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아세안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
| | | |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
| | | |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호주 | }}}}}}}}} |
| |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 |
ក្រុមបាល់ទាត់ជម្រើសជាតិកម្ពុជា | |
정식 명칭 | ក្រុមបាល់ទាត់ជម្រើសជាតិកម្ពុជា[1] |
FIFA 코드 | CAM |
FIFA 랭킹 | 180위[2] |
Elo 랭킹 | 206위[3] |
국가 협회 | 캄보디아 축구 연맹 (FFC) |
대륙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 연맹 | 아세안 축구 연맹 (AFF) |
감독 | |
주장 | 소에우이 비살 (Soeuy Visal) |
최다 출전 | 소에우이 비살 (Soeuy Visal) - 81경기 |
최다 득점 | 혹 소쩨뜨라 (Hok Sochetra) - 20골 |
홈 경기장 | 모로독 테초 국립 경기장 (Morodok Techo National Stadium, 60,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
별칭 | រាជខ្មែរ (로얄 크메르) អ្នកចម្បាំងអង្គរ (앙코르 전사) |
스즈키컵 | 진출: 9회 최고 성적:조별리그[4], 9회[5] |
아시안컵 | 진출 1회, 4위 1회 (1972) |
<rowcolor=#fff>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colcolor=#C8AB37> 상의 | 파랑 | 하양 |
하의 | 검정 | 하양 |
양말 |
1. 개요
캄보디아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54위(2011년 3월 9일), 최저 순위는 201위(2014년 8월 14일)이다.2. 상세
2023년 4월 기준 FIFA 랭킹 176위의 약체다. 홈 경기장은 모로독 테초 국립 경기장. 로얄 크메르(The Royal Khmers), 앙코르 전사들(Angkor Warrior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축구 인기가 많지만 동남아시아에서도 최약체답게 국제대회에서 그다지 큰 성적은 없으며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AFC 아시안컵에서는 1972년 6개국(6강) 본선 진출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였다. 이 당시 한국에게 1-4로 참패했다.
하지만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동남아에서 나름대로 강호였던 시절도 있었다. 1973년 박스컵 대회에선 안방팀인 한국을 이기고 미얀마와 같이 공동우승했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에 의하여 축구인사들도 학살 및 숙청당하면서 동남아 최약체급으로 전락했다. 역대 최고 순위도 불과 154위.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선 라오스와 1승 1패를 주고받았으나 골득실로 밀려 탈락했다. 2015년 2월엔 한국의 K3 챌린저스리그 우승팀인 화성 FC와 시합을 해서 5:2로 졌다. 이것만 놓고 보면 화성 FC와 경기에서 1:1로 비긴 대만보다 못한 편이지만 2015년 1월 FIFA 랭킹은 대만(182위)보다도 3위 위인 179위이기 때문에 대만보다는 낫다.
그리고 이런 열악한 국대 축구 현황과 달리 국내 리그 인기가 높아서 프놈펜 크라운 클럽이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 준우승을 거두자 캄보디아에선 열광하기도 했다. 축구란 스포츠 자체가 존재하지 않다시피하는 대만보다는 그래도 미래의 발전 가능성 측면에서 희망이 있는 편이다. 뭐, 대만도 타이완 프리미어 리그를 출범시키며 나름대로 발전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한국과의 전적은 1승 6패로 열세. 가장 최근 경기가 크메르 대표팀 시절인 1974년, 즉 50년 전이었는데, 킹스컵에서 한국에 1:2로 패했다. 캄보디아의 1승은 한국 원정에서 거둔 승리다.
2018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 혼다 케이스케가 사실상 감독 체제로 참가했지만 미얀마에게 4-1로 대패당하면서 동남아에서도 아직 멀었다는 모습을 보였다... 베트남 말레이에도 물론 패배했으나, 라오스를 상대로 3-1로 승리하며 최하위는 면했다.
그리고 2022년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이란 원정 경기에서 14-0이라는 점수차로 영혼까지 털렸다.[6] 이 점수차로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신기록을 갈아치우고 말았다. 사실, 동남아에서도 손꼽히는 약체이기에 1995년에는 인도네시아에게 10:0으로 호되게 털렸으며 역대 인도네시아와 17번 경기를 치러 1무 16패를 기록할 정도이다.
그러나 2022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필리핀을 상대로 접전 끝에 승리한데 이어 같은 최약체팀인 브루나이를 5-1로 대파하고 2승을 기록하며 캄보디아 대표팀 역사상 AFF 챔피언십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으며 강호 인도네시아와 태국을 상대로도 패하긴 했지만 1골씩 터뜨리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파키스탄과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2차전에서 1:0으로 지면서 파키스탄의 사상 첫 월드컵 아시아 예선 첫 승 및 첫 아시아 2차 예선 진출의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FBT이며 주요 선수로는 프랑스계 선수인 티에리 빈, 팀내 에이스인 찬 바타나카 등이 있고 캄보디아 대표팀의 유일한 해외파로는 카메룬 출생으로 현재 인도네시아 리가 1의 발리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하고 있는 프리바트 음바르가가 있으며 그리고 일본 출생으로 현재 프놈펜 크라운에서 활약 중인 오가와 유다이가 있다.
3. 역대 전적
3.1. FIFA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프랑스령 캄보디아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34 이탈리아 | FIFA 비회원국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 캄보디아 제1왕국 | |||||||||
1954 스위스 | 불참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 크메르 공화국 | |||||||||
1970 멕시코 | 불참 | ||||||||
1974 서독 | |||||||||
※ 민주 캄푸치아 | |||||||||
1978 아르헨티나 | 불참 | ||||||||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
1982 스페인 | 불참 | ||||||||
1986 멕시코 | |||||||||
※ 캄보디아국 | |||||||||
1990 이탈리아 | 불참 | ||||||||
※ 캄보디아 제2왕국 | |||||||||
1994 미국 | 불참 | ||||||||
1998 프랑스 | 예선 탈락 | ||||||||
2002 한일 | |||||||||
2006 독일 | 불참 | ||||||||
2010 남아공 | 예선 탈락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3.2.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9위
<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캄보디아 제1왕국 | |||||||||
1956년 홍콩 | 예선 탈락 | ||||||||
1960년 대한민국 | 불참 | ||||||||
1964년 이스라엘 | |||||||||
1968년 이란 | 예선 탈락 | ||||||||
※ 크메르 공화국 | |||||||||
1972년 태국 | 4위[7] | 5 | 1 | 1 | 3 | 8 | 10 | 4 | |
※ 민주 캄푸치아 | |||||||||
1976년 이란 | 불참 | ||||||||
※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
1980년 쿠웨이트 | 불참 | ||||||||
1984년 싱가포르 | |||||||||
1988년 카타르 | |||||||||
※ 캄보디아국 | |||||||||
1992년 일본 | 불참 | ||||||||
※ 캄보디아 제2왕국 | |||||||||
1996년 UAE | 불참 | ||||||||
2000년 레바논 | 예선 탈락 | ||||||||
2004년 중국 | |||||||||
2007년 아세안 | 불참 | ||||||||
2011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15년 호주 | |||||||||
2019년 UAE | |||||||||
2023년 카타르 | |||||||||
2027년 사우디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4위 1회 | 5 | 1 | 1 | 3 | 8 | 10 | 4 |
3.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rowcolor=#fff>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싱가포르 1996 | 조별리그 | 9위 | 4 | 0 | 0 | 4 | 1 | 12 | 0 |
베트남 1998 | 예선 탈락 | ||||||||
태국 2000 | 조별리그 | 7위 | 4 | 1 | 0 | 3 | 5 | 10 | 3 |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 조별리그 | 7위 | 4 | 1 | 0 | 3 | 5 | 18 | 3 |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 조별리그 | 10위 | 4 | 0 | 0 | 4 | 2 | 22 | 0 |
싱가포르&태국 2007 | 예선 탈락 | ||||||||
인도네시아&태국 2008 | 조별리그 | 7위 | 3 | 0 | 0 | 3 | 2 | 12 | 0 |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 예선 탈락 | ||||||||
말레이시아&태국 2012 | |||||||||
싱가포르&베트남 2014 | |||||||||
미얀마&필리핀 2016 | 조별리그 | 8위 | 3 | 0 | 0 | 3 | 4 | 8 | 0 |
홈&어웨이 2018 | 조별리그 | 8위 | 4 | 1 | 0 | 3 | 4 | 9 | 3 |
싱가포르 2020 | 조별리그 | 7위 | 4 | 1 | 0 | 3 | 6 | 11 | 3 |
홈&어웨이 2022 | 조별리그 | 6위 | 4 | 2 | 0 | 2 | 10 | 8 | 6 |
홈&어웨이 2024 | 조별리그 | 6위 | 4 | 1 | 1 | 2 | 7 | 8 | 4 |
합계 | 본선진출 10회[8] | 38 | 7 | 1 | 30 | 46 | 118 | 22 |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AFC U-23 아시안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23 챔피언십 대회 | |||||||||||
2014 오만 | 예선 탈락 | ||||||||||
2016 카타르 | |||||||||||
2018 중국 | |||||||||||
2020 태국 | |||||||||||
AFC U-23 아시안컵 [9] | |||||||||||
2022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4 카타르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U-20 대표팀
4.2.1. AFC U-20 아시안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59 말레이시아 | 불참 | ||||||||||
1960 말레이시아 | |||||||||||
1961 태국 | |||||||||||
1962 태국 | |||||||||||
1963 말레이시아 | 조별리그 | 9위 | 6 | 5 | 2 | 0 | 3 | 7 | 12 | ||
1964 남베트남 | 불참 | ||||||||||
1965 일본 | |||||||||||
1966 필리핀 | |||||||||||
1967 태국 | |||||||||||
1968 대한민국 | |||||||||||
1969 태국 | |||||||||||
1970 필리핀 | |||||||||||
1971 일본 | |||||||||||
1972 태국 | 조별리그 | 14위 | 1 | 3 | 0 | 1 | 2 | 0 | 8 | ||
1973 이란 | 불참 | ||||||||||
1974 태국 | 조별리그 | 10위 | 3 | 3 | 1 | 0 | 2 | 7 | 6 | ||
1975 쿠웨이트 | 불참 | ||||||||||
1976 태국 | |||||||||||
1977 이란 | |||||||||||
1978 방글라데시 | |||||||||||
1980 태국 | |||||||||||
1982 태국 | |||||||||||
1985 UAE | |||||||||||
1986 사우디 | |||||||||||
1988 카타르 | |||||||||||
1990 인도네시아 | |||||||||||
1992 UAE | |||||||||||
1994 인도네시아 | |||||||||||
1996 대한민국 | |||||||||||
1998 태국 | |||||||||||
2000 이란 | 예선 탈락 | ||||||||||
2002 카타르 | |||||||||||
2004 말레이시아 | |||||||||||
2006 인도 | 불참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 사우디[10] | 불참 | ||||||||||
2010 중국 | 기권 | ||||||||||
2012 UAE | 불참 | ||||||||||
2014 미얀마 | |||||||||||
2016 바레인 | |||||||||||
2018 인도네시아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3회[11] | 10 | 11 | 3 | 1 | 7 | 14 | 26 |
4.3. U-17 대표팀
4.3.1. AFC U-17 아시안컵
<rowcolor=#fff>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1985 카타르 | 불참 | ||||||||||
1986 카타르 | |||||||||||
1998 태국 | |||||||||||
1990 아랍에미리트 | |||||||||||
1992 사우디아라비아 | |||||||||||
1994 카타르 | |||||||||||
1996 태국 | |||||||||||
1998 카타르 | |||||||||||
2000 베트남 | 예선 탈락 | ||||||||||
AFC U-17 Championship | |||||||||||
2002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4 일본 | |||||||||||
2006 싱가포르 | 불참 | ||||||||||
AFC U-16 Championship | |||||||||||
2008 우즈베키스탄 | 실격 | ||||||||||
2010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12 이란 | |||||||||||
2014 태국 | 불참 | ||||||||||
2016 인도 | 예선 탈락 | ||||||||||
2018 말레이시아 | |||||||||||
AFC U-17 아시안컵 | |||||||||||
2023 태국 | 예선 탈락 | ||||||||||
2025 사우디아라비아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 | | 손흥민(5) | 5:0 승 (2015) | |||||
5 | 5 | 0 | 0 | 28 | 0 | +28 | ||
<rowcolor=#fff> | | 차범근(9) | 3:3 무 (2024) | |||||
47 | 26 | 13 | 8 | 81 | 45 | +36 | ||
<rowcolor=#fff> | | 차범근(6) | 4:0 승 (2015) | |||||
27 | 15 | 7 | 5 | 42 | 15 | +27 | ||
<rowcolor=#fff> | | 조윤옥(7) | 6:0 승 (2023) | |||||
25 | 17 | 6 | 2 | 66 | 21 | +45 | ||
<rowcolor=#fff> | | 정해원 등 3명(1) | 3:0 승 (1980) | |||||
1 | 1 | 0 | 0 | 3 | 0 | +3 | ||
<rowcolor=#fff> | | 이영무 등 3명(5) | 7:0 승 (2024) | |||||
28 | 23 | 3 | 2 | 97 | 19 | +78 | ||
<rowcolor=#fff> | | 차범근(6) | 1:0 승 (2007) | |||||
36 | 30 | 4 | 2 | 84 | 19 | +65 | ||
<rowcolor=#fff> | | 김진국 등 3명(4) | 2:1 승 (1974) | |||||
7 | 6 | 0 | 1 | 22 | 4 | +18 | ||
<rowcolor=#fff> | | 김재한(9) | 3:0 승 (2024) | |||||
47 | 31 | 8 | 8 | 90 | 37 | +53 | ||
<rowcolor=#fff> | | 신현호(4) | 1:0 승 (2019) | |||||
8 | 8 | 0 | 0 | 37 | 0 | +37 | ||
<rowcolor=#fff> | | 손흥민 등 5명(2) | 2:1 승 (2024) | |||||
29 | 9 | 11 | 9 | 30 | 29 | +1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7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1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6 승 |
4 득점 (-18) | <nopad> | 22 득점 (+18) |
<rowcolor=#fff> 두웨르 소콤(2) | 최다득점자 | 차범근, 박이천, 김진국(4)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1974) |
캄보디아의 한국전 전적은 7전 1승 6패. 동남아시아에서도 최약체로 손꼽힌다. 한국과의 마지막 대결은 1974년으로 무려 반세기전의 일이다. 다만 1970년대 크메르 공화국 시절에는 나름 동남아에서 경쟁력 있는 팀이었기 때문에 현재 세계 최약체팀 정도 수준은 아니었다. 물론 당시에도 한국에 전력상 밑에 있었던 팀인건 사실이다.
그래도 1974년 5월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가 아시아축구대회라는 명칭으로 개최되었던 마지막 대회에서 한국을 원정에서 꺾은 이력이 있다. 이는 현재까지도 당대 동남아 강호였던 말레이시아가 한국에서 승리한 1승을 제외하면 유일하다.
<nopad> 1974-12-13 | | ||||
<nopad> 2: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4 킹스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4 킹스컵 국제축구대회 8강 조별리그 A조 2차전 | ||||
일시: 1974년 12월 13일 | 장소: | ||||
주심: [None] | 경기장: 수파찰라사이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666> - | 2:1 (0:0) | <colbgcolor=#fff><colcolor=#666> - | |||
박병철 강기욱 | 세아쳉 이앙 | ||||
감독: | 승 | 감독: [None] |
A조 타팀 결과 | (2차전)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17]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6 | 1 | +5 |
<rowcolor=#fff> | • 2 | 2 | 2 | 1 | 0 | 1 | 4 | 4 | 0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4 | 4 | 0 |
<rowcolor=#fff> | • 4 | 0 | 2 | 0 | 0 | 2 | 1 | 6 | -5 |
<nopad> 1974-05-13 | | ||||
<nopad> 0:1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74 코리아컵 대회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74 박대통령컵 쟁탈 아시아축구대회 7강 조별리그 A조 2차전 | ||||
일시: 1974년 5월 13일 | 장소: | ||||
주심: [None]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666> - | 0:1 (0:1) | <colbgcolor=#fff><colcolor=#666> 두웨르 소콤 | |||
- | - | ||||
감독: | 패 | 감독: [None] |
A조 타팀 결과 | (2차전) | ||||||||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A조 순위[20]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3 | 2 | 1 | 1 | 0 | 2 | 1 | +1 |
<rowcolor=#fff> | | 2 | 2 | 1 | 0 | 1 | 3 | 1 | +2 |
<rowcolor=#fff> | • 3 | 2 | 2 | 0 | 2 | 0 | 3 | 3 | 0 |
<rowcolor=#fff> | • 4 | 1 | 2 | 0 | 1 | 1 | 2 | 5 | -3 |
[1] 크메르어[2] 2025년 7월 10일 기준[3] 2025년 9월 15일 기준[4] 6위(2022, 10강 조별리그)[5] 1996, 2000, 2002, 2004, 2008, 2016, 2018, 2020, 2022[6] 이때 감독이 일본 축구 레전드 혼다 게이스케였다. 혼다가 혼났다.[7]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8] 최고순위 6위(2022, 2024)[9] 2028 대회 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10]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11] 최고순위 9위(1963 말레이시아)[🏟️] 중립 경기: 3
CAM 홈 경기: 0
KOR 홈 경기: 4[13]
2골, 두웨르 소콤[14]
4골, 차범근, 박이천, 김진국[None] [None] [17] 인도네시아 대표로는 PSM 마카사르 클럽이 출전했지만 정규 인도네시아 대표팀 전적으로 FIFA에 의해 인정되었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None] [None] [20] 말레이시아와 일본은 국가대표 B팀이 출전하였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
CAM 홈 경기: 0
KOR 홈 경기: 4[13]
2골, 두웨르 소콤[14]
4골, 차범근, 박이천, 김진국[None] [None] [17] 인도네시아 대표로는 PSM 마카사르 클럽이 출전했지만 정규 인도네시아 대표팀 전적으로 FIFA에 의해 인정되었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None] [None] [20] 말레이시아와 일본은 국가대표 B팀이 출전하였다. 조 1, 2위까지 4강 준결승전에 진출한다.