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bgcolor=#2A2E34><tablebordercolor=#000000><:>
||
노스가드의 기본 등장 부족 | |||||
에익튀르니르 | 펜리르 | 헤이드룬 | 후긴과 무닌 | 비야르키 | 슬리드룩타니 |
노스가드의 DLC 등장 부족 | |||||
스바프니르 | 니드호그 | 스바딜파리 | 링바크르 | 힘민브리오티르 | 브륀드르와 카엘린 |
라타토스크 | 도드스바그르 | 흐레스벨그 | 볼드르 | 가름 | 하프구파 |
비달의 십자가 DLC 등장 왕국 | |||||
네우스트리아 | 케르네브 | 가르다리키 | |||
기타 항목 | |||||
부족 | 유닛 | 건물 | 지식 트리 | 지형 | 시나리오 |
제작진 제시 성능 | |||
학습 난이도 | 개발 | 군사 | 지원 |
★★☆ | ★★★ | ★☆☆ | ★★☆ |
1. 시작 보너스
식량으로 마을 주민을 구입할 수 있다. 구매 비용은 인구 규모에 따라 증가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행복도와 인구 증가 속도에 비례해 구매 비용이 점점 감소한다.
- 지역이 공격받거나 주둔지 명령을 발동하면 주민들이 건물에 들어가 주둔한다. 주둔지 취소를 발동하면 모든 주민들이 건물 밖으로 나오며 일정 시간동안 타일내 유닛에게 방어력 +50% 보너스를 부여한다.
- 다른 부족 및 파벌과의 긍정적인 관계도 레벨마다
명성 +30을 획득한다.
- 마을 회관에서
목재를 지불해 카라반을 구입할 수 있다. 카라반은 카라반 상인을 배치할 수 있으며 모든 우호 세력의 영토나 중립 지역을 이동할 수 있고, 적대 유닛이 없는 자신의 영토나 중립 지역에 배치해 카라반 상인으로 자원을 채집할 수 있다.
- 카라반에 배치한 카라반 상인들은 카라반 배치 시 타일 내에서 천연 자원을 수집하고
크뢰븐스를 생산한다.
2. 명성 보너스
- 급증하는 수요(
200 필요)
- 보유 카라반 상한 +1
- 카라반에 배치할 수 있는 카라반 상인 수가 +1 증가한다.
- 빛나는 갑옷의 기사들(
500 필요)
- 군사 유닛이 보유한
크뢰븐스 50당 공격력과 방어력이 1% 증가한다.(최대 25%.)
- 마을 주민을 식량 대신
크뢰븐스로 구입할 수 있다.
3. 고유 시스템
3.1. 고유 건물
3.1.1. 카라반(Caravan)
| |
선행 조건 | 없음 |
건설 비용 | 80 |
유지 비용 | 없음 |
체력 | |
공격력 | |
방어력 | |
- 스킬 : 배치 - 카라반을 지정한 위치에 배치한다.(이동 상태일때 사용 가능)
- 스킬 : 정리 - 카라반을 정리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배치된 상태일때 사용 가능)
카라반 상인을 고용할 수 있는 이동식 건물. 최대 3개까지 구매할 수 있으며, 명성 200을 달성하면 추가로 1개 더 구매할 수 있다. 이동 모드와 배치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거북 부족의 전부라고 해도될 핵심 건물로 해당 건물을 배치하여 자원을 얻고 다른 자원 건물을 모조리 생략하는게 가능하다. 여우굴/늑대굴/드라우그 무덤의 몬스터를 모두 처지한 뒤 카라반을 배치해주면 점령하지 않고도 점령 보상을 획득할 수 있고 폐허/난파선 또한 카라반과 정찰병으로 점령없이 탐험 보상만 빼먹을 수 있다.
3.1.2. 안드바라나우트의 반지(Andvaranaut Ring)
하프구파 고유 유물. 다른 부족, 파벌과의 관계도를 사고팔 수 있다. 일반 부족과 중립 파벌과의 관계도는 1번의 거래에 관계도 5당 50 크뢰븐스로 거래할 수 있고, 6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갖는다. 미클라가르드과의 관계도 비용은 미클라가르드가 보유중인 영향력이 높을수록 한번에 거래가능한 관계도가 늘어나고, 거래횟수에 비례해 가격이 상승하며 120초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갖는다.
3.2. 고유 유닛
3.2.1. 노르드(Njörd)
| |
체력 | |
공격력 | |
방어력 | |
경험치 | |
비용 | 200 |
- 스킬 : 협상(지속) - 노르드가 있는 타일 내 모든 구매 비용이 15% 감소한다.
하프구파 고유 대전사. 특이 사항으로 이동속도가 매우 빠르고, 회피율 15%가 붙어있어 보이는 스팩대비 매우 단단하다. 협상 스킬을 통해 주민 구매비용, 군사 유닛 고용비, 도구 업그레이드, 건물 업그레이드에 들어가는 광물자원을 제외한 모든 자원을 할인받을 수 있으니 해당 작업을 진행할땐 반드시 노르드를 해당 타일에 주차해놓고 진행해야한다. 참고로 해당 할인 효과는 아군도 적용받을 수 있으니 아군과 소통이 된다면 큰 자원 절약 효과를 지원해줄수 있다.
3.2.2. 카라반 상인(Shopkeeper)
| |
체력 | |
공격력 | |
방어력 | |
경험치 | |
하프구파 부족 전용 유닛. 설화와 명성을 제외한 모든 자원을 생산할 수 있는 거북 부족의 핵심 내정 유닛이다.
3.3. 고유 지식
하프구파 지식판 | ||||
식량 및 생존 지식 | 날카로운 도끼 | 보급망 | 모집 | 재받이돌 |
박멸 | 더 나은 탐색 | 행복감에 빛나는 사람들 | ||
군사 및 전투 지식 | 과잉 보상 | 모피 코트 | 공격적인 시장 공략 | 전설적인 영웅들 |
방어 전략 | 안정감 | 괴물 학살자 | ||
경제 및 발전 지식 | 채굴 효율 | 자산 수출 | 학식 | 협상 |
화폐 제도 | 목공 장인 | 무역 대상 |
<rowcolor=#fff> 기존 설화 → 대체 고유 설화 | 효과 |
점령 → 보급망 | 카라반과 같은 지역에 있는 아군 유닛의 자원 소비가 15% 감소한다. (군사 유닛의 경우 효과 2배) |
의학 → 더 나은 탐색 | 영토에서 먼 지역일수록 카라반 상인의 생산량 증가. 카라반 상인이 수집하는 자원의 도구 업그레이드 효과를 적용받는다. |
무기 대장장이 → 과잉 보상 | 부대 한도가 2 증가한다. 모집 비용을 더 지불하면 부대 한도를 초과해서 군사 유닛을 모집할수 있다. |
군사 전략 → 공격적인 시장 공략 | 설치된 카라반이 방어탑 판정을 받는다. 주둔한 카라반이 방어탑에 영향을 주는 모든 보너스를 적용받는다. |
조선 → 자산 수출 | 등대가 잠금 해제된다. 미클라가르드의 교역로를 해제한다. 카라반 상인이 해당 지역에서 생산하는 자원의 67%만큼 다른 부족이나 세력에게 선물 교역을 진행할 수 있으며, 선물 교역 중에는 크뢰븐스를 생산하지 않는다. |
4. 평가
교역을 통해 아군에게 자원을 분배하고 교역 승리를 노리는 상업특화 서포터 부족장점
- 카라반
카라반으로 설화, 명성, 행복도를 제외한 모든 자원을 생산할 수 있다. 대부분의 내정 건물을 생략할 수 있어 건물 유지비가 적게 들어가고 건물 캡이 매우 널널한 편이며 또한 카라반은 중립 지역에서도 자원을 수집할 수 있고 점령 보상이 있는 타일에 카라반을 배치해주면 점령 비용없이 보상을 빼먹을 수 있다. 자원이나 점령 보상을 위해 불필요한 타일을 무리해서 점령할 필요가 없어 식량 자원을 아낄수 있다.
- 최강의 수비력
담비 왕국과 함께 수비력 투탑을 달리는 부족으로 담비 왕국이 주민의 물량으로 수비한다면, 거북 부족은 교역 보상으로 받는 요툰/드워프 유닛과 주둔 버프, 그리고 고유 지식 공격적인 시장 전략을 통해 방어탑이 된 카라반을 한 타일에 다수 배치하여 수비한다. 거북 부족이 작정하고 수비하면 한 타일에 방어탑이 최대 5개나 있고, 안에서 버티고 있는 모든 유닛에게 일시적으로 방어력 +50% 버프를 뿌리는 극한의 벙커링을 실현할 수 있다.
- 매우 빠른 관계도 개선 속도
카라반을 통해 선물 외교가 가능해 기본적으로 관계도를 올리는 속도가 빠른 편인데 전용 유물의 효과로 관계도를 사고팔수 있어 작정하고 관계도를 쌓기 시작하면 다른 부족이 세력 하나를 포섭하기도 전에 맵 내에 있는 모든 중립 세력과 동맹을 맺을 정도로 관계도 올리는 속도가 빠르다. 이는 미클라가르드와의 교역에도 적용되서 교역 승리가 매우 빠르고 편하다.
단점
- 야전 전투력 최약체
수성전에선 최강이지만 영토 밖을 나와서 회전이나 공성전을 시작하면 약한 전투력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체급을 불리거나 확장을 잘 안하는 부족이라 동원할 수 있는 병력 수부터 적고, 대전사를 제외한 전투 유닛의 스팩과 관련된 모든 설화가 대체되어 있는데, 명성 500 달성 시 주어지는 공격력/빙어력 보너스도 최대로 받으려면 1250 크뢰븐스를 저축해놓고 있어야해서 난이도가 높다. 중립 지역에서 맞붙을 경우 요툰을 동원하지 않는다면 모든 부족 중에서 전투력이 가장 낮은 편.
5. 추천 운영 및 팁
- 군사 특성
- 수호자☆
거북 부족은 방어탑을 통한 수비력를 극대화하기 위해 방어탑에 추가 효과를 주는 수호자를 고르는 편이다. - 통솔, 군단
공격에 메리트가 있는 부족이 아니라서 두 특성은 어울리지 않는다.
- 지식 트리
채굴 효율 → 자산 수출 → 날카로운 도끼 → 보급망 → 과잉 보상 → 방어 전략 → 안정감 → 공격적인 시장 공략 → 이후 자유
- 추천 유물
- 전용 유물이 거북 운영의 핵심이라 최대한 빠르게 만들어야한다.
- 팁
- 최소한의 영토만 점령하고 적은 인구로 내정을 굴리는 효율이 매우 높은 부족이라 무리하게 확장을 할 필요가 없다.
- 자원은 카라반으로 생산할 수 있어 자원 생산 건물 건축을 최소화할 수 있다.
- 고유 지식"자산 수출"을 통해 중립 세력을 포섭하거나 아군에게 자원을 분배하는것이 하프구파의 존재의의. 특히 요툰이 있다면 반드시 두 요툰을 모두 포섭해야한다.
- 중립세력 관계도가 100이 되면 더 이상 사고팔 수 없지만, 아군은 관계도가 100이 되도 관계도를 팔아서 크뢰븐스를 수급할 수 있다. 60초마다 꾸준히 외교창에서 관계도를 팔아 크뢰븐스를 마련하면 좋다.
- 카라반으로 영토 외에 있는 광맥과 점령 보상을 빼먹을 수 있다. 중립 몬스터를 사냥하는 아군을 쫒아다니면서 적 인접지역에 있는 점령 보상을 선점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니 항상 염두에 두고 꾸준히 각을 재는게 좋다.
6. 여담
승리할 시 달성되는 도전과제는 바위처럼 단단한(Solid as a Rock)메인 컨셉은 실크로드 무역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