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SPRUNKI/캐릭터|SPRUNKI/캐릭터]]
1. 개요
키보드 입력이 되는 PC버전 한정으로만 얻을 수 있는 캐릭터들로, 게임 내에서 코드 imsosprunki를 쳐야 나오는 히든 캐릭터들이다.[1] 해피 버전에서 생성할 때에는 외국 밈 동영상에 자주 쓰이는 아기 웃음소리, 호러 버전에서는 장난스러운 여성의 비명소리가 들린다.숨겨진 캐릭터의 대부분은 다른 인크레디박스 모드의 캐릭터들을 스프런키 그림체로 바꾸고 가져온 것이다.[2]
다리우스, 큐브, 프루프 가이는 해피 버전이 없다.
해피 버전의 히든 캐릭터들이 호러 버전으로 바뀔 때는 캐릭터 자체가 아예 바뀐 것이다. 예를 들어, 엘 쿨 피가 파논 웬다로 바뀌거나 로즈가 맥으로 바뀌지만 서로 연관은 없다.
1.1. 해피 버전
1.1.1. Rebel (레벌)
레벌 Rebel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비트 크러셔(해피 버전) |
연주 시 펀 봇과 잘 어울린다.
여담이지만 이름이 반항아라는 뜻이다.
현재 기준 해피 버전 엑스트라 캐릭터 중 유일하게 애니메이션이 있다.
1.1.2. Lario (라리오)[비공식]
라리오 Lario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불명[4] |
소리 | 보컬 (해피 버전) |
(1차) (2차) | |
과거 해피 버전 |
Everybody wanna be a superstar. Get a lot of money, drive fancy cars.
Everybody wanna be a superstar. Get a lot of money, might not see tomorrow.
모두가 슈퍼스타가 되고 싶어해. 돈을 많이 벌고 고급차를 타고 싶지.
모두가 슈퍼스타가 되고 싶어해. 돈을 많이 벌겠지만 내일 다시 볼 수 없겠지.
해피 버전 노래 가사
해피 버전의 노래는 Young Stoner Life & Young Thug의 SuperstarEverybody wanna be a superstar. Get a lot of money, might not see tomorrow.
모두가 슈퍼스타가 되고 싶어해. 돈을 많이 벌고 고급차를 타고 싶지.
모두가 슈퍼스타가 되고 싶어해. 돈을 많이 벌겠지만 내일 다시 볼 수 없겠지.
해피 버전 노래 가사
해피 버전 모습은 Pizza Tower의 보이스[6]를 가져온 것이다.
모든 숨겨진 캐릭터들 중 인크레디박스 모드에서 가져오지 않고 밈을 써 만든 캐릭터다.[7]
1.1.3. El Cool P (엘 쿨 피)
엘 쿨 피 El cool P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랩 |
(1차) (2차)[8] |
Wekiddy Wekiddy, back back and Bily Me, Cab Cab in a Miami, grab a Caf this is Midi Dix
Back in da Digidy Nine, oh in da R P and A, Flow Do da kitydi-kity-lee King Kong
Wekiddy Wekiddy, 돌아왔어 그리고 Bily Me, 마이애미의 Cab Cab, 카페를 잡아, 여긴 Midi Dix
Digidy Nine으로 돌아가, R P와 A, Flow Do, Kitydi-kity-lee King Kong으로 돌아왔어
해피 버전 랩 가사
원작 V9 'Wekiddy'의 메인 폴로이자 보이스의 첫 번째 폴로가 소리의 피치만 살짝 높인 채 그대로 사용되었다.[9]Back in da Digidy Nine, oh in da R P and A, Flow Do da kitydi-kity-lee King Kong
Wekiddy Wekiddy, 돌아왔어 그리고 Bily Me, 마이애미의 Cab Cab, 카페를 잡아, 여긴 Midi Dix
Digidy Nine으로 돌아가, R P와 A, Flow Do, Kitydi-kity-lee King Kong으로 돌아왔어
해피 버전 랩 가사
랩이라서 그런지는 몰라도 가사가 번역하기가 상당히 난감한데 사실 그 전에 가사 자체도 엘 쿨 피의 성우가 프랑스인이라 정통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원어민들도 가사를 해석하는 데 난항을 겪었다. 상단의 가사는 모더인 Rem이 So Far So Good 팀에 직접 문의해서 밝혀진 가사다.
1.1.4. Geo (지오)
지오 Geo [10]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슬랩 베이스 |
(1차) (2차) |
연주 시 브러드와 잘 어울린다.
업데이트 전에는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 라는 케릭터가 있었으나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가 나오는 모드인 Void의 개발자 Rem이 자기가 만든 모드 캐릭터가 딴 모드에 나오는 걸 싫어해서 추가된 캐릭터다.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를 대체해서 그런지 아이콘이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의 아이콘이다.
1.1.5. Rose (로즈)
로즈 Rose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여성 |
소리 |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 |
(1차) (2차) |
해피 버전 숨겨진 캐릭터들 중 홍일점이다.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계속 눈을 감는 캐릭터다.
1.1.6. Geno (제노)
제노 Geno[11]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홍키 통크 피아노 |
(1차) (2차) |
미스터 썬의 소리와 똑같지만 이 쪽은 기계적인 소리가 난다.
1.1.7. A Fucking Flower (개같은 꽃)
개같은 꽃 A Fucking Flower | |
<nopad> 파일:AFlower.webp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불명 |
소리 | 실로폰 |
이름에 욕이 들어간 캐릭터로는 유일하다.
1.2. 호러 버전
1.2.1. Dr. Theodore (시어도어 박사)
시어도어 박사 Dr. Theodore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시네마틱 드럼 |
생존여부 | 비정상화 |
원본 캐릭터는 Solarbox V4 - Mars의 Dr. Theodore이다.
노래를 부를 때 입에서 외눈이 나온다.
연주 시 더플과 잘 어울린다.[12]
1.2.2. Lobotomy Man (로보토미 맨)
로보토미 맨 Lobotomy Man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불명 |
소리 | 무언가 깨지는 소리 |
생존여부 | 비정상화 추정 |
모습은 Kaybox Alooistika Meli에 나오는 보이스 6, 그니까 엑스트라 캐릭터를 가져온 것이다.
효과음과 함께 무서운 사진을 보인다.
- 로보토미 맨 원본 사진(깜놀 주의) (펼치기ㆍ접기)
제작자가 로보토미 맨의 원본 사진을 보고 놀라서 '아 *발!'이라고 했다고 한다.
1.2.3. Fanon Wenda (파논 웬다)[13]
파논 웬다 Fanon Wenda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여성 |
소리 | 드럼 + 전자음 |
생존여부 | 생존 추정 |
모습은 스프런키의 팬 중 하나가 그린 웬다의 모습이다.
파논 웬다를 빼면 픽셀화가 되며 사라진다.
소리는 SEPBOX - V3의[14] 이펙트 3의 소리를 배속한 것과 비슷하다.
1.2.4. Executive (이그제큐티브)
이그제큐티브 Executive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비명 & 아이들의 소리 |
생존여부 | 비정상화 추정 |
원본 캐릭터는 Singularity 모드에서 등장한다.
스크래치에 있으나 현재 404 에러가 뜨는 상태다.[16]
1.2.5. Mack (맥)
맥 Mack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합창 |
생존여부 | 생존 추정 |
원본 캐릭터는 Expensivebox의 v4에서 등장하는 폴로이다.
1.2.6. Kaski (카스키)
카스키 Kaski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여성 |
소리 | 보컬 |
생존여부 | 비정상화 추정 |
(1차) (2차) |
원본은 Orin Ayo에 등장하는 폴로인데 스프런키에서는 신버전이 아닌 구버전의 외형을 가져왔다.
음이 호러 버전의 미스터 트리, 핑키, 제빈과 비슷하다.
1.2.7. Dave Ruy (데이브 루이)
데이브 루이 Dave Ruy[17][18]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시타델 비명 |
생존여부 | 비정상화 추정 |
Orin Ayo 모드의 후속작인 Breakthrough에서 등장하는 폴로다. 사실 해당 작품에서 데이브 루이라는 이름을 가진 폴로가 많은데 전부 클론이라는 설정의 복제본들이 폴로로 등장한다. 스프런키에서 나오는 데이브는 '불안정한' 클론 버전이다.[19]
1턴만 노래를 부른 뒤 사라진다. 다시 소환하면 낮은 확률로 점프 스케어를 시전한다.
묘하게 블랙과 닮았다.[20]
1.2.8. Darius (다리우스)
다리우스 Darius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보컬 |
생존여부 | 부상 추정 |
(1차) (2차) |
다리우스가 말을 할 때 텍스트가 나온다. 내용은 다리우스가 Yubin Nikku의 Keshin으로 교체될 예정이었지만, 시간이 충분하지 못했다고 한다.
가사
(1차) why am i here... help this hurts...
내가 왜 여기에 있지... 도와주세요, 너무 아파요...
(2차) who are you?... please don't hurt me...
누구세요?... 제발 절 해치지 말아주세요...
(1차) why am i here... help this hurts...
내가 왜 여기에 있지... 도와주세요, 너무 아파요...
(2차) who are you?... please don't hurt me...
누구세요?... 제발 절 해치지 말아주세요...
1.2.9. Cube (큐브)
큐브 Cube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기침소리&캐스터네츠 |
생존여부 | 생존 추정 |
랩을 하는 듯한 소리를 내어 다른 스프런키들과 비트가 잘 맞는다.
1.2.10. Proop Guy (프루프 가이)
프루프 가이 Proop Guy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보컬 |
생존여부 | 생존 추정 |
(1차) (2차) |
가사
(1차) Sprunki? More like... POOP!
스프런키? 그것 보단... 똥!
(2차) Sprunki? More like... POOP!
스프런키? 그것 보단... 똥!
원본 캐릭터는 Vitals에서 나오는 동명의 폴로다.[21](1차) Sprunki? More like... POOP!
스프런키? 그것 보단... 똥!
(2차) Sprunki? More like... POOP!
스프런키? 그것 보단... 똥!
1턴 노래를 부르고 난 뒤 얼굴의 오른쪽이 녹아내린다.(
2. 삭제된 캐릭터
2.1. Qipqqtppsgskkskk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22] Qipqqtppsgskkskk | |
<nopad>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성별 | 남성 |
소리 | 비트박스 |
이름이 워낙 길고 읽기 힘들어서 팬덤 사이에서는 Qip 또는 ㄲㅃㄲㅌ라고 부른다.
비트박스를 할 때마다 픽셀화 된다.
Void 모드의 제작자가 자신의 모드에 있는 캐릭터가 다른 모드에 등장하는 것을 꺼려서 삭제되었다.
마지막 업데이트 때 ‘Geo(지오)’로 대체되었다.
[1] 말 그대로 게임 로딩이 모두 끝난 후 키보드 자판으로 그냥 치면 된다. 그러나 이를 오인하고 댓글창에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오죽하면 제작자가 댓글에 코드를 그만 입력하라고 할 정도다. 앞서 언급했듯, 이 이스터에그는 게임 내에서만 발동이 되기에 다른 곳에 쓰면 당연히 아무런 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2] 코드를 치면 "Extra characters are not canon! They are cameo from other incredibox mods or memes!(엑스트라 캐릭터들은 공식이 아닙니다! 이 캐릭터들은 다른 인크레디박스 모드나 밈에서 가져온 카메오입니다!)"라는 공지가 나온다. 근데 이걸 모르는지 영어를 모르는지 히든 캐릭터로 뇌절치는 놈들이 있다.[비공식] 공식 이름이 아니다.[4] 스프런키 팬덤 위키에서는 남성이라고 '추측'하고 있다.[5] FINAL UPDATE 버전에서는 삭제되었다. 하지만 다 삭제하지 못했는지 살짝 들린다.[6] 위에 라리오라고 써져있다.[7] 파논 웬다는 스프런키 자체에서 가져온 거여서 인크레디박스 모드에서 가져왔다고 봐도 된다.[8] 위 음성 둘은 #에서 구했으며, 라이선스는 CC-BY입니다.[9] 그래서인지 인게임에서 들어보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소리보다 피치가 살짝 높다.[10] Effect 1(이펙트 1)라고도 불린다.[11] Melody 1이라고도 불린다.[12] 예전에 제작자가 시어도어 박사와 더플을 같이 놓고 연주하는 영상을 올렸었지만 지금은 영상이 삭제되었으니 나중에 직접 해 보자.[13] Fanon(파논)은 영어권에서 동인설정을 의미하는 단어이다.[14] 앞의 레벌이 나온 모드다.[15] 신기하게도 머리가 지오 그리고 대체 전의 캐릭터 ㄲㅃㄲㅌㅃㅆㄱㅆㄱㅋㅆㅋㅋ와 똑같다. 그렇다는건 저 눈은 지오의 숨겨진 눈일 수도 있다 그렇다고 둘이 동일인물도 아니다.[16] Cocrea에 남아 있으며, 스크래치는 일부 팬들이 미리 리믹스해 둔 것으로 보인다.[17] Imperfection이라고도 불린다.[18] 원작의 로어에서 나오는 풀네임은 '데이브 "탭" 켄더 루이(Dave "Tab" Cander Ruy)[19] 원본 데이브 루이 폴로는 원래 위의 카스키처럼 전작 Orin Ayo에 등장하는 폴로로 사실 Breakthrough 자체가 전작에서 나왔던 폴로 일부가 그대로 등장하기도 한다.[20] 공교롭게도 둘 다 포지션이 보이스 5다.[21] 여담으로 이 폴로는 엑스트라 폴로이다.[22] 이름이 비트박스 의성어다.[23] 현재는 킵큐큭큭큭 이라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