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11:36:08

패트리샤 아퀘트

패트리샤 아퀘트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Supporting Actres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게일 손더그라드
(안소니 에드버즈)
앨리스 브레디
(인 올드 시카고)
페이 베인터
(제저벨)
해티 맥대니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제인 다웰
(분노의 포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메리 애스터
(대단한 거짓말)
테레사 라이트
(미니버 부인)
카티나 팍시누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에델 배리모어
(논 벗 더 론리 하트)
앤 리비어
(녹원의 천사)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앤 백스터
(면도날)
설레스트 홈
(신사협정)
클레어 트레버
(키 라고)
머세이디스 매케임브리지
(모두가 왕의 부하들)
조지핀 헐
(하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킴 헌터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글로리아 그레이엄
(배드 앤 뷰티)
도나 리드
(지상에서 영원으로)
에바 마리 세인트
(워터프론트)
조 밴플리트
(에덴의 동쪽)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도로시 말론
(바람에 쓴 편지)
우메키 미요시
(사요나라)
웬디 힐러
(애수의 여로)
셸리 윈터스
(안네의 일기)
셜리 존스
(엘머 갠트리)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리타 모레노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패티 듀크
(미라클 워커)
마거릿 러더퍼드
(VIP)
릴라 케드로바
(그리스인 조르바)
셸리 윈터스
(푸른 하늘 아래서)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샌디 데니스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에스텔 파슨스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루스 고든
(악마의 씨)
골디 혼
(선인장 꽃)
헬렌 헤이스
(에어포트)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클로리스 리치먼
(마지막 영화관)
아일린 헤커트
(나비의 외출)
테이텀 오닐
(페이퍼 문)
잉그리드 버그만
(오리엔트 특급 살인)
리 그랜트
(샴푸)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비어트리스 스트레이트
(네트워크)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줄리아)
매기 스미스
(캘리포니아의 다섯 부부)
메릴 스트립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메리 스틴버겐
(멜빈과 하워드)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모린 스테이플턴
(레즈)
제시카 랭
(투씨)
린다 헌트
(가장 위험한 해)
페기 애시크로프트
(인도로 가는 길)
안젤리카 휴스턴
(프리찌스 오너)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다이앤 위스트
(한나와 그 자매들)
올림피아 듀카키스
(문스트럭)
지나 데이비스
(우연한 방문객)
브렌다 프리커
(나의 왼발)
우피 골드버그
(사랑과 영혼)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머세이디스 룰
(피셔 킹)
마리사 토메이
(나의 사촌 비니)
애나 패퀸
(피아노)
다이앤 위스트
(브로드웨이를 쏴라)
미라 소르비노
(마이티 아프로디테)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쥘리에트 비노슈
(잉글리쉬 페이션트)
킴 베이싱어
(LA 컨피덴셜)
주디 덴치
(셰익스피어 인 러브)
안젤리나 졸리
(처음 만나는 자유)
마샤 게이 하든
(폴락)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니퍼 코넬리
(뷰티풀 마인드)
캐서린 제타존스
(시카고)
르네 젤위거
(콜드 마운틴)
케이트 블란쳇
(에비에이터)
레이첼 바이스
(콘스탄트 가드너)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니퍼 허드슨
(드림걸즈)
틸다 스윈튼
(마이클 클레이튼)
페넬로페 크루즈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
모니크
(프레셔스)
멜리사 레오
(파이터)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옥타비아 스펜서
(헬프)
앤 해서웨이
(레미제라블)
루피타 뇽오
(노예 12년)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알리시아 비칸데르
(대니쉬 걸)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비올라 데이비스
(펜스)
앨리슨 제니
(아이, 토냐)
레지나 킹
(빌 스트리트가 말할 수 있다면)
로라 던
(결혼 이야기)
윤여정
(미나리)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아리아나 드보즈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제이미 리 커티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데이바인 조이 랜돌프
(바튼 아카데미)
조이 샐다냐
(에밀리아 페레즈)
-
}}}}}}}}}}}}}}} ||

역대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여우주연상 - 드라마 시리즈
제56회
(2004년)
제57회
(2005년)
제58회
(2006년)
앨리슨 제니
(웨스트윙)
패트리샤 아퀘트
(고스트 & 크라임)
마리슈카 하지테이
(Law&Order: SVU)
여우조연상 - 미니시리즈
제70회
(2018년)
제71회
(2019년)
제72회
(2020년)
메릿 웨버
(그 땅에는 신이 없다)
패트리샤 아퀘트
(디 액트)
우조 아두바
(Mrs. America)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여우조연상 -영화
제71회
(2014년)
제72회
(2015년)
제73회
(2016년)
제니퍼 로렌스
(아메리칸 허슬)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케이트 윈슬렛
(스티브 잡스)
여우주연상 - 미니시리즈
제75회
(2018년)
제76회
(2019년)
제77회
(2020년)
니콜 키드먼
(빅 리틀 라이즈)
패트리샤 아퀘트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
미셸 윌리엄스
(FOSSE/VERDON)
여우조연상 - 미니시리즈
제76회
(2019년)
제77회
(2020년)
제78회
(2021년)
패트리샤 클락슨
(몸을 긋는 소녀)
패트리샤 아퀘트
(디 액트)
질리언 앤더슨
(더 크라운)

역대 파일:SAG-AFTRA_Logo.png
파일:SAG Awards Logo.png
영화부문 여우조연상
제20회
(2014년)
제21회
(2015년)
제22회
(2016년)
루피타 뇽오
(노예 12년)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알리시아 비칸더
(대니쉬 걸)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여우주연상
제24회
(2018년)
제25회
(2019년)
제26회
(2020년)
니콜 키드먼
(빅 리틀 라이즈)
패트리샤 아퀘트
(이스케이프 인 댄모라)
미쉘 윌리엄스
(포시/버든)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파일: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png
여우조연상(영화)
제19회
(2013년)
제20회
(2014년)
제21회
(2016년)
루피타 뇽오
(노예 12년)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알리시아 비칸더
(대니쉬 걸)
TV영화/미니시리즈부문 여우주연상
제23회
(2018년)
제24회
(2019년)
제25회
(2020년)
니콜 키드먼
(빅 리틀 라이즈)
에이미 아담스
(샤프 오브젝트)
패트리샤 아퀘트
(이스케이프 인 댄모라)
미셸 윌리엄스
(포시/버든)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여우조연상
제67회
(2014년)
제68회
(2015년)
제69회
(2016년)
제니퍼 로렌스
(아메리칸 허슬)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케이트 윈슬렛
(스티브 잡스)
}}} ||
<colbgcolor=#D5D4D9><colcolor=#000000> 패트리샤 아퀘트
Patricia Arquette
파일:4836.webp
출생 1968년 4월 8일 ([age(1968-04-08)]세)
일리노이 주 시카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배우
활동 1987년 ~ 현재
신체 157cm
학력 로스앤젤레스 센터 포르 엔리쉬드 스터디즈
가족 아버지 루이스 아퀘트, 어머니 브렌다 드놀트
언니 로잔나 아퀘트, 오빠 리치먼드 아퀘트
남동생 데이비드 아퀘트, 여동생 알렉시스 아퀘트
아들 엔조 로시[1] (1989년생)
딸 할로우 올리비아 칼리오페 제인[2] (2003년생)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필모그래피
3.1. 영화3.2. TV
4. 수상5. 여담

1. 개요

미국배우.

2. 생애

1968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루이스[3]는 각종 TV 시리즈에 출연한 배우[4]였으며, 어머니 브렌다[5]는 어린이 극단을 운영했다. 아퀘트는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히피 공동체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배우였던 부모님이 이곳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아버지는 알코올 중독자였고 어머니를 폭력적으로 학대했다고 한다. 그리고 14살 때 아퀘트는 아버지의 불륜 사실을 알게 되자 섹스 피스톨즈의 음반을 챙겨 언니 로잔나와 함께 살기 위해 집을 나갔다. #

18살 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배우가 될지 조산사가 될지 고민하다가 배우의 길을 택했다. 인터뷰에서 "그 선택을 고민하다가 '배우나 조산사가 되는 것보다 용감한 사람이 되고 싶어. 실패와 거절을 경험하면서도 계속해서 노력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배우가 되려고 노력할 거야'라고 다짐했어요. 나 자신에게 1년이라는 시간을 주었습니다. 매일 영화를 공부하고, 수업을 듣고, 오디션을 보러 갔어요. 가끔은 끔찍한 반응도 받았어요. 말 그대로 최악의 피드백이었죠. '이 배우는 우리가 본 최악의 배우야. 왜 우리에게 보냈어?' 같은 반응 말이에요. 하지만 결국 일자리를 얻었죠. 실패를 향한 갈망, 용감해지려는 갈망 덕분에 일자리를 구할 수 있었어요"라고 말했다.
파일:a-nightmare-on-elm-street-3-dream-warriors-kristen-looking-up.jpg
영화 《나이트메어 3: 꿈의 전사》
1987년 19세 나이때 〈나이트메어 3: 꿈의 전사〉의 여주인공 크리스틴 파커 역으로 데뷔했다. 영화는 평도 좋았고 흥행에도 성공했기 때문에, 후속작에도 출연해달라는 제의가 있었으나, 아퀘트는 다른 작품에 참여하기 위해 거절했다고 밝혔다. 인터뷰에서 "4편에도 출연해달라고 했지만, 그때쯤 좀 더 강렬한 역할에 도전하고 있었어요. 마침 〈대디〉라는 십대 임신을 소재로 한 작품을 찍었어요. 공포 장르와 프레디 시리즈를 좋아하지만, 배우로서 다른 것도 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어요"라고 말했다.
파일:true-romance-patricia-arquette-1108x0-c-default.jpg
영화 《트루 로맨스》
1993년 토니 스콧 감독의 범죄 영화 〈트루 로맨스〉에서 자유분방하고 친절한 콜 걸 앨라배마 역을 연기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금까지도 컬트 영화로 유명한 작품이다. 아퀘트 본인도 굉장히 뜻깊은 작품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는데, 인터뷰에서 "배우로서 제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주신 분은 토니 스콧 감독님이세요. 제가 〈트루 로맨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낼 때마다 '좋아! 하자!'라고 말씀하셨어요. 90년대 젊은 여성이었던 저에게 토니 스콧 감독님은 본능을 믿으라고, 본능은 좋은 거라고 가르쳐주셨죠"라고 말했다.
파일:Patricia-Arquette-Lost-Highway.webp
영화 《로스트 하이웨이》
90년대 중후반에는 인디 영화계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이 시기에 팀 버튼 감독의 전기영화 〈에드 우드〉, 레너드 니모이 감독의 코미디 영화 〈트러블 바운드[6]〉, 존 부어만 감독의 스릴러 영화 〈비욘드 랭군[7]〉, 데이비드 O. 러셀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디제스터〉, 매튜 브로더릭 감독의 전기 영화 〈인피니티[8]〉,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스릴러 영화 〈로스트 하이웨이〉, 롤랑 조페 감독의 느와르 영화 〈굿바이 러버〉,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의 영화 〈비상 근무〉 등에 출연했다. 특히 〈로스트 하이웨이〉에서 굉장히 뛰어난 비주얼과 연기를 보여주었다.

2004년 TV 시리즈 〈고스트 & 크라임〉에서 애리조나주 피닉스 지방 검사청의 컨설턴트로 고용된 영매 알리슨 드부아 역을 맡았다. 이 작품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해서 5시즌 동안 방영되었고, 2009년부터 2011년에는 CBS에서 2시즌 더 연장되었다. 아퀘트의 연기도 극찬을 받았으며, 2005년에는 에미상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평론지 콜라이더는 "〈고스트 & 크라임〉은 훌륭한 스토리텔링으로 호평받았지만, 이 드라마를 진정으로 성공으로 이끈 것은 패트리샤 아퀘트의 연기였다"라고 평했다. #
파일:14SCOTT1-articleLarge.webp
영화 《보이후드》
[9]이 처음 저에게 전화를 걸어 12년 동안 해마다 일주일씩 촬영하면서, 한 소년이 1학년에서 12학년이 될 때까지의 이야기를 따라가는 아이디어를 이야기했을 때 저는 바로 흥분해서 참여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제 역할을 맡기로 했고, "아, 내 캐릭터가 뭔지 물어봐야겠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릭이 "엄마 역할을 맡게 될 거야"라고 했고, 저는 대본을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는데, 릭이 "대본이 없어"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제 캐릭터에 일어날 일과 가족에게 일어날 일 등 주요 변화들을 모두 말해 주었습니다. 첫 만남에서 우리는 두 시간 동안 캐릭터에 대한 아이디어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하고 미묘한 변화들을 생각해 보기 시작했습니다.
패트리샤 아퀘트, 보이후드 제작비화 中 #
〈고스트 & 크라임〉이 종영된 2011년부터 잠깐 부진을 겪었지만,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이 12년 동안 촬영한 영화 〈보이후드〉에서 주인공의 어머니 싱글맘 올리비아 에반스 역을 맡아 재기에 성공했다. 이 작품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고, 21세기 최고의 영화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아퀘트의 연기도 큰 호평을 받았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그 해 영화 시상식에서 대부분의 여우조연상을 휩쓸었다. 아카데미상,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크리틱스 초이스상, 골든 글로브상, 인디펜던트 스피릿상, 배우조합상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차지했다.

2015년 CSI 과학수사대 시리즈의 세 번째 스핀오프 〈CSI: 사이버〉의 주인공 에이버리 라이언 역을 맡았다. 그러나 방영 이후 이 작품은 시청률이 높지 않았고, 평단에서도 부정적인 평을 받았다. 평론가들 대부분은 이 작품이 CSI 세계관에 새로운 요소를 더하지 못했으며, 사건과 범죄가 지나치게 과장되고 비현실적이라는 점 때문에 혹평했다.# 결국 시청자들의 호응을 얻지 못하고 CBS는 두 시즌 만에 이 시리즈를 취소했다.

2018년 벤 스틸러가 연출한 미니시리즈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에서 여주인공으로 출연했다. 범죄자 두 명과 불륜 관계를 맺어 이들의 탈출을 돕는 교도소 직원 틸리를 연기했으며, 비평가들에게 호평을 받아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아퀘트는 이 역할을 위해 체중을 늘리기도 했다. 또 이듬해에는 실화를 바탕으로 한 범죄 드라마 〈디 액트〉에서 딸의 질병과 장애를 조작하여 학대한 디 디 블랜차드를 연기했다. 이 작품에서도 열연을 펼쳐 에미상과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22년 벤 스틸러가 연출한 Apple TV+ 드라마 〈세브란스: 단절〉에서 루먼 단절 층의 사장 하모니 코벨 역으로 출연했으며, 이 시리즈의 총괄 제작자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이 작품은 평론가들에게 극찬을 받았으며, 아퀘트의 연기도 호평을 받아 에미상에서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3. 필모그래피

3.1. 영화

<rowcolor=#000000> 개봉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87 나이트메어 3: 꿈의 전사
A Nightmare on Elm Street 3: Dream Warriors
크리스틴 파커 데뷔작
프리티 스마트
Pretty Smart
제로
1988 타임 아웃
Time Out
루시
미네소타 내 사랑
Far North
질리
1989 아저씨는 못말려
Uncle Buck
목소리 출연
1990 롤러보이즈
Prayer of the Rollerboys
케이시
1991 인디언 러너[10]
The Indian Runner
도로시
1992 인사이드 몽키 제터랜드
Inside Monkey Zetterland
그레이스
1993 트러블 바운드
Trouble Bound
킷 칼리포노
이선 프롬
Ethan Frome
매티 실버
트루 로맨스
True Romance
앨라배마 휘트먼
1994 리틀 웨딩
Holy Matrimony
하바나
에드 우드
Ed Wood
케이시 오하라
1995 비욘드 랭군
Beyond Rangoon
로라 보우먼
1996 디제스터
Flirting with Disaster
낸시 코플린
인피니티
Infinity
아를린 그린바움
비밀요원
The Secret Agent
위니
1997 로스트 하이웨이
Lost Highway
르니 매디슨 / 앨리스 웨이크필드
나이트워치
Nightwatch
캐서린
1998 굿바이 러버
Goodbye Lover
샌드라 던모어
하이 로 컨츄리
The Hi-Lo Country
모나 버크
1999 스티그마타
Stigmata
프랭키 페이지
비상 근무
Bringing Out the Dead
메리 버크
2000 리틀 니키
Little Nicky
발레리 베란
2001 휴먼 네이쳐
Human Nature
릴라 주트
2002 데브라 윙거를 찾아서
Searching for Debra Winger
본인 다큐멘터리
뱃지
The Badge
스칼렛
2003 디퍼 댄 딥
Deeper Than Deep
린다 러브레이스
홀즈
Holes
미스 캐서린
팁토즈
Tiptoes
루시
2006 패스트 푸드 네이션
Fast Food Nation
신디
2008 어 싱글 우먼
A Single Woman
스토리텔러 목소리 출연
2012 걸 인 프로그레스
Girl in Progress
암스트롱 씨
어 글림프스 인사이드 더 마인드 오브 찰스 스완 3세
A Glimpse Inside the Mind of Charles Swan III
이지
2013 나의 첫번째 장례식
Vijay and I
줄리아
일렉트릭 슬라이드
Electric Slide
티나
2014 보이후드
Boyhood
올리비아 에반스
2015 더 워너비 - 존 고티
The Wannabe
존 로
2017 피어먼트
Permanent
잔 딕슨
웨이브스 포 워터
Waves for Water
본인 다큐멘터리
2019 토이 스토리 4
Toy Story 4
하모니의 엄마 목소리 출연
아더후드
Otherhood
질리언 리버먼 총괄 제작자
2020 유 캔낫 킬 데이비드 아퀘트
You Cannot Kill David Arquette
본인 다큐멘터리
2023 곤조 걸
Gonzo Girl
클라우디아 영화감독 데뷔작
미정 The Last Disturbance of Madeline Hynde

3.2. TV

<rowcolor=#000000> 방영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87 대디
Daddy
스테이시 TV 영화
1989 디 엣지
The Edge
강간 피해자 TV 영화
1990 CBS 스쿨브레이크 스페셜
CBS Schoolbreak Special
다나 맥칼리스터 시즌 7 3화
써티섬씽
Thirtysomething
스테파니 시즌 3 17화
아웃사이더
The Outsiders
론다 수 시즌 1 2화
메이드 인 할리우드
Made in Hollywood
태미 TV 영화
납골당의 미스터리
Tales from the Crypt
메리 조 시즌 2 9화
1991 딜린저
Dillinger
폴리 해밀턴 TV 영화
와일드플라워
Wildflower
앨리스 거스리 TV 영화
1994 비트레이드 바이 러브
Betrayed by Love
디에나 TV 영화
2005~2011 고스트 & 크라임
Medium
알리슨 드부아
2012 로앤오더 성범죄전담반
Law & Order: Special Victims Unit
제니 컨스 시즌 14 9화
2013~2014 보드워크 엠파이어
Boardwalk Empire
샐리 윗 시즌 4 3화, 6화, 8화~12화
시즌 5 1화, 3화, 4화
2014 CSI 라스베이거스
CSI: Crime Scene Investigation
에이버리 라이언 시즌 14 21화
시즌 15 6화
2015 인사이드 에이미 슈머
Inside Amy Schumer
본인 시즌 3 1화
2015~2016 CSI: 사이버
CSI: Cyber
에이버리 라이언
2018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
Escape at Dannemora
조이스 "틸리" 미첼
2019 디 액트
The Act
디 디 블랜차드
2022~현재 세브란스: 단절
Severance
하모니 코벨 총괄 제작자
2023 하이 데저트
High Desert
페기 뉴먼 총괄 제작자

4. 수상

<rowcolor=#000000> 수상 연도 시상식 부문 작품
1993 제15회 케이블ACE 어워드 영화 및 미니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와일드플라워
2005 제57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드라마 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고스트 & 크라임
2015 제49회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조연상 보이후드
제80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제7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제20회 크리틱스 초이스 영화상 여우조연상
제35회 런던 영화 비평가 협회상 올해의 여우조연상
제40회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여우주연상
제21회 미국 배우조합상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제68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여우조연상
제30회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
제4회 AACTA 국제상 AACTA 국제 여우조연상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2015 제30회 산타바바라 국제 영화제 아메리칸 리비에라상[11]
2017 제28회 글래드 미디어 어워드 글래드 뱅가드상[12]
2019 제76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미니시리즈 및 TV 영화 부문 여우주연상 이스케이프 앳 댄모라
제24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영화 및 미니시리즈 부문 여우주연상
제25회 미국 배우조합상 미니시리즈 및 TV 영화 부문 여자배우상
제71회 프라임타임 에미상 리미티드 시리즈 및 영화 부문 여우조연상 디 액트
2020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영화 및 미니시리즈 부문 여우조연상
2023 제48회 토론토 국제 영화제 그라운드브레이커상[13]

5. 여담

  • 헝제들도 배우인데, 언니로는 로잔나 아퀘트[14]가 있고, 오빠로는 리치먼드 아퀘트가 있다. 동생으로는 데이비드 아퀘트[15], 알렉시스 아퀘트[16]가 있다. 2021년에는 남동생 데이비드의 프로레슬링 도전기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유 캔낫 킬 데이비드 아퀘트'에도 출연했다. 패트리샤 아퀘트는 인터뷰에서 형제들에 대해 "저는 그들을 사랑하고 그들과 어울리는 것을 정말 좋아합니다. 그들은 정말 저를 웃게 만듭니다. 그들은 정말 멋진 사람들입니다"라고 말했다.
  • 1995년 4월, 니콜라스 케이지와 결혼했고, 2000년 2월에 이혼했다. 두 사람이 사실은 결혼 이후 9개월 만에 별거했다는 보도가 있었지만 아퀘트는 이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아퀘트는 인터뷰에서 "싸움 때문에 같이 살지 못했던 적도 있지만, 보도된 것과는 달랐고,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어요. 1997년 어머니가 유방암으로 돌아가실 때, 저는 어머니와 함께 살면서 어머니를 돌보았습니다. 아버지가 영화 촬영 때문에 집을 비운 적도 있었죠. 그게 우리 부부의 일이었어요. 지금도 누구에게도 빚진 게 없다고 생각해요. 사람들이 완전히 잘못된 판단을 하고 나를 어떤 사람으로 규정지으려고 할 때, 그게 참 우습기도 해요"라고 말했다.
  • 2002년에는 토머스 제인과 약혼했고, 2006년에 결혼했다. 그러나 2011년 7월 1일에 "화해할 수 없는 차이점"으로 인해 이혼했다. 이혼은 원만하게 진행되었으며, 두 사람은 자녀에 대한 공동 양육권에 동의했다.
  • 어린 시절 부모님으로부터 치아교정을 제안받았지만 '자신 안에 있는 모습과 어울리지 않을 것 같다'는 이유로 거절했다. 인터뷰에서 "완벽해 보이고 싶지 않았어요. 매력적이기 위해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싶지 않았어요. 그게 제 책임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죠"라고 말했다.
  • 2015년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수상 소감에서 여성도 동등한[17] 임금을 받아야 하고 기회를 받아야 한다는 스피치를 해 동료배우들에게 박수갈채를 받았다. 여배우들 중에서도 연기의 신이라 불리는 메릴 스트립이 이에 격하게 공감한다. 사실 패트리샤 뿐만 아니라 언니 로잔나 역시 2003년 여배우들의 어려운 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데브라 윙거를 찾아서'를 감독한 적이 있다.
  • 어머니가 유방암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난 후, 아퀘트는 유방암 연구 기금 모금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또한 유방암 연구 및 교육 기금을 모금하는 '리 내셔널 데님 데이'의 대변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 2010년 아이티 지진 피해자들에게 집을 제공하는 자선 사업을 시작했으며, 재단 Give Love Foundation을 설립했다. 이 재단은 2년 동안 아이티 지진 피해자 400명을 위해 컨테이너 주택 50채를 건설했다. 또한 "콜레라와 설사를 줄이고 위생을 개선하기 위해 저렴한 퇴비 변기를 도입하고 변기 보급률을 높이는 것"과 "고부가가치 퇴비 제품을 생산하여 토양을 개선하고 농업 부문을 활성화함으로써 아이티의 화학 비료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
  • 2019년 인터뷰에서 "가끔 사람들이 저에 대해 판단을 내리거나, 저를 영웅으로 삼고 싶어 하는 것 같아요. 사회 운동에 힘쓰고, 엄마 역할을 하고, 배우가 되려고 노력하다 보면 정말 지쳐버릴 때가 있어요. 가끔은 이 모든 것에 완전히 지쳐버릴 때도 있어요. 사람들은 제가 실제보다 더 나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저는 그렇게 훌륭한 사람이 아니거든요"라고 말했다.
  • 2022년 인터뷰에서 "나이가 드는 게 정말 좋아요. 이런 온화함이 조금씩 스며들기 시작하는 걸 느껴요. 세상 모든 것을 더 큰 그림으로 보고 있어요. 저는 항상 흑백논리로 판단하는 사람이었어요. 그게 제 천성이었거든요. 하지만 지금은? 회색을 더 많이 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라고 말했다.
  • 2023년 기자가 인터뷰에서 "지금까지의 커리어를 돌아보면 정말 많은 장르에 출연했는데, 혹시 아직도 하고 싶은 장르가 있으신가요?"라고 질문했는데 아퀘트는 "진짜 역사극, 판타지 장르를 해보고 싶어요. 그런 거요. 1800년대 이전의 작품은 많이 해본 적이 없어서요. 정말 재밌을 것 같아요"라고 대답했다.
  • 도널드 트럼프를 굉장히 싫어한다. 2017년에는 트럼프에 반대하는 여성 행진에 참여했다. 2025년 인터뷰에서는 트럼프의 트랜스젠더 인권 탄압을 언급하며 "끔찍해요. 모든 것이 비인간적이고 악몽 같아요. 여성 인권 또한 주마다 곤경에 처해 있어요.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라고 말했다.

[1] 뮤지션 폴 조시 사이의 소생.[2] 전 배우자 토마스 제인 사이의 소생.[3] 프랑스계 캐나다인, 스위스계 독일인, 영국계 혈통[4] 루이스의 아버지 클리프 아퀘트도 배우였다.[5] 아슈케나지 유대인 가문(폴란드와 러시아 출신) 출신이었다.[6] 조셉 고든레빗과 공동 주연을 맡았다.[7] 제48회 칸 영화제에 경쟁 부문에 초청받았지만, 평가는 썩 좋지 않았다.[8] 리처드 파인만의 인생을 그린 전기영화다.[9] 리처드 링클레이터의 애칭.[10] 숀 펜의 연출 데뷔작이다.[11] 미국 영화계에 큰 공헌을 한 배우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 에단 호크와 공동 수상했다.[12] LGBTQ 사람들의 평등과 포용을 증진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업계 인물들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3] 영화 산업의 리더이며 경력 전반에 걸쳐 여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여성에게 수여하는 공로상. #[14] 유명 출연작으로는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특근, 수잔을 찾아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펄프 픽션(마약상의 아내역),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크래시, 그랑블루등이 있다.[15] 영화 스크림 시리즈의 단골 조연 경찰 듀이로 유명하다.[16] 알렉시스는 트랜스젠더다. 이전 이름은 로버트.[17] 소니해킹사태로 아메리칸 허슬에 다른 배우들과 똑같이 주연으로 나온 에이미 애덤스와 제니퍼 로렌스가 남자 출연진보다 수익 배분을 2% 적게 받는등 헐리우드의 여성 임금 차별 문제가 수면에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