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SPRUNKI/모드|SPRUNKI/모드]]
1. 개요
스프런키의 리테이크 시리즈 모드(Retake)에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2. 모드 설명
3. 원본 리테이크
Cocrea 버전[1]복구 버전제작자는 coolskull212[2][3]와 gavinmiddleton[4].
스프런키의 모드들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원본과 비슷한 듯 다른 듯한 각 캐릭터들의 음성이나 멜로디가 다르며 디자인도 다른 게 특징이다.
호러 버전의 생존자는 그레이와 미스터 펀 컴퓨터이고, 외상이 있는 생존자는 펀 봇,[5] 브러드,[6] 제빈[7]으로 생존자는 총 5명 이다.
Sprunked와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블랙을 스테이지에 놓을 수 있고, 그럴 시 바로 호러 버전으로 변하는 것이 아닌 블랙이 페이즈가 지날 때까지 노래를 하다 갑자기 돌변하며 호러 버전이 활성화된다.[8] 호러 버전에서의 스프런키들의 외모도 원작과는 달라졌다. 원작에서 일부는 부상 없이 생존한 스프런키가 여기선 변이하거나 부상, 죽음을 겪은 스프런키로 변경했다.[9]
Bailery는 BananaChitoz_21의 자캐, Aurelia는 tzbun의 자캐, Parker는 coolskull212의 자캐, 보이프렌드는 gavinmiddleton의 디자인으로 만들어지고 무루나&와이럼은 justanotherflumptydon의 자캐, 마드는 공식, 미스터 베어는 NaturalColours의 자캐이다 참고로 6번째인 라리오는 최종 업데이트 전에는 호러 버전을 설정한 상태에서 상호작용할 시 오른쪽으로 사라졌었다(...) 사라지자 불평하는 남성의 말은 덤.[10]
===# 캐릭터 #===
폴로 Polo | |
오렌 Oren | |
<nopad> | |
| |
<colbgcolor=#ff6f00><colcolor=#fff> 색상 | 주황 |
성별 | 남성 |
소리 | 킥드럼 (해피 버전) 심장 박동 & 킥드럼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레디 Raddy | |
<nopad> |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색상 | 빨강 |
성별 | 남성 |
소리 | 스네어드럼 (해피 버전) 탁한 스네어드럼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클루커 Clukr | |
<nopad> | |
| |
<colbgcolor=#B9BEBF><colcolor=#fff> 색상 | 은색 |
성별 | 남성 |
소리 | 라이드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사운드는 기존과 같은 하이햇. 입을 다물고 있으며 시선은 심벌즈 대신 좌우를 향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에 초점이 없으며 움직임이 딱딱해졌다.
펀봇 Fun Bot | |
<nopad> | |
| |
<colbgcolor=#FEC633><colcolor=#fff> 색상 | 은색&금색 |
성별 | 논바이럴 혹은 남성 |
소리 | 아멘 브레이크(해피버전) 아멘 브레이크 + 오류창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부상 |
비네리아 Vineria | |
<nopad> | |
| |
<colbgcolor=#4DFE5A><colcolor=#fff> 색상 | 초록 |
성별 | 여성 |
소리 | 하이헷[13]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그레이 Gray | |
<nopad> 파일:RT 그레이.png | |
| |
<colbgcolor=#7f7f7f><colcolor=#fff> 색상 | |
성별 | 남성 |
소리 | 베이스 신디사이저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생존 |
브러드 brud | |
<nopad> 파일:RT 브러드.png | |
| |
<colbgcolor=#804400><colcolor=#fff> 색상 | 갈색 |
성별 | 남성 |
소리 | 아고고벨 (해피버전) 칩 노이즈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부상 |
가놀드 Garnolg | |
<nopad> 파일:RT 가놀드.png | |
| |
<colbgcolor=#FEC633><colcolor=#fff> 색상 | 금색 |
성별 | 남성 |
소리 | 아르페지오 신디사이저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오왁크스 OWAKCK | |
<nopad> 파일:RT 오왁크스.png | |
| |
<colbgcolor=#A5FF00><colcolor=#fff> 색상 | 연두 |
성별 | 남성 |
소리 | 크레쉬 심벌 (해피버전) 썬더 드럼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스카이 Sky | |
<nopad> 파일:RT 스카이.png | |
| |
<colbgcolor=#4DF6FF><colcolor=#fff> 색상 | 하늘색 |
성별 | 남성 |
소리 | 오르골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미스터 썬 Mr.Sun | |
<nopad> 파일:RT 미스터 썬.png | |
| |
<colbgcolor=#FFE900><colcolor=#fff> 색상 | 노랑&주황 |
성별 | 남성 |
소리 | 피아노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비정상화 |
더플 Durple | |
<nopad> 파일:RT 더플.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보라색 |
성별 | 남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비정상화 |
미스터 트리 Mr. tree | |
<nopad> 파일:RT 미스터 트리.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사이먼 Simon | |
<nopad> 파일:RT 사이먼.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터너 Tunner | |
<nopad> 파일:RT 터너.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미스터 펀 컴퓨터 Mr. fun compter | |
<nopad> 파일:RT 미스터 펀 컴퓨터.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웬다 Wenda | |
<nopad> 파일:RT 웬다.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핑키 Pinki | |
<nopad> 파일:RT 핑키.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제빈 Jevin | |
<nopad> 파일:RT 제빈.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파랑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블랙 Black | |
<nopad> 파일:RT 블랙.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색상 |
===# 보너스 캐릭터 #===
설정에서 '보너스 캐릭터들'이라는 버튼을 활성화하면 위에서 총 7개의 캐릭터가 나온다. 설정 상 모두 성인 캐릭터. 왼쪽부터 오른쪽 순서이다
발레리 Bailery | |
<nopad> 파일:스프런키.png | |
| |
<colbgcolor=#999999><colcolor=#fff> 색상 | |
성별 | 남성 |
소리 | 없음 (해피버전) 없음 (호러 버전) |
생존여부 | 사망 |
*Aurelia [한글이름2]
하늘색 해파리 캐릭터이며 종소리를 낸다. 성격은 수줍어 하며 외로워 하고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걸 힘들어해 혼자 있는 편이며, 의외로 약간 바보이며 순진하고 얘기를 거의 믿으며 호기심이 강하다. 보통은 과묵한 성격이며 시끄러운 소리를 안 좋아한다. Parker와 연인 사이. 호러 버전에서의 사인은 해파리 촉수에 목이 감긴 것이며, 암울하고 노이즈가 낀 끊기는 듯한 종소리를 낸다.
*Parker [한글이름3]
종이에 펜으로 휘갈겨 그려진 듯한 모습에, 머리에 화살이 박힌 모양의 헤드밴드를 쓴 캐릭터. 비트 소리를 낸다. 바보같으면서 4차원 캐릭터. 바로 왼쪽 Aurelia와는 연인 사이. 호러 버전에선 머리가 일부 잘린 상태로 부상당했으며 화면을 응시하고 있다. 또한 비트 소리가 달라지고 마지막엔 오류음 비슷한 소리를 낸다.
*Sonic.exe [한글이름4]
우리가 아는 sonic.exe다. 해피 버전에선 sonic.exe의 대사들이 나오고[대사], 호러 버전에선 눈동자가 없는 화난 표정으로 알 수 없는 말들을 속사포로 내 뱉는다. 또한 두버전 다 sonic.exe의 추격전 음악을 살짝 변경한 음을 낸다.
*boyfriend [한글이름5]
FNF의 주인공인 그 남자친구가 맞다. 입을 막고 비트를 연주한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이 없어지는 것만 빼면 해피 버전과 동일하다. 단 멜로디는 다르다.
*Lario [한글이름6]
원본이란 같다. 해피 버전에서의 그나마 차이점이라면 원작에서는 다른 스프런키들과 비슷한 너비라서 세로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나오지만, 여기서는 그대로 나와서 가로로 긴 직사각형로 나온다. 호러 버전에선 Lario.exe 가 되며, 옆의 노움 두 마리와 가운데의 큰 쥐가 피눈물을 흘리며 sonic.exe의 해피 버전 눈과 비슷해진다. 그리고 두 루프에 걸쳐서 하던 가사를 한 루프에 몰아서 하며 노래와 같이 나오는 멜로디가 매우 빨라지고 시어도어 박사의 소리가 들린다.
*kitty [한글이름7]
미스터 펀 컴퓨터와 비슷한 모자를 쓰고 롤리팝을 든 실사 고양이이며, 중간중간 사탕을 핥아먹는다. 호러 버전에서는 눈이 슬퍼지고 음이 더 많아지며 사탕을 한 번에 세 번씩 핥는 것 외에는 딱히 다른 점은 없다.
*Mroona&Wyrum [한글이름8]
두 명이 하나의 캐릭터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와이럼이 사라지고 무루나의 표정이 맛간 채 크기가 살짝 커지며, 신체가 군데군데 돌출되어 있다. 복부에 꿰멘 자국이 있다. 모종의 이유로 와이럼이 무루나의 몸의 기생충을 심었거나, 누군가가 무루나의 몸에 와이럼을 넣은 걸로 보인다.
*Mard [한글이름9]
기타를 치며, 소리는 인크레디박스의 모드 중 하나인 Mustard 모드의 멜로디 5인 하이하이다. 호러 버전에서는 마리오네트 처럼 팔이 묶여있고 머리에 기타가 박혀있다. 누군가에게 강제로 조종당하고 머리를 기타에 박아 죽은 모양. 호러 버전에선 움직임이 없으며, 미스터 트리와 다르게 어떠한 효과도 없다.
*Mr. Bear [한글이름10]
일반 버전에서는 오르골 소리와 로블록스의 곰 인형 아이템 소리를 내고, 호러 버전에서는 정수리가 갈라져 있고 프레디 파즈베어의 웃음소리와 폰가이가 전화를 걸때 나오는 소리, 몬스터 합창단의 나이트 베어의 소리를 낸다. 정황상 누군가 미스터 베어의 머리를 둘로 갈라버린 모양.
4. Sprunki Retake Para
5. Sprunki Chaotic good(스프런키 혼돈의 날)
링크 제작자는 Hisro.스프런키 리테이크를 리믹스한 모드다
이 모드의 특징은 캐릭터들이 리테이크와는 완전 다르다. 호러 버전의 생존자는 클루커, 그레이, 펀 봇 ,브러드(추정), 스카이, 미스터 펀 컴퓨터, 웬다, 제빈이다. 이 중 외상이 없는 생존자는 클루커, 그레이, 스카이, 웬다, 제빈이다.[32] 이 모드는 대부분의 캐릭터를 죽이거나 감염을 시킨 장본인이 웬다가 아니라 그레이로 추정된다.[33]
5.1. 캐릭터
6. 여담
2025년 1월 2일 최종 업데이트를 하였다. 기존 캐릭터들은 디자인 변경, 일부 애니메이션 모션 추가와 함께 미스터 펀 컴퓨터의 가사가 인게임에서 출력되고 호러 버전의 미스터 트리에서 임팩트 효과가 추가되는 등의 업데이트가 되었으며[34], 호러 버전 제빈은 입이 오른쪽에 달린 외형에서 부상을 입은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라리오의 호러 버전이 생겼으며, 호러 버전의 키티는 약간의 애니메이션이 생겼다.업데이트 전 호러 버전의 제빈의 모습이 식물 대 좀비의 콩슈터와 비슷하게 생겨서 이와 관련된 밈이 많았다. 모티브는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였다. 호러 버전의 상황을 보면 적절한 패러디. 허나 이 모티브가 제대로 전해지지 않았거나 그냥 제작자가 마음에 안 들어 바꾼 모양. 마지막 업데이트의 호러 버전 제빈은 Mouthwashing에 등장한 컬리가 모티브다.. 모티브에 대한 설명은 갤러리에 있다.
[1] 한때 Sprunki의 Cocrea 사이트와 같이 과도한 접속으로 서버가 터져 접속이 막힌 것으로 Cocrea에서 추방 당하는 메세지가 나온다. 현재는 고쳐서 접속이 된다.[2] 캐릭터들의 보이스나 멜로디, 코딩 등을 담당하였다.[3] 공식 트위터 계정[4] 캐릭터들의 애니메이션들을 담당하였다.[5] 화면이 부셔졌고 화면에 에러가 뜬다.[6] 눈 한쪽이 사라졌으며 눈이 충혈 됐고 양동이가 사라졌고 한 쪽눈이 없어진 자리에 피가 난다.[7] 얼굴이 붕대로 감싸져있다. 구 버전에서는 입이 오른쪽에 달려있었고. 더 구 버전에선 입이 더 컸다.[8] 변할 때 기괴하게 변하면서 본 모습을 드러낸다. 다른 스프런키와 달리 RUN 버튼을 눌러 강제 종료하거나, 설치하자마자 바로 빼지 않는 이상 끝날 때까지 중도 해지가 불가능하다. 원작자가 블랙의 해피 버전이 있었다면 제빈과 비슷한 남성 코러스였을 것이라고 전했는데, 이걸 여기에 편입한 것.[9] 화면이 깨진 펀 봇과 붕대를 감은 제빈, 그리고 샷건에 맞아죽은 핑키가 해당한다. 반대로 미스터 펀 컴퓨터는 무사하지만 불안해 하며 노래를 부른다.[10] 이봐!! 돌아와!! 하아아아... 좆같은 멍청이 라리오가 도망갔어, 어쨌든 그 병신은 원래 그럴 의미였겠지.(Hey!! Get back here!! guhhh... Stupid fucking Lario running away, That ass means anyway.)[11] 다만 기존의 레디는 마지막 파트에 소리를 연속으로 한 번 더 내지만 Retake의 레디는 그런 거 없이 항상 정박으로 연주한다.[12] 아마 얼굴을 푹 숙일때 캐릭터의 얼굴이 안보이는 만화적 허용을 넣은듯 하다.[13] 사실상 하이헷이다. 마라카스라기엔 소리가 작고 마지막 파트에 열린 하이헷 소리가 나기 때문[14] 원작에서도 생존한 제빈, 펀봇 마저 외상을 입었다. 아마 그레이가 주인공이라는 것을 각인시키려고 그랬을 것이다.[15] 다만 마지막 파트일 때 음정에 조금 변화를 준다.[16] 언뜻 보면 주근깨로 보일 수 있다.[17] 다만 모스코드를 해독하면 _ ... . . . . _ / . . . . . . . . . /. _ _ . . . . . _ _ /. . . . . . . . . . _ _ / _. ... . . . . . . ... . . . _ _ / _ . . . _ . . . . . . _ _ _ _ . . . . . .(TSEEEET EEEEEEEEE ETTEEEEETT EEEEEEEEEETT NSEEEEEESEEETT TEEETEEEEEETTTTEEEEEE(...))라는 뜻도 없고 괴랄한 문장이 나온다.[18] Hello! Would you like be Happy! Today! Right Now! C'mon... Come take a stroll with us! It's such a FUN time! (안녕! 행복해지고 싶니! 오늘! 당장! 어서... 우리와 산책하자! 재밌는 시간이잖아!)[19] Wolrd has gone wrong They are ALL DEAD They are ALL GONE gaze a- round... Death takes a toll Secrets unfold So You RUN AWAY RUN AWAY RU-RU- RUN AWAY(세계가 잘못됐어 그들은 모두 죽었어 그들은 모두 사라졌어 주변을 둘-러봐... 죽음은 대가를 치르게 하고 비밀이 펼쳐져 그러니 넌 도망가 도망가 도-도-도망가)[20] 갤러리를 보면 여기서는 웬다가 샷건으로 쏜 것으로 보인다.[21] 마지막 업데이트 전에는 입이 오른쪽에 달려있는 모습이었다.[한글이름2] 오렐리아[한글이름3] 파커[한글이름4] 소닉. exe[대사] I'm gonna getchya!! I'm... god! HaHaHa[한글이름5] 남자친구[한글이름6] 라리오[한글이름7] 키티[한글이름8] 무루나&와이럼[한글이름9] 마드[한글이름10] 미스터 베어[32] 미스터 썬은 호러버전에선 아예 인간이 되었으니 제외.[33] 그레이의 몸이 스왑모드처럼 피가 많이 묻어있고 제정신이 아닌거 같기에…[34] 스토리상으론 알고 보니 사람이었다는 설정이 있어서 그런지 숨을 헐떡이는 것처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