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7:08:14

DAY6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 9월 5일에 발매된 DAY6의 정규 4집}}}에 대한 내용은 [[The DECADE]]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e DECADE#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The DECADE#|]]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 9월 5일에 발매된 DAY6의 정규 4집: }}}[[The DECADE]]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e DECADE#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The DECADE#|]]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ccc,#ccc {{{#!folding [ 전 멤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word-break: keep-all; min-width: 20%"
[ 한국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파일:The Day.jpg||<width=25%><nopad>파일:DAYDREAM(DAY6).jpg||<width=25%><nopad>파일:SUNRISE(DAY6).jpg||<width=25%><nopad>파일:MOONRISE(DAY6).jpg||
[[The Day|The Day
미니 1집

2015. 09. 07.]]
[[DAYDREAM(DAY6)|DAYDREAM
미니 2집

2016. 03. 30.]]
파일:Every DAY6 프로젝트.png
[[SUNRISE|SUNRISE
정규 1집

2017. 06. 07.]]
[[MOONRISE|{{{#!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right, #f6cf74, #fae7b9, #f6cf74, #fae7b9)"
정규 2집

2017. 12. 06.]]
파일:Shoot Me : Youth Part 1.jpg파일:Remember Us : Youth Part 2.jpg파일:The Book of Us : Gravity.jpg파일:The Book of Us : Entropy.jpg
Youth 시리즈
The Book of Us 시리즈
[[Shoot Me : Youth Part 1|Shoot Me : Youth Part 1
미니 3집

2018. 06. 26.]]
[[Remember Us : Youth Part 2|Remember Us : Youth Part 2
미니 4집

2018. 12. 10.]]
[[The Book of Us : Gravity|The Book of Us : Gravity
미니 5집

2019. 07. 15.]]
[[The Book of Us : Entropy|The Book of Us : Entropy
정규 3집

2019. 10. 22.]]
파일:The Book of Us : The Demon.jpg파일:The Book of Us : Negentropy.jpg파일:Fourever.jpg파일:Band Aid.jpg
The Book of Us 시리즈
[[Fourever|Fourever
미니 8집

2024. 03. 18.]]
[[Band Aid|Band Aid
미니 9집

2024. 09. 02.]]
[[The Book of Us : The Demon|The Book of Us :
The Demon

미니 6집

2020. 05. 11.]]
[[The Book of Us : Negentropy - Chaos swallowed up in love|The Book of Us :
Negentropy

미니 7집

2021. 04. 19.]]
파일:The DECADE.png
[[The DECADE|The DECADE
정규 4집

2025. 09. 0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word-break: keep-all; min-width: 20%"
[ 일본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0%><nopad>파일:If ~また逢えたら~ 통상반.jpg||<width=20%><nopad>파일:THE BEST DAY 통상반.png||<width=20%><nopad>파일:Stop The Rain 통상반.jpg||<width=20%><nopad>파일:UNLOCK 통상반.jpg||<width=20%><nopad>파일:THE BEST DAY2 통상반.jpg||
[[If ~また逢えたら~|If ~また逢えたら~
싱글 1집

2018. 03. 14.]]
[[THE BEST DAY|THE BEST DAY
베스트 1집

2018. 06. 06.]]
[[Stop The Rain|Stop The Rain
싱글 2집

2018. 07. 25.]]
[[UNLOCK(DAY6)|UNLOCK
정규 1집

2018. 10. 17.]]
[[THE BEST DAY2|THE BEST DAY2
베스트 2집

2019. 12. 0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word-break: keep-all; min-width: 16%"
[ 디지털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파일:Every DAY6 January.jpg||<width=25%><nopad>파일:Every DAY6 February.jpg||<width=25%><nopad>파일:Every DAY6 March.jpg||<width=25%><nopad>파일:Every DAY6 April.jpg||
파일:Every DAY6 프로젝트.png
[[Every DAY6 January|Every DAY6 January
디지털 싱글

2017. 01. 06.]]
[[Every DAY6 February|Every DAY6 February
디지털 싱글

2017. 02. 06.]]
[[Every DAY6 March|Every DAY6 March
디지털 싱글

2017. 03. 06.]]
[[Every DAY6 April|Every DAY6 April
디지털 싱글

2017. 04. 06.]]
파일:Every DAY6 May.jpg파일:Every DAY6 July.jpg파일:Every DAY6 August.jpg파일:Every DAY6 September.jpg
파일:Every DAY6 프로젝트.png
[[Every DAY6 May|Every DAY6 May
디지털 싱글

2017. 05. 08.]]
[[Every DAY6 July|Every DAY6 July
디지털 싱글

2017. 07. 06.]]
[[Every DAY6 August|Every DAY6 August
디지털 싱글

2017. 08. 07.]]
[[Every DAY6 September|Every DAY6 September
디지털 싱글

2017. 09. 06.]]
파일:Every DAY6 October.jpg파일:Every DAY6 November.jpg파일:Beautiful Feeling.jpg파일:Maybe Tomorrow.jpg
파일:Every DAY6 프로젝트.png
[[Beautiful Feeling|Beautiful Feeling
디지털 싱글

2018. 09. 10.]]
[[Maybe Tomorrow|Maybe Tomorrow
디지털 싱글

2025. 05. 07.]]
[[Every DAY6 October|Every DAY6 October
디지털 싱글

2017. 09. 29.]]
[[Every DAY6 November|Every DAY6 November
디지털 싱글

2017. 11. 0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word-break: keep-all; min-width: 20%"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파일:예쁜남자 OST Part 1.jpg||<width=25%><nopad>파일:하지 말라면 더 하고 19 Part.1.jpg||<width=25%><nopad>파일:친구와 우정을 지키는 방법 - 봄여름가을겨울 트리뷰트 Vol.4.jpg||<width=25%><nopad>파일:Psycho, Loveholic.jpg||
[[DAY6/음반#s-4.1.1|Lovely Girl
예쁜남자 OST

2013. 11. 20.]]
[[하지 말라면 더 하고 19 Part.1|Chocolate
하지 말라면 더 하고 19 OST

2018. 11. 08.]]
[[DAY6/음반#s-4.2.1|너는 지금쯤
프로젝트

2018. 11. 08.]]
[[Psycho, Loveholic|Loveholic
THE 시즌즈: 이효리의 레드카펫

2024. 03. 31.]]
파일:굿데이 2025 (텔레파시 + 달빛 창가에서).jpg
[[굿데이 2025|굿데이 2025
(텔레파시+달빛 창가에서)

굿데이 2025

2025. 04. 24.]]
}}}
[ 관련 문서 ]
||<|3><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57c3c5,#57c3c5><width=10000>
활동
||<width=30%> ||<width=30%> ||<width=30%> ||
[[Every DAY6 프로젝트|
Every DAY6 프로젝트
]]
콘텐츠
{{{#!wiki style="margin: -16px -10px" }}}
기타
{{{#!wiki style="margin: -16px -10px" }}}
파일:DAY6 (Even of Day) 로고 화이트.svg
}}}}}}
파일:The DECADE_Group Concept Photo 1(1).jpg
<rowcolor=#000,#000> 도운 · 원필 · Young K · 성진
[[The DECADE|4th Full Album ]]
<colcolor=#fff>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DAY6
데이식스 · デイシックス
<colbgcolor=#57c3c5,#57c3c5> 데뷔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5년 9월 7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5-09-07)]일, [age(2015-09-07)]주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18년 3월 14일
(데뷔일로부터 [dday(2018-03-14)]일, [age(2018-03-14)]주년)
데뷔 음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닛 그룹 DAY6 (Even of Day)
장르 팝 록, 모던 록, 파워 팝, 팝 펑크, 얼터너티브 록, 신스팝, 록 발라드
리더 성진
소속사 JYP엔터테인먼트
레이블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UDIO J
유통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드림어스컴퍼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워너 뮤직 재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텐센트 뮤직 엔터테인먼트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My Day|{{{#!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gray;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My Day (마이데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My Day#|{{{#!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gray;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My Day (마이데이)}}}]]
#!if 문단 != null
[[My Day#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gray;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7c3c5\);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fff;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My Day (마이데이)}}}]]
'''
응원 밴드 '''[[My Day#공식 응원 밴드|
마데워치
]]'''
링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DAY6 심볼.svg파일:DAY6 심볼 화이트.svg | 파일:JYP Fan's 아이콘.svg[1]파일:FANS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 |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DAY6 심볼.svg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JYP엔터테인먼트 심볼.svg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

1. 개요2. 특징
2.1. 올 보컬 밴드2.2. 자체 프로듀싱2.3. 밴드 붐 주역
3. 로고4. 멤버5. 유닛6. 음반
6.1. 노래방 수록 목록6.2. 타 아티스트 곡 참여 목록
7. 활동8. My Day9. DENIMALZ10. 수상11. 여담12. 둘러보기

1. 개요

하나, 둘, 셋. 안녕하세요, DAY6입니다!
잘할 거 아닙니다. 놀다 옵시다.
하나, 둘, 셋. DAY6.[4]
2015년 9월 7일에 데뷔한 성진, Young K, 원필, 도운으로 구성된 JYP엔터테인먼트 소속 4인조 보이밴드.

JYP엔터테인먼트에서 밴드로 데뷔한 최초의 아티스트이다.

2. 특징

2.1. 올 보컬 밴드

DAY6(데이식스)의 킬링보이스 라이브
DAY6는 팝/록 사운드에 기반한 밴드이기 이전에, 훌륭한 목소리를 가진 보컬리스트가 주도하는, 케이팝 최고의 보컬그룹 중 하나다. ... DAY6 보컬의 독특한 점은 이들의 목소리가 기능적인 역할 분배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각각의 보컬리스트들은 파트에 무관하게 곡의 어느 부분, 어느 정서를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고 있다.[5]

"보통 케이팝씬에서 케이팝 팬덤과 소위 머글이라고 하는 일반인, 그리고 평론가의 취향을 다 만족시키는 그룹은 거의 없어요. 근데 DAY6는 케이팝 팬덤도 좋아하고 머글도 좋아하는 밴드거든요. #

대중음악평론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김영대
아이돌 신에 록을 들고 나온 팀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다만 콘셉트 그 이상의 느낌을 준 팀은 많지 않았다. ... 이전까지의 아이돌 밴드는 산업의 특성과 맞물려 주체성을 상실한 껍데기에 지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그들의 첫 정규작은, 아이돌 사 속 밴드의 의미를 재고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아이돌로서의 스타성을 유지하면서도 밴드로서의 정체성도 꽉 쥐고 있는, 산업과 음악의 균형이라는 과제를 적확히 구현해내고 있기에 그렇다. 특별해 보이고 싶어서가 아닌, 자신들의 음악으로 록을 택했다는 느낌이 러닝타임 전반에 흐르기에 가능한 일이다. 대개 프론트맨과 가창에 집중되기 쉬운 경향과 달리, 각 멤버 모두가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연주와 노래가 대등하게 존재감을 드러내는 결과물들은 더 언급할 필요도 없이 록 그 자체다.

연주의 존재감과 더불어 주목할 만한 것은 멤버 모두가 노래를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원 보컬 + 연주 멤버'와의 패턴과는 다른, 함께 연주하고 함께 노래하기에 가능한 수많은 가짓수의 스펙트럼이 앨범 전반에 걸쳐 있다. 곡의 무드에 따라 리드보컬을 다르게 가져가는 전략은 곡의 몰입도를 배가시키기에 안성맞춤. 여기에 멤버들의 송라이팅 역량도 표준 이상이다.

올해 접한 모든 작품을 통틀어 본다고 해도, 풀렝스로 이 정도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 작품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노래와 연주, 송라이팅의 측면에서 느껴지는 멤버들의 노력과 재능, 클럽공연을 위주로 차근차근 성장시켜 온 소속사의 기획력이 적절하게 맞물려 탄생한 수작이다. 크로스오버가 대세인 작금의 록 트렌드와는 조금 거리가 있을 지언즉, 우직하게 자신들의 연주와 노래만으로 밀고나가는 이 정공법은 록으로서의 정체성으로도, 팝으로서의 친숙함으로도 부족한 부분이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다. 록이란게 뭐 대단하고 거창한게 아니라, 연주와 노래에 주체성이 투영된다면 그걸로 오케이다. ... 영국엔 맥플라이, 호주의 5SOS가 있다면, 우리나라엔 DAY6라는 보이밴드가 있다고 이야기해도, 괜찮지 않을까.

대중음악평론가 황선업: IZMSUNRISE리뷰

일반적인 밴드 구성에서는 프론트맨인 보컬리스트가 1명인데 비해, DAY6는 멤버 전원이 악기와 함께 보컬을 맡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원래는 악기와 보컬을 분리하거나 겸하더라도 보컬이 리듬 기타를 맡는 정도가 대다수이다. 악기 포지션인 멤버가 노래를 하더라도 짧게 한두 마디 참여하는 정도에 그치는데, DAY6는 드러머인 도운을 제외한[6] 멤버들이 돌아가면서 후렴과 애드립을 맡을 정도로 모두 메인보컬급의 실력을 가진 보컬리스트들이다. 멤버들 또한 '우리 팀은 곡마다 메인보컬이 달라진다'고 말할 정도. 이처럼 멤버들의 보컬 비중이 비슷한 올 보컬 밴드라는 포맷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굳이 따진다면 비틀즈 정도로 흔치 않다. 이처럼 프론트맨이나 메인보컬이 따로 없는 올 보컬 밴드라는 점은 데이식스의 가장 큰 장점이자 정체성이며, 다른 밴드와 차별화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2.2. 자체 프로듀싱

"DAY6 얘기할 때마다 절대 빼놓지 않고 꼭 얘기하는 것 중에 하나가 '곡을 잘 쓴다'는 거예요. 그게 특별하냐고 묻는다면, (저는) 특별하다고 대답을 했었거든요. 왜냐면 좋은 곡 만들 수 있는 밴드가 그렇게 많지 않아요. 꾸준히 계속해서 좋은 곡을 만드는 건 정말 특출난 재능이라고 생각하고요. DAY6가 그런 부분에 있어서 활동 내내 충족을 잘 시켜줬어요. 그리고 플러스 알파로, 연주와 목소리에서 풍부한 감성이 느껴지는 게 좋아요." #

대중음악평론가,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김윤하
9th Mini Album <Band Aid> Album Production #2

또한 밴드이므로 자신들의 곡을 직접 프로듀싱하는데, 멤버별로 좋아하는 장르가 다르다 보니 음악적 스펙트럼이 매우 넓고 특정 장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음악 평론가 김영대 또한 DAY6는 무슨 장르라고 표현해야 될지 모를 정도로 스펙트럼이 아주 넓은 그룹이며 밴드, 팝 락 장르 안에서 할 수 있는 건 거의 모든 걸 다 하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어떤 멤버가 참여했느냐에 따라 곡의 장르나 분위기가 확연히 달라지는 편. 콘서트에서도 록밴드와는 거리가 먼 힙합 무대부터 오케스트라와 함께 하는 서정적인 무대까지 전 장르를 다양하게 넘나든다. 리더인 성진의 말에 따르면, 특정 장르의 음악을 추구하기보다 좋은 음악을 만들고 싶다고 한다. 어떤 장르를 하더라도 자신들이 쓴 가사와 멜로디, 거기에 멤버들의 목소리가 들어가면 DAY6만의 노래가 된다고. 이처럼 다양한 장르를 하는데도 DAY6 특유의 감성을 잃지 않아 팀의 개성 또한 뚜렷하다. 발매하는 앨범마다 대중과 평론가들에게 고루 호평을 받는 팀으로, DAY6를 소개할 때 항상 '믿듣데', 즉 믿고 듣는 데이식스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곤 한다. 멤버들은 '믿듣데'라는 수식어와 함께 '모든 순간을 노래하는 밴드'가 되고 싶다고 밝혔다.

주로 작사Young K, 작곡성진, Young K, 원필 그리고 프로듀서 홍지상이 참여하는 편이다. 팀으로 크레딧을 표기한 데뷔 앨범과는 달리 미니 2집부터는 참여 멤버를 정확히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곡을 들으며 참여한 멤버 조합을 확인하는 재미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크레딧 표기 순서를 통해 곡 작업 기여도를 알 수 있는데, DAY6의 경우 '예뻤어', ‘장난 아닌데’ 등과 같은 데뷔 초 몇몇 곡과 ’구름 위에서‘처럼 편곡에 참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기여도가 아닌 '성진-Young K-원필-도운'의 나이 순으로 적혀 있어 크레딧만 봐서는 어느 멤버가 주도적으로 그 곡을 만들었는지 알 수 없다.[7] 따라서 자세한 곡별 작업 비하인드는 각 앨범 문서를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2.3. 밴드 붐 주역

‘밴드 붐 주역’ 데이식스, 국내 조회 수 증가량 1위
데이식스, '2024 케이팝 세계지도'서 증명한 밴드 붐 '주역'

멤버들의 군 복무 이후 차트 역주행으로 대중들에게 이름을 알리며 K-POP 시장에서 이른 바 밴드 음악 열풍을 이끌어 낸 주역이기도 하다.
  • 2024년 1월, '예뻤어'와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가 발매된 지 약 7년, 5년만에 더블 역주행을 했다. 과거 2020년 1월 '예뻤어'가 역주행한 적은 있지만 차트에 오래 머무르진 못 했는데, 이번에는 발매 후 최고 순위를 경신하여 멜론 TOP100 7위, 5위까지 올랐으며 월간 차트에까지 올랐다. 발매 시기가 꽤나 차이 나는 두 곡이 동시에 10위권 내에 오를 정도로 역주행한 것은 정말 흔치 않은 사례다.
  • 더블 역주행과 더불어, 3월 18일에 발매한 미니 8집 〈Fourever〉 또한 JYP 엔터테인먼트에서 발매한 앨범 중 수록곡까지 전부 멜론 TOP100에 차트인한 최초이자 유일한 앨범이 되었다. 컴백과 함께 나온 딩고의 Killing Voice 영상까지 화제가 되면서 멜론 일간 차트 1000위 안에 무려 '20곡'[8]이나 차트인하게 되었다. 이로써 멜론 일간 차트 1000위권 내 최다 진입한 그룹이라는 기록까지 세웠다.
  • 이후 다음 앨범 컴백 직전에 〈Fourever〉 수록곡 'HAPPY'가 역주행을 시작하여 다시 차트인을 했다. 데뷔 9주년을 앞두고 발매한 미니 9집 〈Band Aid〉 또한 수록곡 모두 멜론 TOP100 차트에 진입했으며, 일간 차트 및 주간 차트까지 역시 전곡 차트인하면서 자신들의 기록을 또 한번 경신했다. 이로써 멜론 차트에 각기 다른 4개의 앨범 커버[9]인 곡들을 넣은 아티스트가 되었다. 특히 '녹아내려요', 'HAPPY', 'Welcome to the Show',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는 멜론 TOP100 차트 기준, 최고 기록 1 / 1 / 2 / 4위까지 올라가면서 TOP5 안에 앨범 커버가 다른 4곡이 들어가게 되었다.
  • 또한 2024년 6월 말부터 인스타그램 릴스에서 일본 베스트 1집 〈THE BEST DAY〉에 실린 'Congratulations (English Ver.)'의 영어 랩이 화제가 되기 시작하면서 차트 순위가 상승하기 시작했다. 8월에는 멜론 일간 차트 110위권까지 올랐는데, 이후 9월 〈Band Aid〉 발매 후 출연한 아이유의 팔레트에서 아이유가 이 곡을 커버하게 되면서 멜론 TOP 100 차트인에 성공했다. 이로써 멜론 일간 차트 1000위 안에 32곡[10]을 넣게 되면서 멜론 일간 차트 1000위권 내 최다 진입한 가수라는 기록을 또다시 세우기도 했다.
  • 끝내 2024년 9월 14일, 데뷔한 지 9년 만인 3,297일째에 쇼! 음악중심에서 '녹아내려요'로 지상파 첫 1위를 하면서, 보이그룹과 걸그룹 통틀어 데뷔 후 지상파 1위까지 걸린 최장 기간 기록을 경신했다.[11]

3. 로고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로고 변천사
파일:DAY6 데뷔 로고.png 파일:Every Day6 로고.png 파일:DAY6 세로 로고.svg
데뷔 로고 Every DAY6 프로젝트 공식 로고
<nopad>
  • 숫자 6을 중심으로 퍼져나가는 파장 형태는 DAY6의 음악적 파장을 의미하면서, 동시에 하루를 상징하는 시계의 시침이자 음표의 형태를 형상화한 것이다.
  • 현재까지도 이 로고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닛 그룹인 Even of Day 또한 이 로고를 응용해서 디자인한 로고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The Book of Us : The Demon〉 앨범 로고처럼 앨범 콘셉트에 맞게 로고를 조금씩 변형하기도 한다.

4. 멤버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파일:Maybe Tomorrow_SUNGJIN Concept Photo 3.jpg
파일:Maybe Tomorrow_YOUNG K Concept Photo 3.jpg
파일:Maybe Tomorrow_WONPIL Concept Photo 1.jpg
파일:Maybe Tomorrow_DOWOON Concept Photo 3.jpg
성진 Young K 원필 도운
1993. 01. 16. ([age(1993-01-16)]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리더
기타
보컬
파일:DENIMALZ BANG.png
1993. 12. 19. ([age(1993-12-19)]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베이스
보컬

파일:DENIMALZ KE.png
1994. 04. 28. ([age(1994-04-28)]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키보드
신디사이저
보컬
파일:DENIMALZ PIL.png
1995. 08. 25. ([age(1995-08-25)]세)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드럼
보컬


파일:DENIMALZ DON.png





===# 前 멤버 #===
||<tablebgcolor=#fff,#1c1d1f><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57c3c5><rowbgcolor=#e8f3f3><rowcolor=#000> 이름 || 생년월일 || 포지션 || 탈퇴일 ||
준혁 1993. 07. 17. 키보드, 보컬 2016. 02. 27.
Jae 1992. 09. 15. 리드기타, 보컬, 랩 2021. 12. 31.

5. 유닛


파일:DAY6 (Even of Day) 로고 화이트.svg



[ 정규 음반 ]
||<tablewidth=100%><width=33.33%><rowbgcolor=#fff,#1f2023><nopad> 파일:The Book of Us : Gluon.jpg ||<width=33.33%><nopad> 파일:Right Through Me.jpg ||<width=33.33%><nopad> 파일:해변의 달링.png ||
[[The Book of Us : Gluon - Nothing can tear us apart|The Book of Us : Gluon
미니 1집

2020. 08. 31.]]
[[Right Through Me|Right Through Me
미니 2집

2021. 07. 05.]]
[[해변의 달링|해변의 달링
SUMMER PRESENT

2022. 08. 31.]]
[ 참여 음반 ]
||<tablewidth=100%><width=33.33%><rowbgcolor=#fff,#1f2023><nopad>파일:유희열의 스케치북 : 마흔여덟 번째 목소리 '유스케 X DAY6 (Even of Day)'.png ||<width=33.33%><nopad>파일:비밀:리에 vol.1 "사랑, 이게 맞나 봐".png ||<width=33.33%><nopad>파일:디어엠 OST Part.1.jpg ||
[[DAY6 (Even of Day)/음반#s-4.1|있잖아
유희열의 스케치북 :
마흔여덟 번째 목소리

2020. 12. 05.]]
[[DAY6 (Even of Day)/음반#s-4.2|사랑, 이게 맞나 봐
비밀:리에 vol.1

2021. 01. 15.]]
[[디어엠/음악#s-2.1|메이플 라떼
디어엠 OST

2025. 04. 15.]]
[ 관련 문서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0><colbgcolor=#000><colcolor=#fff> 공연 ||<width=40%> The Arcane Salon ||<width=45%> DAY6 (Even of Day) : Right Through Me ||
콘텐츠 {{{#!wiki style="margin: -16px -10.5px" 음악이 모임 DAY6 (Even of Day)의 여름소리 DAY6 (Even of Day)의 가을방학 }}}
파일:DAY6 로고 화이트.sv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 (Even of Day)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 (Even of Da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 (Even of Da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음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 노래방 수록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노래방 수록 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노래방 수록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노래방 수록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타 아티스트 곡 참여 목록

<rowcolor=#fff>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비고
2015년
05.20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백아연 Young K 랩 메이킹, 피처링
06.05 Sky high 박새별, Like,Likes[12] Young K 랩 메이킹, 피처링
08.03 OPPA (오빠) 원더걸스[13] 원필 나레이션
2016년
03.21 Beggin on my knees GOT7 Young K 단독 작사, 보컬 디렉팅
08.23 Young해 박지민 Young K 랩 피처링, 작사
ANSWER Young K 작사
11.21 빠져가지고 업텐션 Young K, 성진 작사, 작곡 | 원필 작사, 작곡, 편곡
2017년
04.25 In Your Eyes[14] 크루드플레이 Young K 랩 메이킹
2018년
10.10 Sleep Mode 버나드 박 Young K 단독 작사
Sleep Mode (English Ver.)
2019년
03.07 Good night[15] 정세운 원필 작사, 작곡
04.19 Hope 영재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11.01 Love me tonight 휴이(HÜ) Young K 작곡
원해 (I want you more)
2020년
07.14 Don't know 정세운 Young K 작사
07.30 Trouble With You 에릭남 Young K 작사
Paradise
잘 지내지 (How You Been)
Love Die Young (Korean Ver.) Young K 단독 작사
09.17 사랑노래 THE BLANK shop 원필 피처링
09.18 LOVE X Lovers Young K 피처링, 작사
12.06 축가 그_냥 원필 피처링
2021년
01.14 ใจอ้วน / Sugar high Stamp[16] Young K 피처링, 작사
02.20 Love Me Now 하현상 Young K 작사, 작곡
04.02 심야영화 하현상 Young K 작사
05.28 Leaves (Feat. Young K) Ben&Ben Young K 작사
07.18 For You[17] 성훈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10.28 낙하산은 펴지 않을게요 극한데뷔 야생돌 Young K 작사 | 원필 작사, 작곡
12.08 naps! 1415 원필 피처링
2023년
01.05 건물 사이에 피어난 장미 H1-KEY Young K 단독 작사
04.26 Good enough Xdinary Heroes Young K 작사
06.28 Maybe Next Time ft. Young K of DAY6 Jamie Miller Young K 피처링, 작사, 작곡
08.09 PUZZLIN' 퀸덤 퍼즐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Lemon Black Tea 조유리 Young K 단독 작사
08.30 SEOUL (Such a Beautiful City) H1-KEY Young K 단독 작사
12.15 환호 김영석 Young K 피처링, 단독 작사, 작곡, 편곡
12.22 노래로 임정현 Young K 피처링, 단독 작사, 작곡
2024년
01.15 Run For Roses NMIXX Young K 작사
02.15 휘이 휘인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02.27 기뻐 (Deeper) H1-KEY Young K 작사
05.13 HELLO ZEROBASEONE Young K 작사
06.19 FIRE! 걸스 온 파이어 Young K 단독 작사, 작곡
08.11 SLOW (Feat. Young K (DAY6)) Big Ocean Young K 피처링
09.12 Falling (Feat. Young K) WOODZ Young K 피처링, 작사, 작곡
12.08 이미 지나간 너에게 하는 말 HYNN Young K 단독 작사
2025년
01.20 WARRIORS KickFlip Young K 단독 작사
03.19 Hee World 서희 Young K 작사, 작곡
04.05 Even If I’m dying (feat. Young K (DAY6)) paulkyte Young K 피처링, 작사
04.24 그렇게 됐어 (feat. Young K (DAY6)) CHEEZE (치즈) Young K 피처링
06.13 Sunny Day (Feat. Young K (DAY6)) 하하 Young K 피처링, 작사, 작곡
07.30 Into Your Summer 10CM Young K 작사

7.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활동 역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활동 역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활동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1. 음악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음악 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악 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악 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 음악 방송 직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음악 방송 직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악 방송 직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음악 방송 직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영화

<rowcolor=#fff> 개봉일 포스터 영화명 링크
2025년 8월 13일 파일:6DAYS 국내 메인 포스터.jpg 6DAYS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7.3. 공연 및 행사

대형 기획사 출신의 아이돌 밴드는 항상 그 진정성에 물음표가 따라붙지만, 2015년 홍대의 '라이브 클럽 데이(Live Club Day)'에서 데뷔 쇼케이스를 가진 이래로 데이식스는 여타 밴드가 그러하듯 치열한 노력과 실전으로 그들을 가다듬었다. '믿고 듣는 데이식스'라는 훈장은 결코 쉽게 얻어낸 것이 아니다.

IZM 편집장, 대중음악평론가 김도헌: IZM 데이식스 소개
록은 1980년대에 잠시 주목받았을 뿐, 한국의 대중음악시장에서는 한 번도 주류였던 적이 없었다. 그럼에도 DAY6는 꿋꿋이 데뷔 EP를 내놓았고, 계속 서울 홍익대학교 앞 라이브 클럽으로 와 공연을 펼쳤다. 어떤 이들은 이 모든 활동이 밴드 코스프레일지 모른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하지만 모든 의구심은 DAY6의 데뷔 음반을 듣고, 라이브를 보면서 깨끗이 사라졌다. DAY6는 자신이 나아갈 방향을 잘 알고 있었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나아가고 있었다. 그리고 아이돌 밴드에 대한 오해와 편견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만큼 손색없이 연주하고 노래했다. 오히려 DAY6는 연주와 노래, 무대 매너에서 흐트러짐 없는 모습을 내비치며 선입견을 무색하게 했고, 1990년대 생들의 젊음으로 록을 다시 청춘의 음악으로 되돌리고 있었다. 온스테이지에 담긴 세 편의 눈부신 영상은 바로 그 증거이다.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 서정민갑: 삼백 서른 두 번째 온스테이지 '청춘의 대변자, DAY6(데이식스)'
DAY6 국내 단독 공연 목록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external/www.allkpop.com/day6_1445814627_af_org.jpg 파일:DAY6 LIVE CONCERT [DREAM].jpg 파일:external/ghavpdlwl.blob.core.windows.net/20170112145803_Every%20Day6_Concert%20in_01.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4dNOrDVYAAbeWY.jpg
DAY6 1st LIVE CONCERT
D-Day
DAY6 LIVE CONCERT
DREAM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February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March
파일:external/ghavpdlwl.blob.core.windows.net/20170312142645_Every%20Day6_Concert%20in_04_web.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9hwoifUwAAjaPb.jpg 파일:external/pbs.twimg.com/C_xfx0jVoAAy0c1.jpg 파일:external/pbs.twimg.com/DDj_y7vUIAAJnom.jpg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April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May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June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July
파일:DAY6_Notice_20170813165010_IMG_2206.jpg 파일:DJWt7m6UQAAIWUt.jpg 파일:20171010163823_Every Day6_Concert in_11_web.jpg 파일:20171211-28411_1.jpg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September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October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November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December
파일:17017537_p.gif 파일:17017646_p.gif 파일:17017653_p.gif 파일:EVERY DAY6 FINALE CONCERT -THE BEST MOMENTS-.jpg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BUSAN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DAEGU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Concert
in DAEJEON
Every DAY6 Concert
EVERY DAY6
FINALE CONCERT

-THE BEST MOMENTS-
파일:Youth seoul.jpg 파일:Youth ulsan.jpg 파일:Youth jeonju.jpg 파일:Youth busan.jpg
DAY6 1ST WORLD TOUR
'Youth' SEOUL
DAY6 1ST WORLD TOUR
'Youth' ULSAN
DAY6 1ST WORLD TOUR
'Youth' JEONJU
DAY6 1ST WORLD TOUR
'Youth' BUSAN
파일:You Made My Day Poster.jpg 파일:Youth daegu.jpg 파일:The Present poster.jpg 파일:DAY6 Youth Encore poster.jpg
DAY6 FIRST FAN MEETING
You Made My Day
DAY6 1ST WORLD TOUR
'Youth' DAEGU
DAY6 Christmas Special Concert
The Present
DAY6 1ST WORLD TOUR
'Youth' [Encore]
파일:Scentographer Poster.jpg 파일:GRAVITY seoul.jpg 파일:GRAVITY daegu.jpg 파일:GRAVITY busan.jpg
DAY6 'You Made My Day' Ep.2
Scentographer
DAY6 WORLD TOUR
'GRAVITY' in SEOUL
DAY6 WORLD TOUR
'GRAVITY' in DAEGU
DAY6 WORLD TOUR
'GRAVITY' in BUSAN
<nopad>파일:19thepresent.jpg 파일:The Present - You are My Day poster.jpg 파일:Welcome to the Show concert poster.jpg 파일:I Need My day Poster.jpg
DAY6 2019 Christmas Special Concert
The Present
DAY6 Christmas Special Concert
The Present : You are My Day
DAY6 CONCERT
Welcome to the Show
DAY6 3RD FANMEETING
I Need My Day
파일:FOREVER YOUNG incheon poster 2.jpg 파일:2024 The Present Concert Poster.jpg 파일:FOREVER YOUNG busan poster.jpg 파일:FOREVER YOUNG daejeon poster.jpg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in INCHEON
2024 DAY6 Special Concert
'The Present'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in BUSAN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in DAEJEON
파일:FOREVER YOUNG gwangju poster.jpg 파일:FOREVER YOUNG daegu poster.jpg 파일:FOREVER YOUNG FINALE in SEOUL poster.jpg 파일:PIER 10 Poster.jpg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in GWANGJU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in DAEGU
DAY6 3RD WORLD TOUR
FOREVER YOUNG FINALE in SEOUL
DAY6 4TH FANMEETING
PIER 10: All My Days
파일:<The DECADE> in GOYANG poster.jpg
DAY6 10th Anniversary Tour
The DECADE in GOYANG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공연 및 행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공연 및 행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공연 및 행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데뷔 초부터 꾸준히 공연 위주로 활동을 진행했다. 국내 전국 투어 및 월드 투어까지 성공적으로 해내면서, 데뷔 후 만 4년이 지난 2019년 12월 24일에 DAY6 이름을 걸고 한 단독 콘서트 100회차를 달성했다.
    • TV 방송 활동보다는 FF 클럽, 브이홀, 디딤홀, 롤링홀, 고고스2, 웨스트브릿지, 상상마당 라이브홀홍대 클럽과 공연장 중심으로 활동해 왔다. 한 대중음악평론가는 이를 두고 현재 활동하고 있는 아이돌 그룹과 연습생을 통틀어 고고스2를 알고 있는 그룹은 DAY6가 유일할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 특히 데뷔 앨범인 The Day 활동은 정말 공연 중심으로만 이루어졌다. 현재는 Studio J 본부로 개편되었으나, DAY6 데뷔 당시에는 JYP엔터테인먼트의 아티스트 레이블이었던 Studio J 소속이라 JYP에서 별도로 홍보를 해주지 않았다.[18] 모든 홍보는 멤버들이 개인 인스타그램에 직접 찍은 영상을 올리는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데뷔 앨범인 〈The Day〉의 발매 전 티징 콘텐츠 또한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 하나가 전부일 정도. 그 흔한 티저 이미지조차 없다. 또 스케줄 업데이트 같은 기본적인 공지조차 알려 주지 않아 멤버들이 직접 각자 개인 인스타그램에 버스킹이나 공연 일정 안내를 올리곤 했다. 5LIVE로 소개된 2013년부터 데뷔를 기다리고 있던 팬들은 DAY6가 JYP가 아닌 Studio J라는 레이블 소속으로 데뷔할 줄도 몰랐고, 아이돌이 아닌 인디 노선의 밴드로 데뷔할 것이라고도 전혀 상상하지 못했었다.
    • 이처럼 데뷔 초에 인디 뮤지션처럼 홍대 공연 위주로 활동한 것은 '밴드'의 데뷔 앨범부터 방송에서 핸드싱크[19]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없다는 소속사의 판단 때문이었다.[20] 대형 기획사의 아이돌 밴드라고 하면 익히 떠올리는 편견을 깨기 위해서인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온스테이지 기획위원 또한 데이식스를 온스테이지에 올렸던 건 진정성을 봤기 때문이었다고. 대형 기획사 소속이었지만 홍대 무대에 계속 오르는 등 활동을 인디 뮤지션들처럼 했고, 똑같이 필드에서 평가 받고 싶어 했기 때문에 그 진정성과 실력을 보고 결국 인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 ‘아이돌 밴드’라는 편견을 버려 - 배순탁
  • 2025년 5월, 데뷔 후 10년 만에 처음으로 K팝 아이돌 꿈의 무대라 불리는 KSPO DOME에 입성했다. 3번째 월드 투어 〈FOREVER YOUNG〉의 파이널 콘서트로, 2주 동안 6일간 360도로 무대를 오픈하여 KSPO DOME 역대 회당 최다 수용 인원 기록을 경신하였다.#
  • 2025년 8월말, 데뷔 10주년을 앞두고 국내 밴드 최초이자 JYP 소속 아티스트 최초로 고양 스타디움에 입성했다. 10주년 기념 투어인 〈The DECADE〉의 첫 포문을 여는 공연이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DAY6/연도별 활동 내역]]}}}{{{#!if external != "o"
[[DAY6/연도별 활동 내역]]}}}}}}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uuid=90a64ed7-d14f-4cb0-a7a9-bbb774034cd4|r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uuid=90a64ed7-d14f-4cb0-a7a9-bbb774034cd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DAY6/연도별 활동 내역?from=2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DAY6/연도별 활동 내역]]}}}{{{#!if external != "o"
[[DAY6/연도별 활동 내역]]}}}}}}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uuid=90a64ed7-d14f-4cb0-a7a9-bbb774034cd4|r2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DAY6/연도별 활동 내역?uuid=90a64ed7-d14f-4cb0-a7a9-bbb774034cd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DAY6/연도별 활동 내역?from=2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7.4. 광고 및 화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광고 및 화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광고 및 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광고 및 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5.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콘텐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6. 커버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커버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커버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커버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My Da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My Day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 Day#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My Da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DENIMALZ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NIMALZ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NIMALZ#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ENIMALZ#|]]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18년에 공개된 DAY6의 동물형 캐릭터로, 이식스와 애니멀즈(Animals)의 합성어이다.
  • 멤버들의 이목구비를 쏙 빼닮은 것[21]이 특징이며, 팬덤 사이에서 주력 MD로 자리잡은 굿즈다.

10. 수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AY6/수상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수상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AY6/수상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여담

개별 곡에 대한 비하인드는 각 앨범의 문서의 여담 문단을,
Every DAY6 프로젝트에 대한 비하인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별명으로는 가장 대표적인 수식어이기도 한 믿듣데[22], 데식이들, 짠내식스[23], 청량식스[24] 등이 있다.
  • 처음에는 회사를 통해 결성되었지만, 밴드이기에 약 5년간의 긴 연습생 생활[25]을 버틸 수 있었고, 음악적으로 더 깊게 고민하며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성장 계기가 되어 밴드가 된 것이 매우 만족스럽다고 한다.
  • 보컬리스트로 입사한 만큼 성진Young K는 처음 밴드 팀에 배정되었을 때 당황했다고 한다. Young K는 밴드 팀 배정 소식을 듣고, "밴드는 어떻게 하는 거지?"라는 생각이 들 만큼 전혀 실감이 나지 않았으며, 마침 백플립에 막 성공했을 때라 더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성진도 보컬 연습밖에 하지 않아 밴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고. 처음엔 놀랬지만 노래에는 반주가 필요하니까 악기를 배우면 자신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고 시작했다고 한다. 하지만 금세 굉장히 즐거워졌다고 한다. 보통 연습생 때는 계속 혼자 연습했었는데, 멤버들과 이것저것 말하면서 함께 곡을 만드는 것이 굉장히 신선했고 즐거웠다고. 반면 원필은 그때쯤 밴드 음악에 빠져 있을 때라 밴드가 하고 싶었는데, 그런 생각을 하자마자 마침 회사에서 밴드 제의를 해줘서 무척 좋았다고 한다.
  • 팀이 만들어진 초기부터 작곡, 작사를 했다. 진정한 밴드로 가기 위해서는 무조건 해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곡 작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회사에서도 '자신들의 이야기로 노래를 만들어 보라'고 주문했었다고 한다. 하지만 초기에는 멤버들끼리 만들면서 "이게 맞나?"하는 고민이 많았다고.
  • 2015년 도운이 합류하기 전에는 지금처럼 곡을 빠르게 쓰지 못했고, 한 곡을 완성하는 데 몇 주에서 한 달의 기간이 걸렸다고 한다. 최근에는 송캠프 같은 상황에서 하루 또는 몇 시간 안에 한 곡을 완성하기도 한다.
  • 가사를 자주 잊어버린다. 1절과 2절의 가사를 바꿔 부르거나, 단어를 바꿔 부르거나, 아예 개사를 하거나, 원필은 잠시 정적 뒤에 즉흥적으로 "가사를 까먹었네요"하는 식으로 부른 적도 있다. 이에 대한 해명도 다양한 편인데, '무대 위에 올라가서 긴장하면 훅 날아가 버릴 때가 있다', '신경 쓰면 잊고 신경 안 쓰면 더 잊고', '우리는 가이드 단계에서부터 제대로 녹음하는 편인데, 가사 수정 단계를 많이 거치면서 유사 어휘로 살짝 바꾸는 경우가 많아 헷갈린다' 등이 있다.
  • 성진의 말에 따르면 연습생 신분임에도 팀 전용 연습실을 획득했다는 기쁨은 잠시였다고 한다. 손가락에 이중으로 물집이 잡힐 때까지 베이스 연습을 했던 Young K를 비롯, 멤버들 모두 악기 연습을 해야 했고 작사, 작곡 공부도 병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2012년부터 한 달에 두 곡씩, 총 100여 곡을 회사에 제출했지만 2015년 'Congratulations'를 제출하기 전까지는 번번이 다 퇴짜를 맞았다. 데뷔 조건이 데뷔할 수 있을 만한 곡을 써 오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러다 데뷔도 못 해보고 청춘 다 가는 건가'라고 생각했었다고. 원필의 말에 따르면 '우리가 좋은 곡을 쓸 수 있을까'하는 부담감이 갈수록 커졌다고 한다.
  • 그렇게 곡 작업을 해왔지만 자작곡으로 처음 칭찬을 들었던 것은 2015년 'Congratulations'를 썼을 때였다. 그 직후 열린 회의에 들고 갔더니 '새롭다'란 평을 받았고 결국 데뷔곡으로 결정됐다. 당시 성진은 정말 뿌듯했다고 한다.
  • 앨범을 작업하거나 합주를 할 때의 의견 충돌은 기억이 안 날 정도로 오래됐다고 한다. 도운을 제외하고 모두 연습생 생활을 5년 이상 한 만큼 이미 그때 의견 조율 및 서로의 성격을 다 파악했기 때문. 앨범 작업 외에도 모든 일은 깔끔하게 다수결로 결정한다. 최근에는 그 다수결조차 필요 없어졌다고. 함께한 지 10년이 넘어가다 보니 이젠 의견이 갈리지도 않는다고 한다.
  • 함께 100곡 이상을 만들다보니 노하우가 생겼다고 한다. 먼저 곡 분위기에 따라 악기 편곡을 해 녹음한 뒤, 그걸 들으며 멤버들이 자기 느낌대로 멜로디를 짓고, 그들 중 좋은 것을 합쳐 선율을 완성하고 가사를 얹는다고 한다.
    • 2018년 4월, 일본 인터뷰에서 좀 더 자세히 예를 들었는데, 누가 기타 리프를 만들면, 거기서 음색만 바꿀 때도 있고 거기에 원필이 키보드를 올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것을 Young K가 가져가서 다른 전개로 이어나가거나 한다고. 그렇게 하면 멤버들의 개성이 모두 곡에 들어가 생각지도 못한 케미 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때때로는 아예 합주하며 곡을 만들기도 하고, 그 후 곡에 멤버들 개성에 가장 잘 맞는 보컬 파트를 만든다고 한다.
  • 데뷔 전 연습량은 하루 12시간 정도, 데뷔 후에는 6~8시간 정도라고 밝혔다. 낮에는 JYP 당시 청담 사옥 옆 7평 정도의 지하 합주실과 JYP엔터테인먼트 본사 연습실을 오가며 각자 개인 악기 연습을 하고, 저녁에는 다시 지하 합주실로 모여 합주를 했다고 한다.[26]
    • 데뷔하기 전, 주당 100시간씩 합주해야 하는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일주일에 100시간 넘게, 즉 하루에 14시간 이상씩 개인 레슨과 합주 연습을 했었다고.
    • 악기를 보지 않고 앞만 보고 연주하기 위해 불을 끄고 연습한 적도 있다고 한다. 악기와 보컬이 나뉘어 있는 일반적인 밴드 형태가 아니라서 연주와 동시에 노래를 해야 하기 때문.
  • 데뷔 초 JYP엔터테인먼트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부담감이 컸다고 한다. 아이돌 기획사 출신 밴드라는 점 때문에 조금이라도 연주에서 실수를 하면 더 많은 비난이 돌아올 것이라고 생각했었다고 한다. 원필은 "연주할 때 한치의 오차도 없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스트레스가 컸다"고 말했다.
    • 데뷔 전 Young K원필은 숙소에도 들어가지 않고 연습실에서 자고 연습만 했던 시기가 있었다고 한다. 숙소는 씻으러 갈 때만 잠깐 갔다가 나왔다고.
  • 2015년 8월 도운의 생일 때, 팀에 들어온 지 몇 개월 안 된 도운을 환영하는 의미로 소매에 멤버들의 이름이 모두 써져 있는 단체 티셔츠를 맞췄다. 데뷔를 앞두고 들어오게 된 도운을 위해서 한 것으로, 도운이 들어오기 전에는 이런 것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다고.
  • 도운이 늦게 합류해서 힘들지 않았냐는 물음에 성격적으로 맞춰준 건 남은 멤버들이지만, 음악적으로 맞춰준 것은 도운이라고 대답한다. 싸우기도 했었지만[27] 형들이 맞춰주려 노력한 것을 알아 미안하다는 도운의 말에 남은 멤버들은 도운이 합류하기 전에 우리끼리는 싸울 것을 다 싸워놔서 그렇다고 답변했다.
  • 녹음할 때 악기 세션 녹음은 크게 오래 걸리지 않지만, 드럼인 도운은 오래 걸린다고 한다. 3곡 녹음하는데 5~6시간 걸린 적도 있다고. 세팅 시간도 한 시간 정도로 오래 걸리는 데다가 아무 것도 없이 메트로놈에 맞춰 연주하고, 잡는 것에 따라 소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연주하다가도 악기 위치를 바꾸고 마이크 위치를 바꾸고 하는데 그렇게 바꾸면 처음부터 다시 쳐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드럼 녹음 영상
  • 박진영에게 들었던 최고의 칭찬은 "너희의 팬이다"였다고. DAY6 담당자가 신곡을 들려 주러 가면 "DAY6의 곡은 기대된다 빨리 듣자"며 재촉한다고 한다. 앨범 발매 전 기획 회의할 때 가장 즐겁고 부담 없는 가수로 DAY6를 꼽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완성된 곡을 들고 가면 웃으면서 "다음 곡은 언제 완성될 것 같아?", "빨리 듣고 싶다"고 한다고.
  • 박진영을 "진영이 형"이라고 부르는 마지막 팀이 될 것으로 보인다. DAY6 이후로 데뷔한 팀들은 모두 피디님이라고 부르기 때문.[28]
  • 소속사 다른 팀들에 비해 데뷔 초부터 회사 및 박진영이 기본적으로 DAY6의 음악엔 전혀 손을 대지 않고 개성을 지켜 준다고 한다. 밴드이기도 하고, 원래 본부가 아닌 아티스트 레이블이었던 'Studio J' 소속이라 음악적 자유도가 높기 때문. 외부 OST 공동 작사를 제외하고는 박진영과 작업하거나 곡을 받은 적이 없으며, 엄격하기로 유명한 녹음 디렉 또한 받은 적 없다.
  • 회사에 알게 모르게 밴드를 하는 사람이나 했던 사람들이 많아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한다. 사장인 정욱도 밴드를 정말 좋아해서 DAY6 세대에서는 잘 모르는 밴드를 알려 준다고. 뱀뱀의 말에 따르면, 연습생 시절에도 (다른 연습생들이) 춤 추는 것보다 DAY6 멤버들이 악기 연주하는 게 회사 분들에게 인기가 많았다고.
  • 2015년 첫 단독 콘서트에서 시작된 DAY6의 대표적인 콘텐츠로, '데이식스 작곡, 여러분 작사' 즉 데작여작이 있다. 콘서트장에서는 작성 후 종이 비행기로 접어 날리기 / 입장 직전 포스트잇 쓰기 / 공연 며칠 전 미리 설문 조사 등으로 가사 아이디어를 받고, V LIVE에서는 댓글로 가사를 달아 주면 멤버들이 그것을 보고 활용하여 즉석에서 작사/작곡하여 노래를 불러준다. 특히 2017년 Every DAY6 프로젝트 V LIVE에서 매달 꾸준히 이어져 왔다. 단독 콘서트 및 팬미팅에서도 항상 코너로 등장하며, 데이식스가 출연하는 방송 및 라디오에서 차용되기도 한다. 이를 테마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 2020년 NOW.음악이 모임이다.
  • 2018년 불후의 명곡 출연 당시, 멤버들은 1승은 상상도 못했고, 공연 전만 해도 "우리가 준비한 것만 딱 보여주고 오자"는 생각에 무대 시작 전만 해도 "감사했습니다." 하고 미리 인사하고 올라갈 정도였다고 한다. 성진은 아예 정신이 없었고 당연히 DAY6 쪽에 불이 꺼지겠거니 하고 생각하며 바닥만 쳐다봤는데 쾅 하는 소리와 함께 불이 꺼지지 않고 관객 환호성이 들려서 그때야 1승을 깨달았다고.[29]
  • 멤버들의 음악적 취향은 다들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밴드는 Coldplay, The Script 등이 있다. 일본 밴드 중에서는 ONE OK ROCK.
  • 팬들의 떼창을 매우 좋아한다. 데뷔 연차가 쌓인 지금까지도 노래를 따라 부르면 신기하다는 듯한 반응을 보이곤 한다. 자신들의 공연을 "My Day 노래 들으러 간다."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진짜 돈 내고 티켓팅해서 갈 테니 My Day 공연 한 번 열어 보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팬들의 떼창을 들으며 매우 행복해 하는 영상이 유명하기도 하다. # 멤버들 주변에서도 콘서트 때 팬들 떼창이 너무 좋았다고 먼저 얘기해 주기도 한다고. 요즘에는 공연할 때 팬들이 노래할 수 있게 즉석에서 악기 반주를 연주해 주기도 한다.
  • 아이돌 특유의 그룹 인삿말 구호가 없다. 이에 대해 가끔 나가는 방송에서 DAY6의 다소 평범한 그룹 인사를 보고 놀라워하는 MC들의 반응을 볼 수 있다. 이것이 아쉬웠던 도운이 멤버들과 술을 마시다 "하루가 짧다, 데이식스!"를 고안해[30] 인삿말로 밀었지만... 형들에 의해 기각되었다.[31] 그렇지만 꾸준히 주장한 덕분인지(?) 2024년 이슬라이브에서 건배사로 쓰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가장 일찍 일어나는 멤버는 Young K가 대학생이었을 때를 제외하면 도운.[32]
  • 외동인 Young K를 제외하고 멤버 모두 누나가 한 명 있는 막내들이다.[33]
  • Young K[34]를 제외한 모든 멤버가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있다. 원필은 면허는 있지만 장롱면허이다.
  • 성진 외에 다른 멤버들은 모두 JYP 입사하기 전에 하나 이상 악기를 배운 적이 있다. 원필은 부모님께서 피아노 학원을 운영하셨기에 어릴 때부터 건반을 보고 자랐고, 노래 부를 때 그에 맞는 악기를 직접 연주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중학생 때 건반 코드 등을 독학했다고 한다. Young K는 초등학생 때 바이올린을 4년 배웠으며, 중학생 때는 학교 부활동으로 테너 색소폰을 3년 정도 했었고 취미로 기타를 독학했다. 도운 또한 중학생 때부터 드럼을 시작해 예고-예대를 졸업한 드럼 전공자이다.
  • 2018년 첫 팬미팅 'You Made My Day'에서 처음으로 악기 체인지를 해 'Congratulations'를 불렀다. 맡은 악기는 성진 드럼, Young K 일렉 기타, 원필 어쿠스틱 기타, 도운 키보드. 성진의 파트는 도운이 불렀다.[35] 원래 기타를 칠 줄 알던 Young K와 달리 다른 멤버들은 해본 적 없는 악기였기 때문에 연습을 엄청나게 했다고. 같은 해 12월, 연말 크리스마스 콘서트인 'The Present'에서 그 무대를 다시 한번 더 선보였다. 이후 2019년 두 번째 팬미팅 'Scentographer'에서 'I Loved You'를 악기 체인지해서 부르기도 했다.
  • 미발매곡 중 YOU, PANDORA, EYELESS, I CAN는 데뷔하기 전부터 있었던 곡들로 '갓시리즈'라고 불린다. 나머지 미발매곡은 일회성으로 보여준 데 그쳤지만, 갓시리즈는 데뷔 전 클럽 공연부터 데뷔하고도 한동안 불렀던 곡들이다. 하지만 발매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 2019년 1월, 데뷔 초와 달리 이제는 발매한 곡이 꽤 되기 때문에 정식 콘서트에서는 갓시리즈를 부르지 않겠다고 했다. 이에 아쉬워 하는 팬들이 많자 대신 2019년 6월 두 번째 팬미팅 'Scentographer'에서 4곡을 메들리로 이어서 불러 주었다.
  • 연습생 때 다른 연습생들보다 좀 더 자유로웠던 것 같다고 한다. 회사가 허용해줘서가 아니라 자신들이 그렇게 살았다고. 연습생 때 뭘 잘못해서 연습 정지 받으면 내심 기뻤다고 한다. 살짝 휴가 같았었다고.
  • 서로 음악 취향을 많이 공유한다. 추천한다기보다 숙소 방에서 그냥 듣고 있고, 들려주고 싶으면 블루투스 스피커로 크게 튼다고. 노래가 좋으면 서로 물어 보고 음악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는 편이다. 갑자기 멜로디가 생각나 흥얼거리다 녹음을 하고 작업실에 가서 발전시키기도 한다고 한다.
    • 반면, 드럼에 집중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곡에 덜 참여하는 도운은 평소에도 가장 자주 듣고 좋아하는 곡으로 DAY6를 꼽기도 했다. 형들이 진짜 노래를 잘 만든다며 평소 샤워할 때도 듣는다고 한다. 이에 대해 Young K는 자신들이 만든 곡을 같은 멤버인 도운이가 좋아해 줘서 너무 고맙다고 했다.
    • 원필 또한 이제는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가수이자 장르가 곧 DAY6가 되었다고 한다.
  • 2018년 6월 숙소 이사를 하면서 멤버들 모두 처음으로 각 방을 사용하게 되었다. 각 방이 생겨서인지 다들 전보다 방을 깨끗하게 정리한다고 한다.[36] 하지만 활동 중에 급하게 이사하게 되어 기본적인 도배장판이나 인테리어 등을 바꾸지 못 하고 들어 갔다고. 노란 장판과 굉장한 무늬의 벽지들 당시 앨범 활동 이후로 투어가 시작되기도 했고 이미 이사한 후엔 짐 때문에 도배장판을 바꾸기 힘들어서 2024년 여름 이사하기 전까지 그 상태 그대로 그냥 살았다고 한다. 이후 첫 월드 투어를 시작했는데, 이때부터 해외 스케줄에서도 멤버 둘씩 룸메이트를 하지 않고 모두 각 방을 쓰는 걸로 바뀌었다.
  • 2025년 기준 현재 멤버 셋은 숙소 생활을 하고 있으며 도운은 숙소에서 나와 자취 생활을 하고 있다.
  • 진지한 이야기를 할 때 따로 시간을 내는 편은 아니고 그냥 평소에 각자 의견을 자유롭게 낸다고 한다. 이후 리더 성진이 의견을 취합해서 회사에 전달한다고 한다. 각각 이야기를 다 들어보면 다 이해되는 말들이라 '이런 생각을 하는구나' 하고 듣는 재미가 있다고 한다. 앞서 말했듯이 이제 함께 한 시간이 길다 보니 의견이 갈리거나 충돌할 일은 없다고 한다. 일부 멤버가 활동 중단 중이었던 시점에는 이오데끼리 원필의 방에 모여서 술을 마시며 수다를 떨었다고. 이러면서 만들어진 앨범이 유닛 미니 앨범 2집 〈Right Through Me〉이다.
  • 곡들의 보컬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멤버 전부 보컬을 맡고 음역대가 다들 하나같이 넓어서 만일 1인 보컬로 데이식스 노래를 커버한다면 보컬에게 묵념을…. 대부분의 곡들이 2옥타브 후반대에서 3옥타브를 넘어가는 편이라, 여자 보컬에게도 고음역대인 노래가 많다.[37] 대표곡 중 하나인 '예뻤어'는 최고음이 2옥타브 라#으로, 데이식스 곡들 중에서는 그렇게 고음역대의 곡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웬만한 남자 보컬리스트들도 부르기 어려워 하는 곡이다.[38] 10CM권정열 또한 '예뻤어'를 부르기 전에 "저도 키가 꽤 높은 편이라 남자 보컬 노래할 때 낮춰 본 적이 별로 없거든요? 근데 (데이식스 노래는) 낮췄어요.. 아 왜 이렇게 높게 썼어요? 나 진짜 깜짝 놀랐네"라고 말하기도 했다.영상
  • 멤버 전원이 현역으로, 각자 다른 군 생활과 다른 보직을 맡게 되었다. 성진은 육군 조교, Young K는 카투사 행정병, 도운은 육군 본부 소속 군악대, 원필은 해군으로 복무했다. 특히 Young K아이돌 최초 카투사, 원필아이돌 최초 해군[39]이라는 점도 눈에 띈다. 이런 특이성 때문인지 전역한 성진을 제외한 세 멤버는 국방FM 라디오 프로그램에 함께 초대되거나, 국방부가 주최하는 '제74주년 국군의날 기념 KBS 불후의 명곡'에 출연하여 각자의 군 복무 형태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
  • 복무 형태가 전부 다르다 보니 군복도 다 다르게 입게 되었다. 성진은 빨간 조교 모자를, Young K는 미 육군 군복인 OCP를, 원필은 해군의 세일러복과 푸른빛의 함상 전투복을, 도운은 레드 코트를 차용한 군악복을 입었다. 멤버들 모두 전역하면 각자의 군복을 입고 같이 사진을 찍고 싶다고.
    파일:day6 군복.gif
  • 복무 형태가 다르다 보니 마찬가지로 경례구호 또한 다르다. Young K는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소속이므로 '단결', 원필은 해군이므로 '필승', 성진도운은 육군 표준 경례구호인 '충성'을 외쳤다. 군인 신분으로 함께 방송에 나갈 때마다 각자 경례구호를 외치곤 했다.
  • 군백기가 2년 8개월로 심지어 멤버 모두가 군대에 있는 진짜 '공백기' 기간은 대략 2022년 4월부터[40] 2022년 8월까지[41] 약 5개월 정도로 꽤나 짧은 편인데, 이는 원필과 도운이 팀의 군백기를 줄이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도운은 95년생이라 약 1~2년 정도 더 미룰 수 있음에도 먼저 입대했으며, 원필 또한 육군이나 군악대를 지원할 수 있었으나 혹시나 떨어지게 되면 입대일이 밀리게 되는지라 솔로 활동이 끝나자마자[42] 가장 빨리 갈 수 있는 해군을 선택했다. 멤버들 모두 완전체에 대한 의지가 강하기 때문에 결정할 수 있었다고 한다. 빨리 다시 모이기 위해 모두 비슷한 시기에 군대를 가기로 오래 전부터 얘기해 왔었다고. 이후 군백기 중 멤버 전원 재계약 체결 소식이 알려지면서 멤버들의 팀에 대한 애정과 의지를 또 한번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 원필은 자기 때문에 데이식스 완전체가 더 늦게 모이게 되는 게 너무 싫어서 경쟁률이 높은 육군을 제외하고 해군, 공군, 해병대까지(...) 전부 지원했다고 한다. 멤버들과 시기만 맞출 수 있다면 어디를 가도 상관 없었다고. 아이돌 최초 해군이 된 이유도 육군보다 복무 기간이 길고, 훈련도 힘들기 때문에 애초에 아이돌은 잘 지원하지 않기 때문.
    • 또한 해군 입대 후 의무적으로 배를 타야하는 6개월이 지난 후에도 배에서 내리지 않고 전역할 때까지 함정 근무를 했는데, 이는 배에서 내리지 않고 근무한 함정근무병에게 주어지는 휴가를 받아 조금이라도 빨리 데이식스로 복귀하고 싶었기 때문. 함정 근무 자체가 힘든데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갑판병[43]으로 전역할 때까지 배를 탄 것이다. 이처럼 승함병으로서 수상함에 전역할 때까지 근무한 건 아이돌을 떠나 연예인으로서도 최초이다. 이런 원필의 노력 덕분에 전역한 지 한 달만에 완전체로 크리스마스 공연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2023년 11월 27일, 마지막으로 원필이 전역함으로써 멤버 전원이 현역으로 군 복무를 마무리했다. 3번째로 군백기를 끝낸 3세대 아이돌로, 같은 세대 다른 팀들의 군백기가 시작할 시기에 군백기를 끝내고 돌아왔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 엔터테인먼트사·방송사 재직자, 영화 및 방송 콘텐츠 제작자, 연예부 기자 등 업계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한 2022년 '나만 알고 싶은 가수' 1위로 데이식스가 선정됐다. [창간18년] "업계 사심픽"…'믿듣데' 데이식스, '나만 알고 싶은 가수' 1위
    '좋은 음악은 언제나 통한다'는 아주 단순한 명제를 바탕으로 '모든 순간을 노래하는 밴드'라는 데이식스의 목표에 끊임 없이 다가가고 있는 셈이다. 이들의 음악을 가장 근거리서 지켜보는 연예 관계자들이 데이식스를 '사심 픽'에 넣은 이유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 2024 KBO 올스타전에서 최초로 개최된 클리닝타임 축하공연을 맡았다. 선수들이 등장곡으로 데이식스 곡들을 많이 쓰기도 하고, 선수 응원곡은 물론 야구장 자체적으로도 데이식스 곡들을 자주 틀고 있어서 부른 것으로 보인다. 'Welcome to the Show', '예뻤어',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순서로 노래했으며, KBO 인터뷰 마이크를 사용했다. 현재 야구장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곡들의 주인공답게 현장 떼창이 엄청났다.
  • 2025년 9월 5일, 데뷔 10주년 기념 앨범의 발매와 함께 JYP엔터테인먼트와 또 한번 전원 재계약 체결 소식이 알려졌다. #

12. 둘러보기


[[JYP엔터테인먼트|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nopad>
파일:JYP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JYP엔터테인먼트
JYP Entertainment
||
]]

[ 아티스트 ]
||<-2><width=1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9be6,#009be6><#009be6,#009be6><color=#fff> 가수 ||
ONE LABEL
2PM Stray Kids
BLU:M
ITZY
STRIDE
{{{#!wiki style="margin: -16px -11px" 박진영[1] TWICE KickFlip
}}}||
SQU4D
NMIXX
STUDIO J
DAY6 Xdinary Heroes
JYP CHINA
{{{#!wiki style="margin: -16px -11px" BOY STORY 야오천 奔赴少年CIIU
}}}||
JYP JAPAN[2]
NiziU NEXZ
JYP America[3]
GIRLSET
배우[4]
신예은 김동희
[1] 설립자 및 대표 프로듀서
[2] 한국 활동 한정 ONE LABEL에서 매니지먼트
[3] 한국 활동 한정 STRIDE에서 매니지먼트
[4] 앤피오엔터테인먼트와 공동 매니지먼트
[ 퍼블리싱 ]
||<width=1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000,#ddd><#d9d9d9><color=#009be6,#009be6>
프로듀서 · 싱어송라이터
||
J.Y. Park "The Asiansoul" · 이준호 · JUN. K · 장우영
프로듀서 · 송라이터
홍지상 · 심은지 · Tommy Park · 이우민 "collapsedone" · 꿀단지 · GARDEN · 이해솔 · 김주형 · 베르사최 (VERSACHOI) · HotSauce · Trippy · SELAH · SAINT · Seoha · Sso · ESUM · MINKYU · 설아 · WONDER B · HAKI · 리암 케이 (Liam K)
싱어송라이터
닉쿤 · 백아연 · Young K · 성진 · 원필 · 도운 · 방찬 (3RACHA) · 창빈 (3RACHA) · (3RACHA) · KASS
작사가 · 작곡가
리노 · 현진 · 필릭스 · 아이엔 · 승민 · Xdinary Heroes[1] · 예지 · 채령 · 류진 · 리아 · 유나 · 토모야 · 하루 · 소 건 · 세이타 · 휴이 · 유키 · 유우 · 아마루 · 계훈 · 동화 · 민제 · 동현
작사가
Jennifer Eunsoo Kim · 지효 · 채영 · 나연 · 정연 · 다현 · 사나 · 모모 · 미나 · 쯔위 · 마코 · 리오 · 마야 · 리쿠 · 아야카 · 마유카 · 리마 · 미이히 · 니나
[1] 원래 멤버들이 개별로 등록되어있었으나 Livelock 음반을 기점으로 하나의 프로듀싱 그룹으로서 크레딧에 이름을 올린다.
[ 계열사 ]
||<width=1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BF8FF><colcolor=#009BE6,#009be6> 자회사 ||<width=85%><colcolor=#000,#ddd><color=#000,#ddd>JYP PUBLISHING · JYP PARTNERS · Blue Garage · JYP PICTURES · INNIT엔터테인먼트 ||
해외 지사 JYP CHINA (JYP HONG KONG) · JYP JAPAN · JYP USA
관계 기업 이든엔터테인먼트 · NEXT WAVE · Beyond LIVE · DEAR U · L&S-JYP 스마트 투자조합
[ 관련 문서 ]
||<width=1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EBF8FF><colcolor=#009BE6,#009be6> 서바이벌 ||<color=#000,#ddd>열혈남아 · SIXTEEN · Stray Kids · Mnet 슈퍼인턴 · Nizi Project (시즌 1 · 시즌 2) · LOUD: 라우드 · A2K ||
관련 문서 <colcolor=#000,#ddd>역사 · 특징 · 과거 소속 아티스트 · 연습생 출신 · 논란 및 사건 사고
JYP NATION · SUPERSTAR JYPNATION · FANS · Beyond LIVE


[[포브스(기업)|
파일:포브스코리아 로고 화이트.png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1위 - 4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5년
2016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백종원 유해진 하정우 이정재 김구라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걸스데이 신동엽 씨스타 기성용 이광수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이민호 태연 설현 지코 자이언티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전현무 하니 오달수 수지 이병헌
2017년
2018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G-DRAGON 박서준 정유미 공유 박성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하늬 강호동 추신수 선미 윤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오승환 신동엽 이승기 하정우 보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류준열 강소라 백종원 볼빨간사춘기 홍진영
2019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TWICE 유연석 김태리 선미 이승기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화사 소녀시대 마마무 조보아 박서준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손예진 손나은 이영자 한혜진 박준형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백종원 GOT7 하정우 류현진 주지훈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이승기 장도연 강하늘 손예진 홍진영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공효진 장성규 홍자 현빈 조여정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주지훈 도경완 권나라 김혜수 이청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한혜진 박보검 박항서 정미애 정찬성
2021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현빈 김호중 수지 김소연 주지훈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김수찬 손예진 박진영 성시경 이승기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김선호 박세리 이효리 김희애 김연경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조정석 나훈아 한소희 박신혜
2022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김수현 수지 김소연 박은석 영탁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강다니엘 전미도 한소희 송혜교 손예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송가인 박신혜 이승윤 이무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이린 안효섭 김혜수 김희재 박보검
2023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김준호 이종석 김지민 배다빈 송혜교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김세정 NewJeans 김태리 이승윤 정동원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박지현 김호중 안효섭 김민재 이정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남주혁 김혜수 IVE 송가인 강태오
2024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유재석 손태진 엄정화 LE SSERAFIM 윤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손석구 이승기 남궁민 영탁 아이유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박은빈 류현진 임지연 이세영 성시경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고윤정 박지현 정동원 박서진 신혜선
2025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IVE 비비 김지원 로제 고민시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마동석 송혜교 정해인 김혜윤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장민호 리사 박서진 영탁 박서준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김도영 DAY6 수지 안세영 이세영
}}}}}}}}} ||
}}}}}}}}} ||
[1] 공식 팬카페를 사용하는 타 기획사들과는 달리 JYP는 JYP 공식 커뮤니티인 Fan's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2024년 7월 31일, 웹사이트 서비스를 종료하였으며, 2024년 1월 13일부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FANS로 리뉴얼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후 2025년 3월 18일부터 웹사이트 또한 오픈하였다.[2] 원래 멤버들이 쓰던 계정이었으나 2021년 8월 13일 이후 DAY6 공식 계정으로 전환했다.[3] 일본 활동 관련 뮤직비디오들은 이 채널을 통해 업로드되었으나, 현재는 전부 워너 뮤직 재팬 공식 채널로 이관되었다.[4] 무대에 오르기 전에 항상 외치는 구호로, 멤버들이 다 함께 손을 모으면 리더인 성진이 선창한 후 다같이 "DAY6"를 외친다. "잘할 거 아닙니다."는 진짜 잘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부담감을 내려 놓고 무대를 즐기자는 뜻에서 하는 말이다.[5] 《지금 여기의 아이돌-아티스트》 〈7장. 멜로디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밴드형 보컬그룹, DAY6〉[6] 팔과 손가락만 잘 사용하면 연주하면서 노래도 가능한 다른 악기들과 달리, 드럼은 페달의 존재로 인해 다리까지 써야 하기 때문에 드럼을 연주하면서 노래에 집중하기는 쉽지 않다는 현실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물론 드러머가 보컬을 맡은 경우가 없진 않은데 델리스파이스의 최재혁은 드러머이면서 보컬을 맡은 적도 있다. 다만 최재혁도 메인보컬인 김민규나 윤준호에 비하면 앨범에서의 본인 보컬 곡 비중이 높진 않았다. 다른 밴드들도 드러머는 코러스나 후렴구 등 서브보컬까지는 해도 메인보컬까지 하는 경우는 벅차다.[7] 드럼에 집중하는 도운을 제외한 모든 멤버가 곡 작업에 거의 빠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 몇 곡을 제외하고 이를 굳이 분류하는 것이 크게 의미가 없기는 하다.[8] 예뻤어,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Fourever〉 앨범 7곡, Love me or Leave me, Lovehoilc, 행복했던 날들이었다, Zombie, Congratulations, 뚫고 지나가요, 좋아합니다, 행운을 빌어 줘, 놓아 놓아 놓아, Sweet Chaos, Shoot Me[9] Every DAY6 February / The Book of Us : Gravity / Fourever / Band Aid[10] 2024년 9월 20일 기준 32곡. 해당 링크는 20일 기준 차트는 아니지만 이미지화된 자료로 참고.[11] 이전 기록은 2613일.[12] LIke,Likes의 FRANTS는 DAY6의 '태양처럼', 'Hunt' 등에 참여했다.[13] 원더걸스 앨범에 수록된 혜림의 솔로 곡.[14] 그녀는 거짓말을 너무 사랑해 OST[15] 진심이 닿다(드라마) OST[16] 태국 가수[17] 결혼작사 이혼작곡 2 OST[18] 레이블이었던 시기의 Studio J는 아티스트의 자유로운 음악 활동을 보장하는 대신, 비용 절감 차원에서 홍보를 거의 하지 않았다.[19] 녹음된 연주를 내보내면서 악기를 연주하는 척하는 것[20] 당시 기사를 인용하자면 다음과 같다. <정욱 JYP 대표는 “데이식스는 밴드인데 첫 무대부터 핸드싱크를 보여줄 수는 없었다”고 밝혔다. 아무리 홍보가 급한 신인이라지만 연주가 생명인 밴드를 연주 시스템 없는 무대에 세워 가치를 떨어뜨리지 않겠다는 얘기다.>[21] 전체적으로 다들 닮았지만, 특히 KEPIL이 닮았다는 평이 가장 많다.[22] 믿이식스. 발표하는 곡들마다 어느 하나 빠지지 않고 전부 명곡인 데서 유래. 주변에서 데이식스 곡을 추천해 달라고 할 때 그냥 제목 끌리는 거 아무거나 들어도 좋다고 말할 정도로 팬들 또한 데이식스 곡에 자부심이 있다.[23] 데뷔곡 'Congratulations' 외에 '놓아 놓아 놓아', '예뻤어', '반드시 웃는다', 'Shoot Me', '행복했던 날들이었다' 등 초창기 발표한 곡들 중 슬프고 서정적인 곡이 많아서 생긴 별명. 이외에도 이별식스, 염전식스, 찌질식스 등이 있었다. Young K의 말에 따르면 Every DAY6 프로젝트를 할 당시 좀 밝거나 상쾌한 곡들은 자신은 마음에 들었지만 회사에서 컨펌이 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주제의 곡들이 많아지면서 잘 쓰지 않는다.[24] 'Hi Hello', 'Free하게', 'Say Wow', '장난 아닌데', '한 페이지가 될 수 있게' 등 청량한 곡이 잘 어울리는 데서 유래.[25] 드럼 오디션에서 뽑힌 지 약 3개월 만에 데뷔한 막내 도운을 제외하면 성진, Young K, 원필은 2010년 입사로 연습생 기간이 꽤 긴 편이다.[26] 2016년 4월, 함께 합주실을 쓰던 원더걸스를 합주실에서 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연습 스케줄이 달라 마주친 적은 없다고 밝혔다.[27] DAY6는 5년간 연습생 생활을 하면서 싸워놨지만, 도운은 2개월 정도라 초반엔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고. 성진: 고집이 센 친구였다.[28] 불과 1개월 뒤에 데뷔한 TWICE부터는 피디님이라고 부른다.[29] Young K성진의 반응을 보고 1승 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30] 각 잡고 멋있는 것보다 우리만의 구수하고 재밌고도 웃긴 게 하고 싶었다고 한다.[31] 원필: 이건 방송용이 될 수 없다, 성진: 부적합하다.[32] 이에 본인은 1년 전에 비해 많이 바뀌었다며 시간이 예전처럼 느긋한 편은 아니다 보니까 혼자서 체계적으로 나를 준비하는 생각이 바뀐 것 같다고, 최대한 어떻게 활용을 해볼까 한다고 한다. 옛날에는 아침에 일찍 일어난다는 건 상상도 못했다고.[33] 〈EVERY DAY6 FINALE CONCERT -THE BEST MOMENTS-〉에서 리더인 성진이 감사 멘트를 할때 "저희가 무럭무럭 자랄 수 있게 도와준 가족, 예를 들면 뭐... 누-나?", "우리가 이끌기로 했는데 계속 이끌리려 하네, 의지하고 싶은 마음이 또 있어요 사실... 막내라서 그래요, 집에서."라고 말하며 남동생식스다운 면모를 보여준 바 있다.[34] 인스타 라방에서 밝히길 잠도 많고 멀티가 안 될 것 같아서 안 따는 것이라 한다.[35] My Day성진의 도입부 파트를 따라 부르다 도운성진의 파트를 부르는 것을 듣고 모두 노래를 멈췄다.[36] 이사했던 그 해 여름 기준, 원필의 방에만 에어컨이 있었는데 괜찮냐는 팬의 말에 도운이 "원필이 형 방에 에어컨 있어서 괜찮아요~"라고 말한 걸 보니 방들이 이어져 있는 듯.[37] 여성 보컬들도 데이식스 노래를 부를 때는 원키 그대로 부르거나 한두 키 정도만 조정하는 경우가 많다.[38] 파사지오 구간을 길게 끄는 부분이 많고, 러닝타임이 긴 데다 1명이 아닌 다인원이 부르는 곡이고 그만큼 쉬는 구간도 없다. 물론 데이식스 멤버들은 혼자서도 잘 부르긴 한다.[39] 그것도 비전투과가 아닌 소양함에서 전역할 때까지 갑판병으로 복무했다.[40] 3월 말 원필이 마지막으로 입대[41] 9월 초 성진 전역[42] 3월 13일까지 콘서트 개최 후 3월 28일 입대였으나 입대 전날인 3월 27일까지 콘서트를 추가했다.[43] 파일:군 복무 난이도별 티어.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