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7408b> 잠수함 | <colbgcolor=#27408b> SS |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 ||
SSG | 그레이백급R | ||||
SSN |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 ||||
SSGN | 오하이오급* | ||||
SSBN |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 ||||
고속정 |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 ||||
호위함 | DE |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 |||
FF |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녹스급R | ||||
FFG | 브룩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컨스텔레이션급} | ||||
LCS |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
구축함 | DD |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M/R, 기어링급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 |||
DDG |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 ||||
순양함 | CL | 클리블랜드급R, 파고급R, 우스터급R | |||
CA | 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 ||||
CG |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타이콘데로가급 | ||||
CGN |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 ||||
전함 |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 ||||
상륙정 | LCU 1610, LCM, LCVP, LCAC | ||||
상륙함 | LHA |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 |||
LPH | 이오지마급R | ||||
LHD | 와스프급 | ||||
LPD |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 ||||
LSD | 캐사그랜디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위드비 아일랜드급, 하퍼스 페리급 | ||||
LST | 뉴포트급R, 데 소토 카운티급R, 테레본 패리시급R | ||||
LSV |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 ||||
EPF | 스피어헤드급 | ||||
소해함 |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 ||||
군수지원함 |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 ||||
지휘함 |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 ||||
원정이동기지선 | 루이스 B. 풀러급 | ||||
항공모함 | CV |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 |||
CVN |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 ||||
잠수함모함 |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 ||||
구축함모함 |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 ||||
무인함 | USV | 시 헌터, {LUSV} | |||
UUV | 오르카 XLUUV, {후긴 AUV} | ||||
범선 | 컨스티튜션*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지만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Thomaston-Class Dock Landing Ship |
1. 개요
1950년대 중반 건조된 미 해군의 상륙선거함. 총 8척이 건조되었다.2. 제원
토마스턴급 상륙선거함 Thomaston-Class Dock Landing Ship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상륙선거함 | ||
이전급 | 캐사그랜디급 상륙선거함 | ||
다음급 | 앵커리지급 상륙선거함 | ||
기준배수량 | 6,880톤 | ||
만재배수량 | 11,990톤 | ||
전장 | 160m | ||
전폭 | 26m | ||
흘수선 | 5.8m | ||
동력 | <colbgcolor=#eee> 방식 | 증기기관 | |
기관 | 밥콕&윌콕스 고압 보일러 2기 GE 기어드 증기 터빈 2기 (각 12,000HP | 총 24,000HP) | ||
추진 | 프로펠러 샤프트 2기 | ||
속도 | 22노트 (41km/h) | ||
항속거리 | 20노트 순항시 18,520km | ||
승무원 | 승조원 348명 (장교 18명 + 수병 330명) | ||
''' 레이더 ''' | 대공 | 웨스팅하우스 AN/SPS-6 선회식 L밴드 2차원 대공 탐색 레이더 | |
''' 대수상 ''' | 레이시온 AN/SPS-10 선회식 C밴드 2차원 대수상 레이더 | ||
사통 | WE AN/SPG-50 X밴드 화기관제 레이더 WE AN/SPG-35 X밴드 화기관제 레이더 2기 | ||
무장 | 함포 | Mk.33 76mm 50구경장 쌍열 함포 2문 | |
항공 시설 | 중형 헬리콥터용 비행갑판 격납고 없음 | ||
탑재 항공기 | 중형 헬기 2대 • H-19 등 | ||
탑재 수상정 | LCU 3척 또는 LCM-8 9척 | ||
수송 능력 | 975m² 차량 데크 + 1,740m² 웰덱 • 해병 325명 • LVTP-7 50대 (수상정 미탑재시) |
3. 상세
토마스턴급은 미 해군의 세 번째 상륙선거함급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건조된 애슐랜드급 및 캐사그랜디급 상륙함보다 약 ⅓ 더 크고 5노트 더 빠른 속력을 자랑한다.메인 도크 위에는 중형 헬리콥터 두 대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분리 가능한 파츠가 덮여 있어 헬기 운용능력을 갖췄다. 기관실은 도크 아래에 위치했는데, 이는 이전의 애슐랜드급의 기관실이 좌/우현에 위치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1980년대엔 일부 함선들이 생존성 향상을 위해 Mk.36 SRBOC 기만체 발사기나 팰렁스 같은 추가 장비를 설치했다.
4. 동형함 목록
||<-5><tablebordercolor=#CCC><tablealign=left><bgcolor=#27408B>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nited States Navy
함번 | 함명 | 함생 | 건조사 | 비고 |
LSD-28 | USS 토마스턴 USS Thomaston | 기공: 1953년 3월 3일 진수: 1954년 2월 9일 취역: 1954년 9월 17일 퇴역: 1984년 9월 28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LSD-29 | USS 플리머스 록 USS Plymouth Rock | 기공: 1953년 5월 4일 진수: 1954년 5월 7일 취역: 1954년 11월 29일 퇴역: 1983년 9월 30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LSD-30 | USS 포트 스넬링 USS Fort Snelling | 기공: 1953년 8월 17일 진수: 1954년 7월 16일 취역: 1955년 1월 24일 퇴역: 1984년 9월 28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LSD-31 | USS 포인트 디파이언스 USS Point Defiance | 기공: 1953년 11월 23일 진수: 1954년 9월 28일 취역: 1955년 3월 31일 퇴역: 1983년 9월 30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LSD-32 | USS 슈피겔 그로브 USS Spiegel Grove | 기공: 1954년 9월 7일 진수: 1955년 11월 10일 취역: 1956년 6월 8일 퇴역: 1989년 12월 13일 | 인걸스 조선 | 인공암초 |
LSD-33 | USS 알라모 USS Alamo | 기공: 1954년 10월 11일 진수: 1956년 1월 20일 취역: 1956년 8월 24일 퇴역: 1990년 9월 28일 | 인걸스 조선 | 매각[BR] |
LSD-34 | USS 허미타지 USS Hermitage | 기공: 1955년 4월 11일 진수: 1956년 6월 12일 취역: 1956년 12월 14일 퇴역: 1989년 10월 2일 | 인걸스 조선 | 매각[BR] |
LSD-35 | USS 몬티첼로 USS Monticello | 기공: 1955년 6월 6일 진수: 1956년 8월 10일 취역: 1957년 3월 29일 퇴역: 1985년 10월 1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브라질 해군 Marinha do Brasil | ||||
함번 | 함명 | 함생 | 건조사 | 비고 |
G-30 | 세아라[3] Ceará | 획득: 1989년 10월 2일 취역: 불명 퇴역: 2016년 4월 29일 | 인걸스 조선 | 표적함 |
G-31 | 리우데자네이루[4] Rio de Janeiro | 획득: 1990년 11월 12일 취역: 1990년 11월 21일 퇴역: 2012년 6월 15일 | 인걸스 조선 | 스크랩 |
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브라질 해군 (1822~현재) Marinha do Brasil | |||
<colbgcolor=#009c3b> 잠수함 | <colbgcolor=#009c3b> 재래식 | 투피급, 리아추엘로급 | ||
원자력 | {알바로 알베르토급} | |||
모니터함 | 파르나이바 | |||
초계정 | 그라자우급 | |||
초계함 | 인하우마급, 바로소급 | |||
원양초계함 | 임페리얼 마리네이루급, 아마조네스급, 마카에급 | |||
호위함 | 그린할그급, 니테로이급, {타만다레급} | |||
구축함 | 파라급초대, 파라급2대, 마르실리오 디아스급, 파라급3대 | |||
순양함 | 바로소급, 바이아급 | |||
전함 | 미나스제라이스급 | |||
항공모함 | 미나스제라이스, 상파울로 | |||
상륙함 | LPH | 아틀란티코급 | ||
LPD | 오이아포크급, 바이아급 | |||
LSD | 세아라급 | |||
LST | 마토주 마이아급, 두키지카시아스급 | |||
LSL | 알미란테 사보이아급 | |||
소해함 | 아라투급 | |||
군수지원함 | 알미란테 가스탕 모타급 | |||
훈련함 | 브라실급 | |||
※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네덜란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