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목 | 재생 시간 | 링크 | |
1 | <colbgcolor=#fff,#1F2023> Smells Like Teen Spirit | <colbgcolor=#fff,#1F2023><colcolor=#1F2023,#fff> 5:01 | <colbgcolor=#fff,#1F2023> | |
2 | In Bloom | 4:14 | | |
3 | Come as You Are | 3:39 | | |
4 | Breed | 3:03 | | |
5 | Lithium | 4:17 | | |
6 | Polly | 2:57 | | |
7 | Territorial Pissings | 2:22 | | |
8 | Drain You | 3:43 | | |
9 | Lounge Act | 2:36 | | |
10 | Stay Away | 3:32 | | |
11 | On a Plain | 3:16 | | |
12 | Something in the Way | 3:52 | | |
Hidden track on later pressings | ||||
13 | Endless, Nameless | 6:43 | | |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Smells Like Teen Spirit | |||
싱글 발매일 | 1991년 9월 10일 | ||
싱글 B면 | Drain You, Even in His Youth, Aneurysm | ||
앨범 발매일 | 1991년 9월 24일 | ||
녹음 | 1991년 5월 | ||
수록 앨범 |
| ||
장르 |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 펑크 록 | ||
작사/작곡 | 너바나[1] | ||
프로듀서 | 부치 빅 | ||
러닝 타임 | 5:10 (앨범 버전) 4:36 (싱글 버전) | ||
스튜디오 | 사운드 시티 | ||
레이블 | DGC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싱글 버전 커버 아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1. 개요
너바나의 정규 2집 Nevermind의 오프닝 트랙이자 첫 번째 싱글.2. 곡명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틴 스피릿 | 토비 베일 |
다만 이 설이 거짓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다. 그 근거로는 첫째, 해당 곡이 토비 베일과의 결별 이후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제작된 곡이라는 점. 둘째, 해당 데오드란트가 곡 완성 이후인 1991년에 출시되었다는 점, 셋째, 커트 코베인이 생전 이러한 루머에 대해 상당히 불쾌해 했다는 증언이 존재한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찰스 R. 크로스의 저서인 '커트 코베인의 평전'에서는 곡이 토비 베일 이외에 다른 사람에 대한 노래일 수가 없다고 주장한다. 부모에 대한 증오, 헤로인 중독으로 인한 권태감과 자기혐오 등 많은 것이 가사에 영향을 주기는 했지만 '그녀는 매우 지루해하고 자기 확신에 차 있다'라는 식의 가사, 누락된 가사인 '버림받은 십대들의 세계에서 왕과 여왕이 누구지?' 등 여러 대목에서 토비에 대한 곡임을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음악전문잡지 'SPIN'에서 Nevermind에 대한 8가지 소문을 정리한 기사에 따르면, 커트 코베인은 담벼락에 적힌 짧은 그래피티를 보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는 단지 틴 스피릿이라는 단어에 꽂혔던 것뿐이라, 이 곡이 히트할 때까지 틴 스피릿이라는 명칭이 데오도란트의 상품명이었다는 사실도 몰랐다고 한다.
3. 관련 영상
3.1. 뮤직비디오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Official M/V |
3.2. 라이브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초연 |
그들이 연주하는 곡이 뭔지 몰랐지만 그 곡이 대단하다는 건 알 수 있었다. 나는 위아래로 뛰면서 옆 사람에게 '저게 무슨 곡이에요?'라고 물었던 것이 기억난다. 당시 너바나 홍보 담당자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Live at Paramount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Live at Reading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Live at Top of the Pops |
Load up on drugs, kill your friends 마약에 취한 채로 네 친구들을 죽여버려 커트 코베인 |
<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1994년 2월 25일, 공식적인 마지막 공연 |
4. 가사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0066B1,#0066B1> | }}}}}} Verse 1: Kurt Cobain Load up on guns and bring your friends 총을 장전하고 네 친구들을 데려와 It's fun to lose and to pretend 차이고선 아닌 척하는 건 재밌지 She's over-bored and self-assured 걔는 너무 지루해하고 콧대가 높았어 Oh no, I know a dirty word 음, 내가 더러운 말 좀 아는데 Chorus: Kurt Cobain Hello, hello, hello, how low? (×3) 이봐, 이봐, 이봐, 얼마나 저속한지[4] Hello, hello, hello 이봐, 이봐, 이봐 With the lights out, it's less dangerous 불이 꺼지면, 덜 위험하지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멍청한 게 전염까지 되는 느낌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A mulatto, an albino, a mosquito, my libido 혼혈아, 백색증 환자, 모기, 나의 욕망 Yeah, hey, yay Verse 2: Kurt Cobain I'm worse at what I do best 열심히 하는 걸 제일 못하지 And for this gift I feel blessed 이런 걸 보면 난 정말 축복받은 놈 같아 Our little group has always been 우리는 늘 그렇게 해왔지 And always will until the end 그리고 언제나와 같이, 끝까지 그럴 거야 Chorus: Kurt Cobain Hello, hello, hello, how low? (×3) 이봐, 이봐, 이봐, 얼마나 저속한지 Hello, hello, hello 이봐, 이봐, 이봐 With the lights out, it's less dangerous 불이 꺼지면, 덜 위험하지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멍청한 게 전염까지 되는 느낌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A mulatto, an albino, a mosquito, my libido 혼혈아, 백색증 환자, 모기, 나의 욕망 Yeah, hey, yay Verse 3: Kurt Cobain And I forget just why I taste 그리고 난 (이걸) 왜 맛봐야 하는지 잊어버리지 Oh yeah, I guess it makes me smile 오 그래, 날 웃게 만드니까 그럴 거야 I found it hard, it's hard to find 어렵게 얻은 거야, 구하기 힘든 거라 Oh well, whatever, nevermind 글쎄, 그게 뭐든 간에, 신경 꺼 Chorus: Kurt Cobain Hello, hello, hello, how low? (×3) 이봐, 이봐, 이봐, 얼마나 저속한지 Hello, hello, hello 이봐, 이봐, 이봐 With the lights out, it's less dangerous 불이 꺼지면, 덜 위험하지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멍청한 게 전염까지 되는 느낌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우리가 여기 있잖아, 재밌게 좀 해보지 A mulatto, an albino, a mosquito, my libido 혼혈아, 백색증 환자, 모기, 나의 욕망 A denial (×9) 싫어! |
4.1. 특징
대부분의 그런지 록 음악이 그렇지만 주제의식을 뚜렷하게 드러내지 않고, 언뜻 연결되지 않을 것 같은 단어를 사용한 이미지의 연속으로 불길한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라임인데, 훅 부분을 영어로 발음해 보면 이들은 다 '-o' 모음 종결로 뚜렷한 라임을 이루어 특유의 리듬감을 가지게 된다.가사가, 특히 영어권이 아닌 번역본으로 노래를 접하는 대다수 외국인 입장에서는 다소 난해하지만, 가장 설득력 있는 해석 중 하나는 마약과 그 부작용에 대한 암시다. 이 관점에서 가사를 해석한다면 "마약 파티에서 친구들과 같이 마약을 하면서 약쟁이가 되어 버린 화자가 후에는 마약을 하는 이유조차 잊어버릴 정도로 마약에 깊숙히 중독되었으나 자신의 상태를 강하게 부정한다는 것으로 노래가 끝나는 씁쓸한 내용"이 된다. 영미권 해석, 한국어 해석 커트 코베인은 "곡 전체가 모순된 아이디어들로 구성되어있다. 혁명을 일으키겠다는 생각을 조롱하는 것뿐이다. 괜찮은 발상이었다.(The entire song is made up of contradictory ideas. It's just making fun of the thought of having a revolution. But it's a nice thought.)"라는 코멘트를 남겼다.
2004년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With the Lights Out의 제목이 후렴구에서 따온 것이다.
5. 평가
너바나의 시그니처 송이자 1990년대 록 음악의 판도를 뒤바꾼 기념비적인 명곡. 너바나의 모든 노래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노래임은 물론, 가장 유명한 1990년대 싱글 중 하나이다. 또한 당대 빌보드 차트에서 대중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인디 밴드였음에도 빌보드 Hot 100에서 무려 6위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1990년대 이 노래가 불러일으킨 신드롬은 엄청나다고 볼 수 있다. 사실상 이 곡 하나 때문에 록 음악 장르의 대세가 1980년대 잉베이 말름스틴으로 대변되는 기타리스트의 솔로 테크닉과 화려한 비주얼이 중시되는 글램 메탈의 정반대의 성향을 띠는 얼터너티브 록으로 바뀌게 되었다. 즉, 곡 자체도 명곡이지만, 불과 한달 전까지 이러다간 메탈 씬이 마치 클래식처럼 연주자와 청중이 분리되어 점점 듣는 사람들만 듣는 고립된 장르로 굳어질 거라는 걱정까지 있던 판에 이 한 곡을 터뜨려 영미권 대중음악의 판도를 완전히 뒤바꿔놓았다는 점 때문에 더더욱 높게 평가를 받는 명곡이다.그리고 이 곡 이후 실제로 2차 개러지 록, 얼터너티브 록의 부흥기가 다시 찾아와 너도 나도 이 곡을 커버하며 록 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고, 그런지 록이라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실제로는 별 의미가 없는, 단순히 공격적인 단어들을 라임에 맞추어 나열한 것에 불과한 가사에도 불구하고, 강렬한 훅과 파워 코드로 이루어진 리프 때문에 20세기 위대한 팝, 록 순위에서도 상위권에 오르는 명곡이다. 리프는 더 킹스멘의 Louie Louie, 트로그스의 Wild Thing, 보스턴의 More Than a Feeling의 영향을 받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이 곡은 앨범 발매 당시 밴드와 관계자들의 예측을 깨고[5]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1992년 1월 Nevermind가 마이클 잭슨의 Dangerous를 제치고 빌보드 200 1위를 차지하는 데 일조하였다. 커트 코베인의 자살과 너바나의 해체 이후에도 이 곡은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쳤으며, 21세기에도 많은 평론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에 의해 최고의 록 음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 [ 매체별 평가 목록 펼치기 · 접기 ]
- * 2000년에 MTV와 롤링 스톤 지에서 선정한 100개의 팝 음악 중에는 비틀즈의 'Yesterday'와 롤링 스톤스의 '(I Can't Get No) Satisfaction'에 이어 3위를 차지하였다.
- 2001년 미국 음반 산업 협회(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에서 발표한 'Songs of the Century' 프로젝트에서는 80위를 차지하였다.
- 2003년 미국의 방송사인 VH1에서는 '100 Greatest Songs of the Past 25 Years'에서 곡을 1위에 선정했다.
- 2004년 롤링 스톤지는 새롭게 발표한 'The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에서 곡을 9위에 올리며 곡의 영향을 '엄청난 순수함의 충격파로 그 때까지 남아있던 80년대의 음악을 하룻밤 만에 대중음악 지도에서 사라지게 만들었다'[6]라고 평가했다.
- 2006년에 있었던 VH1의 영국 지부인 VH1 UK에서 실시한 'The Nation’s Favourite Lyric'이란 투표에서는 13,000명이 넘는 투표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곡의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 here we are now, entertain us'라는 구절이 가장 좋아하는 가사 중 3위로 뽑히기도 하였다.
1991년 발매되어 앨범의 역주행과 함께 역주행하였으며, 1992년 빌보드 핫 100 6위까지 오르는 성과를 보였다. 이후 1992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 32위를 기록하였다.
6. 커버
시대를 풍미한 명곡인 만큼 수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편곡이 되었고, 지금도 편곡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피아니스트이자 송라이터인 토리 에이모스가 피아노 버전으로 편곡했으며, 코베인 본인은 이를 두고 "좋은 아침 시리얼 버전"이라고 평했다 한다. 그 외 인더스트리얼 록 버전, 신디사이저 버전, 비트박스 버전, 펑크 버전, 스윙 버전 등 수많은 바리에이션이 탄생한 바가 있다.<colbgcolor=#0066B1,#0066B1><colcolor=#fff> |
"Weird Al" Yankovic - Smells Like Nirvana |
What is this song all about? Can't figure any lyrics out 이 노래는 뭘 말하고 싶은 거지? 가사를 못 알아먹겠네 위어드 알 얀코빅 |
- 미국의 패러디 가수인 위어드 알 얀코빅이 이 노래를 패러디했다. 패러디 가사는 '너바나 노래들의 가사가 뭔 말인지 당최 못 알아 듣겠다'고 까는 내용. 얀코빅이 커트 코베인에게 연락을 취하자 코베인은 얀코빅이 음식에 관한 가사로 패러디해 유명해진 것을 알아서 음식 관련된 노래냐며 처음엔 노심초사였지만, '사람들이 당신 노래 가사 못 알아듣겠다는 내용임'이라고 하자 흔쾌히 패러디를 허락하고 무대 의상까지 빌려줬다고 한다. 밴드 멤버 전원은 노래를 듣고 폭소했다고 전해진다.
커트 코베인은 이 영상을 보고 나서야 자신들이 성공했다는 것을 실감했으며, "이 노래는 얀코빅이 완성한 노래다" 라면서 매우 흡족해 했다고 한다. 뮤직비디오도 원본을 아는 사람이 보면 뒤집어질 만큼 웃기게 만들었다. 촬영 장소도 원작과 같은 데를 쓰고 출연 배우도 최대한 똑같이 불러서 찍었다고 한다.* # 토리 에이모스의 어쿠스틱 피아노 버전.* # 일본의 락 밴드 ONE OK ROCK의 커버. 후반부에 드러나는 원 오크 락만의 색채가 인상적이다.* 재즈 버전. The Bad Plus라는 밴드의 곡이다. 잔잔하지만 원곡이 떠오르는 인트로와 1:50부터 시작되는 각 악기별 미친 존재감 뽐내기. 특히 4분 30초경부터는 정말 압권일 정도로 놀라운 플레이를 보여준다.* 재즈 힙합 + 네오소울 버전. 블랙뮤직의 끝을 보여주었다고 평가되는 재즈 피아니스트 로버트 글래스퍼가 결성한 밴드 '로버트 글래스퍼 익스페리멘트(Robert Glasper Experiment)'가 커버한 버전이다. 듣다보면 우주가 보인다. 감미로운 글래스퍼의 코드 워킹과 더불어 드러머 마크 콜런버그, 맥스웰의 베이시스트였던 데릭 호지의 끈적한 리드밍과 케이시 벤자민의 보코더 플레이가 어우러져 상당히 세련되고 드라이한 느낌을 준다. 하이라이트는 2:41과 3:20.* 고대 로마 버전. 라틴어 개사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다.* # 한때 이바디의 호란과 윤도현, 과거 윤도현의 러브레터의 음악감독이던 강승원이 가을 특집 합작 밴드 '술김에'를 결성한 적이 있는데, 그때 부른 노래가 바로 이 곡이다.* 2015년 영화 팬에서 등장하는데, # 영화 초반에 나오고 휴 잭맨이 맡은 검은수염이라는 캐릭터가 영화 전체적으로 읆조리는 노래이기도 하다. 영화의 평가는 영 좋지 않지만 이 곡에 대한 평은 좋다.* 가수 Malia J가 커버한 버전이 2021년 영화 블랙 위도우의 오프닝에 쓰였다.*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곡인만큼 좋지 않은 커버도 꽤 있다.* 2007년 8월 7일, SBS 음악공간에서 미로밴드가 커버한 버전의 Smells Like Teen Spirit이 방영되었는데, 이 방송으로 인해 인지도가 없던 그들은 안 좋은 의미로 유명세를 타게 된다. 2007년 당시 혜성같이 등장해 음악계에 커다란 분노를 피워올린 밴드라는 절대적인 세간의 평가와 함께. 인디밴드를 대체적으로 옹호하는 인디 음악 리스너들조차도 강하게 비판했다고 한다. 이와 동시에 밴드의 보컬이자 리더인 미로(서동천)는 서세원의 아들이란 점도 밝혀졌고, "가창력이 문제다, 발음이 개판이라서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낙하산이다, 아빠 빽이 있으니까 두려울 게 없지." 등 락 갤러리를 비롯한 여러 갤에서 두고두고 까였다. 미로는 홈페이지에 사과문까지 올렸지만, 이미 게시판은 비난과 욕으로 도배된 상태였다. 해당 홈페이지는 이미 폐쇄가 된지 오래라서 볼 수는 없다.* '일본의 수치'라는 태그까지 달렸던 Kirito의 커버 버전. 하지만 단독 라이브라 관객 반응만은 좋다.
6.1. 조언
치밀한 곡의 구성과는 다르게 리프가 치기 쉽다 보니, 아마추어 밴드에서 정말 많이 커버하는 곡이기도 하다. 원곡대로 연주하려면 중간의 기타 리프 및 기타 솔로 때문에 기타가 두 대 필요하며 파워코드 위주의 펑크록 대부분이 그렇듯 기타의 난이도가 쉬운 편이라 초심자에게 많이 추천되는 곡이기도 하다. 게인을 올리고 무지성으로 연주해도 그럴 듯한 소리가 나서 즐겁게 합주할 수 있다는 것이 그런지 음악의 장점 중 하나.원체 커트 코베인 본인이 복잡한 이펙터를 쓰는 것을 싫어했기 때문에 톤 뽑는 것도 많이 어렵지는 않다. 연주 역시 4개의 코드만이 반복되는 구조에다 운지법도 쉽고 리프도 간단한 편이라 입문 난이도가 제법 낮은 편이다.[7] 이는 기타 리프를 거의 따라가는 베이스도 마찬가지. 하지만 드럼은 복잡한 플램 구조와 코러스 부분의 난해한 엇박[8]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한 편이다.
문제는 보컬 파트인데, 역시 커트의 절규하는 듯한 보컬이 제일 어렵다. 막상 합주를 해보면 이 곡을 제대로 된 느낌으로 부르는 보컬을 보기가 참 힘들다. 인디 밴드답게 깔끔한 믹스보이스 대신 육성 벨팅으로 질러대는 곡인데, 커트 코베인 본인이 상당히 고음역대 보컬이었고 또 은근히 노래 맛을 살리는 걸 잘 해서 굉장히 커버하기 어렵다. 일단 멜로디 자체도 계속 반복되는 음으로 되어 있어 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똑같은 멜로디를 계속 다르게 살려내야 지루하지 않다. 음역 역시 아주 넓어서 까다로운데 저음으로 중얼거리는 듯한 부분[9]부터 후렴에는 보통 남자들이 내기 어려운 파사지오 구간 고음 B♭4-A♭4(2옥타브 시♭-라♭)가 계속 등장한다. 한 번 찍고 내려오는 것이 아니고, 후렴 멜로디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것.
이 구간은 두성과 흉성이 교차하는 구간으로, 이 부분을 내려면 목의 힘으로 악쓰듯이 부르거나, 성대조임근을 조져서 벨팅으로 내거나, 두성과 흉성을 섞어 믹스보이스를 내는 등 최소 중급 이상의 발성 스킬이 필요하다. 이러니 일반적인 아마추어 보컬은 부르다보면 한두번은 어찌어찌 고음을 내도 후반부쯤 되서는 힘이 딸리고, 믹스보이스를 쓰는 보컬은 음은 깔끔하게 내도 커트가 내는 것 같은 강렬한 파워는 부족하게 되는 것. 결국 벨팅 테크닉을 익혔거나, 아니면 애초에 커트 코베인처럼 2옥시~3옥도 구간을 육성으로 질러댈 수 있는 타고나게 흉성이 높은 스타일의 보컬이어야 비슷하게 맛을 살릴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7. 여담
- 발매 당시 배철수가 라디오 방송 도중 "미국 락에 일대 혁명이 일어났습니다!"라는 멘트를 했다는 소문이 있다. 다만 본인은 부정했다.
- 미국의 프로레슬러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는 이 곡을 어레인지한 'Self High-five'라는 곡을 WCW와 TNA 시절 자신의 등장 테마곡으로 사용했었다.
- 손규호 작가의 웹툰 기타맨 12화에서 포츠만이 이 곡을 연주한다. 학교 방송실에 들어가 연주하는 모습은 20세기 소년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 JAY-Z의 노래 'Holy Grail'에 샘플링으로 사용되었다.
- 한동안 유튜브 검색창에서 이 곡을 검색하면 자동완성으로 'Smells Like Team Spirit'이라고 출력되었다. Teen이 10대를 의미하기 때문에 아동 청소년 보호 알고리즘이 이렇게 바꿨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두 가지 버전 모두로 검색 가능하다.
8. 둘러보기
<colbgcolor=#000><colcolor=#DAA520>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작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 작품명 | <colcolor=#373a3c,#ddd> Smells Like Teen Spirit |
종류 | 노래 | |
아티스트 | 너바나 | |
헌액 연도 | 2017년 |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BFC5DE,#BFC5DE><colbgcolor=#000000> 1위 | Like a Rolling Stone |
2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
3위 | A Day In The Life | |
4위 | Good Vibrations | |
5위 | Johnny B. Goode | |
6위 | Respect | |
7위 | Be My Baby | |
8위 | What's Going On | |
9위 | 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 |
10위 | (I Can't Get No) Satisfaction | |
11위 | Billie Jean | |
12위 | Heartbreak Hotel | |
13위 | Born to Run | |
14위 | My Generation | |
15위 | Love Will Tear Us Apart | |
16위 | God Only Knows | |
17위 | (Sittin' On) The Dock of the Bay | |
18위 | Hey Ya! | |
19위 | Anarchy in the UK | |
20위 | Paper Planes | |
21위 | London Calling | |
22위 | Sympathy for the Devil | |
23위 | Strawberry Fields Forever | |
24위 | Tutti Frutti | |
25위 | Stairway to Heaven | |
26위 | The Message | |
27위 | What'd I Say | |
28위 | Imagine | |
29위 | A Change Is Gonna Come | |
30위 | "Heroes"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21년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fff><colbgcolor=#D32531> 1위 | Respect | ||
2위 | Fight the Power | |||
3위 | A Change Is Gonna Come | |||
4위 | Like a Rolling Stone | |||
5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
6위 | What's Going On | |||
7위 | Strawberry Fields Forever | |||
8위 | Get Ur Freak On | |||
9위 | Dreams | |||
10위 | Hey Ya! | |||
11위 | God Only Knows | |||
12위 | Superstition | |||
13위 | Gimme Shelter | |||
14위 | Waterloo Sunset | |||
15위 | I Want to Hold Your Hand | |||
16위 | Crazy in Love | |||
17위 | Bohemian Rhapsody | |||
18위 | Purple Rain | |||
19위 | Imagine | |||
20위 | Dancing on My Own | |||
21위 | Strange Fruit | |||
22위 | Be My Baby | |||
23위 | "Heroes" | |||
24위 | A Day In The Life | |||
25위 | Runaway | |||
26위 | A Case of You | |||
27위 | Born to Run | |||
28위 | Once in a Lifetime | |||
29위 | Nuthin' but a ‘G’ Thang | |||
30위 | Royals | |||
3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롤링 스톤 선정 너바나 102대 명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2019년 롤링 스톤지가 'All 102 Nirvana Songs Ranking'을 선정. | |
<colcolor=#fff><colbgcolor=#D32531> 1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
2위 | In Bloom | |
3위 | Sliver | |
4위 | Breed | |
5위 | Something in the Way | |
6위 | Dive | |
7위 | Lithium | |
8위 | About a Girl | |
9위 | Drain You | |
10위 | Where Did You Sleep Last Night | |
11위 | Pennyroyal Tea | |
12위 | Heart-Shaped Box | |
13위 | All Apologies | |
14위 | Serve the Servants | |
15위 | Negative Creep | |
16위 | School | |
17위 | Come as You Are | |
18위 | Love Buzz | |
19위 | Territorial Pissings | |
20위 | Dumb | |
21위 | You Know You're Right | |
22위 | Blew | |
23위 | Been a Son | |
24위 | Scentless Apprentice | |
25위 | Frances Farmer Will Have Her Revenge on Seattle | |
26위 | Lake of Fire | |
27위 | Molly's Lips | |
28위 | On a Plain | |
29위 | Polly | |
30위 | Aneurysm | |
31위 | Rape Me | |
32위 | Sappy | |
33위부터는 롤링 스톤지 참조. |
<rowcolor=#E2001A> NME 선정 500대 명곡 | ||
<rowcolor=#E2001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E2001A><colbgcolor=#FFED00> 1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2위 | Love Will Tear Us Apart | |
3위 | I Feel Love | |
4위 | How Soon Is Now? | |
5위 | Last Nite | |
6위 | Common People | |
7위 | I Bet You Look Good on the Dancefloor | |
8위 | Blue Monday | |
9위 | Be My Baby | |
10위 | Good Vibrations | |
11위 | Eleanor Rigby | |
12위 | There Is a Light That Never Goes Out | |
13위 | Live Forever | |
14위 | God Only Knows | |
15위 | "Heroes" | |
16위 | Seven Nation Army | |
17위 | A Day In The Life | |
18위 | Hey Ya! | |
19위 | Heart of Glass | |
20위 | Girls & Boys | |
21위 | Ghost Town | |
22위 | There She Goes | |
23위 | Waterloo Sunset | |
24위 | Hurricane | |
25위 | Wake Up | |
26위 | Losing My Edge | |
27위 | God Save the Queen | |
28위 | Time for Heroes | |
29위 | Gimme Shelter | |
30위 | Once in a Lifetime | |
31위부터는 문서 참조 같이 보기 : NME 선정 500대 명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3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heTopTens가 투표를 통해 선정한 10대 명곡 순위이다. # | ||
<colbgcolor=#e2a029,#e2a029><colcolor=#ffffff,#ffffff> 1위 | Bohemian Rhapsody | ||
2위 | Stairway to Heaven | ||
3위 | Imagine | ||
4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
5위 | One | ||
6위 | Hotel California | ||
7위 | Comfortably Numb | ||
8위 | Hey Jude | ||
9위 | A Day In The Life | ||
10위 | Sweet Child O' Mine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2007년에 VH1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로 선정한 목록이다. VH1의 "The Greatest" 시리즈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총 3개의 목록이 선정되어있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 | | | |
너바나 | U2 | 백스트리트 보이즈 | 휘트니 휴스턴 | 마돈나 | |
Smells Like Teen Spirit | One | I Want It That Way | I Will Always Love You | Vogue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 | | | |
Sir Mix-a-Lot | 브리트니 스피어스 | TLC | R.E.M | 시네이드 오코너 | |
Baby Got Back | ...Baby One More Time | Waterfalls | Losing My Religion | Nothing Compares 2 U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 | | | | |
펄 잼 | 앨라니스 모리셋 | 닥터 드레 & 스눕 독 | 머라이어 캐리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
Jeremy | You Oughta Know | Nuthin' but a ‘G’ Thang | Vision of Love | Under the Bridge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 | | | | |
MC 해머 | 데스티니스 차일드 | 메탈리카 | 비스티 보이즈 | 핸슨 | |
U Can't Touch This | Say My Name | Enter Sandman | Sabotage | MMMBop | |
21위부터는 출처1 / 출처2 / 출처3 참조. | |||||
같이 보기: 80년대, 00년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 | BBC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2014년 영국방송공사가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로 꼽은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의 목록이다. | ||
<colcolor=#fff><colbgcolor=#000> 1위 | Whole Lotta Love | ||
2위 | Sweet Child O' Mine | ||
3위 | Back in Black | ||
4위 | Smoke on the Water | ||
5위 | Layla | ||
6위 | How Soon Is Now? | ||
7위 | Down Down | ||
8위 | Money for Nothing | ||
9위 | You Really Got Me | ||
10위 | Money | ||
11위 | Ziggy Stardust | ||
12위 | Purple Haze | ||
13위 | Motorcycle Emptiness | ||
14위 | 20th Century Boy | ||
15위 | Do I Wanna Know? | ||
16위 | Enter Sandman | ||
17위 | Johnny B. Goode | ||
18위 | The Spirit Of Radio | ||
19위 | Livin' on a Prayer | ||
20위 | Smells Like Teen Spirit | ||
21위 | All Right Now | ||
22위 | Oh Well | ||
23위 | Sweet Home Alabama | ||
24위 | Sunshine of Your Love | ||
25위 | Seven Nation Army | ||
26위 | Paranoid | ||
27위 | (I Can't Get No) Satisfaction | ||
28위 | The Riverboat Song | ||
29위 | Day Tripper | ||
30위 | Alive | ||
31위부터는 링크 참조. |
}}}}}}}}} ||
[1] 앨범 내에서 세 멤버가 모두 제작에 참여한 유일한 곡이다.[2] 나중에 더 스미스의 모리세이를 흉내낸 것이라고 밝혔다.[3] 이 때문에 '커트 코베인 마이크 먹는 동영상(Tastes Like Used Microphone)'으로 널리 알려져 있기도 하다.[4] Hello를 Hell low로도 들을 수 있는 말장난이기 때문에 '너무 최악이야, 이 얼마나 저속해?'로 중의적 해석이 가능하다.[5] 당시 헤비메탈이 유명 밴드들의 연이은 망작 발표, 록 씬에 점철된 매너리즘으로 망조가 보이고 있긴 했다지만, 그 누구도 방금 전까지 유행하던 주류와 정확히 정 반대의 음악이 이렇게까지 성공할 것이라 예측하진 못했다. 너바나의 이전 앨범인 Bleach가 약 35,000장으로 그다지 유명세를 떨치지 못한 것과 같이 이 앨범의 판매량을 적게(10만 언저리) 보고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수백만 장이 팔리는 기염을 토하게 된다.[6] A shock wave of big-amp purity, wiped the lingering jive of the Eighties off the pop map overnight.[7] 다만 스튜디오 녹음 버전 기준으로 원곡의 느낌을 살리는 건 의외로 쉽지 않다. 이 동영상에 의하면 간단한 리프라고 얕보다가 틀리는 커버 사례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렇게 7단계 과정을 거쳐야 원곡과 거의 비슷하게 연주할 수 있다.[8] 점음표 패턴과 셰이크+더블 킥 패턴이 반복되는 구조로 손발이 꼬이기 쉽다. 그리고 코러스 후반부는 1박자마다 쳐야 하는 크래시 심벌 패턴까지 더해져 손발이 더욱 꼬이기 쉽다.[9] Hello hello hello how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