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0:56:18

콘스탄틴 코베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콘스탄틴 코베츠 파벨 그라초프 이고르 로디오노프 이고르 세르게예프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세르게이 이바노프 아나톨리 세르듀코프 세르게이 쇼이구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
<colbgcolor=#a81717><colcolor=#ffc224,#db9e00> 소비에트 연방 초대 러시아 SFSR 국방장관
콘스탄틴 코베츠
Константи́н Ко́бец | Konstantin Kobets
파일:콘스탄틴 코베츠.jpg
본명 콘스탄틴 이바노비치 코베츠
Константи́н Ива́нович Ко́бец
Konstantin Ivanovich Kobets
출생 1939년 7월 16일
소련 우크라이나 SSR 키예프
(現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키이우)
사망 2012년 12월 30일 (향년 73세)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
묘소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
재임기간 초대 러시아 SFSR 국방안보위원장
1991년 1월 31일 ~ 5월 5일
초대 러시아 SFSR 국방장관
1991년 5월 17일 ~ 7월 10일
8월 19일 ~ 9월 9일
러시아 군사개혁위원장
1991년 12월 ~ 1992년 9월
러시아 연방군 군사 최고 감사관
1992년 9월 ~ 1995년
러시아 국무장관, 국방부 차관
1995년 1월 ~ 1997년 5월 18일[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81717><colcolor=#ffc224,#db9e00> 학력 소비에트 키예프 군사대학 (박사)
소속 정당
[[소련 공산당|]]
복무 소비에트 지상군
1956년 ~ 1994년
러시아 연방 지상군
1994년 ~ 1997년
병과 정보통신
최종 계급 대장 (러시아 연방 지상군)
주요 참전 1993년 러시아 헌정위기
주요 서훈 10월 혁명 훈장
적기훈장
}}}}}}}}}

1. 개요2. 생애
2.1. 사망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군인이자 정치인.

소련 러시아 공화국의 국방장관 직위를 맡았으며 소련이 해체되고 짧은 기간동안 보리스 옐친 행정부에서 국무장관, 국방부차관 등 여러 군 직책을 역임했다.

2. 생애

1939년 7월 16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키예프에서 태어났다. 그 후 만 17세 나이였던 1956년에 소련군에 입대하여 3년 후인 1959년에 키예프 군사학교에 입학해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89년에 교수가 되었다. 도중 1986년에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가 발생하자 재건에 참여하기도 했다.

1974년부터 1976년까지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데사 군관구 통신부장 직을 맡았다.

1991년 8월 인터뷰, 군대는 국민을 대적하지 않을 것.

1988년에는 소련 육군 총사령관에 임명되고 1991년 8월에 8월 쿠데타가 발생하자 소련 개혁파였던 미하일 고르바초프보리스 옐친을 지지하며 러시아 SFSR편에 섰다.

소련 붕괴 이후, 1992년부터 1997년까지 러시아의 국무장관과 국방부 차관 등 여러 직책을 역임하였다.

1997년 5월 18일, 뇌물수수 및 불법무기 소지 혐의로 러시아 경찰에 체포되었다. 1년뒤인 1998년에 코베츠는 유죄를 인정하고 떠나지 않았다는 인정으로 구금에서 풀려났다. 2000년에 사건은 사면으로 기각되었고, 그 후 코베츠는 그의 초기 유죄 자백의 무효를 선언했다.

2.1. 사망

파일:995B12AE-5CC7-4372-A2B0-606A40A400C8.jpg

2012년 12월 30일 사망하여 러시아 모스크바의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에 안장되었다.


[1] 범죄 혐의로 강제 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