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3:14:47

쿠마(철권)



파일:tekken8_logo_w.png
철권 8 의 출전 캐릭터
<colbgcolor=#000><colcolor=#fff> 쿠마
[ruby(熊, ruby=くま)] | Kuma
파일:철권 8 쿠마.png
연어 마스터
Master of Salmon
격투 스타일 1대: 헤이하치류 웅진권(熊真拳)
2대: 헤이하치류 웅진권 개량형
국적 없음[1] <colbgcolor=#000><colcolor=#fff> 성별 수컷
신장 / 체중 280cm / 360kg[2] 혈액형 ?형
생일 4월 26일[3]
나이 1대: 사람 나이로 22~26세 철권 2
2대: 사람 나이로 18~20세 철권 3, 10세 철권 4~
취미 1대: 낮잠
2대: 수행, 연어 요리
좋아하는 것 1대: 인육, 헤이하치
2대: TV, 헤이하치, 팬더
싫어하는 것 14인치 흑백 TV (보기 힘들어서)
1. 개요2. 스토리 및 변천사3. 대사4. 성능5. 기술 목록6. 곰 전용 콤보7. 쿠마의 즉사기: 대자연의 향기8. 기타9. 둘러보기

1. 개요

쿠마(クマ)는 철권 시리즈의 등장동물. 쿠마의 뜻은 일어로 그냥 ‘’이라는 뜻 이지만, 이게 이름으로 굳혀졌는지 어느 나라 번역본이든간에 모두 '쿠마' 라고 그대로 음차해서 쓴다. 아나운서도 쿠마라고 발음하는 걸 보면 그냥 확정.

철권 시리즈 똘끼의 상징[4]이기도 하여, 명실공히 철권 1부터 내려오는 철권 시리즈의 쌈마이함을 대표하는 캐릭터 중 하나로, 철권 유저들 사이에서는 신작이 나올 때 스토리 중심부의 캐릭터 수준으로 절대 안잘릴 캐릭터로 평가받는다.

2. 스토리 및 변천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마(철권)/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마(철권)/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마(철권)/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리즈 내 출연작
철권 1 (1994) 데뷔작(가정용) 철권 5 (2004) ✔️(타임 릴리즈)
철권 2 (1995) ✔️(타임 릴리즈) 철권 6 (2007) ✔️
철권 3 (1997) ✔️(타임 릴리즈)[5] 철권 TT2 (2011) ✔️
철권 TT (1999) ✔️(타임 릴리즈) 철권 7 (2016) ✔️(FR)
철권 4 (2001) ✔️(타임 릴리즈) 철권 8 (2024) ✔️

3. 대사

3.1. 철권 시리즈

  • 등장 대사
    • 8 vs 카즈야: (헤이하치 할아버지의 원수!)
    • 8 vs 헤이하치: (할아버지, 살아 있을 거라고 믿고 있었어!)
    • 8 vs 폴: (또 너야?)
    • 8 vs 준: (헤이하치류 웅진권의 힘, 보여주마!)
    • 8 vs 샤오유: (제가 이기면 팬더 씨와의 결혼을 인정해주세요!)
    • 8 vs 팬더: (팬더 씨, 결혼해주세요!)
    • 8 vs 레이나: (이 여자앤 뭐야?)
    • 8 vs 클라이브: (너, 미시마 재벌의 적이냐!)
  • 승리 대사
    • 8 vs 카즈야: (할아버지... 원수는 갚았어...)
    • 8 vs 헤이하치: (역시 헤이하치 할아버지랑 대련하는 게 제일 즐거워!)
    • 8 vs 폴: (우주 최강의 칭호는 내 거야!)
    • 8 vs 준: (헤이하치류 웅진권을 가르쳐줄까?)
    • 8 vs 샤오유, 팬더: (해냈다~! 마침내 결혼이야!)
    • 8 vs 레이나: (내 부하로 삼아줄까?)
    • 8 vs 클라이브: (너희도 철권중 할래?)

3.2.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 철권 측 승리 대사
    • 미시마 카즈야: (나는 언젠가 미시마 재벌을 구하겠다! 그렇지만 너는 방해된다. 헤이하치!)
    • 니나 윌리엄스: (싸움에 말은 필요 없다...인가? 그건 곰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 카자마 진: (겨우 빚을 갚았다, 진! 이제부터는 내가 미시마 재벌의 총수다!)
    • 링 샤오유: (판다를 봐서 이번에는 봐주지. 그... 가능하면 그녀에게 내 얘기를...)
    • 미시마 헤이하치: (얼른 나한테 미시마를 넘기지 않으니까 이런 일이 생긴 거라고!)
    • 쿠마(동캐전): (어디서 온 녀석인지는 모르겠지만 여긴 내 구역이다. 꺼져!)
    • 요시미츠: (널 방해할 생각은 없어. 단지 네가 내 방해를 한 거야.)
    • 레이븐: (곰에게 인간을 상대하는 기술이 통할지 어떨지도 모르다니, 정말 대단한 닌자구만.)
    • 카자마 아스카: (그러니까 내가 말했잖아? 딴지를 걸든가 싸우든가 하나만 하라고.)
    • 리리 로슈포르: (내 가죽을 가지고 싶다고? 왜 가죽만 가지고 싶은 건데!)
    • 화랑: (올해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곰이라도 너보다는 분별이 있을 거다.)
    • 스티브 폭스: (그 정도 펀치로는 내 털 한 개도 뽑지 못하지.)
    • 폴 피닉스: (너한테는 정말 질렸다. 차라리 우주까지 던져 버리고 싶다고.)
    • 마샬 로우: (가끔은 성실하게 저축을 좀 늘려보라고. 동면하기 전의 곰이라도 보고 배우지 그래?)
    • 줄리아 창: (숲의 재생은 나도 찬성이야. 미시마 재벌을 되찾으면 협력하지.)
    • : (기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내 신체는 너보다 퍼펙트에 가까운 것 같군.)
    • : (훌륭한 마스크지만 허울만 좋았군. 실력도 재규어 정도였다면 좋았을 텐데.)
    • 크레이그 머독: (시시하군. 이 내게 인간의 힘으로 이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냐!)
    • 라스 알렉산데르손:
    • 알리사 보스코노비치:
    • 레이 우롱:
    • 크리스티 몬테이로:
    • 브라이언 퓨리:
    • 잭-X:
    • 오거: (지구에 있는 동안에는 지구의 방식을 따라라. 아무리 우주인이라도 그렇게 쉽게 되살아나지 마.)
  • 스트리트 파이터 측 승리 대사
    • : (진정한 격투가도 좋지만, 직업이 없으면 늙어서 힘들어진다는 것 같아.)
    • 켄 마스터즈: (도복을 입은 인간은 다 비슷비슷 해 보이는군... 곰끼리는 절대로 헷갈리지 않는데 말이야.)
    • 춘리: (미안하지만 우리에게 인간의 룰은 전혀 가치가 없다.)
    • 캐미 화이트: (날 쓰다듬고 싶다면 상관은 없지만... 난 곰이라고?! 커다란 고양이가 아니야!)
    • 가일: (또 기어 나왔냐? 이 멍청...응? 잘 보니 다른 사람이었군. 놀랄만큼 닮았어.)
    • 아벨: (뭐냐 넌! 계속 째려 보다니! 싸움이라면 받아 주마!)
    • 장기에프: (이것이 러시아의 곰 사회를 떨게 만든 붉은 악마인가...)
    • 루퍼스: (내 손톱을 탄력으로 받아 치다니... 물렁살도 쓸 데가 있구만.)
    • 달심: (아뜨뜨... 목 털이 조금 타 버렸네... 정말 야만스러운 인간이군.)
    • 사가트: (크고, 단단하고, 강하다... 곰의 세계에서도 잘 나갈 것 같은 남자군.)
    • 마이크 바이슨: (이런 인간과 비교 당하다니 들소도 참 안됐군.)
    • 발로그: (이게 진짜 손톱이다! 네 가짜 손톱따윈 상대도 안돼!)
    • 베가: (흠... 미시마도 좋지만 섀도루의 총수도 나쁘진 않겠군.)
    • 한주리: (이 녀석, 진심으로 나를 죽일 작정이었어... 위, 위험했다...)
    • 롤렌토: (이상인지 뭔지에 흥미는 없어. 인간들끼리 마음대로 해 봐라)
    • 이부키: (나는 태어났을 때부터 삶이 서바이벌이었다. 너 같은 놈에게 당할 리가 없어!)
    • 포이즌: (나를 애완동물이라고! 도대체 나를 뭐로 보는 거야!)
    • 휴고: (헤에, 인간치고는 큰데? 실력은 겉보기와는 딴판이었지만.)
    • 카스가노 사쿠라:
    • 블랑카:
    • 가이:
    • 코디 트래버스:
    • 더들리:
    • 엘레나:
    • 고우키: (이건 정말 인간인가? ...터무니 없는 녀석이 있군...)

4.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마(철권)/시리즈별 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마(철권)/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마(철권)/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술 목록

<colbgcolor=#000><colcolor=#fff> 딜레이 캐치 (각 기술 설명은 해당 항목 참조)
선 자세
10F 베어 콤보(RP LP)
12F 와일드 럼버잭(6RP LP, 벽꽝기)
13F 곰 강장파(AP, 벽꽝기, 히트 발동기)
14F 곰 철산고(2AP, 벽꽝기), 더블 와일드 따귀(1LP RP)
15F 곰 무조(3RP LP, 시동기), 앵거 훅(46RP, 벽꽝기)
16F 곰 삼보룡 1타(9LK, 시동기)
18F 베어 시저스(6AP, 시동기)
앉은 자세
11F 포 스매시(기상 RK)
13F 바이올런스 클로(기상 LP RP)
15F 매드 앵글러(기상 RP, 시동기)
16F 곰 삼보룡 1타(9LK, 시동기)
18F 스피닝 베어 킥(기상 LK, 호밍기, 벽꽝기)
22F 베어 백라이딩(기상 AK, 시동기)

기술 명칭은 원판인 일본어판 기술명을 앞에, 국제판+영문판은 아래첨자로 표기. ex) 베어 시저스 더블 클러 (6AP)

쿠마의 기술 중 곰 웅()이 들어가는 건 공식 기술표에서 음독인 '유우(기술명)'가 아닌 훈독인 '쿠마(기술명)'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한국어 번역시에는 음독인 '웅(기술명)'이 아닌 훈독인 '곰(기술명)'이 맞다.

태그1~7에서는 기술후 헌팅 자세를 잡는 커맨드가 AK 추가 입력이었으나 8에서는 2유지(or AK 추가 입력)으로 바뀌었다. 즉 아래 기술 커맨드에서 2유지로 헌팅으로 부분은 모두 AK로도 헌팅이 된다.

히트 / 레이지 관련 기술
  • 히트 강화점
    • 일부 홀드기가 원래보다 짧은 시간 입력으로 최대 홀드 성능이 됨 (1LP RP 등)
    • 강화된 앞 구르기 사용 가능 (앉아 AP, 앞구르기 중 LP 등)
    • 쿠마 전용: 곰 풍신권 / 순 곰 풍신권 사용 가능
      • 곰 풍신권 熊風神拳 윈드 베어 피스트 풍곰권 (히트 상태에서 3RP+LK, 6n23RP 입력시 파워 업)
      • 순 곰 풍신권 旬・熊風神拳 프레시 윈드 베어 피스트 (히트 상태에서 3RP+LK 홀드, 6n23RP 입력시 파워 업, 파워 크러시로 받아낼 수 없음)
        헤이의 풍신권 복붙. 발동은 일반 15F - 홀드 25F, 둘다 특수 중단 판정에 사용시 게이지 한칸이 소모된다. 6n23으로 입력시 대미지가 일반 23 - 홀드 30으로 늘어나며, 6n23 스텝이 꼭 필요한 풍신과 달리 요시의 외법섬(6n23LP)처럼 스텝이 필요없어서 선입력이 되므로 딱 15딜캐로 쓸수 있다. 초풍처럼 막히고 오히려 이득프레임이라서(일반 +5 - 홀드 +9) 지르기나 압박용으로도 쓰이며, 단타 딜이 높아서 공콤 징검다리용으로도 쓰인다.
        같은 15F 딜캐로 게이지가 아쉬운 상황에서는 이만큼 길고 대미지도 그리 나쁘지 않은 더퍼를 쓰면 되나, 곰 풍신권으로 시작을 하면 이후 강력한 딜의 홀드 풍신을 넣을수 있어 딜이 꽤 늘어나는데, 풍 - 홀풍 - 홀풍 - 대시 풍 - 쌍장(히트 대시) 루트가 높은 딜을 보여준다.
        일반 6~12F - 홀드 6~22F 부분에 원본 풍신권에도 없는 앉기 판정이 있어 완벽히 상단을 회피하는데, 일반은 짧아서 쓰기 활용하기 어려우나, 홀드판은 넉넉한 상단회피로 노리고 쓸만하다.
    • 팬더 전용: 팬더 유성련각 / 팬더 도퇴 사용가능
      • 팬더 유성련각 熊猫流星連脚 팬더 슈팅 스타 (히트 상태에서 9AK)
        게이지를 2칸 소모. 중 중 중 판정. 샤오의 유성련각의 복붙. 가드시 높은 이득 프레임에 베어 시트 자세가 되는데, 앉기 이지를 걸거나 6으로 구르기 이지를 걸면 된다.
      • 팬더 도퇴 熊猫跳腿 So Shoe Me (Panda Style) (히트 상태에서 1AL or 1AR)
        8 시즌2 신기술, 상단 풀기 불가 잡기. 15F 발동. 10 대미지. 상대를 밟고 넘어가며 +12 상황이 되어 12F 기술이 확정히트하기에 벽 등지고 쓰면 강하게 대미지를 넣을 수 있다. 게이지 두칸을 넘게 소모.
  • 히트 버스트 (RP+LK)
  • 히트 발동기
    곰 강장파 (AP), 곰 엑스 (4AP), 래빗 베어 (666AP), 메가톤 클러 듀오 (236RP LP), 베어 태클 (헌팅 중 AK)
    히트 대시를 쓸 때 AP는 바로 다운되어 공콤을 넣지 못한다. 가드를 시키고 히트 대시로 가드 대미지를 주려할때는 4AP가 23의 대미지를 주어 가장 세다.
  • 쿠마 히트 스매시: 새먼 낚싯대 타법 サーモン一本釣り打法 새먼 피싱 캐스트 (히트 상태에서 RP+LK)
  • 팬더 히트 스매시: 팬더필살 슈퍼 어택 熊猫必殺スーパーアタック 팬더 슈퍼 어택 (히트 상태에서 RP+LK, 6유지로 베어 롤로, 2유지로 헌팅으로)
    쿠마의 것과 비슷하나 약간 다르다. 단점으로는 1. 발동이 15F로 약간 느리고, 2. 대미지가 낮으며, 3. 가드될때 이득프레임이 더적다. 장점으로는 1. 자세이행이 가능, 2. 히트시 상대가 바로 앞에 떨어지므로 후속 심리를 걸기에는 용이한 것, 3. 헌팅 자세에서 즉시 발동 가능 것(쿠마는 불가능해서 헌팅자세를 8로 취소 후 사용해야 한다.)이 있다.
  • 쿠마 레이지 아츠: 38식 섬멸병기 아라마키 三八式殲滅兵器・アラマキ 타입 38 이래디케이션 웨폰: 아라마키 (레이지 상태에서 3AP)
  • 팬더 레이지 아츠: 위기일발! 팬더 가추장 危機一髪!熊猫架推掌 클로즈 콜! 팬더 스토밍 플라워 (레이지 상태에서 3AP)

통상 기술
  • 베어 헤븐 캐논 G 클레프 캐넌 G-Clef Cannon (LP LP LP)[6] <토네이도>
  • 앵그리 럼버잭 (LP RP) <가드 대미지>
  • 스트레이트 - 엘보 잽 엘보 (RP LP)
    베어 콤보 미들[7] (RP LP RP)
    베어 콤보 로 [8] (RP LP LK)
  • LK / RK
    느리지만 막혀도 딜캐는 없고, 6을 입력하면서 쓰면 약간 느려지지만 대미지와 리치가 늘어난다. LK는 띄우고 벽이 가까울때 단타 강력하게 한대 때리며 밀어낼 때 쓰고, RK은 바닥을 깨는 맵에서 바닥을 깨고(상대가 엎드리게 폴링 베어, 싸바, 베어 피처로 깨야함) RK을 써서 벽으로 보낸다. RK은 카운터시 대시 곰산고 등이 확정타다.
  • 곰 강장파 熊剛掌破 데몬 베어 브레스 (AP) <히트 발동기>
  • 헌팅 스타일 헌팅 (AK)
    #헌팅 스타일 문단 참조. 헌팅 스타일로 이행한다.
  • 와일드 럼버잭 (6RP LP)
  • 베어 시저스 더블 클러 (6AP)[10] / 베어 클러 크로스 (6AP AP) <토네이도>
  • 셰이프 업 킥 (6AK) / 셰이프 업 힙 (6AK AP)
  • 라이엇 그리즐리 그리즐리 램페이지 (3LP RP AP)
  • 곰 무조 熊武爪 (3RP LP)
  • 허니 트랩 (3LK RP) <가드 대미지>
  • 3RK
    통칭 오리발. 12프레임 노딜 중단. 히트시 +7, 막히면 -4. 카운터 기술인 쿠마 왼어퍼를 대용하는 기술로, 짧지만 없어서는 안될 빠른 중단. 개싸움시 위력을 보여준다.
  • 2LP / 2RP / 2RK
    셋모두 발동 4F부터 앉기 판정이 생겨 상단을 회피한다.
    10프레임 왼짠손(2LP)은 자세 상 약간 엉뚱한 데를 때려 아주 길지는 않고, 앉은 자세에서는 2LP 기술이 있으므로 쓸 수가 없다. 즉, 곰은 앉은 자세 10 딜캐가 없다...
    오른 짠손(2RP)은 1프레임 느리지만 정축으로 지르므로 매우 길고, 앉은 자세에서도 나간다. 쿠마 개싸움의 핵심 기술.
    오른 짠발(2RK)은 잭처럼 뚱캐 전용의 발동 16F의 느린 짠발이 나가며, 봉인기.[15]
  • 철산고 熊鉄山靠 힙 스매시 (2AP)
  • 와일드 따귀(ビンタ) 와일드 슬랩 (1LP) / 더블 와일드 따귀 더블 와일드 슬랩 (1LP RP, 홀드 가능, 2유지로 헌팅으로)
    더블 와일드 따귀 (1LP RP 약간 홀드, 2유지로 헌팅으로) <가드 대미지>
    순 더블 와일드 따귀 (1LP RP 풀 홀드, 히트 상태시 홀드 필요시간 감소, 2유지로 헌팅으로, 파워 크러시로 받아낼 수 없음) <가드 대미지>
  • 베어 래리어트 (1RP, 2유지로 헌팅으로)
  • 곰 부지화 熊不知火 (쿠마 시라누이) 베어 펌프 인 페달 (1LK)
  • 곰 나락쓸기 熊奈落払い 스피닝 쿠마 (1RK)
  • 드럼 롤 (1AP AP RP)
  • 새먼 헌팅 새먼 헌터 (1RP+LK[20], 홀드 가능) <(홀드 시) 가드 대미지>
    순 새먼 헌팅 프레시 새먼 헌터 (1RP+LK 풀 홀드) <가드 대미지>
  • 베어 피처 베어 슬래시 (4LP, 2유지로 헌팅으로) <파워 크러시>
  • 하울링 베어 (4RP LP AP, 4RP LP 2유지로 헌팅으로, 4RP LP 6유지로 베어 롤로)
  • 사문살 沙門殺[22] 새먼 매서커 (4RP RP LP) <토네이도>
  • 곰 엑스 베어 엑스(X) (4AP) <히트 발동기> <가드 대미지> <호밍기>
  • 베어 백라이딩[23] 하이 징크스 High Jinks (4AK / 기상 AK) <토네이도>
  • 테러블 클러 데들리 클러 (4LP+RK, 2유지로 헌팅으로)[24] / 롤링 베어 (테러블 클러 중 66, 66유지로 연장)[25]
  • 베어 스키핑 베어 스킵 (7AP, 2유지로 캔슬 헌팅으로)[27]
  • 빅 베어 어택 (8AP, 2유지로 헌팅으로)[28]
  • 힙 프레스 팬케이크 프레스 (8AK, 베어 시트로)[29]
  • 호넷 스윕 (7LP / 8LP / 9LP) <가드 대미지>
  • 곰 울트라 울트라 쿠마 (9RP)[31] <호밍기> <스크류>
  • 곰 삼보룡 熊三宝龍 베어 더블 홉 킥 콤보 (9LK RK AP, 2유지로 헌팅으로)
  • 이선곰인각 裏旋熊刃脚 쿠마 헬 액슬 (9RK LK)
  • 곰 귀신권 熊鬼神拳 데몬 어퍼컷 (66RP)
  • 폴링 베어 (66AP, 헌팅으로, 6유지로 베어 롤로)[35] <가드 대미지> 파일:attachment/gom_2.jpg
  • 앵거 훅 (46RP) <가드 대미지>
  • 메가톤 클러 듀오 그리즐리 클러즈 (236RP LP)[37] <히트 발동기>
    메가톤 클러 듀얼 그리즐리 클러 스매시 (236RP RP)[38] <가드 대미지>
  • 공참각 空斬脚 (666LK)
  • 래빗 베어 래비드 베어[40] (666AP, 2유지로 헌팅으로)[41] <히트 발동기>

특수 동작
  • 도발 You're Welcome (LP+AK)
  • 기합 모으기 気合溜め Ki Charge (AP+AK)
    기모으기, 태그1 이래로 기술표에 안올라왔는데 철8에서 오랜만에 기술표에 들어왔다. 이제 얼마 안남은 공용 기모으기 모션.

앉은 상태 중 기술
  • 바이올런스 클러 킬링 클러즈 (기상 LP RP, 2타 홀드 가능, 2유지로 헌팅으로) <토네이도> <(홀드시)가드 대미지>
    순 바이올런스 클러 프레시 킬링 클러즈 (기상 LP RP 풀 홀드, 히트 상태시 홀드 필요시간 감소, 2유지로 헌팅으로, 파워 크러시로 받아낼 수 없음) <토네이도> <가드 대미지>
  • 매드 앵글러 (기상 RP)
  • 스피닝 베어 킥 (기상 LK) <호밍기> <스크류>
  • 포 스매시 (기상 RK)
  • 레그 스크래치 와치 유어 피트 (앉아 LP)
  • 베어 롤 (앉아 AP, 히트 상태 중 특수 중단 공격이 되며 게이지를 소모)[42]
    #베어 롤 문단 참조. 앞 구르기를 한다.
  • 퀵 베어 러시 하이 해머 러시 3 하이 (앉아 3RP LP)[43]
    기술표에는 없지만 아래 10단 콤보의 징검다리라서 남은 기술. 1-2타 연속히트하긴하나 1타든 2타든 막히고 딜캐가 있는 등 자체 성능은 시원치 않아서 찾아 쓸 필요는 없다.
  • 10단 콤보 10 히트 콤보 (앉아 3RP LP AP LK AP AK AP RP LK LP)[44]

횡이동 중 기술
* 베어 딱지[45] 어택 새먼 스와이프 (횡 AP)

헌팅 중의 기술
곰이 네발로 엎드린 특수자세이며 선자세 AK, 앉은 자세에서는 2AK, 몇몇 기술후 AK로 이행할 수 있다. 상단회피가 되고 좋은 판정을 가진 기술들이 많지만 가드불능인데다 곰 덩치가 덩치인지라 어퍼, 컷킥이나 타점 낮은 중단을 맞을 위험도 크기 때문에 여러모로 양날의 검인 자세이다.

자세중 6으로 전진(전진중에 하단 자동 흘리기 발생), 4로 후진, 1로 자세 캔슬 후 앉은자세, 7,8,9로 선자세로 이행하고 바로 가드를 올린다.

뒤구르기 앞구르기(베어 롤), 눕기, 엎드리기는 아래 기술표 참조.
  • 헌팅 스타일 헌팅 (AK, 1유지로 앉은 자세, 7/8/9로 선 자세)
  • 허니콤 스파이크 (헌팅 중 LP RP, 2타 홀드 가능) <(홀드 시) 가드 대미지>
    순 허니콤 스파이크 프레시 허니콤 스파이크 (헌팅 중 LP RP 풀 홀드, 히트 상태시 홀드 필요시간 감소, 파워 크러시로 받아낼 수 없음) <가드 대미지>
  • 베어 클러 (헌팅 중 RP, 헌팅으로)
  • 밥상 뒤집기 熊ちゃぶ台返し 베어 플링(Fling) (헌팅 중 AP) <토네이도>
  • 베어 태클 (헌팅 중 AK) <히트 발동기> <파워 크러시>
  • 헌팅 힙 헌팅 힙 스매시 (헌팅 중 6AK / 4AK, 베어 시트로)
  • 호넷 버스터 (헌팅 중 3LP) <호밍기> <가드 대미지>
    8 시즌2 신기술, 중단. 앵거 훅(46RP)의 자세+중단격인 기술로 빠름, 좋은 판정, 중단, 호밍기, 가댐, 막히고 딜캐없음, 공중히트시 뺑글이, 높은 딜 등 온갖 좋은 옵션이 다 붙은 꿀기술.
  • 빅 트리 (헌팅 중 3RP) <토네이도>
  • 베어 스피어 프럴리킹 베어 Frolicking Bear (헌팅 중 2AP, 헌팅으로(히트 발동때는 불가))
  • 메리 고 라운드 브레이큰 Break'n(헌팅 중 4AP AP, 4AP 2유지로 헌팅으로)
  • 위를 보고 눕기 헌팅 투 롤 오버 (헌팅 중 LK / RK) / 엎드려 다운 헌팅 투 플레이 데드 (헌팅 중 2AK)
  • 베어 롤 (헌팅 중 66, 히트 상태 중 특수 중단 공격이 되며 게이지를 소모)
  • 뒤 구르기 後転 백워드 롤 (헌팅 중 44 / 베어 시트 중 4, 헌팅 중 44 2유지로 헌팅으로)

베어 시트 (2AK 등)
선자세에서 2AK[47], 헌팅자세에서 4AK로 바로 자세 이행하는건 건져져서 콤보에 맞을 수 있어서 위험하다. 힙 프레스(9AK)를 가드시키고 자세를 이행시 상대는 강제로 주저앉게 되는데 일반적인 11프레임 기상킥은 rp 어퍼컷에 같이 맞고, 10프레임 짠손은 리바운드로 대처된다. 스프링 해머 펀치 (다운된 상태에서 2AP)시에는 유리 프레임이 대폭 늘어나서 중간에 아무것도 들어오지 않는다. 누가 곰 아니랄까봐 기술명에 들어가는 트라우트는 송어 Trout. 4로 뒤구르기, 6으로 앞구르기로 파생한다.

8에서는 기술들의 성능이 다들 히트시에는 너프 / 가드시에는 모두 -12가 되는 버프를 먹었다.
  • 베어 시트 (2AK 등)
  • 트라우트 스윕 (베어 시트 중 LP) / 더블 트라우트 스윕 (베어 시트 중 LP LP)
  • 트라우트 스매시 (베어 시트 중 RP) <토네이도>
  • 리바운드 (베어 시트 중 AK, 6유지로 앞구르기로)

베어 롤 (앉아 AP 등)
그냥 바로 누웠을시 앞구르기를 했을 때 나가는 앞구르기에서는 안나가고, 그외의 앞구르기 자세에서는 특수자세로 판정되고 기술이 나간다. 이 특수자세 중 공격에 맞으면 철권 7 전작들 처럼 떠서 공콤에 맞을 수 있다.

앞구르기처럼 특수 앞구르기 이행은 다음 기술로 가능하다. 엎드려 다운 되었을 때 앞구르기 시 / 앉아 3AP / 헌팅자세에서 66 / 주저앉은 자세(sit)에서 6 / ap 6 / 헌팅 lp rp 6 지속
  • 베어 롤 (앉아 AP 등, 히트 상태 중 특수 중단 공격이 되며 게이지를 소모)
  • 베어 푸시 베어 셔브(Shove) (LP)
  • 베어 어퍼컷 베어 백핸드 (RP)
  • 베어 슬라이딩 베어 슬라이드 (LK)
  • 베어 닐 킥 베어 롤링 킥 (RK)
  • 자이언트 롤 (AP)
  • 헌팅 스타일 헌팅 (2 or AK 헌팅으로)

다운 상태 중 기술
8에서 모든 다운공격기는 이후 자세로 이행되게 바뀌었고 후딜이 상당히 줄어 바로 자세를 헌팅 이행기는 바로 자세를 풀면 센딜캐가 거의 안맞게 되었다. 대신 자체 대미지는 좀 줄었다.
  • 베어 바살로 Bear Vassallo 베어 백스트로크 (얼굴이 위로 다운시 AP, 헌팅으로)
  • 스프링 해머 펀치 겟 업 펀치 (얼굴이 위로 다운 시 2AP, 베어 시트로)
  • 베어 버터플라이 (얼굴이 아래로 다운 시 AP, 헌팅으로)

잡기
  • 베어 바이트 Bear's Bite (AL)[48] / 베어 허그 (AR)
  • 브루트 스로 베어 슬램 (상대 왼쪽에서 잡기) / 초크 슬램 (상대 오른쪽에서 잡기)
    블러드 서커 스윙 스웡 Swing Swung (상대 뒤쪽에서 잡기)
  • 베어 박치기 헤드벗 (9AP)[50]
    잡기가 풀리면 맵상의 위치는 바뀌고 1p, 2p 자리는 바뀌지 않는다.
    커맨드 양잡. 미시마 패밀리에게 있는 초박치기. 허나 커맨드와 기술명은 약간 다르다.[51] 원본과 같이 벽꽝도 되며 막히면 대미지가 줄지만 벽콤을 넣을 수 있다.
    태그 2에서 공용 태그 대응 잡기이며, 쌍곰 조합, 풍신류, 카자마류 고무술 사람들과 팀을 짠 경우 이걸로 미시마가 사람들과 똑같이 태그 잡기가 가능하다.
  • 치어풀 볼업 로큰롤 서커스 (632146AP)


  • 블러드 서커 베어 토스 (헌팅 6AP)

반격기
  • 하단 흘리기 下段捌き 로 패리 (상대의 하단 공격에 맞추어 3) <토네이도>
    철권 8에서 기술표에 올라간 공용 하단 흘리기.
  • 하단 흘리기 下段捌き 로 패리 (상대의 하단 공격에 헌팅 중 6) <토네이도>

상대 다운 중 기술
  • 데들리 스텝 댄스 위드 미 (상대 다운 중 2LP+RK, 2LP+RK AK로 캔슬 뒤자세)[55]

  • 벽 반동 공격 (벽을 등진 상태에서 447)
    뚱캐들의 꿀밤 벽반동 공격. 그나마 쿠마는 팔은 길어서 좋을까 싶지만 상체도 길어서 그리 길게 느껴지지는 않는다. 발동 5F부터 공중판정, 발동 8~13F간 무적판정, 공격판정은 39F에 나온다.

===# 삭제된 기술 #===
  • 레이지 아츠 (4AP)

    팬더와 동일하게 상대를 쳐서 공중에 붕 뜨게 한 뒤, 바닥에 굴러다니던 연어를 주워 상대를 홈런 친다. 첫타가 판정이 좋은 귀신권이라 헛치는 경우는 드물다. 벽에서 맞출 경우 곰은 벽꽝이 되어 가까운데서 바르게 눕는데 팬더는 거리가 벌어진 상황에서 엎드리 눕게되는 차이점이 있다. 바로 앞에서 엎드린 자세가 되면 곰철산고가 거의 확정이라서 레아는 팬더의 후상황이 확실히 더 좋다.[56] 참고로 홈런을 치고 던져버린 연어는 이후 라운드가 지속될 경우 맵 바닥 어딘가에서 펄떡이는 채로 남아 있다.
  • 레이지 드라이브 (66AP)
    곰 귀신권으로 상대를 반대편으로 낙법 불가로 넘겨 버린다. 완전히 바닥에 누운 상대도 쓸어 퍼올린다음 공콤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레이지 상황이면 낙법불가로 강제다운을 시키는 딜캐없는 기술들이 역전의 카드로 부상하게 된다. 공콤중에 마무리로 쓸 경우 이후에 여러 막타를 쓸 수가 있는데... 곰 삼보룡, 곰 울트라, 이선곰인각은 간단한 막타용. 어렵지만 엄청나게 강력한 새먼 헌팅 등을 쓸 수 있다. 공콤 보정이 끝나고(레드 맞추고, 9ap 2ap를 입력하면 빅 베어 어택이 헛치고 타이밍이 딱 맞음) 바닥딜로 넣는 곰산고가 난이도와 대미지가 가장 범용적인 마무리다. 다른 레드와 다른 장점이 있는 대신 그냥 쌩으로 가드시 프렘이득이 +1로 매우 적고, 발동도 그리 빠르지는 않는 단점이 있다.

  • 베어 펀치 콤보 (LP LP LP)
    1~5DR의 기술, 상 상 중 판정. 과거 뚱캐들이 가지고 있던 원원원. 곰에겐 빠르고 긴 통천포가 있는지라 아예 쓰지 않았다.
  • 원 투 베어 클러 레프트 라이트 베어 클러 (LP RP)
    6~7의 기술, 상 상 판정. 원투 주제에 발동이 11프레임이다. 이 때문에 쿠마는 원잽을 LP가 아닌 후술할 통천포 1타(6LP)로 써야만 10프레임 잽을 사용할 수 있다. 리치가 길긴 하지만 판정이 높아서 닿을만 한 거리라도 자주 헛치고 대미지도 10 딜캐인 투원보다 꼴랑 1 높을뿐. 가드시에도 -5로 더 안좋고, 히트시 +6인건 조금 낫다.
  • 베어 너클 (AP)[57] / 더블 해머 (AP AP) / 트리플 해머 (AP AP AP)
    각각 1~7 / 2~7 / 5~7의 기술, 중 중 중 판정. 뚱캐의 상징 더블 해머. 1타만 쓰고 자세 파생이 되는데 AK로 헌팅[58], 6으로 앞구르기를 쓴다. 모든 타수에 딜캐가 있지만 각 타수에 딜레이를 크게 넣을 수 있어서 타수 장난을 못쓸 정도는 아니다. 2타는 띄우기는 딜레이가 17F까지 걸리고 최대한 딜레이를 넣어도 1타 카운터(이펙트가 뜸)면 2타가 확정이다. 3타는 다운공격이 된다.
  • 베어 시저스 더블 쿼드러플 클러 (6AP AP) <스크류>
    7 시즌4~7끝의 기술, 중 중 판정. 2타는 막히고 -14다. 2타가 딜레이가 될 것같으면서도 전혀 안되어서 타수 장난으로는 못써먹을 물건이다. 공콤용으로는 꽤 넓은 판정, 두번 다 이펙트가 터지는 비교적 강한 대미지로 필드 공콤에서 대미지용 루트로 쓰는데, 후딜이 길고 약간 느려서 루트가 경직되게 되어 벽몰이 용으로는 이전에 쓰던 다른 루트가 낫다. 기상 RK만 맞으면 시저스 더블은 아주 안정적으로 들어가므로 다운후 기상 LK, 상대의 슬라이딩 공격을 막았을 때는 기상 RK - 시저스 더블로 간편하고 강하게 콤보를 넣을 수 있게 되었다.
  • 어퍼 러시 L[59] 러싱 어퍼컷 L (3LP RP LP RP)
    2~7의 기술, 중x4 판정. 15프레임 발동 왼어퍼로 시작해서 어퍼컷을 4번 날리는데, 1타 카운터시 4타 까지 전부 맞고 떠서 공콤까지 맞으므로 카운터 로또를 노리고 쓴다. 2,3,4타를 쓰면 앉은자세가 되므로 4타를 맞고 뜬 상대에게는 기상 LPLP로 스크류 후 콤보를 넣는다. 막혀도 3타까지 쓰면 -4라는 이상하게 짧은 후딜을 이용해서 바로 곰의 강력한 기상RK을 노리는게 잘걸린다. 1타가 반시계 횡신 정도는 잡으므로(횡보는 못잡음) 안전하게 노딜 중단기로 반시계를 잡을 때 쓰기도 하긴하지만 잡아도 이득이 높은게 아니라서..
  • 어퍼 러시 R[60] (3RP LP RP LP)
    1~5DR의 기술, 중 중 중 중 판정. 뚱캐의 오른어퍼 이후 3타. 15F 띄우기 딜캐인 1타만 쓰고 2~4타는 쓸 이유가 없었다. 다만 잭은 이 기술이 아직 남아있다.
  • 애니멀 헤드벗 (3AP)
    태그1~5DR의 기술, 중단. 로저와 동일한 기술인 박치기로 막혀도 안전했다. 삭제되었지만 10단콤보 3타는 여전히 이기술.
  • 가추장 架推掌 (1LP+RK)
    태그 2 팬더의 기술, 중단. 팬더가 샤오유와 같이 태그를 맺으면 사용 가능한 기술. 샤오의 가추장(1LP)과 같이 카운터로 맞추면 자동으로 도발이 나가는데 샤오의 도발이 아닌 곰의 도발을 한다. 철권8 팬더의 레이지아츠 막타가 가추장이기도하다.
  • 베어 스탬프 (4LP)
    5~5DR의 기술, 중단. 당시 헤이하치의 불단 깨기(4LP)의 쿠마판 기술.
  • 베어백(Bareback) 킥 베어 플레일 (4[LK RK])[61]
    4~7의 기술, 중 중 판정. 파닥파닥. 아래 베어 백 라이딩이 앉기 판정은 없는데 반해 이건 확실히 발동 6F부터 앉기 판정이 있어 상단을 씹는다. 벽앞이면 맞추고 곰철산고가 확정이지만, 그렇다고 해도 막히고 -19라는 막장 후딜때문에 쓸일은 없다.
  • 나생문 羅生門 (4RP+LK)[62]
    태그1, 태그2 쿠마의 기술, 중단. 태그 시리즈에서 주인인 헤이하치와 같이 태그를 짜면 쓸 수 있는 기술. 성능은 헤이하치의 그것과 같지만 덩치가 어마어마한 쿠마 체형으로 써서 더욱 박력이 넘친다. 태그 2에서는 4RP 커맨드에 하울링 베어 기술이 있어서 커맨드가 변경되었다. 철권8에선 곰이 헤이하치의 기술 다문살을 흉내내는데 다문살 2타 모션이 나생문이니 어떻게보면 부활했다.
  • 메가톤 클러 (4123RP)
    1~5DR의 기술, 중단. 잭 메가톤 펀치(4123RP)의 곰버전. 붕권류 기술로 보면 되는데, 대체적으로 대미지는 붕권보다 높지만 그외 성능은 모두 떨어졌다.
  • 빨강 보복하기(뒤집기) 紅返し[63] 페이틀 윈드 Fatal Wind (44RP+LK)[64]
    3~5DR의 기술, 가드불능. 통칭 곰방구. 가불기지만 주력 가불기인 테러블 클러와 달리 무지막지하게 느려터진데다가 리치도 엄청 짧다. 어느 정도냐면 상대방이 레버 계속 앞으로 유지해도 캐릭터의 걷기 포즈에 따라 안 맞을 정도. 평소에는 절대 볼 일이 없는 기술이지만 맞히면 풀피 상태에서도 바로 KO되는 안드로메다급의 대미지를 가졌다. 밑의 한쿠마의 대역전극에 쓰인 기술.[65] 판정이 두번에 걸쳐 나와서 처음 이펙트와 진동을 보고 달려드는 상대에게 두번째 판정이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몇몇 가불기에 지정된(잭 기가톤 펀치도 해당) 기를 모으고 때리면 대미지가 몇 배로 증폭되어 들어가는 페널티가 있다. 짠손을 넣어도 70이상이 들어간다. 스파X철권에서도 쿠마의 슈퍼콤보로 지정된 기술이지만, 철권 레볼루션, 7에선 유럽지방 심의문제로 삭제.
  • 바이올런스 어퍼 킬링 어퍼컷 (기상 LP)
    3~5DR의 기술, 중단. 이때는 1타가 15F 띄우기인 기상 어퍼 였다.
  • 헝그리 후킹 킬링 콤비네이션 (기상 LP LP)
    6~태그2의 기술, 중 중 판정. 당시 기상 13 딜캐였다.
  • 바이올런스 스크래치 킬링 어퍼컷 그리즐리 스크래치 (기상 LP LP) <스크류>
    바이올런스 클러 킬링 어퍼컷 그리즐리 클러 (기상 LP RP)
    각각 6~7 / 3~7의 기술, 중 상 / 중 중 판정. 13프레임 기상기술. 전자는 1타 히트 시 2타 확정으로, 앉아 13프레임 딜캐기로 쓰인다. 리치도 길고 후상황도 매우 좋은데다 무엇보다 대미지가 띄우기 기술 제외하고 전 캐릭 앉아 13딜캐 중 가장 높았었다. 7FR 시즌1~시즌2 기준 39뎀이었지만 시즌3에서 34뎀으로 너프먹으며 로우, , 브라이언, 샤힌보다 기상13딜캐 대미지가 낮아졌다. 후자는 1타 맞아도 2타가 확정이 아닌 대신 2타 중단에 막혀도 곰이 이득이다. 다만 너무 느려서 빠른 기술로 끊거나 파워 크러시, 반격기 등으로 엿먹일 수도 있다. 파훼는 카타리나 3RP 파생기와 똑같이 그냥 1타 막고 반시계 치면 후속타 LP든 RP든 전부 피한다. 과거 시리즈에선 바이올런스 클러 1타가 띄우기였는데 과거 기상 오른어퍼가 노답 쓰레기 기술이라 큰 하단막고 이걸로 공콤 시동해야 됐던 시절도있다.
  • 더블 어퍼 배터 업 Batter up (기상 AP) / 더블 해머 (기상 AP AP)
    1~7의 기술. 19F 발동, 중 중 판정. 2타 딜레이로 1타 막혀도 타수장난이 되기는하지만 양쪽다 -17이상이므로 너무 암울한 이지라서 보통은 봉인한다.
  • 숏 베어 러시 해머 러시 2(앉아 6LP RP ...)[66]
    2~7의 기술. 3타를 3LP로 쓰면 1타 카운터시 3타까지 확정에 상대가 뜬다. 후딜도 매우 빨리 풀리므로 곰귀신권처럼 빅 베어 어택(9AP) - 헌팅 이행 - 3LP로 콤보를 넣을 수 있다. 어퍼 러시 L처럼 후딜도 매우 적어서 좋다. 커맨드가 아래 와일드 스윙과 비슷해서 삑사리나는 것은 주의.
  • 와일드 스윙 윈드밀 펀치 (앉아 3LP RP LP LP)[67]
    1~7의 기술. 중 중 중 상 판정 기술. 1타 히트시 3타까지 확정이고 다운되므로 곰산고가 확정(약간 느리게 쓰면 바닥판정으로 들어가서 더 셈). 3타까지 가드시 상단회피없는 기술로는 4타를 못끊는데 4타를 가드시키면 가드 불가 +21이라 쉽게는 더블어퍼와 레아, 매우 빡빡하게 곰 귀신권이 확정으로 들어간다. 3타 가드시켜도 딜캐가 있긴한데 4타 심리때문에 딜캐를 잘 쓰지는 않는다. 문제는 4타가 너무 잘보여서 대부분 앉아서 다피하고 기상어퍼 쓴다.
  • 퀵 베어 러시 해머 러시 3 (앉아 3RP ...) / 베어 스윙 트리플 어퍼컷 라이트 (앉아 3RP 3LP RP)
    2~7의 기술. 베어 스윙은 숏 버전처럼 1타 카운터시 띄우는것은 동일하지만 후딜이 더 길다. 따라서 콤보 시작을 기상 LP LP로 시작해야 하므로 딜이 더 낮고, 막혔을때도 후상황이 숏보다 안 좋다. 커맨드가 더 편함에 따른 페널티일 듯. 2타를 2LP로 쓰면 중 - 하 판정이 나오는데 빠르므로 막타를 노릴 때는 숏보다 더 빨리 쓸 수 있는 것은 장점. 2타를 레버중립 LP로 하면 10단콤보로 돌입.
  • 베어 러시 해머 러시 (앉아 2LP LP ...)
    2~7의 기술. 하단을 긁는 기술로 1타를 막든 맞든 카운터로 맞든 2타를 흘릴 수 있으므로 2타까지 긁는 건 상대를 봐가면서 해야 한다. 대신 2타 가드시 +1, 2타 히트시 가드 가능 +12라 입맛대로 후속을 궁리할 수 있고, 카운터시는 그냥 +12라 기상 RK가 확정이기는 하지만 거의 나올 수가 없다. 3타부터는 숏 베어러시 1타부터와 동일.
  • 10단 콤보 1 (앉아 3RP n LP AP LK AP AP AP LP RP AP)
    10단 콤보 2 (앉아 3RP n LP AP LK AP AK AP RP LK LP)
    5~7의 10단. 8에서 1은 삭제되고 2만 남았다.
  • 더블 베어 클러 (헌팅 중 LP RP)
    태그1~7의 기술, 하 하 판정. 일명 헌팅원투. 4족보행 자세 그대로 양 앞발을 휘둘러 하단을 공격한다. 참으로 곰다운 기술이다. 1타 히트 시 딜레이를 넉넉하게 줘도 2타까지 확정으로 대미지가 짭잘하다. 1타까지만 쓰면 막히면 -11로 나름 안전하지만 대신 2타까지 막히면 -13프레임 상태로 헌팅자세가 그대로 유지되어 큰 딜캐를 맞을 수 있으니 주의. 일단 막혔다 싶으면 최대한 빨리 헌팅자세를 푸는 것만이 살 길이다. 게다가 곰이 헌팅 자세를 잡으면 헌팅의 약점을 아는 유저들은 일단 컷킥을 지르고보는 경우가 많으니 너무 남발하지 말것. 은근히 단점이 많은 기술이지만 대미지도 짭잘하고 헌팅 기술 중 가장 빠른 기술이라 쓰지 않을 수 없다.
  • 바이올런스 스크래치 킬링 어퍼컷 그리즐리 스크래치 (헌팅 중 3LP LP) <스크류>
    7의 기술, 중 상 판정. 기상 LP LP와 거의 비슷하다. 2타가 빨리 나오고, 전체 대미지가 더 센건 장점. 발동이 16F으로 빅 트리(헌팅 3RP) 보다 느린 생각보다 별로 안빠른 기술이다. 퍼올리는 판정이 어마어마해서 기상 하단킥, 곰나락쓸기 다음에 1타만 써서(2타보다 앵거훅이 더 셈) 퍼올리는 용도가 있다.
  • 블러드 클러 (제자리 앉기(AK) 중 LP RP LP RP or RP LP RP LP)
    1~4의 기술, 하 하 하 하 판정. 잭과 동일.
  • 10단 콤보 (2RP LP LP LP RP LP RP LP AP AP)
    1~2의 기술. 잭의 10단 1과 동일. 삭제될 이유가 없는데 철3부터 삭제되었다.
  • 헤드 슬라이딩 (달리는 중 AK)
    1~2의 기술, 하단. 당시 곰,잭,간류 같은 뚱캐들이 가지고 있던 뚱캐의 슬라이딩.
  • 베어 프레스 (AL)
    1~2의 기본 왼잡기. 뚱캐의 덮치기 왼잡. 철3에서 뚱캐의 왼잡이 개편되며 삭제되었다.
  • 베어 슛 (상대 뒤쪽에서 잡기)
    1~2의 기본 뒤잡기. 뚱캐 공용의 집어던지는 뒤잡기로 철3에서 삭제되고 뒷목을 물어뜯는 잡기로 바뀌었다.
  • 아이템 기술
    • 오버사이즈 선글래스(팬더), Tohishira-Z(쿠마) (RP+AK)
      지면 장풍 궤도도 팬더는 공, 쿠마는 등에 짊어진 연어를 던진다. 서서 가드 가능. 특수 중단이고 대미지는 20으로 그냥저냥이지만 맞으면 낙법 불가 식으로 하늘 높이 뜨므로 달려가서 공콤이 들어가는 괜찮은 성능의 아이템 기술. 철7에서는 삭제되었는데, 남아있었다면 안좋은 성능의 쿠마에게 장풍캐릭터들에게 약간이라도 반항할 거리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 팬더 츄츄(팬더), 발레츄츄(쿠마) 아이템 기술 (AP+LK)
      발레 포즈로 빙글빙글 도는데 발레 옷에 판정이 있다. 팬더와 쿠마 모션이 미묘하게 다르지만 판정은 비슷. 3타를 때리는데 맞으면 날려버린다. 특수 중단에 대미지는 6, 6, 8, 가드 가능. 철7에서 삭제.
  • 쿠마-팬더 상관없음: 풍신류 초박치기 (66AP) / 아머 킹 (AR)
    쿠마만: 헤이하치 (236AL) / 폴 (66AP)
    팬더만: 샤오 or 미하루 (6RP+LK)
    태그2에서 곰에게 태그 대응이 되는 잡기들.

6. 곰 전용 콤보

뱃살과 머리 크기 때문에 다른 캐릭터들은 안 맞는 별 이상한 콤보를 다 맞을 수 있다. 보통 곰 전용 콤보라고 부른다. 많이 때리고 곰이 뒤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레오는 오짠곽타를 쓰면 넘어가버려서 다른걸 쓰는 경우가 많다. 사실 잭이나 머덕도 덩치가 워낙 커서 곰콤 비슷하게 들어가는데 그나마 곰보단 덜맞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뒤로 넘어가는 일이 없다. (물론 6, 6BR의 얘기다)

쿠마의 다리 짧고 배 나왔으며 상체가 긴 체형 때문에 맞는 콤보 들이기 때문에 쿠마를 따라하는 모쿠진에게는 피격 판정의 차이로 인해 이하 콤보들이 먹히지 않는다.

7에서는 몇몇 기존 곰 전용 콤보들이 삭제된 것이 상당수 있으나 이외에도 추가된것도 많아졌다.

[ 철권 7 곰 전용 콤보   펼치기 / 접기 ]
(캐릭터명 가나다 순)
  • 고우키
    벽콤으로 왼어퍼 잽 3rprklk가 들어간다.
  • 기가스
    1rp 카운터 히트 시 레이지 아츠가 확정이다.
  • 데빌 진
    강벽꽝시 상레 (8ap) 투잽 뻥발 (4rk)이 들어가며 벽몰이 시 66lklprk도 들어가고 헤븐즈 바닥뎀도 잘들어간다.
  • 리로이
    뚱캐 공통벽콤인 왼어퍼 원잽 apaplp로 충격적인 대미지를 먹여줄 수 있다. 다만 용포, 마신, 촌경 카운터 후 곰의 짧은 다리 때문에 1lplk가 헛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 네간
    9rk를 계속 갈겨도 계속 맞는다. 거의 6타까지는 들어가는 수준.
  • 니나
    벽콤으로 시계쉐캔쉐캔 왼어퍼투원투쌍장이 들어간다. 1lk가 벽에서 카운터 시 레이지 드라이브로 재벽꽝도 가능. 이외에도 축이 틀려졌을 때 벽콤으로 아이보리 (lp+rk)로 마무리 시 대쌍장 (66ap)이 들어간다.
  • 드라구노프
    9rk 히트 시 붕캔기상킥으로 퍼올려지고 4lprp로 스크류가 된다. 노딜공콤시동기컷킥과 어썰트 그리고 압박등으로 인해 곰의 최대 상성 중 하나.. 또한 레이지 시 9rk 히트 시 레드가 확정으로 들어가고 추가타 반시계ap (파워 크러시)가 확정인데 이렇게만 해도 60대의 대미지가 나온다.
  • 라스
    5타 이내로 스크류 시 3lk2lp~lp 혹은 lk로 마무리가 가능하며 벽콤 역시 왼어퍼 잽 6lprplk 혹은 투원포마무리가 가능하다.
  • 레오
    벽콤으로 3lp, rp, lkrplk가 들어가는데 이는 기존 강력한 벽콤이던 9ak-3rp+lk보다 1 더 강력하다. 이외에도 66lk,rk,rk 3타 히트 혹은 1rk 1타 혹은 3rp+lk 카운터가 벽앞에서 되었을 시 레이지아트 확정 등이 있다.
  • 로우
    정말 많이 때리는 벽콤이 있으나 사실 스이일 클린히트만 때려도 훨씬 더 강하다.

  • 벽콤으로 왼어퍼 뷰팡(6rklk) 후 초딩킥(2~rkrkrkrk)이 전타 확정이며, 또한 7에서도 힐부스터(기상rplk) 히트 후 슈하콤(4rprklk)으로 정축 스크류가 가능하다.
  • 리리
    띄우고 어퍼가 3번 들어가며, 뒤자세 2ak 히트 시 6으로 앞돌고 3rk- 짠손- 기상어퍼로 콤보가 가능하다. 또한 뒤자세 ap 히트 시 짠손으로 건져지지 않는데 대신 lkrp로 건져서 공콤이 가능하며 벽에서 뒤자세 ap 히트시에도 lkrplk, lklp 등으로 벽붕괴, 3rkrk로 바닥붕괴, 후상황은 안좋지만 확실하게 대미지를 강하게 주고싶을땐 lkrp-ap 바닥뎀으로 마무리가 가능하다.
  • 마스터 레이븐
    기상ak 히트 혹은 1rk 카운터 시 66rk로 건져서 콤보가 가능하다. 기존 악명을 떨치던 벽콤이 곰은 바닥뎀으로 히트되지 않아서 대미지가 상당히 절감되는데 곰한텐 3rplk-뒤자세ap가 더 강하다.
  • 미겔
    띄우고 1rp가 무려 5번이 들어가고 66rp류가 마무리기로 들어가는데 대미지가 일반 스크류콤보보다 훨씬 압도적으로 더 많이 들어간다. (예: 컷킥-1rp 5번-66rprp 벽몰이 혹은 손나락이나 세비지나락- 1rp 5번-66rprp) 이후 벽몰고 벽콤까지 때리거나 레이지상 태에서 저렇게 때리고 벽붕괴되는 곳에서 66rprp로 한번더 때린 다음 벽붕괴 후 레이지 아츠까지 넣으면 대미지가 폴 급으로 나온다..
  • 브라이언
    하체트 (214lk) 카운터 시 빠른 대시 1rp로 건질 수가 있다 (!!) 214rk 히트 시에도 빠른 마하킥으로 스크류도 가능하며 벽콤으론 3rplp-1ap 등이 들어간다. 이는 하체트가 벽앞에서 카운터 되었을때도 3rplp 1ap 벽콤이 들어가고 레이지아트도 가능하다.

  • 4rprp 2rplprp가 벽콤으로 들어간다.
  • 샤힌
    마무리로 드르렁탁 (6ak31~기상lk)이 곰은 확정이다!!! 대신 벽에선 드르렁 탁탁까진 확정은 아니며 1타만 확정. 이외에도 벽콤으로 lk3~lp, 포포 혹은 왼어퍼 투잽~포포 등이 확정이다.
  • 스티브
    벽콤으로 3lprp~lp4 lplplprp라는 강력한 벽콤이 가능하다.
  • 아스카
    1rk~lp+rkrprk가 벽콤으로 들어가나 이젠 lp+rkrprk가 캐릭 상관없이 벽콤으로 전부 확정으로 들어가 큰 메리트는 아니게 되었다.
  • 알리사
    디폼 상태에서 6RP 무한(!)이라는 콤보가 가능하다. 이후 전작 6BR에서도 가능한 것이 확인되었다. 덕분에 곰만 만나면 벽맵에서 6RPLP를 남발하는 알리사 유저들을 볼 수 있다.
  • 에디
    벽콤으로 ap 6rplprp가 들어간다고 한다.
  • 요시미츠
    9rk 히트 시 6ap가 확정으로 들어가 태그2까지만해도 6ap가 바운드기였기에 9rk가 공콤시동기였는데 지금은 사원맵 한정. 할복을 이용한 벽콤보는 7와서 삭제되었다.
  • 잭 7
    66lp 히트 시 66lp가 무조건 한번 더 확정이며, 띄우고 4lp가 3번 들어간다. 또한 벽콤이 피머신건 전타 혹은 6rk-1lplplprp (3타 헛치고 4타 바닥뎀)이 들어가며 벽에서 어퍼 등으로 높벽꽝 시 6rk-4rp 풀홀드가 들어가는데 대미지가 가히 충공깽급이다. 묘하게 축이 틀려 벽꽝시 무한콤보도 된다.
  • 조시
    왼어퍼포포 막타 노멀히트 / 6ak 및 기상lk 등이 카운터 시 6lk로 건져지지 않고 ak로 단타스크류로 건져진다. 또한 기상더퍼 히트 시 대시 필요없이 로하이로 퍼올릴 수 있으며, 벽콤으로 반시계 6lk 잽 1rkrplk가 들어간다.

  • 나락(6n23rk) - 귀신 2타(lk lp) - 원투포 (lp rp rk) 스크류가 가능하며 대신 46rplk로 퍼올려지지 않는다.
  • 카즈미
    벽앞에서 1rk 카운터 시 레이지아트가 들어간다.
  • 카즈야
    안방 (6n23ak 혹은 앉아3ak)이 시계축으로 가까이 맞을경우 기상킥으로 퍼올려지며 시즌4 신기술 풍진리권(기상ap) 카운터 시 대시 초풍 - 4rp lp로 콤보가 된다.
  • 카타리나
    벽콤으로 왼어퍼 잽 lklklklklk가 확정이다. 근데 어차피 밟기뻥발 및 레이지땐 왼어퍼원~레드가 넘사벽급으로 강력해서..
  • 쿠마 & 팬더
    시저스(6ap) 히트시 시저스 2타(6apap)로 콤보를 넣을 수 있다.
  • 클라우디오
    6ak 히트 시 살짝대시 4lk / 제자리 2lp / 1rklk 등으로 건져지며 손나락 2타 혹은 1lk 카운터 시 횡캔 6lk 말고는 콤보가 되지 않는다.

  • 투원 다운잡이 벽콤으로 들어가며 이외에도 벽몰이 시 투원 벽잡 등이 있다.[68] 싸대기 1타 (4lp) 혹은 보디스매시 (앉아3rp) 히트 시 6lk로 건지고 3rklk 후에 그 후 콤보가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6lk보단 바로 앞잽으로 해야한다. 3rplp 2타 히트 시 당연히 3rklk로 건져서 공콤 가능. 결정적으로 5타 스크류 이후 짧대시 or 짧딜레이 가불깍폭(9ap 유지)이 확정이다![69] 신스크류기를 안 쓴 기존 콤보루트로만 때려도 무려 노레이지 79뎀이라는 어마무시한 대미지를 뽑는게 가능하다.

  • 벽콤으로 원쓰리-4ap가 들어가지 않는다. 그 외에는 3lk 히트 시 1lprk로 공콤 가능 등이 있다.

  • 왼어퍼잽 붕권 벽콤에 뿐 아니라 왼어퍼스웨이 두 번 후 붕권도 된다. 벽앞에서 레이지카운터붕권 강벽꽝 후 레이지아트 캔슬-백대시 붕권 높벽꽝-왼어퍼스웨이 두번 붕권은 그야말로 풀피사망을 뛰어넘는 대미지를 보여준다.. 사실상 이번작 쿠마의 최대의 적...이긴 하지만 곰도 나름 붕권 딜캐가 강력하단점과 벽력장이 클린히트될 가능성이 매우 적다는 점때문에 나쁘지 않다. 하지만 레이지 드라이브 붕권 앞에서는 무의미하며 236lk 하단이 카운터 히트 시 lkrp로 건지기 혹은 레이지아트캔슬로 공중콤보가 된다는 점으로 인하여 여러모로 폴 앞에서 힘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거 6BR까지만해도 폴의 상성은 곰이라는 말이 있었지만 이제는...
  • 헤이하치
    벽꽝 시 왼어퍼 잽 4lklk 확정
  • 화랑
    발썰트(666LK) 근접히트시 불과자(2RKRK)가 확정이다. 전용벽콤으로는 슈돌원 or 셋업 원or원원 RKRK6RK 가 있는데 그냥 국콤이 더쎄다...였다가 시즌2때 기존 벽콤뎀지가 하향된 결과 슈돌 원 RKRK6RK가 제일 쌔다.
    스크류 후 짧은 대시 후 힐익스(1AK)가 확정이다. 타이밍이 제대로 될 경우 뒤구르기, 옆낙법, 제자리기상, 스프링킥 등 그 무엇으로도 대항할 수 없이 완벽한 확정이다.

7. 쿠마의 즉사기: 대자연의 향기

TEKKEN TAG2 UM - HANKUMA... (영상 주소 문제로 링크 처리)
온리 프랙티스 vs 한쿠마의 영상. 온리 프랙티스의 라스&니나가 한쿠마의 쿠마&팬더를 성공적인 심리전과 훌륭한 콤보를 통해 매섭게 몰아붙여 퍼펙트가 날 상황이 되자, 한쿠마가 에라 모르겠다 하고 대자연의 향기를 지른다. 온리 프랙티스는 라스의 볼트 라이너를 때려 라운드를 마무리 지으려 하는데, 볼트 라이너가 헛치는 바람에 즉사기를 맞고 게임이 터지고 만다...

미겔 카바예로 로호의 핵꿀밤과 함께 철권의 가장 강력한 공격기 중 하나이며, 그와 함께 엄청난 굴욕기이다. 보면 알다시피 방귀. 헌데 핵꿀밤과 함께 둘뿐인 즉사기임과 동시에 가드불능시간이 매우 짧다.[70] 이렇게 한방에 전세를 역전 시킬수 있는 기술임과 동시에 굴욕기인 상당히 무서운 스킬이다.

파일:attachment/smasher.jpg
허나 이 방귀는 함부로 내지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딜레이가 너무 길어서 헛치는 순간 뒤를 잡히고 연속기나 10단 콤보로 절명할 수 있다.[71] 거기다 딜레이가 너무 길기 때문에 딜레이 도중 상대의 공격에 맞게 된다면 거의 카운터로 맞게 된다. 그리고 리치가 기가 막히게 짧은데, 어느 정도냐면 상대랑 딱 붙어있는 상태에서 써도 상대가 다가오지 않으면 안 맞는다.[72] 다른 필살기들은 상대가 초보일 경우 어버버하다가 맞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이건 그것도 기대하기 힘들다.[73]

독특하게도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에서는 쿠마의 슈퍼 아츠가 이 공격이다. 시동기가 할퀴기이고 맞출 경우에만 이 기술로 쓰므로[74] 실용성은 대폭 늘었지만 그 반동으로 대미지가 평범한 초필살기급으로 떨어졌다. 사실 이 슈퍼 아츠가 원작처럼 즉사기였으면 더 심각한 문제였겠지만.

이유는 알 수 없었지만 철권 레볼루션부터 이 기술이 삭제되어서 더 이상 한방의 미학&굴욕&트롤은 볼 수 없게 되었다. 이후에 나온 철권 7에서도 삭제가 되었다. 나중에 하라다의 트윗으로 그 이유가 공개 되었는데... 그걸 유지시켜 버리면 ESRB/PEGI에서 17세 이용가를 화끈하게 먹여버리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라다가 항의했지만 소용 없었다고.

8. 기타

위에서 설명하는 대로 기술들이 모두 장단점이 뚜렷하고 저 덩치 덕분에 벽에서 남들은 안 맞는 거 다 쳐맞는 문제점 때문에 셀렉율은 낮은 편에 속하지만 그래도 고계급 유저들은 상당히 많다.

곰으로 유명한 유저들을 꼽으라면 먼저 위의 곰방구 대역전극, 모르면 맞아야죠의 주인공이신 한쿠마, 헌팅자세와 눕기 위주의 예능철권의 달인 좌본주이, 태그 2에서 쿠마, 팬더 둘 다 텍엠까지 찍으셨던 우루사가 있다. 7에 와서 Fursan 소속의 게이머 랑추가 새로운 곰 고수로 떠올랐다. 현재는 랑추 정도를 제외하면 한쿠마, 좌본주이, 지르삼, 우루사 등 기존 곰 네임드로 유명한 사람들이 죄다 철권을 접은지라 곰 네임드는 거의 없다시피하다. 워낙 비인기 캐릭이다 보니...[75] 랑추가 곰으로 TWT Final 2024 우승을 달성하며 사실상 역대 최고의 곰 유저로 평가받는다. 해외까지 보면 독일 쿠마 유저인 Nino가 유명하며, European Tekken Cup 3 Finals에서 Tetsu와 JOKA라는 쟁쟁한 상대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였다.

스토리를 보면 폴이 쿠마보다 강한 것 같지만 막상 인게임에선 폴은 쿠마와 상성이 상당히 좋지 않았다. 이는 쿠마의 체형 때문인데 우선 쿠마는 팔 리치가 매우 길어서 폴의 주력기인 붕권, 벽력장, 철산고 등을 막으면 그 넉백을 씹고 칼같이 딜캐를 할 수 있는데다 스탠딩 포즈를 보면 다리가 뒤로 빠진 자세라 부지화, 짠발 등 리치가 짧지만 유용한 하단기도 유난히 맞추기 힘들었기 때문. 심지어 개싸움도 쿠마가 유리한데다 태그2 때까지 현월은 막히고 뜨는데다 카운터나도 추가타 그런 거 없는 기술이었다. 허나 이것도 태그2때까지의 이야기고, 철권 7부터는 오히려 폴이 쿠마 상대로 유리해졌다고 보는 편이다. 어차피 붕권, 벽력장 등은 큰 기술 막고 딜캐+헛친 거 주워먹기, 벽에 몰아넣고 쓰거나 콤보 마무리로 쓰는 거 아닌 이상 안 써도 그만에, 철권 7은 폴이 대상향된 시리즈라 굳이 그런 거 없이도 할 게 많다. 거기다 개싸움도 폴이 유리하고 벽 콤보로 바닥붕권이 굉장히 아프게 들어가는 것은 물론 쿠마도 폴 기술 막고 딜캐를 세게 넣지만 그만큼 폴도 쿠마의 기술을 막고 기술을 세게 넣을 수 있기에[76] 오히려 곰이 폴을 만나면 조심해야 할 지경. 다만 여전히 무한맵 곰은 폴의 대표적인 상성으로 꼽힌다.

쿠마 부자는 못된 아버지와 착한 아들의 케이스에 속한다. 둘 다 헤이하치의 부하이자 악당이지만, 당장 폴과의 관계만 해도 아버지 쿠마[77]는 폴을 끝내 이기지 못하고 죽었는데, 아들 쿠마는 폴에게 복수에 성공한다. 그리고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사회성은 비록 아들이 팬더에게 찝적내는 성향은 있다지만, 인육을 먹어 사람에게도 위협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사회성의 차이가 꽤 커서 비교 불가.[78]

쿠마를 알고있는 사람들은 주인인 미시마 헤이하치를 비롯해 미시마 카즈야, 폴 피닉스, 로우 부자, 카자마 진, 링 샤오유, 팬더, 리 차오랑, 왕 진레이, 레이븐 등이 있다. 샤오유는 이름만 들어본 것 같고[79], 진은 2대만 알고 있으며, 리는 철권 2 이후로 미시마 집안에서 쫓겨나서 1대 쿠마가 죽은지 모르기 때문에 2대 쿠마를 1대 쿠마로 착각하고 있으며[80] 카즈야, 왕도 2대 쿠마를 1대 쿠마로 알고 있다. 레이븐은 6 시나리오 모드에서 첩보기관 특유의 정보력으로 헤이하치한테 애완곰이 있음을 알고있다.

쿠마와 팬더의 나이차이는 대략 2살 정도로 팬더가 연상이다. 그리고 쿠마는 팬더를 좋아하는데, 정작 팬더는 쿠마를 싫어하는 고로 일방적 짝사랑 관계 성립 완료.

한글판 철권 5와 6에선 각각 폴과 리리는 쿠마를 곰돌이라고 부르는데 곰을 뜻하는 일본어인 쿠마를 한글로 번역한 걸로 보인다. 이와 비슷하게 영어판에서는 리리가 쿠마를 cutie bear로 부른다.

6 시나리오 모드를 보면 쿠마의 존재가 의외로 세간에 잘 알려져있진 않은듯하다. 심지어 쿠마의 존재를 아는 사람들 중에서도 카즈야와 리, 왕은 아예 초대 쿠마가 여태 살아있는줄 알고있다. 사실 곰의 수명을 생각해봤을때 초대 쿠마가 계속 살아있었다면 인간으로 칠 경우 거의 130살이 넘게 살아있는 셈인데 미시마의 기술로 장수한다고 생각한듯... 사실 동물의 수명으로 따지고보면 초대 로저도 캥거루의 원래 수명보다 오래 살고도 아직 멀쩡히 살아있긴한데 로저는 단순 캥거루가 아닌 전투용으로 개발한 키메라연구의 산물이다.[81] 그리고 쿠마는 철권왕 헤이가 키우는 애완곰일뿐 딱히 자연상의 곰과 다른건 없다. 6 시나리오 모드에서 캐릭터들 거의 대부분은 헤이하치한테 애완곰이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는 눈치로 묘사된다.

철권 태그1에선 폴과 팀을 맺고 지면 컨티뉴에서 서로 등 돌리며 앉는다. 근데 이건 팬더도 마찬가지다! 태그2에서는 더 심해졌는데, 대회에서 패배했다는 좌절감에 사로잡힌 쿠마를 팬더가 연어잡기 풀차징으로 날려버린다.

철권 7 말에 택견의 '이크 에크'에서 따온듯한 이크(1LK, 곰부지화) 에크(3RK) 파크(4LP)! 운영이 알려졌는데, 막히고 딜캐없는 곰부지화, 오리발로 간을 보다가 상대가 달려들면 파워 크러시로 후려치는 운영이다. 잘쓰는 사람 플레이를 보면 이크 에크가 딜캐는 없어서 좋아보이지만, 실제로 써보면 곰의 긴 상체를 버리고 짧은 다리로 파닥거리다가 딜캐있는 파크로 개겨야하기 때문에, 날먹은 커녕 상당히 지고들어가는 운영이라 상대보다 한두수 위의 실력일때나 할만하다.

태그 2 헤이하치 엔딩에서 헤이하치가 데빌의 힘을 얻기 위해 약을 먹지만, 곰으로 변하고 만다.(이 곰이 쿠마라는 암시는 없다.) 철권 8 쿠마가 초풍신권을 써서 철권계는 기절초풍하고 말았는데, 이는 쿠마가 기술을 배운 게 아니라 헤이하치가 쿠마로 변했기 때문이라고 유머적으로 받아들이는 네티즌들이 있었다.

9. 둘러보기

파일:Tekken Unlimited.png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펼치기 · 접기 ]

파일:철권 7 로고.png
철권 7 출전 캐릭터

[1] 3~태그1은 '헤이하치의 펫'이 국적으로 나와있으며, 4편에서는 확인안되고, 5편부터 없음으로 나온다.[2] 키는 인게임 상에선 이보다 40cm~50cm 정도 더 작게 묘사되는 편인데 아마 피격판정과 밸런스 때문에 더 작게 묘사된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롤모델인 바트베어는 293cm이다.[3] 2대. 1대는 불명.[4] 시리즈의 PD인 하라다 카츠히로가 말하길 쿠마와 팬더야말로 철권다움의 상징이라고...[5] 2대로 세대교체[6] 1~7은 6LP LP LP[7] 2~7은 스트레이트 - 엘보 - 어퍼 잽 엘보 스매시[8] 5DR~7은 스트레이트 - 엘보 - 로 킥 잽 엘보 스텀프[9] 7까지는 13F 발동이라 당시 12F였던 싸바(1LP RP)보다 느리고 딜도 딸렸다.[10] 1은 66AP, 2부터 66AP or 6AP[11] 다만 태그2에서는 시저스 히트 후 태그하여 콤보를 넣을 수는 있다. 대표적으로 곰곰 조합일 경우 시저스 태그 - 허니트랩 바운드 이런 식으로. 7에서도 사원맵일 경우 바닥붕괴를 유발하긴 한다.[12] 가장 흥했던 철권 방송인 테켄크래시에서 중계진 정인호, 박현규가 계속 이렇게 불렀었다.[13] 과거에는 1타 8 2타 20으로 총 28데미지였다. 지금은 1타가 10, 2타가 12로 1타의 데미지는 쥐똥만큼 증가하고 2타의 데미지가 대폭 너프되었다.[14] 이당시 설명:
전형적인 바운드/스크류 용 기술. TTT2까지는 2타에 바운드 판정이 있었으나 7부터는 모션이 바뀌어 대신 스크류가 붙었다. 보통 곰귀신권 히트 이후 쓰이는 바운드용 기술로 뒤집히면 잘 안 맞지만 타점이 싸바보다 낮고 대미지도 훨씬 좋기 때문에 상대방이 정축으로 뜰 경우에는 이 기술을 쓸 것을 권장한다. 문제는 숏다리 때문에 첫타의 치명적으로 짧은 리치. 사실 써볼 수 있는 경우가 꽤 제한되어있다. 7 초창기에는 이거말고 쓸만한 스크류 루트가 없어 울며겨자먹기로 쓰는 기술이었지만, 시즌2 시점에서는 이것보다 훨씬 좋은 스크류기가 많아지면서 이제는 콤보에 쓰는 경우도 별로 없다. 반쯤 버려진 기술.
[15] 구작에서는 막혀도 -9라 딜캐가 없었어서(!) 짧지만 쓸만한 기술이었다.[16] ?~7은 앉은 자세 시트[17] 그전에는 12프레임이라 빠른 딜캐용으로 적절했으며. 6~TTT2 때는 주로 바운드용으로 쓰였고, 7에서는 공격력이 대폭 상승하여 12프레임치고는 굉장히 강한 대미지의 딜캐였다.[18] 7까지는 짧다고 -8... 즉 막아서는 딜캐가 없었다![19] 6BR에서는 히트 후 더블 해머(기상AP AP)로 바운드되고, 7FR에서는 나락 이후 스피닝베어 킥(기상LK)으로 간단히 스크류 된다. 태그2에서는 곰나락 - 더블 해머 바운드가 안되며, 횡캔 or 대시 오리발 - 앞잽 - 싸바 바운드라는 상당히 어렵고 삑사리나기 쉬운 콤보를 써야 한다. 이게 쓰기 싫다면 그냥 곰나락 - 기상킥 - 더퍼1타 - 더퍼라는 상당히 부실한 콤보를 써야했다.[20] 2~7은 46RP+LK[21] 구작에서는 풀 홀드시 중단 가불기가 되며 스크류 성능은 사라졌다. 철권4 때는 풀차지시 대미지가 100도 넘는지라 사실상 한방기였으나, 날이 갈수록 대미지가 줄어서 태그2에선 풀차지 대미지가 60정도, 철권7에선 겨우 45.[22] 헤이하치의 다문살(LP 4RP LP) 복붙, 명칭에서 사문은 일본어 발음이 샤몬이 되어 연어(새먼)를 죽인다는 말장난이 된다.[23] 원어는 ベアバックライディング인데 베어백(bareback) 라이딩 / 베어 백 라이딩 / 베어 백라이딩 셋 중 하나가 된다.[24] 2~태그2는 4AP, 7~7시즌2는 7AP[25] 2~7은 테러블 클러 중 3214789, 중간에 4로 캔슬[26] 철권2부터 1회전 커맨드를 고수하고있다가 철권8에선 앞두번 대시커맨드로 변경.[27] 6~7은 8AP[28] 태그1~7은 9AP[29] 1~7은 9AK[30] 7은 레이지에는 바로 레이지 드라이브로 띄우고 공콤을 넣을 수 있다.[31] 6~7은 3AP[32] 구작에서는 딜이 더 높았어서 콤보 마무리로 쓰였다. 주 용도는 TTT2 까지는 태그 콤보 마무리용으로 쓰였고 철권7에선 밥상뒤집기나 레이지 드라이브 히트 후에 스크류시키는 용도로 쓰인다.[33] 커맨드는 쌍비천각 9lk rk인데 이름은 왠지 삼보룡 66lk rk이 붙었다.[34] 헤이하치는 -16, 미겔은 -17. 다만 미겔은 시즌3와서 가드백이 거의 없어지다시피 했다.[35] 7시즌2~7끝은 7AP[36] 더퍼조차도 붕권을 아주 끝거리에서 막으면 헛치는 상황이 가끔 나오는데 이거는 그런 거 없다.[37] 6~7은 4123RP LP[38] 6BR~7은 4123RP RP[39] 7까지는 412까지만 입력하여 앉아서 상단을 회피하고 3RP로 기술을 쓰는 방법이 있기는 한데 여유 시간이 얼마되지는 않아서 힘들었다. 철5까지는 뚱캐 공용의 메가톤 펀치와 같이 1타만 있던 성능의 메가톤 클러 그리즐리 클러였다.[40] 일어판 명칭은 ラビット(라빗토): 토끼
영문판 명칭은 rabid: 과격한 or 광견병
[41] 6~태그2는 66AP[42] 5~7은 앞 구르기 前転 포워드 롤 (앉아 3AP)[43] ~7은 앉아 3RP n LP[44] 5~7은 10단 콤보 2 (앉아 3RP n LP AP LK AP AK AP RP LK LP)[45] メンコ(멩코), 진짜 딱지 맞다.[46] 7에서 레이지때는 레드도 들어간다[47] 1~3은 AK[48] 철권 2에서는 커맨드 잡기였으며 6AR이었고 50의 대미지였다![49] 다만 철권 6 이전에는 맵상의 위치가 바뀌기도 하였다.[50] 1은 6AR or 4AR / 2는 AR4 / 3~7은 66LP+RK[51] 풍신류, 진파치는 66AP 커맨드.[52] 철권 6 기준 66으로 증가한다.[53] 역시 양잡 커맨드가 같은 레이븐, 기가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54] 태그1~4는 AP로 풀기 가능했다.[55] 3~5DR은 상대 다운 중 2RK[56] 대시 2AP는 극기상에는 막히나, 극기상시 3RP가 맞는다.[57] 1은 3AP[58] 태그1~4는 6으로 헌팅[59] 철1~4에서는 그냥 '어퍼 러시'[60] 철1~4에서는 그냥 '어퍼 러시'[61] 4~5오리지널은 4AK[62] 태그 1은 4RP[63] 紅返し 라는 단어 자체는 사전에 있기는 하지만 사전의 의미가 아니라고 기술표에는 다른 음인 くれないがえし로 표기되었다.
기술 명칭의 의미는 일본 사이트를 따르면 紅는 쿠마의 라이벌인 폴 피닉스를 의미한다고 한다. 폴의 등에 붙은 한자이기도 하고 도복이 빨갛기 때문. 즉 폴에 대한 보복기. 한자만 읽은 홍반으로 알려져 있는데 틀린 번역으로 봐야한다.
[64] 철권 3, 4는 44RP+AK[65] 보면 알겠지만 온리 프랙티스의 니나 - 라스 콤비한테 퍼펙트로 KO될 것이 거의 기정사실화 되자 라운드를 포기하는 마음으로 이 기술을 질렀다. 그 때 라스가 볼트라이너로 끝장낼 생각으로 달려들었다가 볼트라이너를 헛치고 그대로 맞아 풀피에서 그대로 즉사했다. 온프 지못미.[66] 2~4까지는 앉아 2LP LP ... 기술과 같은 이름의 그냥 '베어 러시'였다. 아래 퀵 베어 러시도 동일.[67] 1은 앉아 6LP RP LP[68] 하지만 강 벽꽝 시 투원 다운잡 혹은 그냥 벽잡이 더 강력하다.[69] 같은 기술을 갖고 있는 아머킹도 확정.[70] 영상 보면 알겠지만 가드불능시간은 단 1초로 미겔의 핵꿀밤의 가드불능시간이 6초 정도 되는걸 감안하면 엄청나게 짧다.[71] 위 사진의 붕권 대미지는 기술단락에서 설명한 방귀의 페널티를 이용한 데다가 공격력 보정을 받는 솔로+레이지 효과를 더해서 나온 것이다. 정상적으로는 저 대미지를 뽑을 수 없다.[72] 태그 2 같은 경우는 달라붙어있어도 잘 맞지 않는다.[73] 당장 위의 상황도 가만히 있었으면 안 맞을 걸 괜히 딜캐하려다 거리 계산을 실수하는 바람에 코앞에서 얻어맞은 것이다.[74] 타격 잡기라서 할퀴기가 맞지 않거나 막히면 거기서 곧바로 기술이 실행되지 않는다.[75] 실제로 곰은 간류, 자피나, 레이븐, 레이우롱 등과 함께 철권7 캐릭터 중 셀렉률 최하위권에 속하는 대표적인 캐릭터이다. 어째 로저를 계승하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기분 탓이다.[76] 악마손(1rp) 막히고 사응(기상 lk rp), 파워 크러시(4lp) 막히고 철산고(2ap) 확정딜캐, 곰귀신권(66rp) 막히고 붕권(236rp)이나 용포(66rp lp) 등.[77] 어머니일 수도 있다. 현실의 수컷 곰들은 일절 새끼를 돌보지 않는다. 특히 1대 쿠마의 경우 성별이 따로 나와있지 않... 으나 철권 스토리가 워낙 막장 드라마스럽다는 것을 감안하면 수컷일 확률도 충분히 높다.[78] 5에선 이번 대회가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폴에게 돌아가라고 열심히 설득하기도 한다. 이 때 귀를 틀어막은 폴에게 한 대사가 "넌 우주 최강의 바보다".[79] 사실 자기 애완동물한테 툭하면 찝적거리는데 모를래야 모를수가 없다.[80] 철권6 시나리오에서 리가 쿠마보고 오랜만이라며 인사를 건네자 리를 아예 모르던 2대 쿠마는 넌 누군데 날 아는척 하냐는 식으로 반응하며, 그에 리가 '노망난거냐? 하긴 20년도 넘게 지났는데 그럴법도 하지.'라 하자 쿠마가 난 그정도 나이가 아니며 함부로 노망났다 하지말라며 화를 낸다.[81] 원래 캥거루는 신체구조상 두 다리를 독립적으로 움직일수 없어서 달리지 못하고 점프만 하는데 로저를 비롯해서 카즈야 체제 시절의 미시마 재벌이 군사용 목적으로 만든 캥거루들은 전부 키메라들이라서 두 다리를 독립적으로 움직일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