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0:25:01

사이클론급 고속정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컬럼비아급}
고속정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 DE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FF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녹스급R
FFG 브룩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컨스텔레이션급}
LCS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구축함 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 IIM/R, 기어링급 FRAM 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DDG(X)}
순양함 CL 클리블랜드급R, 파고급R, 우스터급R
CA 볼티모어급R, 오리건시티급R, 디모인급R
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타이콘데로가급, CG(X)
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그랜디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위드비 아일랜드급, 하퍼스 페리급
LST 뉴포트급R, 데 소토 카운티급R, 테레본 패리시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LUSV}
UUV 오르카 XLUUV,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지만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1280px-USS_Hurricane_(PC-3),_USS_Typhoon_(PC-5)_and_USS_Chinook_(PC-9)_underway_in_March_2015.jpg
Cyclone-class patrol ship

1. 개요2. 제원3. 상세4. 동형함 목록5. 대중매체6. 둘러보기

1. 개요

사이클론급은 과거 미합중국 해군에서 운용했던 고속정.

2. 제원

사이클론급 초계정
Cyclone-class patrol ship
만재배수량 331톤
전장 55m
전폭 7.6m
동력 방식 CODAD
기관 팍스만 16RP200- 1-CM 디젤엔진 × 4
최대속도 35노트
항속거리 12노트 순항시 2500해리
승조원 장교 4명
수병 24명
무장 Mk.38 부시마스터 체인건 × 2
M2 12.7mm 중기관총 × 2
Mk.19 고속유탄기관총 × 2
M240B 7.62mm 경기관총 × 2
FIM-92 스팅어 미사일 × 6
MK.60 BGM-176B 그리핀 미사일 × 8

3. 상세

사이클론급 고속정은 초계 및 네이비 씰 임무 지원을 주임무로 두고 있다.

미국 해안경비대에서 2004년 3척의 함정[1]을 대여되어 7년간 운용되었다가 2011년 해군에 반납되었다.

사이클론급 고속정은 필리핀, 이집트, 바레인 등에 공여되며 현재는 전량 퇴역했다.

4. 동형함 목록

미합중국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PC-1 사이클론 (Cyclone) 1991년 6월 22일 1992년 2월 1일 1993년 8월 7일 2000년 2월 28일 필리핀 해군에 공여
PC-2 템페스트 (Tempest) 1991년 9월 30일 1992년 4월 4일 1993년 8월 21일 2022년 3월 7일 바레인 해군에 공여
PC-3 허리케인 (Hurricane) 1991년 11월 20일 1992년 6월 6일 1993년 10월 15일 2023년 3월 23일 이집트 해군에 공여
PC-4 몬순 (Monsoon) 1992년 2월 15일 1992년 10월 10일 1994년 1월 22일 2023년 3월 28일 필리핀 해군에 공여
PC-5 타이푼 (Typhoon) 1992년 5월 15일 1993년 3월 3일 1994년 2월 12일 2022년 2월 28일 바레인 해군에 공여
PC-6 시로코 (Sirocco) 1992년 6월 20일 1993년 5월 29일 1994년 6월 11일 2023년 3월 23일 이집트 해군에 공여
PC-7 스콜 (Squall) 1993년 2월 17일 1993년 8월 28일 1994년 7월 4일 2022년 3월 14일 퇴역
PC-8 제피르 (Zephyr) 1993년 3월 6일 1993년 12월 3일 1994년 10월 15일 2021년 2월 17일 퇴역
PC-9 치누크 (Chinook) 1993년 6월 16일 1994년 2월 26일 1995년 1월 28일 2023년 3월 28일 필리핀 해군에 공여
PC-10 파이어 볼트 (Firebolt) 1993년 9월 17일 1994년 6월 10일 1995년 6월 10일 2022년 2월 23일 바레인 해군에 공여
PC-11 훨윈드 (Whirlwind) 1994년 3월 4일 1994년 9월 9일 1995년 7월 1일 2022년 3월 21일 바레인 해군에 공여
PC-12 썬더볼트 (Thunderbolt) 1994년 6월 9일 1994년 12월 2일 1995년 10월 7일 2023년 3월 23일 이집트 해군에 공여
PC-13 샤멀 (Shamal) 1994년 9월 23일 1995년 3월 3일 1996년 1월 27일 2021년 2월 16일 퇴역
PC-14 토네이도 (Tornado) 1998년 8월 25일 1999년 6월 7일 2000년 6월 24일 2021년 2월 18일 퇴역
필리핀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PS-38 마리아노 알바레즈 (Mariano Alvarez) - - 2004년 3월 8일 - 현역
- - - - 현역
- - - - 현역
바레인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RBNS 알 구라이리야 (Al-Gurairiyah) - - 2022년 3월 30일 - 현역
RBNS 알 샤키르 (Al-Sakhir) - - 2022년 3월 30일 - 현역
RBNS 알 파루크 (Al-Farooq) - - 2022년 3월 30일 - 현역
RBNS 제난 (Jenan) - - 2022년 3월 30일 - 현역
RBNS 담사 (Damsah) - - 2022년 3월 30일 - 현역
이집트 해군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
- - 2022년 3월 21일 - 현역
- - 2022년 3월 21일 - 현역
- - 2022년 3월 21일 - 현역

5. 대중매체

모던 워쉽에서 PC-3 허리케인이 1티어 초계함으로 등장. 1티어에서 유이한 2미사일 함선이다. 주로 초보자들이 게임을 처음 시작할때 구매하는 편이지만 가끔씩 고수들도 컨텐츠용으로 3티어 장비를 달아서 쓰곤 한다.

6.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해안경비대 인장.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안경비대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 1px -11px""
<colbgcolor=#ffffff>경비함 대형 고강도 경비함(WHEC) 카스코급R, 오와스코급R, 트레져리급R, 해밀턴급
대형 경비함(WMSL) 레전드급
중형 중강도 경비함(WMEC) 스토리스R, 아쿠쉬넷M,R, 타마로아M,R, 페이머스급, 릴라이언스급, 알렉스 헤일리M
중형 경비함(WMSM) 헤리티지급
소형 초계함(WPC) 사이클론급L, 센티넬급
경비정 초계정(WPB) 마린 프로텍터급, 아일랜드급
.
.
지원함정 쇄빙선 매키노, 폴라급, 힐리급, 스토리스, {PSC}
훈련용 범선(WIX) 이글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현대 필리핀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필리핀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필리핀 해군|
필리핀 해군 (1946~현재)
Hukbong Dagat ng Pilipinas | Philippine Navy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colcolor=#FCD106> '''
SSK
'''
{호라이즌 P3 잠수함 사업}
구잠정 (PC) 카가얀급 | 카마린스 수르급
'''[[초계정|
초계정
]]'''
PB 알베르토 나바레테급 | MPAC Mk.(1~3) | 966Y형D | 드 해빌랜드 9209급 | 얀가급
PG PGM-39급 | PGM-33급 | PGM-9급 | 제너럴 에밀리오 아기날도급 | 타를라크급(1948)
'''[[고속정|
고속정
]]'''
'''
PCH
'''
본톡급 | 카미긴급
PK 아체로급 | 토마스 바틸로급D | 카기팅안급 | 콘라도 얍급(1993)D
'''
PCF
'''
마리아노 알바레즈급D | 호세 안드라다급 | 스위프트 Mk.3급 | 아브라급 | 스위프트 Mk.1 & 2급
원양초계함 (OPV) {라자 술라이만급} | 델 필라급D | 하신토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미겔 말바르급(1948) | 리잘급
'''
PCG
'''
콘라도 얍급(2019)D
[[호위구축함|'''
호위구축함 (DE)
''']]
다투 칼란티아우급 | 라자 라칸둘라 | 라자 솔리만 | {아부쿠마급}
'''[[호위함|
호위함
]]'''
PF 안드레스 보니파시오급
'''
FFG
'''
미겔 말바르급(2025) | 호세 리잘급
'''[[상륙함|
상륙함
]]'''
'''[[상륙수송선거함|
LPD
]]'''
{LPD 추가사업} | 타를라크급(2016)
'''
LST
'''
바콜로드 시티급 | 다바오 오리엔탈급 | LST-542급 | LST-491급 | LST-1급
'''
LSM
'''
바타네스급
'''
상륙정
'''
'''
LCH
'''
타그바누아급 | 이바탄급
'''
LCU
'''
마노보급 | 마만와급 | LCU Mk.6급
'''
LSSL
'''
LCS(L) Mk.3급
'''
LCI
'''
LC-601급
'''[[소해함|
소해함
]]'''
'''
MSO
'''
다바오 델 노르테급
'''
MSC
'''
잠발레스급
'''
지원함
'''
'''
급유함
'''
레이크 칼리라야급
'''
수리함
'''
아클란급
'''
정보 수집함
'''
포트 산 안토니오급
'''
병원선
'''
베네와급
'''
해저 조사선
'''
그레고리오 벨라스케스 | 만자니타급
'''
해상 크레인
'''
YU-206급
지원정 망얀 (AS, 화물정) | 레이크 부히급 (AF, 급유정) | 레이크 라나오급 (AW, 청수정) | 이고로트급 (YT, 예인정) | 레이크 마이닛급 (YO, 급유 바지)
갈색 글자: 퇴역 함정
※ 윗첨자D: 공여받은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파일:바레인 국기.svg 현대의 바레인 왕립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c81025> 고속정 알 파테흐급, 알 리파급, 알 자림급, 마크 V, 와스프-11/20/30, 알 구라이리야급
초계함 알 마나마급, 알 주바라
호위함 사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의 이집트 해군 군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849급, S41급
고속정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초계함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호위함 자피르급,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구축함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
상륙함 <colbgcolor=#000> LPH 기말 압델 나세르급
소해함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군수지원함 샬라틴급,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훈련함 타릭급
갈색 글자: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네덜란드 선수기.svg
네덜란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미국 해군 함수기.sv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해군기.sv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함수기.sv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기(신형).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경비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 PC-8 제퍼, PC-13 샤멀, PC-14 토네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