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3:06:34

MTR CRRC 쓰팡 전동차

파일:MTR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도시철도 메트로카멜 직류형 (M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CNR 창춘 (C형·S형) | CRRC 쓰팡 (Q형)
광역철도 Adtranz-CAF (A형) | 로템-미쓰비시 (K형) | 메트로카멜 교류형 (MLR형) | IKK SP1900형 | CRRC 창춘 (TML-C형) | 현대로템 (R형) | CRRC 쓰팡 (LAR Q형)
고속철도 MTR CRH380A
경전철 경철 차량 }}}}}}}}}
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MTR CRRC 쓰팡 전동차 (Q형 전동차)
港鐵市區綫中國青島四方製列車
MTR CRRC Qingdao Sifang EMU
}}}
파일:kwuntongcrrc.jpg
쿤통선에서 운행중인 Q형 열차.
차량 정보
용도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 8량 1편성
운행노선 ● 쿤통선, ● 홍콩섬선
● 정관오선, ● 췬완선 (예정)
● 뚱충선, ● 공항선 (예정)[LAR_Q]
도입시기 2017년 ~ 현재
제작사 CRRC 칭다오 쓰팡
소유기관 홍콩철로유한공사
운영기관
운행시기 2022년 11월 27일 ~ 현재
차량 제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3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전장 24,600mm(선두차)
22,550mm(중간차)
전폭 3,200mm
전고 3,700mm[2]
궤간 1,432㎜[3]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알스톰 SACEM ATO/ATP (도심노선)
Thales SelTrac CBTC (예정)
제어방식 미쓰비시 VVVF-IGBT
동력장치 미쓰비시 농형 3상 유도 교류전동기
제동방식 회생제동 및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주전동기 출력 130kW
편성출력 3,120kW
최고속도 영업 80㎞/h(도심노선 사양)
135㎞/h(공항/뚱충선 사양)[LAR_Q]
설계 90㎞/h(도심노선 사양)
140㎞/h(공항/뚱충선 사양)[LAR_Q]
가속도 3.6km/h/s
감속도 상용 2.88~3.6km/h/s
비상 5.04km/h/s
MT 비 6M 2T }}}}}}

1. 상세
1.1. 도심노선 차량1.2. 뚱충선 및 공항선 차량
2. 차량 반입 현황

파일:mtrqtraininterior.jpg
▵ Q형 열차의 차량 내부.

1. 상세

2017년부터 구형 차량[6] 교체 목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CRRC 칭다오쓰팡제 차량. 도입이 완료될 경우 MTR에서 제일 큰 파이를 가져가는 차량이 될 예정이다.

1.1. 도심노선 차량

2017년부터 반입된 CRRC 칭다오쓰팡제 차량. 2020년 즈음을 시작으로 MTR 췬완선을 포함한 MTR 4대 도시철도 노선에 굴러다니는 고물인 M형 전동차 91편성을 도입이 완료되는 2027년까지 전량 퇴출할 목적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총 93편성이 반입될 예정이다. 원래대로라면 78편성만을 제작하고 M형 전동차 중 상태가 좋은 것을 추려서 물론 이쪽은 아무리 오래 굴려도 상태가 거의 다 멀쩡한 편이긴 하지만 15편성 정도를 개수하여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개조하는 비용보다 한번에 싹 갈아서 운행하는 비용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적게 든다는 이유로 무산되었다.

이전에 반입한 마온산선의 CRRC 차량에서 선보인 다용도 LCD[7]가 장착됨으로서 MTR의 신기술(?)의 집약체가 도심 노선에 드디어 들어간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도심노선에도 신형 CBTC 신호방식을 사용하기 위해 신형 신호장비가 설치된것은 덤. 그러나 신기한 것은 이전에 반입한 C형 전동차의 그나마 우월한 4.68km/h/s라는 가속도를 버리고(...) 다시 3.6km/h/s로 회귀한 점이다.

본래 계획대로라면 2019년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구형 차량을 모두 치환할 예정이었으나, 차량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는 루머가 들려오질 않나, 신호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질 않나... 덕분에 초도편성이 반입된지 4년이 되도록 운행에 투입하지도 못했고, 결국 일부 차량에 구형 신호장비를 추가로 설치하여 시운전에 돌입하였다. 이후 신형 신호시스템의 비효율성에 대한 이야기는 꾸준히 제기되었고, 신식 장비의 사용은 해결을 좀 더 한 뒤에 다시 테스트할 예정. CBTC는 열차의 운행 및 안정화가 어느 정도 된 후인 2026년경부터 췬완선을 시작으로 천천히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2022년 11월 27일 일요일에 MTR 쿤통선을 시작으로 해당 형식의 운행을 개시한다고 발표하였다.# 전날인 26일 토요일에 일부 철도 커뮤니티 등지의 인원들을 초청하여 내부 모습을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했고, 예정대로 27일 일요일 아침 8시 즈음에 초이훙발 티우켕렝행으로 운행을 개시했다. 이후 반입 개시 약 1년 2개월만인 2024년 1월 말에는 모든 정규편성 M형 전동차를 대체하였다. 이 외에 추가 편성이 투입될지는 미지수.

2024년 1월 28일에는 MTR 홍콩섬선에서도 해당 형식의 운행을 개시하였다.

멈출 때와 출발할 때 구동음이 다르다.[8]

참고로 도입시기와 차번 순서가 불일치하는 차량이다. 주로 기존 차량의 번호를 그대로 계승하는 차량에 드러나는 특징이지만[9], 정작 해당 차량은 아예 새로운 번호를 부여받음에도 불구하고 차번 순서가 제각각이다.[유의]
{{{#!folding [ 도입 시기 및 차번 순서 펼치기 · 접기 ]
도입 순서 해당 편성 반입 시기
1차 제 1~9편성
A601/A602~A617/A618
2018년 6월~2020년 1월
2차 제 22~23편성
A643/A644~A645/A646
2021년 2월
3차 제 76~93편성
A751/A752~A785/A786
2021년 8월~2023년 12월
4차 제 66~75편성
A731/A732~A749/A750
2024년 1월~2024년 12월
5차 제 24~29편성
A647/A648~A657/A658
2025년 5월~2025년 10월
미반입 제 10~21, 30~65편성
A619/A620~A641/A642,
A659/A660~A729/A730
미정
}}}

1.2. 뚱충선 및 공항선 차량

관련 사이트 링크(광동어)
2025년부터 반입 중인 CRRC 칭다오쓰팡제 차량. MTR Adtranz-CAF 전동차 대체 및 증차 목적으로 도입되는 차량이다. 공항선용 차량은 기존 차량과 큰 차이가 없는 11편성이 도입될 예정이지만, 뚱충선용 차량은 무려 24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라고 한다.[11]

2025년 기준 뚱충선 차량이 1대 반입되었으며, 측면부 도색은 기존 MTR Adtranz-CAF 전동차의 형태를 계승하였다.

도심노선 차량과는 다르게 최고속력을 제외한[12] 상세한 차량 스펙이 아직 발표되지 않은 상태이다.

2. 차량 반입 현황

===# 도심노선 차량 #===
현재 93편성 중 31편성이 홍콩에 도착하였고, 현재 까우룽베이차량기지(쿤통선/정관오선 추가투입분)에 13편성(모두 운행중), 항파췬차량기지(홍콩섬선)에 4편성이 배속(1편성 운행중)되어있고, 그리고 14편성이 현재 시우호완 혹은 췬완차량기지(췬완선)에 도착하였다. 시우호완에 주기되어 있는 편성은 차후 연결선로를 통해 타 노선으로 이동할 예정이므로 배속이 불확실하다.

각 차량은 선두 600번대 3량 + 중간차 880/900번대 2량 + 후두 600번대 3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두 3량과 중간 2량 홀수, 후두 3량용 짝수 번호로 배정되었다.
편성 번호 배속 기지 현황
1편성(A601/A602) 시우호완/췬완 (노선 미정) 반입 완료/시운전 중
2편성(A603/A604)
3편성(A605/A606)
4편성(A607/A608)
5편성(A609/A610)
6편성(A611/A612)
7편성(A613/A614)
8편성(A615/A616)
9편성(A617/A618)
10편성(A619/A620) 반입 예정
11편성(A621/A622)
12편성(A623/A624)
13편성(A625/A626)
14편성(A627/A628)
15편성(A629/A630)
16편성(A631/A632)
17편성(A633/A634)
18편성(A635/A636)
19편성(A637/A638)
20편성(A639/A640)
21편성(A641/A642)
22편성(A643/A644) 시우호완/췬완 (노선 미정) 반입 완료/시운전 중
23편성(A645/A646)
24편성(A647/A648) 반입 예정
25편성(A649/A650)
26편성(A651/A652)
27편성(A653/A654)
28편성(A655/A656)
29편성(A657/A658)
30편성(A659/A660)
31편성(A661/A662)
32편성(A663/A664)
33편성(A665/A666)
34편성(A667/A668)
35편성(A669/A670)
36편성(A671/A672)
37편성(A673/A674)
38편성(A675/A676)
39편성(A677/A678)
40편성(A679/A680)
41편성(A681/A682)
42편성(A683/A684)
43편성(A685/A686)
44편성(A687/A688)
45편성(A689/A690)
46편성(A691/A692)
47편성(A693/A694)
48편성(A695/A696)
49편성(A697/A698)
50편성(A699/A700)
51편성(A701/A702)
52편성(A703/A704)
53편성(A705/A706)
54편성(A707/A708)
55편성(A709/A710)
56편성(A711/A712)
57편성(A713/A714)
58편성(A715/A716)
59편성(A717/A718)
60편성(A719/A720)
61편성(A721/A722)
62편성(A723/A724)
63편성(A725/A726)
64편성(A727/A728)
65편성(A729/A730)
66편성(A731/A732) 시우호완/췬완 (노선 미정) 반입 완료/시운전 중
67편성(A733/A734)
68편성(A735/A736) 반입 예정
69편성(A737/A738)
70편성(A739/A740)
71편성(A741/A742)
72편성(A743/A744)
73편성(A745/A746)
74편성(A747/A748)
75편성(A749/A750)
76편성(A751/A752) 까우룽베이 운행중
77편성(A753/A754)
78편성(A755/A756)
79편성(A757/A758)
80편성(A759/A760)
81편성(A761/A762)
82편성(A763/A764)
83편성(A765/A766)
84편성(A767/A768)
85편성(A769/A770) 항파췬
86편성(A771/A772) 까우룽베이
87편성(A773/A774)
88편성(A775/A776)
89편성(A777/A778)
90편성(A779/A780) 항파췬
91편성(A781/A782)
92편성(A783/A784) 반입 완료/시운전 중
93편성(A785/A786) 시우호완/췬완 (노선 미정)
===# 뚱충선 및 공항선 차량 #===
기존 차량의 번호를 대체하는 방식이 아닌, 로템-미쓰비시제 차량의 번호를 이어서 V617/V817편성부터 V640/V840편성까지 도입될 예정이다. 한국철도공사나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사례와 비슷하다.
뚱충선 차량 반입 현황
편성 번호 배속 기지 현황
1편성(V617/V817) 시우호완 반입 완료/시운전 중
2편성(V618/V818) 반입 예정
3편성(V619/V819)
4편성(V620/V820)
5편성(V621/V821)
6편성(V622/V822)
7편성(V623/V823)
8편성(V624/V824)
9편성(V625/V825)
10편성(V626/V826)
11편성(V627/V827)
12편성(V628/V828)
13편성(V629/V829)
14편성(V630/V830)
15편성(V631/V831)
16편성(V632/V832)
17편성(V633/V833)
18편성(V634/V834)
19편성(V635/V835)
20편성(V636/V836)
21편성(V637/V837)
22편성(V638/V838)
23편성(V639/V839)
24편성(V640/V840)

[LAR_Q] 해당 노선에는 광역노선용 차량이 들어갈 예정이다.[2] 지붕 위의 전장품을 제외하고 측정[3] 기존 구간은 1,432mm이나 2015년 이후의 연장구간은 1,435mm로 약간 상이함. 그러나 모두 대응 가능.[LAR_Q] [LAR_Q] [6] MTR 메트로카멜 직류형 전동차, MTR Adtranz-CAF 전동차[7] 출입문 개방 방향, 노선 및 역 환승 정보를 표출한다.[8] 출발할 때는 낮은음이 나지만 멈출 때는 킨테츠 7020계와 비슷한 높은음이 난다.#[9]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 이후 차량, 삿포로시 교통국 8000형 전동차 등. 특히 후자는 어느 정도 일관성은 있는 전자와는 달리 그야말로 제각각이다.[유의] 하술된 도입 순서는 공식에서 명확히 나눈 순서가 아니니 참고 바람.[11] 기존 CAF제 차량 대체용 12편성+뚱충선 추가 연장(뚱충서역, 타마르역) 및 역 개업(시우호완역,뚱충동역) 대응 12편성[12] 기존 뚱충선, 공항선용 차량은 영업속도가 135km/h, 최고속도가 140km/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