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13:30:20

로스앤젤레스 FC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325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32526>
파일:MLS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동부 컨퍼런스
파일:내슈빌 SC 로고.svg
파일:뉴욕 레드불스 로고.svg
파일:뉴욕 시티 FC 로고.svg
파일: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로고.svg
파일:인터 마이애미 CF 로고.svg
파일:CF 몽레알 로고.svg
파일:샬럿 FC 로고.svg
파일:시카고 파이어 FC 로고.svg
파일:FC 신시내티 로고.svg
파일:애틀랜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올랜도 시티 SC 로고.svg
파일:콜럼버스 크루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파일:토론토 FC 로고.svg
파일:DC 유나이티드 로고.svg
서부 컨퍼런스
파일:FC 댈러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밴쿠버 화이트캡스 FC 로고.svg
파일:산호세 어스퀘이크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FC 로고.svg
파일:레알 솔트레이크 로고.svg
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시티 SC 로고.svg
파일:오스틴 FC 로고.svg
파일:스포팅 캔자스시티 로고.svg
파일:콜로라도 래피즈 로고.svg
파일:포틀랜드 팀버스 로고.svg
파일:휴스턴 다이너모 FC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USL 챔피언십 구단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리가 MX파일:캐나다 국기.svg CPL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FC
Los Angeles FC
<colbgcolor=#000,#000><colcolor=#c39e6d,#c39e6d> 정식 명칭 Los Angeles Football Club
별칭 The Wings
Black and
Gold
약칭 LAFC, LAF
창단 2014년 10월 30일([age(2014-10-30)]주년)
리그 참가 2018년([age(2018-01-01)]주년)
소속 리그 메이저 리그 사커 (Major League Soccer)
소속 컨퍼런스 서부 컨퍼런스 (Western Conference)
연고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California, Los Angeles)
홈구장 BMO 스타디움 (2018~ / 22,000명 수용)
라이벌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 엘 트라피코 (El Tráfico)
구단주[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매직 존슨 (Magic Johnson)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노마 가르시아파라 (Nomar Garciaparra)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아 햄 (Mia Hamm)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윌 페럴 (Will Ferrell)
회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터 거버 (Peter Guber)
컨소시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채드 헐리 (Chad Hurley)
단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존 토링턴 (John Torrington)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스티브 체룬돌로 (Steve Cherundolo)[2]
수석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안테 라조프 (Ante Razov)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마크 도스 산토스 (Marc Dos Santos)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스페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스페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엔리케 듀란 (Enrique Duran)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애런 롱 (Aaron Long)
부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위고 요리스 (Hugo Lloris)
지정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가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가봉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가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드니 부앙가 (Denis Bouanga)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손흥민 (Son Heung-min)
역대 한국인 선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문환 (2021~202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손흥민 (2025~ )
CONCACAF 랭킹 8위[3] 출처
공식 웹사이트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4]
우승 / 플레이오프 기록
MLS 컵
(1회)
2022
컨퍼런스
(2회)
2022, 2023
MLS 서포터즈 실드
(2회)
2019, 2022
US 오픈컵
(1회)
2024
MLS컵 플레이오프
(진출 / 7회)
2018, 2019, 2020, 2022, 2023, 2024, 2025
구단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손흥민 (Son Heung-min)
(2025년, From 토트넘 홋스퍼 FC, $27m)[5]
최고 이적료 방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폴란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폴란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마테우시 보구시 (Mateusz Bogusz)
(2025년, To 크루스 아술, $9m)
최다 출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를로스 벨라 (Carlos Vela) - 189경기 (2018~2024)
최다 득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가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가봉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가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드니 부앙가 (Denis Bouanga) - 99득점 (2022~ )
MLS 득점왕
(3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카를로스 벨라 (Carlos Vela) - 34득점 (20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루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우루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디에고 로시 (Diego Rossi) - 14득점 (202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가봉|{{{#!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가봉 국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가봉}}}{{{#!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5]]}}}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드니 부앙가 (Denis Bouanga) - 20득점 (2023)

1. 개요2. 역사
2.1. 창단2.2. 2018 시즌2.3. 2019 시즌2.4. 2020 시즌2.5. 2021 시즌2.6. 2022 시즌2.7. 2023 시즌2.8. 2024 시즌2.9. 2025 시즌
3. 성적
3.1. 시즌별 성적3.2. 역대 정규 리그 순위
4. 선수 명단5. 홈구장6. 역대 주요 선수7. 서포터즈8. 라이벌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2018년부터 메이저 리그 사커에 참가하고 있는 확장 프랜차이즈. 약칭은 'LAFC'다.[6] 로스앤젤레스를 연고로 하는 구단으로는 세 번째 프랜차이즈다.

2. 역사

2.1. 창단

멕시코 리가 MX에 소속된 CD 과달라하라의 분점으로 MLS 팬들에게 알려져 있던 CD 치바스 USA 이후 로스앤젤레스 갤럭시와 새로운 LA 더비를 만들 것으로 주목받았다. 창단 때부터 이미 갤럭시 서포터들이 LAFC의 광고 벽화에다 'FUCK LAFC'라고 쓰고 가면서 도발을 하기 시작했다.

LA 다저스의 공동 구단주 피터 거버, NBA의 레전드 매직 존슨, MLB의 3대 유격수로 불렸던 노마 가르시아파라와 그의 부인이자 미국 여자 축구의 대모인 미아 햄, 유튜브 창업자인 채드 헐리가 컨소시엄으로 구단 운영 및 경영에 참가한다. 윌 페럴이 메인 구단주이며 페럴을 중심으로 한 여러 이사가 간간이 구단 홍보에 힘쓰고 있다. 덕분에 지상파를 비롯한 미디어 노출도 늘어나고 있고 이에 질세라 지역 라이벌인 갤럭시도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를 영입하는 등 양 구단이 인지도 상승 경쟁을 하고 있다.

히스패닉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응원가의 가사도 스페인어가 많고, 멕시코 전통 악기를 응원가에 활용하고 있다. 아직 창단한 지 오래되지 않은지라 인지도가 높지는 않지만, 히스패닉이 많은 지역 특성상 축구의 인기가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치바스 이후 항상 갤럭시의 상대 구단을 응원하는 견제 응원으로 연명했던 옛 치바스 팬들이, 구단의 서포터즈로 영향력을 발산하고 있는 중이다. 앰버서더인 카를로스 벨라멕시코 국적이어서 구 치바스 팬들이 LAFC를 지지할 명분도 가지고 있다. 2016년 2월에는 'LAFC 아카데미'를 설립해 지역 유소년 선수들을 육성하기 시작했다.

2.2. 2018 시즌

2018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bq6DVX3vnEYkhQf.jpg 파일:JnjutrvFahKE50i.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유튜브 로고(2017-2024).svg 파일:아디다스 로고 2.svg
창단 멤버로 카를로스 벨라가 합류해 화제가 되었다. 마침 지역 라이벌 갤럭시에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가 있었기 때문에 라이벌 구도의 화제성이 커지기도 했다.

한편 첫 유니폼이 공개되었는데 반응이 심히 좋지 않았다. 로고와 유니폼 자체는 괜찮게 평가받았는데 유튜브 TV 스폰서가 너무 부자연스러워서 당장 빨간색 로고를 금색이나 흰색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팬들은 스폰서를 거의 흉물 취급하는 중이다.

창단 첫 시즌을 서부 콘퍼런스 3위, 종합 5위라는 준수한 성적으로 마무리하였다.

2.3. 2019 시즌

2019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bq6DVX3vnEYkhQf.jpg 파일:tfzcn1c78qIocRE.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유튜브 로고(2017-2024).svg 파일:아디다스 로고 2.svg

파일:1280 x 553px -LAFC - SS.png

창단 두 시즌 만에 정규 리그 최고 승점을 기록하여 서포터즈 실드에서 우승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LA 갤럭시를 5-3으로 제압하고 출발하였으나 컨퍼런스 결승에서 시애틀 사운더스 FC에 1-3으로 패하여 탈락했다.

2.4. 2020 시즌

2020 시즌 유니폼
HOME AWAY
<nopad> 파일:STxXDyE7Q5f4NKw.jpg <nopad> 파일:tfzcn1c78qIocRE.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유튜브 로고(2017-2024).svg 파일:아디다스 로고 2.svg
창단 때부터 엄청난 비판을 받았던 홈 유니폼 유튜브 TV 스폰서 로고를 본래 색상에서 금색으로 바꿔 구단 색상과 맞췄다.

2020 시즌 MLS에서 1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시애틀 사운더스에 패해 일찍 탈락했다.

CONCACAF 챔피언스 리그에 창단 후 처음으로 출전했다. 16강에서 클루브 레온을 만나 1차전 2-0 패배를 뒤집고 3-2로 승리하여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크루스 아술을 2-1로 꺾었고, 4강전에서 클루브 아메리카를 3-1로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하지만 결승에서 멕시코의 티그레스 UANL에 1-2로 패배했다.

2.5. 2021 시즌

2021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SXCA6ofTfiNX50G.jpg 파일:d03T4tXb17E6MMF.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Flex-Power-Tools-Logo.png 파일:아디다스 로고 2.svg

2021년 1월 12일 LA 구단이 김문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그리고 메인 스폰서도 유튜브 TV에서 FLEX로 바뀌었다.

2.6. 2022 시즌

2022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wJA4WpXHxkPWjyF.jpg 파일:d03T4tXb17E6MMF.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Flex-Power-Tools-Logo.png 파일:아디다스 로고 2.svg

2022년 6월, 유벤투스의 레전드 선수인 조르조 키엘리니와 토트넘, 레알 마드리드 출신의 가레스 베일을 영입하며 초호화 외인 선수진을 구축했다. 도넬리 헨리와 계약을 해지했다. 8월 27일에는 크리스티안 테요마저 영입하면서 유럽 구단과 비교해도 밀리지 않을 정도의 선수단을 보유하게 됐다.
시즌 초반부터 무서운 기세로 치고 나가면서 컨퍼런스 뿐 아니라 리그를 평정하기 시작하더니 결국에는 서포터즈 실즈를 수상하는 업적을 이뤘다. MLS컵 플레이오프에서는 2라운드에서 LA 갤럭시와 맞붙게 되었다.[7]

현지 시각 10월 20일에 벌어진 2라운드에서 엘트라피코다운 접전을 벌인 끝에 인저리 타임 종료 직전 크리스티안 아랑고의 결승골로 갤럭시를 3-2로 누르고 창단 첫 컨퍼런스 결승에 올라 오스틴 FC와 FC 댈러스 간의 승자와 대결하게 된다. 현지 시각 10월 30일, 오스틴 FC와의 컨퍼런스 결승에서 3-0으로 승리하여 창단 첫 MLS컵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 상대는 마찬가지로 첫 우승에 도전하는 필라델피아 유니언.

현지 시각 11월 5일에 진행된 MLS컵 결승전에서는 초반부터 치열한 공방전에 펼쳐진 가운데 전반전에 1:0으로 앞서나가다가 59분에 동점골을 허용했지만 83분에 헤수스 무리요가 추가골을 집어넣으면서 승리를 거머쥐는 듯했다. 하지만 불과 2분 뒤에 필라델피아의 제이크 엘리엇이 역습 동점골을 집어넣으면서 연장전에 돌입했고 연장 전반에 주전 골키퍼 맥심 크레이포가 골키퍼 라인 밖에서 차징을 하면서 레드 카드를 받으면서 패색이 드리우기 시작했고[8] 연장전 추가 시간 4분에 골대 앞 어지러운 공방전 끝에 제이크 엘리엇에게 추가골을 허용하면서 MLS컵이 무산되는듯했지만 가레스 베일이 추가 시간 8분에 극장골을 집어넣으면서 극적으로 3 대 3 동점을 만들었고 승부차기에서 백업 골키퍼가 골문을 철저하게 틀어막으면서 3 대 0으로 마무리하고 클럽 첫 번째 MLS컵을 들어올렸다. 그야말로 할리우드 영화 같은 극적인 경기에 언론과 SNS 등지에서 역대 최고의 MLS컵 결승전이었다는 극찬이 쏟아졌다.

2.7. 2023 시즌

2023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wJA4WpXHxkPWjyF.jpg 파일:GktmQwCgwe7fuqw.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Flex-Power-Tools-Logo.png 파일:아디다스 심볼.svg

메이저 리그 사커에서는 서부 컨퍼런스에서 3위를 하고 서포터 쉴드에서 8위를 했다. US 오픈컵에서는 16강에서 라이벌 LA 갤럭시에 0-2로 패배해 탈락했다. MLS컵에서는 결승까지 진출했다가 콜럼버스 크루에 1-2로 패하며 준우승했다. CONCACAF 챔피언스컵도 준우승했는데, 결승에서 멕시코의 클루브 레온 상대로 1차전 원정에서 1-2 패, 2차전 홈에서 0-1 패해 합산 스코어 1-3으로 패배했다. 리그스컵은 32강부터 시작해 준결승에서 멕시코의 CF 몬테레이에 2-3으로 패배해 탈락했다. 캄페오네스 컵(미국 MLS의 MLS컵 우승팀과 멕시코 리가 MX의 캄페온스 우승팀이 맞붙는 슈퍼컵)에서는 티그레스 UANL과 0-0으로 비기고 승부차기로 2-4로 패배해 준우승했다. 세 번의 준우승을 달성한 비운의 시즌.

2.8. 2024 시즌

2024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ZriSwLrBJfbEBow.jpg 파일:svhBY0JLzCeS4yu.jp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BMO-300x155.png 파일:아디다스 심볼.svg

메이저 리그 사커에서는 서부 컨퍼런스에서 라이벌 LA 갤럭시 상대로 승점 동률에 득실차가 +20 대 +19로 딱 하나 앞서서 1위를 하고 서포터 쉴드에서 3위를 했다. MLS컵에서는 준결승에서 시애틀 사운더스 FC에 연장전 끝에 1-2로 패배해 탈락했다. US 오픈컵에서는 32강부터 출전해 결승에서 스포팅 캔자스시티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으면서 구단 최초의 우승을 기록했다. 리그스컵은 32강부터 시작해 결승에서 콜럼버스 크루에 3-1으로 패배해 준우승했다.

2.9. 2025 시즌

2025 시즌 유니폼
HOME AWAY
파일:LAFC_Kit_2024_Home.png 파일:LAFC_Kit_2024_Away.png
셔츠 프린팅 유니폼 메이커
파일:BMO-300x155.png 파일:아디다스 심볼.svg

메이저 리그 사커의 서부 컨퍼런스에서 현재 승점 36점으로 6위를 하고 있다. 치른 경기 수가 확실히 적은 것은 위안. 그리고 라이벌 LA 갤럭시가 현재 승점 16점으로 승강제는 아니지만 리그 꼴찌다.

CONCACAF 챔피언스컵에서는 준결승에서 리오넬 메시가 있는 인터 마이애미 CF 상대로 1차전 홈 1-0 승, 2차전 원정 3-1 패로 합산 3-2로 탈락했다.

자국에서 열리는 FIFA 클럽 월드컵 2025에도 참가했는데 FIFA 클럽 월드컵 2025/D조 문서 참고. 조별 리그 1차전에서 우승팀 첼시 FC에게 0-2로 지고 2차전에서 에스페랑스 스포르티브 드 튀니스에게 0-1으로 지고 3차전에서 CR 플라멩구와 1-1로 비기면서 조별 리그 4위로 탈락했다.

리그스 컵은 리그 페이즈 3경기에서 1승, 1무 승부차기 승리, 1무 승부차기 패배해 승점 3+2+1=6점을 얻어 현재 MLS 4위로 8강 진출권 막차긴 한데 다른 팀들의 경기가 아직 남아 있어서 탈락은 거의 확정이다.

8월 6일 홈구장 BMO 스타디움에서 LA FC의 경기를 관람하러 간 손흥민을 LAFC Forward라고 써 놓은 화면으로 설명하면서 사실상의 손흥민의 입단을 기정사실화했고[9] 구단 측은 5일 보도 자료를 내고 “6일 오후 2시(한국 시간 7일 오전 6시) 중대한 발표를 위한 기자 회견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특히 한국 언론을 위해 이례적으로 한국어로도 보도 자료를 냈다. 오후에는 손흥민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3. 성적

3.1. 시즌별 성적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FC 시즌별 성적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MLS 챔피언스 컵 리그스 컵 US 오픈 컵
컨퍼런스 실드 MLS 컵
2018 3위
( = )
5위
( = )
녹아웃 스테이지 - [10] 준결승
2019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 컨퍼런스 결승 - - 8강
2020 7위
( 6)
12위
( 11)
녹아웃 스테이지 준우승 [C] [C]
2021 9위
( 2)
19위
( 7)
- - - [C]
2022 파일:Supporters Shield ICON.png 서포터즈 실드 파일:MLS cup Icon2.png MLS컵 우승 - [14] 16강
2023 3위
( 2)
8위
( 7)
준우승 준우승 8강 16강
2024 1위
( 2)
3위
( 5)
- - 준우승 우승
}}}}}}}}}}}} ||

3.2. 역대 정규 리그 순위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역대 정규 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리그 컨퍼런스 실드
2018 1 메이저 리그 사커 3 5
2019 1 메이저 리그 사커 1 1
2020 1 메이저 리그 사커 7 12
2021 1 메이저 리그 사커 9 19
2022 1 메이저 리그 사커 1 1
2023 1 메이저 리그 사커 3 8
2024 1 메이저 리그 사커 1 3
}}}}}}}}}}}} ||

4. 선수 명단

<nopad>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FC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 조건 비고
1 파일:프랑스 국기.svg GK 위고 요리스 Hugo Lloris 1986년 12월 26일 188cm, 82kg
4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DF 에디 세구라 Eddie Segura 1997년 2월 2일 178cm, 70kg
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DF 라이언 포티어스 Ryan Porteous 1999년 3월 25일 189cm, 74kg
6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이고르 제주스 Igor Jesus 2003년 3월 7일 179cm, kg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W 손흥민 Son Heung-min 1992년 7월 8일 183cm, 78kg
8 파일:미국 국기.svg MF 마르코 델가도 Marco Delgado 1995년 5월 16일 175cm, kg
11 파일:미국 국기.svg MF 티모시 틸만 Timothy Tillman 1999년 1월 4일 183cm, 74kg
12 파일:캐나다 국기.svg GK 토마스 하살 Thomas Hasal 1999년 7월 9일 191cm, 86kg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세르지 팔렌시아 Sergi Palencia 1996년 3월 23일 168cm, kg
1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로렌초 델라발레 Lorenzo Dellavalle 2004년 4월 4일 190cm, kg
16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자이우송 Jailson 1995년 9월 7일 178cm, 73kg
17 파일:미국 국기.svg FW 제레미 에보비세 Jeremy Ebobisse 1997년 2월 14일 184cm, kg
18 파일:멕시코 국기.svg DF 다비드 오초아 David Ochoa 2001년 1월 16일 188cm, kg
1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MF 앤드류 모런 Andrew Moran 2003년 10월 15일 177cm, 75kg
20 파일:가나 국기.svg MF 야우 예보아 Yaw Yeboah 1997년 3월 28일 169cm, kg
24 파일:미국 국기.svg DF 라이언 홀링스헤드 Ryan Hollingshead 1991년 4월 16일 185cm, 84kg
25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DF 막심 샤노 Maxime Chanot 1989년 11월 21일 186cm,
27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FW 나탄 오르다스 Nathan Ordaz 2004년 1월 12일 180cm, kg
29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DF 아르템 스몰랴코우 Artem Smolyakov 2003년 5월 29일 180cm, kg
3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FW 다비드 마르티네스 David Martinez 2006년 2월 7일 178cm, kg
33 파일:미국 국기.svg DF 애런 롱 Aaron Long 1992년 10월 12일 188cm, 79kg
43 파일:미국 국기.svg MF 애덤 살다나 Adam Saldana 2002년 2월 7일 168cm, 66kg
45 파일:미국 국기.svg DF 케니 닐슨 Kenny Nielsen 2002년 2월 13일 178cm, 68kg
55 파일:파나마 국기.svg DF 에리크 디아스 Érick Díaz 2006년 3월 4일 183cm, kg
56 파일:미국 국기.svg MF 주드 테리 Jude Terry 2008년 10월 8일 175cm, kg
77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FW 에이드리언 위보오 Adrian Wibowo 2006년 1월 17일 182cm, 70kg
80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MF 오딘 티아고 홀름 Odin Thiago Holm 2003년 1월 18일 180cm, 70kg [1]
91 파일:미국 국기.svg DF 은코시 타파리 Nkosi Tafari 1997년 3월 23일 193cm, kg
99 파일:가봉 국기.svg FW 드니 부앙가 Denis Bouanga 1994년 11월 11일 180cm, 71kg
구단 정보
회장: 피터 거버 / 감독: 스티브 체룬돌로 / 홈구장: BMO 스타디움
출처: 로스앤젤레스 FC 웹사이트
※ 주의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간략 틀을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간략 틀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1] 셀틱 FC에서 임대
}}}}}}}}}

5. 홈구장

파일:BancofCalStadiumMLS.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MO 스타디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O 스타디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BMO 스타디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주요 선수

7. 서포터즈

<nopad> 파일:THE3252.jpg
파일:3252.jpg
파일:the3252.jpg
서포터즈는 통칭 '3252'로 불린다. 이 같은 명칭은 LAFC의 홈구장인 BMO 스타디움에서 서포터즈가 앉을 수 있는 좌석 개수인 3,252개에서 유래되었다.

비교적 최근에 창단한 곳이긴 하지만 카를로스 벨라의 입단으로 입문하게 된 히스패닉 팬층이 두터워졌고 이후 한때 유럽에서 활약하던 선수들이 연달아 입단하면서 팬덤이 늘어나고 있다. 또, 미국 최대 규모의 한인타운이 있는 로스앤젤레스 특성상 한국계로 구성된 서포터즈 그룹도 있다.

그래서인지 응원가 중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응원가 '청백적의 챔피언'의 가사를 약간 변형해[15] 사용하는 응원곡이 있다.#[16]

8. 라이벌

파일:엘 트라피코.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 트라피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트라피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엘 트라피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로스앤젤레스가 연고지인 구단답게 라이벌리를 이루는 구단은 같은 연고지의 MLS를 대표하는 빅 클럽 로스앤젤레스 갤럭시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9. 여담

  • 가수 저스틴 비버가 로스앤젤레스 FC의 열렬한 서포터로 잘 알려져 있다. 경기 직관도 자주 오는 편이라고 한다.
  • 미국 LA의 한인 라디오방송 중 한곳인 우리방송에서 이 팀의 한국어 중계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 2025년 9월 14일부터 쿠팡플레이SPOTV PRIME에서 이팀한정 중계를 한다.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923f><tablewidth=320><tablebgcolor=#00923f>
파일:로스앤젤레스 휘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NFL MLB
파일: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램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로스앤젤레스 차저스* 로스앤젤레스 램스*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BA NHL
파일: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 파일:애너하임 덕스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로스앤젤레스 킹스 애너하임 덕스*
MLS WNBA NWSL
파일: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FC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스팍스 로고.svg 파일:엔젤 시티 FC 로고.svg
로스앤젤레스 갤럭시* 로스앤젤레스 FC 로스앤젤레스 스팍스 엔젤 시티 FC
MLR
파일:럭비 FC 로스앤젤레스.png
럭비 FC 로스앤젤레스
* 실제 홈구장은 LA 시내 이외의 LA 광역권에 소재하는 구단
◀ 캘리포니아 연고 프로 구단 보기(로스앤젤레스 제외)
}}}}}}}}} ||

[1] 주요 구단주는 이 정도고 조르조 키엘리니 등 더 많은 사람이 구단주로 참가해 있다.[2] 2025 시즌 종료 후 퇴임.[3] 2025년 10월 3일 기준[4] 2025년 7월 24일 개설.[5] 한화 약 370억 원, MLS 역대 최고 이적료[6] 'LA'는 LA 갤럭시를 가리킨다. 구단명을 고려하면 이쪽이 LA가 되고 갤럭시가 LAG 정도가 되는 게 일반적이겠지만 갤럭시의 역사가 훨씬 길 뿐만 아니라 이전부터 LA를 약칭으로 써 와서 이렇게 되었다. 비슷한 예로 K리그의 수원 FC는 구단명에 수원만 들어감에도 한참 전부터 수원이 약칭이었던 곳의 영향으로 기사나 시상식 등 공식적인 자리에서 '수원F'라고 언급된다.[7] 공교롭게도 서부 컨퍼런스 2라운드는 모두 한동네 더비로 치르게 되는 운명을 맞이하였다. LA 집안 싸움 외에도 오스틴 FCFC 댈러스 간의 텍사스 더비가 있다.[8] 크레이포는 이 과정에서 큰 부상을 당하면서 카타르 월드컵에서 캐나다 국대 승선이 무산되었다.[9] 파일:손흥민_로스앤젤레스_전광판1.png[10] 리그스 컵 창설 전[C] COVID-19의 유행으로 인한 대회 취소[C] [C] [14] 카타르 월드컵의 개최로 인한 일정 조율 실패로 대회 간소화[15] 원래 남미 등에서 자주 불렸던 응원가로 이 응원가 멜로디에 수원 삼성 서포터들이 한국어 가사를 붙인 것이다. LAFC 서포터들은 수원 응원가 버전 가사에서 '청백적의 챔피언' 부분만 'LAFC 사랑해'로 바꾸어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6] 처음엔 수원 서포터즈의 별도 허락 없이 사용했다가 이후 프렌테 트리콜로에 직접 사과하고 사용을 허락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