | 0 | | ||
21 | 뤼카 에르난데스 (Lucas Hernández) | 1996년 2월 14일 ([age(1996-02-14)]세) | 39 | 0 | | ||
22 | 테오 에르난데스 (Théo Hernandez) | 1997년 10월 6일 ([age(1997-10-06)]세) | 38 | 2 | | ||
- | 윌리엄 살리바 (William Saliba) | 2001년 3월 24일 ([age(2001-03-24)]세) | 28 | 0 | | ||
MF | 6 | 케프렌 튀랑 (Khéphren Thuram) | 2001년 3월 26일 ([age(2001-03-26)]세) | 1 | 0 | | |
8 | 오렐리앵 추아메니 (Aurélien Tchouaméni) | 2000년 1월 27일 ([age(2000-01-27)]세) | 42 | 3 | | ||
13 | 마누 코네 (Manu Koné) | 2001년 5월 17일 ([age(2001-05-17)]세) | 9 | 0 | | ||
14 | 아드리앙 라비오 (Adrien Rabiot) | 1995년 4월 3일 ([age(1999-01-10)]세) | 54 | 6 | | ||
- | 데지레 두에 (Désiré Doué) | 2005년 6월 3일 ([age(2005-06-03)]세) | 4 | 0 | | ||
FW | 7 | 킹슬리 코망 (Kingsley Coman) | 1996년 6월 13일 ([age(1996-06-13)]세) | 58 | 8 | | |
9 | 마르쿠스 튀랑 (Marcus Thuram) | 1997년 8월 6일 ([age(1997-08-06)]세) | 30 | 2 | | ||
10 | 킬리안 음바페 (Kylian Mbappé) | 1998년 12월 20일 ([age(1998-12-20)]세) | 91 | 51 | | ||
11 | 마이클 올리세 (Michael Olise) | 2001년 12월 12일 ([age(2001-12-12)]세) | 9 | 3 | | ||
18 | 마그네스 아클리우슈 (Maghnes Akliouche) | 2002년 2월 25일 ([age(2002-02-25)]세) | 1 | 0 | | ||
19 | 위고 에키티케 (Hugo Ekitiké) | 2002년 6월 20일 ([age(2002-06-20)]세) | 1 | 0 | | ||
20 | 브래들리 바르콜라 (Bradley Barcola) | 2002년 9월 2일 ([age(2002-09-02)]세) | 15 | 2 | | ||
- | 우스만 뎀벨레 (Ousmane Dembélé) | 1997년 5월 15일 ([age(1997-05-15)]세) | 57 | 7 | | ||
- | 라얀 셰르키 (Rayan Cherki) | 2003년 8월 17일 ([age(2003-08-17)]세) | 2 | 1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 2025년 9월 5일(금) | 원정 | | |||
2025년 9월 9일(화) | 홈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1] 프랑스어 발음: /klemɑ̃ lɑ̃ɡlɛ/[2]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공식 프로필[3] UEFA 유로 2020[4] 클레망과 마찬가지로 축구 선수이다.[5] 미국 LA에 본사를 둔 스포츠 에이전시로, 같은 소속의 유명 선수로는 페데리코 발베르데, 에므리크 라포르트, 찰라르 쇠윈쥐 등이 있다.[6] 쥘 쿤데가 이번 대표팀에 5번째 센터백으로 승선함에 따라서, 우파메카노는 U-23 대표팀에 뽑혔다.[7] 2020-21 시즌엔 3.3개, 2021-22 시즌엔 5.3개를 기록하며 두 시즌 연속 부스케츠 다음으로 2위를 차지했다.[8] 2021-22 시즌 19R 마요르카전이 좋은 예로, 81분경에 우측면 뒷공간으로 흐르는 공을 쫓아 먼저 출발했지만 뒤에서 뛰기 시작한 상대 선수에게 2초만에 추월당하자 팔로 밀어버리고 프리킥을 내주는 장면은 랑글레의 느린 주력에서 비롯되는 거친 수비를 잘 보여준다.[9] 둘 다 평균 70% 이내의 공중경합 승리율을 기록하는 데 반해 랑글레의 승리율은 50% 후반대~60% 초반대로 약 10% 정도 낮다.[10] 단적인 예로 UEFA 유로 2020 16강 스위스전에서 하리스 세페로비치에게 밀려 점프조차 하지 못하고 헤더 선제골을 지켜만 보는 장면을 들 수 있다.[11] 당시 활약했던 파울레타, 호나우지뉴 등 PSG 선수들을 직접 눈으로 봤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