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9 23:21:15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파일:포드 로고.svg
파일:external/www.thesupercars.org/ford-crown-victoria.jpg
Crown Victoria

1. 개요2. 역사
2.1. 페어레인 크라운 빅토리아(Fairlane Crown Victoria, 1955~1956)2.2. LTD 크라운 빅토리아(1979~1991)2.3. 1세대 (1991~1997)2.4. 2세대 (1997~2011)
2.4.1. 기타 파생형
3. 그 외 사양
3.1.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Police Interceptor, P71/P7B)3.2. 롱 휠베이스 버전
4. 미디어
4.1. 영화4.2. 드라마4.3. 게임4.4. 애니메이션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Ford Crown Victoria

포드에서 1955년부터 2011년까지 생산했던 후륜구동 대형 세단. 포드의 유일한 가솔린 4.6L 대형 세단이기도 하며, 보통 짧게 'Crown Vic', 또는 그냥 한 글자로 'The Vic' 으로 통한다.

링컨 타운카,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머큐리 머라우더[1]와 팬서 플랫폼을 공유한다. 각 모델별로 엔진 밸브 수가 다르다던지, 변속기 형상이 다르다던지 하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파생형이라고 할 수 있다. 북미에서 최후로 생산된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의 풀사이즈 FR 세단이며 포드사 한정으로 풀 사이즈 포드 승용차 FR 부분의 마지막 모델이다.[2]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이라 워낙 단단하고 구조가 간단하다 보니, 차체 강성이 꽤 좋아 경미한 사고 정도는 간단하게 고칠 수 있다. 심지어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은 차체의 교환이 가능하다보니 클래식 팬더 플랫폼 차량의 외장을 최신 팬더 플랫폼으로 이식하는 경우도 있다. 실용성에 강성까지 겸비했으면서 V8이라 기름까지 퍼먹는지라 머스탱과 함께 좋은 쪽으로도 나쁜 쪽으로도 미국차의 대표 아이콘으로 등극.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중반까지 미국, 특히 뉴욕의 택시들이 거의 열에 아홉은 이 차량이었지만 단종 이후 미국 택시 회사들 사이에서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무겁고 노후화된 설계의 크라운 빅토리아에서 연비가 상대적으로 좋고 적당한 크기인 이스케이프, 프리우스, 캠리, 시에나 등 다양한 대안으로 차종을 대체하면서 점점 보기 힘들어지게 되고, 이 택시들이 자주 돌아다녔던 뉴욕에서마저 점차 폐차장 신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다. 이건 경찰차도 마찬가지로, 경찰차도 한 때는 크라운 빅토리아가 대다수였으나 지금은 크라운 빅토리아에서 익스플로러, 토러스, 차저 등으로 바뀌면서 예산 부족 등으로 신형 차량의 보급이 더딘 대도시 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크라운 빅토리아는 예비용 차량으로 방치되거나 경찰 장비 공매장 신세를 지게 되었다.

2. 역사

2.1. 페어레인 크라운 빅토리아(Fairlane Crown Victoria, 1955~1956)

파일:external/aardvarkprops.com/1956%20Ford%20Fairlane%20Crown%20Victoria%20a.jpg

2도어 6시트 쿠페. 빅토리아 마차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되었으며, 투톤 색상과 대형 차체, 화려한 크롬 장식 등 당시 유행하던 디자인 요소는 전부 갖추고 있었다.

2.2. LTD 크라운 빅토리아(1979~1991)

파일:external/farm3.staticflickr.com/14117005846_efbdff65da_b.jpg
경찰차
파일:Ltd_crown1.jpg 파일:IMG_2415.jpg
세단 왜건
전기형

한동안 잊혀졌던 크라운 빅토리아라는 이름은 1981년 쉐보레 카프리스폰티악 파리지앵 등의 풀프레임 고급 세단들을 견제하기 위해 부활되었다. 정식 명칭은 LTD 크라운 빅토리아로, 포드 LTD의 상위 모델이다. 크라운 빅 매니아들이 사랑하는 포드 팬서 플랫폼이 이때부터 사용되었다.[3]

바디 온 프레임 방식으로 견고하면서 부품 수급과 정비가 쉬워 플릿 차량 (Fleet vehicles)[4]으로 많은 수가 팔려나갔고, 플릿 세일의 주 고객은 당연히 각지의 경찰들과 택시 회사들. 이들이 쓰던 LTD 크라운 빅토리아는 민간 판매용 모델과 달리 지붕의 반쪽 가죽 루프 트림이 적용되지 않아[5] 구분이 쉬웠다.

LTD 크라운 빅토리아는 민수용이 5.0L V8 엔진을 얹은 반면, 경찰용은 추격전을 상정하여 강력한 5.8L V8[6]을 적용했다.
파일:external/bestcarmag.com/1545634117-vi.jpg
경찰차
파일:IMG_2416.jpg 파일:Ltd_crown2.jpg
세단 왜건(LTD 컨트리 스콰이어)
후기형

1988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디자인을 조금 더 매끄럽게 변경했으며, 판매량이 저조했던 2도어 사양이 단종되었다.

왜건형은 문과 펜더를 가로지르는 우드 패널이 적용된 컨트리 스콰이어[7] 모델과 일반적인 색상을 씌운 크라운 빅토리아가 따로 나뉘어 있었다. 컨트리 스콰이어 모델이 일반 모델보다 조금 더 비쌌음에도 전통성과 패밀리 카로서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기에 더 잘 팔렸다.

이 세대부터 경찰차, 택시 등 플릿 차량으로 많이 쓰이기 시작했으며, 후속 세대들이 워낙 유명한 지라 묻힌 감이 있지만 닷지 디플로매트, 쉐보레 카프리스와 함께 1980년대 미국 경찰차의 상징인 차량이다.

2.3. 1세대 (1991~1997)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1994CVLX_000.jpg파일:ny_nyc_nypd_retired_tcd_2842-1.jpg.9b7f287db4d2369a300145be84879565.jpg
민수용 뉴욕 경찰차
1992년에 출시되었다. 이 때부터 LTD 명칭이 사라지고 그냥 크라운 빅토리아로 판매되었다. 따라서 이 모델을 크라운 빅토리아 1세대로 구분한다.

4.6L V8 Modular SOHC 엔진 (210마력)과 4단 자동변속기를 얹고, 자사의 2세대 토러스의 4분할 측창과 그릴 리스 디자인 등의 스타일링 요소를 공유하며 당시 유행이었던 유선형의 공기저항계수를 고려하는 스타일링이 적용되어서 대체로 둥글둥글해졌다. 이 유선형 디자인은 공기저항계수도 0.34 정도로 나와 꽤 공기역학적이다. 캐나다 윈저(Windsor) 공장에서 생산되어 미국으로 수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8] 연료소비효율이 이전 대형세단에 비해 꽤 좋아 이걸 한국을 포함한 다른 나라에도 판매 시도를 한 모양이다. 당시 고급사양이던 ABS와 디지털 속도계도 옵션으로 장착되었으며, 후륜 에어 서스펜션도 옵션으로 추가가 가능했다.

주 라이벌이었던 쉐보레 카프리스가 1996년 대형 세단 판매의 급감으로 단종되어 버리자 미국식 대형 세단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네 가지 선택지 중 하나로 남게 되었으며,[9] 바디 온 프레임 방식을 고수한 덕분에 우수한 정비성도 그대로 남아 경찰과 택시 회사들이 꾸준히 애용해 플릿 세일이 크라운 빅토리아의 판매량의 90% 이상을 차지할 지경이 되었다.

이후 1995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평가가 안좋았던 전면부의 그릴 리스 디자인을 변경하고 후면 번호판이 범퍼에서 트렁크 리드로 옮겨졌다.

2.4. 2세대 (1997~2011)

파일:1024px-98-07_Ford_Crown_Victoria_LX.jpg
모델명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최초생산년도 1998년
엔진형식 4.6L 모듈러 V8[10]
미션형식 4단 자동
구동방식 FR
배기량 4,600cc
승차인원 5인승, 6인승
전속모델 포드 LTD 크라운 빅토리아
후속모델 토러스(6세대)

공식적인 2세대 모델이자 최후의 크라운 빅토리아이며, 포드 최후의 풀 사이즈 후륜구동 세단. 전형적인 미국 세단의 표본으로, 여러 가지로 의미가 깊은 모델이다. 크라운 빅토리아 하면 대부분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모델이다. 캐나다 온타리오 주 세인트 토마스 공장에서 생산했다.

여전히 4단 자동변속기밖에 없고, 엔진도 흡배기 효율을 조금 개선했을 뿐 사양은 크게 달라진 것이 없지만, 각종 집행기관들과 민간에서 꾸준히 팔려 나가는 스테디셀러였던 만큼 계속해서 많은 부분을 개선해 나갔다. 특히 2003년부터 프레임을 수압 프레스인 하이드로포밍 공법으로 찍어내, 프레임의 강성이 올라가고 생산성이 극대화되었다. 이전 세대까지 사용되던 트윈 쇼크 업소버를 모노 튜브로 교체하였다.

2004년에는 변속기를 손봤고, 2005년에는 새 핸들과 옵션으로 장착 가능한 선루프가 추가되었으며, 2006년에는 신축형 안테나를 폐지하고 내장형 안테나로 교체하고 계기판을 재설계했다. 그리고 마침내 속도계 옆에 타코미터가 추가되었다.[11] 2008년부터 단종 직전까지는 성능과 옵션에 따라 여러 가지 패키지로 정리해 대규모 판매에 들어갔다.

1981년부터 사실상 거의 똑같은 내부설계를 30년 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줬던 택시 업체와 경찰도 보트만한 크기의 V8 후륜구동 세단을 새로 구입하기엔 환경부담, 연료비 등의 제약사항이 많아져 다른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 민간에서도 크라운 빅토리아는 형제차인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링컨 타운카에 비해 관공서/플릿 차량 이미지가 강했거니와, V8 4.6L 4단 자동변속기로만 이루어진 파워트레인은 2000년대 초반 이후의 고유가 시대에 메리트가 크지 않았다. 결국 지속적으로 민간 시장에서 판매량이 줄자 2007년부터 크라운 빅토리아는 포드의 카탈로그에서 아예 삭제되었고, 2008년 출시된 준대형 세단인 6세대 토러스가 자리를 꿰찼다.

파일:external/cdn.theatlantic.com/lead_large.png

그렇게 플릿 카로 근근이 수요를 맞추며 팔려 나가다가, 2011년 9월 15일에 마지막 크라운 빅토리아가 세인트 토마스 공장에서 출고되며 기나긴 역사를 끝마쳤다. 이 차는 사우디아라비아로 수출되었으며, 이 차의 단종과 함께 세인트 토마스 공장 또한 폐쇄되었다.

워낙에 아이코닉한 차인지라 크빅 덕후들도 꽤 많고, 경찰들에게도 최고의 순찰차였던지라 가끔씩 크라운 빅토리아의 재생산을 원한다는 청원이 Change.org 사이트에 올라오기도 한다. 물론 SUV, 픽업트럭이 초강세인 작금의 미국 자동차 시장을 보면 택도 없는 소리지만. 그래도 브롱코의 사례가 있듯이 미래에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세단 수요가 생긴다면 이 녀석을 다시 보게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놈도 브롱코 이상으로 나름의 인기를 누린 차량이니만큼 그런 상황이 생긴다면 돌아올 개연성이야 충분하다. 아니면 크로스오버 SUV로 돌아올수도 있고.

2.4.1. 기타 파생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링컨 타운 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링컨 타운 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링컨 타운 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큐리 머라우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머큐리 머라우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머큐리 머라우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그 외 사양

3.1.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Police Interceptor, P71/P7B)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포드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롱 휠베이스 버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ord_Crown_Victoria_%281998%29_extended.jpg 파일:IMG_8158.jpg
민수용 뉴욕 택시[12]

2002년에 공개한, 기존보다 휠베이스가 6인치 늘어난 버전이다. 형제차인 타운 카와의 판매 간섭을 우려하여 민간 기관에 한해 판매했으며, 주로 택시 회사에서 사갔다. 북미 내수용이었으며, 예외적으로 중동에서는 개인에게도 판매했다.

4. 미디어

파일:20220328_214620.png 파일:20220328_214902.png
택시: 더 맥시멈 스파이더맨 2
파일:i010696.jpg 파일:91E8EA45-4016-407D-ACAC-5BCAC5D52F78.jpg
배트맨 비긴즈 다이하드 4.0

한때 미국 공권력의 상징이자 경찰용으로 가장 흔하게 쓰인 자동차였기에 임팔라와 함께 항상 구르고 터지고 박살나고 폭발하는 수난을 반드시 겪는다. 특히 이런데서, 심지어 CG도 아니다.[13] 같이 파괴된 차량은 쉐보레 카프리스, 포드 토러스, 닷지 차저, 쉐보레 루미나. 영화에서 CG가 아니라 실차를 쓰는 경우가 많은 건 애초에 경찰차로 쓰다가 노후화로 처분된 중고 차량을 매우 쉽게 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경찰차로 혹사당한 차량을 굳이 사가서 일반적 용도로 쓰려는 사람은 거의 없으니 영화사에 싸게 팔려가서 엑스트라로 구르고 터지고 부서지는 용도로 매우 잘 쓰인다.

본격적으로 경찰차나 택시 등으로 쓰인 2세대의 경우 꼭 파괴되지는 않더라도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나온다![14] 그리고 두말할 것 없이 할리우드 영화 속 최고의 야라레메카다. 경찰과 함께 산전수전 다 겪는다. 악당들의 주요 희생양 혹은 배경에서 아예 관심도 받지 못하는 먼지같은 존재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경찰이 주인공에 대항하는 세력으로 등장한다 해도 얄짤없이 양민학살이다.[15][16][17] 자주 부서지지만 생산대수가 워낙 많아[18] 나올 때마다 계속 부서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의 모든 차종 중 영화와 드라마에서 가장 많이 나온 차종에 등극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4.1. 영화

  • 파일:external/i865.photobucket.com/913.jpg
    택시: 더 맥시멈에서 주인공 벨의 택시로 등장해 평소에는 평범한 노란 택시인데 스위치 몇 개만 딸깍딸깍하면 괴물로 변신한다. 속도위반으로 경찰이 따라붙어도 혼잡한 도로에 끼어들어가 원상태로 복구하고 번호판만 바꾸면 완전히 섞여들어가는 그야말로 주인공 보정을 받은 크라운 빅토리아다.
  • 파일:i036217.jpg
    드물기는 하나 LTD 시절 크라운 빅토리아도 주역의 차량으로 활약한 작품이 몇개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바로 1998년에 나온 블루스 브라더스 2000. 여기서는 1980년 1편에 나왔던 1974년식 닷지 모나코 블루스모빌에 이어 2대 블루스모빌[19]로 활약하여 엘우드를 비롯한 블루스 브라더스 밴드의 발이 되어준다. 다만 1편에서 처참하게 박살난 모나코 블루스모빌과 달리 마지막에 엘우드와 버스터가 타고는 일리노이 주 소속 경찰차들에게 도주하면서 1편의 블루스모빌같은 최후는 맞이 안했다. 작중에서 블루스모빌을 쫓는 경찰차들 중에서도 크라운 빅토리아가 포함되어 있다.
  • LTD 크라운 빅토리아는 맨 인 블랙 1에서도 주인공 일행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외계 기술로 개조를 했는지 가속력과 최고속력이 엄청나며, 터널에서 정체가 일어날 때 차를 변신시킨 후 터널 천장에 붙어서 이동하기도 한다. 그리고는 맨 인 블랙 2에선 다시 돌아온 토미 리 존슨을 보고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개조차량[20]을 가리키며 윌 스미스가 "그런 똥차(LTD)는 이제 안 탄다."고 언급한다. 다만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들은 LTD 크라운 빅토리아인것을 보면 주력 차량은 여전히 LTD 빅이고 벤츠는 J가 개인적으로 구매한 차량을 개조한 듯 보인다.
휴가 대소동의 패밀리 트럭스터 장면
* 또, 해럴드 레이미스가 감독한 1983년작 블랙 코미디 영화 휴가 대소동 (National Lampoon's Vacation)에서 아주 기괴한 외관으로 튜닝된 LTD 컨트리 스콰이어 왜건 모델이 등장한다, 위의 영상에 나오는 차량이자 통칭 패밀리 트럭스터로 알려져 있는 차량으로, 해당 영화의 캐릭터이자 집안의 가장 클라크 그리스월드 (체비 체이스 담당 역할)가 중고차 매매상사에서 산 새로운 차량으로 나온다. 시리즈 내의 상징적인 차량이라, 2015년에 개봉한 마지막 작품에서도 주연이 그의 아들인 러스티 그리스월드 (에드 헬름스 역할)로 바뀌었지만, 클라크도 잠시 등장함과 동시에 해당 차량이 카메오 출연하였다.
  • 데드풀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도핀더가 택시기사로 일할때 모는 차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오며 주로 평상시에 택시로 다니다 데드풀이 이동할 일이 있으며 도핀더의 택시를 자주 이용하는 편이다.

4.2. 드라마

4.3. 게임

  • 게임같은 경우, 큰 규모의 본격적인 레이싱을 지향하는 게임들은 라이선스를 따서 차들을 현실 그대로 등장시키지만 아닌 경우에는 GTA시리즈처럼 다양한 차들을 섞는 식으로 고소미를 피해가는데 이 차는 워낙 기념비적이라 특히 경찰차나 택시로 나오는 경우에는 디자인의 대폭적인 수정 없이 딱 봐도 이차다 싶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 더 크루 2에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택시와 리무진 버전도 있으며, 이후 업데이트로 경찰차도 추가되었다. 만우절에는 핑크색 크라운 빅토리아 리무진이 드리프트 클래스로 추가되었다. 더 크루: 모터페스트에서도 모두 등장한다.
  • 테일즈런너 개발자 맵인 트래픽스에서 트래픽 카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온다. NYPD 도색이 적용된 경찰차와 뉴욕 컬러가 적용된 택시로 2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 명일방주에서 도심에 세워진 택시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온다.
  • 아스팔트 2: 어반 GT에서 플레이어를 방해를 하는 경찰차와 경찰모드에서 운전이 가능한 경찰차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오며 트래픽카로 1세대와 2세대 모델이 트래픽카로 시민차와 택시 그리고 경찰차로 나온다.
  • 사이버펑크 2077에서 2세대 후기형을 모델로 한 아처 헬라 EC-D I360가 나오며 일반 차량과 바디킷이 적용된 튜닝 버전 그리고 경찰차까지 나온다.
  • Pursuit Force에서 1세대 크라운 빅토리아를 모델로 한 조드 450i라는 이름의 시민 차량으로 나오며 바리에이션으로 경찰차와 택시로 다양하게 나온다.
  • 테스트 드라이브 6의 뉴욕 스테이지에 2세대 크라운 빅토리아가 택시 및 경찰차로 적용된다. 게임 옵션창에서 볼 수 있는 피어 팩토리 커버판 Cars의 뮤직비디오 중간에도 LTD 크라운 빅토리아 경찰차가 사고현장 인근에 소품으로 등장한다.
  • 인조이에서 Z CAR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구매가능하다. 배경이 20년대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중고차인 듯하다.

4.4. 애니메이션

  • 검볼(애니메이션) : 주인공인 워터슨 가족 빼고 엘모어 시민들이 타는 차는 거의 다 포드 LTD 크라운 빅토리아로 모티브 되어있다(앞 범퍼는 쉐보레 카프리스)
    재밌는 점이 전부 자동차 번호판이 X23 TU라고 적혀있다.[21]
    하지만 어떤 차는 뒤에 번호판이 없거나 다르게 나오기도 한다.
  • 혈계전선 : 현실과 이세계가 섞인 도시인 뉴욕이 배경이라 트래픽카인 택시로 나온다. 기종은 뉴욕 컬러가 적용된 1998년형 2세대 크라운 빅토리아 택시 모델.
  • 동쪽의 에덴 : 경찰차와 택시(극장판 한정)로 나온다. 기종은 2세대 크라운 빅토리아.
  • 니세코이 : 2세대 후기형 리무진 개조 모델이 주인공 집안의 차로 나오고 시민 차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나온다.
  • 카 시리즈에서 2세대 후기형 모델이 스킵 릭터라는 캐릭터로 나온다.

5. 여담

파일:크라운 빅토리아 흑역사 에디션.png
  • 2008년포드흑역사로 취급받는 에드셀 브랜드 설립 50주년을 기념한 차량이 제작된 적 있다. 당연히 포드에서 공식으로 시판된 모델은 아니며, 에드셀 차량의 팬이자 튜닝 기술자인 롭 세람(Rob Cerame)이 크라운 빅토리아를 기반으로 개조해 2대만 제작한 스페셜 모델이다. 제작자 롭 세람은 아버지가 에드셀 딜러점 점주였을 정도로 에드셀 브랜드와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
  • 해당 차량에 쓰인 포드 모듈러 엔진코닉세그 CC8S과 CCR에 들어가는 엔진이였고, CCX부터 SOHC 2밸브에서 DOHC 4밸브로 바꾸고 높은 마력을 버티기 위해서 내구성 보강과 더불어 무게를 30kg까지 감량한 마개조를 하여 현재까지도 쓰고 있다.
  • 영화나 드라마 상에서 10세대 쉐보레 서버번이나 3세대 쉐보레 타호와 같이 경찰부대나 특공대, 빌런쪽 그룹의 차량으로서 높은 확률로 같이 등장하는 편이다.
  • 국내에서 링컨 타운카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가 많이 있는 것과[22] 다르게 국내에서 댓수가 매우 적다. 2015년에 확인된 개체가 하나 있긴 했지만 번호판이 없고 이후 행방은 알 수 없다. 다만 2000년대 초반에 주한미군 관용차로 쓰인 적은 있다. 지금은 쉐보레 말리부현대 쏘나타와 같은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현재 돌아다니는 극소수의 챠량들은 이 차량들중 극소수가 민간에 불하된 것으로 보인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3179><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3179>
파일:포드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3179> 소형차 - 모델 T모델 B · 모델 A · 모델 Y · 7Y · 7W ·
C 텐 · 파일럿 · 아이펠 · 앵글리아 ·
프리펙트 · 포퓰러 · 핀토 · 페스티바 ·
아스파이어 · 아이콘 · · 피고 · 피에스타
준중형차 포커스 라인란트 · 에스코트/오리온 · 매버릭(1970~1977) ·
팰컨(북미형) · 페어몬트(북미형) · 스콰이어 · 오리온 ·
델 레이 · 링크스 · 티에라 · 레이저/미티어 · 에스코트(중국형)
중형차 몬데오(중국형)/토러스(중동형) 메인라인 · 커스텀 · 콘술 · 코티나 · 코세어 · 코세어(호주형) ·
팰컨(아르헨티나형) · 그라나다(북미형) · 쿠거 · 시에라 ·
템포 · 텔스타 · 갤럭시(아르헨티나형) · 엘리트 · 로얄 · 베르사유 ·
퓨전 · 페어레인(북미형, 1962~) · 토리노 · 토리노 탈라데가
준대형차 - 커스텀라인 · 제퍼 · 크레스트라인 · 크레스트라인 스카이라이너 ·
크라운 빅토리아 스카이라이너 · 20M · 그라나다(유럽형) ·
스콜피오 · 파이브 헌드레드 · 팰컨(호주형) · 토러스
대형차 - 컨트리 스퀘어 · 랜치 왜건 · 파크레인 · 델 리오 ·
페어레인(북미형, ~1961) · 페어레인(호주형) ·
선라이너 · 페어몬트(호주형) · 갤럭시 · LTD ·
크라운 빅토리아 · 랜도(호주형) · 랜도
스포츠카 · 슈퍼카 머스탱 썬더버드 · 퓨마 · 팰컨 XB · 카프리(호주형) ·
카프리 · EXP · 프로브 · 쿠거 · GT
소형 SUV 퓨마 · 브롱코 스포트 에코스포트 · 프리스타일
준중형 SUV 이스케이프 · 쿠가 · 테리토리(중국형) · 머스탱 Mach-E · 익스플로러 일렉트릭 · 카프리(2024) 브롱코 II · 매버릭(2000 유럽형)
중형 SUV 이퀘이터 · 몬데오 스포트 · 브롱코(6세대~) 테리토리 · 매버릭(1993 유럽형) · 엣지(플러스)
준대형 SUV 익스플로러 · 에베레스트 · 엣지 L 프리스타일/토러스 X · 플렉스
대형 SUV 익스페디션 브롱코(1~5세대) · 매버릭(호주형)
초대형 SUV 익스페디션 맥스 센추리온 클래식 · 익스커션
소형 픽업트럭 매버릭 란체로(2세대) · 반탐
중형 픽업트럭 레인저 란체로(3~7세대) · 커리어 · 익스플로러 스포트 트랙
대형 픽업트럭 F-시리즈(F-150 · F-150 라이트닝 · 슈퍼 듀티) 란체로(1세대)
소형 MPV - 퓨전(유럽형) · B-MAX
준중형 MPV - C-MAX · 익시온 · I-MAX
중형 MPV - 에어로스타 · 윈드스타 · 프리스타 · 프레다 · S-MAX
대형 MPV - 갤럭시
경상용차 - 프론토
LAV 트랜짓 커넥트 / 투어네오 커넥트 · 트랜짓 커리어 / 투어네오 커리어 -
LCV 트랜짓 커스텀 / 투어네오 커스텀 · 트랜짓 · E-시리즈 템즈 300E · 팰컨 밴
트럭 카고 · F-MAX · 슈퍼 듀티(F-250/F-350/F-450/F-550/F-600) · 미디엄 듀티(F-650/F-750) C 시리즈 · D 시리즈 · 트랜스컨티넨탈 · LCF
버스 - R 시리즈
경찰차 FPIU · 익스페디션 SSV · F-150 폴리스 리스폰더 FPRHS · FPIS · 크라운 빅토리아 폴리스 인터셉터
군용차 - GPW · V3000
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 M20 유틸리티 카 ·
유니버설 캐리어영국 지부&캐나다 지부
전차 - M4A3
대전차 자주포 - M10A1
{{{#!wiki style="margin: -16px -11px" 에드셀의 차량
머큐리의 차량
머쿠어의 차량
링컨의 차량
컨티넨탈의 차량 }}}}}}}}}}}}



[1] 2003년 출시 차량 한정[2] 포드는 모델 T부터 크라운 빅토리아의 팬서 플랫폼까지 리지드 액슬과, 후륜구동, 바디 온 프레임으로 대표되는 모델 계보를 이어오고 있었다. 그러니까, 이 플랫폼 스타일이 1908년부터 2012년까지 100년 넘게 이어져온 셈. 풀사이즈 포드 승용차의 마지막은 파이브 헌드레드와 그 후속인 토러스 5세대 이후 모델인데 이건 또 앞바퀴 굴림에 독립 서스펜션+유니보디라 완전 새로 설계된 케이스로 분류된다.[3] 다만 미국 내 전직 경찰관의 평에 따르면, 같은 팬서 플랫폼이라도 LTD 빅과 그 이후에 나온 크라운 빅 모델의 주행 성향이 상당히 차이가 난다고 한다.[4] 주로 법 집행기관, 택시업체 등에서 한 번에 많은 수를 계약하는 차량.[5] 외관 꾸미기용 옵션이라 플릿 시장용 모델에는 당연히 필요가 없기 때문이었다. 당대 이 트림을 적용시키는 게 가능했던 다른 미국 차량들도 플릿 시장용 모델은 가죽 루프가 빠졌었다.[6] 당시 팔리던 포드 브롱코에도 적용되던 스몰 블록 계열 엔진, 통칭 351 윈저 엔진이다.[7] 컨트리 스콰이어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포드의 전통적인 우드 패널 디자인을 이어받아 고전적이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는 모델로 자리 잡았는데, 특히 80년대에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다. 반면, 우드 패널이 없는 일반 왜건 모델은 상대적으로 인기가 덜 하였다. 물론 포드에만 있는건 아니고 쉐보레나 지프 등 여러 브랜드가 한 번 씩은 우드 패널이 적용된 차량을 생산했었다.[8] 미국에서는 2번의 오일쇼크이후 승용차로 분류된 자동차에서 연료효율이 나쁜 차는 출고마다 세금을 매겼기에 포드는 크라운 빅토리아의 조립공장을 캐나다으로 이전했다.[9] 나머지 머큐리 그랜드 마퀴스링컨 타운카, 그리고 뷰익 파크 애비뉴이다.[10] 이 엔진은 코닉세그 CC8S에 쓰이게된다.[11] 민수용은 여전히 최고속도가 120마일로 찍혀 있다.[12] 사진 속 차량은 퇴역 후 영국에 중고로 수출된 차량이다.[13] 영화 블루스 브라더스 2000의 장면으로 잘 보면 몇 씬에서는 사람이 타고있는게 보이는데, 저 한 장면 찍는데 경찰차 세트가 60여대나 사용됐다고 한다. 이는 오마주인게, 전작인 블루스 브라더스이렇게 경찰차들을 마구 부숴댔다. 해당 영상에 쓰인 차량들은 1970년대 중후반~1980년대 초반 당시 미국 공권력의 상징이었던 닷지 모나코.[14] 나온 영화만 해도 5000개가 훨씬 넘는다. 그리고 지금도 현재 진행형으로 출연중이다.[15] 지금까지 완파된 녀석들만 해도 수천 대는 될 거다. 묵념.[16] 영화 속에서는 추격을 벌이는 경찰들이 서로 꼬이고 충돌하는 등 약간 멍청한 이미지인데, 어쨌든 팀워크를 하는 거니까 무전은 따로 하지만 정말 정신없을 때는 실제로도 그 비슷한 상황이 자주 나온다.[17] 거의 유일하게 예외적인 영화가 있다면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로 여기선 GM의 PPL 때문에 경찰차로는 나오진 않고 대신 임팔라가 경찰차로 등장한다. 임팔라 또한 현실에서도 자주 경찰차로 쓰이므로 현실성에는 별 문제가 없다.[18] 거의 100만대 가까이 생산되었다.[19] 공교롭게도 두 블루스모빌 다 경찰차 퇴역 차량이다. 다만 1편의 모나코는 마운트 프로스펙트 소속 순찰 유닛 차량이고, 2편의 블루스모빌은 쿡 카운티 소속 K-9 유닛 차량이다.[20] W211 모델은 이 영화로 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21] 여담으로 워터슨 가족 차는 ODH 03이다.[22] 이 셋 중 타운카와 그랜드 마퀴스는 국내에 정식 수입되었던 적이 있었지만, 크라운 빅토리아는 그 특성상 정식 수입된 적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