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03:06:03

수도고속도로 완간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신고속도로 노선}}}에 대한 내용은 [[한신고속도로 완간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신고속도로 완간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한신고속도로 완간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신고속도로 노선: }}}[[한신고속도로 완간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신고속도로 완간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한신고속도로 완간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Shutoko_logo.svg 수도고속도로 노선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1
도심환상선 ·
C2
중앙환상선 ·
Y
야에스선 ·
B
완간선 ·
1
우에노선 ·
1
하네다선 ·
2
메구로선 ·
3
시부야선 ·
4
신주쿠선 ·
5
이케부쿠로선 ·
6
무코지마선 ·
6
미사토선 ·
7
코마츠가와선 ·
9
후카가와선 ·
10
하루미선 ·
11
다이바선
K1
요코하네선 ·
K2
미츠자와선 ·
K3
카리바선 ·
K5
다이코쿠선 ·
K6
가와사키선 ·
K7
요코하마북선 ·
K7
요코하마북서선 ·
S1
카와구치선 ·
S2
사이타마신도심선 ·
S5
사이타마-오미야선
}}}}}} ||

<nopad> {{{#!wiki<tablealign=center>
B
수도고속도로 완간선
首都高速道路湾岸線
Shuto Expressway Bayshore Route
}}}
노선 번호
B
기점
치바현 이치카와시 (코야JCT)
종점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사치우라출입구)
연장
총 64.0 km
본선 62.1 km, 분기선 1.9km
최초 개통일
1976. 8. 12. 오이출입구 - 린카이후쿠토신출입구
관리
수도고속도로주식회사
왕복 차로 수
4차로 혼모쿠JCT
완간분기선
6차로 사치우라출입구 - 아리아케JCT[1]
카사이JCT - 코야JCT
7차로 아리아케JCT - 타츠미JCT
8차로 타츠미JCT - 카사이JCT

1. 개요2. 역사3. 구성4. 구성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수도고속도로의 노선으로, 명칭 그대로 도쿄만안을 따라 카나가와현으로부터 도쿄 임해지구를 지나 치바현까지 이어지는 도시고속도로 노선이다. 기종점은 치바에서 카나가와로 되어 있으나, 출입구 번호는 카나가와를 기준으로 하며, 실제 안내에서는 대부분 동행/서행으로 방향 표기를 한다. 치바현에 들어가는 유일한 수도고속도로 노선이기도 하며, 도쿄국제공항(하네다)에 들어가는 공항접근노선의 기능도 수행한다. 약칭은 완간(湾岸)으로, 안내 기호는 Bayshore에서 온 B다.

3환상 9방사 계획에서 순환선(환상선)의 일부이면서 동시에 방사선 기능을 수행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순환선인 구간은 수도고속도로 중앙환상선과 연결되는 구간으로 해안지역은 완간선이 실질적인 중앙환상선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방사선 기능은 카나가와 방면으로는 미우라반도, 즉 요코하마-요코스카 도로와의 연계를, 치바 방면으로는 나리타공항, 즉 히가시칸토자동차도와의 연계가 이루어지므로 이 방면의 방사선으로 간주된다.

본선 외에도 지선을 하나 가지고 있는데, 통칭은 완간분기선(湾岸分岐線)으로, 기능적으로는 도쿄임해지구에서 수도고속도로 하네다선(요코하마 방향)을 연결해주는 도로로, 카나가와와 도쿄 동부 간의 하네다선 경유 교통량의 우회로 역할을 완간선이 수행하도록 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시설 수준이 간선고속도로에 거의 준할 정도이며, 주변에 공업지구가 발달되어 있는 특성 탓에 다른 수도고속도로 노선과는 달리 간선고속도로의 성격이 비교적 강한 노선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에는 도쿄만이 대부분 인공적으로 조성된 매립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나마도 대부분이 신규택지나 공업지구로 활용되고 있어, 처음부터 정비 사업이 용이했기 때문이다.

서류상 노선은 본선 전 구간의 경우 도쿄도도 · 카나가와현도 · 치바현도 294호 고속 완간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중 수도고속도로 다이코쿠선과 연계되는 혼모쿠후토출입구 - 다이코쿠JCT간은 요코하마시도 고속 완간선이 중복지정[2]되어 있다. 또한 분기선의 경우 도쿄도에서 완결하는 특성상 번호가 부여되지 않은[3] 도쿄도도 수도고속 완간분기선이라는 명칭으로 서류상 기재되어 있다.

2. 역사

수도고속도로 완간선의 구상은 본래 도쿄만안에 계획되던 16번 국도14번 국도의 우회도로 사업인 도쿄완간도로(도쿄만안도로, 東京湾岸道路)로부터 출발한다. 이 사업 자체는 완간선을 넘어서 사실상 도쿄만을 일주하는 형태의 노선인데, 정비 방식에 대해서는, 자동차전용도로로 구성되는 전용부와, 전용부와 출입구로 연계되어 집산도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부를 같이 정비하여 이 일대의 교통량을 가장 강력하게 처리 가능하도록 정하였다. 다만 사업 전 구간의 추진이 원활했던 것은 아니라, 요코스카시 - 치바시 구간만이 사업화에 성공하였고, 나머지 구간은 전용부 사업은 사실상 좌초[4]되었고, 일반부 사업도 일부 구간만 완성되어 있다.

1970년대 사업화에 성공한 요코스카 - 치바 구간에 대해서는 1975년 아예 357번 국도를 치바시로부터 요코스카시에 이르는 노선으로 새로이 지정하게 되었다. 다만 이 357번 국도 일반부의 경우 모든 구간이 다 완성된 것은 아니고, 매립지 구간 중에서 특히 카와사키-요코하마로 이어지는 구간의 경우 공업지구로 외부 출입이 사실상 불가능한 매립지라 일반부 노선이 건설되어 있지 않다.

1976년 매립지간의 해저터널인 도쿄항터널 2.8km 구간의 완성을 시작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걸쳐 쇼와시대 내로 도쿄와 치바를 잇는 도카이JCT - 코야JCT 구간은 완성이 된다. 하지만 카나가와현 구간은 사업이 다소 늦었다. 첫 개통 구간은 1989년 요코하마 베이브리지(다리)를 포함하는 혼모쿠후토출입구 - 다이코쿠JCT 간이지만, 나머지 구간은 1990년대에야 대부분 완성되었으며 2001년 10월 22일에야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3. 구성

전 구간이 왕복 6차로 이상인 노선이다. 단, 엄밀하게 따지면 혼모쿠JCT 내부는 본선이 왕복 4차로이므로, 이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이 왕복 6차로 이상이라 볼 수 있다. 2020년까지는 그대로 6차로로 이어지는 히가시칸토자동차도의 구간을 다 합친 106.0km 구간이 일본 내 최장 왕복 6차로 도로기도 했다.

설계속도는 일반 자동차전용도로 수준인 제2종을 베이스로 하고 있는 탓에 최대치(제1급)를 적용해도 80km/h[5]다보니, 최고제한속도 역시 이에 맞춰 80km/h로 되어 잇다. 도쿄항터널 구간(오이미나미출입구 - 린카이후쿠토신출입구)은 70km/h이며, 분기선은 60km/h다.

수도고속도로상의 노선 분류는 카와사키우키시마JCT를 기준으로 사치우라출입구 - 카와사키우키시마JCT간이 카나가와선, 카와사키우키시마JCT - 코야JCT간이 도쿄선(분기선 포함)으로 되어 있다. 이전에는 이 경계가 되는 해당 분기점에 본선요금소인 완간우키시마TB(湾岸浮島TB)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수도고속도로 요금 징수체계 개편으로 2013년 3월 1일 폐지되었다.

요코하마시내 구간에서는 주로 교량(대표적으로 사장교)을 이용해 해상 구간을 넘는 반면, 나머지 구간은 주로 해저터널로 이어져있다.

4. 구성

  • 약어
    • PA Parking Area 주차장(간이휴게소)
    • TB Toll Barrier[6] 요금소
    • JCT Junction[7] 분기점
  • ETC 표시가 된 출입구는 모두 입구가 ETC 전용이다.
  • 기종점과는 반대로 편의상 출입구 번호를 기준으로 정렬하였다.
  • 많은 출입구에서 357번 국도와 접속되므로 해당 노선은 기재를 대부분 생략한다. 단, 접속 도로로 적을 노선이 애매한 경우에는 357번 국도를 그대로 기재한다.
<rowcolor=#fff,#fff> 소재지 <colbgcolor=#fff,#222> 번호 <colbgcolor=#fff,#222> 이름 접속 노선 비고 이정
(km)
E16
요코하마-요코스카 도로 (16번 국도)
와 연결됨
카나가와현 요코하마시 4-3 나미키IC <colbgcolor=#fff,#222> 並木IC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16)]
(16번 국도, 연결)
요코요코도로 진출입 전용[8] 62.1
B01 사치우라출입구 幸浦出入口 357번 국도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61.0
<bgcolor=#efe,#030>
TB
토리하마초TB 鳥浜町TB 치바방향 본선요금소 59.3
B02 스기타출입구 杉田出入口 시도 신스기타 117/118호선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58.7
B03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57.4
B05 이소고출입구
ETC
磯子出入口 시도 환상 2호선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56.0
B06 산케이엔출입구 三渓園出入口 시도 토요우라초 39/50호선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51.5
B07A 미나미혼모쿠후토출입구 南本牧ふ頭出入口 시도 혼모쿠 272호선
(미나미혼모쿠하마도로)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일반도로 연결 없음[9]
49.3
B07B 혼모쿠후토출입구 本牧ふ頭出入口 시도 신야마시다 34호선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47.7
JCT 혼모쿠JCT 本牧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u=K,n=3)]
JCT 다이코쿠JCT 大黒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u=K,n=5)] 출입구/PA 병설 44.6
B08
B09
다이코쿠후토출입구 大黒ふ頭出入口 시도 다이코쿠바시도리선
시도 다이코쿠후토 1호선
PA 다이코쿠PA 大黒PA 양방향 통합형
카와사키시 B10 히가시오기시마출입구 東扇島出入口 시도 카와사키역-
히가시오기시마선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38.1
B11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35.7
JCT 카와사키우키시마JCT 川崎浮島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u=K,n=6)]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CA)]
출입구 병설 33.3
B12
B13
우키시마출입구 浮島出入口 409번 국도
도쿄도 오타구 B14 완간칸파치출입구 湾岸環八出入口 311번 도쿄도도
(칸파치도리)
도쿄국제공항 구내도로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30.5
B16 공항중앙출입구 空港中央出入口 도쿄 국제공항 구내도로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29.0
B17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27.9
JCT 쇼와지마JCT 昭和島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1)]
B
분기선 구간
요코하마방향 ↔
치바방향만 접속가능
1.9
JCT 도카이JCT 東海JCT 0.0
24.0
시나가와구 B18 오이미나미출입구 大井南出入口 357번 국도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23.4
PA 오이PA 大井PA 양방향 23.0
JCT 오이JCT 大井JCT [[수도고속도로 중앙환상선|
C2
]]
21.7
B19 오이미나미출구 大井南出口 357번 국도 치바방향에서 진출 전용 21.6
B21 오이출입구
ETC
大井出入口 316번 도쿄도도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20.8
미나토구 B22 린카이후쿠토신출입구 臨海副都心出入口 임항도로 아오미종관선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19.3
고토구 JCT 아리아케JCT 有明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11)] 17.7
JCT 시노노메JCT 東雲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10)] 16.3
B23 아리아케출입구 有明出入口 484번 도쿄도도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15.9
JCT 타츠미JCT 辰巳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도시고속,n=9)] 14.7
B24
B25
신키바출입구
ETC
新木場出入口 357번 국도 13.1
에도가와구 JCT 카사이JCT 葛西JCT [[수도고속도로 중앙환상선|
C2
]]
11.2
B26
B27
카사이출입구 葛西出入口 318번 도쿄도도
(칸나나도리)
9.8
치바현 우라야스시 B28 마이하마입구 舞浜入口 시도 간선 6호선 요코스카방향으로 진입 전용 8.5
B30 우라야스출입구 浦安出入口 357번 국도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7.8
B31 치바방향 진출입 전용 5.0
이치카와시 B32 치도리초출입구 千鳥町出入口 357번 국도 요코스카방향 진출입 전용 2.7
PA 이치카와PA 市川PA 요코스카방향
요금소 고가밑 설치
1.4
<bgcolor=#efe,#030>
TB
이치카와TB 市川TB 요코스카방향 본선요금소
JCT 코야JCT 高谷JCT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E51)] (연결)
[include(틀:일본 고속도로 번호,n=C3)]
0.0
E51
히가시칸토자동차도
와 연결됨

5. 여담

완간 미드나이트의 무대가 되는 도로이다. 대부분의 노선이 해안을 달리며, 고층빌딩이 많은 계획도시인 도쿄 오다이바를 지나가기 때문에 드라이브 코스로도 나름대로 인기가 있다.

또한 그란 투리스모 5부터 7까지시리즈에 등장한 스페셜 스테이지 루트 X도 이 도로를 토대로 만들어진 서킷으로 알려졌다. #

6. 관련 문서


[1] 혼모쿠JCT 내부 제외[2] 본래 상위도로 지정이 덮어씌워지며 하위도로는 상위도로와 중첩되는 구간이 빈 구간이 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정령지정도시이므로 현도의 관할 역시 요코하마시가 수행하기에 중첩지정 되어 있다. 개통 역사 자체도 이 구간이 다른 카나가와 구간에 비해 선행 개통되었다.[3] 관리번호 자체는 3723이 부여되어 있으나, 도도의 번호로 사용되지는 않는다.[4] 서류상으로는 치바지구 전용부 후보노선으로 치바시 - 훗츠시 간에 구상도로가 남아있다. 실질적으로는 케이요도로에서 이어지는 타테야마자동차도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5] 물론 실제로 고속자동차국도급인 제1종으로 봐도 무방한 수준으로 선형이 좋은 구간들이 있기는 하다보니 교통량이 적은 심야를 중심으로 과속 차량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기도 하다.[6] 일본에서는 한국의 요금소/톨게이트(Toll Gate)가 아닌 이 표기를 사용한다.[7] 한국에서는 IC와 비슷하게 JC로 줄이지만, 일본에서는 보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JCT로 표기한다.[8] 이 때문에 공식적으로는 완간선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서류상으로는 요코요코도로 접속부(横横道路接続部)로 되어 있다.[9] 부두로 이어지는 고가로 건설된 전용 일반도로(요코하마시도) 미나미혼모쿠하마도로로만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