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토트넘 홋스퍼 FC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0b1c5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373A3C,#DDDDDD | <colbgcolor=#0b1c56><colcolor=#ffffff> 산하 구단 |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 홋스퍼 FC 위민|토트넘 홋스퍼 아카데미 | |
선수단 | 스쿼드 간략|리저브 간략 | ||
스태프 | 보드진 및 스태프 | ||
역사 | 역사|유니폼|응원가|역대 주장 | ||
역대 시즌 | 11-12 시즌 이전|2011-12 | 2012-13 | 2013-14 | 2014-15 /리그|2015-16 /리그|2016-17 /리그|2017-18 /리그|2018-19 /리그|2019-20 /리그|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 | ||
더비 매치 | |||
구단 시설 | <colbgcolor=#0b1c56><colcolor=#ffffff> 경기장 |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화이트 하트 레인 구 홈구장 | |
훈련 시설 | 홋스퍼 웨이 훈련 시설 | ||
주요 인물 | 역대 감독 토트넘 홋스퍼 FC 감독(1대~40대)|역대 회장|임원진|올해의 선수 | ||
스폰서 | AIA 메인 스폰서| 나이키 킷 스폰서 | ||
기타 | 다니엘 레비 회장|엔지 포스테코글루 감독|DESK|손케 듀오|레거시 넘버|토트넘 핫스퍼 마이너 갤러리 |
| |
토트넘 홋스퍼 FC | |
화이트 하트 레인 White Hart Lane | |
시공 | 1898년 |
개장 | 1899년 9월 4일 |
폐장 | 2017년 5월 14일 |
소유 · 운영 | 잉글랜드 런던 토트넘 (Bill Nicholson Way, 748 High Road Tottenham N17 0AP) |
건설 비용 | 100,050 파운드 (1934년) |
설계 | 아치볼드 리치 (1909년) |
홈 구단 | 토트넘 홋스퍼 FC (1899년~2017년) |
수용 인원 | 36,284석 |
규모 | 100 x 67 m |
TO DARE IS TO DO | THIS IS MY CLUB. MY ONE AND ONLY CLUB |
COME ON YOU SPURS | TOTTENHAM HOTSPUR^TM^ |
1. 개요
잉글랜드에 위치해 있었던 축구 경기장. 영국 런던의 북부 지역인 토트넘에 위치해 있었으며, 프리미어 리그에 소속 되어있는 클럽인 토트넘 홋스퍼 FC의 홈구장이었다. 약칭은 '레인(The Lane)'.1948 런던 올림픽을 치른 적이 있으며, 총 수용인원은 한때 7만 명에 육박하였으나 축구장 전 지역을 좌석으로 바꾼 이후에는 36,284명이 됐다. 오래된 경기장임에도 의외로 잔디 아래 열선이 깔려있어 눈이 오는 날 경기를 해도 눈이 쌓이지 않았다. 100년 가까이 늦게 완공된 브리타니아 스타디움에서 스토크 시티 FC가 눈이 쌓인 경기장에서 힘들게 경기했던 것과는 비교되는 부분이다.
2. 폐장
개장한 지 100년이 넘어가면서 구장의 노화 때문에 새로운 62,062석 규모의 홈구장인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 신축 계획을 발표하였다.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은 2018년에 완공될 예정이고, 화이트 하트 레인은 2016-17 시즌을 마지막으로 철거에 들어가게 된다.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이 완공되기 전까지 토트넘은 2018-19 시즌 중반까지 웸블리 스타디움을 임대해 홈경기를 가지게 된다.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 펼쳐지는 마지막 경기는 2017년 5월 14일 펼쳐지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프리미어 리그 37라운드 경기가 된다. 그리고 그 경기에서 토트넘은 2-1 승리로 유종의 미를 거뒀으며, 16-17 시즌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의 성적을 21승 2무로 마무리했다. 그리고 이 경기를 이기며 토트넘의 프리미어 리그 역사상 최고 성적인 2위로 시즌을 마치게 되었다. 이 경기장에서의 마지막 토트넘 득점자는 해리 케인이고, 마지막 원정팀 득점자는 웨인 루니가 되면서 잉글랜드의 현재와 미래가 화이트 하트 레인의 막을 장식하게 되었다.
|
화이트 하트 레인의 360º 파노라마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사라진 것 같다.
지붕에 설치된 토트넘 홋스퍼의 상징물인 수탉(The cockerel)[2] 모형은 경기장 해체 전에 내려져 구단 사무실에 전시 형태로 보관되었고, 새로운 수탉 모형이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의 지붕에 세워졌다.# 새 모형은 기존의 모형 보다 크기가 조금 더 크고, 동쪽 스탠드 지붕에 있던 기존과 다르게 새 모형은 남쪽 스탠드 지붕에 설치 되었다.
2.1. 초청 레전드
이름 | 로마자 이름 | 국적 | 포지션 | 선수 기간[3] | 감독 기간[4] | 소개 |
클라이브 앨런 | Clive Allen | | ST | 1984~1988 | [5] | |
폴 앨런 | Paul Allen | | MF | 1985~1993 | [6] | |
레스 앨런 | Les Allen | | ST | 1959~1965 | [7] | |
대런 앤더튼 | Darren Anderton | | W | 1992~2004 | [8] | |
스티브 아치발드 | Steve Archibald | | ST | 1980~1984 | [9] | |
오스발도 아르딜레스 | Ossie Ardiles | | MF | 1978~1988 | 1993~1994 | [10] |
필 빌 | Phil Beale | | DF | 1963~1975 | [11] | |
디미타르 베르바토프 | Dimitar Berbatov | | ST | 2006~2008 | [12] | |
스티븐 카 | Stephen Carr | | DF | 1993~2004 | [13] | |
마틴 치버스 | Martin Chivers | | ST | 1968~1976 | [14] | |
레이 클레멘스 | Ray Clemence | | GK | 1981~1988 | [15] | |
가스 크룩스 | Garth Crooks | | ST | 1980~1985 | [16] | |
피터 크라우치 | Peter Crouch | | ST | 1998~2000, 2009~2011 | [17] | |
에드가 다비즈 | Edgar Davids | | MF | 2005~2007 | [18] | |
사이먼 데이비스 | Simon Davies | | MF | 2000~2005 | [19] | |
테리 다이슨 | Terry Dyson | | W | 1955~1965 | [20] | |
저스틴 에딘버러 | Justin Edinburgh | | DF | 1990~2000 | [21] | |
마이크 잉글랜드 | Mike England | | DF | 1966~1975 | [22] | |
마크 팔코 | Mark Falco | | ST | 1978~1986 | [23] | |
토니 갈빈 | Tony Galvin | | W | 1978~1987 | [24] | |
앨런 길전 | Alan Gilzean | | ST | 1964~1974 | [25] | |
다비드 지놀라 | David Ginola | | W | 1997~2000 | [26] | |
미키 해저드 | Micky Hazard | | MF | 1978~1985, 1993~1995 | [27] | |
글렌 호들 | Glenn Hoddle | | MF | 1975~1987 | 2001~2003 | [28] |
데이비드 호웰스 | David Howells | | MF | 1985~1998 | [29] | |
팻 제닝스 | Pat Jennings | | GK | 1964~1977, 1985~1986 | [30] | |
클리프 존스 | Cliff Jones | | W | 1958~1968 | [31] | |
로비 킨 | Robbie Keane | | ST | 2002~2008, 2009~2011 | [32] | |
레들리 킹 | Ledley King | | DF | 1999~2012 | [33] | |
조 키니어 | Joe Kinnear | | DF | 1965~1975 | [34] | |
게리 마벗 | Gary Mabbutt | | DF | 1982~1998 | [35] | |
테리 메드윈 | Terry Medwin | | W | 1956~1963 | [36] | |
폴 밀러 | Paul Miller | | DF | 1977~1987 | [37] | |
테리 네일러 | Terry Naylor | | DF | 1969~1979 | [38] | |
앨런 닐슨 | Allan Nielsen | | MF | 1996~2000 | [39] | |
존 프랫 | John Pratt | | MF | 1965~1980 | [40] | |
그레이엄 로버츠 | Graham Roberts | | DF | 1980~1986 | [41] | |
지미 로버트슨 | Jimmy Robertson | | W | 1963~1969 | [42] | |
폴 로빈슨 | Paul Robinson | | GK | 2004~2008 | [43] | |
비니 샘웨이즈 | Vinny Samways | | MF | 1986~1994 | [44] | |
테디 셰링엄 | Teddy Sheringham | | ST | 1992~1997, 2001~2003 | [45] | |
폴 스튜어트 | Paul Stewart | | MF | 1998~1992 | [46] | |
에릭 토르스트베트 | Erik Thorstvedt | | GK | 1988~1996 | [47] | |
리카르도 비야 | Ricardo Villa | | MF | 1978~1983 | [48] | |
크리스 워들 | Chris Waddle | | W | 1985~1989 | [49] |
3. 구조
3.1. 스탠드
|
위치 | 수용 인원 |
North Stand (Paxton Road) | 10,086 |
South Stand (Park Land) | 8,633 |
East Stand (Worcester Avenue) | 10,691 |
West Stand (High Road) | 6,890 |
총 수용 인원 | 36,300 |
피치 크기 | 100m×67m [50] |
3.2. 주변 시설
- 토트넘 메가스토어(SPURS SHOP)
- No.8 Tottenham (펍)
- Sainsbury's (아울렛)
4. 기록
- 가장 큰 점수차 승리(FA컵): vs 크루 알렉산드라 FC, 13:2
- 가장 큰 점수차 승리(프리미어 리그): vs 위건 애슬레틱 FC, 9:1[51]
- 가장 큰 점수차 패배: vs 선덜랜드 AFC, 아스날 FC 0:6
- 최다 출장 선수: 스티브 페리먼 (436경기)
- 최다 득점 선수: 지미 그리브스 (176골)
5. 가는 방법
버스 149번, 259번, 279번, 349번 버스를 타고 레인 근처에 도착할 수 있다.[52] 런던 오버그라운드를 이용하면 화이트 하트 레인(White Hart Lane Railway Station)(경기장으로부터 0.32km), 노섬벌랜드 파트(Northumberland Part Railway Station)(경기장으로부터 1.1km)에서 내리면 경기장 가까이에서 내려 걸어갈 수 있다. 토트넘 헤일(Tottenham Hale Station)이나 세븐 시스터즈(Seven Sisters Station)에서 내려도 갈 수 있지만, 도보로 30분 이상 걸린다.현재는 경기장 위치에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이 있다.
6. 기타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아스날 FC가 화이트 하트 레인에 세들어 산 적이 있다. 이 시기는 리그도 잠정 중단되었던 시기여서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의 경기는 공식전 기록으로 남지 않았다.* 아스날 FC가 무패우승 할 당시에 토트넘과의 35라운드 경기에서 2-2로 비긴 후, 첼시가 뉴캐슬 원정에서 패하면서 조기 우승을 확정지었다. 일부 아스날 팬들은 이를 기념하며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 우승을 확정지었다는 점을 언급하는 응원가를 부르기도 한다.
7. 관련 문서
[1] 참고로 솔 캠벨은 자신이 초청받지 못한 것에 대해 굉장히 실망했었다고 한다(...) 역시 사고방식 자체가 일반인과는 다르다[2] 황금 수탉(Golden cockerel)라 불리기도 한다.[3] 유소년 제외[4] 감독 대행 제외[5] 통산 49골, 올해의 선수 2관왕[6] 370여 경기 출전, 1990-91 FA컵 우승[7] 더블 시즌의 1호골의 주인공[8] 토트넘의 프리미어 리그 최다 출장자(299경기)[9] 78골, 2번의 FA컵과 UEFA컵 우승, We'll Take More Care of You[10] 월드컵 우승 2주 후 이적, 2번의 FA컵과 UEFA컵 우승[11] 성골 유스, 12년간 420경기, Mr. Consistent[12] 리그컵 우승[13] 1998-99 리그컵 우승, Thunderous Piledriver[14] 토트넘 최고의 골잡이 중 한 명[15] 입단 첫 시즌에 FA컵 우승[16] 1981년 컵 결승전 2번째 골의 주인공[17] 2010년 챔피언스리그 진출을 이끈 "그" 골의 주인공[18] 하드 태클, The Pitbull[19] 147경기 출장[20] 1960-61 더블 위너이자 역사적인 시즌의 마지막 득점자[21] 1991년 임대 입단하여 FA컵 우승에 기여한 후 10년을 더 헌신한 선수[22] 웨일스 최고의 센터백, 408경기, 트로피 4개[23] 성골 유스, 93골[24] 2번의 FA컵우승 및 UEFA컵 우승[25] 450경기 133골, 화이트 하트 레인의 오리지널 킹[26] 토트넘 최고의 엔터테이너 중 한 명, 1999년 올해의 선수 2관왕, "Because I'm worth it."[27] 2번의 토트넘 소속, 2개의 트로피[28]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의 작별 경기에서 득점(farewell goal)을 기록한 미드필더, 감독[29] 토트넘 역대 최연소 데뷔전 데뷔골, 1990-91 FA컵 우승[30] 591경기, 1973 올해의 선수상, 1976 PFA 올해의 선수상,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31] 1961 더블 팀의 일원, The Original Wales Wing Wizard[32] 토트넘 역대 최다득점자 10인 중 한 명[33] 321경기, Has only one knee, Captain[34] 20살의 나이에 맹활약, 첫 번째 시즌에 FA컵 우승[35] 16년간 화이트 하트 레인 소속, 11년간 주장 완장 착용, 1990-91 FA컵 우승, Captain[36] 더블 위너[37] 성골 유스, 2번의 FA컵과 UEFA컵 우승[38] 300여 경기 출장, Meathook[39] 1998-99 리그컵 우승[40] 1970년대 최고의 토트넘 선수 중 한 명, 용감하고 충성심 강한 선수, 415경기 출전[41] 2번의 FA컵 우승 및 UEFA컵 우승[42] 1967년 FA컵 결승 선제골의 주인공[43] 화이트 하트 레인에서 골을 기록한 잉글랜드의 No.1 골키퍼[44] 246경기 출전, 1990-91 FA컵 우승[45] 창의적인 선수, 올해의 선수 2관왕[46] 1991 FA컵 결승전 득점자, 172경기 출전[47] 219경기 출전, 1990-91 FA컵 우승, Erik the Viking[48] 1978 FIFA 월드컵 우승, FA컵 역사상 최고의 결승골의 주인공[49] 빠르고 고난도의 기술을 가진 선수[50] 프리미어리그의 작은 피치들 중 하나였다. 2017년 사용하는 웸블리의 규격이 105m×68m로 515m² 더 크다. 이 크기 차이로 인해 토트넘의 압박 전술에 어려움이 있다는 견해도 있다.[51] 프리미어리그 출범 이전 풋볼 리그 시절 브리스톨 로버스를 상대로 9:0 승리를 기록한 적이 있다. 조원희가 교체 출전한 위건 애슬레틱 FC[52] Tottenham Court Road는 화이트 하트 레인이 아니다! 런던 한복판에 내리게 되니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