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05:42:52

미시마 헤이하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헤이하치'''{{{#!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빨간망토 차차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돌격 남자훈련소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에다지마 헤이하치]]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에다지마 헤이하치#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에다지마 헤이하치#|]]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빨간망토 차차의 등장인물: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헤이하치(빨간망토 차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돌격 남자훈련소의 등장인물: }}}[[에다지마 헤이하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에다지마 헤이하치#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에다지마 헤이하치#|]]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tekken8_logo_w.png
철권 8 의 출전 캐릭터
<colbgcolor=#000><colcolor=#fff> 미시마 헤이하치
[ruby(三, ruby=み)][ruby(島, ruby=しま)] [ruby(平, ruby=へい)][ruby(八, ruby=はち)] | Heihachi Mishima
<nopad> 파일:8 헤이하치.jpg
부활한 철권왕
復活の鉄拳王 | Resurrected King of Iron Fist
국적 아마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일본 정부는 부정)[1]
격투 스타일 미시마류 싸움 가라테 <colbgcolor=#000><colcolor=#fff> 생일 6월 10일
신장 / 체중 179cm / 88kg[2] 혈액형 B형
취미 게다 수집[3], 좌선, 목욕 나이 52 철권 1
54 철권 2
73 철권 3
75 철권 4~
좋아하는 것 세계평화[4] 철권 1~2
세계 정복 철권 3
1 / 2인칭 와시[5] / 오누시[6], 오마에[7], 키사마
가족 미시마 진파치 아버지
미시마 카즈미 아내
미시마 카즈야 아들
리 차오랑 양아들
라스 알렉산데르손 혼외아들
레이나 혼외딸
카자마 진 손자
[ 성우 정보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소개3. 능력4. 행적5. 대사6. 인간관계7. 성능8. 기술 목록9. 철권 외 게임에서10. 기타
10.1. 헤어스타일
11. 둘러보기

1. 개요

ワシの新たな技、味わってみるがいい![발음]
나의 새로운 기술을 맛보아라!
철권 시리즈의 등장인물이며, 철권 2, 7의 주인공이자 철권 1, 4의 최종 보스다.

카즈야의 아버지이자 의 할아버지. 그리고 진파치의 아들이자 카즈미의 남편.[15] 사실상 미시마 가(家) 패륜 역사의 시작을 제공한 인물. 아버지인 진파치를 봉인시켜 놓고, 아들 카즈야를 절벽에 던지는 등의 행동을 했다.[16]

2. 소개

파일:attachment/미시마 헤이하치/7.png 파일:attachment/미시마 헤이하치/Heihachi.png 파일:Tekken 7 Heihachi Mishima.png 파일:TK8 heihachi.png
철권 4 ~ 7[17][18] 철권 태그 토너먼트 2[19][20] 철권 7 FR 철권 8

처음부터 막장은 아니었으며, 어렸을 때부터 도장에서 같이 수련했던 소꿉친구[21] 하치조 카즈미를 매우 사랑했다. 공식적으로 언급된 적은 없지만 철권 2 헤이하치 스테이지의 나무 바닥 및 철권 7 오프닝 영상에서 헤이하치 본인이 수련 중 끄적인 듯한 낙서를 볼 수 있다. 내용은 아이아이가사(우산) 밑 헤이하치♡카즈미. 아무튼 사이는 발전하여 결국 혼인까지 하였으며, 둘 사이에서 카즈야가 태어났다. 이렇게 평화로우면서 화목한 가정이 되는 듯했다.

하지만 카즈미가 자신의 정체와 목적을 드러내고 헤이하치를 공격하자 카즈미를 죽일 수밖에 없었고, 이후 카즈미의 피를 이어받은 카즈야를 없애기 위해 카즈야를 절벽에 던지고[22], 입막음을 위해 아버지인 진파치를 공격해 미시마 재벌 총수 자리를 빼앗고 진파치를 본당 지하에 가둔다. 이 과정에서 헤이하치는 막장으로 변모하게 되며, 헤이하치가 지휘하는 미시마 재벌은 급격하게 군수기업으로 성장한 뒤 많은 악행을 저질러 세계 곳곳에 직간접적으로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다.

참고로 공식 프로필에 따르면 국적은 일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왜 추정이냐면, 일본 정부는 이를 적극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대놓고 적혀있다. 하기야 이제 미시마 재벌은 완전히 독립국가 취급이니...[23]

카즈미와의 일로 인해서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고 냉혈한이 되었지만, 의외로 인간적인 면도 많다. 당장 곰인 쿠마를 애완동물로 두고 있으며, 6 시나리오 모드에서 로저 주니어로 헤이하치와 대면할 경우, 헤이하치가 로저한테 쿠마가 사라진 뒤 외로워졌다면서 자신의 새 애완동물이 되지 않겠냐고 하기도 했다. 그 외에 공식 설정으로도 여성에게 무척이나 신사적인 사나이라고 한다. 그래서 링 샤오유와도 사이가 좋다. 단, 리리 로슈포르는 예외.[24]

그렇기에 치졸하고 사악한 인물인 건 변함없지만 아들인 카즈야처럼 악을 숭배하는 사상을 가졌다기보다는 자신의 독선적인 생각이 곧 정의라는 생각이 지나치게 강한 악역 타입으로 보이며[25], 이 과정에서 자신을 지지해주는 편에게는 관대한 것으로 보인다. 아돌프 히틀러를 비롯한 수많은 독재자들도 비슷한 일면이 있었으니 헤이하치의 이런 면이 아주 의외라고 볼 수는 없다. 다만 철권 블러드 벤전스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목적을 위한 실험으로 수많은 어린 학생들을 죽였을 뿐만 아니라 카미야 신마저도 직접 살해했고, 본편 행적에서도 스티브 폭스를 포함한 수많은 아이들을 생체실험에 동원하거나 그 실험으로 태어나게 하는 등 두둔할 수 없는 완전한 악인이다.[26] 아이러니하게도 사악한 인물이긴 하지만 세계를 위협한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이는 세계를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패도주의적인 그의 성향 때문이기도 하다.[27]

혼외자식으로 라스 알렉산데르손을 두고 있는데. 하라다 PD가 트위터에서 밝힌 설정으로 헤이하치의 사생아는 라스 외에도 전세계에 약 18~25명 가량 존재한다고 한다. 다만 여색을 밝혔다기보단 카즈미를 진심으로 사랑했었던 것을 보면 카즈미와 사별하고 나서 라스 때와 같은 목적으로 자신에게 데빌 인자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여성들과의 사이에서 자식들을 둔 것으로 보인다. 여성들에게 무척이나 신사적인 인물이라는 평을 감안하면 자신의 매력으로 이들을 꼬신 듯. 그밖에 철권 8에서는 숨겨진 딸인 레이나가 등장했다.

3. 능력

파일:헤이하치VS카즈야.gif
카즈야와 싸우는 헤이하치
철권왕이라는 이명에 걸맞은 전적을 가지고 있는 세계관 최상위권 강자다. 과거 '최강의 권사'라고 불리던 아버지 미시마 진파치를 꺾고 미시마 재벌을 차지했으며, 데빌 인자를 발현하고 덤벼든 아내 미시마 카즈미를 죽였다. 이후 여러 무술의 비전서를 수집하며 스스로의 심신을 단련해 왔던 당시를 회고하며 헤이하치는 그 어떤 격투가도 자신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고 한다.

수족으로 부릴 강자들을 모으기 위해 개최한 첫 철권 토너먼트에서 아들 미시마 카즈야에게 첫 패배를 기록하나, 절벽에서 던져졌음에도 멀쩡하게 살아남았고, 절치부심해서 쿠마와 수련한 끝에 두 번째 철권 토너먼트에선 카즈야에게 복수하고 대회 우승자가 되었다. 네 번째 철권 토너먼트에서도 결승에서 카즈야에게 또 한 번 승리를 거뒀으나, 미시마 본당에 포획해 두었던 카자마 진에게는 패하고 말았다. 그 뒤로는 6편까지 한동안 시나리오의 중심에서 이탈하며 큰 활약을 보이지는 못하나, 그의 목숨을 노리던 잭-4 부대, 카자마 진이 부리던 철권중 부대 등을 상대하며 건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자신의 사생아인 라스 알렉산데르손이 쏜 총알을 치아로 물어서 막아내는 차력쇼를 보여주기도 했다.
파일:헤이하치VS철권중.gif
미사일을 쳐내는 헤이하치
7편에선 미사일을 팔과 발차기로 쳐내는 기행을 보여주고, 니나 윌리엄스클라우디오 세라피노를 힘으로 굴복시켰다. 대규모 잭-6 부대를 고우키와 함께 박살냈고, 이후 고우키에게는 패배하지만 땅속에 파묻히고도 당연하다는 듯 살아돌아왔다.

이후 아들이자 숙적인 미시마 카즈야와 대결을 펼치는데, 완전한 데빌화를 이룩한[28] 카즈야를 상대로도 맹렬하게 맞서서 데빌화를 풀어버리기까지 하지만, 결국 힘이 다해 패배하면서 마침내 최후를 맞은 듯했으나, 용암에 던져지고도 8편에서 기어이 살아남아 본인의 기인열전을 또 한 번 갱신하는 데 성공했다.[29] 그리고 자기를 구해준 철권승 일당에 의해 잠시 기억을 잃긴 했지만, 운석을 맨몸으로 받아내고 박치기로 박살내는 드래곤볼스러운 위업을 달성하며 기억을 되살렸다. 그 직후 철권승을 모조리 박살내고, 요시미츠에디 골드[30]를 잡몹마냥 해치우고 최후의 보루였던 리디아의 저항조차 압도적으로 짓눌러버리면서 '평범한' 레귤러급 강자들 수준은 아득히 능가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미시마 가문답게, 사실 그중에서도 특히 초인적으로 강력한 육체가 강조되는 인물이다. 카즈야나 진도 괴물들이지만 이들은 중요한 기점에서 데빌 인자 덕을 본 경우가 많았는데[31] 헤이하치는 데빌 인자도 없으면서 오직 자신의 힘만으로 온갖 사선을 넘어왔다. 대표적으로 5편 오프닝에서 나온 잭-4 부대의 자폭 공격은 스토리상 "그 누구도 살아남을 수 없는 상상을 초월하는 화염"을 일으켰으며 헤이하치를 수 킬로미터나 날려보냈지만, 헤이하치는 몇 달간 기절하는 데 그치고는 아무런 후유증 없이 살아 돌아왔다. 7편에서 카즈야는 기어이 헤이하치를 쓰러뜨리기는 했지만 몇 번이고 정신을 가다듬고 달려드는 모습에 혀를 내둘렀고, 거의 트라우마처럼 기억에 새겨졌는지 라스 알렉산데르손의 끈질긴 저항에 헤이하치를 겹쳐 보며 당혹스러워하기도 했다. 철권 8 특수 인트로에서 대체 어떻게 살아있냐고 묻고, 레이지 아츠 사용 시에는 끈질긴 놈이라고 일갈하는 심정이 이해가 갈 정도. 그야말로 철권 시리즈의 최대 생존왕.
파일:헤이하치vs운석.gif
운석을 부숴버리는 헤이하치
미시마 가문에서도 괴력이 가장 돋보이는 인물이기도 하다. 카즈야와 진도 엄청난 괴력의 소유자이지만[32] 헤이하치는 특히나 괴력을 발휘하는 기술들을 많이 구사하는데 들어올리거나 집어던지는 기술을 애용한다. 성인 남성쯤은 우습게 한손으로 들어던지고 8에서는 양손에 하나씩 쥔 채 의기양양해하기도 한다. 7에선 자신에게 집중사격되는 포탄을 막기위해서 거대한 철골을 양손에 하나씩 쥐고 휘두르거나, 박치기 한방으로 카즈야를 수 미터 날려서 커다란 바위까지 부숴버리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심지어 8에서는 떨어지는 운석을 양팔로 막아내고 박치기로 산산히 부숴버렸다.

심지어 작중에서 보여준 활약상도 헤이하치의 전성기에는 미치지 못했을 수 있다. 3편에서 헤이하치는 투신의 힘을 얻어야 젊은 시절의 야망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메인 스토리라인에 포함되지는 않으나 태그 토너먼트 2에선 회춘약을 먹자 힘이 넘친다며 그야말로 무적이 되었다고 자평했다. 다만 (역시 메인 스토리라인과는 구분되는)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에서 회춘 시 육체적으로 강해지는 것과는 별개로 "풍부한 경험"에서 나오는 힘도 나란히 언급되고 있는 만큼, 늙었지만 그만큼 경험이 쌓인 헤이하치가 반드시 과거보다 약해졌다고 볼 수는 없다. 철권 8에서 부활한 헤이하치는 황천에서 살아 돌아온 후 반 년의 수행을 거쳐 더욱 강해졌다고 언급되는데, 그 덕분인지 히트 게이지가 켜지면 7에서 데빌 카즈야를 상대하던 때처럼 각성 모드를 켤 수 있다. 완전한 데빌화에 필적하는 힘을 자의적으로 구사할 수 있게 된 셈으로, 철권승의 언급에 의하면 미시마류 최종오의를 터득한 경지라고 한다. 사념을 가진 인물은 익힐 수 없는 오의라고 하니 사악 그 자체인 헤이하치와는 본래 거리가 먼 기술이지만, 기억을 잃었던 덕분에 터득할 수 있었으니 헤이하치로서는 전화위복이 된 셈이다. 최종오의를 터득하자 요시미츠, 에디 골드, 리디아를 상대로 1:1로 3연전에서 승리할 정도로 이전보다 훨씬 강해졌다. 8 시점에서는 카즈야, 진마저 확실히 능가하는 사실상 세계관 최강자로 봐도 무방하다.

또한 경영방면에서 엄청난 능력과 카리스마를 지녔다. 과거 미시마 중공을 설립한 미시마 진파치는 군수사업으로 큰 돈을 벌 수 있었음에도 윤리적인 성격으로 자제했지만, 진파치의 자리를 강탈한 헤이하치는 온갖 영역에 발을 뻗쳐 미시마 중공을 미시마 재벌로 바꿔서 당시 일본 국내 양대 재벌 중 하나인 나카무라 재벌을 항쟁 끝에 압승하였다. 그 이후 전 세계에서 독보적인 규모를 넘어 기업이라기보다는 차라리 하나의 국가에 가까운[33] 초거대기업으로 키워냈다. 철권 6 시점에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전쟁을 선포할 수 있었을 정도의 초거대기업이 헤이하치의 손에서 탄생한 것이다.[34] 그 과정에서 온갖 악행을 저질렀지만, 이미지 메이킹에도 신경을 써서 부자싸움이 본격적으로 커지기 전까지는 표면적인 이미지가 나름대로 괜찮은 편이었다.[35][36] 스토리 내내 이미지 따윈 신경쓰지않고 악행을 저지르고 다녔던 아들과 6편에선 아예 스스로 악역을 자처했던 손자와는 대조되는 부분. 또한 이들의 재능이 누구로부터 비롯된지 생각하면 문무양면에서 탁월한 인간이라고 볼수 있다.

4.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시마 헤이하치/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리즈 내 출연작
철권 1 (1994) 데뷔작(가정용)[37] 철권 5 (2004) ✔️(타임 릴리즈)
철권 2 (1995) ✔️ 철권 6 (2007) ✔️
철권 3 (1997) ✔️(타임 릴리즈) 철권 TT2 (2011) ✔️
철권 TT (1999) ✔️ 철권 7 (2015) ✔️
철권 4 (2001) ✔️(타임 릴리즈) 철권 8 (2024) ✔️(DLC)

5. 대사

5.1. 철권 시리즈

  • 등장 대사
    • 4: 네가 가진 것을 보여봐라! (見せてもらおうか!)
    • 태그2: 네놈들은 누구냐? (貴様ら、誰じゃ?)
    • 태그2: 후회할 틈도 없이 죽어라! (悔やむ間もなく死ね!)
    • 태그2 카즈야, 진, 데빌 진과 태그 시: 쓸데없는 도움은 필요없다! (余計な手出しは無用!)
    • 태그2, 7, 8: 힘으로 찍어 눌러주마! (捻り潰してくれるわ!)
    • 7, 8: 나를 쓰러뜨릴 수 있을 거라 생각하나? (ワシを倒せるとでも思っておるのか?)[38]
    • 7: 애송이가! (若造が!)
    • 7 아케이드 모드: 시작해볼까. (始めるとするか。)
    • 7 vs 카즈야, 진, 데빌 진: 역겨운 데빌의 피여. (忌々しいデビルの血よ。)
    • 7 vs 고우키: 오랜만에 피가 끓어오르는군! (久しぶりに血がたぎるわ!)
    • 7 vs 카즈미: 카즈미... (一美…)
    • 8: 나의 새로운 기술을 맛보아라! (ワシの新たな技、味わってみるがいい。)
    • 8 vs 진: 서로 죽다 산 사이, 잘 지내 보자고. (死に損ない同士、仲良くしようではないか。)
    • 8 vs 카즈야: 그 정도로 내가 죽을 거라고 생각했나! (あの程度でワシが死ぬとでも思ったか!)
    • 8 vs 레이나: 대련을 시작하지. 네 각성이 계획의 열쇠가 될 테니. (稽古を始めるぞ。お主の覚醒が計画の鍵となるのだ。)
    • 8 vs 리디아: 정의? 풋내나는 말을 내뱉는군. (正義だと?青臭いことを抜かしおるわ!)
    • 8 vs 쿠마: 쿠마, 내가 없는 사이에 실력을 키운 모양이군, 와라! (クマよ!ワシのいぬ間に腕を上げたようじゃ。来い!)
    • 8 vs 라스, 레이븐, 리로이: 용암탕은 온도가 아주 적절하더군! (溶岩風呂は良い加減じゃったわい!)
  • 승리 대사
    • 4~8: 싸울 준비가 되거든 다시 오너라! (生まれ変わって出直して来い!)[39]
    • 5~8: 하하하! 속이 다 후련하군! 다음! (フハハ!これでスッキリしたわい。次!)[40]
    • 태그2: 나는 무적이다! (ワシは無敵じゃ!)
    • 7: 흥! 입만 살았군. (フゥ!口ほどにもないわ。)
    • 8: 되살아난 나는 무적이다! (黄泉帰ったワシは無敵じゃ!)
    • 8 vs 진: 수고했다. 나머지는 내게 맡기고 죽어라! (御苦労じゃったな。後はワシに任せて死ねい!)
    • 8 vs 카즈야: 마지막에 서 있는 건... 바로 나다! (最後に立っているのはこのワシじゃ!)
    • 8 vs 레이나: 레이나, 데빌의 피가 각성하기를 기대하마. (麗奈。デビルの血の覚醒、期待しておるぞ。)
    • 8 vs 리디아: 이 세계는... 힘이 곧 정의다! (この世界は力こそ正義じゃ!)
    • 8 vs 쿠마: 역시 대련 상대는 쿠마가 제일이로군! (やはり稽古相手はくまが一番じゃ!)
    • 8 vs 라스, 레이븐, 리로이: 이것이 불사의 철권왕이 지닌 힘이다! (これが不死身の鉄拳王の力よ!)
  • 레이지 아츠
    • 7: 죽어라! (死ねい!)
    • 8: 단념해라! (断念せい!) (시전) / 극락정토 저편으로 보내주마! (十万億土の彼方へ送ってくれるわ!) (연출 도중) / 입만 산 녀석이군! (口ほどにもないわ。) (레이지 아츠로 KO)
    • 8 vs 카즈야: 죽어라, 카즈야! (死ねい、一八!) (시전) / 이번에야말로 네놈의 야망도 여기서 끝이다! (今度こそ、貴様の野望もここで終わりじゃあ!) (연출 도중) / 데빌의 힘 따위, 걱정할 가치도 없다! (デビルの力など、恐れるに足りんわ!) (레이지 아츠로 KO)
    • 8 VS 진, 데빌 진: 이 애송이가!(この若造めが!) (시전) / 내게 대항한 것을 후회해라! (ワシに逆らったことを後悔するがいい!) (연출 도중) / 네놈 차례는 진즉에 끝났다. (貴様の出番は疾うに終わっておる。) (레이지 아츠로 KO)
    • 8 vs 레이나, 쿠마: 각오는 됐겠지! (覚悟は良いな!) (시전) / 이 기술을 받아내봐라! (この技、見事受けきってみせい!) (연출 도중) / 오늘 수행은 여기까지다. (今日の修行はここまでじゃ。) (레이지 아츠로 KO)
  • 패배 대사
    • 8: 말도 안 돼~! (ばかなー!)

5.2.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 철권 측 승리 대사
    • 미시마 카즈야: 카즈야여, 이것으로 너도 끝이로군. 얼른 지옥으로 가거라!
    • 니나 윌리엄스: 뭘 꾸미고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하찮은 상대와 거래를 했던 것 같군.
    • 카자마 진: 이것으로 미시마의 총수 자리를 되찾았다. 다음은 세계정복을 해보도록 할까!
    • 링 샤오유: 이건 너 따위가 손을 댈 수 없는 싸움이다! 알았으면 얼른 집으로 돌아가!
    • 미시마 헤이하치(동캐전): 이것이 내 대역이라고? 얼굴, 몸, 머리카락, 뭐 하나 안 닮았잖아!
    • 쿠마: 쿠마여... 너의 숭고한 희생을 헛되이 하지 않겠다!
    • 요시미츠: 네놈이 내게서 훔친 건 돌려 받도록 하지. 긴 세월의 이자도 듬뿍 얹어서!
    • 레이븐: 몰래 뭘 찾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차피 네놈의 일은 여기서 끝이다.
    • 카자마 아스카: 이런이런, 겨우 입을 다물었나? 그건 그렇고 입이 험한 계집애로군.
    • 리리 로슈포르: 이 무슨 건방진 계집애냐! 두 번 다시 내 앞에 얼굴을 내밀지 마라!
    • 화랑: 이 정도의 실력으로 미시마가의 사람에게 싸움을 걸다니, 정말 머리가 모자란 애송이로군.
    • 스티브 폭스: 그 때의 실험체인가... 살려두면 앞으로 귀찮아지겠어... 여기서 처리해 둘까...
    • 폴 피닉스: 바보는 죽어도 낫지 않는다고 하던데, 네놈의 바보스러움이 바로 그 말이로구나.
    • 마샬 로우: 영원히 푼돈우왕좌왕하는 남자에게 이 이상 할애해 줄 시간은 없다!
    • 줄리아 창: 자신의 몸도 지킬 수 없는 계집이 무언가를 위하다니, 가소롭구나!
    • : 자 봐라, 그런 몸으로 뭘 할 수 있는지. 퍼펙트란 나를 두고 하는 소리다!
    • : 자, 그럼. 이 마스크를 벗겨 주마. ...왜냐고? 물론 단순한 괴롭힘이다!
    • 크레이그 머독: 시간 때우기 좋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터무니 없이 허울만 좋았군.
    • 라스 알렉산데르손:
    • 알리사 보스코노비치:
    • 레이 우롱:
    • 크리스티 몬테이로:
    • 브라이언 퓨리:
    • 잭-X:
    • 오거: 정말 끈질긴 괴물 놈이군! 이번에야말로 저세상으로 보내주마!
  • 스트리트 파이터 측 승리 대사
    • : 흥, 이건 앞으로 내 방해물이 될 것 같군. 지금 처리해두길 잘한 것 같아.
    • 켄 마스터즈: 뭐가 전미 격투왕이냐! 철권왕에 비하면 그런 건 그냥 쓰레기다!
    • 춘리: 위세뿐만은 아닌 것 같지만, 아직 멀었군. 나를 잡고 싶다면 죽을 힘을 다해 덤벼라.
    • 캐미 화이트: 날아다니기만 하고 재미도 없군. 그런 걸로는 날 잡을 수 없다, 계집!
    • 가일: 정말 이상한 머리 모양이군! TPO도 모르는 거냐?
    • 아벨: 기억? 그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다! 네놈이 진 이유는 기억이 아니라 실력 때문이야!
    • 장기에프: 근육만 붙어있고 머리가 비었군. 아아, 머리도 근육이 된 모양인가?
    • 루퍼스: 그 입에 나막신을 쑤셔 넣길 바라지 않는다면 조금 닥치고 있어라!
    • 달심: 내가 싫어하는 건 없지만, 용서 못하는 것은 있지! 설교하는 땡중이다!
    • 사가트: 실력이 나쁘진 않지만, 어차피 나의 적은 아니다! 머리카락 양으로도 내 승리군!
    • 마이크 바이슨: 힘도 욕망도, 악행까지 어중간하군! 네놈 같은 남자를 싸움에 진 개라고 하는 거다!
    • 발로그: 그런 갈고리로 내게 이길 수 있을 거라 생각했나? 얼굴보다 네 머리 속을 어떻게 해 봐라!
    • 베가: 그건 그렇고, 마크가 악취미로군. 샤돌루는 내가 받겠지만, 이 문장은 필요없다.
    • 한주리: 한쪽 눈을 교체한 게 뭐 어떻다는 거냐. 그런 건 내 주위에선 일상다반사다.
    • 롤렌토: 군인 국가라고? 핫! 세계 정복은 그렇게 쉬운 게 아니다! 멍청한 녀석!
    • 이부키: 계집애는 계집애답게 학교에 가라! 내게 대들다니, 아직 만년 일러!
    • 포이즌: 출신이 뭐였든지, 꽤 나쁘지 않은 여자로군. 그 근성을 봐서 이번에는 눈감아주마.
    • 휴고: 몸이 약간 크다고 해도 로봇이나 악마에 비하면 상대도 안 되지.
    • 카스가노 사쿠라:
    • 블랑카:
    • 가이:
    • 코디 트래버스:
    • 더들리:
    • 엘레나:
    • 고우키: 흐음, 이 세상에는 데빌 말고도 쓸만한 힘이 아직 있다는 거로군...

6. 인간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시마 헤이하치/인간관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인간관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인간관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성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시마 헤이하치/시리즈별 성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시리즈별 성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시마 헤이하치/시리즈별 성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술 목록

<colbgcolor=#000><colcolor=#fff> 딜레이 캐치 (각 기술 설명은 해당 항목 참조)
선 자세
10F 섬광열권(LP LP RP, 벽꽝기), 귀곡련권(LP RP RP)
11F 노권골(RP RP)
12F 강장파(AP, 벽꽝기), 박치기(6AP)
13F 극 무쌍철권(3LP 홀드 저스트 RP, 벽꽝기), 백한쌍격(3RK RP, 벽꽝기)
최속풍신권(6n3RP, 시동기), 이무쌍연권(3RP LP, 특정 상황 시동기)
14F 귀신 야뢰(4LP RK), 금강창장(236RP, 벽꽝기, 히트 발동기)
최속풍신권(6n23RP, 시동기)
15F 사나이 차기(RK, 벽꽝기), 오호퇴련탄(3LK AP LP)
20F 귀신권(66RP, 시동기), 왼 발꿈치 떨구기(66LK, 시동기)
앉은 자세
10F 시트잽(2LP)
11F 발꿈치 떨구기(기상 RK RK)
13F 금강장(기상 LP, 벽꽝기)
15F 강풍충천(앉아 3RP, 시동기)
18F 신문귀십자(기상 LK AP, 벽꽝기)

주요 기술굵게 처리 주로 폴과 모션이 비슷한 기술이 많이 있다.

히트 / 레이지 관련기
  • 히트 강화점
    성능의 강화 외에 외형상 헤이하치의 몸이 붉게 달아오른다.
    • 뇌신권과 풍신권을 저스트로 입력하지 않아도 최속뇌신권과 최속풍신권이 발생
      진·데빌 진·카즈야·레이나와 같은 기능.
    • 번개가 휘감긴 강력한 기술을 사용가능
      아래 3기술 모두 사용시 게이지 1.5칸을 소모하고 나간다.
      • 굉뢰파쇄충 轟雷破砕衝 (1AP) <토네이도> <파워 크러시> <가드 대미지>
        특중판정. 발동 30F. 거의 예능용에 가까웠던 전작의 파쇄충(2RP+LK)을 비교적 실전용으로 리메이크한 듯한 기술. 리치가 길고 가댐, 다운판정이 있다. 콤보 중 토네 > 4RP 저스트 > 버스트 > 우종 찍고 1AP로 심리를 걸기도 한다. 가드시 서로 0으로 동등.
      • 지뢰파쇄충 地雷破砕衝 (2LK RP or 뇌신자세 중 LK RP) <가드 대미지> <토네이도>
        중 특중 판정기술, 패링과 파크를 이기는 판정이 있다. 2LK 이후 주먹으로 찍는 기술. 레이나의 상대 다운시 2RK LP와 유사한 모션. 당연하지만 1, 2타 다운판정이 있고 누운 상대를 찍는 용도로 주로 이용된다. 가드시 0으로 서로 동등.
      • 현공굉퇴격 玄空轟槌撃 (9RK LP) <가드 대미지>
        중중판정. 9RK 이후 점프상태에서 당수로 내려찍는다. 가드시 2 이득.
      • 악뢰파쇄충 鰐雷破砕衝 (4LK LK RP) <호밍기> <가드 대미지>
        8 시즌2 신기술, 상 중 특중 판정.
    • 그림자 걸음 影足(영족) (히트 켜진 상태에서 44AK) 사용가능

      • 속칭 아버지의 고뇌. 매우 호쾌하게 웃으면서 뒤로 쭉 빠지는 기술로 뒤구르기(리버스 스피너 볼, 4AK)처럼 회피력이 좋은 회피기. 철권 1에서는 444 커맨드였으며, 2~TTT2에서는 호쾌하게 웃는 소리도 없었고 44nAK로 중립을 꼭 넣어야 발동해서 빨리 쓰기 힘들었으나 7에서 중립이 삭제되어서 적당히 44에 AK 눌러도 발동된다. 8부터 히트 상태에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시 히트게이지를 모두 잃기에 예전처럼 연속해서 쓸 수 없다.
    • 풍신호법 자세 중 자동 상중단반격 가능

      • 전 작의 반격기모션으로 반격한다.
  • 히트 상태와 관련된 특수 사양
    • 특수한 강화상태 '미시마류 최종오의 무의 경지' 발동가능

미시마류 최종오의 무의 경지
히트를 켤 때마다 라운드가 지나도 유지되는 오의 카운트를 하나 얻으며, 오의 카운트가 3이 되면 한 시합당 한번 무의 경지 모드로 이행가능하다.
  • 무의 경지시 공통 변경점
    • 강화되는 기술들에 가드대미지 추가, 기존에도 가댐이 있는 기술들은 가댐 증가
    • 공격시 헤이하치의 회복가능 체력(흰피)의 회복량 증가, 히트상태에선 회복량 더욱 증가
    • 공격 성공시 상대 회복가능 체력을 남기지 않음(히트버스트, 히트대시 사용이후 등 강제적으로 변환되는 흰피는 남김)
  • 미시마류 최종오의 무의 경지 三島流最終奥義・武の境地 (오의 카운트 3에서 LP+RK, 풍신호법 중 가능)
    발동시 회복가능 게이지(흰피)가 20 생기며, 해당 라운드가 끝날 때까지 몇몇 기술이 강화된다.
    왼손을 펴서 기도하듯이 세운채로 전방으로 왼발을 높이 들어 바닥을 쾅 밟는다. 공격 판정이 있으며, 특수하단 판정, 17F 발동, 대미지 10. 맞히고 상대를 엉덩방아 찧게 하며 가드가능 21F 이득을 얻는다.
  • 구극섬광열권 究極閃光烈拳 (무의 경지에서 LP LP RP)
    3타 대미지 16 → 20, 노멀히트 후상황 변경(바닥에 끌리면서 넘어짐 → 수평으로 날아감)으로 인한 벽꽝거리 증가, 벽꽝판정 상향(벽각 틀어져있어도 벽꽝가능)
  • 구극다문바사라 究極多聞伐折羅 (무의 경지에서 LP 4RP RP)
    3타 대미지 17 → 22, 노멀히트시 상대 앉은자세 +6 → 다운에 벽꽝 가능, 흰피 삭제 추가, 상대 공중히트시 확정타 추가(바닥댐으로 들어가며 보정량은 기존 바닥보정의 절반인 40%)
  • 구극강장파 究極剛掌破 (무의 경지에서 AP)
    대미지 25 → 34, 노멀히트시 다운 → 노멀히트시 낙법불가 후 추가타 확정
  • 구극무쌍연권 究極無双連拳 (무의 경지에서 3RP LP)
    2타 히트시 벽꽝 안되는 날리기 → 토네이도, 2타 공중히트시 토네이도 추가
  • 구극귀신권 究極鬼神拳 (무의 경지에서 66RP)
    리치 증가, 대미지 23 → 30
  • 구극 발꿈치 떨구기 究極踵落とし (무의 경지에서 66LK)
    가드시 -3 → +1, 대미지 21 → 25
  • 구극 나락쓸기 究極奈落払い (무의 경지에서 6n23RK)
    1타 가드시 -23 → -14, 1타 가드시에도 2타를 사용가능, 대미지 15 → 17
  • 구극비전뇌신권 究極秘伝雷神拳 (무의 경지에서 뇌신호법 중 LP)
    대미지 38 → 42, 가드시 -11 → -8, 가드백 대폭 증가, 패링, 파크 무시효과 추가
  • 구극비전풍신권 究極秘伝風神拳 (무의 경지에서 풍신호법 중 RP)
    대미지 20 → 24, 가드시 -10 → -3, 가드백 대폭 증가, 패링, 파크 무시효과 추가

  • 히트 버스트 (RP+LK)
    구작 기술 무쌍철퇴 (3LP RP)의 2타 모션으로 내려친다.
  • 히트 발동기
    금강장파(4AP), 만한나선장(9RP LP), 나왕장(66AP), 금강창장(236RP), 풍신파쇄련격(풍신호법 자세 중 LP LP)
  • 히트 스매시 1: 초 철추떨구기 超・鉄槌堕とし (히트 상태에서 RP+LK)
    15F 발동, 중단. 왼손으로 상대의 목을 잡아서 위로 높이 던진 뒤 기를 모아서 추락하는 상대의 뒷목에 당수를 강렬하게 내려찍는다.
    가드 시 뇌신호법으로 이행되며 4유지시 선자세가 된다. 대미지 50. 바닥 파괴 판정이 붙었는데 두번 깨야되는 바닥을 한번에 깰 수 있다.
  • 히트 스매시 2: 팔색뇌공 무너뜨리기 八色雷公崩し (히트 상태에서 RP+LK 6유지)
    15F 발동, 중단. 대미지 50. 가드 시 뇌신호법으로 이행되며 4유지시 선자세가 된다. 빠른 연타로[41] 상대를 멀리 날리며 벽꽝 및 벽 파괴판정이 붙어있다. 중단에 발동도 적절히 빠르고 상황에 따라 2번의 벽꽝과 1번의 바닥 파괴 중 택일할 수 있어서 매우 우수한 히트 스매시.
  • 레이지 아츠: 미시마류 오의 귀신풍뢰권 三島流奥義・鬼神風雷拳 (레이지 상태에서 3AP)
    평범한 20F 발동에 막히면 -15인 중단 레아로, 히트시에도 상대와 위치는 바뀌지 않는다.
    발동 모션인 왼손 백너클 공격이 히트하면 헤이하치가 기를 모으더니 장소가 공동묘지로 바뀌고 헤이하치가 걸어나와서 오른손을 높이 들어서 마치 토르의 망치가 연상되는 듯한 자세로 주먹에 번개를 받아 모으더니 쓰러진 상대에게 번개를 두른 강렬한 붕권으로 가격한다. 얻어맞은 상대는 주먹 모양의 번개가 관통하여 지나가면서 모든 묘지가 박살나서 돌덩이가 흩어지는 연출과 함께 뒤로 날아간다.
    기묘하게 이곳 저곳에서 가져온게 많은 레아.[42]
    폴의 레아처럼 기본 복장인 코스튬 1에서 사용시 복장에 변화가 생기며 (목의 염주, 상의 옷깃 등이 뜯어짐) 게임 내내는 물론 승패 화면까지 유지된다.

통상 기술
  • 섬광열권 閃光烈拳 (LP LP RP)
    풍신류의 상징 중 하나인 기술. 1타 막히고 +1, 2타 막히고 -5, 3타 막히고 -17. 1타 맞히고 +8, 2타 맞히고 +6, 3타 맞히고 상대 다운.
    DR까지는 2타까지는 막혀도 이득인 주제에 막타는 보고 때리는 게 가능했던데다가, 벽스턴 기능까지 달려있어서 빼도박도 못 할 사기 기술이었다. 철권 6부터 2타 가드시 1프레임 손해가 되었고, BR에선 데빌 진과 카즈야의 섬광이 벽꽝이 삭제됨에 따라 유일하게 벽꽝되는 섬광으로 남았다. 비록, 막타를 딜레이줘서 쓸 경우 확정이 아니게 변하긴 했지만, 벽꽝이 된다는 것 자체가 워낙 좋은 기능이었고, 보고 때리는 것은 여전히 가능했기에 헤이하치 유저들은 딱히 신경쓰지 않았다.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에서 벽꽝이 삭제되었지만, 철권 7에서 벽스턴이 부활. 섬광 중 유일하게 벽꽝된다는 점은 좋지만 헤이하치의 원잽이 풍신류 중 가장 리치가 짧고 타점도 높은 편이라는 단점이 있었으나 21년 5월 27일 패치를 기점으로 리치가 좋아져 단점을 찾기 힘든 기술이 되었다. 3타 히트하고 거리가 벌어지는 게 벽에 막히는 위치에서는 짠발(1RK)가 확정타로 들어간다. 8부터 2타 막히고 -5가 되었다. 대미지 27.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3타 대미지 증가, 가댐이 생기고 맞히고 7의 월바처럼 멀리 날아간다.
  • 이문권[43] 弐門拳 (LP RP) / 귀곡련권 鬼哭連拳 (LP RP RP)
    이문권은 보통 원투라고 부르며 10F의 상상기술이다. 대부분의 캐릭터에 있는 평범한 수준의 스펙의 기술이지만 파생기가 꽤 된다. 2타 맞히고 +8, 막히고 -3.
    귀곡련권은 통칭 원투투로, 섬광처럼 10프레임 딜캐기이지만, 섬광과 달리 막타가 상단에, 맞아도 +3F 이득만 챙길 뿐 넘어지지 않아 잘 쓰이진 않는다. 대미지도 25로 섬광보다 낮다. 막히고 -12.
    8에선 2타 막히고 -3이 되었다. 모션이 약간 바뀌고 3타 이후 2 유지로 풍신자세 이행이 추가되었다.
  • 귀곡강장파 연 鬼哭剛掌破・連 (LP RP RP~LP AP)
    귀곡강장파 부 鬼哭剛掌破・否[44] (LP RP RP~LP 2or8)
    8 신기술. 상상중중판정. 원투 이후 캔슬한 뒤 7의 4AP AP를 붙여놓은 듯한 모션의 기술. 3타 히트시 4타 확정. 3타 막히고 -11, 4타 막히고 -13. 3타 맞히고 +6, 4타 맞히고 상대 다운.
    3타 이후 2 or 8 입력시 캔슬하고 횡이동으로 이행하는 귀곡강장파 부를 쓴다.
  • 귀곡련한축 鬼哭連漢蹴 (LP RP RK, 3타 홀드 가능) <토네이도>
    일명 원투포. 8 신기술. 상상상판정. 구작의 돌려차는 모션에서 막타가 토네이도하는 사나이 차기(RK)[45]로 변경되었다. 히트시 상대 엉덩방아 다운, 16F 가드가능 이득. 3타 막히고 -9.
  • LP 4RP
    통칭 원꽝,[46] 아래 다문살 기술의 2타까지이며, 상 중 판정에 2타가 확정이 아니긴 하지만 막혀도 -2밖에 안 되고, 딜레이도 가능한지라 필드견제기로 주력기. 보통 섬광 2타나 원투를 앉거나 짠손, 횡신 등으로 파훼하려는 상대를 역파훼하거나 원잽 일부러 헛치고 달려드는 거 낚기 등 카운터 용도로도 쓰인다. 2타 맞히고 +8.
    철권 7 FR 시즌 2에서는 다문살에서 바로 레이지 드라이브(LP 4RP~AP)로 이행할 수 있게 되었다. 8부터 'LP 4RP 2유지'로 풍신호법으로 이행이 가능해졌다.
  • 다문살 1 多聞殺・壱 (LP 4RP LP)
    아래 다문~ 시리즈 모두 상 중 중 판정. 원꽝 뇌신권.
    다문살 1과 2는 전진성도 괜찮고 공콤에서도 잘맞는 편이나, 콤에 넣으면 낮은 대미지의 잽이 들어가는 특성상 타수에 비해 대미지가 영 떨어진다. 그래도 태그2에서는 서브기술로 많이 쓰였다. 막히고 -15. 맞히고 상대 다운.
  • 다문살 2 多聞殺・弐 (LP 4RP RK)
    원꽝 격참각. 8에서 막타에 가댐이 생겼다. 막히고 +5. 맞히고 상대 다운.
  • 다문바사라[47] 多聞伐折羅 (LP 4RP RP)
    8 신기술. 7에서 레이지 드라이브로 쓰던 원꽝 박치기가 일반 기술로 편입되었다. 각성 상태에서 사용 시 7에서처럼 적을 바닥에 꽂아버리고 추가타를 입힌다. 막히고 상대를 앉히며 -13. 맞히고 +6.
  • 노권골[48] 怒拳骨(RP RP)
    판정은 상 중. 대미지는 10, 13. 전통과 역사의 풍신류 투투였지만 8부터 2타가 주먹을 초핑 펀치 형식으로 내려찍는 모션으로 바뀌었다. 1타 히트 시 2타 확정, 2타 히트시 +3에 상대를 앉힌다. 1타 막히고 0, 2타 -8. 1타 맞히고 +9.
    8에서 모션이 바뀌며 11프레임 기술로 바뀌고 대미지가 너프먹어 딜캐기로 쓸 이유는 없어졌지만 막히고 딜캐가 사라져 노딜상중 견제기로 쓸 수 있게 되었다.
  • 백호격진 白虎撃進 (LK RP)
    8 신기술. 기존 문전박대 1타 이후 전진하며 오른주먹으로 상대 배를 때리는 기술. 진군류의 15프레임 중장거리 기술로, 1타 히트 시 2타가 확정. 1타 맞히고 +1, 2타 -2, 풍신 이행시 +9. 1타 막히고 -4, 2타 -13, 풍신호법 이행시 -2. 2유지로 풍신자세 이행가능. 대미지가 10, 10 총 20으로 너무 낮아 딜레이캐치기로써의 성능은 좋지 않으며 리치 길고 풍신자세 잡는 견제기로 쓰인다.
  • 사나이 차기 漢蹴り[49](RK, 홀드 가능) <토네이도>
    8 신기술. 15F 발동 상단. 1타수 토네이도기이다. 원투포의 막타와 같은 기술, 오른발로 상대의 얼굴을 빅 붓 형식으로 걷어찬다. 히트시 상대를 엉덩방아시키고 가드가능 16F 이득. 카운터시 퀵훅처럼 쓰러지고 콤보 가능. 막히고 -9.
  • 파쇄축 破砕蹴 (RK~LK or 기상RK~LK)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25. 너도 나도 있는 풍신류 드르렁. 원래 풍신류 파쇄축은 모두 모션이 동일했으나 데빌진만 DR부터 모션이 변경되어 현재는 카즈야와만 모션이 동일하다. 점프하는 만큼 당연히 점프 스테이터스도 탑재되어 있고 카즈야와 다른 점은 카즈야는 2타로 구성되어있으나 헤이하치는 단타 기술이다. 선상대에게 히트 시 다운시키며 기상하단킥이 확정이다. 사용 후에는 헤이하치도 천장을 보는 다운 상태가 된다. 철3 이후부터 헤이가 늙어서, 시리즈에 따라 맨땅에 썼을 때(가드도 히트도 안했을 때) 허리가 아픈 모션을 짓고 피해를 입는데, 7에서는 시전 후 2입력을 해야 피해(5댐)를 입는다.
  • 강장파 剛掌破 (AP)
    풍신류 캐릭 중 레이나와 더불어 둘만이 가지고 있는 쌍장이다. 다른 캐릭터의 쌍장과 달리 발동이 빠르고 딜캐도 -10으로 그리 크지 않다. 다만 리치가 짧으면서 헛쳤을 때 후딜이 길기 때문에 남발은 금물. 대미지 25.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대미지 증가, 가댐이 생기고 맞히고 상대가 낙법불가로 바뀌어 각종 추가타가 들어간다. 벽에서 화면이 휙 돌아가게 만드는 기술이라 역가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헤이 쉬운벽역가드 한방패턴 글 참조.
    본래 12프레임 발동으로 히트시 밀려나며 쓰러지는 기술로 밟기나 귀신권이 들어갔다가 6시리즈에선 뜬금없이 발동 15인 대신 히트시 지금 라스 쌍장처럼 제자리에서 무너져서 콤보가 가능한 콤보시동기가 되었다. 이후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부턴 철권 태그 토너먼트 시절의 쌍장으로 회귀하여 12프레임 벽꽝기가 되어 기상중단킥 딜캐로 짠발만 가능했던 것이 벽꽝을 시킬 수 있게 되었다. 본래 있던 콤보 시동 15프레임 쌍장은 2AP(귀신십자)가 대체하게 되었다. 다만, 귀신십자는 16프레임 발동이므로 주의. 7에서는 귀신십자가 삭제되었다.
  • 천추격진 天枢撃進 (6RP RP)
    8 신기술. 1타는 7의 6RP 모션 그대로 회전하며 오른손 등주먹으로 가격하고 2타는 백호격진(LK RP)의 2타와 같고 전진하며 주먹으로 복부를 가격한다. 2타 이후 2유지로 풍신자세 이행 가능. 1타 히트시 2타 확정. 발동 15. 1타 맞히고 +2, 2타 -2, 풍신자세 이행시 +9. 1타 막히고 -9, 2타 -13, 풍신 이행시 -2.
  • 격강장파 연 激剛掌破・連 (6RP~LP AP)
    격강장파 부 激剛掌破・否(6RP~LP 2or8)
    8 신기술. 위의 원투 파생기 신기술을 원투 없이 쓰는 기술. 한바퀴 돌아 전진하며 강장파를 날리고 추가로 전진하며 강장렬파의 2타(4AP AP) 모션, 양손날로 상대의 옆구리를 동시에 가격한다. 1타 히트시 2타 확정. 1타 이후 2 or 8 입력으로 횡이동으로 캔슬 가능. 1타 막히고 -11, 2타 -13. 1타 맞히고 +6, 2타 다운.
  • 오장혈괴 五臓血塊 (6LK)
    앞무릎이라고 불리는 중단기술로 전진하며 왼무릎으로 밀듯이 찬다. 판정이 낮고 리치가 길며 막히고 후딜도 -5(풍신자세시 -2)로 꽤 적고 대미지도 괜찮은 데다 18F으로 발동도 느리지 않은 좋은 기술. 반시계를 좀 잡는다. 보통 필드에서는 딜캐없는 카운터 시동기 용도로 쓰이며 판정을 이용해 몇몇 기술의 확정타용으로도 쓰이는 기술. 오장육부로 자주 붙어쓰이는 말인 육부는 카즈야의 3LP 육부 부수기로 들어간걸 생각해보면 오묘한 기술명.
    8부터 노말히트시 다운과 카운터 콤보가 삭제된 대신 아래 유지로 풍신호법으로 이행한다. 맞히고 자세를 안 잡으면 9이득, 풍신호법 이행시 12F 이득으로 자세 LP LP, LP RP가 확정.
  • 오른 발꿈치 찍기 右踵落とし (6RK)
    통칭 한자만 읽은 우종락, 대개 '우종'이라고 줄여 부른다. 대시 유지 중 혹은 웨이브 도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막혀도 4프레임 이득을 가져오는 기술. 오른 다리를 수직으로 높이 세운 뒤 그대로 무릎을 접어서 발 뒤꿈치로 곡괭이 찍듯이 내려찬다. 앉은 상태로 우종락을 맞을 경우 앉은자세 -15프레임인 상태가 되어 확정타를 때릴 수 있다. 이 때문에 벽 앞에서 앉은 상태로 우종을 맞을 경우 확정타를 맞고 벽꽝까지 걸리기 때문에 체력의 절반은 우습게 날아가게 된다. 카운터 시 지진쇄(2LK)나 밟기 등이 확정이며, 좋은 기술인 건 맞지만 느리고 양횡에 털린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다만 상대가 벽에 몰려있는 경우에는 헤이하치가 히트 여부에 따라 벽꽝으로 이어갈 수 있는 기술이나 이득기가 넘쳐나기 때문에 머리를 비우고 우종만 쓰는 것이 아닌 이상 일단 압박이 시작되었을 때 상대하는 입장에선 피하기가 어려워 원잽, 우종, 나락1타 등으로 계속 굳어버리게 된다. 횡이동으로 대처가 가능하지만 헤이하치의 기술 중 상당히 유용한 주력 압박용 기술이다. 발동 19, 맞히고 +7.
    8부터 가드시 +4에 대신 상대가 선자세가 되었다. 2 유지로 풍신자세를 잡는다. 앉아서 맞을시 풍신자세 RP가 확정.
선자세 12프레임 딜캐기로, 히트 시 금강장처럼 붕권, 앞무릎, 청뇌 등이 확정이다. 막히고 -14.
7에는 다운되어 각종 추가타가 확정이었지만 8부터 더 이상 다운되지 않고 대신 +14의 이득을 가져 앉은 상태로 추가타를 맞는다.[51]
  • 뇌신호법 雷神呼法 (6AK)
    8 신기술. #뇌신호법 문단 참조. 뇌신호법 자세를 직접 잡는다.
  • 무쌍장파 無双掌波 (3LP LP)
    일명 왼어퍼 원. 폴의 사자후와 비슷한 모션의 기술 1로 1타는 들어올리듯 밀어치는 왼어퍼, 2타는 전진하며 손바닥으로 빠르게 밀친다. 판정은 중상으로 같은 왼어퍼 파생기이지만 주로 딜캐용으로 쓰이는 위의 무쌍철퇴와는 다르게 압박용 기술 및 견제기로 쓰인다. 1타 막히고 -5, 2타 -2. 1타 맞히고 +7, 2타 +4. 2타가 상단이지만 발동이 빨라서 대놓고 막 쓰지 않는 이상 앉기 힘들고, 2타가 양횡을 추적하는데다 가드해도 -2 밖에 안 되어 횡신이나 상단회피기로 상대의 발악을 피하고 압박을 이어갈 수 있는 좋은 압박기. 1타가 반시계로 피해진다.
    8부터 1타의 모션이 변경되며 리치가 줄고 막히고 -5가 되었다.
  • 무쌍철권 無双徹拳[52] (3LP RP)
    진 무쌍철권 真・無双徹拳 (3LP 홀드 RP)
    극 무쌍철권 極・無双徹拳 (3LP 홀드 저스트 RP)
    왼어퍼 투. 폴의 사자후와 비슷한 모션의 기술 2로 2타 모션이 내려찍기에서 앞으로 정권 지르기로 바뀌었다. 히트시 +3, 가드시 -13. 1타 히트시 2타 확정. 2타 홀드가 가능하며 홀드시(진 무쌍철권) 1타 히트시 확정이 아니게 되는 대신 가댐이 생기고 막히고 -9가 되며 상대의 방어 행동을 관통하며 상대가 맞으면 다운된다. 하지만 홀드를 저스트로 풀면(극 무쌍철권) 딜캐가 사라지고 7처럼 1타 히트시 2타가 확정이 된다.
  • 이 무쌍연권 裏・無双連拳 (3RP LP)
    8 신기술. 13F 중중판정. 이전의 더블 어퍼(무쌍연권)가 좌우 반전되어 돌아왔다. 하지만 모션은 기존의 무쌍연권과는 조금 다르게 폴의 쌍봉과 비슷한 모션이. 오른 손바닥으로 어퍼 → 전진하며 수직으로 왼손 어퍼컷을 시전한다. 여전히 1타 히트시 2타 확정이지만 히트시에 곧바로 다운만 될 뿐 벽꽝도 콤보도 되지 않으나 무의 경지상태에선 히트시 토네를 소모하는 콤보 시동기가 되고 공중에서도 토네효과를 가진다. 1타 막히고 -7, 2타 -17. 1타 맞히고 +4.
  • 오호퇴련탄 五虎退連彈 (3LK AP LP)
    8 신기술. 15F 발동. 중 상 중중 중 판정. 1타 히트시 전타 확정. 막타 236LP로 입력시 대미지 증가. 왼 무릎차기 - 정권 4방으로 복부와 얼굴을 빠르게 가격한다. 벽 콤보용으로도 강력하여 주력 벽콤보로 이용되고 있다. 히트시 다운되나 벽꽝은 되지 않는다. 1타 막히고 -6, 추가타 -15, -15.
  • 백한쌍격 百漢双擊 (3RK RP)
    8 신기술. 13F 중중판정. 오리발 이후 니나 6AP처럼 양손을 쭉 뻗어 때린다. 1타 히트시 딜레이를 줘도 너무 느리지만 않으면 2타 확정에 2타 히트시 벽꽝이라 클라 디스펠매직과 유사하게 사용가능. 1타가 오리발답게 양횡에 피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2타 단독 카운터시 콤보 가능. 1타 히트시 +5. 1타 막히고 -6, 2타 막히고 -12 딜캐가 존재한다. 이로서 헤이는 13F 중단기만 3개에 그 셋 다 추가타가 존재하는 캐릭이 되었다.
  • 기와 깨기 瓦割り(2LP)
    기와 깨기 쐐기 치기 瓦割り楔打ち (2LP RP)
    철권 1부터 있던 유서깊은 기술. 폴의 그것과 용도는 비슷하다. 심심하면 내밀어줄 수 있는 안전한 중단기. 대미지는 짜지만 발동이 빠르며 막혀도 안전하고, 판정이 낮게 뻗어있어 구르는 상대는 다 잡는다. 1타, 2타 전부 막히고 -9. 1타 히트시 +2, 2타 +9, 뇌신 이행시 +13. 2타 단독 카운터시 다운. 1타 히트시 2타까지 확정. 1타 이후 2 유지로 앉은 자세 이행, 2타 이후 6 유지로 뇌신자세 이행.
    시리즈를 거듭 할 때마다 후속타가 있을 때도 없을 때가 있었는데 철권 4에서는 기와 깨기 단발만 있었고, 철권 5~6까지는 폴마냥 후속타로 기와-붕권까지 있었으나 6BR부터는 다시 후속타가 없어지고 새로운 기와 깨기로 교체되어 단발 바운드기가 되었다. 대미지는 별로지만 낮은 판정으로 콤보 도중 아무데나 다 들어가는 특급 바운드기였다가 바운드 시스템이 없어진 7FR에서는 기존의 금강창장과는 다른 손바닥을 거꾸로 세워 복부를 가격하는 미묘한 모션의 2타 후속타가 생겼다. 히트 시 금강장과 똑같이 붕권, 앞무릎, 귀신권, 청뇌 등이 확정으로 들어간다.
  • 지진쇄 地鎮砕 (2LK) <가드 대미지>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25. 폴의 선앵뢰단의 마지막 모션으로 왼발로 쾅 찍는 기술. 히트 시 상대를 다운시키며, 가드 시에는 -7에 상대를 주저앉힌다. 막혀도 딜캐는 없지만 22F의 조금 느린 발동이 흠. 대미지가 나쁘지 않아서 주로 추가타 용도로 종종 쓰인다. 히트상태에선 내려찍는 2타 RP가 생기고 사용시 히트 게이지를 일부 소모한다.
  • 풍신호법 風神呼法 (2AP)
    8 신기술. #풍신호법 문단 참조. 직접 풍신호법 자세를 잡는다.
  • 귀와 鬼瓦[53] (2LP+RK)
    캐릭터마다 하나씩은 있는 예능용 가불기. 대미지는 50. 기를 모은 뒤 강렬한 기와깨기를 시전하는 기술로 횡을 추적하는 성능을 이용해 귀신멸렬마냥 아주 가~아끔 낙캣용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
  • 영생문 影生門 (1RP)
    나락, 복룡각과 더불어 헤이하치의 큰 하단을 책임지는 대표 기술. 속칭 빠세이. 한바퀴 회전해서 팔을 대각선 하단 방향으로 길게 뻗어서 주먹으로 상대방의 다리를 공격한다. 맞히고 +6, 막히고 -18.
    철권 5때 새로 생겼지만 막히면 뜨는 주제에 박력도 그렇고 대미지도 별로였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기술은 아니었다. 하지만, 태그 2에서 대미지가 눈에 띄게 상승하였으며, 헤이하치가 이득 프레임인 상태로 양쪽 모두 앉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후속 심리전을 걸기도 좋아졌다. 특히, 하단인 복룡각과 중단인 금강장으로 상대에게 골아픈 이지선다를 선사할 수 있다. 허나 막히면 뜨는 것은 여전하니 주의. 철권 7에서는 카운터 히트시 상대가 넘어지게 된 대신 노멀 히트시의 이득이 +1로 줄어들어서 금강장 대신 종가르기 1타를 사용해야 했으나, 7월 7일자 패치로 인해 노멀 히트시의 이득이 다시 태그 토너먼트 2 시절로 돌아왔다. FR에서는 살짝 하향되어 카운터 히트시에도 상대가 넘어지지 않도록 바뀌었다. 여담으로 철권 유저들 사이에서는 이 기술은 보고 막는 게 아니라 듣고 막는다는 얘기가 흔하게 도는데 위의 기합소리인 빠세이 소리를 듣고 반응한다고 하는 편. 참고로 기술 시전시 내뱉는 기합은 빠세이가 아니라 "脚!"(아시!). 즉 "다리!"다. 검도에서 머리~ 하며 머리를 공격하는 것과 같은 셈.[54] 8에서 맞히고 상대가 맞는 모션이 바뀌며 서로 멀어진다.
  • 영목 부수기 霊木砕き (1LK)
    8 신기술. 드디어 헤이에게 생긴 악마발류 기술. 16F 발동, 맞히고 -2. 막히고 -13. 대미지 10. 진의 로우킥을 좌우반전한 듯한 모션으로 찬다. 레이나의 1RK와 발동, 막히고 -13, 맞히고 -2인 점이 같지만 대미지는 헤이가 3 더 높고 대신 2타가 존재하지 않는다.
  • 귀신 야뢰 鬼夜雷(귀야뢰) (4LP RK) <토네이도>
    8 신기술. 14F 발동의 중중 판정 기술. 1타 히트시 2타 확정에 바로 앞에 다운. 전진하며 왼손 등주먹으로 공격 - 오른다리 플라잉 니킥을 시전한다. 1타 가드시 -9, 2타 -13. 1타가 양횡에 약하고 헛치고 후딜이 길다. 1타 보고 2타 쓰기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2타 히트시 근접해있다면 짠발이 낙법을 모두 잡고 그걸 의식해서 누워있으면 2LK 등을 맞는 심리.
  • 나생문 羅生門 (4RP) <가드 대미지>
    진 나생문 真・羅生門 (4RP 홀드)
    극 나생문 極・羅生門 (4RP 홀드 저스트)
    몸을 회전시키면서 중단을 주먹으로 치는 기술로 다문살 2타를 떼온 모션. 22F 발동. 대미지가 좋고 히트시에는 이득이 7이나 되며 가드시에도 +2로 안전한 좋은 중단기. 홀드시 막히고 +6(풍신호법시 +5), 저스트 홀드시 +8.
    7 시즌1까지는 히트시 날아가고 카운터시 콤보가 되어 6LK 오장혈괴와 용도가 겹치는 감이 있었으나, 시즌2에서는 벽바운드기가 되는 동시에 카운터시 콤보가 들어가지 않게 되며 살짝 너프됨과 동시에 두 기술의 용도가 겹치지 않게 되었다.
    8부터 홀드가 가능해졌고 홀드시(진 나생문) 가드 후 +5 이득, 맞히고 상대 다운, 공중에서 히트시 상대가 공중에서 돌며 머무르는 효과, 반격과 파크를 이기는 효과가 생기고 홀드 후 6유지로 풍신자세 이행이 가능해진다. 홀드를 저스트로 떼면(극 나생문) 강화되어 막히고 +8에 맞히고 멀리 날아간다.
  • 악어 찌르기 鰐突き (4LK RP) <호밍기>
    폴의 진군과 비슷한 모션의 기술로 14 딜캐 1, 상 상 판정. 14, 20 대미지. 철 7 시즌 4에 추가된 기술. 1타 히트시 2타 확정. 2타 카운터시 콤보 가능. 아래 악어 나막신보다 딜은 조금 약하지만 딜캐로 유용하며 막혀도 -1이다. 벽콤보용으로도 쓸만한 대미지를 뽑는다.
  • 악어 나막신 鰐下駄[55] (4LK LK) <호밍기>
    14 딜캐 2, 통칭 악하태, 판정은 상, 중. 대미지는 14, 25. 왼발로 상단을 툭 치고 그대로 내려밟는 기술. 2타는 히트 시 상대를 다운시키며, 가드 시에는 -12에 상대를 주저앉힌다. 1타 히트 시 2타 확정. 태그2에서는 0타 벽서브기로 자주 쓰였지만 7에서는 용도가 없어져 안 쓰이게 된 기술. 히트후 짠발이나 스윕킥으로 확정타까지 넣으면 약한 공콤 정도의 딜이 나오므로 선자세 15띄우기가 초풍, 풍신권으로 어려운 헤이에게 귀중한 딜캐가 된다.
  • 인다라축 因陀羅蹴 (4RK) <가드 대미지>
    8 신기술, 통칭 인드라 킥, 현재 헤이하치 기술 중 가장 주목받는 기술 중 하나다. 7의 4RK를 전면 수정하여 살짝 점프한 뒤 오른발로 미들킥을 날리는 모션인데, 지금까지 이런 스타일로 걷어차는 미들킥은 파쿰람 양발, 진파치 3RK, 아머킹 횡 RK 등이 있었으나 한 손을 뒤로 젖히는 점 등을 감안하면 가장 유사한 모션은 진파치 3RK이다. 그러나 성능상 가장 비슷한 것은 첫 등장 시기 파쿰람의 양발로 18발동 중단기, 막히고 -8, 히트시 상대 다운되고 벽에서 벽꽝, 카운터시 콤보, 가드백 등 거의 성능을 그대로 가져왔지만 다른 점도 있는데, 파쿰람 양발과 반대로 시계를 잡아주지만 반시계에 피해지며, 헛치면 고유모션과 함께 후딜이 약간 생긴다. 허나 4 커맨드의 특성상 축보정이 잘 되다보니 생각보다 잘 안 피해지고 가댐이 있기에 부담 없이 쓸 수 있으며 가드시 상대가 약간 뒤로 밀려나기 때문에 체감 후딜이 더 적은 편이다. 첫 1타를 강하게 때릴 수 있는 점도 고평가의 요소.
    이렇게 보면 원버튼, 고대미지, 긴 리치, 노딜 중단, 가드 대미지, 카운터 콤보를 다 때려박은 어마무시한 고스펙의 기술이긴 하나, 리스크가 생각보다 만만치 않다는 점이 문제. 카즈야의 우종- 기원권 심리처럼 이득기로 카운터를 유도해내기에 너무나 긴 18F라는 선딜은 둘째치고 이 기술을 헛칠시 전용 회수모션이 나오는데 후딜이 자그마치 40F가 넘는다. 헛치게 되면 어퍼를 넘어서 블레이징 킥이나 초스카이 같이 어마무시한 수준의 딜을 뽑아내는 초 고데미지 콤보를 확정적으로 맞게 되니 사실상 반죽음 확정이다. 그렇다고 헛칠 가능성이 아예 없도록 붙어서 쓰자니 앞서 말한 18F라는 선딜 때문에 오히려 사용하는 헤이 쪽이 카운터가 날 수도 있다보니 여러모로 써먹기 까다로운 기술.
  • 금강장파 金剛掌破 (4AP) <히트 발동기>
    8 신기술.[56] 7의 반격기(4RP+LK)와 모션이 같은 모션으로 제자리에서 양 팔을 크게 휘둘러 돌리다가 쌍장을 날린다. 기존 반격기 모션으로 팔을 돌릴 때 패링 기능이 붙어있기에 발동 5~25f 동안이라는 후한 패링가능 프레임을 가져, 타격 발동이 42f으로 느리지만 꽤나 쓰이는 기술. 막히고 -11.

  • 명봉익 冥鳳翼 (7 or 8 or 9LP)[57] <파워 크러시>
    몸을 한 바퀴 회전시키면서 살짝 횡신을 돌며 전진하고 헤이하치가 양 팔을 앞, 뒤로 뻗어서 손등으로 상대를 치는 모션. 7에 와서 파워 크러시 판정을 받았다. 대미지도 제법 준수하지만 24F 발동으로 느리고 막히고 -13에 하단기와 잡기에 캔슬되는 점은 주의하자. 살짝 횡신이 붙어있는 덕에 철권 5부터 전통의 역가드용 기술로 쓰였고 파워 크러시가 생긴 7에서도 역가드 판정은 여전하다. 원래 희귀한 기능인 잡기 패링[58] 기능이 붙어있었으나 철7부터 파워 크러시가 되면서 삭제되었다. 히트시에는 상대 멀리 다운.
  • 진천 震天 (7RP)
    8 신기술. 18F 상단기술. 히트시 상대 다운으로 낙법 가능. 발동 도중 상중단펀치 패링효과가 있다. 리로이와 동일 커맨드 기술과 모션과 손패링이 달린 점이 유사하다. 막히고 -9.
  • 공인각 空刃脚 (7 or 8 or 9LK)
    이선공인각 裏旋空刃脚 (7 or 8 or 9LK RK) <가드 대미지>
    철권에서 드문 공중연속기 중 하나로 1타 날아차기로 상대방을 딛고 뛰어올라 2타 공중 뒤돌려차기를 시전한다. 히트 시 공중콤보가 들어가며, 중단판정에 막혀도 +4 이득이라는 스펙을 지니고 있지만 엄청 느리고 횡이동에는 취약하니 주의. 특히, 반시계 방향 횡이동에는 아주 보기 좋게 탈탈 털린다. 이 때문에 고계급으로 갈수록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8부터 전작에서보다 높이 뜨고 공중히트시 상대가 돌며 공중에 머무르는 판정이 생겼다.
  • 현공각 玄空脚 (7 or 8 or 9RK) <호밍기>
    나선습인각(9RK RK)을 밀치고 철권 5에 새로 들어온 기술. 에디나 요시미츠의 9RK와 유사한 모션의 기술로 뛰어올라 중단 돌려차기를 시전한다. 점프 스테이터스 기술인만큼 하단을 피하며, 벽꽝 기능이 있어서 주로 벽에서 복룡각과 같이 쓰인다. 발동 24F으로 굉장히 느린 편이지만, 그걸 감안하고서라도 충분히 좋은 기술. 막히고 -9. 히트시 대시밟기 확정.
    철권 7에서는 스크류기가 되었지만, 플로어 브레이크 등 특정 상황을 제외하면 잘 쓰이지 않는 편. 8부터 히트상태에서 LP를 입력하며 공중에서 착지하며 수도로 내려찍는 2타 파생기가 생겼고 파생기 사용시 히트 게이지를 일부 소모한다. 그리고 8부터 히트시 7 데빌진 비혼축 맞힌 거처럼 다운되고 대시밟기 확정. 그리고 8RK에서도 이 기술 현공각이 나가면서 수직 점프 컷킥(일명 제자리컷킥)이 삭제되었다.
  • 만한장 万漢掌 (8 or 9RP)
    만한나선장 万漢螺旋掌 (8 or 9RP LP) <히트 발동기> <가드 대미지>
    폴의 질풍붕격, 혹은 만성용포권과 비슷한 모션으로 손날 찌르기 - 전진하며 손바닥 치기모션의 장타를 두 대 날린다. 19F 발동. 1타 히트시 2타 확정이고 딜레이를 줄 수 있으나 너무 많이 줄 시엔 2타가 가드가능하다. 1타 가드시 -9, 2타 -11로 가드시 손해도 아주 크지 않고 발동도 아주 느리지 않고 중중판정에 타수 장난도 가능해서 히트 켜는 용도 혹은 히트대시로 쓰이는 기술.
    7에선 -12에 히트시 다운이라 횡초풍에 밀려 잘 쓰이지 않는 기술이었으나 FR 시즌2에서는 2타 히트시 콤보 시동기가 되어 더 자주 쓰이게 되었다. 횡신 덕에 기본적으로 회피력이 있고 2타를 보고 쓸 수 있고 딜레이를 만땅으로 줘서 반항을 유도한 후 2타를 먹일 수도 있는데 이럼에도 가드시 -14로 일부 캐릭터를 제외하면 뜨지 않는 대상향을 받았다. 8부터 히트 발동기가 되고 커맨드가 기존 횡RP LP에서 8 or 9RP LP로 변경, 맞히고 콤보 삭제, 가드대미지 추가.
  • 9nRK
    중단. 기술표에 없으며, 뎁진, 헤이가 남캐 공용 소점 컷킥(9nRK) 대신 갖고 있는 역사와 전통의 병신스런 짭 나선환마각(카즈야 8RK ...). 비슷하게 요상한 모션인 요시의 소점 오발은 고대미지 공콤에라도 쓰이나 이건 도저히 써먹을 곳이 없다.

  • 귀신권 鬼神拳 (66RP) <토네이도>
    철권 1부터 유서 깊은 헤이하치의 주력기이자 상징적인 기술이다. 몸을 깊게 숙이면서 접근하여 강력한 어퍼컷을 시전한다. 자체 대미지도 굉장히 강한 데다가 맞은 상대가 높이 떠서 고대미지 콤보를 넣을 수 있다. 막히고 -16으로 8부터 가드백이 줄어 딜캐를 꽤 당하니 주의. 이 때문에 필드에서 지르는 용도로 상대의 상단기술을 예측하고 기습용으로 쓰인다. 다만, 공격 판정이 이상해서 가끔 상대가 점프해서 피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에는 등짝 허용이니 사용에 주의. 철7 시즌 2에서 다운판정이 대폭 강화되어 그냥 누워있기도 곤란해졌다.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리치가 대폭 늘어나고 가댐이 생긴다.
  • 왼 발꿈치 찍기 左踵落とし (66LK)
    통칭 좌종. 풍신류의 공통의 그 기술로 모션만 살짝 달라진 카즈야랑 비교해도 스펙은 같다. 강력한 왼발 내려차기를 시전한다. 히트시 콤보가 가능하지만 양횡에 털리며 막혀도 -3으로 느리지만 안전한 콤보시동기. 다만 헤이하치가 워낙 하단이 부실하고 중단기가 좋은 캐릭이다 보니 카즈야만큼 자주 쓰이지는 않는다. 어쨌든 좋은 기술.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가댐이 생긴다. 7까진 보통 딜캐가 없거나 약하면 귀신권, 아니면 좌종이었는데 8에서 귀신권의 가드백이 너프먹어 상대적으로 좌종이 더 자주 쓰일 여지가 생겼다.
  • 나왕장 羅王掌 (66AP) <히트 발동기> <가드 대미지>
    8 신기술, 중단. 전진하며 쌍장. 최속 14F 중단에 맞히고 히트대시시 콤보 가능, 막히고 -8로 딜캐가 없는 통발류 기술이다. 단, 리치는 그리 길지 않고 양횡에도 약하다. 발동도 적당히 빠르고 안전하게 히트 켤 수 있는게 강점.
  • 금강창장 金剛槍掌 (236RP) <히트 발동기>
    중단, 헤이하치 버전 붕권으로 히트시 회전하며 날아간다. 막히고 -17이라 필드에선 거의 안 쓰고 주 용도는 추가타용. 박치기, 금강장, 기와 2타 단독 카운터, 뚱캐전용콤보(나락 종가르기 1타-금강창장) 등의 추가타 용도로 가장 자주 쓰인다. 철권 6 BR까지는 236 스텝이 따로 있어 입력시간이 널널한 편이고 무조건 236 스텝을 써야 발동이 가능했다. 태그 2부터는 236으로 나가는 스텝이 사라졌으며 리치도 폴 붕권에 비하면 짧고, 클린 히트라는 것이 없어 대미지도 붕권의 절반 정도인데다 막히고 딜캐가 아프게 들어오는 건 붕권과 똑같아서 그런지 후속타 용도 외에는 정말 안 쓰이는 기술. 스텝이 없는 대가로 선입력을 받기 때문에 금강장 이후에 빠르게 넣거나 14딜캐로 넣기 편한건 장점이다.
  • 공참각 空斬脚 (666LK) <가드 대미지>
    점프 스테이터스가 달린 데다 중단 판정에 막히고 +6 이득인, 평범한 공참각. 최속발동 24.
  • 굉 박치기 轟ぱちき (666AP, 6으로 뇌신호법) <가드 대미지>
    8 시즌2 신기술, 상단. 대미지는 20으로 그리 높지는 않으나 맞은 상대가 바로 앞에 엎어져 다양한 추가타가 들어가 전체 딜은 높으며, 막혀도 프레임이득인 좋은 돌격기.
    여담으로 모션이 매우 개그스럽게도 로저&알렉스다워서 박치기 공룡으로 불리기도 한다.
  • 10단 콤보 (66nRP LP RP RP LK RK RK LP RP LP)
    헤이하치는 너무 오래 되고 그만큼 잘 알려진 캐릭터라 10단으로 허를 찌르기 힘들다. 다만 전개가 빠르고 5타까지 강제 가드라서 기모으고 가드 대미지로 죽이려 할 때 쓸 수는 있다.
    8부터 3LK로 시작하는 십단콤보 루트 두개가 삭제되었다.

특수 동작
  • 기합 모으기 気合溜め (AP+AK)
    기모으기, 태그1 이래로 기술표에 안 올라왔는데 철8에서 오랜만에 기술표에 들어왔다.
    8에서 모션이 기존의 제자리에서 기모으는 모션에서 상체를 빠르게 낮추는 동시에 왼발로 쾅 밟고 기모으는 모션으로 조금 바뀌었다.

앉은 상태 중의 기술
  • 금강장 金剛掌 (기상 LP)
    13프레임 기상 벽꽝기로 상대의 큰 하단 딜캐용으로 자주 쓰인다. 기상하며 빠르게 손바닥으로 밀친다. 6BR 시절엔 상대를 넘어뜨리긴 해도 대미지가 별로였고, 발동도 14F에 후속 확정타라 해봤자 나락쓸기 1타 정도였기 때문에 그냥 종가르기 2타를 쓰고 말았다. 그나마 벽에서는 기와 바운드가 확정이었기에 벽에서만 쓰인 정도. 허나, 태그2에서 대미지 상향 및 후속타가 가능한 피격판정으로 암격쇄(1AP)나 금강창장이 깔끔하게 들어가게 되어, 헤이하치의 앉은자세 패턴을 더욱 강화시켜 주었다. 다만 막히면 -14로 일부 캐릭에 뜬다. 참고로, 상기 기술한 후속타로 금강창장(236RP, 통칭 '붕권')이 확정이지만 이외에도 오장혈괴(6LK, 통칭 '앞무릎'), 귀신권, 청뇌신권 등이 들어가는데, 여기서 금강창장은 대미지가 제일 세지만 후상황이 별로이며 오장혈괴는 후상황이 좋지만 대미지가 별로다. 귀신권은 후상황이 별로고 대미지도 오장혈괴와 금강창장의 중간의 대미지를 주지만, 때리고 안전하게 태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청뇌는 금강창장의 대미지에 오장혈괴의 후상황을 만들어준다.여담이지만 태그 2편 오프닝에서 미겔의 공격을 피하면서 먹인 공격이 이것.
  • 관음 부수기 観音砕き (기상 RP)
    줄여서 관음쇄. 발동 18프레임 중단기. 발동 시 시계 방향으로 깊숙히 이동하여 주먹으로 가격하는 회피성 기술이다. 브라이언의 마하킥만큼은 아니지만 준뚱캐에 속하는 헤이하치가 어지간한 기술은 모두 회피할 정도. 막히고 -8, 히트시 8 이득, 카운터 시 상대 앉으며 +14F 이득. 짠발 - 관음쇄가 전통의 패턴.
    8부터 노멀히트 벽꽝삭제, 카운터시 콤보에서 레이나처럼 상대 앉으며 +14F 이득으로 변경.
  • 신문귀십자 神門鬼十字 (기상 LK AP)
    FR 시즌3 신기술로 왼발로 걷어차고 태그2까지의 귀신십자(2AP)모션으로 베어허그로 때리는 기술. 1타 막히고 -11, 2타 -9.
    7 신기술로 철권 1에 헤이하치가 등장한 후 무려 25년만에 생긴 헤이하치의 기상어퍼류 기술. 그러나 발차기 모션으로 시작해서인지 발동이 18F으로 느린 데다가 칼같은 나락이나 초풍, 종가르기 1타로 퍼올려야 하는데 타이밍이 굉장히 빡빡해서 금강장이나 횡초 등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 기술이었으나 7 시즌4에서 히트 후 천천히 엎드리는 모션으로 변경되어 콤보가 매우 쉬워졌다. 8부터 맞히고 콤보가 삭제되고 벽꽝기로 바뀌었다. 대신 기상어퍼가 생겼으므로 헤이 전체로 보면 너프는 아니며 이 기술은 리스크 적은 앉아이지선다중단의 위치를 가진다.
  • 발꿈치 떨구기 踵落とし (기상 RK RK)
    통칭 종가르기, 대종으로 불리는 풍신류 공통의 2타짜리 기상킥. 11프레임 발동의 기상 딜캐기. 2타 맞히고 0. 가장 기본적인 기상딜캐부터 콤보 도중 퍼올리기, 웨이브 캔슬로 사용해서 안전한 웨이브 이지선다, 돌진기 역할까지 여러 용도로 쓰인다. 다만 3RK로도 종가르기가 나가서 필드 견제용으로도 쓰이는 데빌진과 카즈야와는 다르게 완전 선자세에선 사용이 불가능하다. 대신 헤이하치는 나락 파생기로 종가르기가 나가는지라 나락1타 후 2타와 종가르기로 이지선다를 걸기도 하며, 콤보에서도 나락 1타-종가르기로 낮게 뜬 상대를 퍼올린다. 그 외에는 전통의 벽콤으로 나락2타-종가르기 1타 바닥대미지. 대미지는 다소 심심하지만 하단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도 안정적으로 들어가고, 후경직이 빨리 풀려 후상황이 좋다.
    8부터 2 유지시 풍신자세로 이행이 생기고 이행시 히트하고 이득이 생긴다.
  • 강풍충천 剛風衝天 (앉아 3RP) <토네이도>
    8 신기술, 중단, 15F 기상어퍼. 진파치의 기상RP와 폴의 기상RP와 유사한 모션, 오른손바닥으로 어퍼컷 하듯이 올려쳐서 띄운다. 헤이의 고질적인 약점이었던 앉아딜캐를 보완하는 기술이기에 가치가 크다. 막히고 -14. 토네판정이 있지만 기상히트시에는 토네소모를 하지 않는다.
  • 복룡각 伏龍脚 (앉아 3RK)
    헤이하치의 큰 하단 기술 중 하나이며 반시계횡을 완벽하게 잡는다. 19F 발동. 앉은 상태로 한바퀴 돌아서 다리 후려차기를 시전한다. 대미지도 꽤 짭짤하며, 맞히면 상대 다운. 클린히트가 존재해 일정 거리 밖에선 맞혀도 다운되지 않는다. 주된 패턴은, 기와깨기를 깔아두면서 선입력을 통해 재빨리 빈틈을 노리거나, 앉아 이지를 거는 식이다. 벽 앞에서 히트시키면 이후에 복룡각이 한번 더 확정타로 들어가, 헤이하치의 벽 압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물론 막히면 공콤 한사발이니 주의.

횡이동 중의 기술
* 쐐기 치기 楔打ち (횡이동 중 RP)
8 신기술, 중단. 진파치의 횡RP와 비슷한 모션. 기와깨기 - 쐐기치기(2LP RP)의 2타만 쓴다. 순수 발동 23F, 6 유지로 뇌신 자세 이행. 맞히고 +9, 뇌신 이행시 +13. 콤보 막타로 쉽고 강한 루트로 쐐기 - 뇌신자세뇌신으로 잇기도 한다.

풍신 스텝 파생기
  • 풍신 스텝 風神ステップ[59] (6n23)
    풍신 스텝으로 이행한다. 이후 9 입력으로 특수 동작 이행 가능.
  • 뇌신권 雷神拳 (풍신 스텝 중 LP)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25. 일반 뇌신권. 청뇌신권과 마찬가지로 히트 시 상대를 띄워버리지만 청뇌신권보다 가드됐을 시 손해 프레임이 5 늘어나 있는 것이 특징. 과거에는 카즈야, 데빌진보다 발동 속도가 빠르다는 특성을 가져서 콤보에 멋을 내기 위한 용도와 대미지가 있어서 가끔씩 콤보 마무리용 추가타로 넣을 수 있었지만 태그 2 이후 청뇌신권의 버프로 이제는 삑사리 기술로써의 인식이 강해졌다.
  • 최속뇌신권 最速雷神拳 (6n3+LP or 6n23+LP, 3과 LP를 동시 입력) <가드 대미지>
    통칭 청뇌신권(청뇌) 青雷神拳. 화랑의 초스카이와 커맨드가 같지만 이 쪽이 입력이 훨씬 더 빡빡하다.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 들어와서 막혀도 -9F로 딜캐가 없게 되었으며[60], 공중에서 맞으면 크게 스핀되면서 튀어오르기 때문에 서브의 역할로도 청뇌를 적극적으로 쓸 필요가 생겼다. 여기에 붕권이나 대초가 추가타로 넣는 것도 가능해져서 매우 강력한 마무리로도 쓰일 수 있다. 실제로 가정용 태그 2 심플 콤보가 기재되어 있을 만큼 청뇌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철권 7 FR에서는 아예 콤보시동기로 바뀌어, 필드에서의 사용 빈도가 매우 늘었다. 히트시 상대는 귀신권 정도의 높이로 떠, 강력한 콤보를 넣을 수 있다. 다만 철권 7 FR에서는 막히고 -10F으로 롤백되어 원투딜캐를 맞는다. 8부터 6n23+LP 커맨드로도 나가게 변경되고[61] 막히고 -11, 맞히고 콤보가 삭제되었다.
  • 풍신권 風神拳 (풍신스텝 중 RP)
    최속풍신권 最速風神拳 (6n3+RP or 6n23+RP)
    풍신류의 꽃으로 운영의 핵심이 되는 기술 중 하나. 풍신 막히고 -10. 기술 사양 자체는 다른 풍신류 캐릭터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타점이 좀 더 높고 초풍신의 경우 발동조건 때문에 리치가 아주 약소하게 짧게 느껴지는 편.
    최속 풍신권(일명 초풍)의 발동은 3과 RP를 동시에 누르는 것이다. 초풍이 되면 기술 스펙이 달라지므로 사용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거기다 조금 어중간하다 싶은 거리에서 초풍을 쓰면 은근히 헛치는 모습도 자주 나오는 편이라 헤이하치로 초풍을 자주 구사하는 플레이를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스틱을 앞으로 미는 시간이 길어지고 대시 초풍을 많이 쓰게 되는데, 발동조건과 더불어 다소 높은 타점 때문에 판정 싸움에서 초풍 답지 않게 밀리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거기다 막상 초풍을 가드시킨 후 적을 흔들만한 요소가 한정적이라 결국 초풍을 적중시킬 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 앞무릎이나 다른 중단기를 한참 깔아두다가 기습적으로 사용하여 카운터를 내는 방향으로 쓰거나 헛친 걸 딜캐하는 방향으로 쓰게 된다. 초풍에 극단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카즈야나 온갖 상황에 다채롭게 이용하는 데빌 진과는 달리 놈진의 초오찌와 유사하게 사용해야 제값을 하는 셈.
    8부터 6n3+RP 커맨드로도 초풍이 나가게 변경되어 카즈야, 레이나처럼 13F발동 초풍이 가능해졌다. 단, 카즈야레이나와 달리 무족 스텝이나 무족 풍신 스텝이 추가된 것은 아니며, 앞걸음 스텝(6n) 중 3RP에 단축 커맨드가 생긴 것이라 삑사리나면 그냥 풍신권이 아닌 오른어퍼가 나가며, 기상 13 초풍은 여전히 카즈야와 레이나의 전유물이다.[62] 그리고 초풍에 가댐이 생겼다. 대신 초풍의 판정과 횡잡이가 7보다 약해졌다.
    헤이하치의 풍신권은 철권 1 ~ 철권 3까지는 중단이었지만[63], 철권 TT 시절에는 특수중단, 철권 4부터는 상단이 되었다.
  • 격참각 激斬脚 (풍신 스텝 중 LK) <토네이도> <가드 대미지>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30. 풍신스텝 중 공참각과 비슷하게 뻥 차는 기술. 히트 시 상대를 다운시키며, 가드됐을 경우에도 가드가능 11프레임의 이득을 가져오고 벽에선 벽비틀 유발. 발동이 모션발동으로만 쳐도 27로 느린 게 단점.
  • 지참각 地斬脚 (풍신 스텝 중 3지속 LK)
    판정은 하단. 대미지는 24. 격참각과는 다르게 발로 하단을 후리는 기술. 히트 시 다운시키는 건 격참각과 같지만 그쪽과는 달리 막히면 매우 큰 딜캐를 당할 수 있다. 모션발동만 33으로 너무 느려 자주 쓰이는 기술은 아니다.
    7 시즌2부터 히트시 추가타로 귀신권이 들어가게 상향받았다.
  • 나락쓸기 奈落払い (풍신 스텝 중 3지속 RK)
    • 나락쓸기 뇌신권 奈落払い雷神拳 (나락쓸기 중 n LP)
    • 나락쓸기 범종락 奈落払い梵鐘落 (나락쓸기 중 LK) <가드 대미지 >
    • 나락쓸기 발꿈치 떨구기 奈落払い踵切り (나락쓸기 중 n RK RK)

    풍신류답게 역시 나락도 보유하고 있다. 헤이하치의 나락은 나락 중에서도 독특한데 일단 기본적으로 나락이 3타에 1, 2, 3타 불문하고 발꿈치 떨구기이나 뇌신권이 연계기로 들어가며, 1타를 노말히트로 맞으면 2타부턴 확정 히트가 아닌 주제에 1타는 다른 나락과 마찬가지로 막히면 다리가 부러지는 고로 필드에서 쓰는 경우는 매우 적다. 허나 양횡을 잘 잡고[64] 맞히고 7프레임 이득으로 후상황도 매우 좋으며 기습적으로 1타를 카운터로 맞추면 정축으로 콤보가 들어가기 때문에 쓰기 나름. 주로 나투뇌(나락 2타 뇌신)를 콤보용으로 쓰며 기상킥 연계는 벽콤으로도 애용된다. 나락 2, 3타는 태그2까지는 막혀도 모션과는 달리 딜캐가 없었으나, 철권 7부터 성능이 변경되어 막히면 기상킥 정도의 딜캐가 들어오게 되었다. 또한, 나락에서 파생되는 뇌신권은 가드시의 후딜이 -12로 크게 줄어들어서 벽에서 나락 2타와 나락1타 뇌신권의 막장 이지로 간간히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허나 시즌 2에서 파생기 뇌신권의 후딜도 늘어나서 이지선다를 걸기 더욱 애매해졌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8부터 3타 왼발로 이단 옆차기를 시전하는 기술, 상단 판정인 범종락이 추가되었고 나락종가르기 이후 2 유지로 풍신자세 이행이 가능해졌다. 또한 무의 경지상태에서 1타를 막아도 2타 심리가 걸리게 변경되었다. 범종락 가드시 +9, 벽에서 벽비틀 유발. 뇌신 가드시 -15.

뇌신호법
8에서 새로 생긴 자세로 오른발로 한걸음 전진하고 태권도 품새에서 나오는 뒷굽이 자세로 서서 아래 막기 모션으로 기를 모으며 헤이하치의 주변에 번개가 감돈다.
  • 뇌신호법 雷神呼法 (6AK)
    직접 자세를 잡는다.
  • 비전뇌신권 秘伝雷神拳 (뇌신호법 중 LP)
    승룡권과 모션이 비슷한 기존과는 조금 모션이 다른 뇌신권을 사용하는데, 6f부터 앉기 판정이 붙어 상단 무적이 된다. 17F 발동 중단. 막히고 -11로 청뇌와 동일.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가댐이 생긴다.
  • 라이키리마루 雷切丸(뇌절환) (뇌신호법 중 RP) <호밍기> <가드 대미지>
    17F 상단. 전진하며 오른속으로 호쾌한 훅을 날린다. 가드시 10F 이득이라 섬광이 확정, 맞히고 콤보.
  • 지진쇄 地鎮砕 (뇌신호법 중 LK) <가드 대미지>
    2LK를 사용한다.
  • 나락쓸기 奈落払い (뇌신호법 중 RK 3RK RK)
    나락을 사용한다.
  • 뇌방주수 雷放宙手 (뇌신호법 중 AL or AR)
    상단 잡기, 대미지는 30, 벽꽝시 42. 왼손으로 멱살을 잡아 올리는 모션으로 발동되고 성공 시 시계방향으로 냅다 던진다. 잡기 성공 시 필드에선 거리가 많이 벌어지고, 상대를 벽으로 던질 경우 추댐과 꼬인 심리전을 걸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뒤돌아 짠발이나 나막이 확정으로 들어가고, 되려 상대의 기상기에 맞는 상황도 연출된다. 벽에서 가드를 굳힌 상대에게 한 번쯤 써봄직한 기술.
    8에서 커맨드가 기존 236LP였고 통상 잡기 판정이었는데 뇌신 자세 파생 잡기로 변경되며 잡기 풀기가 불가능해졌다, 그 대신 대미지가 45에서 30으로 줄었다. 태그 2에서 쿠마와 태그 대응 잡기다. (일명 곰한테 밥주기)

풍신호법
8에서 새로 생긴 자세로 왼발을 한 걸음 전진하며 태권도 품새에서 보던 얼굴 막기 자세를 잡으며 헤이하치의 주변에 바람이 모여 회전한다.
히트상태에선 상중단기술을 전작의 반격기 모션으로 자동반격하며 히트게이지를 소모하고 체력을 회복한다.
  • 풍신호법 風神呼法 (2AP)
    직접 자세를 잡는다.
  • 풍신파쇄련격 風神破砕連撃 (풍신호법 중 LP LP) <히트 발동기>
    12F 상상판정 기술. 1타 히트시 2타 확정, 2타 히트시 벽꽝. 왼손으로 스트레이트 펀치 - 훅을 빠르게 2번 연계하여 공격한다. 2타의 모션이 7에 있던 6AK 자세의 왼손과 모션이 같다. 1타가 흡사 잽처럼 공중콤보에서 잇기 좋은데 대미지는 13으로 그런 류 치곤 강력해서 앞무릎 - 1타 같은 식으로 자주 콤보에 쓰인다. 1타 막히고 -4, 2타 -2.
  • 풍신철추 風神鉄槌 (풍신호법 중 LP RP)
    상중판정. 7까지 있던 기술 무쌍철퇴(왼어퍼투)의 2타 모션으로 내려찍는다. 딜레이를 줄 수 있고 딜레이를 좀 줘도 1타 히트시 2타 확정, 2타 히트시 상대 다운, 벽꽝. 2타 막히고 -13.
  • 비전풍신권 秘伝風神拳 (풍신호법 중 RP) <토네이도> <가드 대미지>
    15F 중단판정 풍신권을 시전한다. 히트시 곧바로 토네를 소모하며 콤보 가능. 대미지 20. 막히고 -10. 무의 경지상태에선 강화되어 대미지 24로 증가+가댐이 생기고 막히고 -3으로 딜캐가 사라지며 가드백이 크게 생기고 상대 파크, 패링을 무시하는 효과가 생긴다. 상단회피가 강하게 붙어있다. 반시계를 잡지 못한다. 앞무릎 자세 풍신의 루트로 쉬운 토네가 필요할 때 이용된다.
  • 풍신이선 風神裏旋 (풍신호법 중 LK RK) <가드 대미지>
    이선공인각을 쓴다.
  • 풍신 귀신 나막신(게다) 風神鬼下駄 (풍신호법 중 RK)
    상대 다운시 2RK로 나가는 밟기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모션으로 밟는다. 18F 하단. 맞혀도 -4 손해에 막히고 -14.
  • 풍천익 風天翼(풍신호법 중 AP) <파워 크러시> <호밍기>
    18F 호밍중단파크. 맞히고 상대 다운. 진파치 창문열기와 모션이 유사하다. 반시계를 잡는다. 막히고 -13. 왼팔을 바깥쪽으로 크게 휘둘러 공격한다.
  • 부싯돌 火打ち石 (풍신호법 중 AL or AR) <호밍기>
    대미지 15. 잡기 성공 시 상대를 잡고 박치기를 날리는데, 상대는 다운되지 않고 서로 선자세에서 헤이하치가 8프레임 이득 프레임이 발생한다.

    • 태그 2에서 미시마 일가에게 부싯돌 잡기를 쓰면 파더의 사랑(일명 궁디팡팡) 잡기가 나간다. 철7 스토리 모드의 보스 헤이하치도 마찬가지.
      8에서 기존 3RP+LK 커맨드에서 풍신자세 잡기가 되며 호밍판정이 붙고 잡기 풀기가 불가능해졌다. 대신 대미지가 25에서 15로 감소. 히트상태에선 맞히고 이득이 +7에서 +8로 늘고 히트게이지를 소모하며 자동으로 뇌신자세로 이행되지만 4유지시엔 선자세로 이행된다.

잡기
  • 맨손 조르기 裸締め(하다카지메) (AL) <호밍기>
    기본 왼잡기. 35 대미지. 기술명은 리어 네이키드 초크의 유도식 작명인 맨손 조르기. 맨손으로 머리를 조이는 헤드록 후 목을 꺾는다. 풀리고 -3 손해.
  • 금강떨구기 金剛落とし (AR) <호밍기>
    기본 오른잡기. 35 대미지. 상대를 잡아서 점프했다가 그대로 파워 밤.[65] 잡기를 풀면 서로 등을 보이게 되는데, 무려 서로 프레임 동등이라, 짠손은 백점프 컷킥에 뜨고, 백점프 컷킥은 뒤차기에 맞고, 뒤차기는 짠손에 맞는 삼각관계.[66] 잡기를 성공한 다음에도 +5라는 기본잡기 치고 굉장히 좋은 후상황을 갖는다. 바닥이 깨지는 잡기. 아버지인 진파치는 오른잡으로 상대를 들어 오른손으로 회전하면서 던지듯 내려찍는 초 금강떨구기를 사용한다.
  • 단두수 断頭手 (상대의 왼쪽에서 잡기) / 나락 奈落 (상대의 오른쪽에서 잡기)
    기본 왼 / 오른 옆잡기. 40 / 46 대미지. 둘 다 성공 시 상대는 가까이에서 쓰러진 상태가 되며 프레임 이득이 높다. 단두수는 상대방을 잡아 무릎위에 올려놓고 목을 손날로 내려치는 동시에 헤이하치의 몸에서 전기가 흐른다. 나락은 상대방의 등쪽 허리를 잡아들고는 그대로 바닥에 던져서 내려 찍는다. 나락은 측면잡기 중에서 대미지가 상당히 높으며 바닥이 깨지는 잡기다.
  • 인왕 부수기 仁王砕き (상대의 뒤쪽에서 잡기)
    기본 뒤잡기. 60 대미지. 상대의 뒤를 잡고 아토믹 드랍을 시전한다. +3인 상황이라 가만히 있는 것 말고 모든 발악을 짠발(1RK)로 끊을 수 있어 실질적으로 65정도 되는 높은 대미지 기대값을 가진다.
  • 초박치기 超ぱちき (9AP)[67]
    전통의 풍신류 공통 커맨드 양잡. 발동 12F. 대미지는 14, 21인데 벽 앞에서 맞을 경우 바닥 대미지가 없어져서 14로 줄어든다. 대신 벽 앞에서 잡기를 맞았다면 강벽꽝을 유발한다. 풀리고 0로 서로 프레임 동등.
    태그2에선 호랑이 코트 상의를 입으면 궁디팡팡 잡기로 바뀌는데 뒤로 날리므로 성능이 매우 달라진다. 철7에서는 아이템을 장착해도 그냥 초박치기.
    태그 2에서 공용 태그 대응 잡기이며, 다음 캐릭터들과 태그를 이루면 고유 태그 대응 잡기가 된다. 엔젤, 데빌 진, 진파치, 카즈야, 노멀진, 쿠마, 팬더, 아스카, 준, 언논, 리, 바이올렛.
  • 박치기 겨룸 ぱちきくらべ (9LP+RK)[68]
    커맨드 양잡. 초박치기와 비슷한 양손 잡기. 그냥 사용하면 평범한 박치기가 나가는데, 대미지를 받기 전에 상대가 왼손이나 오른손을 누르면 대미지가 줄어든다. 그 다음, 상대가 헤이하치에게 박치기를 사용한다. 시전자도 응수할 수 있으며, 오른손을 누르면 대미지가 증가하면서 응수를 끝낸다. 일반 초박치기가 나눠서 대미지가 들어가도록 바뀌었을 때에도 박치기 겨룸은 한 번에 피해를 받는 사양이 남아 있다.

    ▪️ 남캐: 잭, 쿠마, 레오 / ▪️ 여캐: 팬더
    남캐에게만 발동하고 여캐에게는 아예 잡기가 발동하지 않는다. 단, 7에서는 카즈미, 8에서는 레이나에게도 사용가능하고 태그2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엔젤에게도 박치기 대련을 거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버그가 아닌 해당 인물이 미시마류 사용자이기 때문이다.[69]

상대 다운 중의 기술
  • 귀신 나막신 鬼下駄[70] (상대 다운 중 2RK)
    통칭 밟기, 판정은 하단. 대미지는 30인데 다운기 특성상 보정이 들어가서 사실상 24. 다운된 상대를 밟는 기술. 상대가 기상해서 막히면 -14.

기타
  • 벽 반동 공격 (벽을 등진 상태에서 447)
    벽 반동 후 발로 찬다. 29F 발동, 발동 5F부터 점프 스테이터스, 발동 8~13F에 무적판정, 가드시 -1.

===# 삭제된 기술 #===
  • 레이지 아츠 (레이지 상태에서 2AP)
    7의 레아. 오른주먹으로 스턴을 걸고 DR시절의 더블어퍼인 무쌍연권으로 띄운 후 기를모아 강력한 쌍장으로 마무리한다. 막히면 뜨고 맞추면 대박인 그냥 평범한 중단 레이지 아츠다. 본래 귀신십자라는 나름 유용한 다운성 띄우기 기술이 2AP 커맨드에 들어가 있었으나 삭제. 보통 기존 기술들을 없애고 그 커맨드에 레이지 아츠를 넣는 경우 거의 안 쓰이는 잉여기술들을 빼고 그 자리에 넣는 경우가 많은데, 헤이하치의 경우 나름 활용도가 있는 기술을 빼버려서 원성이 많았다. 귀신십자의 모션은 철권 7 시즌3에서 신문귀십자 기술의 2타 모션으로 부활하였다. 후술하는 무쌍연권 같이 놔두면 밸런스를 해칠 위험이 있다고 판단해서 삭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 레이지 드라이브 (레이지 상태에서 4RP AP or LP 4RP AP)
    7의 레드. 나생문(4RP)이나 다문살(LP 4RP) 이후 박치기를 한다. 2타가 상단이지만 강제가드라 1타 막고 2타를 앉아서 피할 수 없고(다문살을 가드 못시키면 박치기가 앉아지니 주의), 히트시 바운드 모션으로 땅에 처박으므로 콤보가 가능하며 가드시 이득인 평범한 레이지 드라이브. 가드 시 이득이 +9프레임이므로 레이지 드라이브를 가드 시킨 후 오장혈괴(6lk)를 사용하면 상대의 모든 발악을 씹고 카운터를 낼 수 있다. 딱히 가드후 자체 파생은 없는 대신 콤보 도중에 사용이 가능하다. 상대를 바닥에 찍어버리고 밟기, 2lk, 청뇌 등을 바닥대미지로 넣을 수 있는 찍기류 레이지 드라이브. 시즌 3에 들어오며 4rp 단독발동이 아닌 다문살 2타에서도 이행이 가능하게 상향되었다. 평범하게 나쁘지 않은 레이지 드라이브.

  • 귀곡강장파 鬼哭剛掌破 (LP RP RP~AP)
    판정은 상 상 중. 대미지는 7, 8, 25. 전통의 원투쌍장. 귀곡연권에서 3타를 페이크성 펀치로 흘리고 강장파로 이행해서 공격한다. 히트 시 상대를 날려보내는 중단 타격으로 바뀐 기술. 쌍장은 막혀도 딜캐가 없지만 원투와 쌍장사이에 끊길 수 있다.
    8에서 삭제.
  • 귀곡련축 鬼哭連蹴 (LP RP RK) <토네이도>
    ~7의 기술, 상 상 상 판정. 대미지는 7, 8, 21. 귀곡연권에서 3타가 RK으로 바뀐 기술. 3타는 히트시 상대를 엉덩방아시키고 가드가능 16F 이득. 2타 카운터 시 3타 확정.
  • 이권이단 裏拳二段 (RP RP)
    ~7의 기술, 상 상 판정. 대미지는 10, 18. 전통과 역사의 풍신류 투투. 데빌진의 것과 같다. 말 그대로 이권을 두 번 쓰는 기술. 1타 히트 시 2타 확정이지만 2타는 히트시켜도 손해에 막히면 -13 ~ 14가량으로 딜캐가 있다. 10딜캐용으로 섬광보다 대미지가 좋은 대신 맞춰도 프레임 손해로 대미지 보고 쓰는 기술.
  • 이연강장파 弐連剛掌破 (RP RP~AP)
    이연강장파 부 弐連剛掌破・否 (RP RP~AP 2or8)
    판정은 상, 중. 대미지는 10, 25. 여기 쌍장은 -6이라 딜캐가 없다. 왕년에는 사기기술 투쌍장으로, 오른잽 이후 3타를 흘리고 쌍장을 쓴다. 5.1부터는 투 이후 쌍장이 확정이 아니지만 철권 5.0당시엔 확정에 상대는 스프링낙법만 가능해서 상대 후상황을 보고 대시 귀신권(66RP)나, 달려가서 2RK 밟기가 확정인 사기기술이었다. 10딜캐기로 사용하는 투쌍장-귀신권 대미지가 65라서[71] 우스갯소리로 풍신류가 아니라 투쌍장류라고 불렸다. 8에서 삭제.
  • 문전박대 門前払い (LK RK)
    14프레임 중장거리 딜캐기로, 1타 히트 시 2타가 확정이다. 왼발 오른발을 번갈아가며 상대방의 복부를 걷어 찬다. 2타가 막히면 프레임상으로는 딜캐가 매우 아프게 들어오지만 가드백 때문에 딜캐가 잘 들어오지 않는 편. 2타 단독 카운터 시 콤보가 되며, 1타 막으면 2타를 반시계횡으로 피하고 조질 수 있다. 8에서 삭제.
  • RK
    ~7의 기술, 상단. 고대미지에 상대를 날려버리는 상단 뒤돌려차기. 이 RK는 카운터시 스턴을 걸고, 그럭저럭 괜찮은 16f 발동에 쓸만한 리치, 막혀도 -9로 노딜이라는 특성상 쓰려고하면 쓸수 있을만한 스펙이었다.
  • 천추파단 天枢破断 (6RP LK)
    철권7 신기술로, 15프레임 발동에 판정은 상 중. 밥독기장 1타와 비슷한 모션으로 오른손 백너클로 상대를 가격한 뒤 오장혈괴(앞무릎)와 같은 모션으로 무릎으로 상대를 받아버리는 기술. 1타 히트 시 2타가 확정에, 주 용도는 콤보 연계기이지만 1타가 양횡을 잡고 2타 성능은 오장혈괴와 완전히 똑같고 1타 자체가 상당히 길어서 붕권딜캐나 깔아두기용으로 필드에서도 많이 쓴다. 8에서 삭제.
  • 격강장파 激剛掌破 (6RP~AP)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25. 오른손 백너클을 흘려 페이크를 주고 강장파를 살짝 느리게 시전하는 기술. 대신 그냥 강장파와는 달리 막히고 손해 프레임이 -12가 아니라 -6이다. 히트 시 상대를 다운시키는 건 강장파와 똑같다. 8에서 삭제.
  • 오장 부수기 五臓砕き (6LK)
    4~DR에 있던 중단 밀어차기. 카즈야의 철권 6 BR에서 생긴 귀축(6LK)과 비슷한 모션으로 찬다. 노멀 히트는 다운되지 않고, 카운터 히트시 브라이언의 마하펀치(66RP)를 맞은 것 처럼 다운된다.
  • 미시마류 봉살진의 자세 三島流・封殺陣の構え (6AK)[72]
    발을 바닥에 쾅 찍으며 앞으로 약간 전진하면서 자세를 취하는 기술. 발동 5~12프레임 중 상중단 펀치 기술을 패링하는 성능도 붙어 있다. 패링 성공 시 재빨리 파쇄권이나 폭쇄권을 쓰면 둘다 확정이다. 파쇄권을 써서 공콤을 먹이는 게 일반적. 자세중 2, 8로 횡이동이 가능해 약간 후딜을 줄일수 있고, 자세중 3이나 1로 캔슬도 되는데 상대의 펀치를 패링했을 때는 캔슬되지 않으므로 6ak-3-lp으로 좀더 안전하게 쓸수 있다. 헤이 손패링 안전하게 쓰는법 글 참조.
    철권 6까지는 커맨드가 2AK로 제자리에서 주춤서기 자세로 기를 모으는 모션이어서 실용성이 떨어지는 예능용 기술이었으나, 철권 태그2부터 커맨드와 모션이 지금과 같이 변경되며 실용성이 좋아졌다.
    • 봉살진 파쇄권 封殺陣・破砕拳 (봉살진 중 LP)
      판정은 상단에 호밍기. 대미지는 20. 봉살진 중 상단 훅으로 상대를 후려갈기는 기술. 히트 시 상대는 풀기불가 그로기 상태라 공콤을 이어나갈 수 있다.
    • 봉살진 분쇄권 封殺陣・粉砕拳 (봉살진 중 RP) / 봉살진 폭쇄권 封殺陣・爆砕拳 (봉살진 중 RP LP)[73]
      판정은 중, 중. 대미지는 20, 23. 두번 치고 2타는 상대를 내려꽂으며, 1타 히트 시 2타 확정. 1, 2타 전부 히트 시 상대를 다운시키지만 2타를 선입력했다면 1타가 히트해도 다운되지 않는다. 2타가 가드될 경우 헤이는 17프레임 손해고 상대는 앉은 상태가 된다. 봉살진의 자세도 전진성이 크고 이 기술도 추가로 전진하며 공격하는 특성 덕에 콤보를 거는 도중 스크류 기술로 거리가 벌어진 상대를 추격해서 추가타를 넣기가 쉽다. 태그2 이전-이후에서 좌우손 바뀌었는데 성능은 거의 같다.
    • 봉살진 두퇴쇄 封殺陣・頭槌砕 (봉살진 중 AP)[74]
      상단 가불기. 대미지는 35. 오른손에 전기를 모아 그대로 전진하며 강력한 꿀밤을 날린다. 가불기인데 상단이라 숙이면 피해진다. 4 입력으로 도중에 캔슬할 수 있다. 8에서 삭제.
  • 더블 어퍼 ダブルアッパー (3LP RP)
    철권 1에만 있던 더블 어퍼. 중복모션이 넘쳤던 철권 1이였기에 카즈야의 기술과 같아서 철권 2부터 교체.
  • 무쌍연권 無双連拳 (3LP RP)
    2 ~ 5DR에 있던 왼어퍼 후 귀신권을 쓰는 '선자세 13프레임 중단 띄우기'. 막히면 귀신권과 달리 가드백이 거의 없고 후딜이 길어 헤이하치가 죽긴 하지만 딜레이캐치용으로만 써도 사기 기술 등극. 같은 13F 노멀 히트 띄우기는 태그 1의 데빌의 더블 어퍼 정도만 비슷하게 쓸 수 있고 그외에는 카타리나 66RP RK, 카즈야 무족초 같은 경우는 13F으로 쓰기 힘든데다 상단이고, 그외에는 14F 띄우기는 모두 상단인 것을 비교하면 얼마나 사기적인지 알 수 있다. 밸런스를 고려해 삭제되고 무쌍철퇴로 바뀌었다.[75]
  • 3RP
    통칭 오른 어퍼, 첫 시리즈부터 있었던 전통의 기술표에 없고 이름도 없는 기술. 철권 3로 하여금 풍신류 중 진, 데빌, 엔젤도 같은 모션으로 가지고 있었지만 캐릭터 모델링과 모션이 바뀌고 스토리가 전개되며 캐릭터가 삭제되는 과정 속에서 유일하게 같은 모션이 유지되고 있는 오른어퍼이다. 보통 풍신 삑사리로 나가는 기술이라고 여겨지며 중단 카운터로 쓸만한 기술이 발동 18프레임짜리 앞무릎밖에 없는 헤이하치의 숨겨진 15프레임 카운터 기술로 활약할 수 있는 기술이다. 물론 인식은 그저 삑사리 기술. 데빌진 오른어퍼와 비슷하게 쓸 수 있지만 훨씬 짧다는 것이 단점이다. 8에서 삭제.
  • 삼도하 건너기 三途河渡し (3RP+LK RP)
    DR에만 있는 강력한 하단 타격잡기. 오른손으로 상대의 다리를 잡고 위로 들어올려 던지며 RP 입력시 금강창장으로 밀어낸다. 모션 보기 상대방이 서있을 때 한정으로만 잡을 수 있으며 공중에 뜬 적이나 누워있는 상대에겐 3RP+LK 히트시켜도 약손 1대 대미지만 들어가고 잡아 들어올리는 모션이 나오지 않는다. 이게 있어서인지 5~DR의 헤이하치는 복룡각, 영생문, 나락 등 삼도하 건너기 외의 하단기들의 대미지가 영 구렸고 DR에 있어 나름 괜찮은 헤이하치의 하단기였다.
  • 기와깨기 붕권 瓦割り崩拳 (2LP RP)
    2~3에 있던 기술. 폴의 그것과 거의 같다. 4편은 붕권부분이 삭제되고 기와깨기만 남았다.
  • 기와깨기 창장 瓦割り槍掌 (2LP RP)
    5~DR에 있던 기와 붕권의 헤이하치 버전. 붕권대신 금강창장(236RP)을 쓴다. 6BR부터 독자적인 기와깨기의 모션과 바운드기능이 있는 기술로 교체되어 삭제.
  • 파쇄충 破砕衝 (2RP+LK)
    서있으면 가불이 되고 앉아있으면 괜찮은 지뢰진류 기술. 기를 모아 지면을 주먹으로 쾅 내려찍어 지진파를 일으키고, 땅에 닿아 있으면 히트된다. 서 있는 상대에게 맞추면 대미지 없이 잠깐 주춤하게 만드는데 이때는 헤이하치가 3프레임 불리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다운 상태인 상대에게 히트시킬 경우 상대를 누운 자세 그대로 다시 띄워 버릴 수 있는데 이 때 레이지 아츠와 하단기 일부가 확정. 이를 이용한 대회 패턴도 있는데, 방금 유럽 대회에서 나온 헤이 사원맵 패턴 글 참조. 침대 철권을 하는 상태에게 종종 사용해주면 좋다. 한 때 레이지 아츠를 발동 중간에 끊어버리는 유일한 기술이었지만, 현재는 기가스의 레이지 드라이브가 발동될 때 이와 비슷한 판정으로 발동 중인 레아를 강제로 끊어버릴 수 있게 되어 유니크했던(?) 위치에서 내려오게 됐다.
    사실 내리찍는 주먹에 공격판정이 있는데 상대가 엄청 파고드는 기술을 쓰거나 할 때 맞기도 한다. 레딧 글 참조. 8에서 삭제.
  • 귀신 십자 鬼十字 (2AP)
    TTT2에만 있는 16F 중단 공콤 시동기. 양팔로 상대방의 옆구리를 강력하게 끌어안듯이 가격한다. 초풍을 자유자재로 못쓰면 16프레임 내에 띄우기 넣기가 힘든 헤이하치라서 괜찮은 시동기였다. 막히면 -13F. 철권 7에서 레아와 커맨드가 겹쳐 삭제되고, 나중에 신문귀십자(기상 LK AP)의 2타에 이 기술의 모션으로 들어갔다.
  • 암격쇄 暗撃砕 (1AP)
    단편류 기술로, 몸을 숙이며 뒤로 뺀 다음 낮은 자세 그대로 전진하며 적을 주먹으로 2대 때리는 기술로 판정은 중 중, 막히고 -13이다. 몸을 숙일 때 판정이 상당히 낮아서 상단회피는 물론 타점이 높은 중단도 회피하나 정작 컷킥류는 모션과 고저 차에 상관 없이 거의 맞기에[76] 상대를 보고 골라써야 할 기술. 고우키 장풍도 타이밍을 맞추면 피해진다. 8에서 삭제.
  • 불단 치우기 仏壇割り (4LP)
    TTT1~DR에 있던 중단 손바닥 내려치기. 발동 15F의 상대를 압박하는 기술로 막히고 -1F이고, 앉아 히트 및 카운터시에는 비틀거리는 모션이 나오지만 추가타가 없고 애매해서 사용처가 불분명한 기술.
  • 문경이권 刎頚裏拳 (4LP RP)
    판정은 상, 상. 손날로 목치기 - 한바퀴 돌며 상단 백너클 공격을 시전한다. 대미지는 14, 20. 1타 히트 시 2타 확정인데 1타가 호밍기라 빠른 상단 호밍기로 가끔씩 쓰인다. 2타에는 스크류 성능이 붙어 있으며 2타 단독 카운터 시 상대를 다운시킨다. 천마유린이 생기기 전 7 오리지널에서는 주력 스크류기였고 천마유린이 생긴 후 콤보에서는 거의 안쓰였지만 안정성과 대미지가 좋아서 시즌4 기준 천마유린보다 스크류기로 더 잘쓰인다.
    철권 6에서는 커맨드를 4LP RK으로 입력하면 문경 무릎 부수기라는 기술의 하단을 걷어차는 기술로 파생이 가능했지만 쓸모가 없었는지 7에 와선 삭제되었다. 8에서 삭제.
  • 문경강장파 刎頚剛掌破 (4LP RP~AP) / 문경강장파 부 刎頚剛掌破・否 (4LP RP~AP 2 or 8)
    판정은 상, 중. 대미지는 14, 25. 문경이권 1타 이후 2타가 귀곡강장파처럼 바뀐 기술. 후속 상황도 -6으로 거의 비슷하다. 태그 2 시절 청뇌왕 라이트가 중단견제용으로 애용한 기술이다. 8에서 삭제.
  • 문경 무릎부수기 刎頸膝砕き (4LP RK)
    6~BR에 있는 기술, 문경이권(4LP RP) 1타에서 하단 정강이를 걷어찬다. 카운터 히트 되어도 딱히 이득도 없고 문경이권은 상상, 이건 상하 연계라 이지가 안걸리므로 TTT2에서 삭제되었다. 발로 찰때 태그 2의 영생문(1RP) 처럼 "脚!"(아시! = 다리!)를 외친다.
  • 재앙 죽이기 崇殺し (4RP)
    6~BR에 있는 중단, 거의 하단을 치는 듯하게 낮게 손바닥을 친다. 카운터 히트 되어도 노멀 히트랑 같고, 모션상 상단회피가 있을 거 같지만 그런 거 없이 백대시 치다가 써주는 평범한 중단기이다. 태그 2부터는 나생문(4RP)으로 다시 롤백. 후속작에서 이 모션을 재활용해서 쐐기치기 기술이 구현되었다.
  • 진월선 真月旋 (4RK)
    오른발로 뒤돌려차기를 시전한다. 호밍기인데다 중단에 막혀도 딜캐가 없고, 발동도 적당하기 때문에 굉장히 좋은 기술. 여기에 벽스턴도 유발한다. 타점이 좀 높다는 것은 흠이지만 어느 정도 남발해도 괜찮은 기술. 7에서 가뜩이나 스크류기가 부족한 헤이하치인지라, 차라리 이 기술이 스크류기가 됐으면 어땠을까 하고 아쉬움을 표하는 유저들이 많았는데...철권 7 FR에서 스크류 유발기로 향상되었다. 그 결과 FR부터 헤이하치의 콤보 패턴에 다채로운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막상 새롭게 추가 된 스크류기인 천마유린에 밀려 잘 사용 되지는 않는 편. 8에서 삭제.
  • 강장렬파 剛掌烈破 (4AP AP) / 강장렬파 연 剛掌烈破・連 (4AP AP)
    판정은 중, 중. 대미지는 18, 24. 전진하며 양 주먹 동시에 지르기 -> 양 주먹으로 옆구리치기 모션의 쌍장을 두 번 쓰는 기술. 철4에서는 1타만 있었고 홀드가 가능했으며 홀드시 대미지가 36까지 늘었다. 1,2타 사이에는 18F까지 딜레이를 줄 수 있는데 1타 노멀히트시 10F 딜레이 주는 것까지는 2타가 확정히트한다. 2타가 히트할 경우 상대를 다운시키고, 가드되면 -13F. 리치가 제법 길어서 주로 벽앞에서 헛친거 보고 벽꽝용으로 쓰인다. 이따금씩 벽콤에도 사용하기도 한다.
    8에서 삭제.
  • 8RK
    15F 제자리 컷킥. 카운터 히트시에 공콤넣을 수 있게 뜬다. 막히면 -13. 같은 15F 중단 카운터 띄우기인 3RP와 비슷하게 쓰면 된다. 이건 뛰므로 발동 9F부터 점프 스테이터스가 붙는다. 8에서 삭제.
  • 나선습인각 螺旋襲刃脚 (9RK RK)
    1~4의 기술, 상 하 판정. 카즈야, 뎁진의 나선환마각(8 or 9RK RK RK RK)를 2타까지만 쓴다. 중복모션이 많았던 시절이니 만큼 헤이하치도 있었지만 같은 나선환마각처럼 이것도 무쓸모.
  • 시체 베기 骸割り (전방 대 점프 시작 중 AR)
    철권 1에만 있는 기술. 대다수 철권 1~2의 대점프 다운 공격과 마찬가지로 가지고 있었으나 이 기술이 데빌진(혹은 철권 3, 태그 1 진)의 9AR 기술로 넘겨졌다.
  • 청룡문 青龍門 (46RP RP LP)
    철권 5에만 있던 기술. 2타는 천마강복 (46RP RP) 2타를 사용하고 3타는 천마복멸(46RP LP) 2타를 쓰는 연계기. DR에서 각각 천마강복, 천마복멸로 기술이 나뉘어서 지금에 이르렀다.
  • 천마복멸 天魔覆滅 (46RP LP)
    천마강복 天魔降伏 (46RP RP)
    천마유린 天魔蹂躙 (46RP LK)
    판정은 각각 중 상 / 중 중 / 중 상. 1타는 15프레임 발동에 폴 용포와 비슷한 모션으로 상대를 팔꿈치로 가격한다. 셋 다 1타 히트시 2타까지 확정.
    천마복멸은 손바닥으로 얼굴을 쳐서 상대를 날리며, 막혀도 딜캐가 없다.
    천마강복은 등주먹을 내려치는 모션으로 공격범위가 복멸, 유린보다는 좁지만 2타 단독 카운터 시 상대를 띄우고, 막히면 앉은자세 -12이다.
    천마유린은 7FR 신기술로, 앞으로 나와 회전하며 발바닥으로 얼굴을 후려찬다. 스크류 판정이 있으며 역시 막혀도 딜캐가 없다.
    8에서 삭제.
  • 쇄신장 砕神掌 (44AP)
    판정은 중단. 대미지는 25. 풍신류 특유의 전기이펙트가 흐르기 때문에 흔히 전기먹이기라고 불리는 기술. 기를 모아 손날을 세워 강렬한 찌르기 공격을 날리는 기술로 히트 시 상대는 다운되며 가드시켜도 큰 이득을 가져온다. 다만 너무 느린 발동속도 때문에 실전에서 자주 쓰기는 힘든 기술. 뭔가 가불기일 것처럼 생겼지만 일반 기술이다. BR까지만 해도 이거 가드하면 섬광이 확정이고 섬광 맞으면 그대로 벽콤이라 벽에서 기습적으로 쓰였다. 태그2에서는 섬광 벽꽝이 삭제되었고 7에서는 섬광이 안 들어가게 되어 잘 안 쓰이게 된 기술. 철7 5.00 패치에서 가드시 벽 비틀 유발기가 되었는데 필드에서 +10, 벽에 닿아도 +12이상이 고작이라...
    8에서 삭제.
  • 붕권 崩拳 (236RP)
    1~TTT1까지 있던 기술로 철권 1 시절에는 캐릭터수를 뻥튀기하기 위해 카즈야 베이스에다가 폴의 기와, 붕권을 달아농은 정도의 팔레트 스왑에 가까운 캐릭터였는데, 그 잔재 중 하나. 철권 2까지는 폴의 그것과 모든게 같았으나, 철권 3부터는 차별화를 위해 노멀 히트시 밀려나는 거리와 화면 연출이 없고, 대미지가 달랐다. 붕권 스텝 역시 헤이하치에게 있었고[77], 철권 6BR까지 계속 있었다. 4편에서 붕권 스텝의 잔재가 남아 있었지만 손바닥으로 치는 금강창장으로 완전히 바뀌었다.
  • 10단 콤보 2 (3LK RP RP RK RK LP RK LP RP RK)
    10단 콤보 3 (3LK RP RP RK RK LP RP LP RP LP)
    3LK는 판정이 낮은 중단이라 이전에는 좌종 이후 건지는 용도로 쓰였다. 8에서 삭제.
  • 도발 挑発 (RP+AK)
    말 그대로 도발. 기본 자세에서 전기 이펙트가 발생하는 게 끝이다. 공방 견제중에는 커맨드가 겹치는 오른 잡기가 나가기 일쑤다. 앞으로나 뒤로 걷기, 앉았다 일어나기, 횡치고 전부 오른잡이나가는데 횡치고 4로 횡이동캔슬 후에 쓰는 게 제일 잘나간다. 기술표에는 없으나 사용 가능.
  • 열섬각 烈閃脚 (AP+AK (AP유지)28로 스텝 발동, 스텝중 8 or 9LK RK)
    기모으는 중 커맨드 입력으로 파란불이 붙으면서 강화된 이선공인각을 쓴다. 1타 대미지가 36으로 크게 늘어서 한방을 노리고 쓰는 예능용. 원본 이선공인각처럼 스크류가 되며 막히면 +3으로 계속 압박도 된다. 8에서 삭제.
  • 뇌신권(지) 雷神拳(遅) (6n23 지속 10~20 후 LP)
    열섬각 烈閃脚 (6n23 지속 10~20 후 LP, LP입력 중 28, 8지속하며 LK RK)
    철권 4에 있던 기술. 뇌신권(지)는 이후 후딜이 줄어, 추가타를 넣을 수 있고, 열섬각은 강화된 이선공인각(9LK RK).
  • 나락쓸기 귀신권 奈落払い鬼神拳 (나락쓸기(6n23 RK) 중 n RP)
    철권 3에만 있던 나락쓸기 연계기. 공콤에서는 뇌신권 루트가 대미지가 더 좋아서 쓸 이유가 없었고, 필드 이지로 쓰기에는 리스크가 많이 컸다. 귀신권만 맞아도 상대가 멀리 날아가기에 TTT1에서 삭제.
  • 10단 콤보 (3LK RP RP RK RK LP RK LP RP LP)
    철권 7에서 10단콤보가 대거 삭제되면서 삭제된 10단.
  • 뇌신의 태고 아이템 기술 (AP+LK)
    그냥 이펙트 붙은 도발 같지만 근거리에서 20의 피해를 주는 공격판정이 생긴다. 철7에서는 아이템이 없어서 사용불가.
  • 일철 一徹[78]
    철권 3: 상대의 특정 상단 오른발 기술이 카운터 히트시 1 or 4를 제외한 레버 입력.
    TTT1: 귀와(2LP+RK) 중 상대의 특정 오른발 기술이 히트시 자동 발동
    철3, TTT1에 있는, 자신이 먼저 대미지를 입고 상대를 밀어차버리는 일종의 반격기. 태그에서는 조건이 너무 박해 보이지 않고, 그나마 철3에서는 조건이 널널해 자주 보인다. 이 모션은 미시마류 금강벽의 자세(4LP+RK) 반격기 성공 모션으로 이어졌다.
  • 미시마류 금강벽의 자세 三島流・金剛壁の構え (4LP+RK or 4RP+LK)[79]
    상중단 반격기. 발, 제자리에 주춤서기 자세로 서서 양 팔을 크게 풍차돌리듯 휘두른 뒤 허리에 갖다대고 기를 모으는 모션인데 반격에 성공하면 주먹을 얼굴에 맞고 버틴 상태로 헤이하치 자신도 상대의 얼굴에 발을 올리고 전기 이펙트를 뿜어내면서 그대로 걷어차서 밀어버리는 모션. 발동시 3~30프레임동안 반격이 가능하며 31~66프레임동안 경직된다. 대미지는 30인데 컷킥처럼 공격시 상대가 떠있는 판정이면 공콤 첫타 보정으로 70%인 21만 들어가는. 상대방의 공격을 받아낸 뒤 반격하는 기술. 손발 기술들은 물론 팔꿈치, 무릎 공격이나 철산고류 기술, 몸통박치기류 기술, 박치기류 기술, 공참각류 기술, 양발 기술, 무기류 기술, 덤블링 기술(폴 66rk, 풍신류 rk_lk) 등등 장풍, 레이저만 아니면 전부 반격이 가능한 몇 안되는 반격기 중 하나.[80] 상대의 공격 자체를 일단 받아내기 때문에 반격 성공 시 25 + 반격한 기술의 대미지의 50%만큼 헤이하치도 대미지를 입는 식이라, 경우에 따라서는 반격에 성공했는데도 체력 상으로 손해를 보는 기묘한 경우도 간혹 발생하나, 어차피 상대가 딸피일 때 확실하게 처리하기 위해 쓰는 기술이라 큰 문제는 없다. 관절기, 타격기를 불문하고 넉넉한 판정으로 적의 압박을 끊는데 사용하기 좋아 공격을 받아내고도 가드 당하기 십상인 명봉익(3ap)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격이 발동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상술한 기를 모으는 모션으로 이행 되는데 양손에 기가 모인 이펙트가 몇 초간 지속된다. 이 기 이펙트가 남아 있을 때는 통상 공격 히트시에도 카운터 판정이 떠서 그에 따라 대미지도 늘어나지만 가드가 안 되는 상태이므로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된다. 미친 척하고 한 번 더 지르는 등 공격적으로 나서거나, 파쇄축으로 아예 누워버려야 덜 아프게 맞을 지경. 철권 3 시절엔 헤이하치가 기술 시전중 상단 판정의 오른발 공격을 카운터로 맞으면 나가는 자동 반격기였다. 8에서 삭제.
  • 엔젤, 진파치, 카즈야, 데빌 진 66AP / 쿠마, 팬더 66LP+RK / 쿠마 632146AP / 진파치 AL / 라스 666AR, 다이나믹 엔트리중 RP+LK / 사오유, 미하루 6RP+LK
    태그 2에서 헤이하치와 태그 대응 잡기.

9. 철권 외 게임에서

제비우스 3D/G의 플레이스테이션판에서 숨겨진 모드중에 1플레이어 기체의 모델을 헤이하치로 바꿀수 있다. 2P는 폴 피닉스로 변경되며, 원래 폴리곤을 적게 쓴 게임이다보니 폴리곤 모델 자체는 단순하기 짝이 없다.

남코X캡콤에서는 뒤에서 세는 게 빠른 약캐. 단타계열이라 콤보뽑기 힘들고, 단타공격력이 처럼 높은 것도 아니고, 아머 킹처럼 스킬이 좋은 것도 아니고. 초절륜인 베라보맨의 바쿠다 박사를 거둬들여서 자사의 로봇 사업 분야를 맡기고 있었으며 '그 바이러스'를 입수하려던 게 발각돼서 미국 통합 전략군의 조사를 받기 직전이었다. 그러나 그 바이러스는 누군가한테 새치기당한 모양. 물론 원작을 충실히 반영하여 여전히 아들, 손자와는 틈만 나면 잡아먹으려고 벼르는 중이다.

푸치마스!에서는 765 프로덕션의 스폰서로 등장.[81] 여기서는 미시마 재벌이 의류계에 마수를 뻗쳤다나 뭐라나.

프로젝트 크로스 존에서도 참전. 함께 싸웠던 전작 남코X캡콤과 다르게 적으로 나온다. 거기다 등장 버전은 태그2의 젊어진 상태 기준.

일단 프롤로그에서는 크리스&질, 레이레이, 부스지마, 프랭크가 휘말린 배[82]에서 아군으로 등장하는데 당연히 젊은 상태의 그를 보고 전작에서 같이 싸웠던 레이레이와 춘리, 켄은 저 남자가 헤이하치일 리가 없다며 본인이 알았다면 머리털을 죄 뽑아버리려고 할테니 / 남을 속이려거든 제대로 된 인간을 세우라"는 반응을 보였다.[83] 여전히 데빌 유전자를 노리고 있으며, 카즈야를 찾아다니다가 그 행방을 알려주는 조건으로 자벨 및 제다와 짜고 데미트리 성의 위치를 알려주는 등의 짓을 벌이다가 아군에 솔로로 합류한다. 이때 자벨과 작당하고 일을 벌인 것에 열받은 데미트리가 으르렁대지만, "물론 하고 있지. 이 내가 미시마 헤이하치로 산다는 각오를!"라며 얼굴에 철판을 깔고 나오는 꼴을 본 켄 마스터즈"이 아저씨는 확실히 미시마 영감이구만. 뻔뻔한 게 딱이야." 하고 단숨에 납득. 그래도 모습이 달라졌기 때문에 알아보지 못하는 알리사 보스코노비치에게 "그 말살 임무, 나도 어울려 줄까? 수고가 덜지도 모르잖느냐. 으하하핫!" 하다가 아키라한테 태클도당하고, 새로운 인물들이 추가되면서 그들이 가진 특수인자[84]나 각종 기술을 노리려는 생각도 품고 있다. 사실 일행과 함께 하는 목적 중 하나가 결계석의 힘이라는 것도 있었기도 했지만. 여전히 손자하고는 못잡아먹어서 안달인지라 "흥, 진만 튀어나가서 벽에 부딪쳤으면 참 좋겠구만." 하다가 이치몬지 바츠에게 당신 손자 아니냐고 태클당한다. 당연히 진도 "흥, 미시마 헤이하치만 튀어나갔으면 좋았을텐데." 했다가 사오유한테 한 소리 듣는다. 진-샤오유 듀오에게 배정해놓으면 전투 승리시 "이럴 때는... 엑설런트! 엑설런트라 하는 게 맞지!" 라는 샤오유의 대사에 헤이하치와 진이 "떠올리는 것만 해도 싫다"는 반응을 같이 보이기도.

솔로 유닛 사용 시 기술은 파산축-나락쓸기-청뇌신권-귀신권 콤보로 이어진다. 지상 연계가 가능한 캐릭터와 엮어주면 굉장히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캐릭터. 최종화 이후 엔딩에서는 힘을 잃어버린 결계석 따위는 남극에 있었던 "그 상자"와 마찬가지로 필요없다고 말하며 사라진다.

프로젝트 크로스 존 2에서도 등장. 섀도루의 계략으로 카무로쵸타나토스 바이러스를 퍼뜨린 혐의를 받아 나루호도 류이치에게 변호를 의뢰한다. 성능은 막 쓰기에는 불편하다. 아이러니 하게도 손주와 아들 페어와 궁합이 잘 맞는다. 물론 "3대가 함께 모여서 즐거운 가족모임을 해보자"고 했다가 "노망났냐 / 헛소리 그만해라"고 까인 다음에 "기술이 무뎌졌군. 나이는 못속이나? / 산에 가서 은거나 하는 게 어때"라며 디스당한다. 전체적 평은 남코X캡콤 때에 비하면 조금 나은 편. 블록 무효가 오토 스킬로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이 캐릭터도 남코X캡콤 개근 멤버.

페어 유닛과 서포트를 붙히면 원패턴으로 까인다. 이 영감이 워낙 저지른게 많은지라, 매번 "미시마 헤이하치. 또 뭔짓을 저지르는 거냐?"라고 추궁당하는 식. 물론 본인도 배째라 식으로 태연하게 뭔 짓 저지른다는 것을 발설해댄다.

단테와 버질이 언제나처럼 으르렁거리는 걸 보자 원래 가족은 사이가 나쁜 것이 정상이라고 끼어들었다가 "댁 정도는 아니다."라고 입을 모아 정색하는 대답을 듣기도 한다. 물론 콩가루 농도는 미시마 가문과 도토리 키 재기 수준이라 그다지 설득력은 없는 수준. 본작 시리즈에서는 미등장한 네로까지 더하면 뭐...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에서 Mii 파이터코스튬[85]으로나마 간접 등장하였다. 의 참전 영상 최후반에서 등장하여 나름대로 임팩트를 각인시킨 건 덤. 사쿠라이 마사히로의 말에 따르면 당초에는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참전시키는 것도 고려해봤지만 헤이하치의 움직임을 대난투 특유의 스타일에 맞게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해 철회했다고 한다.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에서는 다른 남코 캐릭터들과 함께 팩맨의 어필 중 하나로 등장한다.
이후 아들인 카즈야가 참전하게 되고, 헤이하치는 그 스테이지의 배경에서 등장하게 된다. 사쿠라이의 카즈야 소개 프레젠테이션에서 카즈야와 헤이하치 둘 중 한 명을 고민하다가 데빌 인자를 이용한 기술[86]이 대난투 스타일에 더 맞을 거란 의견이 주를 이루며 최종적으로 카즈야가 참전했다고 한다. 대신 헤이하치는 4성 레전더리 스피릿[87]으로 등장한다.

철권 니나: 데스 바이 디그리스(2005년)에 히든 보스로 등장한다. 최소 3회차를 진행해야 한다.

===# 소울 칼리버 2 #===
  • 프로필
이름 : 미시마 헤이하치(三島 平八)
나이 : 75세
출신 : 일본(일본 정부는 부정함.)
신장 : 179cm
체중 : 80kg
생년월일 : 불명
혈액형 : B형
사용무기 : 자신의 육체(갑옷 토시를 착용)
무기명 : 철권(갑옷 토시 : 기합일섬)
유파 : 미시마류 싸움 가라테
가족구성 : 애완동물 쿠마
  • 스토리
쿠마와의 산행 훈련을 마치고 헤이하치는 하산하면서 어느 온천 여관에 방문한다.
그 마을에서 제일 오래되었다는 여관에는 조상 대대로 물려받아 왔다는 물건이 있었다.
그 낡은 금속 파편과 함께 전해져온 오래된 그림 두루마리에 의하면 이것이야말로 중세 유럽사에서 유명한 '혼을 먹는 사검'인 소울엣지의 파편이라는 것이었다.

헤이하치는 쉽게 믿지 못하였지만 금속 파편을 보니 왠지 기분나쁜 기운이 느껴졌다.
그림 두루마리에 미츠루기라는 사무라이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으며 가 바로 세계를 돌아다니는 여행 끝에서 이 파편을 손에 넣었다는 이 집의 선조라고 한다.

혼란의 시대 속에서 수많은 전사들이 쟁취하기 위해 싸웠을 비검의 조각.
만약 진짜라면 여러 전사들의 영혼과 싸움의 기억이 머물고 있을 것임에 틀림없었다.
피가 끓었는지 헤이하치는 무심코 그 파편을 집었지만 그 요염한 광택을 바라보다가 헤이하치는 손가락 끝을 가볍게 베였다.

그 순간 헤이하치는 갑자기 현기증을 느끼며 마루에 손을 댔지만 그 손이 닿은 곳은 본래 거기에 있어야 할 다다미의 마루가 아니었다.
자신이 낯선 곳에 있음을 감지한 헤이하치는 그 땅을 방황하여 돌아다녀보니 난감하게도 자신이 서 있는 곳이 현대의 일본이 아님을 깨닫는다.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때 자신이 있는 곳은 16세기 후반인 것 같았다.

이전의 금속 파편은 헤이하치의 손 안에 있었다.
아무래도 이것은 진짜 소울엣지의 일부인 것 같다.
이 파편이 무슨 일을 한 것은 틀림없었다.

손을 베었을 때 헤이하치의 피가 과거 전사들의 기억들과 동조해 버린 것일까?
아무튼 헤이하치는 다시 현대의 일본으로 돌아갈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러나 잠시 후 걱정보다는 기쁨이라는 감정이 들끓었다.
소울엣지를 얻기 위해 많은 전사들이 싸웠다는 이야기를 여관에서 들은 바 있다.
그리고 헤이하치 자신은 지금 정말로 그 한가운데에 서 있는 것이다.
힘이 지배하는 싸움의 시대에서 자신의 역량을 잴 수 있다.
따라서 격투가로서 이 이상 좋은 무대는 있을 수 없었다!

남코를 대표하는 캐릭터여서인지 제작진의 애정을 받아 소울 칼리버 2에서도 출연했다. 철권 3~4편 정도의 스펙이 기반으로 추정된다.
플레이스테이션 2 버전 게스트 캐릭터로 등장하며 설정으로는 산행 훈련 후 온천여관에 갔다가 소울 엣지 파편에 찔리면서 차원 전이를 했다고 한다. 처음엔 우려를 하지만 곧 '이곳이야말로 힘이 지배하는 시대, 여기야말로 내게 최고의 무대다!'라고 기뻐하는 모습이 포인트. 스토리에 나오듯이 이 여관의 주인이 미츠루기 헤이시로의 후손이며 이 여관에서 보관중인 소울엣지 파편은 미츠루기의 전리품. 다른 캐릭터들이 죄다 무기를 들고 싸우는 게임에서 혼자서만 주먹으로 싸우는 대신 팔에 강철 보호대를 착용하고 있어서 이걸로 상대방의 공격을 막아낸다. 최종무기는 골 때리게도 팔 보호대까지 버리고 맨손으로 싸우며, 무기의 이름은 철권. 공격력과 방어력이 올라가고 상대에게 입은 피해 일부를 반사하지만 체력 게이지가 서서히 소진된다.

인페르노까지 잡고 나서 "쿠마가 네놈보다 몇 배는 더 강하겠다!"라는 무지막지한 대사를 내뱉었다.

성능은 그다지 좋은 편은 아닌 것이 흠. 다른 캐릭터들은 죄다 무기나 초능력을 쓰는데 헤이하치 혼자서 주먹 만으로 싸운다. 당연히 주먹만으로 싸우니 리치가 짧다. 그나마 장점은 공격들이 빠른 편에 속해서 속전속결에는 좋다. 단지, 소칼 2의 밸런스가 워낙 개판이라서 문제여서 그렇지, 나름대로 강력하다. 중요한 건 커맨드가 횡, 종 베기 계열이라서 철권 시리즈처럼 했다가는 큰 코 다친다.
여담으로 10단 콤보는 소울 차지를 모은 후에 쓸 수 있다.

철권 3 플레이스테이션 이식판, 철권 태그 토너먼트 PS2 이식판처럼 커맨드 입력을 하기 어려운 사람이 컴까기를 하며 컨텐츠를 막 열기 시작할 때 날먹 용도로 나생문이 활약할 수는 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리치 문제 때문에 마냥 쉽지만은 않은 편.

===# 킹 오브 파이터 올스타 #===


===# 플레이스테이션 올스타즈 배틀 로얄 #===

태그2때 성능을 기반으로 플레이스테이션 올스타즈 배틀 로얄에서도 나오는데 헤이하치보다 더 한 괴물(크레토스, 라쳇)들이 나오는지라 입지가 좀 좁아 보인다. 유일하게 일본어(?)를 구사하는 캐릭터이며, ○버튼을 이용한 반격기와 풍신 스텝(무적)이라던지 성능상 아주 크게 나쁜 편은 아니다. 별의 별 헤이하치의 상징적인 기술이 들어있으며, 심지어 철권 5 헤이하치 엔딩에서 구사했던 우주관광이 Lv.3 필살기로 나온다. 이 게임의 우정 출연으로 쿠마도 덤으로 출연했다. 전체적인 성능은 Lv.2 필살기로 먹고 사는 중견 캐릭터이다. 무엇보다 빨리 게이지를 채워서 킬을 하는 게 목적인지라 반격기와 풍신 스텝을 잘 다루는 게 승부의 갈림길.

주요 필살기 중에 Lv.1 필살기는 헤이하치의 가불기 귀와를 쓰는데 선딜이 너무 길어서 보고 회피할 수 있을 정도라서 보통 연계기로 "봉쇄진의 구 ~ 파쇄권(↓ + ○ ~ □)"의 공격을 히트한 뒤에 쓴다.

Lv.2 필살기는 쿠마를 소환한다. 발동 즉시, 일정 시간 동안 쿠마가 옵션처럼 따라다니는데, 상대방과 가까이 있을 시 알아서 처리해준다. 쿠마는 당연히 무적이고, 만나면 곧바로 킬을 한다. 알아서 해치우니 헤이하치로 상대를 굳혀놓고서 자동조종인 쿠마의 공격에 휘말리게 하는 악날한 짓도 가능하며, 덩치도 크니 공격범위도 넓고 스피드도 빠르며, 거기다 방귀까지 뀐다. 이 방귀에는 몇 초간 유지되며, 화면 1/5이 독가스 지역이 돼 버려서 거기에 있는 상대방은 회피할 수 없고 무조건 죽는다. 게임내 트라이얼 모드에서 헤이하치가 무한으로 소환하는 쿠마에게서 3번 살아남는 미션이 있을 정도. 제한 시간이 다되면 도발 포즈로 사라진다. Lv.2 필살기의 단점이라면 기술 시전중에 헤이하치가 타 캐릭터의 필살기에 맞아버리면 둘이 같이 사라지니 주의.

Lv.3 필살기는 앞서 요약했듯이 우주관광인데 연출에 비해 그저 모든 상대방을 원 킬 하는 것이라서 조금 비효율적이다. 그야말로 관광용 기술.

10. 기타

헤이치가 아닌 헤이치 또는 헤이치라고 잘못 알고 있는 유저들이 은근히 많다. 平八(평팔)[88]에서 八을 하치라 읽는다. 아니나 다를까, 리 차오랑은 '하치'라는 이름의 로봇을 만들어 "헤이, 하치"(Hey, Hachi)라 부른다.

분명 철권 스토리상 악역인데도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막나가는 아들과는 달리 은근히 착해지며[89] 개그만 뻥뻥 치고 다닌다.[90] 그러나 원래부터 막장은 아니었으며 헤이하치가 흑화한 이유는 따로 있었다. 게다가 악역이 된 후에도 위선일 가능성이 있기는 하나 세계평화를 좋아하는 것도 그렇고, 심지어 선한인격의 소유자라고 할 수 있는 손자 진도 6편에서는 비록 숨겨진 대의가 있었고, 본인도 스스로 죽어 속죄하려고 했다지만 전세계를 상대로 전쟁을 일으켰는데 비해 헤이하치는 순수한 선의는 아니겠지만 필리핀에 철권중을 파견해 구호활동을 하고, 학교와 병원, 테마파크 등 민간을 위한 시설 건립에 상당히 기여하는 등 나름대로 선을 지키거나 하는 면모도 보여줘 사업가로서의 역량은 손자보다는 훨씬 낫다고 할 수 있다.[91] 당장 손자인 카자마 진은 헤이하치가 설립한 미시마 공업고등학교 출신이다. 7편에서 카즈야가 이끄는 G사에 맞서서 매스미디어를 통한 선전전을 벌이는 것을 보면 생각보다 회사 이미지에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8편에서는 리디아에게도 예의는 커녕 시건방지다는 식으로 말하며 거칠게 때려눕히긴 했어도 적어도 요시미츠나 에디는 쓰러뜨리고 확인사살로 린치까지 가했으나 리디아는 쓰러뜨리고 더 건들지는 않았다. 그리고 덤으로 세이류와 철권승 한 명은 절벽으로 떨어뜨렸지만 확인사살로 린치까지 가한 에디와 요시미츠, 그리고 리디아는 절벽으로 던지지도 않았다.[92]

늙어서도 막장이라 그런지 꼰대 기믹도 있는데, 작중 자기보다 젊은 남자를 부를 때 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가하면[93] 일부 젊은 여자들에 대해선 계집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94] 다만 여자한텐 신사적이라 그런지 무턱대고 계집이라 부르진 않는다. 샤오유는 손녀처럼 대하고, 윌리엄스 자매에 대해서도 격의 없이 대한 편이다. 심지어 윌리엄스 자매는 헤이하치의 부하가 아닐 때는 헤이하치의 목숨을 노리는 경우도 있었는데도 격의 없이 대했다. 사실 꼰대들 중 여자한텐 신사적인 경우가 많긴 하다. 그 밖엔 리디아를 상대로는 리디아가 한 국가의 원수라 그런지 깍듯이 예의를 갖춰서 대했다. 이걸 보면 최소한 국가원수 등 권력자들을 상대로는 예외없이 깍듯이 예의를 갖춰서 대하는듯 하다.

혼마루를 비롯한 미시마 재벌 소유의 사찰들을 애지중지하고 관리해왔던 것을 보면 옛날 사찰 건축 스타일이 취향인 것으로 보인다.

세계관내 가장 부유한 갑부라서 그런지 자택이 크다. 헤이하치의 자택은 산에 위치해있고, 경호원들이 상주하며, 훈련장으로 쓰는 마당도 있는데다, 자택 내부에는 도자기, 사무라이 갑옷+일본도가 전시되어있다.

건축 스타일이라던지, 도복 디자인이라던지, 자택 내부에 전시된 물건들을 보면 전통을 계승하려는 성향인듯 하다. 그래선지 성격 자체도 보수적인 면이 있는데 실제로 일본에서 전통을 계승하려는 집안들은 보수적인건 물론이고, 그 보수성도 상상을 초월한다.

돌격 남자훈련소》의 에다지마 헤이하치를 모델로 삼았다는 얘기가 있다. 실제로 이름도 한자 하나만 다르고 성우도 동일하다. 하지만 캐릭터 설정이나 성격은 에다지마의 라이벌인 토도 효에에서 따온 듯 하다. 일본 정, 재계에서도 함부로 손을 못대는 재벌에 격투대회 주최자 등등.

펭 웨이와 함께 철권 시리즈의 메인 프로듀서인 하라다 카츠히로의 주캐릭터. 라스 알렉산더슨이라는 소문이 있지만 하라다의 주캐는 엄연히 헤이하치다.

태그 2에서는 스테이지 7에서 진파치와 고정태그로 나온다. 이기면 헤이하치가 비밀버튼(?)을 눌러서 바닥이 열리고 플레이어는 아래로 떨어진 후 8 스테이지에서 트루 오우거와 맞붙는다.

특이사항으로 게임 중 피격 시 비명 말고 제대로 된 말을 하는 몇 안되는 캐릭터이다. 철권은 특이하게 K.O당할 때 "No!!!"라고 외치는 폴 피닉스, 밥, 포레스트 로우[95] 제외하면 대전 중에는 대사가 거의 없고 대부분은 죄다 기합과 비명밖에 지르지 않는데, 헤이하치는 철권 4부터 6까지는 피격 시 "何?(뭐냐?)", "効かぬわ!(안 통한다!)[96]", "緩い!(허술하다!)", "浅い!(얕다!)"라는 4가지 대사가 출력되었는데 성우 교체 이후 태그 토너먼트 2부터는 "効かぬわ!"랑 '浅い!"라는 2가지 대사로 줄었다. 기합 대신 대사가 나오는 캐릭은 진(체스토!), 요시미츠(필살!), 스티브(원투쓰리포), 알리사(죽어!, 거기!, 갑니다!), 라스(사라져라!), 브라이언(예스!)등등도 있긴 하지만 피격 시에 대사가 나오는 캐릭은 헤이하치뿐. 현재는 두들겨 맞으면서 "Shit! God Damn!!!"을 외치는 네간이 추가되어 유일은 아니다.

태그2 고정 스테이지에서 패배하면, 헤이하치는 "네놈은 더 이상 쓸모가 없어!"라고 말하면서 플레이어 대신 진파치를 떨어뜨린다. 그리고 그 밑에는 오거가 있으니...[97] 명불허전 콩가루 집안.

개그 캐릭터화가 되긴 했지만 철권 시리즈 초대 최종 보스라는 점과 철권 시리즈가 시작한 원흉이라는 배경 때문에 크로스오버 작에서 상대 진영의 보스였던 캐릭터[98]와 대립구도를 쌓는 경우가 많다. 스크철에선 스파 진영의 보스 캐릭터인 베가와 대립구도였고[99] 철권 7에선 스파 진영의 보스 캐릭터인 고우키, SNK 진영의 보스 캐릭터인 기스 하워드와 대립 구도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미시마가 불사신의 기록
  • 사랑하는 아내가 갑자기 괴물로 변하여 공격해왔지만, 역으로 털어버린뒤 죽은줄 알고 눈을 감겨줬는데 다시 괴물이 되어 공격하려는 아내를 목을 졸라 죽이셨습니다. (과거)
  • 아들놈이 복수한답시고 절벽에 던졌지만... 기어올라오셨습니다. (1편 후)
  • 아들놈이 패한 뒤 괴물로 변신해서 다시 덤볐지만... 쓰러뜨리고 용암 속으로 던졌습니다. (2편 엔딩)
  • 아드님아드님의 괴물이 성공적으로 분리되고 나서 위험에 처하자 그 공격을 막아내셨습니다. 그러나 아드님께 또 한번 털렸습니다. 그리고 아드님의 썩소가 일품입니다. (2편 엔딩 alt)
  • 손자놈이 절벽에 던지고 추가타로 진공 무릎찍기를 시전했지만... 전혀 아파하지도 않고 여유롭게 일어나셨습니다. (3편 엔딩)
  • 같이 싸우던 아들놈이 배신하고 도망가는 바람에 깡통 로봇들의 자폭에 휘말렸지만 그 폭발에서 멀리 날아가기만 했지, 자가회복해서 살아오셨습니다. (5편 오프닝)[100]
  • (번외) 자기를 대신해 미시마 재벌을 지켜준 애완 곰엄청나게 깊은 함정에 빠졌지만 그걸 기어올라와 역으로 함정에 빠뜨리셨습니다. (5편 쿠마 엔딩)
  • 아버지아드님 그리고 손자분을 셋이서 로켓으로 승천시키셨습니다.[101][102] (5편 alt)
  • 있는지도 몰랐던 사생아가 아버지한테 총을 쐈는데... 총알을 이로 아작내서 뱉어내셨습니다.[103] 대사도 여유만만합니다. "그깟 장난감으로 날 쓰러뜨리겠다는 거냐!" (철권 6 BR 콘솔판 라스 알렉산데르손 시나리오 모드)
  • 한때 지휘하였던 부하놈들이 총 쏘다 안되니깐 로켓포를 쐈는데 그냥 튕겨내셨습니다. (철권 7/스토리)
  • 데빌화한 아들놈의 맹공을 받고도 기어이 살아서 마지막까지 싸웠습니다. (철권 7/스토리)
  • 아들놈에게 용암에 던져진 후 죽은 걸로 알았으나... 다시 돌아오셨습니다. (7편 후)
  • 다시 돌아오시고 난 뒤 기억을 잃어서 선역이 되셨었으나, 손자아들이 우주에서 대판 싸운것 때문에 날아온 운석에 박치기를 한 것으로 운석을 가루로 만들고 모든 기억을 되찾으신것도 모자라 최종오의를 습득하고 나서 자신을 이용하려는 철권승 수도승들을 혼자 모조리 때려잡아 절벽에 던짐과 함께 뛰어난 격투가 3명을 때려 눕혔습니다. (8편 DLC 스토리)
...인간이 아니다. 참고로 5편에서 당한 잭-4 자폭은 분화구가 생길 정도의 규모였다.[104] 데빌 인자 그딴 거 없어도 불사신 가문의 위대함을 몸소 증명하는 산 증인. 말 그대로 철권의 진정한 철인이다. 7에서도 계속해서 헤이하치가 인간이라는 것이 강조되는 동시에 데빌화한 카즈야를 상대로 끈질기게 버티면서 치열하게 싸웠었다.[105][106]

철권7을 끝으로 사망한 줄 알았으나 EVO 2024에서 복귀를 확정 지으면서 다시 돌아왔다.

헤이하치의 마지막 싸움에 재생되는 배경음악 Desperate Struggle은 데빌을 마주한 인간의 필사적인 혈투를 표현한, 헤이하치 헌정곡인 셈이다. 특히나 미시마 가문이 과거 헤이안~가마쿠라 시대에 걸쳐서 악귀 퇴치로 활약했던 걸 생각하면...

1990년대 존재하던 게임 라인 잡지에서는 개드립성 내용으로 가득한 기획 특집이던 세계 정복을 꿈꾸거나 실패한 격투 게임 속 인물들에 대해 다룰 때 헤이하치 문단에서 헤이하치가 세계정복에 실패한 건 집안을 제대로 간수하지 못해서라고 적었다. 내용 전체는 사실과 왜곡을 교묘하게 뒤섞었지만 헤이하치의 행적을 보면 절묘한 평가라 할 수 있다.

철권: The Motion Picture에서는 1을 기준으로 최종보스로 나온다. 더빙판에서는 아버지와 아들의 싸움이 정서에 좋지 않다며 스승으로 변경되었다. 더빙판을 보면 어머니 사진을 멋대로 빼앗는 스승이라는 설정이 괴리감이 좀 있다. 더빙판 이름은 흑룡이가 미시마 기업은 오룡으로 변경되었다.

철권 7에서 노안 이미지가 생겼다. 카즈미는 젊을 때 몸집이 작았는데 헤이하치는 정황상 청소년기 때부터 현재의 떡대까지 급성장해서 생긴 일. 심지어는 20대 시절에도 수염이 많았던 것으로 묘사된다.[107] 여담이지만 한손으로 카즈미의 목을 조르는데, 한 손이 목 둘레의 절반 이상을 감싼다. 헤이하치의 손이 크거나 카즈미의 목이 얇거나 둘 중 하나이다.

태그 2의 라스 엔딩에서, 라스가 먹으려던 다시마를 자신이 빨아들여 다시마 헤이하치로 등극했다.

유튜브의 영상툰 중 하나인 갓쇼툰에서 높으신 분으로 나오는 캐릭터는 무려 헤이하치의 헤어 스타일을 하고 있다.

네이버 웹툰인 혈액형에 관한 간단한 고찰에서 특별출연. 버스 기사로 일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며 운동회 에피소드에서는 B형과 2인 3각으을 하게 되는 교직원으로 뽑히게 된다. 긴장한 B형에게 너를 보니 손자 녀석이 떠오른다고 하는 건 덤. 패러디나 오마쥬, 캐릭터가 코스프레를 하는 식도 아닌 진짜로 2번이나 등장시킨 걸로 볼때 작가의 열렬한 팬심을 엿볼 수 있다.

2023년 6월, 반다이 남코 어뮤즈먼트아버지의 날(6월 18일)을 맞이하여, 미시마 집안의 헤이하치-카즈야 부자의 이야기를 트윗으로 들려주었다. 아들 카즈야는 아버지의 날을 기념하여 아버지에게 용암 목욕을 선사했다.

파일:헤이하치군.png
하라다 카츠히로는 자기가 키우는 개에게 헤이하치라는 이름을 붙였으며 부를 때는 '헤이하치 군'이라고 부른다. 자기 트위터에 종종 헤이하치 군의 근황을 올리기도 했는데, 2023년 기준 16세로, 개의 평균 수명을 넘어선 노견이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헤이하치 군은 철권 8이 나오기 불과 1~2달 전 2023년 말에 명을 다했다.

8에서 나온 미시마 가문의 역사를 보면 미시마 가문의 조상들은 외모가 중년 시절의 헤이하치와 닮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시마 가문의 조상들 중 생전에 미야모토 무사시랑 대결한 것으로 보이는 한 가주는 뒷머리의 생김새가 딱 중년 시절의 헤이하치와 판박이로 묘사된다.

레이나가 등장한 이후로도 사생아가 17~24명 정도 더 있다는 것이 드러나며 싸튀충 기믹이 강조되었다.

비록 철권 7 이후로 스토리의 중심에서 퇴장하였지만 사후에도 철권 세계관에 여러 모로 큰 영향력을 끼쳤는데 헤이하치의 사망 이후로 그나마 전 세계의 패권을 휘어잡고 나름대로의 질서 아래 그 평화와 세력을 유지했던 미시마 재벌이 몰락하게 되면서 세계는 카즈야에 의해 또 다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고, 게다가 그가 남긴 자식 중 하나의 존재로 인해 미시마 집안은 물론이고 그나마 조용해질 것 같았던 세계 역시 또 다시 혼란에 휩싸일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더군다나 그가 남긴 자손의 존재가 가진 힘을 생각한다면...[108]

철권 8에서 부활했기 때문에, 애완용 쿠마 등 헤이하치를 기다려온 이들은 "헤이하치 님이 살아 계시다, 헤이하치는 죽음을 경험한 적이 없다"를 외칠 수 있었다. 그 뿐만 본인이 부활하면서 그동안 연관되고 연루된 인물들이 헤이하치에 대한 증오심을 다시 한번 드러내고 있다.[109] 그리고 고우키(철권)는 카즈미 공의 약속을 지켜야 할 이유가 다시 한 번 생겼다. 그리고 철권 8에서의 성우는 철권: 블러드라인 애니메이션에서의 성우가 그대로 캐스팅되었다. 성우 정보를 펼쳐보면 열거된 일본 성우들을 보면 긴가 반조(철권 1), 타카기 와타루(철권 2)를 제외한 전원이 옆동네의 애니메이션에서 캐스팅된 적이 있다.

철권 8에서 새로 추가된 뇌신, 풍신 자세 무브셋은 가라테카 코우세츠 타쿠마(纐纈卓真)의 도움을 받아 만들었다고 한다.#

완결된 네이버 웹툰 판다독에서는 '헤이핥기'로 패러디돼서 나오며 '명품백 든 토끼'를 조심하라는 말을 판다독에게 남긴다. 웃긴 건 판다독은 '명품백 든 토끼'를 이기려고 헤이핥기에게 가르침을 청했다는 것이다...

10.1. 헤어스타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52525>커트댄디컷 · 투블럭 · 리프컷 · 바람머리 · 보브컷 · 레이어드컷 · 샤기컷 · 울프컷 · 크롭컷 · 스왓컷 · 크루컷 · 삼묵컷 · 허쉬컷 · 히메컷 · 원블럭 · 슬릭컷 · 아이비리그컷 · 드롭컷
볼륨펌 · 다운펌 · 뽀글이 파마


<colbgcolor=#f5f5f5,#252525>앞머리가르마 · 가린 눈 · 가린 비대칭머리 · 여신앞머리 · 깻잎머리 · 삼지창머리 · 시스루 뱅 · 더듬이 · 리젠트 · 메시룩 · 애교머리 · 올백 · 쉼표머리 · 일자 앞머리·뱅헤어 · 처피뱅 · 사이드뱅
윗머리모히칸 스타일 · 빗자루 머리 · 파인애플머리
옆머리투블럭 · 긴머리 투블럭 · 레이어드컷 · 상고머리 · 애교머리 · 히메컷 · 양갈래 머리
뒷머리샤기컷 · 울프컷 · 투블럭 · 상고머리 · 제비초리

직모볼륨매직
곱슬미역머리 · 아프로 · 웨이브 헤어 · 롤빵머리 · ·
기타더벅머리 · 바가지머리
올림머리똥머리 · 경단머리 · 만두머리
땋은머리레게머리·드레드록스 · 벼머리 · 댕기머리
묶음머리포니테일 · 꽁지머리 · 사과머리 · 단명헤어 · 반머리 · 양갈래 머리
전통머리상투 · 가체 · 변발 · 촌마게 · 선녀머리 · 아마소기
서브컬처헤어 스타일 모에 · 바보털 · 수염컷 · 헤이하치 컷 · 유희왕/헤어스타일
스타일링헤어롤 · 무스 · · 포마드 · 헤어스프레이 · 왁스 · 컬링 에센스 · 고데기 · 헤어드라이어 · 이발기 · · 가위 · 머리끈 · 머리띠 · 머리핀 · 헤어밴드 · 흑채 · 가발 · 미용가위 · 커트보 · 셀프컷
관리머리감기 · 샴푸 · 린스 · 트리트먼트 · 두피팩 · 헤어에센스 · 헤어토닉 · 떡진 머리 · 탈모 · 손상모 · 새치
미용실이발소 · 블루클럽
기타패션·뷰티 관련 정보 · 머리 길이 · 머리 색 · 외모 관리
}}}}}}}}} ||

특유의 헤어스타일 덕분에 빗자루 머리 [110], 재규어 가면을 쓴 과 더불어 철권 캐릭터들 중 가장 인지도가 높다. 미시마 가문의 피가 흐르는 남자들 치고 머리모양이 특이하지 않은 사람이 없긴 한데... 저런 식의 머리를 한국에선 보통 닭날개 머리 또는 헤이하치 머리라고 부른다. 이말년의 양산형 캐릭터들이 많이 하고 나오는 헤어스타일이기도 한데, 아예 헤이하치컷이라고 이름도 붙였다. 환세취호전에서 해변마을의 병원에 누워있던 권사도 유사한 머리를 하고 있다. 사실 이 헤어스타일의 원조는 록맨 시리즈Dr. 와일리다. 이런 헤어스타일이라서 그런지 기본 잡기라던가 통상 태그 잡기가 박치기이며 7편에서 마지막에 구사한 기술도 박치기이고 8편에서 철권승에 의해 봉인된 기억을 되찾게 한 기술도 역시 박치기다.[111] 딕헌터 신동훈은 2009년에 무한도전에서 헤이하치 머리로 출연했다.

11. 둘러보기

파일:Tekken Unlimited.png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언리미티드'']]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펼치기 · 접기 ]

파일:철권 7 로고.png
철권 7 출전 캐릭터

파일:tekken8_logo_nonum.png
철권 시리즈 역대 보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 / 중1 / 중2: 중간(1/2) 보스 / : 최종 스테이지 보스
<colbgcolor=#000>철권헤이하치[1]
철권 2카즈야[2] · 데빌 카즈야[3]
철권 3헤이하치[4] · 오거 → 트루 오거
철권 4헤이하치[5]
철권 5[6]데빌 진[7] · 진파치
철권 6아케이드: 낸시중1[8] · 중2[9] · 아자젤[10]
시나리오 캠페인: 아자젤중1 · 알리사중2 ·
철권 7[11]아케이드: 헤이하치[12] · 카즈미 → 데빌 카즈미[13]
스토리 모드: 데빌 카즈야 · 진 고우키히든[14][15]
철권 8아케이드: 데빌 카즈야[16]
스토리 모드: 아자젤 · 카즈야[17]
Unforgotten Echoes: 리디아
철권 니나: 데스 바이 디그리스안나[18]
철권 태그 토너먼트언노운
철권 태그 토너먼트 2헤이하치 & 진파치중1 · 오거중2 · 언노운
[ 각주 ⠀ 펼치기 · 접기 ]

[1] 가정용 버전에서는 플레이어가 헤이하치면 보스는 데빌 카즈야[2] 가정용 버전에서는 플레이어가 카즈야면 중간보스는 헤이하치, 데빌 / 엔젤이면 중간 보스는 [3] 가정용 버전에서는 플레이어가 데빌이면 최종 보스는 엔젤[4] 플레이어가 헤이하치면 중간 보스는 [5] 스토리 배틀을 플레이한 경우 플레이어가 헤이하치면 보스는 카즈야, 화랑 혹은 카즈야일 경우 보스는 , (=바이올렛)인 경우 보스는 컴봇[6] PS2판 타임어택 모드 한정으로 스테이지 7에서 히든 보스로 헤이하치가 난입, 레이븐/잭-5/카즈야는 상호작용 이벤트 존재[7] 스토리 배틀을 플레이한 경우 플레이어가 화랑이면 중간 보스는 , 데빌 진이면 중간 보스는 아스카, 헤이하치는 카즈야, 카즈야 혹은 왕 진레이 혹은 레이븐헤이하치, 진과 아스카는 데빌 진을 제외한 랜덤[8] 아케이드 모드 플레이 시 등장, 엑스트라 스테이지로 취급되며 패배해도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9] 스토리 배틀을 플레이한 경우 일부 캐릭터는 변동 혹은 미등장[10] 스토리 배틀을 플레이한 경우 일부 캐릭터는 변동 혹은 미등장[11] 트레저 배틀 보스(진 고우키 or 각성 헤이하치 or 데빌 카즈미 or 데빌 카즈야 or )는 일정 확률로 스페셜 매치로 난입[12] 7 오리지널 한정으로 조건부로 이 중간보스로 난입.[13] 만일 한 라운드라도 퍼펙트로 승리하면 고우키가 카즈미 대신 등장.[14] 진 고우키는 스토리 모드 최종장 클리어 후 히든 챕터에서 등장[15] 개별 캐릭터 에피소드의 경우 각자 라이벌 매치로만 진행[16] 만일 한 라운드라도 퍼펙트로 승리하면 아자젤이, 2번 퍼펙트로 승리할 시 트루 데빌 카즈야가, 3번 이상 퍼펙트로 승리하면 엔젤 진이 데빌 카즈야 대신 등장.[17] 개별 캐릭터 에피소드의 경우 변동 혹은 미등장[18] 히든 보스는 헤이하치
}}}}}}}}}



[1] 예외적으로 철권5, DR에서는 아마도 부분이 없었다.[2] 철권 1,2의 젊은 시절에는 180cm / 82kg, 머리가 하얗게 센 철권 3 이후로 179cm / 80kg. 철권 8에 들어 신체지수가 조정되며 몸무게가 증가했다. 이렇듯 설정상 키는 후대인 카즈야와 진보다 작지만, 게임 내부에서는 더 큰 준뚱캐 판정을 받아 일반 크기 캐릭 판정의 카즈야, 진은 안 맞는 콤보도 맞곤 한다. 실제로 인게임에서 키를 재보면 미시마 3대 중에서 가장 크다. 키가 적게 잡아도 180 중반 정도로 보이며, 체중도 미시마 가에서 제일의 근질을 가진 헤이하치답게 3대 중 제일 무겁다.[3] 아들 카즈야의 취미는 스니커즈 수집으로, 이런 부분을 보면 피는 못 속이는듯. 얼마나 좋아하는지 철권 5 커스터마이징에 게다 아이템이 있고, 철권 6 헤이하치 엔딩에서는 우주복 발바닥 부분이 게다 모양이다.[4] 대회 프로필에 가식으로 거짓을 적어둔 듯하다. 철권 1 시점에서 이미 "자신을 위한 최강 병사들을 모으기 위해" 대회를 개최했다는 설정이었고, 설정상으로도 벌써 악행에 물든지 한참 됐다. 다만 밑의 소개란에서 하술한 대로 세계평화를 추구하는 것은 어느 정도는 사실인 것으로 보이나, 그것도 결국은 자신의 야망으로 전 세계를 지배하려는 목적 때문에 그럴싸한 명분이자 구실로 합리화시켰다는 것이 문제다.[5] 와타시도 혼용.[6] 레이나 한정[7] 쿠마링 샤오유에게 한정[8] 일본어 더빙을 담당했다. 후임 성우들 중 1명인 고리 다이스케가 사망하여 의도치 않게 헤이하치 역으로 복귀했던 것으로 추정된다.[9] 이 시절의 음성을 마음에 들어하는 유저들도 있다. 특히 왼잡기인 맨몸조르기를 걸 때의 목소리를 선호하는 편이다. 게다가 타카기 와타루의 연기력도 출중해서 다시 한 번 담당하길 바라는 팬들도 있을 정도다.[10] 2010년 1월 17일 사망[11] 드래곤볼 애니메이션의 미스터 사탄 등 고리가 맡았던 역을 다수 이어받았다. 그러나 이시즈카 운쇼도 2018년 8월 13일에 식도암 치료 중 사망. KOF 올스타에는 2019년 11 ~ 12월에 콜라보 이벤트로 등장. 철권 7에서의 음성을 재활용.[12] 스트리트 파이터 6에서 베가를 연기했다. 두 캐릭터 모두 전작에서 사망했으나 바로 다음 시리즈에서 부활했다. 그러나 베가의 경우는 스파 4와 스파 3 사이인 스파 5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스토리 순으로 따지면 시리즈 두 번 걸쳐서 부활한 셈이다.[13] 페이트 제로4차 라이더, 리그 오브 레전드가렌, 니어 레플리칸트아버지 니어, DOA5LR라이도우 등을 맡았다. 현재는 폴 피닉스의 성우를 담당하고 있다.[발음] 와시노 아라타나와자, 아지왓테미루가이이[15] 그밖에 양아들로 리 차오랑, 혼외자로 라스 알렉산데르손레이나가 있다.[16] 아내인 미시마 카즈미가 진정한 원흉이었고, 헤이하치 역시 최대 피해자 중 한 명이지만 철권 시리즈에서 헤이하치가 벌였던 짓과 그로 인해 발생한 후폭풍은 옹호하기 어렵다. 사실 제작진이 철권 7에서부터 행적에 정당성을 부여하려고 억지 설정을 추가한 탓이 크다. 1부터 6까지 여러 사람의 인생을 망쳤는데 7에서 갑자기 미화되는 등 스토리 질이 좋지 못하다.[17] 철권 1, 2서에도 검정 도복을 입었지만 헤이하치의 나이가 나이인지라 현재 시기상으로 표현. 참고로 철권 3에서는 1P는 상반신 탈의에 하카만 바지, 2P는 무스탕을 입었다. 무스탕은 플스판 철권 3 오프닝 무비와 태그 토너먼트 오프닝 무비, 철권 4 오프닝 무비에서도 나온다. 격투가 헤이하치가 아닌 총수 헤이하치로서는 주로 무스탕을 입던 걸로 보인다.[18] 그리고 철권 7 스토리 모드의 최종 결전에서도 이 도복을 입고 싸움에 나선다.[19] 헤이하치는 철권 1, 2때는 대머리 헤이하치에 검은 머리였다. 1때 나이가 54세이므로,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서 회춘한 미시마 헤이하치의 나이는 그보다 아래라는 게 된다.[20] 철권 7 가정용판의 스토리 모드에서 철권 1~2를 비롯한 과거 스토리도 다루면서 이 형태의 헤이하치도 메인 스토리를 통해 등장한다. 또한 7편의 커스터마이징에서(아케이드, 가정용 둘다 포함) 젊은 헤이하치의 수염과 머리스타일을 제공하기도 한다.[21] 실제 나이는 7~8살 정도는 차이가 난다.[22] 비록 데빌을 없애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해도, 아버지라는 작자가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최악의 악행을 저질렀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거기다가 7편 스토리 모드를 플레이해본 사람은 알 수 있듯이, 카즈야를 철저히 농락한 다음 절벽에 던졌다. 게다가 당시의 헤이하치는 카즈야에게 데빌 인자가 있다고 확신한 것이 아닌 있냐는 의구심을 가졌기에 카즈야를 절벽에 집어던진 것은 데빌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 아닌 자신의 안위를 위협할 존재를 사전에 제거하기 위함인 게 더 크다.[23] 하지만 그 미시마 재벌도 결국 패망했으니 일본 정부가 미시마 재벌의 눈치를 볼 일은 없어졌다. 대신 G사의 눈치를 보겠지만. 비슷하게 카즈야도 일본 국적을 스스로 버렸다.[24] 리리는 아버지 사업을 부도낸 미시마 재벌 때문에 미시마 가문과 관련된 사람 모두를 증오한다. 헤이하치 스토리의 경우 헤이하치가 리리의 행동을 보고 "난 여자에게는 상냥하지만 이번만은 안되겠다."라고 말할 정도.[25] 이는 헤이하치의 꿈 중 하나가 '세계 평화'인 것에서도 엿볼 수 있다. 다만, 말이 좋아서 세계 평화이지 본인의 지금까지의 야심과 만행으로 미루어 본다면 이 세계 평화라는 것은 허울좋은 명목이고 실질적으로는 자신의 지배하에 세계를 정복하고 주무르려는 의도가 다분하다고 볼 수 있다.[26] 다만 블러드 벤전스는 본래의 스토리와는 연관이 없는 패러렐 월드이기에 제외.[27] 애초에 철권 7에서도 나왔다시피 국력의 규모는 자신의 재벌보다 작을지언정 엄연히 국가인 폴란드, 그것도 국가 고위직인 총리이던 리디아 소비에스카에게 정중하면서도 은근히 압박을 가하는 고압적인 논조의 편지를 보냈다는 것부터 이미 헤이하치의 본색이 드러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8] 8편에서 나온 트루 데빌 카즈야처럼 외부(아자젤)의 힘을 흡수한 것은 아니고, 자신이 보유한 (진에게 절반이 넘어간) 데빌의 힘만을 극한까지 이끌어낸 형태이다.[29] 사실 용암에 빠지기 직전 누군가가 구해내서 무사했던 것이고 용암을 빈사 상태의 맨몸으로 버텨낸 것까진 아니었지만, 진상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그런지 라스, 레이븐, 리로이를 만날 시 용암탕 온도가 딱 좋았다고 너스레를 떠는 특수 인트로가 생겼다.[30] 요시미츠와 에디 둘다 작중 몇번이나 철권 대회 본선에 진출한 강자이며, 특히 에디는 비록 카즈야에게는 패배했지만 진이 철권중으로 고용할 정도이고 8 DLC에서 헤이하치가 부활하기 전에 니나를 상대로 무승부를 내고 잭-6 부대가 짊어지고 있던 미사일 폭발에 지근거리에서 휘말리고도 멀쩡하게 서서 불길을 다리 한 번 휘둘러 꺼트리는 인물이다.[31] 헤이하치가 어린 카즈야를 절벽에서 던졌을 때와 2편에서 분화구에 던졌을 때 살아남은 것은 데빌 덕분이라고 표현되며, 진의 경우 8편에서 데빌 진이 항상 자신을 지켜주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32] 카즈야도 엄청난 덩치의 아자젤과 거대한 쇳덩어리인 잭-4를 집어던지거나 거대한 바위를 킥 한방에 산산조각내는 초월적인 근력을 과시하며, 진의 경우 둘에 비해 괴력이 강조되는 편은 아니나, 6 오프닝에서 펀치의 풍압만으로 주위를 쑥대밭으로 만드는 등의 괴력을 보여준 바 있고 카즈야와 정권을 맞부딪히는 장면마다 호각으로 묘사되는 등 둘에 밀리지 않는 괴력의 소유자다.[33] 폴란드의 총리폴란드에 주둔 중인 철권중을 철수하라는 요구를 하자 헤이하치는 불만 있으면 철권 토너먼트에 참가해 힘을 증명하라는 답변으로 거절하다시피 했다.[34] 정작 이때는 손자 녀석이 미시마 재벌을 지휘했었는데 이 때문에 헤이하치는 자신이 키운 사설 부대에게 습격을 받은 적도 있었다.[35] 7편 스토리에서도 데빌을 상대하는 인간의 타당성 등 명분을 꽤 중요시하는 모습을 보였고 쿠마 스토리에 따르면 철권중을 필리핀에 파견해 구호 활동을 펼쳤다고 한다.[36] 또한 철권의 인터폴 형사인 레이 우롱의 스토리를 보면 첫 등장 작품인 철권 2에선 당시 미시마 재벌의 총수였던 카즈야에게 접근하기 위해 참가한 것이었고, 진이 개최했던 철권 6는 전쟁의 원흉인 진을 체포하기 위해 참가했었다. 그에 반해 헤이하치가 개최한 3, 4, 7에서는 헤이하치를 노리지 않았고 특히 3편은 오히려 헤이하치가 직접 홍콩까지 가서 레이에게 철권 3 초대장을 건네주기까지 했다.[37] 아케이드판에서는 보스로만 나오며, 풀레이어블이 아니라 선택할 수 없음[38] 헤이하치가 젊었을 적 어린 카즈야와 싸웠을 때 한 말이기도 하다.[39] 대표적인 오역으로, 원문대로 직역하면 "다시 태어나 나아져서 오너라!" 정도다. 즉, 원래는 "다시 태어나도 날 이길 수 없다."라는 오만한 표현으로, 대사 중 모션 또한 쓰러진 상대의 머리채를 잡았다가 땅에 처박는 모습이다.[40] 철권 5 스토리 모드에서 잭-5를 쓰러트린 뒤에 한 대사이기도 한데, 철권 6 때는 아예 음성 데이터 우려먹기였지만, 철권 7에서는 고리 다이스케의 사망 이후로 새로 녹음했고, 철권 8에서는 이시즈카 운쇼의 사망으로 또 새로 녹음했다.[41] 양손으로 정권 3방 - 니킥 - 다시 정권 3방 - 금강창장[42] 1타는 리디아의 백스핀 메주먹인 4LP, 배경의 보랏빛 일삭은 레이나 레아에서 배경, 결정타의 모션은 철7 스토리 마지막 카즈야의 일격처음 가슴에 강력한 정권을 먹인다.[43] ~7은 원 투 펀치[44] 사실 아닐 부 否가 기술표에서 훈독인 いな으로 되어있어 '귀곡강장파 아니' 정도가 더 적합하다. 아래 격강장파 부 포함.[45] 상대의 얼굴을 빅 붓 형식으로 걷어찬다.[46] 2타까지만 묶어서 다문살이라 부르는 용례는 아예 없다. 처음 이기술이 생긴 철3 이래로 두가지 마무리 기술이 각각 다문살 1, 다문살 2였을뿐, 2타까지는 아무런 이름이 안붙은게 공식이다.[47] 범어의 वज्र Vajra를 한자로 음차한 것으로, 한자로는 벌절라라고 쓰고 바즈라 내지는 일본식인 바사라로 읽는다.[48] 권골이란 주먹을 의미한다. 즉, 성난 주먹.[49] おとこげり[50] '바치키'. 일본에서도 박치기의 의미로 한국어 박치기에서 유래한 단어를 사용한다.[51] 앉은 상태이기 때문에 초풍 같은 상단은 헛친다. 그러므로 박치기초 같은 어이가 산으로 가는 콤보는 불가능하다.[52] 쇠 철(鐵)이 아니라 뚫을 철(徹)을 쓴다.[53] 1.귀와;용마루 끝에 이는, 귀신 모양의 혀가 달린 큰 기와 / 2.아내를 나삐 말하는 말
기술발음이 훈독인 おにがわら(오니카와라)지만 대응되는 한국어에 귀와,도깨비기와가 모두 표준어라 귀와도 틀린건 아니다. 또한 2의 의미를 아내 미시마 카즈미에 대입해보면 대단히 미묘한 의미를 함축하게 된다.
[54] 그런데 실제로 헤이하치도 상단을 때릴 때 "顔(카오, 얼굴)"라고 외치고, 중단 때릴 때 "腹(하라, 배)"라고 외친다. 각각 문경이권 1타와 나생문을 써 보면 들을 수 있다.[55] 鰐은 악어 악, 하태 下駄는 일본어로 게다=나막신[56] 7의 반격기 영문명은 Heaven's Wrath였는데 중간에 Merciless가 추가되었다.[57] ~7은 3AP[58] 잡기를 사용한 상대는 가드가 무너지는 듯한 모션을 사용하였다.[59] 정식 명칭은 철8에서 처음 붙었다.[60] 원래 청뇌는 막히면 -10F 정도의 딜캐가 가능했던 기술이였다.[61] 다만 이전처럼 6n3 커맨드로 입력 시 금색 이펙트,클로즈업과 함께 더 강한 데미지를 가한다. 일명 금뇌[62] 즉, 엄밀히 말하면 '무족초가 생긴 것'이 아니라 '청뇌와 동일한 방식으로 초풍을 쓸 수 있게 특례가 인정된 것'이기에 카즈야, 레이나에 비하면 이 방식으로 초풍을 쓰는 리스크가 크다. 동 업데이트에서 데빌 진도 같은 방식으로 13 초풍이 가능해지게 되었다.[63] 대신 초속 풍신권이 없었다. 3편까지만 해도 초풍은 진의 전유물이었다.[64] 보통 풍신류의 나락은 시계횡으로 피해진다. 카즈야의 나락선풍 2타는 거의 360도에 가까운 판정을 갖추고 있어 나락을 피하고 뒤를 잡았는데도 맞는 경우가 있다.[65] 여담으로 태그 2에서 기존의 걸죽하고 묵직했던 자세가 매우 역동적이고 민첩하게 바뀌었다.[66] 사실 이 상황에서는 둘다 1 입력으로 앉은상태에서 뒤돌아보기로 빠지면 상대가 짠손을 쓰지 않는한 뒷차기와 백컷킥 둘다 피할 수 있다. 짠손을 썼다해도 거리가 멀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그다지 큰 피해는 입지 않는다.[67] ~7은 66AP[68] ~7은 66LP+RK[69] 엄밀히 말하면 카즈미는 하치죠류 가라데이지만 헤이하치와 같이 수련을 했기 때문에 일부 미시마류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70] 위 악어 나막신과 같이 하태가 게다=나막신[71] 당시 레이의 컷킥 국콤 대미지가 50중반[72] 철권 5~6에서는 2AK[73] 철권 5~6에서는 각각 봉살진 중 LP / 봉살진 중 LP RP
분쇄권은 5~6에서만 이름을 볼수 있다.
[74] 철권 5~6에서는 RP[75] 대신 무쌍연권은 레이지 아트의 모션으로 재활용 되었다.[76] 모션에 상관 없이 플라잉 휠은 물론이고 발동 중 허공을 갈라야 할 리디아 컷킥도 강제로 적중한다. 정작 진 뻥발 같은 길쭉한 기술은 회피하면서 진 소뱃(9lk)은 맞는 걸 봐선 점프 스테이터스 기술 자체에 매우 약하게 세팅된 기술.[77] 폴의 붕권 스텝과는 달리 짧은 스텝이며, 23n으로 기상기를 쓸 수 있다.[78] 외고집, 옹고집이라는 뜻[79] 철4에서는 4AR[80] 헤이하치 외에 이런 기술들 전부 반격하거나 흘릴 수 있는 캐릭터는 진, 왕 진레이, 리로이 등이 있다.[81] 자막에서는 '뻗침머리 인물'이라는 괴악한 이름으로 등장. 마코치의 살빼기를 담당하며 풍신류를 가르쳤다.[82] 다이너마이트 형사의 무대가 되었던 그 배.[83] 데미트리, 레이레이, 류는 "어디선가 본 같은데..."란 반응을 보이긴 했다. 물론 진은 바로 알아챘지만.[84] 발큐리아의 인자라든가...[85] 트레일러 영상을 보면 헤이하치의 코스튬을 착용한 Mii 파이터가 공룡 캐릭터인 '요시'를 때리고 있는데, 철권 캐릭터 중에 이름이 비슷한 '요시'미츠나 같은 공룡 캐릭터인 알렉스를 노린 듯하다.[86] 비행, 레이저 등[87] 헤이하치의 등급과 동급인 격투가 캐릭터 스피릿은 손자인 진의 각성 형태인 데빌진, 아랑전설의 대표적인 최종보스 기스 하워드, 그리고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대표 악역 베가와 고우키가 있다.[88] 미시마 카즈야의 경우는 一八(일팔). 그리고 미시마 진파치의 경우는 仁八(인팔).[89] 아마 카즈미로 인해 흑화하기 전 선한 모습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 듯.[90] 이는 블러드 벤전스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전투씬에서 진에게 박치기를 먹이려다 카즈야의 주먹에 머리를 정통으로 맞거나 진을 공격하려다 카즈야에게 한 방에 나가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로 깨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나 '이야아아!'거리면서 우다다다 달려들며 진을 공격하려다 카즈야에게 '억!'하면서 나가떨어지는 모습이 은근히 웃음포인트.[91] 사실 진의 경우에는 목적이 아자젤을 불완전하게 부활시킨 뒤 자기 목숨을 대가로 소멸시키는 것이었으니 재벌의 이미지를 신경 쓸 이유가 없었다.[92] 애초에 자신에게 방해되는 존재들은 가족이라도 절벽으로 던져대는데 린치를 가한 정도로 끝내는 건 말도 안되는 자비이다.[93] 카즈야나 진한테는 물론이고, 심지어 6의 시나리오 모드나 7의 시네마틱에서 브라이언, 킹, 머독, 아머 킹, 간류, 백두산, 화랑, 클라우디오, 기자 등을 상대로도 이렇게 불렀다.[94] 6 시나리오 모드에서 아스카와 대면했을 때 이렇게 불렀다.[95] 폴은 철권 3, 밥은 철권 6과 태그 토너먼트 2, 포레스트 로우는 철권 태그 토너먼트 2에 해당한다.[96] 다만 わ 발음이 희미하여 애매할 수 있다. 철권 3, 태그 토너먼트에도 동일하게 고리 다이스케가 녹음했던 것도 있는데 이쪽은 단순히 피격 시 라기보다는 반격기인 일철 발동 시에도 출력되는 음성도 마찬가지.[97] 진파치&헤이하치 태그로 플레이하다 지면 진파치가 헤이하치 볼기짝을 두드려 팬다.[98] 보스 캐릭터가 아니라 보스'였던' 캐릭터인 까닭은 헤이하치와 대립구도가 된 캐릭터는 정작 해당 작품에선 보스가 아니기 때문이다. 후술할 베가는 스크철에선 보스가 아니라 중간보스격으로 나오며 보스는 고우키였고, 고우키와 기스는 철권 7에서는 보스가 아니다(그나마 고우키는 아케이드 모드 한정 최종보스긴 하다.).[99] 사실 베가와 대립구도인 캐릭터는 따로 있었고 헤이하치는 가일과 대립구도였다.[100] 참고로 이땐 진한테 두들겨 맞은 직후인데다 잭 부대와의 연전으로 지쳐있는 상태였다. 그럼에도 그 폭발에서 살아남았다는 것.[101] 그런데도 이후에 살았을 정도로...[102] 그 이후 철권 8 스토리에서 아들하고 손자는 진짜 우주까지 날라가서 거기서도 싸웠다.[103] 심지어 이빨이 멀쩡한 건 더 명작이다....[104] 참고로 잭의 동력원은 플루토늄. 한 마디로 핵폭발 속에서도 살아난 것이다.[105] 게임이니까 가능하지. 아무리 철인이어도 이미 사망하고도 남았다. 설령 살아남아도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야 할 정도다.[106] 막말로 자기 아들과 손자는 데빌 인자 덕에 괴랄한 생명력을 자랑한다고 끼워맞출 수라도 있지 이쪽은 순수한 인간이다.[107] 정확히는 굳이 청소년 시절 모델링을 만들 필요까지는 없어서 젊은 시절(TT2) 모델링을 돌려쓴 거지만.[108] 아이러니하게도 헤이하치의 인생은 그렇게나 철저히 경계하고 두려워하며 배제하려고 했던 그 데빌 인자와의 투쟁으로 내내 점철되어 있었는데 정작 자신의 그 혼외 자식은 그 힘을 지니고 었으니 그것은 그것대로 헤이하치의 입장에서 본다면 미묘한 상황이나 다름없을 듯. 다만 헤이하치가 철권 3~4의 시기에 데빌의 힘을 탐했던 적도 있었던 것으로 보아 아마도 그는 자신이 그 데빌의 힘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더욱 자신의 힘을 공고히 함과 동시에 세계를 자신의 수중 아래 두려는 야심도 있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자신의 아들인 카즈야가 스스로의 의지로 그 데빌을 결국 제어했는데 순수 인간의 힘으로는 카즈야를 능가하는 헤이하치 입장에서는 그 데빌 인자를 손에 넣었을 경우 더욱 큰 힘을 가질 수 있었을 터이니... 아마도 본인은 그 데빌 인자를 자신이 제어할 수 있다는 생각 아래 그 힘에 관심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그렇게나 적대하면서도 탐내던 힘을 본인은 손에 얻지 못하고 정작 그 딸내미가 그 힘을 보유하긴 했지만.[109] 혈연 관계인 가족들뿐만 아니라 그 외적으로도 다른 인물도 헤이하치에 대한 증오심을 드러낸다. 상호 대사가 다른 캐릭터에 비하면 많다.[110] 또다른 유명 캐릭터로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SNK)의 니카이도 베니마루. 두 캐릭터 모두 빗자루 머리로 유명한 캐릭이었던 장 피에르 폴나레프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캐릭터들이다.[111] 여담으로 당시 선해졌을 당시엔 벗겨진 윗머리 주변머리들이 차분하게 내려앉은 평범한 탈모노인 헤어스타일이었지만, 기억을 되찾으며 다시 사악해지자 특유의 괴이한 헤어스타일로 돌아왔다. 선량해진 상태에서 운석을 빼부수러 힘을 모을 때도 머리가 올라서지 않은 것을 보면 드래곤볼마냥 파워업할 때 머리가 올라가는 것은 아닌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