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1 20:15:18

2024년 NBA 플레이오프/컨퍼런스 파이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년 NBA 플레이오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NBA Playoffs 로고.svg2024 NBA 플레이오프
}}} ||
Play-In Tournament 1라운드
Eastern · Western
2라운드
Eastern · Western
컨퍼런스 파이널 파이널

1. 개요2. 동부 컨퍼런스
2.1. #6 인디애나 페이서스 VS #1 보스턴 셀틱스
2.1.1. 전망2.1.2. 경기내용
2.1.2.1. 1차전2.1.2.2. 2차전2.1.2.3. 3차전2.1.2.4. 4차전
2.1.3. 총평
3. 서부 컨퍼런스
3.1. #5 댈러스 매버릭스 VS #3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3.1.1. 전망3.1.2. 경기내용
3.1.2.1. 1차전3.1.2.2. 2차전3.1.2.3. 3차전3.1.2.4. 4차전3.1.2.5. 5차전
3.1.3. 총평
4. 컨퍼런스 파이널 MVP
4.1. 동부 컨퍼런스4.2. 서부 컨퍼런스

[clearfix]

1. 개요

파일:2024nbaconferencefinals.jpg
2024년 NBA 플레이오프 컨퍼런스 파이널 경기를 다룬 문서.

컨퍼런스 파이널에 오른 4팀 모두 우승한지 최소 10년 이상 된 팀들이기 때문에[1], 누가 올라가든 한풀이 매치가 성사된다.

여기에 차세대 슈퍼스타라고 불리는 제이슨 테이텀, 타이리스 할리버튼루카 돈치치, 앤서니 에드워즈의 4명 중 한 명은 무조건 데뷔 첫 우승반지를 끼게 된다.

==# 대진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1f2023> 파일:NBA Playoffs 로고.svg2024 NBA 플레이오프
대진표
}}} ||
<rowcolor=#fff> 1라운드 컨퍼런스 세미파이널 컨퍼런스 파이널 파이널
Ea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AL
Western
파일:DAL logo.svg 0
BOS
Eastern
파일:BOS logo.svg 0
2024.06.06 ~ 2024.06.23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A
No.8
파일:MIA logo.svg파일:MIA logo (2).svg 1
BOS
No.1
파일:BOS logo.svg 4
2024.04.21 ~ 2024.05.01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CLE
No.4
파일:CLE logo.svg 1
BOS
No.1
파일:BOS logo.svg 4
2024.05.07 ~ 2024.05.1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IND
No.6
파일:IND logo.svg 0
BOS
No.1
파일:BOS logo.svg 4
2024.05.21 ~ 2024.05.27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ORL
No.5
파일:ORL logo.svg파일:ORL logo (2).svg 3
CLE
No.4
파일:CLE logo.svg 4
2024.04.20 ~ 2024.05.05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PHI
No.7
파일:PHI logo.svg 2
NYK
No.2
파일:NYK logo.svg 4
2024.04.20 ~ 2024.05.0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IND
No.6
파일:IND logo.svg 4
NYK
No.2
파일:NYK logo.svg 3
2024.05.06 ~ 2024.05.19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IND
No.6
파일:IND logo.svg 4
MIL
No.3
파일:MIL logo.svg 2
2024.04.21 ~ 2024.05.02
}}}
Western Conference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NOP
No.8
파일:NOP logo.svg 0
OKC
No.1
파일:OKC logo.svg파일:OKC logo (2).svg 4
2024.04.21 ~ 2024.04.29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AL
No.5
파일:DAL logo.svg 4
OKC
No.1
파일:OKC logo.svg파일:OKC logo (2).svg 2
2024.05.07 ~ 2024.05.18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AL
No.5
파일:DAL logo.svg 4
MIN
No.3
파일:MIN logo.svg 1
2024.05.22 ~ 2024.05.3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DAL
No.5
파일:DAL logo.svg 4
LAC
No.4
파일:LAC logo.svg파일:LAC logo (2).svg 2
2024.04.21 ~ 2024.05.03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LAL
No.7
파일:LAL logo.svg 1
DEN
No.2
파일:DEN logo.svg 4
2024.04.20 ~ 2024.04.29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MIN
No.3
파일:MIN logo.svg 4
DEN
No.2
파일:DEN logo.svg 3
2024.05.04 ~ 2024.05.19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PHX
No.6
파일:PHX logo.svg 0
MIN
No.3
파일:MIN logo.svg 4
2024.04.20 ~ 2024.04.28
}}}

2. 동부 컨퍼런스

2.1. #6 인디애나 페이서스 VS #1 보스턴 셀틱스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EAST - CONF. FINALS
#6 인디애나 페이서스 VS #1 보스턴 셀틱스
<rowcolor=#fff> 경기 경기 시간 경기장 AWAY 결과 HOME 방송사
1차전 5월 21일 20:00 (ET) TD 가든 IND 128 133 BOS 파일:ESPN 로고.svg
2차전 5월 23일 20:00 (ET) IND 110 126 BOS 파일:ESPN 로고.svg
3차전 5월 25일 20:30 (ET) 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 BOS 114 111 IND 파일:ABC(미국) 로고.svg파일:ABC(미국) 로고 화이트.svg
4차전 5월 27일 20:00 (ET) BOS 105 102 IND 파일:ESPN 로고.svg
시리즈 리포트

2.1.1. 전망

상대 전적
IND 104 155 BOS
122 112
101 118
133 131
124 129
3승 2패 보스턴 우위

16년만의 우승을 이루리라고 출사표를 던진 보스턴과 24년전의 한을 올해에는 풀겠다고 하는 인디애나의 대결. 정규시즌 전적은 보스턴의 3승 2패로 우세다.

보스턴이야 설명을 하면 입만 아플 부동의 강팀이다. 제일런 브라운, 데릭 화이트, 그리고 팀의 기둥인 제이슨 테이텀이 버티는 주전들의 화력이 막강하고 여기에 즈류 홀리데이까지 가세해 그야말로 짜임새 높은 선수단을 보유하고 있다. 괜히 보스턴이 리그 최고 성적인 64승을 거둔게 아닌 것이다.

인디애나 역시 라인업이라면 뒤지지 않는다. 타이리스 할리버튼과 파스칼 시아캄이 원투펀치를 구성했으며, 마일스 터너와 앤드류 넴하드, 애런 네스미스 등 컨파 진출팀답게 양질의 자원들을 보유했다.[2] 이렇듯 뎁스가 만만치 않은 팀이기에 보스턴 역시 이들이 활개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2.1.2. 경기내용

2.1.2.1. 1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EAST FINAL
Game 1
2024년 5월 21일 20:00 (ET)[3]
BOS leads 1-0
TD 가든 - 보스턴, 매사추세츠
파일:IND logo.svg 31 Q1 34 파일:BOS logo.svg
33 Q2 30
29 Q3 30
24 Q4 23
11 OT1 16
6 IND <rowcolor=#000> 128 Final/OT 133 1 BOS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디애나 페이서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에런 네스미스 F 39:51 14 6 1 2 0 5 6/12 1/5 1/1 6 1
파스칼 시아캄 F 41:58 24 12 7 1 0 2 12/23 0/2 0/0 3 5
마일스 터너 C 39:17 23 10 4 0 2 4 9/13 3/4 2/2 3 -11
앤드류 넴하드 G 34:47 12 3 7 0 0 1 5/10 2/4 0/0 2 -7
타이리스 할리버튼 G 40:29 25 3 10 3 1 3 8/18 6/14 3/3 2 -11
벤치
오비 토핀 21:44 15 4 2 1 0 3 6/8 1/2 2/2 1 2
T.J. 맥코넬 24:34 13 3 4 1 0 1 6/11 0/1 1/2 2 -8
벤 셰퍼드 17:24 2 3 2 0 0 2 1/4 0/3 0/0 3 5
아이재아 잭슨 3:60 0 0 0 0 1 0 0/0 0/0 0/0 0 1
제일런 스미스 00:57 0 0 1 0 0 0 0/0 0/0 0/0 1 -2
TOTALS 128 44 38 8 4 21 53/99 13/35 9/10 23 -5
보스턴 셀틱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일런 브라운 F 44:25 26 7 5 3 1 3 10/20 1/4 5/8 1 4
제이슨 테이텀 F 45:32 36 12 4 3 0 4 12/26 2/8 10/12 4 20
알 호포드 C 39:35 15 6 1 0 3 0 5/15 3/12 2/3 2 3
데릭 화이트 G 42:03 15 6 9 2 1 2 5/13 3/8 2/2 3 12
즈루 할러데이 G 48:19 28 7 8 3 0 4 10/16 4/8 4/4 3 7
벤치
루크 코넷 13:25 5 4 1 0 0 0 2/3 0/0 1/1 0 2
페이턴 프리차드 22:34 8 0 2 0 0 0 3/4 2/3 0/0 1 -15
샘 하우저 9:07 0 1 0 0 0 1 0/2 0/2 0/0 1 -8
TOTALS 133 43 30 11 5 14 47/99 15/45 24/30 15 5
}}}}}}}}} ||
부상 리포트
IND BOS
<rowcolor=#1d428a,#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베네딕트 매서린 G OFS 10월 1일 제이비어 틸먼 F OUT 5월 23일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C OUT 5월 23일

파일:IMG_2820.webp
전반에는 보스턴이 인디애나의 빠른 템포에 맞불을 놓으려는 듯 달리는 농구를 구사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연장까지 가는 접전 끝에 보스턴이 1차전을 가져갔다. 에이스인 제이슨 테이텀은 여러 실책들이 있긴 했지만 36득점 12리바를 기록하면서 볼륨을 책임졌고, 전반에 폼이 좋지 않았던 제일런 브라운은 4쿼터부터 살아나며 연장으로 가는 3점 슛을 포함해 26점을 지원해줬다. 여기에 즈루 홀리데이가 28득점 8어시 7리바 3스틸이라는 대활약을 펼쳤다.

인디애나도 만만치 않았다. 할리버튼이 25득점 10어시, 시아캄이 24점 12리바를 기록했으며, 마일스 터너도 23점을 보태면서 보스턴과 대등한 싸움을 선보였다. 여기에 네스미스와 넴하드가 각각 14득점, 12득점을 기록했고, 벤치 요원인 오비 토핀과 T.J. 맥코넬이 역시 각각 15점, 13점을 지원하는 등 주전들과 키 식스맨들이 고르게 활약하면서 보스턴을 연장으로 몰아넣었다.

그러나 인디애나 입장에선 4쿼터 막바지에 승기를 잡아놓고도 여러 실책들을 연달아 범하며 경기를 내주었다는 사실이 뼈아프다. 잘만 하던 할리버튼이 결정적인 턴오버를 두 번이나 저지른데다 넴하드의 인바운드 패스 미스가 겹쳐 사실상 자멸해버렸고, 이로 인해 보스턴을 상대로 1승 고지에서 시리즈를 이어갈 수 있는 천금같은 기회를 놓지고 말았다. 그래도 긍정적인 부분을 찾자면 화력전에선 보스턴을 상대로도 해볼 만 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1.2.2. 2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EAST FINAL
Game 2
2024년 5월 23일 20:00 (ET)[4]
BOS leads 2-0
TD 가든 - 보스턴, 매사추세츠
파일:IND logo.svg 27 Q1 25 파일:BOS logo.svg
24 Q2 32
29 Q3 36
30 Q4 33
6 IND <rowcolor=#000> 110 Final 126 1 BOS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디애나 페이서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에런 네스미스 F 24:47 9 3 1 0 0 2 3/7 1/3 2/2 4 -8
파스칼 시아캄 F 31:21 28 5 2 0 0 2 13/17 2/2 0/0 3 -10
마일스 터너 C 24:04 8 4 0 1 0 4 3/7 2/4 0/0 3 -9
앤드류 넴하드 G 26:04 16 2 5 1 0 1 6/12 1/4 3/4 4 2
타이리스 할리버튼 G 27:56 10 4 8 1 0 0 4/8 2/6 0/0 0 1
벤치
오비 토핀 21:38 11 3 0 0 1 1 4/6 1/2 2/4 1 -5
T.J. 맥코넬 17:11 9 5 3 0 0 2 4/10 1/1 0/0 3 -18
벤 셰퍼드 23:21 7 2 1 0 0 1 3/6 0/3 1/1 2 -14
아이재아 잭슨 16:47 3 5 0 0 0 0 1/3 0/0 1/2 0 -12
덕 맥더맷 12:00 2 0 1 0 1 0 1/2 0/1 0/0 0 -3
제일런 스미스 6:45 4 2 0 1 0 1 1/3 1/2 1/2 2 -1
제러스 워커 4:51 3 2 0 1 0 1 1/3 0/1 1/1 1 0
켄달 브라운 3:15 0 0 2 0 0 1 0/0 0/0 0/0 0 -3
TOTALS 110 37 23 5 2 16 44/84 11/29 11/16 23 -16
보스턴 셀틱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일런 브라운 F 36:39 40 5 2 1 0 2 14/27 4/10 8/11 4 18
제이슨 테이텀 F 42:20 23 6 5 0 0 4 9/20 1/7 4/4 3 0
알 호포드 C 24:58 6 10 0 2 0 1 3/6 0/1 0/0 0 13
데릭 화이트 G 36:25 23 4 6 1 1 0 8/15 4/8 3/3 4 11
즈루 할러데이 G 36:30 15 3 10 0 0 1 6/7 3/4 0/0 2 11
벤치
페이턴 프리차드 18:59 12 2 2 0 0 1 4/6 2/2 2/2 1 4
루크 코넷 4:50 0 2 0 0 0 1 0/0 0/0 0/0 0 -4
샘 하우저 22:26 2 5 3 2 1 0 1/5 0/4 0/0 1 5
오셰이 브리셋 12:09 2 3 0 3 0 0 1/1 0/0 0/0 0 18
제이비어 틸먼 3:15 0 0 0 0 0 0 0/0 0/0 0/0 0 3
스비 미하일류크 1:29 3 0 0 0 0 0 1/1 1/1 0/0 1 1
TOTALS 126 40 28 9 2 10 47/88 15/37 17/20 16 16
}}}}}}}}} ||
부상 리포트
IND BOS
<rowcolor=#1d428a,#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베네딕트 매서린 G OFS 10월 1일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C OUT 5월 27일

파일:bosindgame2.webp
1차전에서 연장행 빅쓰리를 꽂아넣은 브라운이 2차전의 주인공이 되었는데, 무려 플레이오프 커리어 최고인 40득점을 바스켓에 내다 꽂으면서 보스턴에 시리즈 2승째를 선사했다. 브라운 뿐만 아니라 데릭 화이트와 제이슨 테이텀도 23점을 보태주고, 즈루 홀리데이는 15득점에 10어시의 더블더블을 기록했으며, 알 호포드 역시 10리바로 힘을 더했다.

인디애나는 파스칼 시아캄이 28득점, 앤드류 넴하드도 18득점을 넣어준 것에 만족해야했다. 팀의 최다 리바운드가 시아캄의 5개였다는 것 역시 문제이며, 턴오버도 16:12로 페이서스가 더 많았다. 설상가상으로 3쿼터에선 할리버튼이 햄스트링 부상으로 경기를 이탈하고 말았다.

톱시드인 보스턴은 결국 홈에서 2승을 챙겼으며, 인디애나는 부상으로 이탈한 할리버튼이 다음 경기 출전도 불투명하다는 좋지 않은 상황을 마주하게 되었다.
2.1.2.3. 3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EAST FINAL
Game 3
2024년 5월 25일 20:30 (ET)[5]
BOS leads 3-0
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 -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
파일:BOS logo.svg 32 Q1 31 파일:IND logo.svg
25 Q2 38
24 Q3 21
33 Q4 21
1 BOS <rowcolor=#000> 114 Final 111 6 IND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스턴 셀틱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일런 브라운 F 38:02 24 2 3 1 1 1 10/18 1/5 3/4 3 -1
제이슨 테이텀 F 43:57 36 10 8 1 2 0 12/23 5/10 7/11 3 9
알 호포드 C 34:49 23 5 0 1 3 1 8/14 7/12 0/0 2 5
데릭 화이트 G 35:29 13 5 7 0 4 0 3/11 2/8 5/6 4 4
즈루 할러데이 G 38:07 14 9 3 3 1 3 4/10 1/6 5/5 1 6
벤치
페이턴 프리차드 14:28 2 2 3 0 0 1 1/3 0/2 0/0 1 -8
샘 하우저 13:26 0 1 0 0 0 0 0/3 0/3 0/0 1 -6
오셰이 브리셋 8:44 0 1 0 0 1 0 0/0 0/0 0/0 2 -6
제이비어 틸먼 12:58 2 1 0 1 0 1 1/1 0/0 0/0 1 12
TOTALS 114 36 24 7 12 7 39/83 16/46 20/26 18 3
인디애나 페이서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에런 네스미스 F 34:09 4 5 4 1 0 1 2/4 0/2 0/0 5 -6
파스칼 시아캄 F 36:16 22 3 6 1 0 1 9/18 0/3 4/4 5 -13
마일스 터너 C 38:40 22 10 1 0 0 5 9/16 0/3 4/4 2 -2
벤 셰퍼드 G 25:34 0 3 1 1 0 0 0/4 0/3 0/0 4 -8
앤드류 넴하드 G 39:24 32 4 9 0 0 2 12/21 4/7 4/4 2 -4
벤치
오비 토핀 23:17 4 3 3 0 0 1 2/6 0/0 0/0 0 7
T.J. 맥코넬 29:22 23 9 6 1 0 1 10/17 1/4 2/2 2 -1
아이재아 잭슨 9:20 2 5 0 0 1 0 1/4 0/0 0/0 0 -1
덕 맥더맷 3:58 2 1 2 0 0 0 1/1 0/0 0/0 1 13
TOTALS 111 43 32 4 1 11 46/91 5/22 14/14 21 -3
}}}}}}}}} ||
부상 리포트
BOS IND
<rowcolor=#1d428a,#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루크 코넷 C OUT 5월 27일 타이리스 할리버튼 G OUT 5월 27일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C OUT 5월 27일 베네딕트 매서린 G OFS 10월 1일

파일:indbosgame3.jpg
2024년 플레이오프에서 홈승률 100%의 인디애나와 원정승률 100%의 보스턴의 맞대결로 둘 중 하나의 기록은 무조건 깨지는 상황이 됐다. 초반에는 보스턴의 슛감도 나쁘지 않았지만 인디애나가 지난 1,2 차전과는 달리 보스턴의 페인트존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는 공격 전술을 선택했는데 이게 적중했고 넴하드, 맥코넬, 시아캄의 활약으로 하프타임에는 12점차, 3쿼터에는 18점차까지 격차가 벌어졌었다.

보스턴은 계속 3점을 시도 했지만 들어가지 않았고 어렵게 득점해도 페인트존에서 쉽게 실점하면서 3차전을 내주는듯 보였으나, 3쿼터 막판부터 수비를 연속적으로 성공하며 분위기를 반전시켰고 이게 몇번의 공격 성공으로 이어지며 3쿼터 종료시에는 격차가 9점으로 좁혔다. 그리고 4쿼터에도 수비에서 좋은 모습을 이어나갔고 테이텀과 호포드가 계속해서 득점을 쌓아주며 조금씩 격차를 줄여나갔다. 그리고 39초를 남겨두고 즈루 할러데이가 영웅이 된다. 동점 레이업 이후 앤드원을 성공시키며 보스턴은 112-111로 역전에 성공했고 그 이후 3초밖에 안남은 시점에 넴하드를 상대로 결정적인 스틸을 기록한 이후 얻어낸 자유투를 모두 성공시키며 1.7초를 남겨두고 114-111로 앞서나갔다. 인디애나는 마지막 공격에서 신선한 세팅을 선보이며 연장행을 노렸지만, 니스미스의 3점이 빗나가며 승부가 결정되었다.

인디애나는 넴하드가 32득점을 넣으며 할리버튼의 공백을 잘 메우는듯 했고 시아캄, 터너가 22점씩, 벤치에서 맥코넬이 23점을 터뜨렸다. 수비에서도 보스턴을 잘 괴롭혔지만 다른 선수들의 득점지원이 미미했고 4쿼터 특히, 클러치 상황에서 득점은 안나오고 턴오버가 나오며 그나마 있던 기회들을 날려버렸고 1차전처럼 잡을 수 있던 경기를 놓치며 스윕패를 당할 위기에 몰렸다.

반면, 보스턴은 인디애나의 페인트존 공략에 고전하며 포르징기스의 공백을 실감해야 했지만 테이텀이 36득점과 10리바 8어시로 에이스의 역할을 해줬고, 호포드가 노익장을 과시하며 3점슛 7개를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다. 또한 화이트는 야투감은 안좋았지만 수비에서 결정적인 블락으로 분위기 반전을 이끌었으며 할러데이도 뛰어난 수비와 함께 역전 앤드원과 넴하드에게 기록한 결정적 스틸로 가장 중요한 순간을 책임졌다. 브라운 역시 24점을 보태며 활약했다. 벤치 득점은 4점밖에 없었지만 주전 5명이 110점을 폭발시키며 시리즈 3연승으로 파이널 진출을 목전에 두게 되었다.
2.1.2.4. 4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EAST FINAL
Game 4
2024년 5월 27일 20:00 (ET)[6]
BOS wins 4-0
게인브릿지 필드하우스 -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애나
파일:BOS logo.svg 29 Q1 27 파일:IND logo.svg
29 Q2 30
22 Q3 26
25 Q4 19
1 BOS <rowcolor=#000> 105 Final 102 6 IND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스턴 셀틱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일런 브라운 F 44:27 29 6 2 3 1 3 11/22 4/8 3/6 3 6
제이슨 테이텀 F 43:46 26 13 8 1 0 5 11/26 3/11 1/1 5 6
알 호포드 C 39:34 7 8 5 1 1 0 2/4 1/3 2/2 2 3
데릭 화이트 G 42:04 16 4 4 5 3 0 7/14 2/9 0/0 3 5
즈루 할러데이 G 38:02 17 9 2 0 0 1 7/13 2/6 1/1 3 2
벤치
제이비어 틸먼 8:48 0 2 0 0 0 1 0/2 0/0 0/0 0 -2
샘 하우저 14:07 5 1 1 0 1 1 1/6 1/5 2/2 1 4
페이턴 프리차드 9:12 5 1 0 0 0 0 1/2 1/2 2/2 1 -9
TOTALS 105 44 22 10 6 11 40/89 14/44 11/14 18 3
인디애나 페이서스 기록
<rowcolor=#1d428a,#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에런 네스미스 F 35:29 14 6 1 1 0 0 4/11 1/6 5/6 1 -8
파스칼 시아캄 F 39:12 19 10 3 0 0 3 8/18 0/3 3/5 0 -9
마일스 터너 C 27:15 8 4 1 0 0 4 2/6 2/5 2/2 5 -11
벤 셰퍼드 G 20:40 3 3 0 1 0 0 1/4 1/3 0/0 3 -2
앤드류 넴하드 G 38:37 24 6 10 1 1 3 10/18 3/6 1/1 2 -1
벤치
오비 토핀 29:12 12 7 2 1 0 2 5/9 2/4 0/0 2 5
T.J. 맥코넬 25:14 15 5 4 1 0 1 7/16 0/1 1/2 1 1
아이재아 잭슨 11:47 4 5 0 0 2 1 2/4 0/0 0/0 3 5
덕 맥더맷 12:34 3 1 3 0 1 0 1/1 1/1 0/0 2 5
TOTALS 102 47 24 5 4 14 40/87 10/29 12/16 19 -3
}}}}}}}}} ||
부상 리포트
BOS IND
<rowcolor=#1d428a,#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 C OUT 5월 29일 제일런 스미스 F OUT 5월 29일
타이리스 할리버튼 G OUT 5월 29일
베네딕트 매서린 G OFS 10월 1일

파일:indbosgame4.webp
제이슨 테이텀-제일런 브라운 듀오가 보스턴의 2023-24 NBA 파이널 진출을 이뤘다. 테이텀이 26득점, 제일런 브라운이 29득점으로 보스턴의 공격력을 책임졌고 동시에 테이텀이 13리파운드까지 책임져주면서 보스턴의 뒷문도 책임져줬다.

인디애나도 앤드류 넴하드가 24득점, 파스칼 시아캄이 19점에 10리바, 에런 네스미스가 14점으로 응수했고 오비 토핑과 T.J. 맥코넬리가 각각 12점과 15점으로 벤치요원으로서 지원해주긴 했으나 보스턴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102-102 동점이었던 4쿼터 43초의 상황에서 데릭 화이트의 3점슛이 들어가 105-102 역전이 되는 기반이 되었다.

이로서 보스턴은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vs 댈러스 매버릭스의 승자를 기다리게 되었다.

2.1.3. 총평

파일:bosadvanceto2024final.webp
16년만의 우승을 이루기 위해 벼르고 나왔던 보스턴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모든면에서 빈틈이 없었다. 플레이오프 내내 한번도 끌려가 본적이 없었고 시종일관 앞서는 경기력으로 NBA 파이널 진출을 이뤄냈다. 물론 대진운이 비교적 좋긴 했다. 1라운드는 지미 버틀러테리 로지어가 결장한 마이애미 히트였고, 2라운드는 재럿 앨런이 아웃당한 데 이어 그나마 홀로 멱살캐리를 하던 도노반 미첼마저 시리즈 도중 결장한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였기 때문에 별다른 수고없이 컨파에 도달할 수 있었다. 단, 보스턴도 크리스탑스 포르징기스의 부상 이탈이라는 변수가 있었으며, 대진운과 별개로 동부에서 파이널 진출이 가장 유력하다고 평가받는 팀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인디애나 역시 운이 따라준 측면이 없진 않았다. 우선 1라운드 밀워키 벅스는 동부 3위의 강자였지만 야니스 아데토쿤보가 부상으로 이탈한데다 데미안 릴라드 역시 시리즈 중 부상을 당하는 악재가 겹쳤다. 2라운드의 뉴욕 닉스는 동부에서 돌풍을 일으킨 재기발랄한 팀이었지만 이들 역시 줄리어스 랜들이 일찍이 아웃된 상황에서 미첼 로빈슨이 1라운드에서 얻은 부상으로 일찍 리타이어 했고, 이후 OG 아누노비가 1차전에서, 리그 최고 말체력인 조시 하트 마저도 6차전에서 부상을 당하는 바람에 7차전까지 가는 난전 끝에 고배를 마셔야 했다. 물론 정규시즌~플옵이라는 장기 레이스에서 부상관리 역시 팀의 제일 중요한 덕목 중 하나이고, 인디애나가 컨파에 진출하기까지 대체로 건강한 전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도 결국 탄탄한 뎁스에서 나오기 때문에 그저 운이 좋았다고만 표현하는 건 타당하지 않다.

동부의 주요 팀들 중 그나마 건강한 두 팀이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맞붙었으나 보스턴의 전력은 압도적이었다. 인디애나 역시 할리버튼을 비롯한 선수단의 재능의 합이 무시 못 할 수준이기에 인디가 적어도 한두 경기는 가져갈 것이라는 예측도 적지 않았으나, 보스턴은 이것 조차 허락하지 않고 정규시즌 전체 1위 팀의 저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었다. 인디애나 입장에서는 시리즈 중 할리버튼의 부상 이탈로 추진력을 잃어버린 점이 아쉬울 수 있지만, 시즌 전까지만 해도 이제 막 리툴링을 끝낸 이들이 곧바로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할거라 기대하는 여론은 거의 없었던 만큼, 저평가를 뒤집고 동부에서 가장 높은 무대에 오른 것만으로도 만족할만한 시즌이라고 평할 만 하다.

3. 서부 컨퍼런스

3.1. #5 댈러스 매버릭스 VS #3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 CONF. FINAL
#5 댈러스 매버릭스 VS #3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rowcolor=#fff> 경기 경기 시간 경기장 AWAY 결과 HOME 방송사
1차전 5월 22일 20:30 (ET) 타깃 센터 DAL 108 105 MIN 파일:TNT(미국) 로고.svg파일:TNT(미국) 로고 화이트.webp
2차전 5월 24일 20:30 (ET) DAL 109 108 MIN 파일:TNT(미국) 로고.svg파일:TNT(미국) 로고 화이트.webp
3차전 5월 26일 20:00 (ET)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MIN 107 116 DAL 파일:TNT(미국) 로고.svg파일:TNT(미국) 로고 화이트.webp
4차전 5월 28일 20:30 (ET) MIN 105 100 DAL 파일:TNT(미국) 로고.svg파일:TNT(미국) 로고 화이트.webp
5차전 5월 30일 20:30 (ET) 타깃 센터 DAL 124 103 MIN 파일:TNT(미국) 로고.svg파일:TNT(미국) 로고 화이트.webp
시리즈 리포트

3.1.1. 전망

상대 전적
DAL 101 119 MIN
110 118
115 108
87 121
3승 1패 미네소타 우위

13년만에 우승을 탈환하려는 매버릭스와 팀 창단 최초로 NBA 파이널로 진출하려는 미네소타가 격돌한다. 차세대 슈퍼스타로 거론되는 앤서니 에드워즈와 당 시즌 MVP 3위에 빛나는 루카 돈치치의 맞대결이 큰 관심 거리이며, 잊을 만 하면 미친 캐리력을 보여주는 칼 앤서니 타운스와 카이리 어빙의 활약도 기대할 만 하다.

정규시즌 전적은 3승 1패로 미네소타가 우세를 가져갔으며, 특히 올해의 식스맨으로 선정된 나즈 리드가 댈러스를 상대로 좋은 활약을 펼쳐온 바 있다. 지금까지 해온 것과 같이 미네소타의 빅맨들이 골밑에서 우세를 점한다면 댈러스가 상당히 곤란해질 것이다.

그러나 댈러스가 시즌 중 개퍼드와 워싱턴을 트레이드로 영입한 덕에 라이블리가 힘겹게 고군분투하던 인사이드 취약점을 상당부분 교정했고, 댈러스 빅맨들이 버거워하는 묵직한 백다운 형 빅맨이[7] 미네소타에는 없기 때문에 댈러스가 딱히 불리한 상성은 아니라는 의견도 적지 않다.

3.1.2. 경기내용

3.1.2.1. 1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FINAL
Game 1
2024년 5월 22일 20:30 (ET)[8]
DAL leads 1-0
타깃 센터 -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
파일:DAL logo.svg 27 Q1 33 파일:MIN logo.svg
32 Q2 29
23 Q3 21
26 Q4 22
5 DAL <rowcolor=#000> 108 Final 105 3 MIN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댈러스 매버릭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데릭 존스 주니어 F 34:55 8 4 2 0 0 0 4/9 0/2 0/0 1 -8
P.J. 워싱턴 F 40:50 13 7 0 0 2 3 4/10 2/8 3/3 4 12
대니얼 개퍼드 C 21:08 10 9 0 0 1 2 5/9 0/0 0/0 2 -15
카이리 어빙 G 40:08 30 5 4 0 1 2 12/23 0/3 6/6 3 5
루카 돈치치 G 40:44 33 6 8 3 1 4 12/26 3/10 6/7 2 -9
벤치
데릭 라이블리 2세 26:32 9 11 3 0 2 1 4/4 0/0 1/1 1 19
조시 그린 13:25 3 1 0 0 1 1 1/4 1/2 0/0 1 -1
제이든 하디 8:59 2 1 4 1 0 0 1/2 0/0 0/0 1 4
단테 액섬 2:56 0 0 0 0 0 0 0/0 0/0 0/0 0 1
팀 하더웨이 주니어 10:22 0 4 0 1 0 0 0/0 0/0 0/0 0 7
TOTALS 108 48 21 5 8 13 43/87 6/25 16/17 15 3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이든 맥대니얼스 F 39:18 24 4 3 1 0 3 9/15 6/9 0/0 4 -4
칼앤서니 타운스 F 34:23 16 7 2 1 0 1 6/20 2/9 2/2 2 -5
루디 고베어 C 37:36 12 7 1 1 2 0 4/8 0/0 4/6 3 10
앤서니 에드워즈 G 40:43 19 11 8 2 0 3 6/16 5/12 2/2 1 -1
마이크 콘리 G 30:48 6 3 3 2 0 1 2/7 1/6 1/4 2 1
벤치
니킬 알렉산더워커 16:03 2 1 2 0 0 0 1/6 0/4 0/0 1 -5
카일 앤더슨 17:07 11 2 2 0 0 0 5/8 1/3 0/0 2 0
나즈 리드 24:03 15 5 2 1 1 2 5/9 3/6 2/4 2 -11
TOTALS 105 40 23 8 3 10 38/89 18/49 11/18 17 -3
}}}}}}}}} ||
부상 리포트
DAL MIN
<rowcolor=#c8102e,#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F OUT 5월 24일 부상자 없음
막시 클레버 F OUT 5월 24일

파일:mindalgame1.webp
돈치치가 빛을 발한 날이다. 33득점으로 양팀 최다득점을 기록하면서 수비에서 3스틸까지 해주며 댈러스의 1차전 승리의 주인공이 되었다. 여기에 카이리 어빙 역시 덩달아 30득점을 기록, 매버릭스 주공 두명의 활약이 돋보였다. 게다가 돈치치는 104-102의 상황에서 마이크 콘리가 고베어에게 랍 패스를 올리려는 의도를 간파하고 스틸을 따낸 후 득점까지 해내며 자신이 클러치의 강자임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미네소타의 경우 3점 슛을 25개 시도해 단 6개만을 메이한 댈러스에 비해 외곽 지원이 풍부하게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제이든 맥대니얼스가 24득점, 루디 고베어가 12득점, 나즈 리드가 15득점, 카일 앤더슨이 11득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정작 원투펀치인 타운스와 에드워즈가 낮은 효율로 35득점을 합작하는 데 그쳤으며, 여기에 마이크 콘리가 아킬레스건 부상 후유증에서 아직도 벗어나지 못한듯 6득점 3어시스트로 부진했다.

홈팀 미네소타 입장에선 돈치치&어빙 듀오에게 도합 63득점을 허용하며 1~2옵션 대결에서 완패했다는 사실이 뼈아프게 다가왔으며, 턴오버는 13:10, 리바운드 역시 48:40으로 제법 괜찮게 터진 3점을 제하면 댈러스에게 밀리는 경기를 했다. 특히 미네소타의 우세가 점쳐지던 보드장악 부분에서 댈러스에게 밀린 점은 고베어-타운스-리드의 최고급 빅맨진으로 대표되는 미네소타에게 고민거리를 안겨주었다.
3.1.2.2. 2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FINAL
Game 2
2024년 5월 24일 20:30 (ET)[9]
DAL leads 2-0
타깃 센터 -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
파일:DAL logo.svg 26 Q1 32 파일:MIN logo.svg
22 Q2 28
31 Q3 26
30 Q4 22
5 DAL <rowcolor=#000> 109 Final 108 3 MIN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댈러스 매버릭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데릭 존스 주니어 F 32:42 4 4 1 2 0 1 1/5 0/3 2/2 4 0
P.J. 워싱턴 F 37:49 10 5 0 1 2 1 4/11 0/4 2/2 2 -5
대니얼 개퍼드 C 21:05 16 5 0 0 5 0 8/10 0/0 0/2 2 -3
카이리 어빙 G 39:09 20 4 6 1 0 2 7/16 4/7 2/5 4 6
루카 돈치치 G 41:27 32 10 13 0 0 4 10/23 5/11 7/7 0 6
벤치
데릭 라이블리 2세 26:47 14 9 2 0 0 0 6/6 0/0 2/2 3 2
제이든 하디 11:41 8 1 1 1 0 1 3/7 2/3 0/0 1 -1
조시 그린 21:08 5 6 1 2 0 1 2/4 1/1 0/0 1 15
단테 액섬 3:06 0 0 0 0 0 0 0/1 0/1 0/0 0 -6
팀 하더웨이 주니어 5:06 0 0 0 0 0 0 0/1 0/1 0/2 0 -9
TOTALS 109 44 24 7 7 10 41/84 12/31 15/22 17 1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이든 맥대니얼스 F 36:16 2 5 2 0 2 2 1/6 0/3 0/0 2 -7
칼앤서니 타운스 F 25:52 15 7 3 2 0 0 4/16 1/5 6/7 2 0
루디 고베어 C 37:42 16 10 2 2 1 0 6/10 0/0 4/6 5 1
앤서니 에드워즈 G 40:09 21 5 7 0 1 2 5/17 2/7 9/10 2 -9
마이크 콘리 G 33:05 18 5 5 1 1 2 7/14 2/5 2/3 3 -1
벤치
나즈 리드 31:44 23 2 0 2 1 1 8/13 7/9 0/0 2 0
니킬 알렉산더워커 14:23 6 1 2 0 1 2 2/4 0/2 2/2 0 7
카일 앤더슨 20:26 7 5 5 0 0 0 2/5 0/0 3/4 3 4
몬테 모리스 00:23 0 0 0 0 0 0 0/0 0/0 0/0 0 0
TOTALS 108 40 26 7 7 9 35/85 12/31 26/32 19 -1
}}}}}}}}} ||
부상 리포트
DAL MIN
<rowcolor=#c8102e,#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F OUT 5월 26일 부상자 없음
막시 클레버 F OUT 5월 26일

파일:mindalgame2.webp
댈러스의 절대지존 돈치치가 또 한번 폭발했다. 초반의 무릎 부상 통증으로 고통받는 모습이 무색하게도 양팀 최다인 32득점에 10리바 13어시를 추가해 트리플 더블을 완성하며 1점차 대역전승을 이끌었다. 1차전에 전반부터 터졌던 어빙이 이번에는 정규 시즌 처럼 후반에 화끈하게 터지며 후반 15득점을 몰아치고 20점을 채웠다. 게퍼드, 라이블리도 각각 16득점과 14득점에 개퍼드는 5블락과 함께 턴오버가 될뻔한 패스를 밸런스가 무너진 상태에서도 득점으로 올려 공수양면에서 좋았고 라이블리는 9리바에 야투율 100%로 활약했다.

특히 마지막 103-108로 밀리는 상황에서 3점 어시스트와 올해 DPOY 고베어를 상대로 위닝 3점을 적중시키며 3초를 남기고 109-108로 대역전시킨 돈치치의 플레이는 가장 빛나는 장면이었다. 반면 미네소타의 앤서니 에드워즈는 1~2차전 내내 타깃 센터를 휘젓고 다닌 돈치치와 달리 심각한 부진이 이어졌으며, 특히 막바지 106-108의 상황에서 결정적인 턴오버로 댈러스에게 역전의 빌미를 제공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미네소타는 나즈 리드의 3점 대폭발에도 불구하고 2차전을 내주었으며, 홈 두 경기에서 내리 초접전패를 당했다는 뼈아픈 데미지를 안고 원정길에 나서게 되었다. 다시 홈으로 돌아오기 위해선 원투펀치인 에드워즈와 타운스의 반등이 필요하다.
3.1.2.3. 3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FINAL
Game 3
2024년 5월 26일 20:00 (ET)[10]
DAL leads 3-0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댈러스, 텍사스
파일:MIN logo.svg 28 Q1 33 파일:DAL logo.svg
24 Q2 27
35 Q3 27
20 Q4 29
3 MIN <rowcolor=#000> 107 Final 116 5 DAL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이든 맥대니얼스 F 32:19 15 1 0 1 0 0 6/8 3/4 0/0 5 -6
칼앤서니 타운스 F 38:28 14 11 3 0 0 0 5/18 0/8 4/5 2 -12
루디 고베어 C 28:33 9 6 2 0 0 1 4/4 0/0 1/2 5 -8
앤서니 에드워즈 G 43:01 26 9 9 2 0 5 11/24 0/2 4/6 2 -9
마이크 콘리 G 31:24 16 1 4 1 0 1 6/11 4/7 0/0 5 -18
벤치
나즈 리드 28:59 14 3 2 0 0 0 5/10 1/5 3/4 1 2
니킬 알렉산더워커 20:18 3 2 3 0 0 1 1/4 1/4 0/0 2 9
카일 앤더슨 16:58 10 0 3 0 2 2 5/6 0/0 0/0 2 -3
TOTALS 107 33 26 4 2 10 43/85 9/30 12/17 24 -9
댈러스 매버릭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데릭 존스 주니어 F 33:20 11 2 2 0 0 2 3/4 3/3 2/2 2 15
P.J. 워싱턴 F 40:05 16 8 2 0 0 0 5/10 2/6 4/4 2 10
대니얼 개퍼드 C 28:48 5 3 1 0 3 3 2/4 0/0 1/1 4 10
카이리 어빙 G 41:46 33 3 4 1 0 4 12/20 3/6 6/8 1 12
루카 돈치치 G 41:12 33 7 5 5 1 3 10/20 5/11 8/10 2 6
벤치
데릭 라이블리 2세 9:28 6 3 2 0 1 0 3/3 0/0 0/0 2 1
조시 그린 25:01 3 2 2 0 0 1 1/1 1/1 0/0 1 -1
제이든 하디 11:16 7 2 0 0 0 1 2/4 0/1 3/4 3 -6
단테 액섬 1:24 0 0 1 0 0 0 0/0 0/0 0/0 0 -1
드와이트 파웰 7:40 2 2 0 1 0 0 0/2 0/0 2/2 2 -1
TOTALS 116 32 19 7 5 14 38/68 14/28 26/31 19 9
}}}}}}}}} ||
부상 리포트
MIN DAL
<rowcolor=#c8102e,#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부상자 없음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F OUT 5월 28일
막시 클레버 F OUT 5월 28일

파일:dalmingame3.jpg
홈에 돌아오자마자 돈치치-어빙 듀오의 파워가 제기능을 했다. 무려 둘이 합작으로 66득점을 올려버리는 괴력을 발휘해버려 댈러스의 대망의 NBA 파이널 진출에 1경기를 남겨두게 되었다. 라이블리가 수비과정에서 넘어지면서 타운스의 무릎에 머리가 가격당하고 경기에서 이탈하게 되는 악재가 발생했지만 돈치치는 라이블리가 이탈한만큼 5개의 스틸을 따내줌으로써 라이블리의 이탈 여파를 느끼지 않게 수비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미네소타는 루디 고베어를 제외한 전원이 두자리수 득점을 기록했음에도 댈러스의 듀오의 대활약에 완전하게 먹혔다. 특히나 야투 성공률이 50.6:55.9, 3점슛 성공률이 무려 30:50으로 댈러스가 미네소타를 압도했을 정도로 매버릭스의 공격력은 효과적이었다. 이런 공격력으로 밀고 들어오니 미네소타가 할 수 있는것이 별로 없었다.

미네소타는 결국 스윕패의 위기에 몰렸으며, 댈러스는 구단 역샤상 세 번째 파이널 진출을 목전에 두고 있다. 특히 어빙은 클로즈아웃 게임 무패를 달리고 있기에 4차전의 무게의 추가 댈러스에게 실리고 있다.
3.1.2.4. 4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FINAL
Game 4
2024년 5월 28일 20:30 (ET)[11]
DAL leads 3-1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댈러스, 텍사스
파일:MIN logo.svg 27 Q1 20 파일:DAL logo.svg
22 Q2 29
29 Q3 24
27 Q4 27
3 MIN <rowcolor=#000> 105 Final 100 5 DAL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이든 맥대니얼스 F 38:52 10 1 0 1 1 0 4/8 2/4 0/0 2 14
칼앤서니 타운스 F 29:34 25 5 1 0 0 4 9/13 4/5 3/3 6 15
루디 고베어 C 39:14 13 10 1 0 1 2 4/5 0/0 5/9 5 4
앤서니 에드워즈 G 40:26 29 10 9 0 0 6 11/25 2/5 5/8 5 7
마이크 콘리 G 34:12 14 3 7 4 0 0 5/9 1/4 3/4 1 -3
벤치
나즈 리드 19:52 6 5 1 0 1 1 3/6 0/1 0/1 1 -10
카일 앤더슨 24:58 2 4 4 3 0 0 1/3 0/0 0/0 3 0
니킬 알렉산더워커 12:52 6 2 0 1 1 1 2/5 2/5 0/0 0 -2
TOTALS 105 40 23 9 4 14 39/74 11/24 16/25 23 5
댈러스 매버릭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데릭 존스 주니어 F 34:16 9 5 4 1 0 2 3/6 2/3 1/2 3 3
P.J. 워싱턴 F 41:42 10 5 2 0 1 1 3/13 2/9 2/2 3 -13
대니얼 개퍼드 C 31:21 12 8 1 1 3 0 6/6 0/0 0/0 3 -1
카이리 어빙 G 41:59 16 2 4 1 0 4 6/18 1/6 3/3 2 -2
루카 돈치치 G 40:44 28 15 10 1 0 3 7/21 4/11 10/12 4 -13
벤치
드와이트 파웰 3:08 0 0 0 0 0 1 0/0 0/0 0/0 1 -4
조시 그린 16:50 5 1 1 1 0 1 1/3 1/3 2/2 2 0
제이든 하디 12:05 13 1 0 0 0 1 5/8 3/4 0/0 1 2
막시 클레버 13:29 2 1 1 0 0 0 1/3 0/2 0/0 3 2
단테 액섬 4:26 5 0 0 1 0 0 2/3 1/2 0/0 0 1
TOTALS 100 38 23 6 4 13 34/81 14/40 18/21 22 -5
}}}}}}}}} ||
부상 리포트
MIN DAL
<rowcolor=#c8102e,#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부상자 없음 데릭 라이블리 2세 C OUT 5월 30일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F OUT 5월 30일

파일:dalmingame4.webp
댈러스가 시리즈 스코어 3-0으로 앞선 상황에서 클로즈아웃 게임 무패인 카이리 어빙의 기록이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 경기였다. 하지만, 결과는 미네소타의 승리로 끝나면서 어빙의 기록은 이어지지 못했다.

돈치치가 트리플더블로 맹활약을 했지만 어빙 본인이 부진했다. 특히, 이번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보여준 4쿼터에서 무시무시한 모습이 실종되었고 경기 30초가 남은 상황에서 결정적인 턴오버도 범하며 본인의 날이 아님을 보여줬다. 돈치치는 4쿼터 막판에 칼앤써니 타운스의 6반칙 퇴장을 이끌어냈고 종료 13초전 장거리 컨테스트 3점슛을 성공하고 에드워즈의 슛팅파울까지 이끌어내며 6점차를 2점차로 좁힐 수 있는 기회를 얻었지만 자유투를 실패하고 그 이후 나즈 리드의 슛으로 5점차가 되며 역전시키지 못하고 1승을 허용했다.

미네소타는 핵심 선수 3명인 앤써니 에드워즈, 칼앤써니 타운스, 루디 고베어가 하프타임까지 3개의 파울을 범하며 파울트러블 이슈가 있었다. 특히, 타운스가 3쿼터 중반에 5반칙이 되며 위기에 빠졌었지만 잘 버텼고 중요한 순간에 에드워즈, 타운스의 활약에 힘입어 1승을 가져왔다.
3.1.2.5. 5차전
파일:NBA Playoffs 로고.svg
2024 NBA Playoffs WEST FINAL
Game 5
2024년 5월 30일 20:30 (ET)[12]
DAL wins 4-1
타깃 센터 - 미니애폴리스, 미네소타
파일:DAL logo.svg 35 Q1 19 파일:MIN logo.svg
34 Q2 21
28 Q3 33
27 Q4 30
5 DAL <rowcolor=#000> 124 Final 103 3 MIN
매치 리포트

박스 스코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댈러스 매버릭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데릭 존스 주니어 F 29:48 5 2 2 0 1 0 2/6 1/2 0/0 3 11
P.J. 워싱턴 F 35:35 12 7 2 2 0 2 4/9 2/5 2/2 2 17
대니얼 개퍼드 C 20:13 11 9 0 0 1 2 3/3 0/0 5/6 5 26
카이리 어빙 G 39:50 36 4 5 0 0 0 14/27 4/10 4/4 2 17
루카 돈치치 G 36:35 36 10 5 2 0 4 14/22 6/10 2/3 2 22
벤치
데릭 라이블리 2세 24:45 9 8 3 0 3 1 3/3 0/0 3/6 3 -1
조시 그린 18:12 2 0 1 2 0 0 1/3 0/2 0/0 0 10
제이든 하디 8:10 7 0 0 0 0 1 3/5 1/2 0/0 0 4
막시 클레버 9:23 3 1 0 1 0 1 1/3 1/2 0/0 1 8
단테 액섬 11:25 0 3 1 0 0 0 0/1 0/0 0/0 1 -1
드와이트 파웰 3:02 2 1 0 0 0 1 1/1 0/0 0/0 1 -4
AJ 로슨 3:02 1 0 0 0 0 0 0/1 0/1 1/2 0 -4
TOTALS 124 45 19 7 5 12 46/84 15/34 17/23 20 21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기록
<rowcolor=#c8102e,#fff> PLAYER MIN PTS REB AST STL BLK TO FG 3P FT PF +/-
선발
제이든 맥대니얼스 F 21:21 8 1 0 0 2 1 3/6 2/4 0/0 5 -13
칼앤서니 타운스 F 37:39 28 12 2 1 0 2 9/20 1/6 9/10 0 -14
루디 고베어 C 26:28 9 5 1 1 0 2 4/8 0/0 1/2 1 -23
앤서니 에드워즈 G 43:00 28 9 6 1 1 1 10/18 4/6 4/6 2 -20
마이크 콘리 G 20:39 7 4 2 2 0 1 2/5 1/3 2/2 1 -17
벤치
카일 앤더슨 32:35 7 3 3 1 1 1 3/9 1/4 0/0 2 -13
니킬 알렉산더워커 13:41 0 0 1 2 0 0 0/2 0/1 0/0 1 -3
나즈 리드 27:03 5 4 1 0 1 3 2/10 0/4 1/1 4 -14
조던 맥러플린 5:26 0 0 0 0 0 0 0/3 0/1 0/0 0 -4
레너드 밀러 3:02 0 2 0 0 0 0 0/0 0/0 0/0 0 4
웬델 무어 주니어 3:02 5 0 0 0 0 0 2/3 1/2 0/0 1 4
조시 마이낫 3:02 0 0 1 0 0 0 0/2 0/1 0/0 0 4
루카 가자 3:02 6 1 0 0 0 0 3/3 0/0 0/0 0 4
TOTALS 103 41 17 8 5 11 38/89 10/32 17/21 17 -21
}}}}}}}}} ||
부상 리포트
DAL MIN
<rowcolor=#c8102e,#fff>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선수 상태 예상 복귀일
올리비에막상스 프로스퍼 F OUT 6월 1일 부상자 없음

파일:mindalgame5.webp
1쿼터부터 무자비한 공격력[13]을 뽐낸 돈치치를 앞세운 댈러스가 13년만에 파이널에 진출했다. 1쿼터 돈치치 개인보다 득점이 적었던 미네소타는 리드와 타운스의 야투난조로 인해 추격의 동력을 점차 잃어갔고 결국 한때 36점까지 점수차가 벌어지며 홈에서 참패를 당했다. 돈치치 방면의 수비에서 더블팀을 활용하며 억제를 꾀하였으나 결국 어빙마저 돈치치와 같이 36득점을 올리며 원투펀치가 72득점을 합작,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애드워즈와 타운스가 3쿼터에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이미 너무 늦었고 미네소타는 창단 첫 파이널 진출을 다음으로 미뤄야했다.

3.1.3. 총평

파일:daladvanceto2024finals.webp
루카 돈치치를 위한 무대였다고 할 수 있다. 미네소타는 디펜딩 챔피언 덴버를 이기고 올라왔고,[14] 트윈 타워와 폭발력의 앤트맨, 올해의 식스맨 나즈 리드 등 탄탄한 멤버를 보유하고 있기에, 다들 댈러스의 탈락 즉, 미네소타의 우위를 점치고 있었다. 하지만 돈빙 듀오의 폭발력이 모든 걸 해결한 시리즈라 할 수 있다.

에드워즈는 돈빙듀오와 매치업으로 인한 피로도로 인해 활약을 하지 못했고, 트윈 타워 역시 라이블리 2세와 개포드의 활약으로 저지되어 버렸다. 댈러스의 핵심인 돈치치를 막기 위해 더블팀을 가동하고 했지만 농구도사인 그는 그걸 파훼해버렸고 돈치치를 봉쇄하지 못한 미네소타는 결국 4:1이라는 스코어로 탈락을 해버리게 되었다.

이번 플레이오프 1라운드부터 댈러스는 올라가기 어렵다 라는 소리를 들었지만 결국 루카 돈치치는 왜 자신이 슈퍼스타이자, 차세대 MVP인지 보여줬고, 미네소타는 내년을 기약하게 되었다.

4. 컨퍼런스 파이널 MVP

4.1. 동부 컨퍼런스

제일런 브라운
Jaylen Brown
29.8 PPG / 5.0 RPG / 2.0 SPG / 51.7 FG%
보스턴이 NBA 파이널로 진출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일등공신이나 다름 없다. 보스턴이 대체로 주전들이 고르게 활약하는 경향이 강하다곤 하나 결국 1~2옵션의 활약이 중요한 플레이오프에서, 1차전 연장행 3점포를 꽂은 데 이어 2차전에서는 무려 40득점을 기록하는 등 테이텀과 원투펀치를 구성하는 선수로서 충분한 활약을 펼쳤다. 테이텀 역시 컨퍼런스 파이널에서 팀 내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1위를 차지하며 만능툴의 면모를 보여주었지만, 동부 컨퍼런스 파이널 MVP는 폭발력과 임팩트라면 테이텀에게도 밀릴 것 없다는 것을 증명해낸 브라운의 차지가 되었다.

4.2. 서부 컨퍼런스

루카 돈치치
Luka Dončić
32.4 PPG / 9.6 RPG / 8.2 APG / 2.2 SPG
댈러스의 태양, 루카 돈치치가 데뷔 첫 파이널 진출과 함께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 MVP 영광을 얻었다. 파이널까지 팀내 득점, 리바운드, 어시스트 리더로 팀을 이끌었으며[15] 플레이오프 전 부상을 달고 있다는 리포트에도 불구하고 결국 파이널 진출에 성공했다.
[1] 가장 최근에 우승한게 2011년 우승한 댈러스고, 그 다음이 2008년 우승한 보스턴, 미네소타와 인디애나는 우승 경력 자체가 없다. 심지어 미네소타는 파이널에 가본적조차 없다.[2] 특히 네스미스는 2020-22 시즌까지 보스턴 소속으로 있었기 때문에 친정팀과의 대결이란 남다른 의미도 더해졌다.[3] KST 22일 09:00[4] KST 24일 09:00[5] KST 26일 09:30[6] KST 28일 09:00[7] 실제로 1라운드에서 클리퍼스의 이비차 주바치에게 꽤나 고전했다.[8] KST 23일 09:30[9] KST 25일 09:30[10] KST 27일 09:00[11] KST 29일 09:30[12] KST 31일 09:30[13] 20득점, 야투 성공 8/11, 3점 성공 4/6[14] 그것도 7차전은 무려 20점차 열세를 극복했다.[15] 2002년 제이슨 키드, 2003년 팀 던컨, 2012~15년 르브론 제임스, 2023년 니콜라 요키치, 2024년 제이슨 테이텀에 이어 6번째로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