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10:52:10

코르도바(스페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화유산
1984년

코르도바 역사 지구
Centro histórico de Córdoba
1984년

그라나다
:
알함브라, 헤네랄리페, 알바이신
Alhambra, Generalife y Albaicín de Granada
1984년

부르고스 대성당
Catedral de Burgos
1984년

마드리드의 에스코리알 수도원 유적
Monasterio y sitio de El Escorial en Madrid
1984년

안토니 가우디의 건축
Obras de Antoni Gaudí
1985년

알타미라 동굴
스페인 북부의 구석기시대 동굴 예술
Cueva de Altamira y
arte rupestre paleolítico del norte de España
1985년

세고비아 옛 시가지와 수도교
Ciudad vieja y acueducto de Segovia
1985년

오비에도와 아스투리아스 왕국 기념물군
Monumentos de Oviedo y del reino de Asturias
1985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옛 시가지
Ciudad vieja de Santiago de Compostela
1985년

아빌라 옛 시가지와 대성당
Ciudad vieja de Ávila e iglesias extramuros
1986년

아라곤의 무데하르 건축
Arquitectura mudéjar de Aragón
1986년

톨레도 역사 도시
Ciudad histórica de Toledo
1986년

카세레스 옛 시가지
Ciudad vieja de Cáceres
1987년

세비야 대성당,
알카사르, 인디아스 고문서관

Catedral, Alcázar y
Archivo de Indias de Sevilla
1988년

살라망카 옛 시가지
Ciudad vieja de Salamanca
1991년

포블레트 수도원
Monasterio de Poblet
1993년

메리다 고고 유적군
Conjunto arqueológico de Mérida
1993년

산타 마리아 데 과달루페 왕립 수도원
Real Monasterio de
Santa María de Guadalupe
1993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
: 카미노 프란세스와 스페인 북부 순례길

Caminos de Santiago de Compostela
: Camino francés y Caminos del Norte de España
1996년

쿠엥카 성곽 도시
Ciudad histórica fortificada de Cuenca
1996년

발렌시아의 라 론하 데 라 세다
Lonja de la seda de Valencia
1997년

라스 메둘라스
Las Médulas
1997년

바르셀로나
카탈라냐 음악당과 산트 파우 병원
Palau de la Música Catalana y
hospital de Sant Pau en Barcelona
1997년

산 밀란 유소와 수소 수도원
Monasterios de San Millán de Yuso y de Suso
1998년

시에가 베르데와
코아 계곡 선사시대 암벽화
Sitios de arte rupestre prehistórico
del Valle del Côa y de Siega Verde
1998년

이베리아 반도 지중해 연안의 암각화
Arte rupestre del arco mediterráne
de la Península Ibérica
1998년

알칼라데에나레스 대학과 역사 지구
Universidad y recinto histórico
de Alcalá de Henares
1999년

산 크리스토발 데 라 라구나
San Cristóbal de La Laguna
2000년

타라코 고고 유적군
Conjunto arqueológico de Tarragona
2000년

엘체의 야자나무 숲
Palmeral de Elche
2000년

루고의 로마 시대 성벽
Muralla romana de Lugo
2000년

발 데 보이의 카탈루냐 로마네스크 교회
Iglesias románicas catalanas de Vall del Boí
2000년

아타푸에르카 고고 유적
Sitio arqueológico de Atapuerca
2001년

아란후에스 문화경관
Paisaje cultural de Aranjuez
2003년

우베다 ・ 바에사의 르네상스 기념물군
Conjuntos monumentales
renacentistas de Úbeda y Baeza
2006년

비스카야 대교
Puente de Vizcaya
2009년

헤라클레스의 탑
Torre de Hércules
2011년

트라문타나 산맥의 문화경관
El Paisaje Cultural de la Serra de Tramuntana
2012년

알마덴과 이드리야 수은광산
Patrimonio del mercurio (Almadén e Idria)
2016년

안테케라 거석묘 유적
Dólmenes de Antequera
2018년

메디나 아자하라의 칼리프 도시
Ciudad califal de Medina Azahara
2019년

리스코 카이도와 그란 카나리아의
신성한 산맥 문화 경관
Paisaje cultural del Risco Caído y
montañas sagradas de Gran Canaria
2021년

파세오 델 프라도와 부엔 리테로,
예술과 과학의 경관
Paseo del Prado y el Buen Retiro,
paisaje de las artes y las ciencias
2023년

메노르카 섬의 탈라요티카 선사시대 유적지
Menorca talayótica
<colbgcolor=#c60b1e> 자연유산
1986년

가라호네이 국립공원
Parque Nacional de Garajonay
1994년

도냐나 국립공원
Parque Nacional de Doñana
2007년

테이데 국립공원
Parque Nacional del Teide
2017년

카르파티아 및 유럽의 기타 지역에
생육하는 고대 및 원시 너도밤나무 숲

Bosques antiguos y primarios de hayas
de los Cárpatos y otras regiones de Europa
복합유산
1997년

피레네 산맥
: 몽 페르뒤 산

Pirineos - Monte Perdido
1999년

이비사의 생물 다양성과 문화
Ibiza, biodiversidad y cultura
}}} }}}}}} ||

파일:안달루시아 문장.svg 안달루시아의 도
(도 및 중심 도시)
알메리아도
(알메리아)
카디스도
(카디스)
코르도바도
(코르도바)
그라나다도
(그라나다)
우엘바도
(우엘바)
하엔도
(하엔)
말라가도
(말라가)
세비야도
(세비야)

파일:코르도바 6.jpg
과달키비르 강과 다리
파일:메스키타2.jpg
메스키타 (후우마이야 왕조 시기 대사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이름 한국어 코르도바 역사 지구
영어 Historic Centre of Cordoba
스페인어 Centro histórico de Córdoba
프랑스어 Centre historique de Cordoue
국가·위치 스페인 안달루시아 코르도바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1984년[1]
등재기준 (i)[2], (ii)[3], (iii)[4], (ⅳ)[5]
지정번호 313
코르도바시 (코르도바주)
Córdoba
1. 개요2. 역사
2.1. 고대2.2. 알 안달루스의 중심지
2.2.1. 후우마이야 왕조
2.2.1.1. 코르도바 아미르국2.2.1.2. 코르도바 칼리프국
2.2.2. 코르도바 '공화국'2.2.3. 무라비트 왕조
2.2.3.1. 코르도바 공방전 (1146년)
2.2.4. 무와히드 왕조2.2.5. 코르도바 함락 (1236년)
2.3. 중근세
2.3.1. 마린, 나스르 왕조의 위협2.3.2. 그라나다 정복의 거점2.3.3. 침체기
2.4. 근현대2.5. 현대
3. 인구4. 관광

1. 개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도시. 코르도바주의 주도이기도 하다. 8~11세기 후우마이야 왕조의 수도였고, 중세 초기 서유럽 최대의 도시이자 알 안달루스의 문화적 중심지로써 번영을 구가했다. 서기 950 ~ 1000년 경에는 인구가 무려 50만에 이르러 동시대 유럽에서는 물론, 당대 세계 최대 도시였다.[6] 현재 인구도 그보다 적은 32만 5천명이다.

메스키타를 비롯해 당시의 유적이 다수 남아있고, 지금도 그라나다세비야와 함께 안달루시아의 대표 관광 도시이다. 물론 스페인 왕국 시기에도 중요한 도시였기에 중남미에도 동명의 도시들이 세워졌다. 1994년 구도심 전역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되었다.

2. 역사

기원전 8세기부터 과달키비르 강 유역에 마을들이 들어섰고, 동과 은제 기구들이 발굴되었다.

2.1. 고대

파일:코르도바 다리.jpg
로마 시대에 과달키비르 강에 놓인 다리. 전근대 시기까지 코르도바의 남북 시가지를 이어주는 유일한 다리로 기능했다.
파일:코르도바 9.jpg
로마 시대 신전 유적. 위의 기둥들은 현대에 복원한 것이다.

카르타고인의 식민지로 처음 건설되었다. 당시의 이름은 페니키아어 '카르투바(𐤒𐤀𐤓𐤕𐤉𐤅𐤁𐤏𐤉)'인데, 그 어원에 대해 《지중해 문화를 걷다》라는 책은 '풍요롭고 귀한 도시'라는 의미라고 서술한다. 한편 영문 위키 백과에서는 출처 불분명이라는 단서를 달고 Kart-Juba, 즉 '유바의 도시(the city of Juba)'라는 말에서 유래한 것이라 서술한다. 유바는 근처의 전투에서 전사한 누미디아 군 사령관의 이름이며, 이 이름을 붙인 사람은 하밀카르 바르카라고 한다. #[7][8] 기원전 209년 로마 공화국의 정복 후, 기원전 169년 (혹은 152년) 로마 집정관 마르쿠스 클라우디우스 마르켈루스가 로마식 도시를 세워 코르두바 (Corduba)라 명명했다.

루시타니아 전쟁 (기원전 155-139년) 시에 비리아투스에게 포위되기도 했던 코르두바는 전후 5세기 가량 이어진 평화 시기에 히스파니아 속주의 중심 도시 중 하나로 기능했다. 당시에는 과달키비르 강 수심이 지금과 다르게 깊었고, 중세까지는 대서양에서 세비야를 거쳐 배로 왕래가 가능했기에 상업적으로 번영했다. 기원전 113년 기준 포룸이 있었고, '코르도바의 보물'이라 불리는 은제 장신구들이 제작되었다. 이는 1915년에 발굴되어 영국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기원전 1세기 무렵 코르두바의 인구는 2만 가량으로 추정된다.

카이사르의 내전 말엽인 기원전 45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코르두바를 점령해 약탈한 후 퇴역병들을 정착시켜 콜로니아 파트리키아 (Colonia Patricia)란 이름의 식민 도시로 건설했다. 로마 제국 시기 코르두바는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속주의 주도가 되었고, 포룸과 여러 신전을 갖춘 전형적인 로마식 도시였다. 코르두바 출신의 유명인으로 네로 황제의 스승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4세기 아리우스파에 맞선 초기 기독교 성인이자 코르두바 주교 호시우스가 있다.

5세기 들어 서로마 제국이 쇠락하자 게르만족의 일파인 고트족이 세운 서고트 왕국이 일대를 정복했고, 552-72년에는 동로마 제국이 정복하여 히스파니아이 속주에 편성하기도 했다. 이후 서고트 왕국이 수복하여 히스팔리스 (세비야)와 함께 왕국 남부의 주요 도시로 삼았다. 687년경 친다수윈트 왕의 아들 테오도프레드가 새 군주 에기카에 의해 실명된 후 코르두바에 정착했다. 테오프레드는 코르두바에서 리킬로와 결혼해 로데리크를 낳았고, 로데리크는 710년 에기카의 아들 위티자가 사망한 후 왕으로 추대된다.

2.2. 알 안달루스의 중심지

파일:알카사르 궁성.jpg
총독 관저, 후일의 후우마이야 왕궁으로 기능한 알카르의 외벽
파일:코르도바 로마 성벽.jpg
아브드 알 라흐만 1세가 수리하여 쿠르투바 성벽의 외성으로 활용한 로마 시대 성벽

8세기 초엽 서고트 왕국은 분열되어 코르두바, 세비야, 톨레도의 총독들이 사실상 자립했다. 711년 7월, 과달레테 전투에서 로데리크를 전사시키며 승리한 우마이야 왕조의 장군 타리크 이븐 지야드는 자신이 합류할 때까지 진격을 멈추라는 주군 무사 이븐 누사이르의 명령에 불복하고 수도 톨레도를 노렸다. 타리크는 직접 톨레도 공격에 나서며 동로마령 북아프리카 출신의 개종자 무기트 알 루미에게 기병 7백을 나눠주며 남부의 거점 코르두바를 공격하게 했다. 인근 테르시알 마을에 숙영하던 무기트는 정찰대에게서 과달키비르 강에 놓인 다리가 파괴되었고, 현지 목동이 이미 주민들이 도시를 떠났기에 불과 4백의 수비대와 빈자만이 남아있다는 정보를 흘린 것을 전해들었다. 무기트는 두 병사가 한 말에 올라 강을 건널 것을 지시했는데, 성벽의 수비대가 활과 투창으로 공격할 것을 우려했다.

하지만 마침 폭풍이 몰아쳐 수비대가 비바람을 피하는 사이에 무기트는 도하에 성공했고, 정보를 준 목동의 인솔로 성벽의 틈을 발견했으나 협소했다. 이에 무기트는 성문 옆 나무를 발견, 한 병사에게 기어올라 성벽에 도달하게 했다. 이후 무기트는 자신의 터번을 벗어 던져 그에게 밧줄로 만들게 했고, 그를 통해 성벽에 오른 병사들은 수비병들을 공격한 후 성문을 열었다. 도시는 쉽게 점령되었고, 주민들은 저항하지 않았다. 다만 코르두바의 총독과 남은 병사들은 시내의 산 아키스클로 성당으로 피신했는데, 그곳은 요새화되어 있었고 보급품도 충분했다. 공성 병기가 없던 무기트는 적의 식량이 바닥나길 기다렸는데, 3달이 지나도 진척이 없자 노예 중 하나를 보내 성당 정원의 나무에 숨어 있다가 병사 하나를 잡아오게 했다. 다만 역으로 사로잡힌 노예는 간신히 탈출하여 성당으로 이어지는 지하 수로의 위치를 알려줬다.

무기트는 현지 기술자를 불러 수로를 막게 했고, 식수가 차단되자 총독은 홀로 탈출을 시도했으나 붙잡혔다. 그러자 무기트는 남은 수비대에게 항복을 요구했으나 거절되자 10월 말엽에 총공격에 나서 성당을 함락했고, 수비대를 전부 학살했다. 이슬람 지배 하에서 도시는 아랍어로 '쿠르투바' (قرطبة)로 명명되었고, 다른 안달루스 도시들과 달리 협상을 통한 항복이 아닌 무력 점령되었기에 기존 주민들에 비해 많은 아랍-베르베르 무슬림 정복자들이 정착했다. 따라서 쿠르투바는 빠르게 이슬람화되었고, 716년 압둘아지즈 이븐 무사 이븐 누마이르가 안달루스 총독부를 세비야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이후 이프리키야 총독이 임명하는 안달루스 총독 (왈리)이 거주하게 된 쿠르투바는 이베리아 반도의 정치적 중심으로써 성벽이 둘러진 메디나를 중심으로 21개의 구역 (라바드, رَبَض)이 형성될 정도로 성장했다.

740년 들어 마그레브 지방에서 벌어진 베르베르 대항거의 여파로 안달루스에서도 베르베르 봉기가 일어났다. (741년 말엽) 봉기군은 삼분되어 각각 톨레도 (툴레이툴라), 쿠르투바, 알헤시라스 (알자지라 알카드라)로 진격했다. 이에 총독 압둘 말리크 이븐 카흐탄 알 피흐리는 바다 건너편 세우타에 포위되어 있었지만 그간 도움을 주지 않던 시리아 병력 지휘관 발즈 이븐 비슈르 알 쿠샤이리에게 도움을 청했다. (742년 봄) 메디나 시도니아, 쿠르투바, 톨레도에서 봉기군을 격파한 발즈는 돌아갈 것을 강권하던 압둘 말리크에 대해 정변을 일으켜 사로잡은 후 처형했고, 그의 시신은 십자가에 못박힌 채로 쿠르투바 외곽에 개와 돼지 사체 옆에 놓였다.[9] 이에 압둘 말리크의 아들 카탄과 우마야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발즈는 742년 8월 쿠르투바 외곽의 아쿠아 포르토라 전투에서 그들을 격파했다.

다만 부상을 입은 발즈는 이틀 후 사망했고, 부관 탈라바 이븐 살라마 알 아밀리가 계승한다. 이에 안달루스 아랍인들이 베르베르 반군 잔당과 함께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고, 탈라바의 지배력은 쿠르투바 일대에 국한되었다. 그러던 743년 탈라바는 메리다로 나아가 반군을 격파한 후 고위급 포로들을 쿠르투바로 끌고와 반값에 노예로 팔았다. 한편 안달루스의 혼란이 계속되자 이프리키야 총독 한달라 이븐 사프완 알 칼비가 부관 압둘 카타르 알 후삼을 쿠르투바로 보내 총독에 봉했다. 압둘 카타르는 포로들을 석방하고 시리아 병사들에게 토지를 분배해주며 안달루스에 평화를 가져왔다.[10] 747년에 부임한 총독 유수프 이븐 압둘라흐만 알 피흐리는 카이스계 (북부계) 부족이 대부분인 시리아 군단을 이끌고 코르도바 인근의 사쿤다 전투에서 예멘계 군대를 격파, 안달루스의 패권을 장악하게 된다.[11]

2.2.1. 후우마이야 왕조

파일:Flag_of_Abd_al-Rahman_III_of_Cordoba.jp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534> 정치 <colcolor=#000,#fff>아미르 | 칼리파 | 역대 후우마이야 군주
행정구역 쿠르투바, 이슈빌리야, 가르나타, 말라카, 알마리야, 자얀, 사라쿠스타, 알자지라 알카드라, 바탈리와스, 툴레이툴라, 무르시야, 발란시야, 알우쉬부나, 마리다, 쉴브
경제 디나르 | 디르함
종교 이슬람
문화 메스키타 | 알함브라 궁전
기타 모사라베
}}}}}}}}} ||
2.2.1.1. 코르도바 아미르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ezquita_c%C3%B3rdoba_foto_aerea.jpg 파일:코르도바 미흐랍.jpg
메스키타 (대사원)과 구도심 메스키타 내의 미흐랍 (메카 방향 벽감)

750년, 우마이야 조가 멸망하자 안달루스 총독 유수프는 왕 (말리크)을 칭했다. 755년, 우마이야 왕족 아브드 알 라흐만 1세가 안달루스에 당도한다. 마침 '국왕' 유수프는 사라고사와 바스크 족의 반란에 직면했기에 그의 세력 확대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그가 보낸 토벌군은 예멘계, 카이스계로 나뉘어 다투었고 전자는 아예 아브드 알 라흐만 측에 가담했다. 756년 5월 아브드 알 라흐만은 쿠르투바 외곽의 무사라 전투에서 유수프를 격파한 후 도시에 입성, 후우마이야 왕조를 세웠다. 2-3년 후 유수프는 톨레도에서 피살되었고, 그 수급은 쿠르투바의 로마 다리에 못박혔다. 시리아 군대 사령관 앗 수마일은 쿠르투바에 투옥된 후 교살되었다. 763년 압바스 왕조가 보낸 알 알라 이븐 무기트 알 주다미가 베자를 거쳐 진격해오자 아브드 알 라흐만은 친위 병력과 수도를 떠나 카르모나에서 농성하다가 반격을 가해 승리했다.

781년에는 압바스 조에 충성하며 버티던 사라고사가 항복, 이베리아 반도 대부분이 후우마이야 왕조 하에 통합되었다. 784년에는 정변 시도가 진압되는 등 정권이 안정되자 아브드 알 라흐만은 도시 북쪽 외곽의 로마 별장을 개조한[12] 시리아 양식의 루사파 궁전에서 785년, 시내의 알카사르로 거처를 옮겼다. 786년부터는 쿠르투바 대사원 (메스키타)의 건설에 착수해 이듬해 중심 건물을 완공했다. 788년 그가 사망한 후 계승한 아들 히샴 1세 역시 기독교도 및 유대인들에 관용을 베풀며 안정적인 통치를 이어갔고, 모금을 받아 대사원을 증축했다. 또한 이때부터 쿠르투바 시내에 많은 모스크가 세워져 10세기 무렵에는 100개가 넘는 미나레트[13]가 있게 되었다. 796년 그가 사망한 후 계승한 아들 알 하캄 1세는 치세 초엽 백부 술라이만이 쿠르투바를 공격해오자 격파하고 붙잡아 처형했다. (800년)[14]

다만 이후로도 톨레도, 사라고사, 메리다 등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두 차례나 쿠르투바를 위협한다. 806년에는 알 하캄의 사촌 무함마드 이븐 알 카심을 옹립하려는 궁정 음모가 발각되어 11월 16일 72명의 귀족들과 (일설에 의하면) 5천에 달하는 그 일족이 연회 자리에서 학살되었다. 그 시신은 십자가에 박혀 과달키비르 강을 따라 전시되었다.[15] 아랍 귀족들을 믿지 못하게 된 알 하캄은 쿠르투바의 서고트 귀족 지도자 라비를 지휘관으로 한 친위대 알 하라스를 창설했다. 하지만 818년에도 쿠르투바의 과달키비르 강 남안 시가지인 알 리바드 지구에서 무슬림 성직자들이 주도한 반란이 있었다. 진압 후 300여명의 귀족들이 체포되어 십자가형에 처해졌고, 이를 묵인한 죄로 주민들도 추방되었다.[16] 822년 알 하캄의 사후 계승한 아들 아브드 알 라흐만 2세[17]는 반란들을 진압하고 바이킹의 침공을 격퇴했다.[18]

내치에 있어 아브드 알 라흐만 2세는 대사원 증축을 지속하는 한편 순교를 통한 기독교도들의 결집을 막기 위해 기독교 총회 (공의회)을 열어 순교를 금하도록 선포하게 하였다. 그럼에도 850년 4월, 코르도바의 수도사 페르펙투스가 이슬람을 모욕하다가 처형되었다. 851년 4월에는 관료 출신의 이삭이 아미르 궁전 앞에서 기독교 신앙 선언을 하고 처형되었고, 6월에는 포로 출신의 근위병 산초가 신성모독죄로 처형되었다. 불과 이틀 후에는 페테르, 왈라보누스, 사비니아노, 위스트레문두스, 하벤티우스, 제레미야로 구성된 5명의 기독교 성직자들이 공개적으로 무함마드를 모욕하다 처형되었다.[19] 7월에도 시세난두스, 성 조일루스의 바울, 테오도미르가 처형되었고 11월엔 무슬림 부친을 둔 플로라와 마리아가 이슬람을 모욕한 후 처형되었다. 비슷한 형식으로 852년에도 10명이 더 처형되어 그 숫자는 24명이 되었다.

파일:알볼라피아 수차.jpg
알카사르 (왕궁)의 정원에 물을 공급하던 과달키비르 강의 알볼라피아 수차. 아브드 알 라흐만 2세가 세운 것으로 추정됨.

이러한 내우외환에도 쿠르투바는 전반적으로 안정을 유지하며 인구가 10만에 달했고, 이는 당대 서유럽 최대 규모였다. 아브드 알 라흐만 2세의 사후 계승한 아들 무함마드 1세 대에도 모사라베들의 순교는 이어졌다. 856년 아미르의 감찰관 아르기미르가 배교를 선언한 후 처형되었고, 아우레아와 루크레티아처럼 무슬림 집안의 딸들이 배교 후 순교한 경우도 있었다.[20] 무함마드는 분리주의 경향이 있던 톨레도의 반란을 방지하기 위해 그곳 유력자들을 인질로 잡아 쿠르투바에 두었는데, 그럼에도 톨레도는 아스투리아스 왕국과 동맹하고 반란을 일으켜 자립했다. (852년) 이에 무함마드는 친정에 나서 과달라세테 강 전투에서 톨레도-아스투리아스 연합군을 격파, 전사자들의 수급을 쿠르투바 등 안달루스 주요 도시들에 조리돌림했다. 다만 톨레도 자체는 계속 농성하며 버티다 사실상의 독립을 인정받았다.[21]

860년 무함마드는 팜플로나의 나바라 왕국을 원정, 복속시키고 그 왕자 오르티 가르체이츠를 사로잡아 쿠르투바로 개선했다.[22] 873년에는 북방의 서고트계 무슬림 가문인 바누 카시가 반란을 일으키자 역시 친정하여 격파했고, 주동자 중 하나인 무타리프 이븐 무사와 세 아들들을 쿠르투바로 압송해 십자가 형으로 처형했다. 한편 메리다 총독인 갈리시아계 무슬림 마르완 이븐 유누스의 아들 압둘 라흐만 알 잘리키가 쿠르투바에서의 인질 생활 중 무함마드의 신임을 받아 근위대 장교가 되었다. 하지만 하지브 (재상) 하심 이븐 압둘 아지즈에게 뺨을 맞는 수모를 당한 압둘 라흐만은 일단의 추종자들과 쿠르투바를 빠져나와 메리다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어 다시 쿠르투바에 연금되었다. 873년에 풀려난 압둘 라흐만은 아스투리아스 왕국과 동맹해 다시 반란을 일으켰고, 토벌군을 이끈 하심을 사로잡아 아스투리아스 왕국에 보냈다. 알폰소 3세는 10만 두카트의 몸값을 요구했고, 무함마드는 절반을 납부했다.

하심은 나머지 절반은 쿠르투바에 가서 마련할 것을 약속하고 동생과 아들, 조카를 인질로 남겨둔 채로 돌아가 약속대로 납부했다. 이로써 안달루스 서부 (알 가르브) 역시 압둘 라흐만에 의해 사실상 독립했다. 884년 무함마드는 사라고사를 수복하며 안달루스의 안정 회복에 나섰다. 하지만 880년을 전후로 시에라네바다 산맥에서 세력을 키워오던 서고트계 무슬림 우마르 이븐 하프순은 무함마드의 토벌을 격파한 후 886년에는 코르도바에서 불과 30km 떨어진 폴레이 (불라이, 현 아귈라르 델라 프론테라)에 수도를 건설했다. 888년에 즉위한 압둘라 이븐 무함마드는 891년에 우마르를 격파했고, 후자는 산중의 보바스트로로 물러난다. 다만 같은해 압둘라의 두 아들들 중 차남 알 무탈립이 왕세자인 형 무함마드를 죽였고, 분노한 압둘라는 알 무탈립도 처형한 후 무함마드의 아들 아브드 알 라흐만 3세를 후계자로 삼는다.
896년 바누 카시의 무함마드 이븐 룹은 사라고사를 포위했고, 그 아들 룹은 톨레도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898년 룹은 우마르와 연합해 쿠르투바를 공격하기로 했는데, 그 무렵 부친 무함마드 이븐 룹이 전사하자 철수했다. 무함마드 이븐 룹의 수급은 쿠르투바로 보내져 궁전 앞에 8일간 전시되었고, 압둘라는 용맹한 적에 대한 존중으로 수급을 예를 갖춰 매장하게 하였다. 이에 룹이 일부 영지를 대가로 복속했고, 907년에 전사하며 압둘라는 위기를 넘겼다. 912년 압둘라의 사후 즉위한 아브드 알 라흐만 3세는 914년 5월에 친정하여 우마르 휘하의 주요 도시들을 수복했고, 917년 우마르의 사후 약화된 보바스트로를 계속 포위해 928년에 항복시켰다. 뒤이어 930년에 바다호스 등 서부 지역을 수복했고, 932년에는 반세기 가까이 자립해 있던 톨레도가 항복하며 안달루스 대부분이 평화를 되찾았다.
2.2.1.2. 코르도바 칼리프국
파일:메디나 자흐라.jpg 파일:메디나 자흐라 1.jpg
파일:메디나 아자흐라 4.png
마디나트 앗 자흐라 (메디나 아자흐라) 유적

안정을 찾아가던 929년 1월, 아브드 알 라흐만은 파티마 왕조에 대항하여 칼리파를 칭했다. 이로써 쿠르투바는 칼리프국의 수도가 되었고, 중세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대도시 중 하나이자 중세 시대 지중해권 및 서유럽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936년부터 아브드 알 라흐만은 칼리파의 새 궁성으로 쿠르투바의 서쪽 외곽에 고귀한 도시란 뜻인 마디나 앗 자흐라 (مدينة الزهراء)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다마스쿠스의 우마이야 왕궁을 본뜬 궁서은 한때 국가 예산의 3할 가량이 투입될 정도로 대규모 공사가 진행된 끝에 하렘과 외교 사절 숙소 등도 갖추게 되었다. 958년에는 대사원에 거대한 미나렛이 세워졌고, 당시 쿠르투바에는 모스크 3천개와 상점 및 주택이 10만 채에 달하게 되는 등 대대적인 건축 사업이 있었다. 아브드 알 라흐만은 또한 도서 수집 및 번역에도 국고의 3할을 투입할 정도로 지식 추구에 적극적이었다.

그의 노력으로 쿠르투바에는 모스크 부속 마드라사를 중심으로수학, 의학, 천문학, 철학, 식물학 저서들로 가득한 80개 이상의 도서관이 세워졌다. 따라서 쿠르투바는 중세 유럽의 문화 수도이자 지식의 보고로서 서유럽 전역보다 많은 책이 있었다 한다. 이러한 학문적 열정은 961년 아브드 알 라흐만이 마디나 앗 자흐라에서 사망한 후 계승한 아들 알 하캄 2세 대에도 이어져 궁정 도서관에는 무려 60만권의 장서가 있었고 도록만 해도 44권에 달했다. 알 하캄 본인도 알 안달루스 역사서를 집필했고 이슬람권 전역과 동로마 제국에서까지 책을 사들였다.[23] 그의 치세에 개종한 무왈라드 무슬림과 아랍화된 모사라베 기독교도들이 라틴/그리스 서적을 아랍어로 번역하는 일에 종사하며 고대의 지식을 보존했다. 알 하캄은 또한 관개 시설의 확충으로 농업을 진흥시켰고, 도로를 확장하거나 시장을 세워 경제 성장을 독려하였다.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와 알 하캄 2세의 70여년의 황금기에 쿠르투바는 인구 50만에 달하는 대도시로 성장했고, 쇠퇴하던 바그다드와 정체된 콘스탄티노폴리스 및 성장하던 카이펑을 제치며 당대 세계 최대 도시에 올랐다. 경제적으로는 금속 공예품, 도자 타일, 직물, 비단, 가죽, 과일, 채소, 약초, 목화, 향료, 아마포 등을 생산하며 안달루스 및 마그레브 각지와 교역했다. 쿠르투바에서 활동했던 페르시아계 역사가 이사 알 라지는 당시 도시는 (주로 북쪽과 서쪽에) 궁전 11개, 알무냐 (과수원 별장) 22개, 아르바드 (교외) 12개 등 아름다운 부동산과 많은 과실수들로 둘러싸여 장엄한 풍경을 자아냈다고 기록했다. 라바드 (교외)의 수는 이후 남쪽에 2개, 동쪽에 7개, 북쪽에 3개, 서쪽에 9개로 총 21개까지 늘어난다. 그중 북쪽의 라바드 알 루사파 유적이 1990년대의 발굴로 확인되었다.

알 하캄은 레온 왕국을 압박, 그 내분에도 개입해 폐위된 오르도뇨 4세가 쿠르투바로 망명할 정도로 위세를 떨쳤다. 부왕처럼 건축에도 관심이 많던 그는 962-66년에 걸쳐 대사원을 확장했고, 976년에는 마디나 앗 자흐라를 완공했다. 알 하캄은 또한 기하학과 대수학에 출중했던 수학자이자 문학가인 루브나를 개인 비서로 고용했고, 그녀 외에도 쿠르투바에는 170여명의 학식 있는 여성들이 필사 분야에서 일하는 등 여성들의 사회 참여가 활발했다. 저명한 의사이자 과학자인 아불 카심 앗 자흐라위와 초창기 수피 학자 이븐 마사라 역시 알 하캄의 궁정에서 활동했고, 무타질라 학파 역시 번역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970년에는 파티마 왕조의 마그레브 총독이자 지리 왕조의 선조인 지리 이븐 마나드가 후우마이야 조에 충성하는 제나타 부족에 의해 전사했고, 그의 수급이 쿠르투바의 시장 (수크)[24]에 효수되었다.[25]

976년 알 하캄이 사망한 후 11세의 어린 아들 히샴 2세가 계승하자 예멘계 장군 알 하지브 알 만수르가 섭정이 되어 코임브라, 살라망카 등을 수복하고 레온 왕국을 멸망 직전까지 몰아붙였다. 알 만수르는 마침내 987년에 쿠르투바 대사원을 현재의 규모로 완공했고, 마디나 앗 자흐라를 모방하여 979-87년에 쿠르투바 동쪽 외곽에 자신의 왕도인 마디나 앗 자히라 (ﺍﻟﻤﺪﻳﻨـة ﺍﻟﺰﺍﻫﺮة)를 건설했다. 997년에 그는 기독교 성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를 일시 함락하여 파괴했고,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성당의 철제 대문과 종을 가져와 대사원의 문으로 삼았다. 한편 알 만수르는 말리키 학파의 울라마들의 규탄을 잠재우기 위해 알 하캄의 도서관에 있던 대부분의 철학서들을 불태웠다. 1002년, 알 만수르가 병사하자 장남 압둘 말리크가 계승해 기독교 세력 토벌을 이어갔지만 1008년 10월에 요절하고 만다.

파일:코르도바 목욕탕.jpg
알 하캄 2세가 알카사르 (코르도바 왕궁)에 세운 목욕탕 유적
파일:메스키타 3.jpg
987년에 완공된 쿠르투바 대사원 (알 자마아)

뒤를 이은 차남 압둘 라흐만은 술을 좋아하는 방탕한 생활로 여론의 분노를 샀고, 1008년 11월에는 히샴 2세를 협박해 차기 칼리파 계승자로 지명을 받아내며 지탄을 받았다. 그러던 1009년 2월, 압둘 라흐만이 레온 원정에 나선 틈에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의 증손자이자 히샴 2세의 5촌 조카 무함마드 2세가 30여 병력과 정변을 일으켜 압둘 라흐만이 쿠르투바 총독으로 둔 사촌 이븐 아스칼리야를 죽이고 황궁을 장악했다. 이에 주민들이 봉기하여 도시를 장악했고, 무함마드 2세를 칼리파로 추대했다. 새 하지브 (재상) 압둘 잡바르 이븐 알 무기라는 주민들과 함께 많은 학자, 관료, 상인, 군인들이 거주하던 마디나 앗 자히라로 나아가 항복시킨 후 며칠에 걸쳐 완벽히 파괴했다. 압둘 라흐만은 급히 회군했지만 도중 베르베르 부대가 이탈했고, 무함마드에 의해 포위되자 항복해 쿠르투바로 압송되던 중 처형되었다.[26]

이후 안달루스는 20년이 넘는 피트나 (내전)에 돌입한다. 무함마드는 여론의 지지와 함께 쿠르투바 성내에서 베르베르 인들의 무장을 금지했고, 군중은 베르베르 구역을 약탈했다. 이로써 쫓겨난 베르베르 인들은 지리 왕조의 왕자 자위의 주도로 칼라트라바에서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의 다른 증손자 술라이만을 칼리파 알 무스타인으로 추대해 카스티야 용병대와 함께 톨레도 총독 와디흐 앗 시클라비를 격파했다. 1009년 11월, 쿠르투바 동쪽에서 벌어진 칸티쉬 (알콜레아)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술라이만은 3일 후 쿠르투바에 입성했고 무함마드는 톨레도로 도주했다. 술라이만은 베르베르 부대 및 카스티야 용병대에게 쿠르투바를 약탈하게 했고, 히샴 2세를 복위시켰다가 곧 자신이 칼리파가 되었다. 그러나 1010년 6월, 바르셀로나 백국과 연합한 무함마드는 쿠르투바 북서쪽의 아크바트 알 바크르 전투에서 승리했다.

쿠르투바는 카탈루냐 용병대에게 약탈되었고, 복위한 무함마드는 와디흐를 하지브 (재상)에 봉했다. 뒤이어 무함마드는 기세를 몰아 알헤시라스로 철수한 술라이만을 추격했으나 론다 부근의 과디아로 전투에서 패배했다. 쿠르투바로 철수한 무함마드는 주민들을 동원해 성탑과 성벽을 보수하고 해자를 팠다. 하지만 주민들은 점차 이탈했고, 7월에 재상 와디흐가 무함마드를 체포해 심문한 후 처형했다. 그의 수급은 베르베르 인들에게 보내졌고, 몸은 하수구에 던져졌다. 정변을 일으킨 와디흐는 히샴 2세를 복위시켰다. 하지만 술라이만은 1010년 가을, 자위가 이끄는 베르베르 군대와 함께 마디나 앗 자흐라를 거점으로 하여 쿠르투바를 포위했다. 1011년 들어 베르베르 인들은 도시 근교를 약탈, 방화하고 궁전들과 관개 수로를 파괴했다. 그해 11월, 와디흐는 협상을 시도하다 들통나자 도주했으나 붙잡혀 처형되었다.

쿠르투바 주민들의 항전 의지는 높았지만, 1년이 넘게 지나며 식량이 부족해지자 시체와 동물의 피를 먹거나 밤에 목숨을 걸고 나가 식량을 구했다. 1013년 5월, 쿠르투바 주민들은 마지막으로 포위 돌파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후 항복했다. 베르베르 군대는 도시를 약탈, 방화했고 학살에 나섰다. 그 과정에서 다수의 관료, 학자 등 지식인들이 살해되었고 많은 주민들이 쿠르투바를 떠났다. 1010-13년의 내전기에 반세기 넘게 황궁으로 기능하던 마디나 앗 자흐라도 파괴되어 버려졌고, 히샴 2세도 살해되었다. 이 시기 쿠르투바는 큰 피해를 입었고, 알 만수르가 불태우고 남은 궁정 도서관의 장서들은 혼란 속에 사라지거나 매각되었다. 복위한 술라이만은 자위에게 엘비라 (그라나다), 이드리스 왕조[27]의 후예인 함무드 가문에게 말라가-세우타-탕헤르, 이프란 부족에게 론다, 비르잘 부족에게 하엔을 분봉해 주었다.[28]

이로써 가뜩이나 줄어들던 후우마이야 왕조의 실효 지배 영토는 더욱 줄어들었고, 칼리파의 권위는 떨어져 다민족으로 구성된 군부가 실세가 되었다. 1016년에는 함무드 가문의 세우타 총독 알리 이븐 함무드가 히샴 2세의 복수를 천명하며 거병해 쿠르투바를 점령했고, 투옥된 술라이만은 곧 처형되었다. 뒤어어 알리가 스스로 앗 나시르 리딘 알라의 휘호로 칼리파에 오르며 쿠르투바는 260년 만에 우마이야 왕조가 아닌 군주의 지배 하에 놓였다. 다만 알리 역시 베르베르계 주민들을 적대시 하다가 1018년 3월에 암살되었고,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의 증손자인 아브들 알 라흐만 4세가 추대되었다. 하지만 그는 같은해 세비야 총독이던 알리의 동생 알 카심에게 패해 전사했다. 알 마문의 휘호로 칼리파에 오른 알 카심은 1021년 세우타 총독인 조카 야흐야 이븐 알리에게 축출되었다가, 1023년 복위했다.

1023년 12월, 쿠르투바 주민들은 알 카심을 축출하고 무함마드 2세의 동생 아브드 알 라흐만 5세를 추대했다. 하지만 후자 역시 겨우 한달 만인 1024년 1월에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의 또다른 증손자 무함마드 3세가 이끄는 군중에게 시해되었다. 무함마드 3세도 1025년 5월, 알 카심을 죽이고 세력을 확대한 야흐야가 말라가에서 쿠르투바 진격을 준비한다는 소식에 사라고사로 도주했다가 독살된다. 이에 쿠르투바의 주민들은 통치 위원회를 조직해 6개월간 자치를 하다 야흐야를 초청해 칼리파로 복위시켰다. 다만 야흐야는 1026년 봄에 재상 압둘 자파르 아흐마드 빈 무사에게 통치를 맡긴 후 본거지인 말라가로 돌아갔고, 이에 쿠르투바 주민들이 봉기해 후자를 축출했다. (1027년 6월) 뒤이어 발렌시아에 의탁 중이던 아브드 알 라흐만 4세의 동생 히샴 3세가 칼리파로 추대되었다.

하지만 이미 안달루스는 톨레도, 사라고사, 바다호스, 발렌시아, 세비아, 그라나다, 말라가, 우엘바 등의 토후국들로 분열된 상태였고 칼리파의 실권은 쿠르투바 일대에 국한되었다. 히샴 3세도 추대된지 2년 반만인 1029년 12월에야 쿠르투바에 입성할 수 있었다. 야심이 있던 히샴은 내전기 동안 파괴된 모스크들을 재건하고 안달루스를 재통일하기 위해 세금을 올렸는데, 이에 무슬림 성직자들과 중산층이 반발했다. 1031년 10-11월, 아브드 알 라흐만 3세의 고손자 우마야가 이끄는 군중이 베르베르 부대에 친화적이던 재상 알 하캄 빈 사이드를 살해했다. 뒤이어 11월 30일에는 군중이 황궁을 습격해 히샴을 폐위했고, 그는 가족들과 사라고사 토후국에 망명했다가 1036년에 사망한다. 칼리파 즉위를 꿈꾸던 우마야 역시 다른 남성 우마이야 황족들과 축출되었고, 이로써 후우마이야 왕조 (코르도바 칼리프국)는 멸망한다.

2.2.2. 코르도바 '공화국'

파일:코르도바 성벽 2.jpg
코르도바 성벽 중 비교적 보존이 잘 된 알모도바르 성문 일대
파일:코르도바 성.png
코르도바 성벽의 잔존부

칼리파국 폐지 후 쿠르투바의 귀족들은 이슬람 사상 최초의 공화정을 설립한다. 그중 셰이크 아불 하즘 자흐와르 빈 무함마드가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그는 각료 및 법관 회의를 거친 후 결정을 내리는 일종의 집단 지도 체제를 갖추었다. 아미르가 아닌 후견인으로 치부하던 그는 1043년에 사망했고, 아들 아불 왈리드 무함마드가 계승했다. 아불 왈리드 무함마드 역시 부친처럼 민주적 방식으로 쿠르투바를 안정적으로 통치했고, 21년이 지나 노쇠하자 은퇴하며 두 아들인 압둘 라흐만과 압둘 말리크에게 권력을 이양했다. (1054년) 형제는 곧 우위권을 두고 다투었다. 그 과정에서 귀족들은 두 파벌로 나뉘어 다투며 쿠르투바 공화국의 국력을 갉아먹었고, 결국 압둘 말리크가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여 압둘 라흐만을 실각시켰지만 이미 약화된 도시를 지키기 위해 세비야 토후국의 군주 압바드 2세 (알 무타디드)에 복속했다.

1060년대 들어 안달루스의 패권을 두고 세비야와 다투던 톨레도 & 발렌시아의 아미르 알 마문 야흐야는 쿠르투바를 봉쇄하고 압박했다. 그러던 1070년, 세비야의 새 군주 알 무타미드 무함마드가 톨레도 군대를 격파하고 쿠르투바를 점령한 후 압둘 말리크를 감금했다가 우엘바에 있는 살테스 섬으로 유배 보냈다. 무슬림 왕공들을 이간질하던 레온 왕국의 알폰소 6세는 알 무타미드와 함께 그라나다 토후국을 격파한 후 돌연 톨레도의 알 마문을 도와 세비야 령이던 쿠르투바 점령을 도왔다. 마침 총독을 살해한 세비야측 전향자 덕에 알 마문은 1075년 2월 15일에 쿠르투바에 입성, 안달루스의 최강자가 되었다.[29] 하지만 계속 쿠르투바에 머물던 그는 5달 만에 독살되었고, 사후 계승한 손자 알 카디르 야흐야는 발렌시아를 잃었다. 1077년에는 쿠르투바 역시 재차 독립했으나 1078년 다시 세비야 토후국에 점령된다.

2.2.3. 무라비트 왕조

1080년 바다호스 토후국에 톨레도를 잃은 알 카디르는 알폰소 6세의 도움으로 이듬해 복위했는데, 그는 발렌시아 회복을 도와주는 대가로 톨레도 할양에 합의했다. 따라서 1085년 알폰소 6세는 톨레도를 어렵지 않게 점령해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로 삼았다.[30] 톨레도 상실은 서로 싸우던 타이파 왕공들에게 충격을 주었고, 바다호스의 아미르 알 무타와킬을 필두로 마그레브의 무라비트 왕조에게 개입을 청했다. 알폰소 6세에 복속했던 세비야의 알 무타미드도 카스티야의 유대인 사절 이븐 샬립이 자신이 바친 연공을 거부하며 전부 금화로 내라며 모욕을 주자, 사절단을 학살하며 반기를 들었다. 이에 안달루스 전역은 알폰소 6세의 보복을 염려하며 두려움에 떨었고, 쿠르투바에서는 카디 (법관) 우바이둘라 빈 무함마드 빈 아담의 주재 하에 안달루스 각지의 유력자들이 모인 회담이 열렸다.

무슬림들이 당하는 치욕과 기독교로의 회귀에 대해 논의하던 그들은 무라비트 왕조의 유수프 이븐 타슈핀 앗 산하지에게 군사 개입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도착한 알 무타미드 역시 동의하며 우바이둘라를 사절로 파견했고, 유수프의 요구에 따라 알헤시라스를 전초 기지로 내주었다. 1086년 유수프는 알 무타미드와 함께 무슬림 연합군을 결성해 잘라카 (사그라하스) 전투에서 알폰소 6세의 기독교 연합군을 격파했고, 안달루스를 구원했다. 다만 본국의 문제로 회군했던 유수프는 1088년에 안달루스로 돌아와 무르시아 인근 알레도를 포위, 함락하진 못했지만 결국 카스티야 군을 철수시켰다. 뒤이어 마드리드 등지를 함락한 유수프는 쿠르투바를 거쳐 회군했다. 1090년, 3번째로 돌아온 유수프는 타이파 국가들의 비협조로 톨레도 함락에 실패하자 분노하여 안달루스를 직접 통치하기로 결정했다.

우선 그라나다를 함락한 그는 모로코로 돌아간 후 시르 이븐 아비 바크르를 세비야, 아부 압둘라 무함마드 이븐 알 핫즈를 쿠르투바, 수루르 알 람투니를 론다, 아부 자카리야 이븐 완수를 알메리아로 보내 장악하게 했다. 1091년 3월, 무라비트 군대는 쿠르투바를 어렵지 않게 점령했고 시내의 마지막 우마이야 가문원인 여시인 왈라다가 피살되었다. 당시 도시의 인구는 6만 5천명 정도였다. 같은해 9월 세비야 역시 카스티야의 원군이 격퇴된 후 함락되었고, 유수프는 시르 이븐 아비 바크르를 세비야 총독 겸 안달루스의 사령관으로 봉한다. 이로써 11세기 중반부터 이미 안달루스의 최대 도시로 부상하던 세비야 (이슈빌리야)는 정치적 중심지도 겸하게 되었다. 따라서 무라비트 시기에 쿠르투바는 별 주목을 받지 못했고, 그나마 세비야보다 더 북쪽에 있는 입지 조건 덕에 기독교 세력에 대한 군사 거점으로 유지되었다.

1091년 점령 직후 쿠르투바 총독에 부임한 유수프의 6촌인 아부 무함마드 마즈달리 이븐 틸란칸은 1102년 무라비트 군대의 발렌시아 점령에 기여했다. 다만 그후 마즈달리는 틀렘센 총독으로 이관되었고, 그의 아들 무함마드가 쿠르투바에 부임했다. 1110년, 톨레도 인근 지역들을 습격한 유수프의 후계자 알리는 막대한 전리품과 함께 쿠르투바로 회군했다가 마라케쉬로 돌아갔다. 1111년에 그라나다 총독이 된 마즈달리는 곧 쿠르투바 총독도 겸하게 되었다. 마즈달리는 1112년 과달라하라를 공격했고, 전리품과 함께 쿠르투바로 돌아왔다. 잠깐 해임되었다가 마라케쉬 궁정에서 소명하여 복직한 그는 1114년부터 톨레도 근처를 습격했다가, 1115년 카스티야 군과의 전투 중에 전사했다. 그의 시신은 다음날 쿠르투바로 돌아와 장례가 거행되었다. 1121년에 쿠르투바 주민들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1126년에는 아라곤-나바라 왕국의 알리폰소 1세가 그라나다 일대를 습격하며 쿠르투바 남쪽도 약탈했다. 1131년 무라비트 군에게 사로잡힌 카스티야 귀족 무뇨 알폰소가 쿠르투바에 감금되었다가 배상금 납부 후 풀려났다. 1133년 9월에는 알폰소 7세가 쿠르투바 인근을 약탈했다. 카스티야 군대는 추수 직전의 밭을 불태우고 올리브, 포도 나무를 베어버린 후 많은 전리품과 포로를 대동하며 회군했다. 1138년 알폰소 7세는 재차 남하해 쿠르투바 동쪽 안두하르 등에서 약탈을 자행하다 무라비트 왕조의 반격에 철수했다. 1134년 3월, 바다호스 전투에서 카스티야 군을 격파한 안달루스 부왕 타슈핀은 코르도바를 거쳐 그라나다로 개선한다. 1139년 7월, 쿠르투바 총독 무함마드 앗 주바이르 이븐 우마르는 안달루스 서부를 약탈하고 돌아가던 아폰수 1세를 산타렝 근처에서 습격했으나 패배했다.[31]
2.2.3.1. 코르도바 공방전 (1146년)
파일:코르도바 4.jpg
1145년 5월 말에 일주일 간 성당으로 쓰인 코르도바 대사원 (알 자마)

무라비트 왕조가 아브드 알 무민의 반란으로 약화되던 1143년, 카스티야 장군 무뇨 알폰소가 쿠르투바 인근을 약탈했다. 회군하던 그를 쿠르투바 및 세비야 총독들이 추격했지만 톨레도 방면의 몬티엘 전투에서 패하고 둘다 전사했다. 세비야와 코르도바 총독 등 무라비트 장군들의 머리를 창에 꽂혀 톨레도의 개선식에서 행진된후 성탑에 걸렸다. 다만 왕비 베렝가리아는 머리들을 유대인 및 무슬림 의사들에게 주어 몰약과 알로에를 바른 후 쿠르투바로 보내어 과부들이 장례를 치를 수 있게 해주었다. 1144년부터 안달루스 각지의 도시들은 재차 독립하며 2차 타이파 시대가 개막했다. 세비야의 무라비트 왕조의 총독인 왕족 야흐야 (이븐 가니야)가 니에블라의 반란에 대처하는 틈에 쿠르투바 주민들도 봉기했다가 1144년 말에 진압되었다. 그 틈에 말라가, 무르시아, 그라나다가 자립했다.

그리고 1145년 1월 쿠르투바의 카디 (법관) 아흐마드 이븐 함딘[32]가 칼리파의 호칭인 아미르 알 무슬리민을 칭하며 독립했다. 같은해 봄, 카스티야 궁정에 망명 중이던 사라고사의 왕자 자파돌라 (사이프 앗 다울라)가 남하하여 일시적으로 쿠르투바를 점령했으나 군중에 의해 쫓겨났다. 이후 아흐마드가 복귀했고, 자파돌라는 그라나다를 장악하였다. 1146년 2월, 총독 야흐야가 쿠르투바로 진격해 점령하고 아흐마드를 축출했다. 동시에 그라나다의 자파돌라 역시 축출되어 알폰소 7세에게 도움을 청한다. 다만 레온-카스티야 왕국의 지원군과 사이가 틀어져 그들과 싸우다 친칠라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1146년 2월 5일)

바다호스를 거쳐 쿠르투바 동북쪽의 안두자르로 피신한 아흐마드는 야흐야에 의해 포위되었고, 레온-카스티야 왕국의 알폰소 7세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이에 후자가 5월에 남하하자 야흐야는 포위를 풀고 쿠르투바로 후퇴했다. 추격에 나선 알폰소는 쿠르투바를 포위했고, 5월 24일에 입성했으나 야흐야는 알카사르에서 계속 농성했다. 한편 바다호스 토후국에게 영지를 잃은 메르톨라의 아불 카심 아흐마드 (이븐 카시)의 개입 요청으로 마라케쉬를 포위하던 무와히드 왕조의 칼리파 아브드 알 무민이 보낸 병력이 5월에 카디스에 상륙했다. 무와히드 대군에 맞서 쿠르투바를 지킬 병력이 부족했던 알폰소는 협상하여 야흐야의 복속 및 우베다와 바에자의 할양을 대가로 철수하기로 합의했고, 일주일간 시내에 주둔하며 대사원 꼭대기에 십자가를 둔 채로 톨레도 대주교의 집전 하에 미사를 드린 후에야 떠났다.

2.2.4. 무와히드 왕조

파일:무와히드 성벽.jpg
무와히드 시기에 세워진 알카사르 북쪽의 유대인 구역 성벽
파일:칼라호라 탑.jpg
무오히드 왕조 시기 말엽 (13세기 초엽)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로마 다리 남쪽의 칼라호라 성탑

알폰소가 떠난 후 다시 망해가던 무라비트 왕조에 충성하던 야흐야는 1147년 1월, 무와히드 군대가 세비야를 포위하자 항복하고 그라나다로 은퇴했다. 이로써 쿠르투바를 포함한 안달루스 주요부는 무와히드 왕조 령이 되었고, 같은해 말엽 마라케쉬가 결국 함락되며 무라비트 왕조는 멸망했다.[33] 한편 무와히드 왕조가 내부 규합에 치중하던 1147-48년 기독교 국가들이 리스본, 알메리아, 토르토사, 레리다 등을 연거푸 함락하며 안달루스는 1086년 이후 다시 재정복 될 위기에 처한다.[34] 무와히드 왕조는 1153년 말라가, 1154년 그라나다, 1157년 알메리야를 점령했지만 대규모 파병은 하지 않았다. 그동안 안달루스 동부는 무르시아의 아미르 아부 압둘라 무함마드 (이븐 마르다니쉬)에 의해 통합되었다. 1158년 무함마드의 사위 이브라힘 빈 함쉬크가 카스티야 군대와 함께 쿠르투바를 포위, 근교를 황폐화시켰다.

이후 2년간 이어진 봉쇄에도 주민들이 계속 저항하자 이브라힘은 1160년에 포위를 풀고 철수했고, 쿠르투바 총독 아부 자이드 압둘 라흐만 이븐 바키트가 추격했다가 매복에 걸려 전사했다. 1162년 칼리파 유수프 1세는 무함마드를 격파하고 하엔, 우베다 등을 점령해 쿠르투바의 배후를 안정시켰다. 같은해 아브드 알 무민은 기존의 세비야 대신 영웅적으로 항전한 쿠르투바를 안달루스 총독부로 삼았으나, 이듬해 그가 사망하며 무산되었다. 1165년 무와히드 군대는 재차 무함마드를 격파했고, 1169년 바다호스를 점령해 안달루스 서부를 석권했다. 1172년 무함마드가 사망하자 아들 힐랄이 무와히드 조에 복속하며[35] 안달루스는 다시 통합되었다.[36] 1195년 6월, 칼리파 야쿱 알 만수르는 휴전 후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가 남하하자 쿠르투바에 당도해 5일간 머문 후 출정해 알라르코스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1212년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에서 대패한 칼리파 무함마드 앗 나시르는 동생 아불 알라 이드리스에게 쿠르투바, 압둘라에게 무르시아, 아불 하산에게 그라나다, 아부 무사에게 말라가를 분봉한 후 곧 사망했다. 1224년 여름, 압둘라는 칼리파 알 아딜을 칭하며 마라케쉬의 숙부 압둘 와히드 1세에 대해 반란을 일으켰다. 비록 후자가 곧 암살되었지만 안달루스 파벌의 득세에 반발한 마그레브의 베르베르 군부는 계속 저항했다. 이에 압둘라는 안달루스 주둔군을 조금씩 모로코로 보냈다. 한편 안달루스에서도 하엔 총독 압둘라 알 바야시가 반란을 일으켰고, 카스티야 군대와 함께 8월에 쿠르투바를 점령했다. 그럼에도 압둘라는 알 바야시를 쿠르투바 총독에 봉한 후 마라케쉬로 향했다. 1225년 카스티야의 페르난도 3세가 마르토스, 안두하르를 점령하자 이듬해 알 바야시는 그에게 도움을 대가로 세 성채를 양도했다.

그중 카피야는 항복을 거부하고 카스티야 군의 공격을 수개월간 막아낸 끝에 장렬히 함락되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안달루스의 여론은 들끓었고, 배신자로 여겨진 알 바야시에 대해 쿠르투바 주민들이 봉기를 일으켜 살해한 후 그 수급을 마라케쉬로 보냈다. 1226년 페르난도 3세는 바에사를 함락하며 과달키비르 상류를 평정한다. 하지만 칼리파 이드리스 알 마문은 조카 야흐야와의 내전에 집중하기 위해 무와히드 병력을 완전히 철수시키며 안달루스를 포기했다. (1228년)[37] 이로써 안달루스는 사실상 무주공산이 되었고, 이렇게 개막한 3차 타이파 시대에서 무르시아의 아부 압둘라 무함마드 (이븐 후드)가 발렌시아 및 니에블라를 제외한 전 지역을 장악했다. 다만 그는 1231년 헤레스 전투에서 카스티야에 패하며 약화되었고, 나스르 왕조무함마드 1세가 1233년에 쿠르투바와 하엔을 점령했다.

2.2.5. 코르도바 함락 (1236년)

파일:1872 코르도바.png
1872년에 묘사된 '코르도바의 항복'

1234년 이븐 후드는 무함마드 1세를 격파하고 이듬해 쿠르투바를 수복한다. 이에 무함마드 1세는 하엔 유지를 대가로 이븐 후드에 복속한다. 한편 1230년에 레온-카스티야의 통합 군주가 된 페르난도 3세는 1234년 5월 과달키비르 협곡 동쪽 끝의 도시 우베다를 점령, 이를 거점으로 쿠르투바를 노렸다. 1235년 이븐 후드는 43만 마라베디 (maravedi)의 연공을 대가로 카스티야와 1년의 휴전을 체결한다. 다만 페르난도는 이븐 후드의 영토가 아니라는 이유로 쿠르투바를 지키는 두 관문 요새인 이즈나토라프와 토레 데 푸에르토[38]를 함락했고, 이후 왕국 북부로 이동했다. 1235년 12월, 안두자르에 배치된 카스티야의 경기병대인 알모가바르는 쿠르투바의 동쪽 시가지인 앗 샤르키야 (아세르퀴아)의 탈영병들에게서 주민들이 이븐 후드의 통치에 반발심을 지니고 있으며 수비대의 경계가 허술하다는 첩보를 입수했다.
곧바로 출정한 알모가바르는 모사라베 풍의 아랍 의복으로 위장한 후 비가 내리는 밤을 틈타 사다리로 성벽을 올랐다. (12월 23일) 처음 성내로 진입한 알바로 콜로라도가 마르토스 성문을 열어 기병대가 진입, 샤르키야 구역을 장악했다. 알모가바르가 주민들을 학살하자 생존자들은 주요 시가지인 메디나 구역으로 대피했다. 메디나까지 공격하기에는 병력이 열세였던 알모가바르는 변경 영주들과 페르난도에게 지원을 요청했고, 안두자르의 알바로 페레스가 원군과 함께 합류했다. 1236년 1월, 이 소식을 접한 페르난도는 레온과 사모라 일대에 군 소집령을 내린 후 폭풍과 홍수 속에서 소수의 기사들 만을 대동하고 남하해 2월 7일 쿠르투바에 당도했다. 이븐 후드 역시 무르시아에서 출정해 쿠르투바 서남쪽의 에시하에 주둔했다. 이에 페르난도는 과달키비르 강 남안에 주둔하며 에시하 방면으로 이어지는 다리를 차단했다.

한편 이븐 후드에게는 카스티야에서 사고를 친 후 추방된 귀족 로렌조 수아레스 휘하 2백의 기독교도 병력이 있었다. 로렌조는 이븐 후드에게 자신이 첩자가 되어 기독교 진영에 들어가 적의 작전을 알리겠다고 제안해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로렌조는 사실 카스티야로 돌아가고 싶었고, 페르난도를 만나 2중 첩자가 되는 조건으로 사면을 받았다. 이에 로렌조는 페르난도에게 밤에 여러 곳에 나눠 불을 피움으로써 군대의 규모를 과장하라는 조언을 올렸고, 계책이 이행되자 에시하로 돌아가 이븐 후드에게 카스티야 군세를 부풀렸다. 로렌조의 보고와 밤중 횃불의 규모를 확인한 이븐 후드는 승산이 없다 여겼고, 마침 아라곤 왕국이 발렌시아를 공격했기에 알메리야로 철수했다. 군주에게 버림받은 쿠르투바 주민들은 재산과 함께 떠나는 조건의 항복을 제안했지만, 적의 규모가 크지 않은 것이 파악되자 항전을 이어갔다.

그렇게 포위가 3개월 넘게 장기화되자 귀족 회의는 철수를 제안했지만 페르난도는 무함마드 1세와 휴전을 맺은 후 포위를 지속했다. 이로써 구원의 희망이 차단되자 쿠르투바 주민들은 6월 29일 (성 베드로 & 바울 축일)에 페르난도에게 성의 열쇠를 바치며 항복했다. 일부 귀족들은 성내 무슬림들의 학살을 제안했지만 페르난도는 기존의 제안과 같은 항복을 수용했고, 대부분의 무슬림 주민들은 재산과 함께 남쪽으로 떠났다. 알카세르와 대사원에는 십자가와 카스티야 깃발이 걸렸다. 이를 본 무슬림들은 통곡하고, 기독교도들은 환호하는 등 희비가 엇갈렸다. 다음날 (주일)에 페르난도는 도시에 입성해 알카세르에 머물렀고 알폰소 텔레스와 알바로 페레스를 각각 민정, 군정 총독에 봉했다.[39] 대사원에 있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철문과 종은 무슬림 하인들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갔다.

2.3. 중근세

카스티야의 정복 후 지명은 쿠르투바에서 스페인식 '코르도바'로 바뀌었고, 코르도바 주교구가 신설되었다. 기존 대사원은 산타 마리아 대성당이 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코르도바 공략 소식에 크게 기뻐하며 페르난도에게 경제적 및 정치적 특권을 부여했다. 한편 안달루스의 상징과도 같던 도시의 함락에 이슬람권 전역은 충격을 받았고, 1246년 하엔과 1248년 세비야까지 점령되며 안달루스의 종말은 시기의 차이가 있을 뿐 기정 사실화 되었다. 두 달 가량 알카세르에 머물며 도시를 스페인화, 기독교화 하던 페르난도는 8월에 레온으로 돌아갔다. 1240년에 돌아온 페르난도는 코르도바의 부동산을 전공을 세운 이들에게 분배했고, 기독교도들의 이주를 적극 장려했다. 1241년에 코르도바에는 율령인 푸에로가 시행되었고, 도시는 14개 콜라시오네스 (구역)로 나뉘어 구역마다 새 성당이 세워졌다.

2.3.1. 마린, 나스르 왕조의 위협

파일:알카사르 1.jpg
1328년 알폰소 11세가 쇠락해 가던 후우마이야 왕조 시절 왕궁을 무데하르 양식으로 중건한 가톨릭 군주들의 궁전
파일:알카사르 2.jpg
가톨릭 군주들의 궁전 (알카사르 데 로스 레예스 크리스티아노스)는 흔히 '코르도바 알카사르' 정도로 불린다.

코르도바는 또한 안달루시아를 구성하는 4개 왕국 중 코르도바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는데, 사실 단순 왕관 추가용인 명목상 국가였다. 코르도바 왕국은 사실상 주 처럼 유지되다가 1833년에야 폐지된다. 한편 카스티야의 봉신으로 남아있던 나스르 왕조는 1262년 알폰소 10세의 무리한 요구[40]를 거절하며 마그레브의 새 주인이 된 마린 왕조의 술탄 아부 유수프 야쿱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1275년 봄, 후자가 대군과 함께 안달루스에 상륙하자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2세가 코르도바를 공격했다. 반격에 나선 카스티야의 왕자 페르난도는 병사했고, 마린 군대는 코르도바 서남쪽의 에시하 전투에서 안달루시아 총독 누뇨 곤살레스 엘 부에노를 전사시키며 안달루스 수복의 희망을 키웠다. 하지만 에시하 함락에 실패한 야쿱은 하엔 인근의 마르토스 전투에서 톨레도 대주교를 전사시키며 승리했음에도 카스티야와 휴전을 맺었다.

1277년 여름에 안달루스로 돌아온 야쿱은 세비야 외곽에서 카스티야 군을 격파하고 과달키비르 강을 따라 여러 성채들을 점령했다. 11월에 야쿱은 무함마드 2세와 함께 코르도바를 포위하고 근교를 약탈했다. 이에 알폰소 10세와 일대이 마을들이 배상금을 대가로 휴전을 청하자 나스르-마린 연합군은 철수했고, 알헤시라스 소유권 분쟁으로 양측의 동맹이 깨지게 되며[41] 코르도바는 당장의 위협에서 벗어났다. 그러던 1282년 4월, 무함마드 2세의 사주를 받은 카스티야 왕자 산초가 부왕 알폰소 10세와의 갈등 끝에 귀족들의 지지를 받아 왕을 칭했다. (산초 4세) 세비야로 피신했던 알폰소는 동맹 야쿱이 마린 군대와 함께 당도하자 함께 산초가 주둔하던 코르도바로 진격해 21일간 포위했으나, 함락하지 못하고 철수했다. 이후 야쿱은 무함마드 2세와 화해했고, 알폰소는 산초에게 실권을 빼앗긴다.

한동안 안달루스에 개입하지 않던 마린 왕조는 술탄 아불 하산 알리 대에 전성기를 맞으며 1333년 그라나다의 무함마드 4세를 도와 카스티야가 점령한 지브롤터를 포위, 점령했다. 이에 카스티야의 알폰소 11세가 지브롤터를 포위했으나 격퇴되었고, 그동안 무함마드 4세는 카스티야측 후방인 코르도바 근교를 습격한 후 로마 다리 남쪽의 과달키비르 강변에 주둔했다. 다만 포위된 마린 군대의 상황이 좋지 않았기에 그는 곧 지브롤터 방면으로 회군했고, 카스티야 군을 역포위 하여 철수시켰다. 안달루스에 대한 마린 왕조의 영향력은 1340년 리오 살라도 전투 패배 후 사실상 사라진다. 카스티야 내전 중인 1368년 가을, 엔리케 2세에 충성하던 코르도바는 페드로 1세와 그의 동맹인 무함마드 5세의 그라나다 군대에 의해 공격을 받았지만 격퇴했다. 이후 다시는 무슬림 군대가 도시에 접근하지 않았다. [42]

2.3.2. 그라나다 정복의 거점

파일:세비야 성문.jpg
14세기 산 바실로 구역의 신설로 서쪽에 새 성벽이 세워지며 생겨난 세비야 성문
파일:말무에르타.jpg
1404-08년 시가지 동부의 아세르퀴아 (앗 샤르키야)에 세워진 말무에르타 성탑

그라나다의 위협에 노출된 코르도바는 카스티야에 있어 국경 거점 도시 정도로 여겨졌고, 11-13세기와 마찬가지로 안달루시아의 중심지는 세비야로 고정되었다. 1391년에는 반유대 폭동으로 유대계 주민들이 다수 축출되었다. 한편 가톨릭 국왕 부부 (이사벨 1세페르난도 5세)는 1481년 세비야에서 시작된 이단심문소 설치를 이듬해 코르도바에서도 이행, 알카사르가 왕궁 겸 이단 심문소가 되었다. 이때 안달루스 시기 목욕탕 등이 고문 및 심문방으로 바뀌었다. 한편 1483년, 코르도바 남동쪽의 루세나를 공격했다가 사로잡혀 코르도바 동쪽의 포르쿠나에 감금된 그라나다 술탄 무함마드 12세 (보압딜)는 곧 코르보바의 알카사르에 감금되었다. 곧 페르난도와 친분을 쌓은 무함마드는 그와 코르도바 협정을 체결, 무함마드는 스페인 왕국 (카스티야-아라곤 연합 왕국)에 복속하고 배상금을 납부하는 조건 하에 석방되었다.

페르난도의 의중대로 무함마드는 부왕 아불 하산 알리 빈 사드와의 내전을 이어갔고, 이를 틈타 스페인 군은 론다와 마르베야를 점령했다. 1486년 무함마드는 부왕의 사후 계승한 무함마드 13세와 휴전 조약을 맺고 그라나다 서쪽의 로하를 영지로 받는 것에 만족했다. 다만 같은해 5월 스페인 군이 로하를 점령해 다시 포로가 된 무함마드는 페르난도의 장군 곤살로 페르난데스 데 코르도바 (엘 그란 카피탄)의 중재로 군사적으로 협력하고, 그라나다 대신 과디시와 알메리야 등 왕국 동부를 갖는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실제로 1487년 스페인 군의 벨레즈 말라가 및 말라가의 함락을 도운 무함마드는 무함마드 13세가 구원을 위해 나선 틈에 알함브라를 장악, 술탄으로 복위했다. 그동안 가톨릭 국왕 부부는 코르도바 알카사르에 머물렀는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487년에 '인도' 항해의 자금 지원을 청하러 알현했다.

이사벨 1세는 그의 주장에 동감했지만, 전쟁 중이었기에 항해를 바로 승인하지는 않았고 봉급을 주어 휘하에 두었다. 1489년 12월, 무함마드 13세의 항복으로 나스르 왕조의 동부를 정복한 가톨릭 국왕 부부는 코르도바로 회군해 겨울을 나며 그라나다 정복을 준비했다. 페르난도가 동부 지역을 내주지 않고 먼저 그라나다 항복을 요구하자 무함마드는 불신하여 저항했고, 이에 8만의 스페인 군이 코르도바에 집결했다. 코르도바에서 1년간 준비한 페르난도는 1491년 봄에 출정했다. 그라나다 서쪽에 병영 도시 산타페를 세어 왕실 가족과 입주한 페르난도는 6개월이 넘는 공방전 끝에 무함마드의 항복을 받아내며 레콩키스타를 마무리 지었다. (1492년 1월) 그라나다의 항복 후 드디어 항해 허가를 받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같은해 8월, 카디스를 떠나 2달 후 아메리카 대륙에 당도하게 된다.

2.3.3. 침체기

파일:코르도바 2.jpg
15-17세기 데 피게오라 가문이 건설하고 19세기 비아나 후작 가문이 소유한 비아나 궁전
파일:산세바스티안 코르도바.jpg
1512-16년간 메스키타 서쪽에 세워진 산 세바스티안 병원

1492년 이후 코르도바는 완전히 평화의 시기를 맞았다. 다만 이미 군사 요충지 정도로 여겨지던 코르도바는 더 이상 스페인 왕국 내에서 특별한 역할을 상실했다. 여기에 과달키비르 강의 최적물이 쌓여 수운이 막혀 이슬람 시기처럼 무역의 거점이 되기도 어려웠다. 그나마 16세기 중반에는 대항해시대의 호황과 함께 인근 농경지에서 수확된 곡물의 유통과 직물업 덕분에 1571년에 인구가 5만까지 늘기도 했다. 하지만 17세기 들어 스페인 경제가 악화되며 18세기 초엽 인구는 2만 수준으로 줄었다. 한편 1785-92년 코르도바 동북쪽의 알콜레아에는 과달키비르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놓였는데, 나폴레옹이베리아반도 전쟁 중 1808년 6월 7일 피에르 뒤퐁의 프랑스 제국군이 스페인 군대 및 민병대를 격파한 후 같은 날 코르도바를 점령해 4일간 약탈했다.

2.4. 근현대

안달루시아를 유린하던 프랑스 제국군은 1808년 7월 중순의 바일렌 전투에서 패배한 후 물러났다. 근대화 시기인 1859년 6월, 코르도바와 세비야를 잇는 철도가 부설되었다. 1861년에는 카디스, 1866년에는 마드리드와의 철도도 부설되었다. 그러던 1868년 9월 28일, 이사벨 2세에 대해 반란을 일으킨 프란시스코 세라노 휘하의 1만의 혁명군이 코르도바 인근 알콜레아에서 마누엘 파베아가 이끄는 1만의 스페인 왕국군을 격파했다. 패전보를 접수한 이사벨 2세는 이틀 후 퇴위하고 프랑스로 망명한다.

2.4.1. 스페인 내전

한편 20세기 들어 코르도바의 인구는 5만 선을 회복했고, 1930년경 10만을 넘겼다. 스페인 내전의 전운이 일던 1936년 7월 18일, 코르도바 주의 군정장관 키리아코 가스카호가 국민파 병력과 함께 봉기하여 주 청사를 폭격하고 공격했다. 민정장관 로드리세스 데 레온은 주민 대표단과 함께 주 청사에서 저항해으나 주민들이 총칼로 위협하자 항복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측근인 곤살로 케이포 데 라노와 시장 브루노 일바네즈의 국민파 군대는 2천에 달하는 공화파 주민들을 처형했다. 이는 스페인 본토에서 벌어진 국민파의 첫번째 주요 무력 봉기였고, 이후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 등지에서도 무력 충돌이 벌어지며 스페인 내전이 본격화되었다. 즉, 3년간 이어진 내전의 신호탄이 코르도바에서 터진 것. 내전 후 프랑코의 철혈 통치 하에서 1951년까지 코르도바 주에서는 9,579명의 주민이 희생되었다.

2.5. 현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Vista_a%C3%A9rea_de_C%C3%B3rdoba_%28Espa%C3%B1a%29.jpg
콘스티투시온 광장 ~ 빅토리아 정원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신도심 (좌)와 구도심 (우)

1953년과 1962년에 코르도바를 방문한 프랑코는 모두 비아나 궁전에서 머물렀다. 1984년 코르도바 구도심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고, 2018년에는 메디나 아자흐라 역시 등재되었다. 2016년 코르도바는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3. 인구

4. 관광

파일:코르도바 전경.jpg

파일:external/journeyaroundtheglobe.files.wordpress.com/img_1783_4_5_tonemapped2.jpg

파일:코르도바 3.jpg

지금도 이슬람 문화의 유적이 많이 남아서 중세 가톨릭 문화의 건물들과 함께 공존하는데 이것이 독특한 아름다움을 발산해서 세비야, 그라나다, 말라가 등과 함께 스페인 안달루시아의 중요한 관광 도시로 꼽힌다. 특히 알안달루스 시절 모스크로 건축되었다가 뒷날 레콩키스타 이후에 개조를 거쳐 지금은 가톨릭 성당이 되어 있는 메스키타[43]가 유명하다. 이슬람 모스크와 가톨릭 성당 둘 다에 가 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느낄 수 있는 분명히 어딜 봐도 모스크 건물인데 건물 벽면에 중간중간 훼손되다 만 아랍어 문자와 함께 제단이 들어서 있고 건물 중앙에는 제대가 있는 그 기묘한 풍경이 압권이다.

최근 이 메스키타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고 한다. 일단 메스키타는 성당으로 개조된 뒤 종교 시설로 남아 현재도 가톨릭 교단이 관리하고 있다. 그런데 교단의 관리에 시민들이 불만이 많은 듯 싶은데 입장료라든지가 비싼 건 둘째치고 안내 책자의 설명에 이슬람이라는 문구를 지우는 등 메스키타의 이슬람 문화를 고의적으로 배제하려는 느낌이 강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문화재로서의 가치를 중시하는 역사학자나 시민 사회가 교단과 대립하고 있는 상황. 시민 사회는 터키의 하기아 소피아처럼 국가 차원으로 관리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고. 이슬람측에게 기독교 비난 명분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2020년 에르도안의 튀르키예 정부가 하기아 소피아를 모스크로 개조하면서 무슬림들은 할말이 없게 되었다.

파일:알카사르 3.jpg
파일:알카사르 4.jpg

메스키타 근처, 구도심 서남부에 알카사르(알카사르 데 로스 레예스 크리스티아노스)도 있는데 무슬림들이 건설한 것은 아니고 코르도바가 재정복된 이후 1328년 알폰소 11세가 명령해서 무데하르 양식을 모방해서 지은 것이다.

파일:코르도바10.jpg
구도심 동부의 대표적 관광지인 비아나 궁전
파일:코르도바 수크.jpg
11세기 초에 파괴된 후우마이야 왕조 시기의 시장 (수크)을 재현한 전통시장. 여전히 수크로 불리며, 각종 공예품을 판다.

스페인 남부의 대표 관광지인 세비야, 그라나다에 비해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마드리드에서 세비야로 가는 길목에 있어서 접근성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세비야에서 당일치기 여행도 가능하다. 또한 세비야에서 기차로 서쪽의 그라나다로 이동할 때는 물론 세비야보다 남부에 있는 론다나 마르베야, 말라가 등으로 이동할 때도 거치게 된다. 즉 안달루시아를 기차로 여행한다면 적어도 한 번은 지나치는 장소이기도 하다. 도시 외곽에 공항이 있긴 하나 운행 노선이 적어[44] 가장 가까운 세비야 공항을 한다.

파일:코르도바 로마.jpg
파일:코르도바 성벽 1.jpg
구도심 동북쪽에 남아있는 로마시대 성벽
파일:코르도바 성벽.jpg
파일:코르도바 성벽 3.jpg
구도섬 서쪽~서남쪽에 남아있는 우마이야-무와히드 시기 성벽

성벽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는 이곳이 인기 관광지임을 느끼게 해준다. 명승지인 메스키타, 고대 로마 시대 건설된 다리, 알카사르 말고도 볼거리가 많다. 이슬람의 함맘이나 유대인의 시나고그 같은 다양한 문화의 흔적도 있다. 시나고그 근처에는 세파르딤 박물관이 있고, 가까운 자리에는 코셔 푸드를 파는 식당도 있다.[45]

파일:메디나 아자흐라 2.jpg
파일:메디나 아자흐라 3.jpg
파일:메디나 아자흐라.jpg
파일:메디나 아자흐라 1.jpg

시 외곽에는 메디나 아자하라( مدينة الزهراء / Medina Azahara)라는 버려진 이슬람 도시 유적도 있다.

여름이 되면 노천 음식점에서 계절별미로 달팽이(caracoles) 요리를 판다. 한국의 다슬기나 번데기처럼 관광객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린다. 간식 종류인 타바스 역시 유명한 현지 요리이다.

날씨는 그야말로 뜨겁다. 카나리아 제도 같은 곳보다도 뜨거운 여름을 자랑한다. 7월 최고기온이 무려 36.2℃로 유럽에서 가장 뜨거운 여름을 자랑하며 1995년 46.6℃를 기록한 적이 있다.

대로변이나 공원에는 오렌지나무를 많이 심어 놓았는데 식용이 아닌 관계[46]로 익은 오렌지가 길바닥에 떨어져도 사람들이 무심하게 지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47] 오렌지로 유명한 발렌시아만큼은 아니지만 코르도바에서도 품질 좋은 오렌지 주스를 저렴한 가격에 판다. 길거리 좌판에서 주문하면 즉석에서 짜 준다.

번영했던 이슬람 시기에 대한 향수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관광객 대상 마케팅 용인지 모르겠지만 전통시장 등에서 기념품으로 이슬람 양식의 그릇이나 도자기를 종종 판매한다. 그중 일부에는 유럽의 주요 가톨릭 국가답지 않게 쿠란 구절이나 알라 등을 아랍어로 써두기도 한다.

멕시코, 미국,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페루에도 이 도시의 이름을 딴 코르도바라는 도시가 있다.


[1] 1994년 등록확장[2]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3]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4]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5]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6] 이러한 전성기는 11세기 초엽 안달루스 내전으로 여러번 약탈을 당하며 10만 이하로 줄어들며 끝난다. 그리고 송나라의 수도 카이펑 (개봉)이 세계 최대 도시가 된다[7] 영문 단어 위키백과에서는 이 유바가 누미디아 왕 '유바 1세'라고 하지만 그의 생몰년도(기원전 85~기원전 46)을 보았을 때 틀린 서술인 듯하다. 이 때는 이미 로마에게 도시가 넘어간지 백 년도 넘은 때이다.[8] 《지중해 문화를 걷다》를 부산외대에서 편찬한 만큼 신뢰성은 전자가 조금 더 높아보인다.[9] 이는 세우타 봉쇄 당시 물자를 전달했다가 압둘 말리크에게 고문당하고 처형된 상인에 대한 보복이었다[10] 다마스쿠스 부대는 엘비라 (그라나다), 요르단 부대는 라이유 (말라가), 팔레스타인 부대는 메디나 시도니아 및 헤레스, 홈스 부대는 세비야 및 니에블라, 킨나스린 부대는 하엔, 이집트 부대는 베자와 무르시아에 분산됨. 각 정착민들은 현지 세금의 1/3을 부여받고 징세권을 부여받으며 계속 군인으로 복무함. 한편 대규모 아랍 군대의 정착으로 안달루스의 아랍-이슬람 색채가 더 짙어짐[11] 이때 시장의 도축업자들이 시리아 군단을 도왔다[12] 그 전에 서고트 왕국기에도 이용되었고, 712년 이후에는 베르베르 군인 라진 알 부르누시가 거주했다[13] 이슬람 사원에서 사람이 올라가 기도 시간을 외쳐서 알려주는 탑. 교회로 보자면 종탑.[14] 하지만 그틈에 프랑크 왕국이 남하해 바르셀로나를 정복한다[15] 그틈에 프랑크 왕국이 팜플로나를 정복하고 마르크 (변경백)를 세운다[16] 이들은 지중해를 떠돌다 크레타에 정착해 토후국을 세운다.[17] 이른바 806년의 '참호 학살'을 주도했다고[18] 하지만 845년 경에는 북방의 서고트계 무슬림 가문인 바누 카시의 무사 이븐 무사가 쿠르투바 왕궁에 입조해 복속했지만, 다시 반란을 일으켜 결국 사라고사에서 자립한다.[19] 특히 강경했던 제레미야는 채찍질을 통해 죽음에 이르렀다.[20] 후자의 어린 나이는 여론의 공분을 샀다.[21] 다만 반란을 주도한 주교 에우제니오는 감금된 후 처형되었다.[22] 이후 오르티 가르체이츠는 20년간 쿠르투바에서 인질 생활을 한다.[23] 명목상으로 압바스 왕조의 영토인 페르시아에서 쓰여진 책이 그에게 헌정될 정도였다.[24] 본래 과달키비르 남안의 시가지에 있었으나 9세기 초엽의 반란 후 시가지 서남부로 옮겨졌고, 11세기 초엽 내전으로 파괴됨[25] 이후 알카사르 성벽 위에 놓였다가, 1011년에 지리의 아들 자위 이븐 지리가 베르베르 군대와 도시를 함락한 후 수습되어 몸이 묻힌 무덤에 합장된다[26] 정확히는 자살 시도 중 압둘 잡바르가 발견해 땅바닥에 던져진 후 처형됨[27] 역설적이게도 알 하캄 2세에 의해 멸망했다[28] 그 외에 카즈란 부족에게 아르코스, 담마르 부족에게 모론을 분봉해주었다.[29] 톨레도 ~ 코르도바 ~ 발렌시아 지배. 다만 레온 왕국에 연공을 바치던 신세였다[30] 알 카디르는 발렌시아를 얻었으나 1092년 민중 봉기로 폐위되고 처형된다.[31] 아폰수 1세는 이를 바탕으로 왕을 칭하며 포르투갈 왕국을 세운다.[32] 혹은 함딘 이븐 무함마드[33] 다만 발레아레스 제도에는 야흐야의 동생 무함마드가 계속 통치하며 1203년까지 이어진 바누 가니야를 유지한다[34] 연이은 승리에 레콘키스타 완수가 임박했다고 믿은 알폰소 7세와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는 투델렌 협정을 맺어 향후 영토 분할을 논의하기에 이르렀다. (1151년 1월 27일) 무르시아와 발렌시아가 라몬에게 주어졌고, 그는 사라고사의 경우처럼 '히스파니아의 황제' 알폰소의 봉신으로서 그곳을 영유하기로 하였다. 세비야, 코르도바, 하엔, 그라나다 등의 나머지 지역들은 레온-카스티야에 할당되었다.[35] 이후 무르시아 총독으로 임명된다[36] 하지만 칼리파 유수프 1세는 1184년 산타렝 공격 중 사망했다.[37] 이미 무와히드 왕조는 하프스 왕조, 자얀 왕조 등의 발흥으로 모로코 일대로 축소되었고, 모로코마저 마린 왕조의 반란으로 위태로웠다.[38] 혹은 산세바스티안 델 푸에르토[39] 민정 총독은 알폰소 텔레스 데 메네세스[40] 알헤시라스와 타리파 할양[41] 이후 마린-카스티야 vs 나스르-아라곤 구도가 형성된다[42] 코르도바 방면으로의 그라나다측 마지막 공세는 1483년 무함마드 12세가 코르도바 ~ 안티케라 사이의 루세나를 공격한 것이었다[43] 사실 스페인에서 "메스키타"는 모스크를 말하는 일반명사지만 스페인이 이슬람 국가가 아니고 이 모스크의 존재감이 워낙 압도적이라서 이베리아 반도 이슬람 문화와 역사에 코르도바의 영향력이 워낙 강력하니 관사를 붙혀 La Mezquita라고 하면 보통은 코르도바의 이 건물을 의미한다. 굳이 콕 찝어서 얘기할 때는 Mezquita de Córdoba라고 한다.[44] 그란 카나리아, 마요르카, 바르셀로나가 끝이다[45] 일반적인 코셔 식당들과 다르게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46] 못 먹는 건 아니고 식용으로 생산하는 것보다 맛이 떨어진다.[47] 악취는 적지만 미관상 가을에 은행이 떨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코르도바|코르도바]]}}}{{{#!if external != "o"
[[코르도바]]}}}}}}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코르도바?uuid=5fedecf1-2945-44ca-b930-7c8db9e7a231|r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코르도바?uuid=5fedecf1-2945-44ca-b930-7c8db9e7a231#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코르도바?from=4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코르도바|코르도바]]}}}{{{#!if external != "o"
[[코르도바]]}}}}}}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코르도바?uuid=5fedecf1-2945-44ca-b930-7c8db9e7a231|r4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코르도바?uuid=5fedecf1-2945-44ca-b930-7c8db9e7a231#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코르도바?from=4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