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20:04:16

타만다레급 호위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현대 브라질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브라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브라질 해군 (1822~현재)
Marinha do Brasil
<colbgcolor=#009c3b> 잠수함 <colbgcolor=#009c3b> 재래식 투피급, 리아추엘로급
원자력 {알바로 알베르토급}
모니터함 파르나이바
초계정 그라자우급
초계함 인하우마급, 바로소급
원양초계함 임페리얼 마리네이루급, 아마조네스급, 마카에급
호위함 그린할그급, 니테로이급, {타만다레급}
구축함 파라급초대, 파라급2대, 마르실리오 디아스급, 파라급3대
순양함 바로소급, 바이아급
전함 미나스제라이스급
항공모함 미나스제라이스, 상파울로
상륙함 LPH 아틀란티코급
LPD 오이아포크급, 바이아급
LSD 세아라급
LST 마토주 마이아급, 두키지카시아스급
LSL 알미란테 사보이아급
소해함 아라투급
군수지원함 알미란테 가스탕 모타급
훈련함 브라실급
황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 개요2. 제원3. 도입 과정4. 동형함 목록

1. 개요

브라질 해군의 차세대 호위함. 브라질 해군 역사상 최초의 VLS 탑재 전투함이다.

2. 제원

타만다레급 호위함
Fragatas Classe Tamandaré
파일:타만다레급호위함.png
<colbgcolor=#eee> 함종 <colbgcolor=#FFF>호위함
이전급 니테로이급
다음급 미정
만재배수량 3,455톤
전장 107.2m
전폭 15.95m
흘수선 5.2m
동력 <colbgcolor=#eee> 기관 MAN 12V 28/33 DSTC 디젤 엔진 4기
캐터필러 C32 디젤발전기 4기
속도 28노트
항속거리 4,000해리 (7,400km)
승무원 승조원 164명
전투체계 엠브라에르 CMS & IPMS
레이더 헨솔트 TRS-4D AESA 레이더
레이시온 X & S-밴드 레이더
소나 예인 아틀라스 일렉트로닉 ASO 713 소나
무장 함포 오토멜라라 76mm 함포 1문
VLS GWS.35 VLS 12셀
시 셉터 12발
대함 2연장 대함 미사일 경사발사대 2기
┗ MANSUP 4발
대잠 SEA TLS-TT Mk.46 어뢰발사관 2문
CIWS 라인메탈 시 스네이크 30mm CIWS 1기

3. 도입 과정

브라질 국방부는 니테로이급 호위함을 대체하기 위한 차기 초계함 사업을 진행하였는데, 최종적으로 독일의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와 브라질의 엠브라에르 등이 참여한 Águas Azuis 컨소시엄의 MEKO A100 기반 설계가 선정되었다.# 모든 타만다레급은 브라질의 조선소에서 건조된다.

사업 선정 이후 함급 분류가 초계함에서 호위함으로 변경되었다.

4. 동형함 목록

브라질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상태
1 F200 타만다레 (Tamandaré)[1] 2022년 9월 4일 2024년 8월 9일 - 건조 중
2 F201 헤로니모 드 알부퀘르케 (Jerônimo de Albuquerque)[2] 2024년 6월 6일 2025년 8월 8일 - 건조 예정
3 F202 쿠냐 모레이라 (Cunha Moreira)[3] 2025년 6월 5일 - -
4 F203 마히즈 에 바로스 (Mariz e Barros)[4] - - -


[1] 함명의 유래는 브라질 제국 해군에서 종군한 호아킴 마르케스 리스보아, 타만다레 후작이다.[2] 16세기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 관리 헤로니모 드 알부퀘르케에서 가져온 이름이다.[3] 함명의 유래는 브라질 제국 해군 제독 루이스 데 쿠냐 모레이라이다.[4] 3국 동맹 전쟁 당시 전사한 해군 중위 안토니우 카를로스 데 마히즈 에 바로스의 이름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